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897B1 - 스태틱 믹서 엘러먼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태틱 믹서 엘러먼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897B1
KR100862897B1 KR1020070099119A KR20070099119A KR100862897B1 KR 100862897 B1 KR100862897 B1 KR 100862897B1 KR 1020070099119 A KR1020070099119 A KR 1020070099119A KR 20070099119 A KR20070099119 A KR 20070099119A KR 100862897 B1 KR100862897 B1 KR 100862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orsion
torsion plate
mixer elemen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제작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제작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제작소
Priority to KR1020070099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8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3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 B01F25/431Straight mixing tubes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that do not cause substantial pressure drop; Baffles therefor
    • B01F25/4314Straight mixing tubes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that do not cause substantial pressure drop; Baffles therefor with helical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2Mixing of ingredients for pharmaceutical or medical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204Mixing chemical components in generals in order to improve chemical treatment or reactions, independently from the specific applic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90°범위로 비틀어진 여러 개의 비틀림판(18)을 용접하여 180°로 비틀어진 스크루 타입의 믹서엘러먼트(12)로 제조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믹서엘러먼트(12)를 비트는 데에 요구되는 작은 파워와, 믹서엘러먼트(12)의 균열방지와, 믹서엘러먼트(12)의 얇은 두께 실현에 따른 생산비용의 저렴화와, 믹서엘러먼트(12)의 다양한 사이즈 생산 등을 실현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레이트(24)의 양측을 각각 클램프(26)로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클램프(26)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작동부(34)의 동력으로 회전시켜 플레이트(24)를 비틀림판(18)으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비틀림판(18)을 클램프(26)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비틀림판(18)의 측면(22)을 다른 비틀림판(18)의 측면(22)과 접하게 하면서 비틀림판(18) 여러 개를 연속적으로 측면(22) 방향으로 나열하는 단계와; 상기 비틀림판(18)의 마주 접한 측면(22) 부분을 용접하는 단계와; 상기 용접된 비틀림판(18)의 측면(22)에 마주 접한 다른 비틀림판(18)의 측면(22) 부분을 연속적으로 용접하여 스크루 타입의 믹서엘러먼트(12)를 완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태틱믹서, 믹서엘러먼트, 비틀림판

Description

스태틱 믹서 엘러먼트 제조방법{Static mixer element of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스태틱 믹서 엘러먼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90°범위로 비틀어진 여러 개의 비틀림판을 용접하여 180°로 비틀어진 스크루 타입의 믹서엘러먼트로 제조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믹서엘러먼트를 비트는 데에 요구되는 작은 파워와, 믹서엘러먼트의 균열방지와, 믹서엘러먼트의 얇은 두께 실현에 따른 생산비용의 저렴화와, 믹서엘러먼트의 다양한 사이즈 생산 등을 실현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믹서엘러먼트의 얇은 두께 실현으로 통과하는 유체의 저항이 감소 되게 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속도 개선에 따른 스태틱믹서의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게 한 스태틱 믹서 엘러먼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태틱믹서(static mixer)는 식품공장, 의약품공장, 화학공장 등의 원료 이송라인에 설치되어 각종 원료를 통과시키면서 혼합하는 역할의 용도로 사용되거나, 열교환기에 설치되어 유체가 연속적으로 튜브의 내벽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효율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스태틱믹서는 기계적 운동부가 없기 때문에 유지관리비가 저렴하여 생산성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기계적 교반부가 없어서 전단속도가 작아지므로 생성 혼합물의 손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스태틱믹서를 구성하는 믹서엘러먼트(102)를 도 1 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믹서엘러먼트(102)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가 180°로 비틀려져 만들어진 것으로서, 즉 플레이트의 시작점은 0°이고, 중간지점은 90°로 비틀려진 상태이며, 끝점은 180°로 비틀려진 상태로 되어 하나의 믹서엘러먼트(102)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믹서엘러먼트(102)의 끝단부에는 다른 믹서엘러먼트(102) 여러 개가 90°로 틀어지면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용접됨으로써 하나의 스태틱믹서가 된다.
상기와 같은 믹서엘러먼트(102)는 하나의 플레이트를 180°비틀어 완성하는 방식인 관계로, 작동부의 큰 구동마력을 요구하게 되어 설비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또한 플레이트의 비틀어지는 각도가 180°인 관계로 균열이 종종 일어나 불량품의 원인이 되며, 또한 믹서엘러먼트(102)의 두께가 두꺼운 관계로 생산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또한 믹서엘러먼트(102)를 대형화 및 소형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을 지닌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두꺼운 믹서엘러먼트(102)로 이루어진 스태틱믹서가 유체 통로에 설치되었을 경우, 통과하는 유체의 저항이 증가하여 유체 흐름속도가 저하되는 요인으로 작용함으로 스태틱믹서의 효율성은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1°∼90°범위로 비틀어진 여러 개의 비틀림판(18)을 용접하여 180°로 비틀어진 스크루 타입의 믹서엘러먼트(12)로 제조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믹서엘러먼트(12)를 비트는 데에 요구되는 작은 파워와, 믹서엘러먼트(12)의 균열방지와, 믹서엘러먼트(12)의 얇은 두께 실현에 따른 생산비용의 저렴화와, 믹서엘러먼트(12)의 다양한 사이즈 생산 등을 실현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다른 목적으로는 믹서엘러먼트(12)의 얇은 두께 실현으로 통과하는 유체의 저항이 감소 되게 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속도 개선에 따른 스태틱믹서(2)의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게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플레이트(24)의 양측을 각각 클램프(26)로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클램프(26)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작동부(34)의 동력으로 회전시켜 플레이트(24)를 비틀림판(18)으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비틀림판(18)을 클램프(26)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비틀림판(18)의 측면(22)을 다른 비틀림판(18)의 측면(22)과 접하게 하면서 비틀림판(18) 여러 개를 연속적으로 측면(22) 방향으로 나열하는 단계와; 상기 비틀림판(18)의 마주 접한 측면(22) 부분을 용접하는 단계와; 상기 용접된 비틀림판(18)의 측면(22)에 마주 접한 다른 비틀림판(18)의 측면(22) 부분을 연속적으로 용접하여 스크루 타입의 믹서엘러먼트(12)를 완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24)는 1°∼90°범위로 비틀어져 비틀림판(18)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러 개의 비틀림판(18)이 용접되어 완성된 믹서엘러먼트(12)는 180°로 비틀어진 스크루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1°∼90°범위로 비틀어진 비틀림판(52)을 주물 또는 다이캐스팅으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비틀림판(52)의 측면(54)을 다른 비틀림판(52)의 측면(54)과 접하게 하면서 비틀림판(52) 여러 개를 연속적으로 측면(54) 방향으로 나열하는 단계와; 상기 비틀림판(52)의 마주 접한 측면(54)을 연결부재(56)로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된 비틀림판(52)의 측면(54)에 마주 접한 다른 비틀림판(52)의 측면(54) 부분을 연속적으로 연결부재(56)로 고정하여 스크루 타입의 믹서엘러먼트(50)를 완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1°∼90°범위로 비틀어진 비틀림판(18) 여러 개를 만든 후 용접하여 180°로 비틀어진 스크루 타입의 믹서엘러먼트(12)를 제조하는 방식인 관계로, 작동부(34)가 비틀림판(18)을 1°∼90°범위로 비트는 데에 요구되는 파워가 작고, 또한 비틀림각도가 작은 관계로 균열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사이즈로 생산할 수 있으며, 또한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생산비용 등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효과로는 얇은 두께로 만들어진 비틀림판(18)으로 구성된 믹서엘러먼트(12)가 유체 통로에 설치되었을 경우 통과하는 유체는 저항을 작게 받게 되는데, 이로 인해 유체 흐름속도 개선에 따른 스태틱믹서(2)의 효율성은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스태틱믹서(static mixer)(2)는 일반적으로 식품공장, 의약품공장, 화학공장 등의 원료 이송라인에 설치되어 각종 원료를 통과시키면서 혼합하는 역할의 용도로 사용되거나, 열교환기에 설치되어 유체가 연속적으로 튜브의 내벽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효율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스태틱믹서(2)의 구조를 유체 이송라인의 예를 들어 도 2 와 도 3 에서 살펴 보면, 먼저 원료A를 저장하고 있는 공급탱크에 연결된 안내파이프(4)에 원료B와 원료C를 투입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안내파이프(4)의 출구 측에는 원료A, 원료B, 원료C를 혼합시키면서 통과시키는 믹싱아세이(mixing ass'y)(6)가 설치되며, 상기 믹싱아세이(6)의 출구 측에는 혼합물이 다음 공정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안내파이프(8)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믹싱아세이(6)에는, 양단부에 플랜지를 갖는 연결파이프(10)가 구성되고, 상기 연결파이프(10) 내부에는 정지된 상태에서 원료A, 원료B, 원료C를 통과시키면서 혼합시키는 스태틱믹서(2)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스태틱믹서(2)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통과하는 원료를 2등분 하여 흐르게 하는 믹서엘러먼트(mixer element)(12)가 구성되는데, 이러한 믹서엘러먼트(12)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가 180°로 비틀려져 만들어진 것으로서, 즉 플레이트의 시작점은 0°이고, 중간지점은 90°로 비틀려진 상태이며, 끝점은 180°로 비틀려진 상태로 되어 하나의 믹서엘러먼트(12)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믹서엘러먼트(12) 끝단부에는 다른 믹서엘러먼트(12) 여러 개가 나열되면서 순차적으로 90°씩 각각 틀어지고, 동시에 각각의 믹서엘러먼트(12) 끝단부를 형성하면서 마주 접한 측면(22) 중간 부분이 용접된다.
상기 이후로 스태틱믹서(2)의 끝단에 위치한 하나의 믹서엘러먼트(12)는 연결파이프(10)에 용접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고정슬리브(16)가 끼워져 용접됨으로써 하나의 스태틱믹서(2)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태틱믹서(2)를 통과하는 유체의 경우, 한개의 믹서엘러먼트(12)를 통과할 때 마다 2n 으로 나누어 지면서 통과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원료A, 원료B, 원료C는 스태틱믹서(2)를 통과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비틀리며 분할되고 혼합되어 균일한 혼합물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나의 믹서엘러먼트(12)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등분 되면서 90°로 비틀어져 만들어진 2개의 비틀림판(18)을 용접하여 제조하거나,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45°로 비틀어져 만들어진 4개의 비틀림판(18)을 용접하여 제조하게 되는데, 그 제조 과정을 도 6 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레이트(24)의 양측을 각각 클램프(26)로 고정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상기 플레이트(24)는 직사각형으로 절단된 소재로서 고정된 클램프(26)와 회전하는 클램프(26)에 양측을 각각 보울트로 체결하여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 정하게 되는데, 이때 플레이트(24)의 양측은 절단선(28)을 경계로 하여 고정부(30)로 하고, 절단선(28) 사이를 비틀림부(32)로 지칭한다.
상기 플레이트(24) 고정단계 이후로, 클램프(26)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작동부(34)의 동력으로 회전시켜 플레이트(24)를 비틀림판(18)으로 만드는 단계를 실시한다.
상기 작동부(34)의 동력을 통하여 플레이트(24)를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방향으로 비틀면, 상기 플레이트(24)는 중간부분을 경계로 하여 양측 부분은 비틀어진 곡면(20)을 대칭적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24)의 비틀림각은 1°∼90°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돕기 위해 믹서엘러먼트(12)를 2등분 하였을 때와 4등분 하였을 때를 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믹서엘러먼트(12)를 2등분 하여 제조하게 될 경우, 상기 작동부(34)를 통하여 플레이트(24)를 90°만큼 비틀어 비틀림판(18)을 만든다.
또한 상기 믹서엘러먼트(12)를 4등분하여 제조하게 될 경우, 상기 작동부(34)를 통하여 플레이트(24)를 45°만큼 비틀어 비틀림판(18)을 만든다.
또한 상기 믹서엘러먼트(12)를 n등분 하여 제조하게 될 경우, 상기 작동부(34)를 통하여 플레이트(24)를 "180°/ n등분" 의 공식으로 회전각도를 구하여 비틀림판(18)을 만든다.
상기와 같이 비틀림판(18)의 비틀림 각도가 기존의 180°보다 작은 1°∼90°범위로 이루어짐으로, 상기 플레이트(24)를 비틀때 요구되는 작동부(34)의 파워가 작아도 되고, 또한 비틀어지는 과정에서 흔히 일어나는 균열현상이 없게 되며, 또한 얇은판(0.2mm∼10mm)의 경우나 두꺼운 판(50mm∼100mm)의 경우도 용이하게 비틀림이 가능하며, 또한 작은 지름(2mm∼50mm)이나 큰 지름(1m∼5m)의 경우에도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얇은 두께의 비틀림판(18)으로 만들어진 스태틱믹서(2)가 유체 통로에 설치되었을 경우에 유체저항을 작게 받아 흐름이 빠르게 됨으로, 스태틱믹서(2)의 효율은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계속하여 상기와 같이 설치되어 사용되는 작동부(34)는 시중에 널리 판매되어 사용되는 일반적인 동력 제공수단을 적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34)를 살펴 보면, 먼저 지지대(36)에 회전축(38)으로 결합된 휠(40)의 일면에 회전 클램프(26)가 용접되어 설치되고, 상기 휠(40)에는 체인(42)의 일측이 감겨 지며, 상기 체인(42)의 타측은 감속기어박스(44)의 축에 결합된 휠(40)에 감겨 지고, 상기 감속기어박스(44)에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46)가 회전축(48)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작동부(34)의 모터(46)가 구동되면 동력은 감속기어박스(44)를 지나 체인(42)을 통하여 휠(40)에 도달하면서, 상기 회전 클램프(26)를 회전시켜 플레이트(24)를 회전 방향으로 비틀게 된다.
이때 미 도시된 컨트롤부를 통하여 상기 모터(46)의 작동을 단속함으로써 플레이트(24)의 비틀림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비틀림판(18) 만드는 단계 이후로, 비틀림판(18)을 클램프(26)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클램프(26)로부터 분리한 비틀림판(18)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절단기로 절단선(28)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고정부(30)를 제거한다.
따라서 비틀림부(32)를 형성하는 순수한 비틀림판(18)만 남게 된다.
상기 비틀림판(18) 분리단계 이후로, 비틀림판(18)의 측면(22)을 다른 비틀림판(18)의 측면(22)과 접하게 하면서 비틀림판(18) 여러 개를 연속적으로 측면 방향으로 나열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상기 비틀림판(18)이 90°로 비틀려져 있을 경우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비틀림판(18)을 나열하고, 상기 비틀림판(18)이 45°로 비틀려져 있을 경우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비틀림판(18)을 나열한다.
상기 비틀림판(18) 나열단계 이후로, 비틀림판(18)의 마주 접한 측면(22) 부분을 용접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2개의 비틀림판(18) 측면(22)을 상호 마주 접하게 한 다음 용접을 실시하면, 상기 비틀림판(18)이 90°로 비틀려져 있을 경우 180°로 비틀려진 스크루 타입의 믹서엘러먼트(12) 하나가 완성된다.
상기와는 달리 비틀림판(18)이 45°로 비틀려져 있을 경우, 2개의 비틀림판(18)이 용접되는 관계로 90°로 미완성의 믹서엘러먼트(12)가 된다.
상기 비틀림판(18) 용접단계 이후로, 용접된 비틀림판(18)의 다른 측면(22)에 마주 접한 다른 비틀림판(18)의 측면(22) 부분을 연속적으로 용접하여 스크루 타입의 믹서엘러먼트(12)를 완성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90°로 된 미완성 믹서엘러먼트(12) 다음으로 45°로 된 비틀림판(18) 2개를 추가적으로 연속 나열하면서 측면(22)을 용접하면, 비틀림 각도가 180°인 스크루 타입의 믹서엘러먼트(12) 하나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믹서엘러먼트(50)의 다른 제조방법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1°∼90°범위로 비틀어진 비틀림판(52)을 주물 또는 다이캐스팅으로 만드는 단계를 실시한다.
상기 비틀림판(52)을 전술한 바와 같이 믹서엘러먼트(50)를 2등분 하였을 경우에는 90°로 비틀린 비틀림판(52)을 주물 또는 다이캐스팅으로 만들고, 상기 믹서엘러먼트(50)를 4등분 하였을 경우에는 45°로 비틀린 비틀림판(52)을 주물 또는 다이캐스팅으로 만든다.
상기 비틀림판(52) 만드는 단계 이후로, 비틀림판(52)의 측면(54)을 다른 비틀림판(52)의 측면(54)과 접하게 하면서, 비틀림판(52) 여러 개를 연속적으로 측면(54) 방향으로 나열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상기 비틀림판(52) 나열단계 이후로, 비틀림판(52)의 마주 접한 측면(54)을 연결부재(56)로 고정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주물 또는 다이캐스팅으로 만들어진 비틀림판(52)의 양측을 드릴로 홀 여러 개를 관통 형성하고, 이후로 2개의 비틀림판(52)의 측면(54)을 상호 마주 접하게 한 다음, 상기 비틀림판(52)의 마주 접한 측면(54)을 중심으로 연결부재(56)인 고정판(58)의 양측을 비틀림판(52)에 각각 배치한다.
이때 상기 고정판(58)의 양측에 관통 형성된 홀과 비틀림판(52)의 홀이 상호 일치되게 한다.
이후로 보울트 또는 리벳(60)으로 상기 고정판(58)을 비틀림판(52)에 고정함 으로써, 상기 비틀림판(52)이 상호 연결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비틀림판(52)이 90°로 비틀려져 있을 경우 180°로 비틀려진 스크루 타입의 믹서엘러먼트(50) 하나가 완성되고, 상기와는 달리 비틀림판(52)이 45°로 비틀려져 있을 경우 2개의 비틀림판(52)이 연결되는 관계로 90°로 비틀려진 미완성의 믹서엘러먼트(50)가 된다.
상기 비틀림판(52) 고정단계 이후로, 연결된 비틀림판(52)의 다른 측면(54)에 마주 접한 다른 비틀림판(52)의 측면(54) 부분을 연속적으로 연결부재(56)로 고정하여 스크루 타입의 믹서엘러먼트(50)를 완성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90°로 된 미완성 믹서엘러먼트(50) 다음으로 45°로 된 비틀림판(52) 2개를 추가적으로 연속 나열하면서 측면(54)을 용접하면, 비틀림 각도는 180°가 된다.
따라서 스크루 타입의 믹서엘러먼트(50) 하나가 완성된다.
본 발명은 1°∼90°범위로 비틀어진 비틀림판 여러 개를 만든 후 용접하여 180°로 비틀어진 스크루 타입의 믹서엘러먼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태틱믹서의 다양한 사이즈화와, 균열방지 및 얇은 두께의 실현 등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 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믹서엘러먼트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태틱믹서가 유체통로에 설치된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태틱믹서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믹서엘러먼트가 2등분 된 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믹서엘러먼트가 4등분 되어 용접된 상태도.
도 6a 내지 도 6d 는 본 발명에 따른 믹서엘러먼트의 제조과정 상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로서 믹서엘러먼트가 주조되어 연결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스태틱믹서 4,8:안내파이프
6:믹싱아세이 10:연결파이프
12,50:믹서엘러먼트 16:고정슬리브
18,52:비틀림판 20:곡면
22,54:측면 24:플레이트
26:클램프 28:절단선
30:고정부 32:비틀림부
34:작동부 36:지지대
38:회전축 40:휠
42:체인 44:감속기어박스
46:모터 56:연결부재

Claims (6)

  1. 플레이트(24) 양측을 각각 클램프(26)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플레이트(24) 고정단계 이후로, 클램프(26)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작동부(34)의 동력으로 회전시켜 플레이트(24)를 비틀림판(18)으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비틀림판(18) 만드는 단계 이후로, 비틀림판(18)을 클램프(26)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비틀림판(18) 분리단계 이후로, 비틀림판(18)의 측면(22)을 다른 비틀림판(18)의 측면(22)과 접하게 하면서 비틀림판(18) 여러 개를 연속적으로 측면(22) 방향으로 나열하는 단계와;
    상기 비틀림판(18) 나열단계 이후로, 비틀림판(18)의 마주 접한 측면(22) 부분을 용접하는 단계와;
    상기 비틀림판(18) 용접단계 이후로, 용접된 비틀림판(18)의 다른 측면(22)에 마주 접한 다른 비틀림판(18)의 측면(22) 부분을 연속적으로 용접하여 스크루 타입의 믹서엘러먼트(12)를 완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스태틱 믹서 엘러먼트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24)는 1°∼90°범위로 비틀어져 비틀림판(18)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틱 믹서 엘러먼트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 개의 비틀림판(18)이 용접되어 완성된 믹서엘러먼트(12)는 180°로 비틀어진 스크루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틱 믹서 엘러먼트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판(18)을 클램프(26)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분리된 플레이트(24) 중 고정부(30)는 절단하여 제거하고,
    비틀림부(32)는 비틀림판(18)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태틱 믹서 엘러먼트 제조방법.
  5. 1°∼90°범위로 비틀어진 비틀림판(52)을 주물 또는 다이캐스팅으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비틀림판(52) 만드는 단계 이후로, 비틀림판(52)의 측면(54)을 다른 비틀림판(52)의 측면(54)과 접하게 하면서, 비틀림판(52) 여러 개를 연속적으로 측면(54) 방향으로 나열하는 단계와;
    상기 비틀림판(52) 나열단계 이후로, 비틀림판(52)의 마주 접한 측면(54)을 연결부재(56)로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비틀림판(52) 고정단계 이후로, 연결된 비틀림판(52)의 다른 측면(54)에 마주 접한 다른 비틀림판(52)의 측면(54) 부분을 연속적으로 연결부재(56)로 고정하여 스크루 타입의 믹서엘러먼트(50)를 완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틱 믹서 엘러먼트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56)로 고정하는 방법은,
    상기 비틀림판(52)의 마주 접한 측면(54)을 중심으로 연결부재(56)인 고정 판(58)의 양측을 비틀림판(52)에 각각 배치한 다음,
    상기 고정판(58)의 양측을 리벳(60)으로 비틀림판(52)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비틀림판(52)이 서로 연결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태틱 믹서 엘러먼트 제조방법.
KR1020070099119A 2007-10-02 2007-10-02 스태틱 믹서 엘러먼트 제조방법 KR100862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119A KR100862897B1 (ko) 2007-10-02 2007-10-02 스태틱 믹서 엘러먼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119A KR100862897B1 (ko) 2007-10-02 2007-10-02 스태틱 믹서 엘러먼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2897B1 true KR100862897B1 (ko) 2008-10-13

Family

ID=40153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119A KR100862897B1 (ko) 2007-10-02 2007-10-02 스태틱 믹서 엘러먼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89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2371A (zh) * 2014-03-25 2014-07-23 鼎海精机大丰有限公司 一种蛋糕进料管道搅拌装置
KR20150145486A (ko) 2014-06-19 2015-12-30 (주)삼천 혼합효율이 개선된 스태틱 믹서
CN105536619A (zh) * 2016-02-03 2016-05-04 浙江兰良实业有限公司 一种新型混合筒
KR20190027682A (ko) * 2017-09-07 2019-03-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정적 혼합기 및 이를 이용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20210138905A (ko) 2020-05-13 2021-11-22 김진아 제조와 설치가 용이한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스태틱 믹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9733A (ja) 1986-05-15 1987-11-24 Sanko Seisakusho:Kk 混合素子及び該混合素子を内蔵した混合装置
US6164813A (en) 1999-02-05 2000-12-26 Wang; Chiang-Ming Static fluid mixing device with helically twisted elements
JP2001120974A (ja) 1999-10-22 2001-05-08 Tsuneo Goto ねじり平鋼による混合器
JP2001205062A (ja) 2000-01-26 2001-07-31 Noritake Co Ltd スタティックミキサーエレメン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9733A (ja) 1986-05-15 1987-11-24 Sanko Seisakusho:Kk 混合素子及び該混合素子を内蔵した混合装置
US6164813A (en) 1999-02-05 2000-12-26 Wang; Chiang-Ming Static fluid mixing device with helically twisted elements
JP2001120974A (ja) 1999-10-22 2001-05-08 Tsuneo Goto ねじり平鋼による混合器
JP2001205062A (ja) 2000-01-26 2001-07-31 Noritake Co Ltd スタティックミキサーエレメン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2371A (zh) * 2014-03-25 2014-07-23 鼎海精机大丰有限公司 一种蛋糕进料管道搅拌装置
KR20150145486A (ko) 2014-06-19 2015-12-30 (주)삼천 혼합효율이 개선된 스태틱 믹서
CN105536619A (zh) * 2016-02-03 2016-05-04 浙江兰良实业有限公司 一种新型混合筒
KR20190027682A (ko) * 2017-09-07 2019-03-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정적 혼합기 및 이를 이용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102402637B1 (ko) * 2017-09-07 2022-05-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정적 혼합기 및 이를 이용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20210138905A (ko) 2020-05-13 2021-11-22 김진아 제조와 설치가 용이한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스태틱 믹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897B1 (ko) 스태틱 믹서 엘러먼트 제조방법
JP5105270B2 (ja) ミキシングエレメント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静止型流体混合器
CN102497969B (zh) 挤压机
EP2599564A1 (en) Spiral steel, application product of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piral steel
CN103816822B (zh) 管内同心双螺旋静态混合器
CN106002270A (zh) 扰流带加工设备
KR20120115204A (ko) 나사 홈 배기부의 통형 고정 부재와 이것을 사용한 진공 펌프
EP3048306A1 (en) Fixing component of vacuum pump
CN109227741A (zh) 一种管材加工用环形打孔装置
KR20160005705A (ko) 용융 유리 교반 장치
CN202202990U (zh) 发动机混合器
CN1212636A (zh) 多通多流阀装置
JP4378102B2 (ja) インライン静止型混合装置及びその混合方法
JP2001120973A (ja) インラインミキサ
CN105880724A (zh) 扰流带夹持旋转机构
CN103203198B (zh) 管路内交错叶片转子
CN103446901A (zh) 镂空带栅条螺旋叶片转子
JP6298708B2 (ja) 材料を加工するための多軸スクリュー機械
CN201633126U (zh) 2立方米主机搅拌装置
CN1262345C (zh) 高剪力相向旋转搅拌反应器
CN213732525U (zh) 一种混凝土搅拌机
CN204365213U (zh) 超声波静态混合器
CN108636712A (zh) 旋转涂油机构及电机装配装置
JPS58128134A (ja) 流体混合器
CN116870775A (zh) 制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