KR100865241B1 - 높이 조절 가능한 의자용 목받침대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 가능한 의자용 목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241B1
KR100865241B1 KR1020070059972A KR20070059972A KR100865241B1 KR 100865241 B1 KR100865241 B1 KR 100865241B1 KR 1020070059972 A KR1020070059972 A KR 1020070059972A KR 20070059972 A KR20070059972 A KR 20070059972A KR 100865241 B1 KR100865241 B1 KR 100865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height
lower body
upper bod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노수
Original Assignee
부호체어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호체어원(주) filed Critical 부호체어원(주)
Priority to KR1020070059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2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석자의 목부위에 위치하여 목과 후두부를 받쳐주는 의자의 목받침대(10)에 관련된다. 그 구성에 있어서: 일면에 다수개의 요철홈(26)과 레일(27)이 형성된 곡면형태의 조절판(25)을 구비하는 하부몸체(20); 상기 하부몸체(20)의 상단에 이탈방지대(32)를 개재하여 결합되고, 조절판(25)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몸체(30); 및 상기 상부몸체(30) 상에 형성되고, 하부몸체(20)의 요철홈(26)과 레일(27)에 접촉하는 돌기(45)와 스토퍼(46)를 구비하는 걸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착석자의 자세에 따라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되어 목부위를 받쳐줌에 따라, 착석자의 목과 후두부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한층 더 편안함과 높은 안락함을 제공하고, 부속수를 최소화함과 함께 손쉽게 결합이 용이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하고,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의자, 목받침, 착석자, 목, 후두부, 높이 조절, 각도 조절, 안락감

Description

높이 조절 가능한 의자용 목받침대 {A height-adjustable neck support for chai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2는 도 1의 A-A 부분을 종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몸체의 요부를 배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몸체의 요부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목받침대 11: 걸쇠
15: 쿠션 16: 요홈
20: 하부몸체 25: 조절판
26: 요철홈 30: 상부몸체
32: 이탈방지대 36: 결합편
42: 절개홈 45: 돌기
46: 스토퍼
본 발명은 목과 후두부를 받쳐주는 목받침대가 있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석자의 자세에 따라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되어 목부위를 받쳐줌에 따라, 목부위를 한층 더 편안하게 받쳐주어 높은 안락함을 제공하고, 부속수를 최소화함과 함께 결합이 용이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높이 조절 가능한 의자용 목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의자는 착석자의 엉덩이를 받쳐주는 좌석부와, 상기 좌석부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다리부와, 상기 좌석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착석자의 허리와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일반적인 의자들은 대부분 착석자들이 단순하게 신체를 지지하도록 하는 역할만을 강조하였기 때문에, 특히 신체의 목부위를 받쳐주는 목받침의 구조에 대하여서는 별로 중요하지 않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근래에는 착석자가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에 착석자의 목부위를 편안하게 받쳐주도록 하기 위하여 만곡을 주어서 목부위를 효과적으로 받쳐주도록 목받침이 구비된 새로운 개념의 의자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목받침을 연결대에 연결함에 있어서 작업공정이 매우 까다롭고 복잡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구조적으로 목받침 연결 시 볼트, 와셔 등의 많은 부품이 소요되어 원가가 크게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목받침은 각도조절이 불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착석자의 목부 위를 단순히 정적으로 받쳐주었기 때문에 목받침의 사용시 안락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석자의 자세에 따라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되어 목부위를 받쳐줌에 따라, 목부위를 한층 더 편안하게 받쳐주어 높은 안락함을 제공하고, 부속수를 최소화함과 함께 결합이 용이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높이 조절 가능한 의자용 목받침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착석자의 목부위에 위치하여 목과 후두부를 받쳐주는 의자의 목받침대에 있어서: 일면에 다수개의 요철홈과 레일이 형성된 곡면형태의 조절판을 구비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상단에 이탈방지대를 개재하여 결합되고, 조절판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 상에 형성되고, 하부몸체의 요철홈과 레일에 접촉하는 돌기와 스토퍼를 구비하는 걸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걸림수단의 돌기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절개홈 상에 돌출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 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부분을 종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몸체의 요부를 배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몸체의 요부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때, 도 4, 5에서 도시한 상부몸체(30)는 쿠션(15)을 삭제한 상태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즉 상부몸체(30)는 쿠션(15)이 결합되는 부분을 정면으로 표현하고, 이와 반대되는 부분을 배면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목받침 기능을 지닌 의자에 관련되며, 특히 의자의 목받침 기능은 앞면에서 착석자의 목부위와 후두부를 받쳐주고, 머리와 접촉시 체형에 맞게 변형하여 머리를 편안하게 지탱해 주는 부재에 의해 수행된다. 고급 의자일수록 PU폼 소재와 같은 쿠션을 부가하여 장시간 앉아 있어도 인체에 피로함을 느끼지 않도록 설계되어져 있다.
즉, 본 발명은 착석자의 목부위에 위치하여 목과 후두부를 받쳐주는 목받침 대(10)에 관련된다. 목받침대(10)는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목부분의 완충성을 향상하도록 쿠션(15)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부몸체(20)는 상기 목받침대의 후면에 설치되고,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면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조절판(25)을 구비하여 착석자의 체형 변화에 따라 상ㆍ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작동된다. 도시에는 하부몸체(20)가 ㄱ자형의 단면으로 예시되나, 단면 형상에 무관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20) 하단으로 등받이와 연결될 수 있도록 결합편(36)과 결합공(37)을 구비한다. 이러한 결합편(36)과 결합공(37)은 의자의 등받이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절판(25)은 착석자의 체형에 따라 상ㆍ하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곡면형태의 형상을 갖고,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요철홈(26)과 요철홈(26)의 사이에 레일(27)이 구비된다. 요철홈(26)은 반원형의 돌부와 요부가 일정한 피치로 반복되는 형상이며 곡면상에서 좌우로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레일(27)은 가이드역할을 수행하면서 스토퍼역할을 수행하는 바, 즉 상ㆍ하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있을 때 더 이상 올라가거나 내려가지 못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조절판(25)은 이러한 요철홈(26)과 레일(27)을 통하여 목받침대(10)의 일정방향으로 흔들림 없이 상하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예로서, 상기 요철홈(26)은 정면을 기준으로 상방향으로 90° 하방향으로 90° 총 180°의 각도 범위를 지니고, 상기 요철홈(26)이 한 칸 이동시 10°내지 15° 각도로 조절되도록 설계되고, 이에 따른 각도는 다소 변형될 수 있다할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요철홈(26)과 연계되는 레일(27)도 총 180°의 각도 범위를 지닌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판(25)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몸체(30)가 상기 하부몸체(20)의 상단에 이탈방지대(32)를 개재하여 결합된다. 이탈방지대(32)는 높이 및 각도 조절을 하기 위해 상기 상부몸체(30)의 상하운동이 일어나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상하방향으로만 곧게 움직이도록 보조해 준다. 이외에도 상부몸체(30)에는 쿠션(15)을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양 끝단에 걸쇠(11)가 일체로 구비된다. 요홈(16)은 이탈방지대(32)를 고정하기 위하여 돌출되는 구조, 즉 배면으로부터 이탈방지대(32)를 상부몸체(30)에 결합하여 위해 정면 상에 요홈(16)을 형성하여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몸체(30)는 조절된 높이 및 각도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요철홈(26)과 레일(27)의 넓이만큼 위치에 걸림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걸림수단은 형상에 따라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절개홈(42)상에 양쪽 대칭 위치에 반달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45)와 돌기(45)의 측면에 스토퍼(46)를 각각 구비한다.
절개홈(42)은 대향하는 2개의 ㄷ자 형으로 형성되어 돌기(45)에 탄성변형에 의한 작용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절개홈(42)상에 돌기(45)가 돌출되는 구조에 의해 상부몸체(30)를 상하운동할 때 돌기(45)와 요철홈(26) 및 스토퍼(46)와 레일(27)이 서로 맞물려 고정된다. 물론 절개홈(42) 상 에서 돌기(45)의 후방으로는 상기 요철홈(26)의 탄성변형력을 증대할 수 있도록 십자형으로 돌출되는 힘살(47)이 부가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작동을 설명하면, 본 발명은 착석자의 자세에 따라 높이 및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머리와 접촉시 체형에 맞게 변형하여 머리를 편안하게 지탱해 주는 부재에 의해 수행된다.
이어서, 착석자가 목받침대(10)를 조정할 때에는 상부몸체(30)를 잡은 상태에서 상하로 조정한다. 이에 따라, 상부몸체(30)는 하부몸체(20)에 구비된 레일(27)이 상부몸체(30)의 스토퍼(46)에 수용되어 상ㆍ하로 움직일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고, 조절판(25)의 길이 방향을 따라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요철홈(26)에 돌기(45)가 걸려 높이 및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착석자는 목받침대(10)를 상ㆍ하로 움직여, 즉 하부몸체(20)로부터 상부몸체(30)를 상하로 조정하여 착석자의 목과 후두를 알맞은 높이와 각도로 받쳐줄 수 있도록 동작하여 착석자의 목과 후두부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한층 더 편안함과 높은 안락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착석자의 자세에 따 라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되어 목부위를 받쳐줌에 따라, 착석자의 목과 후두부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한층 더 편안함과 높은 안락함을 제공하고, 부속수를 최소화함과 함께 손쉽게 결합이 용이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하고,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착석자의 목부위에 위치하여 목과 후두부를 받쳐주는 의자의 목받침대(10)에 있어서:
    일면에 다수개의 요철홈(26)과 레일(27)이 형성된 곡면형태의 조절판(25)을 구비하는 하부몸체(20);
    상기 하부몸체(20)의 상단에 이탈방지대(32)를 개재하여 결합되고, 조절판(25)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몸체(30); 및
    상기 상부몸체(30) 상에 형성되고, 하부몸체(20)의 요철홈(26)과 레일(27)에 접촉하는 돌기(45)와 스토퍼(46)를 구비하는 걸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가능한 의자용 목받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의 돌기(45)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절개홈(42) 상에 돌출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가능한 의자용 목받침대.
KR1020070059972A 2007-06-19 2007-06-19 높이 조절 가능한 의자용 목받침대 KR100865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972A KR100865241B1 (ko) 2007-06-19 2007-06-19 높이 조절 가능한 의자용 목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972A KR100865241B1 (ko) 2007-06-19 2007-06-19 높이 조절 가능한 의자용 목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5241B1 true KR100865241B1 (ko) 2008-10-24

Family

ID=40177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972A KR100865241B1 (ko) 2007-06-19 2007-06-19 높이 조절 가능한 의자용 목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24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6414A (en) 1997-10-09 1999-05-25 Lear Corporation Snap-on, pivotable vehicle headrest assembly
JP2004057400A (ja) 2002-07-26 2004-02-26 Okamura Corp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
JP2005034322A (ja) 2003-07-18 2005-02-10 Okamura Corp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
KR200390027Y1 (ko) 2005-04-22 2005-07-18 박봉수 의자용 헤드레스트
KR100566659B1 (ko) 2005-08-18 2006-03-31 주식회사 리바트 머리받침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JP2007301242A (ja) 2006-05-12 2007-11-22 Okamura Corp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6414A (en) 1997-10-09 1999-05-25 Lear Corporation Snap-on, pivotable vehicle headrest assembly
JP2004057400A (ja) 2002-07-26 2004-02-26 Okamura Corp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
JP2005034322A (ja) 2003-07-18 2005-02-10 Okamura Corp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
KR200390027Y1 (ko) 2005-04-22 2005-07-18 박봉수 의자용 헤드레스트
KR100566659B1 (ko) 2005-08-18 2006-03-31 주식회사 리바트 머리받침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JP2007301242A (ja) 2006-05-12 2007-11-22 Okamura Corp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5997B1 (ko) 착석 가구 물품
JP2010505507A5 (ko)
KR20140013899A (ko) 의자의 조절장치
KR100733517B1 (ko)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 및 그의 송풍장치
CN102092316B (zh) 具有可变形靠背的车辆座椅
KR101232825B1 (ko) 의자
KR101399283B1 (ko) 장애인용 시트 프레임
KR200478039Y1 (ko) 등압착식 허리받침대
KR101167816B1 (ko) 등받이의자
KR100865241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의자용 목받침대
CN111565969B (zh) 儿童座椅装置
KR101547275B1 (ko) 의자용 팔걸이
TWI676445B (zh) 椅子的靠背的高度調節構造
KR101303263B1 (ko) 허리지지부가 구비된 의자
KR20100059407A (ko) 등받이의 위치조절 기능이 구비된 의자
KR200436742Y1 (ko) 의자
KR101052551B1 (ko) 의자
KR101495603B1 (ko) 자세 교정용 의자
KR101069769B1 (ko) 의자
CN219206349U (zh) 一种可调节的座椅腰靠
KR100566659B1 (ko) 머리받침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KR200333281Y1 (ko) 카시트
JP4097035B2 (ja) 椅子用背板構造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椅子
KR100725147B1 (ko) 허리 받침대를 구비한 등받이
CN220327146U (zh) 一种方便调节的腰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