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4238B1 - 압축 영상의 블록킹 현상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압축 영상의 블록킹 현상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4238B1
KR100864238B1 KR1020070061255A KR20070061255A KR100864238B1 KR 100864238 B1 KR100864238 B1 KR 100864238B1 KR 1020070061255 A KR1020070061255 A KR 1020070061255A KR 20070061255 A KR20070061255 A KR 20070061255A KR 100864238 B1 KR100864238 B1 KR 100864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dct
hereinafter referred
coefficien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0225A (ko
Inventor
정제창
진순종
김원기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080050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reduction of coding artifacts, e.g. of blocki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0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압축 영상의 블록킹 현상 제거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4×4 블록 단위의 DCT 도메인 상에서 블록킹 현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서 상기 블록킹 현상이 발생된 블록의 DCT 계수에 대해 최적의 DCT 계수를 사용해 영상의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 각각에 대해 4×4 블록 단위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압축 영상의 블록킹 현상 제거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압축 영상의 블록킹 현상 제거 방법에 있어서, 입력 영상에서 소정의 각 블록에 대한 DCT 변환 계수를 구하고, 상기 입력 영상의 DC 및 AC 계수에 관한 경계값을 설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각 소정 블록에 관해 구한 각 DCT 변환 계수의 절대합을 취하는 제 2 단계; 상기 구한 각 소정 블록의 DC 계수와 블록 단위수를 이용하여 DCT 계수 조정 상수를 결정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구한 각 소정 블록의 DC 계수와 상기 구한 경계값과 상기 구한 각 절대합과 상기 구한 DCT 계수 조정 상수를 이용하여, 블록킹 현상이 발생된 각 블록의 DCT 계수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영상 부호화/복호화/압축 등에 이용됨.
영상, 압축, 블록킹 현상, 제거, 블록, DCT, 계수

Description

압축 영상의 블록킹 현상 제거 방법{Method of removing the blocking artifacts for a compressed image}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블록킹 현상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킹 현상 모델링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블록킹 현상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DCT 도메인 상의 "0"의 위치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최적의 DCT 계수를 설명하기 위한 "SumA"와 "SumB"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영상의 블록킹 현상 제거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알고리즘 성능 평가에 사용되는 원본 레나(LENA) 영상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알고리즘 성능 평가에 사용되는 원본 페퍼(PEPPER) 영상도이고,
도 5c는 본 발명의 알고리즘 성능 평가에 사용되는 압축된 레나(LENA) 영상도이고,
도 5d는 본 발명의 알고리즘 성능 평가에 사용되는 압축된 페퍼(PEPPER) 영상도이고,
도 5e는 레나(LENA) 영상에 본 발명의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영상도이고,
도 5f는 레나(LENA) 영상에 종래 방식의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영상도이고,
도 5g는 본 발명의 알고리즘이 적용된 레나(LENA) 영상과 종래 방식의 알고리즘이 적용된 레나(LENA) 영상 각각의 특정 영역 화질 비교도이고,
도 5h는 페퍼(PEPPER) 영상에 본 발명의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영상도이고,
도 5i는 페퍼(PEPPER) 영상에 종래 방식의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영상도이고,
도 5j는 본 발명의 알고리즘이 적용된 페퍼(PEPPER) 영상과 종래 방식의 알고리즘이 적용된 페퍼(PEPPER) 영상 각각의 특정 영역 화질 비교도이다.
본 발명은 압축 영상의 블록킹 현상 제거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 세하게는 4×4 블록 단위의 DCT 도메인 상에서 블록킹 현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서 상기 블록킹 현상이 발생된 블록의 DCT 계수에 대해 최적의 DCT 계수를 사용해 영상의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 각각에 대해 4×4 블록 단위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압축 영상의 블록킹 현상 제거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JPEG, MPEG 등과 같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위한 압축 표준에서는 영상의 공간적 상관성을 제거하기 위해 블록 단위의 이산 여현 변환(DCT; Discrete Cosine Transform, 이하 "DCT"라 함)을 사용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영상 압축(부호화) 방식은 상당히 우수한 압축 효율을 보이지만, 저비트율에서 영상을 부호화할 경우에 거친 양자화 과정으로 인해 블록 내의 고주파 성분 계수들을 잃기 때문에 복호화했을 때에 블록 단위로 블록킹 현상(blocking artifacts)이 발생한다.
즉, DCT와 양자화 기술을 이용하여 영상을 압축할 경우에, 압축률이 낮은 경우에는 복원된 영상의 화질 열화가 거의 눈에 띄지 않지만, 압축률이 높은 경우에는 블록 경계에서 불연속성이 마치 타일을 깐 것처럼 규칙적으로 나타나는 화질 열화 현상인 블록킹 현상이 발생된다. 특히, 이러한 블록킹 현상은 영상의 복잡한 영역보다는 평탄한 영역에서 쉽게 눈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블록킹 현상 제거를 위한 알고리즘이 "Y. Luo, and R. K. Ward, "Removing the Blocking Artifacts of Block-Based DCT Compressed Images", IEEE Trans. Image Processing, Vol. 12, No. 7, July. 2003" 등에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블록의 불연속성(discontinuity)을 없애기 위해 영상에 대해 평탄한 영역과 비평탄한 영역으로 구분한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제안한 수학식들을 사용해 DCT 계수, 즉 DC 계수, AC 계수를 조정함으로서 블록킹 현상을 제거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영상의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 각각에 대해 8×8 블록 단위로 블록킹 현상을 제거하기 때문에, 계산 복잡도, 정확도 등에 있어 효율성이 상당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디블록킹 필터링 처리 후에도 상당한 화질 열화를 갖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4×4 블록 단위의 DCT 도메인 상에서 블록킹 현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서 상기 블록킹 현상이 발생된 블록의 DCT 계수에 대해 최적의 DCT 계수를 사용해 영상의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 각각에 대해 4×4 블록 단위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압축 영상의 블록킹 현상 제거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압축 영상의 블록킹 현상 제거 방법에 있어서, 입력 영상에서 소정의 각 블록에 대한 DCT 변환 계수를 구하고, 상기 입력 영상의 DC 및 AC 계수에 관한 경계값을 설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각 소정 블록에 관해 구한 각 DCT 변환 계수의 절대합을 취하는 제 2 단계; 상기 구한 각 소정 블록의 DC 계수와 블록 단위수를 이용하여 DCT 계수 조정 상수를 결정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구한 각 소정 블록의 DC 계수와 상기 구한 경계값과 상기 구한 각 절대합과 상기 구한 DCT 계수 조정 상수를 이용하여, 블록킹 현상이 발생된 각 블록의 DCT 계수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즉, 상기 본 발명의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에서 특정 블록[이하 "c 블록"이라 함]의, 좌측 블록[이하 "a 블록"이라 함]에 관한 DCT 변환 계수[이하 "Fa(u,v)"라 함]와 우측 블록[이하 "b 블록"이라 함]에 관한 DCT 변환 계수[이하 "Fb(u,v)"라 함]와 상기 c 블록에 관한 DCT 변환 계수[이하 "Fc(u,v)"라 함]를 구하고, 상기 입력 영상의, DC 계수에 관한 경계값[이하 "TH_DC"라 함]과 AC 계수에 관한 경계값[이하 "TH_AC"라 함]을 설정하며,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a 블록에 관해 구한 DCT 변환 계수들의 절대합을 취해서 "SumA"를 구하고, 상기 b 블록에 관해 구 한 DCT 변환 계수들의 절대합을 취해서 "SumB"를 구하며,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구한 a 블록의 DC 계수[이하 "Fa(0,0)"라 함]에서 상기 구한 b 블록의 DC 계수[이하 "Fb(0,0)"라 함]를 뺀값을 블록 단위수로 나눈값으로서 DCT 계수 조정 상수[이하 "α"라 함]를 결정하고,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구한 SumA가 상기 설정한 TH_AC보다 작고, 상기 구한 SumB가 상기 설정한 TH_AC보다 작음과 아울러, 상기 구한 Fa(0,0)에서 상기 구한 Fb(0,0)를 뺀값의 절대값[이하 "|Fa(0,0) - Fb(0,0)|"라 함]이 상기 설정한 TH_DC보다 작음에 따라, 상기 Fa(0,0), Fb(0,0), Fc(0,0) 및 α를 파라미터로 하여, 상기 블록킹 현상이 발생된 각 블록의 DCT 계수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영상 장치에, 입력 영상에서 특정 블록[이하 "c 블록"이라 함]의, 좌측 블록[이하 "a 블록"이라 함]에 관한 DCT 변환 계수[이하 "Fa(u,v)"라 함]와 우측 블록[이하 "b 블록"이라 함]에 관한 DCT 변환 계수[이하 "Fb(u,v)"라 함]와 상기 c 블록에 관한 DCT 변환 계수[이하 "Fc(u,v)"라 함]를 구하고, 상기 입력 영상의, DC 계수에 관한 경계값[이하 "TH_DC"라 함]과 AC 계수에 관한 경계값[이하 "TH_AC"라 함]을 설정하는 기능; 상기 a 블록에 관해 구한 DCT 변환 계수들의 절대합을 취해서 "SumA"를 구하고, 상기 b 블록에 관해 구한 DCT 변환 계수들의 절대합을 취해서 "SumB"를 구하는 기능; 상기 구한 a 블록의 DC 계수[이하 "Fa(0,0)"라 함]에서 상기 구한 b 블록의 DC 계수[이하 "Fb(0,0)"라 함] 를 뺀값을 블록 단위수로 나눈값으로서 DCT 계수 조정 상수[이하 "α"라 함]를 결정하는 기능; 및 상기 구한 SumA가 상기 설정한 TH_AC보다 작고, 상기 구한 SumB가 상기 설정한 TH_AC보다 작음과 아울러, 상기 구한 Fa(0,0)에서 상기 구한 Fb(0,0)를 뺀값의 절대값[이하 "|Fa(0,0) - Fb(0,0)|"라 함]이 상기 설정한 TH_DC보다 작음에 따라, 상기 Fa(0,0), Fb(0,0), Fc(0,0) 및 α를 파라미터로 하여 블록킹 현상이 발생된 각 블록의 DCT 계수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블록킹 현상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킹 현상 모델링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A 블록"과 "B 블록"은 각각 8×8 단위의 블록을 나타낸다. 영상에 있어 평탄한 영역인 상기 "A 블록"과 "B 블록" 사이에서 블록킹 현상이 발 생되었다고 가정하면, 이는 도 1b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블록"에 속하는 4×4 단위의 "a 블록"과, "B 블록"에 속하는 4×4 단위의 "b 블록"과, "A 블록"과 "B 블록"의 경계에 속하는 4×4 단위의 "c 블록"으로 블록킹 현상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a 블록"의 전체 픽셀은 "a 값"을, "b 블록"의 전체 픽셀은 "b 값"을 각각 갖는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상기 "a 블록"과 "b 블록"은 DCT 도메인 상에서 DC 계수, 예컨대 각각 "4a", "4b"만을 제외하고서 나머지 15개의 DCT 계수들 모두는 "0"이 된다. 한편, 상기 "c 블록"은 "a 블록"과 "b 블록"과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이러한 "c 블록"을 DCT 도메인 상으로 옮겨보면 다음의 [수학식 1]과 같다. 여기서, "Fc(u,v)"는 "c 블록"에 대응되는 DCT 변환 계수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Fa(u,v)"는 "a 블록"에 대응되는 DCT 변환 계수를, "Fb(u,v)"는 "b 블록"에 대응되는 DCT 변환 계수를 각각 의미한다. 그리고 "u", "v"는 DCT 도메인 상에서의 공간 좌표를 의미하는데, 특히 상기 "u = 0", "v = 0"인 경우의 "F(u,v)"의 값이 DC 계수이다.
Figure 112007045129013-pat00001
상기 [수학식 1]로 표현되는 "c 블록"은 DCT 분리 특성(separability)으로 인해 다음의 [수학식 2]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7045129013-pat00002
상기 [수학식 2]에서, "u ≠ 0"이면 [수학식 1]의 뒷부분에 보이는 "
Figure 112007045129013-pat00003
"(여기서, "N = 4")는 "0"이 된다. 즉, DCT 도메인 상에서의 계수 "
Figure 112007045129013-pat00004
"는 "0"이 된다. 한편, "u ≠ 0"이면 [수학식 1]의 뒷부분에 보이는 "
Figure 112007045129013-pat00005
"(여기서, "N = 4")는 "4"가 되고, "Cu"는 "1/2"가 되어지며, 상기 [수학식 2]를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7045129013-pat00006
[수학식 3]에서, "c 블록"은 "l"이 "0", "1"일 때는 "a 값"을, "l"이 "2", "3"일 때는 "b 값"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수학식 3]을 다음의 [수학식 4]로 풀어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7045129013-pat00007
[수학식 4]에서, "v"가 "0 ~ 3"까지 변화하는 경우에 ""Fc(u,v)""는 각각 "2(a+b)", "
Figure 112007045129013-pat00008
", "0" 및 "
Figure 112007045129013-pat00009
"의 값을 갖는다.
한편, 도 1b에 도시된 블록킹 현상이 발생된 경우에 있어 DCT 도메인 상에서 계수에 관한 "0"의 위치를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알고리즘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블록킹 현상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DCT 도메인 상의 "0"의 위치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최적의 DCT 계수를 설명하기 위한 "SumA"와 "SumB"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2a에서 사선으로 처리된 부분은, 도 1b에 도시된 "c 블록"이 가로 방향으로 블록킹 현상이 발생된 경우에 DCT 도메인 상에서 "4×4" 개의 계수에 관한 "0"의 위치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2b에서 사선으로 처리된 부분은, 도 1b에 도시된 "c 블록"이 세로 방향으로 블록킹 현상이 발생된 경우에 DCT 도메인 상에서 "4×4" 개의 계수에 관한 "0"의 위치를 나타낸다.
그렇다면, 앞서 언급했지만 4×4 블록 단위의 "a 블록", "b 블록" 및 "c 블록" 각각에 대응되는 DCT 변환 계수를 "Fa(u,v)", "Fb(u,v)" 및 "Fc(u,v)"로 각각 정의한다.
그리고 "α"라는 DCT 계수 조정 상수를 "
Figure 112007045129013-pat00010
"로 정의, 예컨대 "a 블록"의 DC 계수["Fa(0,0)"]에서 "b 블록"의 DC 계수["Fb(0,0)"]를 뺀값을 블록 단 위수인 "4"로 나눈값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블록의 변화가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SumA"와 "SumB"로 정의, 예컨대 도 3에 보이는 "a 블록"에 관한 DCT 변환 계수들의 절대합을 취해서 "SumA"를, "b 블록"에 관한 DCT 변환 계수들의 절대합을 취해서 "SumB"를 각각 구한다. 이러한 "SumA"와 "SumB"를 통해서, "SumA"와 "SumB"가 "0"에 가까울수록 블록 경계에서의 블록킹 현상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겠다.
한편, 앞서 언급했지만 수평 블록간 블록킹 현상에 있어서는, "a 블록"과 "b 블록"이 평탄한 영역인 경우에 DCT 도메인 상에서 "Fa(0,0) = 4a", "Fb(0,0) = 4b"의 값을 각각 갖고 나머지의 "u,v"에 대해서는 DCT 계수들의 값이 거의 "0"에 가깝다. 즉, "
Figure 112007045129013-pat00011
"의 값은 "0" 또는 "0"에 아주 가까운 값이 된다. 또한, "c 블록"에 대해서도 "v"가 "0 ~ 3"까지 변화하는 경우에 ""Fc(u,v)""는 각각 "2(a+b)", "
Figure 112007045129013-pat00012
", "0" 및 "
Figure 112007045129013-pat00013
"의 값을 갖고 나머지 "u,v"에 대해서는 DCT 계수들의 값이 "0"이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블록킹 현상 발생 여부를 다음의 [수학식 5]에 표현한 a 조건식, b 조건식 및 c 조건식을 사용해 판단한다. 여기서, "TH_DC"는 DC 계수에 관한 경계값을, "TH_AC"는 AC 계수에 관한 경계값을 각각 나타낸다. 이러한 경계값을 결정하는 과정은 하기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Figure 112007045129013-pat00014
즉, 본 발명에서는 입력 영상이 [수학식 5]의 "SumA < TH_AC"(b 조건식)과 "SumB < TH_AC"(c 조건식) 모두를 만족하면, 예컨대 "a 블록"에 관한 DCT 변환 계수들의 절대합["SumA"]이 AC 계수에 관한 경계값["TH_AC"]보다 작고(b 조건식), "b 블록"에 관한 DCT 변환 계수들의 절대합["SumB"]이 AC 계수에 관한 경계값["TH_AC"]보다 작으면 블록간 경계가 평탄하다고 판단한다.
그리고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b 조건식, c 조건식을 통해 블록간 경계가 평탄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입력 영상이 [수학식 5]의 "|Fa(0,0) - Fb(0,0)| < TH_DC"(a 조건식)을 만족하면, 예컨대 "a 블록"의 DC 계수["Fa(0,0)"]에서 "b 블록"의 DC 계수["Fb(0,0)"]를 뺀값의 절대값이 DC 계수에 관한 경계값["TH_DC"]보다 작으면 블록킹 현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런 후, 본 발명에서는 [수학식 5]를 사용해 블록킹 현상 발생 사실을 인지한 경우에는 다음의 [수학식 6]을 사용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여 블록킹 현상 제거, 예컨대 상기 "Fa(0,0)", "Fb(0,0)", "Fc(0,0)" 및 "α"를 파라미터로 하여 상기 블록킹 현상이 발생된 각 블록의 DCT 계수에 대해 영상의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 각각에 대해 4×4 블록 단위로 DCT 변환 계수를 조정한다.
Figure 112007045129013-pat00015
[수학식 6]에서, "A1", "A3", "C0", "C1", "C2", "C3", "D0" 및 "D1" 각각은 "c 블록"을 계단 함수(step function)에서 선형적인 1차 함수(1st order function)로 바꿔주는 계수들이며,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A1 = 0.3448, A3 = -0.0588, C0 = 1, C1 = 0.18667, C2 = 0.14285, C3 = 0.07731, D0 = 0.6 및 D1 = 0.2"의 값을 사용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서 블록킹 현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데 있어 DC 계수에 관한 경계값["TH_DC"]과 AC 계수에 관한 경계값["TH_AC"]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경계값은 입력 영상에 매우 의존적이며, 따라서 입력 영상이 다른 경우에 해당 영상에 적합한 경계값으로 수정해 입력 영상의 블록킹 현상 발생 여부를 판단해야 된다. 다음의 [수학식 7]은 입력 영상의 특성에 따라 DC 계수에 관한 경계값["TH_DC"]과 AC 계수에 관한 경계값["TH_AC"]을 수정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Figure 112007045129013-pat00016
여기서, 초기 "TH_DC"의 값은 "TH_00"으로 정해진 상수값이다.
[수학식 7]에서, 블록 경계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에 위치한 블록의 DC 계수의 값들의 차이가 크면 "TH_DC" 및 "TH_AC"의 값을 점진적으로 키워서 수정될 것이며, 이는 "TH_AC"의 값보다 "TH_DC"의 값이 블록킹 현상 발생을 판단하는데 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블록의 DC 계수 값들의 차이값인 "|Fa(0,0) - Fb(0,0)|에 따라, 사전에 설정한 2번째 "TH_AC"를 선택하고, "TH_DC"와 좌,우에 위치한 블록의 DC 계수의 값들의 차이["|Fa(0,0) - Fb(0,0)|"]를 더한값의 평균값으로서 "TH_DC"를 선택하는 것이다. 이는 고정적인 상수값을 사용하는 것보다도 블록킹 현상 제거에 더 유연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초기 기준인 "TH_DC"의 값을 "87.5"로 사용하고, "TH_AC_1st"의 값을 "0.5"로, "TH_AC_2nd"의 값을 "1.0"을 사용하였다.
앞서 도 1a 내지 도 3b를 참조해 설명했던 본 발명의 압축 영상의 블록킹 현상 제거 알고리즘은 도 4와 같은 플로우를 따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영상의 블록킹 현상 제거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며, 앞서 구체적인 설명을 전술했기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영상을 입력받으면(401), 상기 입력 영상에서 특정 블록["c 블록"]의, 좌측 블록["a 블록"]에 관한 DCT 변환 계수["Fa(u,v)"]와 우측 블록["b 블록"]에 관한 DCT 변환 계수["Fb(u,v)"]와 상기 특정 블록["c 블록"]에 관한 DCT 변환 계수["Fc(u,v)"]를 구하고(402), 상기 입력 영상의, DC 계수에 관한 경계값["TH_DC"]과 AC 계수에 관한 경계값["TH_AC"]을 정의한다(403). 이와 같이 각 블록에 관한 DCT 변환 계수를 구함으로서 DC 계수 및 AC 계수 모두를 구할 수 있다.
그리고서, 상기 좌측 블록["a 블록"]에 관해 구한 DCT 변환 계수들의 절대합을 취해서 "SumA"를 구하고, 상기 우측 블록["b 블록"]에 관해 구한 DCT 변환 계수들의 절대합을 취해서 "SumB"를 구한다(404). 여기서, "SumA"와 "SumB"는 특정 블록의 변화가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그리고 상기 구한 좌측 블록["a 블록"]의 DC 계수["Fa(0,0)"]에서 상기 구한 우측 블록["b 블록"]의 DC 계수["Fb(0,0)"]를 뺀값을 블록 단위수인 "4"로 나눈값으로서 DCT 계수 조정 상수["α"]를 정의한다(405).
그런 후, 상기 구한 좌측 블록["a 블록"]에 관한 DCT 변환 계수들의 절대합["SumA"]이 상기 정의한 AC 계수에 관한 경계값["TH_AC"]보다 작고, 상기 구한 우측 블록["b 블록"]에 관한 DCT 변환 계수들의 절대합["SumB"]이 상기 정의한 AC 계수에 관한 경계값["TH_AC"]보다 작으면 블록간 경계가 평탄하다고 판단한다(406, 407).
그리고(블록간 경계가 평탄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구한 좌측 블록["a 블록"]의 DC 계수["Fa(0,0)"]에서 상기 구한 우측 블록["b 블록"]의 DC 계수["Fb(0,0)"]를 뺀값의 절대값["|Fa(0,0) - Fb(0,0)|"]이 상기 정의한 DC 계수에 관한 경계값["TH_DC"]보다 작으면 블록킹 현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408, 409).
그러면(블록킹 현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구한 좌측 블록["a 블록"]의 DC 계수["Fa(0,0)"], 상기 구한 우측 블록["b 블록"]의 DC 계수["Fb(0,0)"], 상기 특정 블록["c 블록"]의 DC 계수["Fc(0,0)"] 및 상기 정의한 DCT 계수 조정 상수["α"]를 파라미터로 하여 상기 블록킹 현상이 발생된 각 블록의 DCT 계수에 대해 영상의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 각각에 대해 4×4 블록 단위로 DCT 변환 계수를 조정한다[디블록킹 필터링 수행](410). 여기서, "A1", "A3", "C0", "C1", "C2", "C3", "D0" 및 "D1" 등과 같은 계수들을 "Fa(0,0)", "Fb(0,0)", "Fc(0,0)" 및 "α"를 함께 사용하여 "c 블록"을 계단 함수(step function)에서 1차 함수(1st order function)로 바꿔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403" 과정에 있어 입력 영상에 대해 정의한 DC 계수에 관한 경계값["TH_DC"]과 AC 계수에 관한 경계값["TH_AC"]을 상기 입력 영상에 적합한 경계값으로 수정해 이후의 과정에서 블록킹 현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즉, 상기 구한 좌측 블록["a 블록"]의 DC 계수["Fa(0,0)"]에서 상기 구한 우측 블록["b 블록"]의 DC 계수["Fb(0,0)"]를 뺀값의 절대값["|Fa(0,0) - Fb(0,0)|"]이 사전에 설정해 놓은 초기 "TH_DC"의 값["TH_00"]보다 크면 상기 DC 계수에 관한 경계값["TH_DC"] 및 상기 AC 계수에 관한 경계값["TH_AC"]을 [수학식 7]을 사용해 점진적으로 키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알고리즘 성능에 대해 도 5a 내지 도 5j를 참조해 평가해 보겠다.
도 5a는 본 발명의 알고리즘 성능 평가에 사용되는 원본 레나(LENA) 영상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알고리즘 성능 평가에 사용되는 원본 페퍼(PEPPER) 영상도이며, 도 5c는 본 발명의 알고리즘 성능 평가에 사용되는 압축된 레나(LENA) 영상도이며, 도 5d는 본 발명의 알고리즘 성능 평가에 사용되는 압축된 페퍼(PEPPER) 영상도이며, 도 5e는 레나(LENA) 영상에 본 발명의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영상도이며, 도 5f는 레나(LENA) 영상에 종래 방식의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영상도이며, 도 5g는 본 발명의 알고리즘이 적용된 레나(LENA) 영상과 종래 방식의 알고리즘이 적용된 레나(LENA) 영상 각각의 특정 영역 화질 비교도이며, 도 5h는 페퍼(PEPPER) 영상에 본 발명의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영상도이며, 도 5i는 페퍼(PEPPER) 영상에 종래 방식의 알고 리즘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영상도이며, 도 5j는 본 발명의 알고리즘이 적용된 페퍼(PEPPER) 영상과 종래 방식의 알고리즘이 적용된 페퍼(PEPPER) 영상 각각의 특정 영역 화질 비교도이다.
본 발명의 알고리즘 성능 평가에 사용한 원본 영상은 테스트 영상으로 잘 알려진 도 5a의 레나(LENA) 영상과 도 5b의 페퍼(PEPPER) 영상을 사용하였으며, 2개의 영상 모두 512×512 사이즈의 그레이(gray) 영상[262,144 bytes]이다.
본 발명의 알고리즘 성능 평가를 위해, 도 5a의 레나(LENA) 영상과 도 5b의 페퍼(PEPPER) 영상을 JPEG 방식으로 압축하였으며, 이는 도 5c 및 도 5d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5c의 압축된 레나(LENA) 영상은 7,095 bytes, 도 5d의 압축된 페퍼(PEPPER) 영상은 7,162 bytes로 각각 압축된 것이며, 압축률은 각각 1:36.95[0.217 bpp], 1:36.60[0.219 bpp]이다.
레나(LENA) 영상의 경우, 도 5e와 도 5f를 비교해 보면 최근에 제안된 "Y. Luo, and R. K. Ward, "Removing the Blocking Artifacts of Block-Based DCT Compressed Images", IEEE Trans. Image Processing, Vol. 12, No. 7, July. 2003" 방식[이하, "종래 방식"이라고 함]보다도 본 발명의 알고리즘이 사람의 시각과 같은 주관적인 화질에 있어 더 뛰어남을 알 수 있다.
특히, 영상의 평탄한 영역에 있어 본 발명의 알고리즘 성능이 더 우수함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알고리즘과 종래 방식에 대해 도 5g를 통해 세부적으로 비교해 보면, 도 5g의 "a"와 "d" 부분은 JPEG 방식으로 압축된 영역으로서 블록킹 현상이 육안으로도 확인되며, 도 5g의 "b"와 "e" 부분은 본 발명의 알 고리즘으로 블록킹 현상이 제거된 것이며, 도 5g의 "c"와 "f" 부분은 종래 방식으로 블록킹 현상이 제거된 것이다.
한편, 페퍼(PEPPER) 영상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알고리즘 성능의 우수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특히, 경계값을 고정된 상수로 하지 않고서 입력 영상에 따라 수정시킴으로서 블록킹 현상의 차이가 큰 블록간에도 본 발명의 알고리즘이 잘 적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5j를 살펴보면, JPEG 방식으로 압축된 영역인 "a"와 "d" 부분의 화질보다는 종래 방식으로 블록킹 현상이 제거된 영역인 "c"와 "f" 부분의 화질이 개선됨을 알 수 있으나, 이보다도 본 발명의 알고리즘으로 블록킹 현상이 제거된 영역인 "b"와 "e" 부분의 화질이 더욱 주관적으로도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 5a 내지 도 5j를 통해 본 발명의 주관적인 성능뿐만 아니라 다음의 [표 1]을 통해 본 발명의 객관적인 화질 향상도, 예컨대 PSNR(Peek Signal To Noise Rate)[dB]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07045129013-pat00017
전술한 본 발명은 정지 영상 표준인 JPEG 영상뿐만 아니라 후처리 화질 개선 관련 분야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인터넷 채널 상황에 따른 영상 화질 개선 등과 같이 채널 상황을 고려해야 되는 저비트율 환경에서 더욱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압축 영상의 블록킹 현상을 낮은 계산 복잡도로 정확하게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SNR 값과 같은 객관적인 화질 평가 및 사람의 시각과 같은 주관적인 화질 평가 모두에 있어서 매우 우수한 성능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의 평탄한 영역에서 큰 화질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비트율에서 고압축된 정지 영상, 동영상에 대해 큰 화질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압축 영상의 블록킹 현상 제거 방법에 있어서,
    입력 영상에서 소정의 각 블록에 대한 DCT 변환 계수를 구하고, 상기 입력 영상의 DC 및 AC 계수에 관한 경계값을 설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각 소정 블록에 관해 구한 각 DCT 변환 계수의 절대합을 취하는 제 2 단계;
    상기 구한 각 소정 블록의 DC 계수와 블록 단위수를 이용하여 DCT 계수 조정 상수를 결정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구한 각 소정 블록의 DC 계수와 상기 구한 경계값과 상기 구한 각 절대합과 상기 구한 DCT 계수 조정 상수를 이용하여, 블록킹 현상이 발생된 각 블록의 DCT 계수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압축 영상의 블록킹 현상 제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에서 특정 블록[이하 "c 블록"이라 함]의, 좌측 블록[이하 "a 블록"이라 함]에 관한 DCT 변환 계수[이하 "Fa(u,v)"라 함]와 우측 블록[이하 "b 블 록"이라 함]에 관한 DCT 변환 계수[이하 "Fb(u,v)"라 함]와 상기 c 블록에 관한 DCT 변환 계수[이하 "Fc(u,v)"라 함]를 구하고, 상기 입력 영상의, DC 계수에 관한 경계값[이하 "TH_DC"라 함]과 AC 계수에 관한 경계값[이하 "TH_AC"라 함]을 설정하며,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a 블록에 관해 구한 DCT 변환 계수들의 절대합을 취해서 "SumA"를 구하고, 상기 b 블록에 관해 구한 DCT 변환 계수들의 절대합을 취해서 "SumB"를 구하며,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구한 a 블록의 DC 계수[이하 "Fa(0,0)"라 함]에서 상기 구한 b 블록의 DC 계수[이하 "Fb(0,0)"라 함]를 뺀값을 블록 단위수로 나눈값으로서 DCT 계수 조정 상수[이하 "α"라 함]를 결정하고,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구한 SumA가 상기 설정한 TH_AC보다 작고, 상기 구한 SumB가 상기 설정한 TH_AC보다 작음과 아울러, 상기 구한 Fa(0,0)에서 상기 구한 Fb(0,0)를 뺀값의 절대값[이하 "|Fa(0,0) - Fb(0,0)|"라 함]이 상기 설정한 TH_DC보다 작음에 따라, 상기 Fa(0,0), Fb(0,0), Fc(0,0) 및 α를 파라미터로 하여, 상기 블록킹 현상이 발생된 각 블록의 DCT 계수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영상의 블록킹 현상 제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한 TH_DC와 TH_AC를 입력 영상의 특성에 따라 수정하되,
    상기 구한 |Fa(0,0) - Fb(0,0)|이 사전에 설정해 놓은 초기 TH_DC의 값[이하 "TH_00"이라 함]보다 큼에 따라 상기 TH_DC 및 상기 TH_AC를 점진적으로 크게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영상의 블록킹 현상 제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TH_DC를 점진적으로 크게 수정하는 과정은,
    상기 설정한 TH_DC와 상기 구한 |Fa(0,0) - Fb(0,0)|를 더한값의 평균값으로서 TH_DC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영상의 블록킹 현상 제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단위수는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영상의 블록킹 현상 제거 방법.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Fa(0,0), Fb(0,0), Fc(0,0) 및 α를 파라미터로 하여 상기 블록킹 현상이 발생된 각 블록의 DCT 계수에 대해 영상의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 각각에 대해 4×4 블록 단위로 DCT 변환 계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영상의 블록킹 현상 제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c 블록을 계단 함수(step function)에서 1차 함수(1st order function)로 변환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영상의 블록킹 현상 제거 방법.
  8.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Fc(u,v)를 구하는 과정은,
    상기 c 블록을 DCT 도메인 상으로 옮겨서 4×4 블록 단위로 다음의 [수학식 4]를 사용해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영상의 블록킹 현상 제거 방법.
    [수학식 4]
    Figure 112007045129013-pat00018
    여기서, "u", "v"는 DCT 도메인 상에서의 공간 좌표를 나타냄.
  9. 프로세서를 구비한 영상 장치에,
    입력 영상에서 특정 블록[이하 "c 블록"이라 함]의, 좌측 블록[이하 "a 블록"이라 함]에 관한 DCT 변환 계수[이하 "Fa(u,v)"라 함]와 우측 블록[이하 "b 블록"이라 함]에 관한 DCT 변환 계수[이하 "Fb(u,v)"라 함]와 상기 c 블록에 관한 DCT 변환 계수[이하 "Fc(u,v)"라 함]를 구하고, 상기 입력 영상의, DC 계수에 관한 경계값[이하 "TH_DC"라 함]과 AC 계수에 관한 경계값[이하 "TH_AC"라 함]을 설정하는 기능;
    상기 a 블록에 관해 구한 DCT 변환 계수들의 절대합을 취해서 "SumA"를 구하고, 상기 b 블록에 관해 구한 DCT 변환 계수들의 절대합을 취해서 "SumB"를 구하는 기능;
    상기 구한 a 블록의 DC 계수[이하 "Fa(0,0)"라 함]에서 상기 구한 b 블록의 DC 계수[이하 "Fb(0,0)"라 함]를 뺀값을 블록 단위수로 나눈값으로서 DCT 계수 조정 상수[이하 "α"라 함]를 결정하는 기능; 및
    상기 구한 SumA가 상기 설정한 TH_AC보다 작고, 상기 구한 SumB가 상기 설정한 TH_AC보다 작음과 아울러, 상기 구한 Fa(0,0)에서 상기 구한 Fb(0,0)를 뺀값의 절대값[이하 "|Fa(0,0) - Fb(0,0)|"라 함]이 상기 설정한 TH_DC보다 작음에 따라, 상기 Fa(0,0), Fb(0,0), Fc(0,0) 및 α를 파라미터로 하여 블록킹 현상이 발생된 각 블록의 DCT 계수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70061255A 2006-12-01 2007-06-21 압축 영상의 블록킹 현상 제거 방법 KR100864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20928 2006-12-01
KR1020060120928 2006-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225A KR20080050225A (ko) 2008-06-05
KR100864238B1 true KR100864238B1 (ko) 2008-10-17

Family

ID=39805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255A KR100864238B1 (ko) 2006-12-01 2007-06-21 압축 영상의 블록킹 현상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42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9074A1 (en) 2002-01-31 2003-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ing method for removing block artifacts and/or ringing noise and apparatus therefor
US20030235248A1 (en) 2002-06-21 2003-12-25 Changick Kim Hybrid technique for reducing blocking and ringing artifacts in low-bit-rate cod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9074A1 (en) 2002-01-31 2003-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ing method for removing block artifacts and/or ringing noise and apparatus therefor
US20030235248A1 (en) 2002-06-21 2003-12-25 Changick Kim Hybrid technique for reducing blocking and ringing artifacts in low-bit-rate co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225A (ko) 200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6625B1 (en) Pictur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3495766B2 (ja) 画像処理方法
KR100672592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보상장치 및 보상방법
JP2008533937A (ja) Dctコード化されたビデオの品質を、オリジナルビデオシーケンスを用いて、もしくは用いずに客観評価する装置及び方法
EP2403257A2 (en) Depth image encoding and decoding
US8369417B2 (en) Optimal denoising for video coding
WO20040492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quality of compressed video sequences without references
JP2006509437A (ja) デジタルビデオ処理に対する統一測定基準(umdvp)
WO2014149576A1 (en) Improved method of bit allocation for image &amp; video compression using perceptual guidance
KR102070622B1 (ko) 동영상을 위한 양자화 테이블 추정 방법 및 장치
EP1365590A1 (en) A method for pre-deleting noise of image
EP1506525A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sharpness enhancement for coded digital video
JP2005167520A (ja) 圧縮復元画像におけるモスキート・ノイズの削減方法及び装置
JP5362723B2 (ja) 圧縮画像ノイズ除去装置と再生装置
JP4243218B2 (ja) 量子化制御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適応量子化符号化装置
Tai et al. Low complexity deblocking method for DCT coded video signals
JP4784618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復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及び動画像復号化プログラム
KR100864238B1 (ko) 압축 영상의 블록킹 현상 제거 방법
Zhang et al. Artifact reduction of compressed video via three-dimensional adaptive estimation of transform coefficients
JP2001346208A (ja) 画像信号復号化装置および方法
US20080187237A1 (en) Method, medium, and system reducing image block noise
Wang et al. Reconstructing videos from multiple compressed copies
KR100967872B1 (ko) H.264 동영상 표준 부호화 방식의 블록화 현상 제거를위한 적응적 후처리 기법
JP2007020216A (ja) 符号化装置、符号化方法、フィルタ処理装置およびフィルタ処理方法
JP2005260989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