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3551B1 - 진단고장코드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진단고장코드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3551B1
KR100863551B1 KR1020070076697A KR20070076697A KR100863551B1 KR 100863551 B1 KR100863551 B1 KR 100863551B1 KR 1020070076697 A KR1020070076697 A KR 1020070076697A KR 20070076697 A KR20070076697 A KR 20070076697A KR 100863551 B1 KR100863551 B1 KR 100863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code
memory
dtc
diagnostic
diagnostic fail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평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70076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35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3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3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4Monitoring the functioning of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단고장코드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전자브레이크시스템용 부품의 고장발생시 고장 발생된 부품의 진단고장코드를 메모리에 발생 순서대로 저장함으로써 고장 원인 분석에 중요한 정보로 이용할 수 있고, 고장 발생된 부품의 진단고장코드를 메모리에 발생 순서대로 저장할 때 메모리에 신규 발생한 진단고장코드와 동일한 진단고장코드가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기존 진단고장코드를 삭제하고 신규 진단고장코드를 최신 저장영역에 저장함으로써 제한된 메모리 용량범위 내에서도 고장 부품 정보를 저장 및 갱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단고장코드 관리방법{METHOD FOR MANAGING DIAGNOSTIC TROUBLE CODE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 자세 제어장치의 브레이크 액압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고장코드 관리방법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3은 고장 발생한 부품의 진단고장코드와 동일한 진단고장코드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경우, 고장 발생한 부품의 진단고장코드를 저장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메모리에 저장할 빈 저장영역이 없는 경우, 고장 발생한 부품의 진단고장코드를 저장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면의 주요 기능에 대한 부호의 설명*
PC1~PC4 : 노멀오픈형 입구밸브
PC5~PC8 : 노멀클로즈형 출구밸브
WS1~WS4 : 휠 속도센서 10 : 전자제어유닛(ECU)
11 : 조향각센서 12 : 요레이트센서
13 : 횡가속도센서
본 발명은 진단고장코드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브레이크시스템용 부품의 고장 발생시, 전자제어유닛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전자브레이크시스템용 부품의 진단고장코드를 효율적으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는 진단고장코드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자동차에는 각종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는 ABS(Anti-lock Break System) ECU, 차량 선회시의 차량의 자세를 제어하는 ESP(Electronic Stability Program) ECU 등의 많은 전자제어유닛(ECU)들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여러 전자제어유닛(ECU)들은 각각의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자기 진단 기능(self diagnosis function)을 가지고 있어서, 각종 센서 및 밸브들, 경고등, 모터, 유압펌프 등의 각각의 센서 및 액츄에이터의 기능에 대한 상태를 검출한 다음 고장이 발생한 부품에 대해서는 그에 대응하는 진단고장코드를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으며, 전자제어유닛(ECU)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진단고장코드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외부장치로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전자제어유닛(ECU)은 일정한 규약 예컨대, DTC(Diagnostic Trouble Codes) 체계에 따라 진단고장코드를 출력하며 이를 위해 소정의 저장매체에 진단코드 체계를 저장하여 두었다고 이를 기초로 소정의 진단고장코드를 출력하여 자체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
차량용 부품의 고장발생시 고장 발생된 부품의 진단고장코드를 메모리에 발 생 순서대로 저장함으로써 고장 원인 분석에 중요한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전자제어유닛(ECU)이 고장 검출된 부품에 대응하는 진단고장코드를 자체 메모리에 저장시킬 때, 저장영역에 발생순서에 맞게 저장하지 않고 있으며, 설사 진단고장코드가 발생순서대로 우연히 저장된다 하더라도 다음 번 진단시 고장 검출된 부품의 진단고장코드를 저장할 때 그 순서가 흐트러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브레이크시스템용 부품의 고장발생시 고장 발생한 부품의 진단고장코드를 메모리에 발생 순서대로 저장함으로써 부품의 고장 원인 분석에 중요한 정보로 이용할 수 있는 진단고장코드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단고장코드 관리방법은 전자브레이크시스템용 부품의 고장발생시 고장 발생된 부품의 진단고장코드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진단고장코드 관리방법에 있어서, 전자브레이크시스템용 부품의 고장 진단시 부품별로 고장을 순차적으로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부품별 고장에 대응하는 각각의 진단고장코드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진단고장코드를 상기 메모리에 발생 순서대로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생된 진단고장코드가 상기 메모리에 이미 저장되어 있으면, 기존 진단고장코드를 삭제하고, 상기 발생된 진단고장코드를 최신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존 진단고장코드 삭제 후 삭제된 저장영역을 메우도록 나머지 진단고장코드를 시프트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생된 진단고장코드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때 상기 메모리에 빈 저장영역이 없으면, 가장 오래된 저장영역의 진단고장코드를 삭제하고, 삭제된 저자영역을 메우도록 나머지 진단고장코드를 시프트시키고, 상기 발생된 진단고장코드를 최신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전자브레이크시스템 일예로, 차량 자세제어장치(Electronic Stability Program ; 이하 ESP 시스템이라 칭함)는 운전자의 운전 중 타이어의 접촉한계에 이르는 위험한 상황에서 적절한 바퀴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을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운동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ESP 시스템은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접착한계가 차량의 후륜에서 먼저 도달했을 때 나타나는 차량이 원하는 않는 요레이트 증가로 인하여 선회반경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차량안정성을 잃어버리는 스핀 아웃(Spin-Out) 현상인 오버스티어시와 전륜에서 먼저 타이어와 노면의 접착 한계에 도달했을 때 나타나는 차량이 원하는 주행코스보다 바깥쪽으로 밀려나가는 드리프트(Drift) 현상인 언더스티어시 서로 다른 차량 자세 제어(ESP 제어)를 수행하여 차량이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한다.
즉, 오버스티어시에는 전륜 외측 바퀴에 제동력을 가하여 차랑의 바깥쪽으로 작용하는 보상 모멘트를 생성시킴으로써 차량의 조정성 상실을 방지하고, 언더스티어시에는 후륜 내측 바퀴에 제동력을 가하여 차량의 안쪽으로 작용하는 보상 모멘트를 생성시킴으로써 차량이 원하는 궤적에서 바깥쪽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보상 모멘트는 차량운동량(Actual Vehicle Motion) 제어기의 차량 모델에서 계산된 기준 요레이트와, 요레이트센서를 통해 얻어진 차량의 실제 요레이트사이의 오차에 따라 적절한 바퀴의 제동력을 제어함으로써 발생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 자세 제어장치의 브레이크 액압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는 브레이크 페달(BP)의 압박에 의한 진공부스터(VB)의 작동에 의해 브레이크압력을 발생시키는 마스터실린더(MC)가 설치되어 있다. 마스터실린더(MC)는 두 개의 챔버(MCP, MCS)를 갖는다. 마스터실린더(MC)로부터 휠 실린더(WFR, WRL)에 전달되는 브레이크 액압을 제어하기 위해 첫 번째 챔버(MCP)와 전륜 우측 바퀴(FR)와 후륜 좌측 바퀴(RL)에 각각 설치된 휠 실린더(WFR, WRL) 사이의 주액압라인(MF)에는 노멀오픈형 컷밸브(SC1)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 노멀오픈형 컷밸브(SC1)와 휠 실린더(WFR, WRL) 사이의 유압라인(MFr,MFl)에는 노멀오픈형 입구밸브(PC1, PC2)가 마련된다. 이 노멀오픈형 입구밸브(PC1, PC2)에는 병렬로 각각 체크밸브(CV1, CV2)가 설치된다. 휠 실린더(WFR, WRL)에서의 브레이크액은 이 체크밸브(CV1, CV2)를 거쳐 컷밸브(SC1)를 통해 마스터실린더(MC)로 리턴한다.
또한, 브레이크액이 휠 실린더(WFR, WRL)의 출구측에는 노멀클로즈형 출구밸 브(PC5, PC6)가 마련된다. 이 노멀클로즈형 출구밸브(PC5, PC6)의 출구측에는 휠 실린더(WFR, WRL)에서 배출되는 브레이크액을 일시 저장하는 저압 어큐뮬레이터(RS1) 및 이 저압 어큐뮬레이터(RS1)에 저장된 브레이크액을 펌핑하여 각 휠 실린더측으로 강제 환류시키는 유압펌프(HP1)와 모터(M)가 마련된다.
한편, 유압펌프(HP1)의 흡입측과 마스터실린더(MC)의 첫 번째 챔버(MCP)사이의 보조액압라인(MFc)사이에는 노멀오픈형 입구밸브(SI1)가 마련된다. 그리고, 체크밸브(CV5, CV6)는 보조액압라인(MFc)에 의해 분기되는 두 개의 액압라인상에 각각 설치된다. 이에 따라, 입구밸브(SI1)가 폐쇄되면 마스터 실린더(MC)와 유압펌프(HP1)사이의 보조액압라인(MFc)는 차단되고, 입구밸브(SI1)가 개방되면 마스터 실린더(MC)와 유압펌프(HP1)사이의 보조액압라인(MFc)은 연결된다. 이때, 체크밸브(CV5)는 브레이크액이 저압 어큐뮬레이터(RS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전륜 좌측 바퀴(FL)와 후륜 우측 바퀴(RR)의 유압회로에서는 각각의 부품들이 상술한 전륜 우측 바퀴(FR)와 후륜 좌측 바퀴(RL)의 유압회로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참고로, 참조부호 DP1, DP2는 고압 어큐뮬레이터이다.
도 1에 도시된 컷밸브(SC1, SC2), 입구밸브(SI1, SI2), 그리고 각 휠 실린더(WFR, WRL, WFL, WRR)에서의 입구밸브(PC1~PC4)와 출구밸브(PC5~PC8), 유압펌프(HP1,HP2)를 작동시키는 모터(M)는 ESP 모드 등의 제어모드를 수행하는 전자제어유닛(ECU)(10)에 의해 작동되어 해당 바퀴의 제동압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 또는 유지시킨다.
전륜 좌우측 바퀴(FL, FR)와 후륜 좌우측 바퀴(RL, RR)에 각각 마련된 휠 속 도센서(WS1~WS4)는 검출된 바퀴의 속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전자제어유닛(ECU)(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전자제어유닛(10)에는 차량의 거동을 판단하기 위한 각종센서들이 접속되며, 특히 핸들의 조향 샤프트에 설치되며 운전자의 핸들 조작에 따른 조향각을 검출하는 조향각센서(11)와, 차량의 요레이트(yaw rate)를 검출하는 요레이트센서(12)와, 차량의 횡가속도를 검출하는 횡가속도센서(13)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한 전자제어유닛(10)은 각 휠 속도센서(WS1~WS4)로부터 차속정보를 얻고, 조향각센서(11)로부터, 조향각정보를 얻으며, 요레이트센서(12)로부터, 요레이트정보를 얻으며, 횡가속도센서(13)로부터 횡가속도정보를 얻으며, 상기한 각각의 정보들을 이용하여 ESP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전자제어유닛(10)은 부품별로 고장을 검출하여 고장 발생한 부품에 대응하는 진단고장코드를 자체 내의 메모리에 발생 순서대로 저장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ESP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센서와 액츄에이터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부품들은 ESP 제어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고장검출을 하고, 고장인 부품에 대해서는 해당 부품의 정보를 사용하지 않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고장 검출 로직은 로직 수행의 결과로서 진단고장코드(DTC)를 저장하여 정비자로 하여금 고장 부품에 대한 정보를 알려준다. 진단고장코드는 ESP 시스 템에서 사용하는 각종 센서 및 액츄에이터, 전원 등의 고장을 정비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표현한 코드이다.
진단고장코드를 순서대로 저장하기 위해선 기본적으로 발생 순서대로 메모리에 저장하면 된다. 하지만, 메모리에 과거에 저장되어 있던 진단고장코드와 동일한 진단고장코드가 발생할 경우, 이 진단고장코드의 저장 위치(address)는 최신 위치로 갱신되어야 한다. 또한, 메모리의 모든 위치에 진단고장코드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신규 진단고장코드는 최신의 위치에 저장되고, 가장 오래된 진단고장코드는 삭제한다. 이는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는 진단고장코드의 양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전자제어유닛(10)은 단계 S100에서 부품의 고장 진단시 부품별로 고장을 순차적으로 검출한다.
그리고, 단계 S110와 단계 S120에서 고장 부품이 있으면, 고장 발생한 부품에 대응하는 진단고장코드(DCT)를 발생시킨다.
그런 후 전자제어유닛(10)은 단계 S130에서 메모리에 발생된 진단고장코드와 동일한 진단고장코드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단계 S130에서의 판단결과, 발생된 진단고장코드와 동일한 진단고장코드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되어 있으면, 단계 S140에서 동일한 진단고장코드를 메모리에서 제거하고, 단계 S150에서, 발생된 진단고장코드를 저장하기 위해 최신 저장영역을 확보할 수 있도록 나머지 진단고장코드를 시프트하고, 단계 S160에서 최신 저장영역에 발생된 진단고장코드를 기록 저장한다. 일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 이, 메모리의 10개의 저장영역 중에서 7개의 저장영역에 "DCT7", "DCT6", "DCT5"...DCT1의 순서로 기존에 각각의 진단고장코드가 기록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신규로 "DCT6"이 발생하면, 신규로 발생한 "DCT6과 메모리에 기존에 저장된 "DCT6"이 동일하므로, 메모리의 기존 "DCT6을 제거한 후 나머지 "DCT1", "DCT2", "DCT3", "DCT4" 및 "DCT5"를 다음 저장영역으로 한 영역씩 시프트시킨다. 그리고 확보된 저장영역에 신규 발생한 "DCT6"을 기록 저장한다.
한편, 단계 S130에서의 판단결과, 발생된 진단고장코드와 동일한 진단고장코드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S170에서 메모리에 빈 저장영역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170에서의 판단결과 메모리에 비어 있는 저장영역이 없으면, 단계 S180에서 메모리의 저장영역 중에서 가장 오래전에 기록된 저장영역의 진단고장코드를 제거하고, 단계 S150에서, 발생된 진단고장코드를 저장하기 위해 최신 저장영역을 확보할 수 있도록 나머지 진단고장코드를 시프트하고, 단계 S160에서 최신 저장영역에 발생된 진단고장코드를 기록 저장한다. 일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의 10개의 저장영역에 "DCT10", "DCT9", "DCT8"...DCT1의 순서로 기존에 각각의 진단고장코드가 기록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신규로 "DCT0"이 발생하면, 이를 저장한 영역이 부족하기 때문에 가장 오래된 진단고장코드 "DCT10"을 제거한 후 나머지 "DCT1" 내지 "DCT9"를 다음 저장영역으로 한 영역씩 시프트시킴으로써 최신 저장영역을 확보한다. 그런 후 확보된 최신 저장영역에 "DCT0"을 기록 저장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브레이크시스템용 부품의 고장발생시 고장 발생된 부품의 진단고장코드를 메모리에 발생 순서대로 저장함으로써 고장 원인 분석에 중요한 정보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장 발생된 부품의 진단고장코드를 메모리에 발생 순서대로 저장할 때 메모리에 신규 발생한 진단고장코드와 동일한 진단고장코드가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기존 진단고장코드를 삭제하고 신규 진단고장코드를 최신 저장영역에 저장함으로써 제한된 메모리 용량범위 내에서도 고장 부품 정보를 저장 및 갱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전자브레이크시스템용 부품의 고장발생시 고장 발생된 부품의 진단고장코드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진단고장코드 관리방법에 있어서,
    전자브레이크시스템용 부품의 고장 진단시 부품별로 고장을 순차적으로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부품별 고장에 대응하는 각각의 진단고장코드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진단고장코드를 상기 메모리에 발생 순서대로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발생된 진단고장코드가 상기 메모리에 이미 저장되어 있으면, 기존 진단고장코드를 삭제하고, 상기 발생된 진단고장코드를 최신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진단고장코드 관리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진단고장코드 삭제 후 삭제된 저장영역을 메우도록 나머지 진단고장코드를 시프트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진단고장코드 관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된 진단고장코드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때 상기 메모리에 빈 저장영역이 없으면, 가장 오래된 저장영역의 진단고장코드를 삭제하고, 삭제된 저자영역을 메우도록 나머지 진단고장코드를 시프트시키고, 상기 발생된 진단고장코드를 최신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진단고장코드 관리방법.
KR1020070076697A 2007-07-31 2007-07-31 진단고장코드 관리방법 KR100863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697A KR100863551B1 (ko) 2007-07-31 2007-07-31 진단고장코드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697A KR100863551B1 (ko) 2007-07-31 2007-07-31 진단고장코드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3551B1 true KR100863551B1 (ko) 2008-10-15

Family

ID=40153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697A KR100863551B1 (ko) 2007-07-31 2007-07-31 진단고장코드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35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820Y2 (ja) * 1988-01-30 1994-09-2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故障診断装置
JPH07181112A (ja) * 1993-12-21 1995-07-21 Aisin Aw Co Ltd 車両用電子制御装置の自己故障診断方法及び装置
KR20030039180A (ko) * 2001-11-12 2003-05-17 주식회사 티텍 자동차의 고장상태 진단장치
JP2003285700A (ja) * 2002-03-28 2003-10-07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車両の故障診断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820Y2 (ja) * 1988-01-30 1994-09-2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故障診断装置
JPH07181112A (ja) * 1993-12-21 1995-07-21 Aisin Aw Co Ltd 車両用電子制御装置の自己故障診断方法及び装置
KR20030039180A (ko) * 2001-11-12 2003-05-17 주식회사 티텍 자동차의 고장상태 진단장치
JP2003285700A (ja) * 2002-03-28 2003-10-07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車両の故障診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2070B1 (ko) 전기유압 브레이크 어셈블리용 부가 모듈, 및 상기 유형의 부가 모듈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시스템
US9776607B2 (en) Fault-tolerant redundant by-wire brake system
JP5090840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
US10220824B2 (en) Electronic brake support system for use when service brake system has failed or is degraded
CN103596824B (zh) 液压产生装置以及液压制动系统
US9981642B2 (en) Electric brake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02053025A (ja) 自動車電気式ブレーキ装置内の車輪ブレーキ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20200067188A (ko) 제동 시스템의 기능 점검 방법 및 제동 시스템
CN112977378B (zh) 液压制动系统、用于操作液压制动系统的方法及控制单元
CN104973041A (zh) 真空助力器泄漏到大气中或助力器止回球故障的检测
JP2020521666A (ja) 完全統合制動システムにおける電子パーキングブレーキを使用した補助減速
US20020043875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 braking system contained in a vehicle
JP3684882B2 (ja) 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KR970065269A (ko) 자동차용 로크 방지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US6318819B1 (en) Method for handling errors in an electronic brake system and corresponding device
US20070035179A1 (en)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hydraulic defects in electrohydraulic brake system
US11014546B2 (en) Brake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external boost requests during predetermined loss or degraded boost assist conditions
JP2002178899A (ja) 車輌の制動制御装置
JP2008149807A (ja) 車両負荷制御装置
JP4622729B2 (ja) 車体速度演算装置
KR100863551B1 (ko) 진단고장코드 관리방법
JP2007083814A (ja) ブレーキマスタシリンダ圧推定方法及び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制御装置
US20220410866A1 (en) Vehicle braking apparatus
CN111511618A (zh) 用于检测车辆中制动器衰退的系统和方法
KR101204989B1 (ko) 진단고장코드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