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4542B1 - 폐기물의 유해성분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폐기물의 유해성분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4542B1
KR100864542B1 KR20080026929A KR20080026929A KR100864542B1 KR 100864542 B1 KR100864542 B1 KR 100864542B1 KR 20080026929 A KR20080026929 A KR 20080026929A KR 20080026929 A KR20080026929 A KR 20080026929A KR 100864542 B1 KR100864542 B1 KR 100864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harmful components
reactor
pyrolysis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26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태우
채태영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080026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의 유해성분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폐기물을 반응기 내에 투입하고 스토커 방식, 로터리킬른 방식, 밸트 방식 또는 이들이 조합된 방식으로 이송하면서 일정 온도로 균일하게 간접 가열하여 열분해시키고, 열분해 중인 폐기물을 교반하여 분리된 유해성분이 자유롭게 가스상으로 배출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열분해된 폐기물을 반응기 밖으로 배출하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압축이나 스크류를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폐기물에 포함된 유해성분이 쉽게 가스화 되고, 동시에 자유롭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열분해를 통한 폐기물의 유해성분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탈염, 탈황, 열분해, 유해가스, 폐기물

Description

폐기물의 유해성분 제거 방법{A method for removing harmful component from waste}
본 발명은 폐기물의 유해성분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물을 반응기 내에 투입하고 이송하면서 일정 온도로 균일하게 간접 가열하여 열분해시키고, 열분해 중인 폐기물을 교반하여 분리된 유해성분이 자유롭게 가스상으로 배출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열분해된 폐기물을 반응기 밖으로 배출하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폐기물에 포함된 유해성분이 쉽게 가스화 되고, 동시에 자유롭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열분해를 통한 폐기물의 유해성분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각에 의한 폐기물 처리는 폐기물의 부피 감소 및 무게 감량화를 도모할 수 있으나, 폐기물이 소각될 때 발생하는 다이옥신, 퓨란, 황산화물, 질산화물 등과 같은 유해가스 발생이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다.
폐기물에 함유된 염소(Chlorine), 브롬(Bromine), 황(Sulfur)과 같은 유해성분 때문에 폐기물 처리에 가장 큰 어려움이 있다. 왜냐하면 이들 원소는 소각 시 수증기와 반응하여 수산화화합물을 만들어 관련 설비를 부식시키기 때문이다. 특히 염소 및 브롬은 인체에 매우 유해한 다이옥신 및 퓨란을 생성하게 한다. 고온 용융 처리를 하여도 화합물을 분해한다 해도 원소 자체는 더 이상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유해 원소는 후처리를 통해 제거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염소 및 브롬을 함유한 가스는 냉각단계에서 다이옥신으로 재합성되며 이들 원소의 농도가 높을수록 다이옥신 재합성율이 높아져서 후처리단계에서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들을 함유한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폐기물로부터 이러한 유해성분을 사전에 제거하여야 한다.
이러한 유해성분 중 염소는 PVC에 함유량이 매우 높고, 절연재인 PCBs(Polychlorinated Biphenyl)에도 함유량이 매우 높다. 유해성분 중 브롬은 폐인쇄회로 기판 및 단열제에 화염억제를 위해 사용하고 있다. 유해성분 중 황은 타이어 등 다양한 화학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량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PVC를 포함하고 있는 폐플라스틱, 폐인쇄회로기판, 전자전기폐기물을 포함하는 생활폐기물, 산업폐기물, 유해폐기물을 소각 처리할 경우 이들 유해성분 처리에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일본에서 Toshiba Corp는 소각 처리 시 유해성분의 제거를 위하여 밸트 이송식 탈염소 장치를 개발하였다(일본특허공개공보 제JP9291284호). Kawasaki Heavy Ind.는 스크류 이송장치에 전기 및 자외선가열장치를 적용하였다(일본특허공개공보 제JP2000254621호). Japan Steel Works는 초기에는 쌍축 스크류를 이용하는 탈염소 장치를 개발하였으나 최근에는 수은 등에서 발생하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C-Cl 고리를 절단함으로써 염소를 제거하는 방법을 특허출원하였다(일본특허공개공보 제JP2002053697호). NKK는 로타리 킬른을 이용하여 탈염소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한편, 유럽 독일에서 Hornung는 브롬을 사전에 제거하기 위해 2단 열분해로를 개발하였다. 스크류 이송 열분해로의 반응 온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가열된 금속 구슬들을 열분해로에 투입하여 순환시키는 기술로 특허 출원하였다 (독일특허 제DE19620721호).
국내에서는 피브이씨가 혼합된 폐플라스틱으로부터 염소제거를 위한 스크류반응기 가스배출 시스템이 특허등록 제10-0526811호로 개시된 바 있으며, PVC가 혼합된 고분자 폐기물로부터 염소 제거를 위한 간접가열식 탈염시스템을 통해 염소를 제거하는 방법이 특허공개 제10-2005-0100279호로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방식은 폐플라스틱을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열매체유 보일러를 이용하여 열매체유를 가열하여 반응기 자켓 및 스크류 중공축에 통과시킴으로써 반응기 내부의 폐플라스틱을 일정온도로 유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 방식은 반응기 자체가 2축 스크류에 의해 압축되어 높은 압력에서 운전하게 되고, 반응기의 염소 배출구가 매우 작고 압력이 높아 염소 가스배출구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2축 스크류 이송으로 대량의 폐기물을 처리하기에는 장치의 scale up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폐기물을 반응기 내에 투입하고 스토커 방식, 로터리킬른 방식 또는 밸트 방식으로 이송하면서 일정 온도로 균일하게 간접 가열하여 열분해시키고, 열분해 중인 폐기물을 교반하여 분리된 유해성분이 자유롭게 가스상으로 배출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열분해된 폐기물을 반응기 밖으로 배출하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압축이나 스크류를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폐 기물에 포함된 유해성분이 쉽게 가스화 되고, 동시에 자유롭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열분해를 통한 폐기물의 유해성분 제거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기물을 반응기 내에 투입하고 스토커 방식, 로터리킬른 방식 또는 밸트 방식으로 이송하면서 일정 온도로 균일하게 간접 가열하여 열분해시키고, 열분해 중인 폐기물을 교반하여 분리된 유해성분이 자유롭게 가스상으로 배출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열분해된 폐기물을 반응기 밖으로 배출하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압축이나 스크류를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폐기물에 포함된 유해성분이 쉽게 가스화 되고, 동시에 자유롭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열분해를 통한 폐기물의 유해성분 제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공정을 포함하는 폐기물의 유해성분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유해 성분을 함유하는 폐기물을 반응기에 투입하는 투입공정;
폐기물을 반응기 내에서 이송하면서 300~500℃에서 간접 가열하여 균일하게 열분해하는 가열 열분해 공정;
상기 열분해 중인 폐기물을 반응기 내에서 이송하면서 폐기물 밖으로 나온 유해성분을 반응기 밖으로 분리 배출하는 배출공정; 및
열분해된 폐기물을 반응기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공정.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반응기 내에서 폐기물의 지속적인 가열 열분해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이송 방식은 스토커 방식, 로터리킬른 방식, 벨트 방 식, 푸셔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압축 없이 수행할 수 있는 이송 방식이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폐기물의 유해성분 제거 방법에 관한 공정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폐기물을 반응기 내로 투입하는 투입공정, 폐기물을 반응기 내에서 연속적으로 이송하면서 300~500℃에서 간접 가열하여 균일하게 열분해하는 가열 열분해 공정, 상기 열분해 중인 폐기물을 반응기 내에서 이송하면서 폐기물 밖으로 나온 유해성분을 반응기 밖으로 분리 배출하는 공정, 및 열분해된 폐기물을 반응기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공정을 거침으로써 폐기물 내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성분을 제거한다.
종래 탈 염소 및 탈 할로겐 열분해 방식은 외부에서 간접 가열되고 있는 열분해 장치 속으로 플라스틱을 투입하면서 압축 및 교반을 하는 장치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압축 및 교반 열분해 장치에서는 열분해로 생성되는 가스가 열분해 장치 밖으로 배출되기 어렵다.
이는 가열에 의해 폐기물이 용융하면서 점성이 큰 액체로 변하게 되므로 열분해로 발생하는 가스가 상기 점성이 큰 액체에 의해 갇혀버리게 되고, 열분해 가스가 갇히지 않더라도 열분해 장치 후단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구로 배출되기에는 배출구 크기도 작고, 이송 압력으로 인해 폐기물이 배출구로 밀려가 배출구를 막아버리기도 하기 때문이다. 또한, 폐기물을 스크류로 이송, 교반, 압축하는 것은 기술 적으로 가능하나, 대량의 폐기물을 처리하기에는 스크류 구동 모터의 전력 소모가 많아 경제적이지 않고, 모든 폐기물을 스크류로 이송하여 열분해 장치 속에서 교반 압축하기에는 어려움이 크다.
그러나, 본 발명은 폐기물을 반응기 내에 투입하고 스토커 방식, 로터리킬른 방식, 밸트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방식으로 이송하면서 일정 온도로 균일하게 간접 가열하여 열분해시키고, 열분해 중인 폐기물을 교반하여 분리된 유해성분이 자유롭게 가스상으로 배출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열분해된 폐기물을 반응기 밖으로 이송하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압축이나 스크류를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폐기물에 포함된 유해성분이 쉽게 가스화 되고, 동시에 자유롭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열분해를 통한 폐기물의 유해성분 제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가열 열분해 공정과 유해성분 배출공정 내내 스토커 방식, 로터리킬른 방식, 밸트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방식을 이용한 이송 공정을 수반함으로써 투입된 폐기물이 반응기 밖으로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분해"라 함은 폐기물을 산소와 접촉을 제한한 상태에서 가열하여 폐기물의 화학적 분해를 유도하는 반응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특히 제거하고자 하는 유해성분은 염소(Chlorine), 브롬(Bromine) 등의 할로겐화물 및/또는 황(Sulfur) 성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가열 열분해 공정은 염소, 브롬 및 황 모두를 열분해 가스화 분리하기 위해서 300 내지 500℃에서 수행할 수 있으나, 400℃ 이상일 경우 유해성분 이외 탄화수소가 열분해 가스화되어 동시에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300 내지 400℃의 온도 범위,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00 내지 350℃의 온도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기 가열 열분해 공정에서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방법은 고온 연소 배가스, 고온 스팀, 열매체유 등을 이용하여 가열 열분해 공정에 에너지를 공급하여 가열 열분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기 가열 열분해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정 온도로 가열된 반응기 속으로 스토커 방식, 로터리킬른 방식, 밸트 방식 또는 이들이 조합된 방식으로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99% 이상의 유해성분 제거 효율을 위하여 폐기물이 300~500℃의 온도 범위에 도달한 뒤 폐기물 중 가장 큰 폐기물 덩어리의 초기 질량(g)의 지수로그에 비례하는 동안 가열 열분해 공정에 체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초기 질량의 그램 값의 지수로그 값에 대하여 9배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9~15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9~10배에 해당되는 분(min) 단위 시간 동안 체류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폐기물을 반응기 내에 투입하고 스토커 방식, 로터리킬른 방식 또는 밸트 방식으로 이송하면서 일정 온도로 균일하게 간접 가열하여 열분해시키고, 열분해 중인 폐기물을 교반하여 분리된 유해성분이 자유롭게 가스상으로 배출되도 록 하면서 동시에 열분해된 폐기물을 반응기 밖으로 배출하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압축이나 스크류를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폐기물에 포함된 유해성분이 쉽게 가스화 되고, 동시에 자유롭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열분해를 통한 폐기물의 유해성분 제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재일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염소, 브롬, 황의 열분해 가스화 온도 조사
폐기물 내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성분인 염소, 브롬 및 황의 분리 제거를 위한 열분해 가스화 온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염소의 함유량이 매우 높은 PVC의 열분해 특성을 조사하고, 인쇄회로기판에 함유된 브롬화합물의 열분해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PE와 황의 혼합물의 열분해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도 2 내지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염소, 브롬, 황의 열분해 가스화 온도가 모두 200-350℃ 사이에 있었다. 다만, 황이 혼합되어 있는 폐기물은 종류에 따라서 황이 폐기물에 흡착되어 잘 분리되지 않는 특성이 있었다.
따라서, 염소, 브롬, 황 모두를 열분해하여 가스화 분리하기 위해서는 폐기물을 300-350℃ 정도로 균일하게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2: 이송 방식에 따른 열분해 유해성분 분리 성능 비교 조사
종래 스크류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스크류 방식의 열분해 장치를 개조하였다. 개조된 부분은 폐기물 이송 시 스크류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폐기물 배출구를 크게 한 것과, 열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유해가스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유해가스 배출구를 크게 하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이 개조된 스크류 방식의 탈염소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송 방식을 달리하여 열분해 유해성분 분리 성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가열로 방식(Tube furnace)에서 탈염소 특성을 조사하였다. 가열 온도는 350℃였으며 폐기물로는 PVC를 로딩하였다. 이때 가열로 방식에서 폐기물 탈염소 유해성분 분리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일정 온도로 가열된 가열로 속으로 스토커 이송 방식으로 폐기물을 이송시켰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를 통해 스크류 방식이나 가열로 방식 모두에서 탈염소 효율이 체류시간 10분에 95.7%까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탈염소 특성은 이송 방식에 관계없이 스크류 방식과 가열로 방식에서 유사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가열 온도에 따른 탈황 특성 조사
상기 실시예 2에서 가열로 방식에서도 탈염 특성이 스크류 방식과 유사함을 확인한바, 본 실시예에서는 가열로 방식에서 탈황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때 가열로 방식에서 폐기물 탈염소 유해성분 분리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일정 온도로 가열된 가열로 속으로 밸트 이송 방식으로 폐기물을 이송시켰다.
가열 온도는 400℃, 500℃, 600℃로 달리하였으며, 폐기물로는 폐타이어를 로딩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를 통해 400℃에서는 약 40%의 탈황 성능을, 500℃~600℃에서는 약 55~57%의 탈황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염소에 비해 황에 있어 상기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분리 제거효율이 나타나는 이유는 황이 폐타이어를 구성하는 카본블랙 및 탄소에 고정되어 있어 열분해되어 분리되기가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4: 폐기물 크기에 따른 열분해 탈염소 특성 조사
한 면의 길이가 1, 1.5, 2, 2.5, 3cm 인 정육면체 PVC를 350℃ 가열로에 투입한 경우의 열분해 탈염소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을 통해 3cm 정사각형의 경우 20분 정도, 1cm 정사각형의 경우 5분 정도에 완전히 탈염소가 되어 더 이상의 열분해가 진행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PVC가 가열로에서 350℃의 온도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크기가 1cm일 경우 1초, 3cm 일 경우 4.5초, 5cm 일 경우 9초 정도였다. 따라서, PVC에 포함된 염소가 열분해되어 배출되는 시간을 결정하는 인자는 PVC가 가열되는 열전달 시간보다는 열분해 반응시간이 더 중요한 인자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기 실험으로부터 99% 열분해에 필요한 시간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초기 무게 (g) 1.46 4.62 11.61 21.87 31.75
99% 열분해 시간 (min) 4 14 22 27 31
해석 결과 (min) 3.4 13.7 22.0 27.7 31.1
오차 % -15 -2 0 1 1
상기 99% 열분해 시간이 초기무게(g)의 지수로그에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을 통해, 5g 보다 큰 PVC 경우 99% 열분해 시간을 2% 이내의 오차범위에서 하기 수학식 1로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99% 열분해 시간(min) = 9 * 지수로그 [초기 무게(g)]
따라서, 99% 이상의 유해성분 제거 효율을 위해서는 폐기물 중 가장 큰 폐기물 덩어리의 초기물질 무게(g)의 지수로그에 비례하는 시간 동안 가열 열분해 공정에 체류하면 되는 것을 확인되었다. 보다 분명하게는 초기물질 무게(g) 지수로그의 대략 10배에 해당되는 시간(min) 동안 체류하면 된다.
한편, 도 7에서 완전한 탈염소가 이루어진 후의 질량비는 초기무게가 커질수록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열분해 탈염소 반응의 문제가 아니라 열분해 과정에서 PVC 내부에서부터 배출하는 염소가 PVC 밖으로 완전히 배출되기 전에 PVC에 있는 Pb, Ca 등과 반응하면서 염화물이 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즉 염 소가 PVC를 빠져나가면서 Pb, Ca 와 만나는 체류시간이 길어지므로 더 많은 염화물이 생성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과적으로 상기 실험 결과를 통해 큰 폐기물(플라스틱(PVC) 포함)을 더 이상 파쇄, 교반, 압축하지 않더라도 폐기물(플라스틱(PVC) 포함)을 350℃로 가열하기만 하면 크기와 관계없이 완전한 탈염소가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즉, 큰 플라스틱도 충분한 시간 동안 내부까지 균일하게 가열하면 플라스틱(PVC) 내부에 있는 염소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상기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폐기물을 반응기 내에 투입하고 스토커 방식, 로터리킬른 방식, 밸트 방식 또는 이들이 조합된 방식으로 이송하면서 일정 온도로 균일하게 간접 가열하여 열분해시키고, 열분해 중인 폐기물을 교반하여 분리된 유해성분이 자유롭게 가스상으로 배출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열분해된 폐기물을 반응기 밖으로 배출하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압축이나 스크류를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폐기물에 포함된 유해성분이 쉽게 가스화 되고, 동시에 자유롭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열분해를 통한 폐기물의 유해성분 제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를 가지므로 폐기물처리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폐기물의 유해성분 제거 방법에 관한 공정 개략도이다.
도 2는 염소의 열분해 가스화 온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염소가 다량 함유된 PVC의 열분해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브롬의 열분해 가스화 온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쇄회로기판에 함유된 브롬화합물의 열분해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황의 열분해 가스화 온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와 황의 혼합물의 열분해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가열로 및 스크류 열분해 시스템에서의 탈염소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가열로 열분해 시스템에서의 탈황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다양한 크기의 PVC의 탈염소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은 99% 열분해 시간과 초기 무게의 지수로그 값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Claims (5)

  1. 유해 성분을 함유하는 폐기물을 반응기에 투입하는 투입공정;
    폐기물을 반응기 내에서 스토커 방식, 로터리킬른 방식, 밸트 방식, 푸셔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방식으로 이송하면서 간접 가열하여 균일하게 열분해하는 가열 열분해 공정;
    상기 열분해 중인 폐기물을 반응기 내에서 이송하면서 폐기물 밖으로 나온 유해성분을 반응기 밖으로 분리 배출하는 배출공정; 및
    열분해된 폐기물을 반응기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공정을 포함하는 폐기물의 유해성분 제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해 성분은 염소(Chlorine), 브롬(Bromine), 황(Sulfur)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상기 간접 가열 온도는 300 내지 400℃의 범위이며,
    상기 가열 열분해 공정에 체류하는 시간은 폐기물 중 가장 큰 덩어리가 가지는 초기 질량의 그램 값의 지수로그 값에 대하여 9~15배에 해당되는 분(min) 단위 시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유해성분 제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열분해 공정에 체류하는 시간은 폐기물 중 가장 큰 덩어리가 가지는 초기 질량의 그램 값의 지수로그 값에 대하여 9~10배에 해당되는 분(min) 단위 시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유해성분 제거 방법.
  5. 삭제
KR20080026929A 2008-03-24 2008-03-24 폐기물의 유해성분 제거 방법 KR100864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6929A KR100864542B1 (ko) 2008-03-24 2008-03-24 폐기물의 유해성분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6929A KR100864542B1 (ko) 2008-03-24 2008-03-24 폐기물의 유해성분 제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4542B1 true KR100864542B1 (ko) 2008-10-21

Family

ID=40177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26929A KR100864542B1 (ko) 2008-03-24 2008-03-24 폐기물의 유해성분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45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793A (ko) * 2017-06-29 2019-01-0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e-PCB와 플라스틱의 동시-촉매 열분해
CN112978765A (zh) * 2021-05-20 2021-06-18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废线路板热解脱溴净化装置及方法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068A (ko) * 1996-11-18 1997-02-21 장석기 전기식 열분해 소각로 제어장치
JP3037176U (ja) * 1996-10-24 1997-05-06 株式会社濱田製作所 高水分廃棄物の処理装置
JPH11138133A (ja) 1997-11-12 1999-05-25 Hiroshima Gas Kaihatsu Kk 含水有機廃棄物の炭化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19990085244A (ko) * 1998-05-15 1999-12-06 김재숙 열분해식 폐기물 소각장치 및 그 방법
JP2000202419A (ja) * 1999-01-19 2000-07-25 Toshiba Corp 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KR200199645Y1 (ko) 2000-04-14 2000-10-02 주식회사대한건설엔지니어링 쓰레기 소각로 폐열을 이용한 음식쓰레기의 건조화 및 소각처분장치
JP2001330218A (ja) * 2000-05-12 2001-11-30 Konjo Go 廃棄物焼却炉
KR100322303B1 (ko) 1993-03-08 2002-07-27 더 사이언티픽 이콜로지그룹,인코포레이티드 고형폐기물의해독방법및해독시스템
KR20030084339A (ko) * 2002-04-26 2003-11-01 김진택 폐기물 고온소각 및 고분자 폐기물 정류시스템
JP2004195459A (ja) * 2004-01-19 2004-07-15 Toshiba Corp 廃棄物の処理装置
KR200401860Y1 (ko) 2005-07-21 2005-11-22 정숙진 폐기물 진공소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2303B1 (ko) 1993-03-08 2002-07-27 더 사이언티픽 이콜로지그룹,인코포레이티드 고형폐기물의해독방법및해독시스템
JP3037176U (ja) * 1996-10-24 1997-05-06 株式会社濱田製作所 高水分廃棄物の処理装置
KR970007068A (ko) * 1996-11-18 1997-02-21 장석기 전기식 열분해 소각로 제어장치
JPH11138133A (ja) 1997-11-12 1999-05-25 Hiroshima Gas Kaihatsu Kk 含水有機廃棄物の炭化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19990085244A (ko) * 1998-05-15 1999-12-06 김재숙 열분해식 폐기물 소각장치 및 그 방법
JP2000202419A (ja) * 1999-01-19 2000-07-25 Toshiba Corp 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KR200199645Y1 (ko) 2000-04-14 2000-10-02 주식회사대한건설엔지니어링 쓰레기 소각로 폐열을 이용한 음식쓰레기의 건조화 및 소각처분장치
JP2001330218A (ja) * 2000-05-12 2001-11-30 Konjo Go 廃棄物焼却炉
KR20030084339A (ko) * 2002-04-26 2003-11-01 김진택 폐기물 고온소각 및 고분자 폐기물 정류시스템
JP2004195459A (ja) * 2004-01-19 2004-07-15 Toshiba Corp 廃棄物の処理装置
KR200401860Y1 (ko) 2005-07-21 2005-11-22 정숙진 폐기물 진공소각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793A (ko) * 2017-06-29 2019-01-0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e-PCB와 플라스틱의 동시-촉매 열분해
KR101963625B1 (ko) 2017-06-29 2019-04-01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e-PCB와 플라스틱의 동시-촉매 열분해
CN112978765A (zh) * 2021-05-20 2021-06-18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废线路板热解脱溴净化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261B1 (ko) 재료의 열처리용 플랜트 및 그 작동 방법
KR101170086B1 (ko) 폐기물 처리 방법 및 장치
US8382957B2 (en) Recycling and material recovery system
JP2006507108A (ja) ドラム内熱分解システム
EP2303996A2 (en) Processing of waste using a plasma processing unit
EP2997110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cessing plastic waste
WO1998015363A1 (en) Thermal desorption system for decontaminating materials
US20080179257A1 (en) Process for the Thermal Treatment of Pharmaceutical Waste Material
KR100864542B1 (ko) 폐기물의 유해성분 제거 방법
US7736471B2 (en) Material treatment systems for waste destruction, energy generation, or the production of useful chemicals
JP2009203474A (ja) 熱処理装置および熱分解方法
KR101293272B1 (ko) 연속식 열분해 유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40108A (ko) 폐기물 처리 방법 및 시스템
JP4160065B2 (ja) 土壌の処理装置
JP3840208B2 (ja) 土壌の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JP7182829B1 (ja) 有機塩素化合物の分解炭化処理方法、及びその分解炭化処理装置
US20140008204A1 (en) Process and system for decomposition of carbon containing waste and process and system for recycling carbon containing waste
JP2008049208A (ja) Pcb汚染物の熱分解処理方法及びその処理装置
KR101367824B1 (ko) 탄소기를 포함하는 액상 폐기물의 처리방법
JP2012031283A (ja) 燃料の製造方法
Opalińska et al. Thermal decomposition integrated with plasma oxidation used for the destruction of selected solid and liquid wastes
JPH1194218A (ja) 含塩素プラスチック廃材の脱塩素化処理装置
JP2004254761A (ja) 環境汚染物質のガス化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その分解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4359654A (ja) フロンを無害化する方法
JP2005095895A (ja) 環境汚染物質のガス化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その分解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