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4913B1 - 편의 서비스 연동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편의 서비스 연동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4913B1
KR100864913B1 KR20070103942A KR20070103942A KR100864913B1 KR 100864913 B1 KR100864913 B1 KR 100864913B1 KR 20070103942 A KR20070103942 A KR 20070103942A KR 20070103942 A KR20070103942 A KR 20070103942A KR 100864913 B1 KR100864913 B1 KR 100864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nience
service
function
information
f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103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서태삼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70103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91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서비스 공간 내에서 사용자가 편의 디바이스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편의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기 위해, 각 디바이스들을 연동하여 편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 서비스 연동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편의 서비스 연동 방법은, (a) 편의 제공기(FP)에서 프로세스 모델링을 통해 워크플로우를 생성하여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에서 상기 워크플로우에 따라 편의 서비스를 구성하는 단계; (c) 상기 편의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사용자 태스크 선택을 편의 디바이스에서 상기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로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가 상기 사용자 태스크 선택에 해당하는 편의 서비스를 구동하는 단계; 및 (e) 상기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가 상기 구동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편의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와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편의, 서비스,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 프로세스, SFD, FSB, FSP, FP, 플랫폼, 브로커, 모델링

Description

편의 서비스 연동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interlocking a facility service}
본 발명은 사용자가 편의 디바이스(Facility Device)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를 통해 편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각 디바이스가 연동하도록 하는 편의 서비스 연동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 기술(IT:Information Technology)의 진화로 인해 인간이 생활하는 다양한 공간 속에 존재하는 아날로그 서비스가 디지털화 됨에 따라 공간의 지능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교통카드 시스템이나 IPTV, 움직임 감지 스크린, 버스 도착 안내기, ATM 등의 편의 디바이스(Facility Device, 이하 FD)가 디지털 데이터로 처리되고 있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는 다양한 기능을 융합하는 기능의 컨버전스 현상에 의해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로 진화하고 있으나, 고객들의 생활 영역 내에 존재하는 편의 디바이스(FD)는 단순 고유한 기능이 특정 장치(Feature Device)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대중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며 다양한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생활에서 늘 접하는 편의 디바이스(FD)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요구에 따라, 특정 서비스 공간 내에서 사용자가 편의 디바이스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편의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기 위해, 각 디바이스들을 연동하여 편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 서비스 연동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의 서비스 연동 방법은, (a) 편의 제공기(FP)에서 프로세스 모델링을 통해 워크플로우를 생성하여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에서 상기 워크플로우에 따라 편의 서비스를 구성하는 단계; (c) 상기 편의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사용자 태스크 선택을 편의 디바이스에서 상기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로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가 상기 사용자 태스크 선택에 해당하는 편의 서비스를 구동하는 단계; 및 (e) 상기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가 상기 구동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편의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와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서비스 코로그라피)를 위한 프로세스 디자인, 모델링 기법 및 직관적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 툴링을 통해 상기 워크플로우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패턴이 프로세스 디자인의 포맷대로 등록될 수 있도록 편의 디바이스 스테레오타입핑을 이용한 프로세스 모델링을 통해 워크플로우를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프로세스 모델링을 통해 정해진 워크플로우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와 편의 디바이스를 이용해 여러 서비스들과 인터랙션을 통해 복잡한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편의 서비스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의 서비스 연동 시스템은, 편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바일 디바이스(MD);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유기적으로 연동하고, 다른 디바이스와 연동하며, 상기 편의 서비스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편의 디바이스(FD); 상기 편의 서비스를 위해 프로세스 모델링을 통해 워크플로우(workflow)를 생성하는 편의 제공기(FP); 및 다수의 편의 디바이스 및 편의 서비스들을 조정 및 조합하여 관리하고,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편의 서비스의 등록 및 조회, 상기 편의 서비스의 배포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하며, 중앙 집중적인 관리를 통해 협업 기능을 제공하는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D)는 상기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와 인터랙션을 통해 상기 편의 디바이스(FD)로부터 상기 편의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또한, 상기 편의 디바이스(FD)는, 상기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와 인터랙션 을 통해 상기 편의 서비스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제공해 주게 된다.
또한, 상기 편의 디바이스(FD)는, 다수의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제공받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 관리, 등록, 조회하는 기능과, 다른 편의 디바이스와 정보 및 서비스를 공유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연합하는 페더레이션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을 인가된 사용자에게만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편의 제공기(FP)는,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패턴이 프로세스 디자인의 포맷대로 등록될 수 있도록 편의 디바이스 스테레오타입핑을 이용한 프로세스 모델링을 통해 상기 워크플로우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편의 제공기(FP)는, 서비스 코로그라피를 위한 프로세스 디자인, 모델링 기법 및 직관적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 툴링(tooling)을 통해 상기 워크플로우를 생성하
또한, 상기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는, 상기 프로세스 모델링을 통해 정해진 워크플로우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와 편의 디바이스를 이용해 여러 서비스들과 인터랙션을 통해 복잡한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편의 디바이스(FD)는, 주변의 상황(Context)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는, 존(zone) 내에 존재하는 서비스들 목록을 관리하는 서비스 디렉토리 기능과, 새로운 서비스를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 기능,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서비스를 검색하는 서비스 쿼리 기능, 서비스의 접근을 관리하는 서비스 상태 조회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는, 복수 개의 상기 편의 디바이스(FD)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D)의 연결 상태 및 사용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한 세션 기능과, 복수 개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D)와 상기 편의 디바이스(FD) 간에 사용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저장 기능 및 복수 개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D)와 상기 편의 디바이스(FD) 간에 사용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복구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는, 존(zone) 내에 존재하는 서비스들을 조합하는 기능과, 다수의 상기 편의 디바이스(FD)가 제공하는 서비스와 이벤트를 서비스 제공자의 요구에 맞게 모델링하는 기능,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D)의 위치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 및 특정 위치에 반응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은, 어플리케이션의 등록, 배포를 위한 공통 포맷 확인, 설치, 확장, 제거에 관한 관리 기능과, 상기 편의 디바이스(FD)에게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는 기능,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의 무결성 확인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별 접근 권한 관리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은, 상기 편의 디바이스(FD)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D)별 인증 확인과 인증 정보를 공유하는 기능과, 상기 편의 디바이스(FD)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D) 간의 트러스트 관리 및 토큰 발행 기능 및 데이터의 암호화와 인증서 관리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은, 상기 편의 디바이스(FD)의 검색과 등록을 위한 초기 연결 설정 및 등록 기능과, 상기 편의 디바이스(FD)의 플랫폼 속성 정보 확인, 저장, 호출 정보의 확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은, 상기 편의 디바이스(FD)의 모니터링, 로그인, 알람 정보 확인 및 관리 기능과, 상기 편의 디바이스(FD)의 추가 디바이스 이벤트 및 각종 드라이버 관리 기능 및 상기 편의 디바이스(FD)의 응용 프로그램의 생명주기 관리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은, 관리용 사용자의 생성, 추가, 변경, 등록 관리 기능과, 상기 관리용 사용자의 권한 관리와 제어 기능, 시스템 관리를 위한 관리자용 관리 콘솔 기능, 사용자 권한별 최적화된 포털 구성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은, 상기 편의 디바이스(FD)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D)에서 요청한 부가 메타 데이터에 대한 처리 기능, 상기 편의 디바이스(FD)에서 수집한 상황(context) 정보 데이터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의 디바이스는,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와의 초기 연동을 위한 초기 설정 기능과, 원격 관리 정보를 배포받아 관리하는 에이전트 기능을 제공하는 원격 관리부; 디바이스들 간의 협업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제공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한된 입력으로 제어되는 기능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협업부; 이동 통신망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다 양한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기능과, 근접한 디바이스를 인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커뮤니케이션부; 및 자신의 디바이스 상세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주변의 상황(Context) 정보를 수집하여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로 전송하는 개인화 정보부;를 포함한다.
또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연결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디바이스 위치 확인부;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확인하고, 인증의 성공, 실패 여부를 알리며, 편의 서비스 플랫폼과의 연동 및 데이터 전달시 암호화를 통한 보안 기능을 실행하는 인증/보안부; 및 사용자의 프라이빗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ID를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확인하는 정보 조회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격 관리부는, 컴포넌트 간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한 스마트 레벨 기능과, 컴포넌트 간의 안정적인 데이터 공유를 위한 패키지 관리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격 관리부는, 디바이스의 자동 감지와 필요에 따라 해당 드라이버를 제공하며, 디바이스의 상세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격 관리부는, 다수의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제공받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 관리, 등록, 조회하는 기능과, 다른 스마트 편의 장치와 정보 및 서비스를 공유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연합하는 페더레이션(federation)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을 인가된 사용자에게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정보 조회부는, 사용자 과금 정보 확인 및 집행 시 필요한 인증서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확인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ID를 기반으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의 서비스 브로커는, 서비스의 등록과 검색, 서비스 목록을 관리하는 서비스 브로커링부; 복수 개의 편의 디바이스(FD)와 모바일 디바이스(MD)의 연결 상태 및 사용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한 세션 기능을 제공하는 세션 관리부; 존(zone) 내에 존재하는 서비스들을 조합하는 서비스 조합부;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D)의 위치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집하여 처리하는 센싱 정보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브로커링부는, 존(zone) 내에 존재하는 서비스들 목록을 관리하는 서비스 디렉토리 기능과, 새로운 서비스를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 기능,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서비스를 검색하는 서비스 쿼리 기능, 서비스의 접근을 관리하는 서비스 상태 조회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세션 관리부는, 복수 개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D)와 상기 편의 디바이스(FD) 간에 사용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저장 기능 및 복수 개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D)와 상기 편의 디바이스(FD) 간에 사용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복구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조합부는, 기능과, 다수의 상기 편의 디바이스(FD)가 제공하는 서비스와 이벤트를 서비스 제공자의 요구에 맞게 모델링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센싱정보 처리부는, 가비지 값에 대한 센서의 필터링 기능과, 특 정 위치에 반응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브로커링부는, 편의 제공기(FP)로부터 전달받은 프로세스 모델링을 통해 정해진 워크플로우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편의 디바이스를 이용해 여러 서비스들과 인터랙션을 통해 복잡한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편의 서비스를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실생활 공간에서 사용자에게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디바이스를 동적으로 연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편의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의 연동에 따라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 평가 서비스, 뮤직 서비스, 광고 서비스, 레이아웃 서비스 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의 서비스 연동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편의 서비스 연동 시스템은, 모바일 디바이스(Thin Mobile Device, 이하 TMD)(110), 스마트 편의 디바이스(Smart Facility Device, 이하 SFD)(120), 통신 네트워크(130), 편의 서비스 브로커(Facility Service Broker, 이하 FSB)(140), 편의 서비스 플랫폼(Facility Service Platform, 이하 FSP)(150) 및 편의 제공기(Facility Provider, 이하 FP)(160)를 포함한다.
TMD(110)는 SFD(120)로부터 편의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즉, TMD(110)는 서비스 발견 프로토콜을 통해 특정 존(zone)에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SFD(120)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인터랙션(interaction)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편의 서비스를 바인딩(binding)하게 된다.
또한, TMD(110)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SFD(120)로 전달하고, SFD(120)로부터 인증 성공, 실패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TMD(110)는 SFD(120)와의 연동시 데이터의 보안 및 암호화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상세 정보와 디바이스의 상세 정보를 담고 있는 ID 정보를 SFD(120)로 전송한다.
또한, TMD(110)는 데이터 및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SFD(120)와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한 데이터 및 응용 프로그램의 상태를 확인한다.
그리고, TMD(110)는 SFD(12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과, 다운로드 받은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런타임 환경 제공 및 등록 기능을 수행한다.
SFD(120)는 TMD(110)와 유기적으로 연동하고, 다른 디바이스와 연동하며, 편의 서비스를 디지털 정보로 처리하여 TMD(110)를 통해 제공한다.
또한, SFD(120)는 TMD(11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며, 연결 설정된 TMD(11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프라이빗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ID를 TMD(110)와 연동하여 확인한다.
또한, SFD(120)는 사용자 과금 정보 확인 및 집행 시 필요한 인증서를 TMD(110)와 연동하여 확인하고, TMD(110)의 ID를 기반으로 TMD(110)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SFD(120)는 컴포넌트 간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한 스마트 레벨 기능을 수행하고, 컴포넌트 간의 안정적인 데이터 공유를 위한 패키지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SFD(120)는 디바이스들 간의 협업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제공하고, 근접한 디바이스를 인식하며, 자신의 디바이스 상세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SFD(120)는 다수의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제공받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 관리, 등록, 조회하는 기능과, 다른 스마트 편의 장치와 정보 및 서비스를 공유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연합하는 페더레이션(federation)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을 인가된 사용자에게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SFD(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태스크에 따라 TMD(110)에게 결제 서비스, 평가 서비스, 뮤직 서비스, 광고 서비스, 레이아웃 서비스 등의 편의 서비스를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제공한다.
그리고, SFD(120)는 주변의 상황(Context) 정보를 수집하여 FSB(140)로 전송하고, TMD(110)로부터의 사용자 선택 태스크에 따라 FSB(140)와 인터랙션을 통해 TMD(110)에게 편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통신 네트워크(130)는 SFD(120)와 FSB(14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로서, 예컨대, LAN(Local Area Network)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서 통신 네트워크(130)를 LAN(130)으로 표시하였다.
FSB(140)는 하나의 서비스 영역(Business Zone) 내에 존재하여 다수의 SFD(120) 및 편의 서비스들을 조정 및 조합하여 관리한다.
또한, FSB(140)는 존(zone) 내에 존재하는 서비스들 목록을 관리하는 서비스 디렉토리 기능과, 새로운 서비스를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 기능,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서비스를 검색하는 서비스 쿼리 기능, 서비스의 접근을 관리하는 서비스 상태 조회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FSB(140)는 복수 개의 SFD(120)와 TMD(110)의 연결 상태 및 사용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한 세션 기능과, 복수 개의 TMD(110)와 SFD(120) 간에 사용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저장 기능 및 복수 개의 TMD(110)와 SFD(120) 간에 사용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복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FSB(140)는 FP(160)로부터 전달받은 프로세스 모델링을 통해 정해진 워크플로우에 따라 TMD(110)와 SFD(120)를 이용해 여러 서비스들과 인터랙션을 통해 복잡한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편의 서비스를 구성한다.
그리고, FSB(140)는 존(zone) 내에 존재하는 서비스들을 조합하는 기능과, 다수의 SFD(120)가 제공하는 서비스와 이벤트를 서비스 제공자의 요구에 맞게 모델링하는 기능, TMD(110)의 위치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 및 특정 위치에 반응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FSP(150)는 편의 서비스의 등록 및 조회, 편의 서비스의 배포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하며, 중앙 집중적인 관리를 통해 협업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FSP(150)는 어플리케이션의 등록, 배포를 위한 공통 포맷 확인, 설치, 확장, 제거에 관한 관리 기능과, SFD(120)에게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는 기능,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의 무결성 확인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별 접근 권한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FSP(150)는 SFD(120)와 TMD(110)별 인증 확인과 인증 정보를 공유하는 기능과, SFD(120)와 TMD(110) 간의 트러스트 관리 및 토큰 발행 기능 및 데이터의 암호화와 인증서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FSP(150)는 SFD(120)의 검색과 등록을 위한 초기 연결 설정 및 등록 기능과, SFD(120)의 플랫폼 속성 정보 확인, 저장, 호출 정보의 확인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FSP(150)는 SFD(120)의 모니터링, 로그인, 알람 정보 확인 및 관리 기능과, SFD(120)의 추가 디바이스 이벤트 및 각종 드라이버 관리 기능 및 SFD(120)의 응용 프로그램의 라이프 사이클(life cycle)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FSP(150)는 관리용 사용자의 생성, 추가, 변경, 등록 관리 기능과, 상 기 관리용 사용자의 권한 관리와 제어 기능, 시스템 관리를 위한 관리자용 관리 콘솔 기능, 사용자 권한별 최적화된 포털 구성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FSP(150)는 SFD(120)와 TMD(110)에서 요청한 부가 메타 데이터에 대한 처리 기능, SFD(120)에서 수집한 상황(context) 정보 데이터의 저장 기능을 수행한다.
FP(160)는 SFD(120)의 컨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의 역할로, 편의 서비스를 위한 하드웨어(H/W) 및 소프트웨어(S/W)를 직접 배포 및 관리한다. 또한, FP(160)는 프로세스 모델링을 통해 워크플로우(workflow)를 생성하여 FSB(140)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은 편의 기술 구조(Facility Technology Framework, 이하 FTF)를 이용한다. 따라서, TMD(110)와 SFD(120), LAN(130), FSB(140)가 하나의 FTF 존(Zone) 내에 위치한다. 또한, 하나의 FTF Zone은 LAN(130)을 통해 다른 FTF Zone과 연결된다.
FT(Facility Technology) 환경은 실생활(Real Life) 속에 존재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SFD(120)를 통해서 디지털화되어 사용자들은 TMD(110)와 SFD(120)를 통해서 지능화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가상 생활(Virtual Life) 환경일 수 있다.
따라서, FT 환경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휴대하는 TMD(110), 특정 지역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 속의 장치 SFD(120), 동일 지역의 SFD(120)들에 대해서 서비스 제공과 관리를 담당 하는 FSB(140), 기존 이동통신 서비스 인프라와의 연계와 전체 구성 요소 간의 상호 협업(collaboration)을 담당하는 FSP(150)로 구성된다.
여기서, TMD(110)와 SFD(120) 간의 통신 네트워크와, TMD(110)와 TMD(110) 간의 통신 네트워크는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RFID, IrDA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FP(160)에 의해 제공, 개발된 FTF 응용 서비스가 FTF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기까지 요구되는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동적 서비스 발견 기능 - Zone 발견, 서비스 발견, 서비스 상태 확인, 실내 위치 감지
2) 디바이스 협업(Collaboration) 기능 - 협업 탐지기, 협업 서비스, 세션 관리, 협업 코어 기술
3) 동적 모듈 시스템(Dynamic Module system) - 서비스 등록, 배포, 원격 관리, 모니터링, 생명 주기 관리, 정보 공유, 번들(Bundle) 저장소
4) 서비스 코로그라피(Service Choreography) - 프로세스 모델링, 태스크 선택, 서비스 구동, TMD 인터랙션(interation), SFD 인터랙션
5) 트러스트/프라이버시(Trust & Privacy) - 디바이스간 트러스트 관계, 모바일 유저의 프라이버시, DRM 호환의 SFD 연계
6) 개인화 서비스(Facade for Personalization Service) - 정보 수집, 정보 필터링, 전체 정보 수집, 정보 저장
여기서, 개인화 서비스에서 Facade는 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한 간단(simple) 하고 일관적인 데이터 포맷(data format) 및 인터페이스 제공을 의미한다.
또한, 디바이스 협업 기술은 다양한 디바이스 간의 근거리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가지고 있는 제한된 디스플레이 크기와 배터리 용량, 폼팩터(Form Factor)의 제한을 극복하고자 주변의 디바이스들과의 협업을 통해서 주변 디바이스의 리소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TMD(110)는 존(zone) 안에 들어온 사용자가 주변의 SFD(120) 및 상태, 세부 프로퍼티 정보들을 열람할 수 있는 제어 패널(Control Panel)로써 협업 브라우저(Collaboration Browser)를 구비한다. 디바이스 간의 협업을 위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미들웨어 서비스 및 기능은 파일 공유(file sharing), 서비스 디스크립션(service description), 입출력 매핑(Input/Output Mapping)이다.
또한, 동적 모듈 시스템 기술은 SFD(120) 위에서 동작할 여러 응용 서비스에게 미들웨어(Middleware)적인 기능들을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 기술이다. 응용 프로그램 측면으로는 서비스 지향, 컴포넌트 기반을 바탕으로 응용 프로그램 간의 인스턴스 공유가 가능한 환경, 표준화된 방법으로 소프트웨어 생명주기(Life Cycle)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등은 이를 통하여 제공한다. 또한, 관리적인 측면으로는 SFD 프로그램의 원격관리, 모니터링, 응용 프로그램 번들 저장소(Repository) 등의 기능을 포함한다. TMD(110)의 경우 PDA급의 디바이스에서는 SFD(120)와 같은 방식을 적용하며, 핸드폰에 대해 우선적으로 미들렛(midlet) 기반의 가상 머신 서비스(VM service)와의 연동 방식을 적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TMD)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TMD(110)는 편의 서비스부(210), 커뮤니케이션부(220), 디바이스 협업부(230) 및 실행 환경부(240)를 포함한다.
편의 서비스부(210)는 서비스 발견 프로토콜을 통해 특정 존(zone)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편의 서비스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인터랙션(interaction)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편의 서비스를 바인딩(binding)하게 된다.
커뮤니케이션부(220)는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SFD(120)와 근거리 통신으로 정보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디바이스 협업부(230)는 디바이스들 간의 협업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디바이스 협업부(230)는, 사용자로부터의 제한된 입력에 따른 SFD(120)의 제어 데이터를 송출하게 된다. 그리고, 디바이스 협업부(230)는, 디바이스의 자동 감지와 필요에 따라 해당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접근 관리 기능과, 디바이스의 상세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상태 보고 기능을 수행한다.
실행 환경부(240)는 다운로드 받은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즉, 실행 환경부(240)는 편의 서비스에 관한 응용 프로그램을 단말기에 설치하여 편의 서비스에 관한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도록 환경을 설정한다.
한편, TMD(11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등을 포함하나, 이에 대한 구성은 통상적인 기술에 해당하므로 그에 대한 도면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편의 디바이스(SFD)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SFD(120)는 디바이스 위치 확인부(310), 인증/보안부(320), 정보 조회부(330), 원격 관리부(340), 디바이스 협업부(350), 커뮤니케이션부(360), 개인화 정보부(370)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위치 확인부(310)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연결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인증/보안부(320)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확인하고, 인증의 성공, 실패 여부를 알리며, 편의 서비스 플랫폼과의 연동 및 데이터 전달시 암호화를 통한 보안 기능을 실행한다.
정보 조회부(330)는 사용자의 프라이빗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ID를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확인한다. 또한, 정보 조회부(330)는 사용자 과금 정보 확인 및 집행 시 필요한 인증서를 TMD(110)와 연동하여 확인하고, TMD(110)의 ID를 기반으로 TMD(110)의 상세 정보를 확인한다.
원격 관리부(340)는 관리 서버와의 초기 연동을 위한 초기 설정 기능과, 원격 관리 정보를 배포받아 관리하는 에이전트(agent)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원격 관리부(340)는 컴포넌트 간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한 스마트 레벨 기능과, 컴포넌트 간의 안정적인 데이터 공유를 위한 패키지 관리 기능을 제공한 다.
또한, 원격 관리부(340)는 디바이스의 자동 감지와 필요에 따라 해당 드라이버를 제공하며, 디바이스의 상세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원격 관리부(340)는 다수의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제공받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 관리, 등록, 조회하는 기능과, 다른 스마트 편의 장치와 정보 및 서비스를 공유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연합하는 페더레이션(federation)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을 인가된 사용자에게만 제공한다.
디바이스 협업부(350)는 디바이스들 간의 협업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제공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한된 입력으로 제어되는 기능을 제공한다.
커뮤니케이션부(360)는 이동 통신망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다양한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기능과, 근접한 디바이스를 인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개인화 정보부(370)는 자신의 디바이스 상세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주변의 상황(Context) 정보를 수집하여 FSB(140)로 전송한다. 또한, 개인화 정보부(370)는 사용자 ID를 기반으로 사용자 상세 정보 및 개인화 정보를 호출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FSB(140)는 서비스 브로커링부(410), 세션 관리부(420), 서비스 조합부(430) 및 센싱정보 처리부(440)를 포함한다.
서비스 브로커링부(410)는 서비스의 등록과 검색, 서비스 목록을 관리한다.
또한, 서비스 브로커링부(410)는 존(zone) 내에 존재하는 서비스들 목록을 관리하는 서비스 디렉토리 기능과, 새로운 서비스를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 기능,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서비스를 검색하는 서비스 쿼리 기능, 서비스의 접근을 관리하는 서비스 상태 조회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서비스 브로커링부(410)는, FP(160))로부터 전달받은 프로세스 모델링을 통해 정해진 워크플로우에 따라 TMD(110)와 SFD(120)를 이용해 여러 서비스들과 인터랙션을 통해 복잡한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편의 서비스를 구성한다.
세션 관리부(420)는 복수 개의 SFD(120)와 TMD(110)의 연결 상태 및 사용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한 세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세션 관리부(420)는 복수 개의 TMD(110)와 SFD(120) 간에 사용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저장 기능 및 복수 개의 TMD(110)와 SFD(120) 간에 사용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복구 기능을 제공한다.
서비스 조합부(430)는 존(zone) 내에 존재하는 서비스들을 조합한다.
또한, 서비스 조합부(430)는 기능과, 다수의 SFD(120)가 제공하는 서비스와 이벤트를 서비스 제공자의 요구에 맞게 모델링하게 된다.
센싱 정보 처리부(440)는 모바일 디바이스(MD)의 위치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집하여 처리한다.
또한, 센싱정보 처리부(440)는 가비지 값에 대한 센서의 필터링 기능과, 특정 위치에 반응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FSP(150)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10), 인증/보안부(520), 원격 관리부(530), 통신망 연동부(540) 및 개인화 정보부(550)를 포함한다.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10)는 어플리케이션의 등록, 배포를 위한 공통 포맷 확인, 설치, 확장, 제거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501)는 SFD(120)에게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는 기능,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의 무결성 확인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별 접근 권한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인증/보안부(520)는 SFD(120)와 TMD(110)별 인증 확인과 인증 정보를 공유한다. 또한, 인증/보안부(520)는 SFD(120)와 TMD(110) 간의 트러스트 관리 및 토큰 발행 기능 및 데이터의 암호화와 인증서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원격 관리부(530)는 SFD(120)의 등록과 속성 관리, SFD(120)의 모니터링, 이벤트 수집을 담당한다. 또한, 원격 관리부(530)는 SFD(120)의 검색과 등록을 위한 초기 연결 설정 및 등록 기능과, SFD(120)의 플랫폼 속성 정보 확인, 저장, 호출 정보의 확인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원격 관리부(530)는 SFD(120)의 모니터링, 로그인, 알람 정보 확인 및 관리 기능과, SFD(120)의 추가 디바이스 이벤트 및 각종 드라이버 관리 기능 및 SFD(120)의 응용 프로그램의 라이프 사이클(life cycle)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원격 관리부(530)는 관리용 사용자의 생성, 추가, 변경, 등록 관리 기능과, 관리용 사용자의 권한 관리와 제어 기능, 시스템 관리를 위한 관리자용 관리 콘솔 기능, 사용자 권한별 최적화된 포털 구성 기능을 제공한다.
통신망 연동부(540)는 기 구축된 통신망과의 연동을 통한 이미 확보된 정보를 활용한다.
개인화 정보부(550)는 SFD(120)와 TMD(110)에서 요청한 부가 메타 데이터에 대한 처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개인화 정보부(550)는 SFD(120)에서 수집한 상황(context) 정보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의 서비스 연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프로세스 모델링 기술을 FSP(150)의 구현에 접목하여 존(zone) 기반으로 여러 SFD(120)와 TMD(110) 간의 복잡한 메시지의 처리를 워크플로우(workflow) 형태로 관리함으로써 여러가지 편의 서비스를 연합하여 새로운 복합 서비스(Composite Service)로 제공하도록 하는 복합 서비스의 구현 방법 및 시스템을 실현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편의 서비스를 위한 하드웨어(H/W) 및 소프트웨어(S/W)를 직접 배포 및 관리하는 FP(160)가 프로세스 모델링을 통해 워크플로우(workflow)를 생성하여 FSB(140)로 전송한다(S602).
여기서, 프로세스 모델링(process modeling)은 서비스 코로그라피(Choreography)를 위한 프로세스 디자인, 모델링 기법 및 직관적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 툴링(tooling)을 제공하고, 편의 디바이스의 패턴이 프로세스 디자인의 포맷대로 등록될 수 있도록 편의 디바이스 스테레오타입핑(stereotyping)을 이용한다.
즉, FP(160)는 프로세스 모델링을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태스크 플래너(task planner) 화면을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태스크 플래너 화면을 통해 프로세스 모델링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근거로 워크플로우를 생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FP가 워크플로우를 생성하기 위해 제공하는 태스크 플래너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프로세스 모델링을 위해 필요한 기술적 요소는 프로세스 디자인과, 편의 디바이스(FD) 스테레오타입핑(stereotyping)이며, 편의 디바이스 스테레오타입핑은 편의 디바이스의 패턴이 프로세스 디자인의 규격화된 팔레트(palette)로 등록될 수 있도록 구조화하는 포맷 및 기술(description)을 의미한다.
프로세스 모델링은 존 기반(zone based) 서비스의 구성을 위해 관리자에게 비주얼(Visualized)하게 모델링을 제시하고,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근거로 직관적 형태의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유연한 서비스 컴포넌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프로세스 설정(process customization)은 사용자 개인 정보와 연계하고, 프로세스의 핫픽스(hot-fix) 및 상황에 따른 동적 서비스 프로세스를 고려한다.
FSB(140)는 FP(160)로부터 전달받은 워크플로우를 근거로 각각의 디바이스로 중계하기 위한 편의 서비스를 구성(coordination)한다(S604). 예컨대, 결제 서비스, 평가 서비스, 뮤직 서비스, 광고 서비스, 레이아웃 서비스, 주민등록 발급 서비스, 티켓 발급 서비스 등에 관하여 각 워크플로우를 근거로 편의 서비스를 구성한다.
FSB(140)는 편의 서비스의 구성을 위해 서비스 코로그라피(choreography)의 런타임 기술을 이용한다. 즉, 프로세스 모델링을 통하여 정해진 워크플로우에 따라 TMD(110)와 해당 존 내의 SFD(120)를 통한 여러 서비스들과 인터랙션을 통해서 복잡한 태스크를 수행할 있도록 해 주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는 편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나 PDA 등의 TMD(110)를 선택하고, 선택한 TMD(110)를 통해 SFD(120)와 접속하여, 이용하기 원하는 편의 서비스를 선택하여 그에 따른 태스크(task)를 선택한다(S606).
예를 들면, 사용자는 TMD(110)를 통해 결제 서비스, 평가 서비스, 뮤직 서비스, 광고 서비스, 레이아웃 서비스, 주민등록 발급 서비스 중에 하나의 편의 서비스를 선택한다.
SFD(120)는 TMD(110)로부터 선택된 태스크 정보를 FSB(140)로 전달한다(S608).
이에 따라, FSB(140)는 사용자가 선택한 태스크에 맞는 편의 서비스를 구동한다(S610).
예를 들면, 사용자가 주민등록 발급 서비스를 선택하면, SFD(120)는 주민등 록 발급 서비스에 관한 태스크 정보를 FSB(140)로 전달하게 되고, 이를 수신한 FSB(140)는 해당 동사무소의 발급 시스템과 연동하여 주민등록 발급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편의 서비스를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FSB(140)는 해당 편의 서비스가 구동되면, SFD(120) 및 TMD(110)와 서비스 인터랙션을 수행하여, 해당 편의 서비스를 SFD(120) 및 TMD(110)로 제공한다(S612).
이후, FSB(140)는 FSP(150)와 연동하여 프로세스 설정(process customization)을 위해 개인화 정보를 구성한다. FSP(150)는 CRM 정보와 프리퍼런스(preferences), 히스토리(history) 등을 통해 FSB(140)가 연동하는 각각의 FSB(140)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이때, 프로세스 설정은 사용자 개인 정보와 연계하고, 프로세스 핫픽스(hot-fix)와 상황에 따른 동적 서비스 프로세스를 이용한다.
전술한 과정을 통한 FSB(140)의 연동은 프로세스 모델링을 통해 제공할 편의 서비스를 분석(analyze)하여 해당 태스크를 결정(decide)하고, 그 태스크에 따른 인터랙션을 수행(act)하며, 이후에 FSP(150)를 통해 모니터링(monitoring)하며, 오류 등을 검출(detect)하는 과정으로 진행하는 것이다.
한편, FSB(140)는 FSP(150)와 개인화된 프로세스 런타임(personalized process runtime)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이벤트를 처리하거나, 디바이스 이벤트 브로커링 및 이벤트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또한, FSB(140)는 개인화된 프로세스 런타임 기술을 이용하여 비즈니스 상태 머신을 정의하고, 상황 정보에 따른 이벤트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FSB(140)와 SFD(120) 및 TMD(110)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편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는 TMD(110)를 이용하여 교통카드 시스템이나 버스 도착 안내기, IPTV, ATM 장치, 결제 서비스, 평가 서비스, 뮤직 서비스, 광고 서비스, 레이아웃 서비스 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서비스 공간 내에서 사용자가 편의 디바이스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편의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기 위해, 각 디바이스들을 연동하여 편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 서비스 연동 방법 및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디바이스들을 연동하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편의 디바이스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의 서비스 연동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TMD)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편의 디바이스(SFD)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의 서비스 연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FP가 워크플로우를 생성하기 위해 제공하는 태스크 플래너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모바일 디바이스(TMD) 120 : 스마트 편의 디바이스(SFD)
130 : 통신 네트워크(LAN) 140 :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
150 :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 160 : 편의 제공기(FP)
210 : 편의 서비스부 220 : 커뮤니케이션부
230 : 디바이스 협업부 240 : 실행 환경부
310 : 디바이스 위치 확인부 320 : 인증/보안부
330 : 정보 조회부 340 : 원격 관리부
350 : 디바이스 협업부 360 : 커뮤니케이션부
370 : 개인화 정보부 410 : 서비스 브로커링부
420 : 세션 관리부 430 : 서비스 조합부
440 : 센싱정보 처리부 510 : 응용 프로그램 관리부
520 : 인증/보안부 530 : 원격 관리부
540 : 통신망 연동부 550 : 개인화 정보부

Claims (34)

  1. (a) 편의 제공기(FP)에서 프로세스 모델링을 통해 워크플로우(workflow)를 생성하여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에서 상기 워크플로우에 따라 편의 서비스를 구성하는 단계;
    (c) 상기 편의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사용자 태스크 선택을 편의 디바이스에서 상기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로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가 상기 사용자 태스크 선택에 해당하는 편의 서비스를 구동하는 단계; 및
    (e) 상기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가 상기 구동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편의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와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편의 서비스 연동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서비스 코로그라피(Choreography)를 위한 프로세스 디자인, 모델링 기법 및 직관적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 툴링(tooling)을 통해 상기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연동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패턴이 프로세스 디자인의 포맷대로 등록될 수 있도록 편의 디바이스 스테레오타입핑(stereotyping)을 이용한 프로세스 모델링을 통해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연동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프로세스 모델링을 통해 정해진 워크플로우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와 편의 디바이스를 이용해 여러 서비스들과 인터랙션을 통해 복잡한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편의 서비스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연동 방법.
  5. 편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바일 디바이스(MD);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유기적으로 연동하고, 다른 디바이스와 연동하며, 상기 편의 서비스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편의 디바이스(FD);
    상기 편의 서비스를 위해 프로세스 모델링을 통해 워크플로우(workflow)를 생성하는 편의 제공기(FP); 및
    다수의 편의 디바이스 및 편의 서비스들을 조정 및 조합하여 관리하는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
    를 포함하는 편의 서비스 연동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서비스의 등록 및 조회, 상기 편의 서비스의 배포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하며, 중앙 집중적인 관리를 통해 협업 기능을 제공하는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연동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D)는 상기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와 인터랙션(interaction)을 통해 상기 편의 디바이스(FD)로부터 상기 편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연동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디바이스(FD)는, 상기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와 인터랙션을 통해 상기 편의 서비스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제공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연동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디바이스(FD)는, 다수의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제공받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 관리, 등록, 조회하는 기능과, 다른 편의 디바이스와 정보 및 서비스를 공유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연합하는 페더레이션(federation)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을 인가된 사용자에게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연동 시스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제공기(FP)는, 상기 편의 디바이스의 패턴이 프로세스 디자인의 포맷대로 등록될 수 있도록 편의 디바이스 스테레오타입핑(stereotyping)을 이용한 프로세스 모델링을 통해 상기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연동 시스템.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제공기(FP)는, 서비스 코로그라피(Choreography)를 위한 프로세스 디자인, 모델링 기법 및 직관적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 툴링(tooling)을 통해 상기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연동 시스템.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는, 상기 프로세스 모델링을 통해 정해진 워크플로우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와 편의 디바이스를 이용해 여러 서비스들과 인터랙션을 통해 복잡한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편의 서비스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연동 시스템.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디바이스(FD)는, 주변의 상황(Context)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연동 시스템.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는, 존(zone) 내에 존재하는 서비스들 목록을 관리하는 서비스 디렉토리 기능과, 새로운 서비스를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 기능,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서비스를 검색하는 서비스 쿼리 기능, 서비스의 접근을 관리 하는 서비스 상태 조회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연동 시스템.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는, 복수 개의 상기 편의 디바이스(FD)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D)의 연결 상태 및 사용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한 세션 기능과, 복수 개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D)와 상기 편의 디바이스(FD) 간에 사용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저장 기능 및 복수 개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D)와 상기 편의 디바이스(FD) 간에 사용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복구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연동 시스템.
  1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는, 존(zone) 내에 존재하는 서비스들을 조합하는 기능과, 다수의 상기 편의 디바이스(FD)가 제공하는 서비스와 이벤트를 서비스 제공자의 요구에 맞게 모델링하는 기능,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D)의 위치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 및 특정 위치에 반응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연동 시스템.
  1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은, 어플리케이션의 등록, 배포를 위한 공통 포맷 확인, 설치, 확장, 제거에 관한 관리 기능과, 상기 편의 디바이스(FD)에게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는 기능,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의 무결성 확인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별 접근 권한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연동 시스템.
  1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은, 상기 편의 디바이스(FD)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D)별 인증 확인과 인증 정보를 공유하는 기능과, 상기 편의 디바이스(FD)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D) 간의 트러스트 관리 및 토큰 발행 기능 및 데이터의 암호화와 인증서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연동 시스템.
  1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은, 상기 편의 디바이스(FD)의 검색과 등록을 위한 초기 연결 설정 및 등록 기능과, 상기 편의 디바이스(FD)의 플랫폼 속성 정보 확인, 저장, 호출 정보의 확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연동 시스템.
  2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은, 상기 편의 디바이스(FD)의 모니터링, 로그인, 알람 정보 확인 및 관리 기능과, 상기 편의 디바이스(FD)의 추가 디바이스 이벤트 및 각종 드라이버 관리 기능 및 상기 편의 디바이스(FD)의 응용 프로그램의 생명주기(life cycle)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연동 시스템.
  2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은, 관리용 사용자의 생성, 추가, 변경, 등록 관리 기능과, 상기 관리용 사용자의 권한 관리와 제어 기능, 시스템 관리를 위한 관리자용 관리 콘솔 기능, 사용자 권한별 최적화된 포털 구성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연동 시스템.
  2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은, 상기 편의 디바이스(FD)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D)에서 요청한 부가 메타 데이터에 대한 처리 기능, 상기 편의 디바이스(FD)에서 수집한 상황(context) 정보 데이터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연동 시스템.
  23. 편의 서비스 플랫폼(FSP)와의 초기 연동을 위한 초기 설정 기능과, 원격 관리 정보를 배포받아 관리하는 에이전트 기능을 제공하는 원격 관리부;
    디바이스들 간의 협업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제공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한된 입력으로 제어되는 기능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협업부;
    이동 통신망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다양한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기능과, 근접한 디바이스를 인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커뮤니케이션부; 및
    자신의 디바이스 상세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주변의 상황(Context) 정보를 수집하여 편의 서비스 브로커(FSB)로 전송하는 개인화 정보부;
    를 포함하는 편의 디바이스.
  24. 제 23 항에 있어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연결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디바이스 위치 확인부;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확인하고, 인증의 성공, 실패 여부를 알리며, 편의 서비스 플랫폼과의 연동 및 데이터 전달시 암호화를 통한 보안 기능을 실행하는 인증/보안부; 및
    사용자의 프라이빗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ID를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확인하는 정보 조회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디바이스.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부는, 컴포넌트 간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한 스마트 레벨 기능과, 컴포넌트 간의 안정적인 데이터 공유를 위한 패키지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디바이스.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부는, 디바이스의 자동 감지와 필요에 따라 해당 드라이버를 제공하며, 디바이스의 상세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디바이스.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부는, 다수의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제공받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 관리, 등록, 조회하는 기능과, 다른 스마트 편의 장치와 정보 및 서비스를 공유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연합하는 페더레이션(federation)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을 인가된 사용자에게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디바이스.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조회부는, 사용자 과금 정보 확인 및 집행 시 필요한 인증서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확인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ID를 기반으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디바이스.
  29. 서비스의 등록과 검색, 서비스 목록을 관리하는 서비스 브로커링부;
    복수 개의 편의 디바이스(FD)와 모바일 디바이스(MD)의 연결 상태 및 사용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한 세션 기능을 제공하는 세션 관리부;
    존(zone) 내에 존재하는 서비스들을 조합하는 서비스 조합부;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D)의 위치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집하여 처리하는 센싱 정보 처리부;
    를 포함하는 편의 서비스 브로커.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브로커링부는, 존(zone) 내에 존재하는 서비스들 목록을 관리하는 서비스 디렉토리 기능과, 새로운 서비스를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 기능,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서비스를 검색하는 서비스 쿼리 기능, 서비스의 접근을 관리하는 서비스 상태 조회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브로커.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관리부는, 복수 개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D)와 상기 편의 디바이스(FD) 간에 사용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저장 기능 및 복수 개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D)와 상기 편의 디바이스(FD) 간에 사용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복구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브로커.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조합부는 다수의 상기 편의 디바이스(FD)가 제공하는 서비스와 이벤트를 서비스 제공자의 요구에 맞게 모델링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브로커.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정보 처리부는, 가비지 값에 대한 센서의 필터링 기능과, 특정 위치에 반응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브로커.
  34.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브로커링부는, 편의 제공기(FP)로부터 전달받은 프로세스 모델링을 통해 정해진 워크플로우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편의 디바이스를 이용해 여러 서비스들과 인터랙션을 통해 복잡한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편의 서비스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 서비스 브로커.
KR20070103942A 2007-10-16 2007-10-16 편의 서비스 연동 방법 및 시스템 KR100864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03942A KR100864913B1 (ko) 2007-10-16 2007-10-16 편의 서비스 연동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03942A KR100864913B1 (ko) 2007-10-16 2007-10-16 편의 서비스 연동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4913B1 true KR100864913B1 (ko) 2008-10-22

Family

ID=40177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03942A KR100864913B1 (ko) 2007-10-16 2007-10-16 편의 서비스 연동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49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1774A (ko) 2016-05-20 2017-11-30 전자부품연구원 공간 행동 의미 분석 시스템 및 공간 행동 의미 분석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4956A (ko) * 2004-09-15 2006-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 이동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지원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4956A (ko) * 2004-09-15 2006-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 이동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지원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1774A (ko) 2016-05-20 2017-11-30 전자부품연구원 공간 행동 의미 분석 시스템 및 공간 행동 의미 분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4850B2 (ja) 分散台帳システム、分散台帳サブシステム、および、分散台帳ノード
CN105024865B (zh) 云联合即服务
Chu et al. Service oriented sensor web
TWI630493B (zh) 用於提供促進感測器驅動式應用的開發及部署之運算平台的系統及方法
US84478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service
CN105264492B (zh) 系统行为的自动发现
CN104756460A (zh) 基于ldap的多顾客云内身份管理系统
CN103649984B (zh) 用于聚合环境中的供应商优化的方法和系统
CN102043665B (zh) 知晓系统全景的应用间通信基础架构
CN1997983A (zh) 面向服务的架构
KR20120076471A (ko)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N101686173A (zh) 一种业务协商方法、系统和设备
CN105229614A (zh) 多承租人数据中心内的诊断存储
JP2016224578A (ja) SaaS間データ連携支援システムおよびSaaS間データ連携支援方法
KR102501245B1 (ko) 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0955573B1 (ko) 편의 서비스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0864076B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편의 서비스 동적 발견 방법 및편의 서비스 운영 시스템
KR100864913B1 (ko) 편의 서비스 연동 방법 및 시스템
KR100913052B1 (ko) 편의 서비스 개인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44093A (ko) 디바이스 협업 방법 및 시스템
KR100932056B1 (ko) 편의 서비스를 위한 동적 모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37430B1 (ko) IoT POS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90011566A (ko) 자전거 임대 관리 시스템
KR20100026321A (ko) 경영 정보 지원 시스템
US102356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istributed offer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