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831B1 - 고로설비의 가스와 이물질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고로설비의 가스와 이물질 분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62831B1 KR100862831B1 KR1020070079688A KR20070079688A KR100862831B1 KR 100862831 B1 KR100862831 B1 KR 100862831B1 KR 1020070079688 A KR1020070079688 A KR 1020070079688A KR 20070079688 A KR20070079688 A KR 20070079688A KR 100862831 B1 KR100862831 B1 KR 1008628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s
- blast furnace
- water
- separation means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002—Evacuating and treating of exhaust ga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100/00—Handling of exhaust gases produced during the 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100/20—Increasing the gas reduction potential of recycled exhaust ga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2017/009—Cyclone for separating fines from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설비의 가스와 이물질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로 가스가 흐르는 배관과, 상기 배관에 있는 고로가스를 유입시켜 상기 고로가스에 함유된 산소농도를 검지하기 위한 산소검지기를 포함하는 고로 설비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가스를 유입하며, 내부에는 유입된 물과 상기 가스가 함께 채워질 수 있을 정도로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그 수용공간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는 상기 물과 상기 가스를 섞어 주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의 교반기가 설치된 1차분리수단; 상기 1차분리수단을 통과한 가스가 유입되도록 그 1차분리수단의 타단과 연결되며, 내부에는 물과 상기 가스가 함께 채워질 수 있도록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채워진 물을 통과한 가스가 상기 산소검지기로 유입되도록 일측에 가스배출부가 구비되고, 내부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타측에 냉각수 급수부가 구비된 2차분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로, 가스, 산소, 폭발, 교반, 브러쉬부, 이물질,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로설비의 가스와 이물질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로설비에서 고로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쉽게 분리 배출하여 순수 가스만을 포집토록 함으로써 순수 가스 중 산소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고로설비의 폭발 가능성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한 고로설비의 가스와 이물질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 조업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로(1)의 상부로부터 상기 고로(1)의 내부로 철광석과 코크스로 이루어진 장입물을 장입하고, 상기 고로(1)의 하부에 설치되는 풍구(2)를 통해 고로의 내부로 고온의 열풍을 불어 넣어, 상기 고로(1) 내부에서의 환원 용융반응을 발생시킴에 따라 용선을 생산하게 된다.
상기한 과정에 있어서, 고로(1)에 장입되는 장입물, 즉 철광석 및 코크스는 각각 환원용융과 연소에 따라 노의 하부로 강하하게 되는데, 이러한 강하시 고로 내부 연와와의 마찰작용이 발생되며, 상기 고로 하부에서의 코크스 연소 및 철광석 의 용융환원 과정 중에 발생된 가스가 고로 상부로 배출되기 위하여 상승하면서 노체 연와의 표면과 접촉하여 화학적 침식반응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로의 노체 내부에 설치되는 내화 연와는 손상을 받게 된다.
이중에서도, 특히 노저 측벽부와 노저 바닥부로 구분되는 노 저부는, 하루 8,000 ~ 10,000톤의 용융물이 생성되고 출선구를 통해 노의 외부로 배출되는 곳으로, 내부 연와의 침식이 가장 활발한 곳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노 저부의 연와 침식 정도는 곧 노의 수명과 직결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노 저부 용선이 고이는 부분의 연와 침식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상기 연와의 잔존(건전한 연와의 존재범위)이 500mm에 도달되면 고로 조업의 일대기는 끝이 나고 개수 및 보수를 맞이하게 되며, 이때 종풍 조업을 실시하게 된다.
종풍 조업은, 고로의 개수 및 보수에 앞서서 고로 조업을 종료시키는 최종 휴풍 조업과정으로서, 상기 고로의 해체 및 철거 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노내의 장입물 중 광석을 완전히 용융 배출시키고, 노내를 입상의 코크스만으로 장입물의 레벨을 저하시키는 휴풍 조업방법을 말하며, 상기한 종풍 조업중에 노저부에 고여 있는 용융물을 노외로 배출하는 일련의 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풍 조업시의 감척 및 노저 출선 작업이 종료되고 나면, 노 내부로 냉각수를 주입하여 잔류물질을 냉각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잔존물질 냉각과정이라 한다.
이러한 잔존물질 냉각과정은 그 시간이 단축될수록 유리하나, 냉각수의 주입, 냉각, 냉각수의 증기화, 증기배출 및 냉각수의 배수과정을 거치는 동안 노 내부의 압력이 외부압력보다 낮아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노 내부로의 공기 혼입우려가 있어 그 시간을 단축하지 못하였다.
또한, 공기가 혼입되면 공기 중의 산소가 고로 내부의 가스(gas)와 반응하여 폭발조건을 형성하게 되는바, 종래에는 고로의 폭발 여부를 예측하기 위하여 가스 배관(3) 내의 산소 농도를 검지하여 산소 농도가 1% 이하가 되면 안전한 것으로 판단한다.
가스배관(3) 내의 산소 농도를 검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종래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배관(3)에 기체이송호스(4) 매개로 산소검지기(5)를 설치하여 상기 가스배관(3) 내부에 흐르는 가스 속에 포함된 산소 농도를 검출함으로써 고로의 폭발 여부를 예측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체이송호스(4)를 통하여 상기 산소검지기(5) 내부로 가스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상기 기체이송호스(4)의 앞쪽에는 블리더(6)가 마련되어 있는바, 상기 블리더(6)를 개방시키면 가스의 흐름이 원활해져 상기 산소검지기(5)로 가스의 유입이 용이해진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고로의 산소검지기(5)는 가스 속에 함유된 산소 농도를 검출하기 위해 가스 배관(3)과 연결된 기체이송호스(4)를 사용하고 있는바, 가스가 장기간 기체이송호스(4)를 통과하게 되면 가스에 혼입된 이물질이 기 체이송호스(4) 내부에 누적되어 막히는 문제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가스 내에 함유된 산소농도가 정밀하게 측정되지 않는 문제점이 생긴다.
이러한 문제는 결국, 가스 내에 함유된 산소농도의 부정확한 측정원인이 되는바, 마침내 고로 폭발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고로의 산소농도 검출 작업시 고로 가스 속에 함유된 이물질에 의해 산소농도의 정밀측정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로에서 발생된 가스 속에 함유된 이물질을 가스와 분리시켜 순수가스만 산소검지기로 유입되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고로설비의 가스와 이물질 분리장치는
고로 가스가 흐르는 배관과, 상기 배관에 있는 고로가스를 유입시켜 상기 고로가스에 함유된 산소농도를 검지하기 위한 산소검지기를 포함하는 고로 설비에 있어서,
일단이 배관과 연결되고,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수용공간에는 수용공간에 채워진 물을 통과하는 가스와 물이 섞이도록 하나 이상의 교반기가 구비되는 1차분리수단과;
1차분리수단을 통과한 가스가 유입되도록 1차분리수단의 타단과 연결되고,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수용공간에 채워진 물을 통과하는 가스가 산소검지기로 유입되도록 어느 일 영역에 가스배출부가 연결되는 2차분리수단과;
1차분리수단의 수용부와 2차분리수단의 수용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2차분리수단의 어느 일 영역에 연결되는 냉각수 급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1차분리수단의 수용부와 2차분리수단의 수용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2차분리수단의 어느 일 영역에 연결되는 냉각수 급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1차분리수단에는 가스의 이동경로를 따라 2개의 교반기가 직렬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1차분리수단은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교반기는, 일단에는 가스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케이스와, 케이스의 중심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브러쉬부와, 브러쉬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2차분리수단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이 1차분리수단과 연결되며 타단에는 가스배출부가 구비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저면으로부터 소정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치된 필터부와,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하우징 및 1차분리수단으로 물을 공급하는 냉각수 급수부와, 하우징에 공급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냉각수 급수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수위감지부와,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교반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가스배출부는 위로 볼록한 반원 형태로 이루어져 가스가 용이하게 포집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필터부는 위가 뾰족한 꼬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1차분리수단에서 배관과 연결되는 곳에는 가스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흡입펌프가 구비될 수도 있고, 흡입펌프와 1차분리수단 사이에는 가스의 흡입을 제어할 수 있는 개폐밸브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1차분리수단의 일측에는 폐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밸브(14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로설비의 가스에 함유된 이물질이 완전히 분리 배출되어 완전히 순수한 가스만을 포집할 수 있으므로 가스 내에 함유된 산소의 농도를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고로설비에서의 폭발 가능성 유무를 보다 정밀하게 진단할 수 있어 폭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이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부 구성을 보이기 위한 요부 구성도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본 발명은 고로설비에서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산소 등의 고로 혼합가스(이하, '고로가스' 또는 '가스'라 한다)가 흐르는 배관과, 그 고로가스에 함유된 산소 농도를 검출하기 위해 마련된 산 소검지기(5)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로가스 속에 함께 함유된 이물질을 고로가스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산소검지기(5)가 산소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담당하는 본 발명의 장치는 크게 1차분리수단(100)과, 2차분리수단(200)으로 대별되는 바, 상기 배관(3) 속을 흐르던 고로가스는 상기 1차분리수단(100)을 거치고 다시 상기 2차분리수단(200)을 거치는 일련의 과정 중에 가스속에 함유되어 있던 이물질이 가스와 완전히 분리되어 그 이물질은 외부로 배출되고 순수한 가스만 포집된 상태로 산소검지기(5)로 들어가도록 해 준다.
먼저, 상기 1차분리수단(100)은 일단이 상기 배관(3)과 연결되어 상기 고로가스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1차분리수단(100)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과 상기 가스가 함께 채워질 수 있을 정도로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물은 상기 1차분리수단(100)의 외부로부터 공급받으며 물과 가스가 함께 섞이도록 하여 가스속에 함유된 미세먼지나 불순물과 같은 이물질이 물에 의해 세척되어 물 속에 잔존되도록 함으로써 가스와 분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1차분리수단(100)의 수용공간에는 상기 물과 가스가 보다 잘 섞이도록 휘저어주고 또한 가스로부터 이물질이 보다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도와주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교반기(110)가 설치되는데, 상기 교반기(110)는 상기 수용공간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하나 또는 다수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교반기(110) 2개가 상기 1차분리수단(100)에서 가스의 이동경로를 따라 직렬로 배치되도록 구성하였지만, 반드에 여기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실시자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면 된다.
즉, 상기 1차분리수단(100)의 수용공간 전체에 상기 교반기(110)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교반기(110)를 다수개로 하여 물과 가스가 섞이는 과정을 좀 더 세분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1차분리수단(100)이 V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교반기(110)가 용이하게 구분 설치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후술할 2차분리수단(200)에서 공급된 물이 상기 1차분리수단(100)을 타고 아래로 흘러 내릴 때 직선형에 비해 천천히 흐르도록 유속을 낮추기 위함이지만, 상기 1차분리수단(100)의 형상 역시 여기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교반기(110)는 상기 1차분리수단(100) 속에 내장되면서 2차분리수단(200)에서 공급된 물이 상기 교반기(110)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1차분리수단(100)과 소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 교반기(11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도3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반기(110)는 크게 케이스(111)와, 상기 케이스(111) 내에서 회전되는 브러쉬부(112)와, 상기 브러쉬부(11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13)를 기본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을 이루어고 있으며, 그 일단에는 고로가스가 유입되기 위한 가스유입구(111a)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유입된 고로가스가 다시 배출되기 위한 가스배출구(111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스유입구(111a)는 상기 1차분리수단(100)의 고로가스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야 하는바, 상기 가스유입구(111a)는 가스와 이물질이 보다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의 케이스(111)에서 그 밑바닥면이 천공되어 개구부를 갖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스배출구(111b)는 상기 가스유입구(111a)와 반대편에 마련되는데, 상기 가스배출구(111b)를 통해서는 순수 가스만 통과하면 되기 때문에 상기 케이스(111)의 타단측에 원주방향이나 상부면에 다수개의 구멍이 천공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브러쉬부(112)는 상기 케이스(111) 내부로 유입된 가스 및 이물질이 물과 고르게 섞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 물을 회전시켜 줌으로써 가스속에 포함된 이물질이 원심력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가스로부터 이물질이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브러쉬부(112)는 상기 케이스(111)의 중심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바, 상기 브러쉬부(112)는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112a)과, 상기 회전축(112a)으로부터 원주방향을 향해 소정길이 돌출되어 물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가지부(112b)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구동부(113)는 상기 브러쉬부(112)가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동부(113)는 상기 회전축(112a)에 연결된 구동모터로 마련된다.
한편, 상기 1차분리수단(100)에서 상기 배관(3)과 연결되는 곳에는 배관(3)의 고로가스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흡입펌프(120)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펌프(120)와 상기 1차분리수단(100) 사이에는 고로가스를 필요에 따라 흡입 또는 흡입중지시킬 수 있도록 제어가 가능한 개폐밸브(1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1차분리수단(100)의 일측에는 내부에 채워진 폐수(물과 이물질)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밸브(140)가 구비되는데, 상기 배출밸브(140)는 수동 또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여 상기 1차분리수단(100)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는 폐쇄되어 외부로 물이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고, 그 물에 가스가 섞이면서 물속에 이물질이 남게되어 그 물을 버리고자 할 때 개방되어 물과 이물질이 함께 밖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2차분리수단(200)은 상기 1차분리수단(100)을 통과하여 어느 정도 가스속에 함유된 이물질이 1차 걸러진 가스를 다시 유입시켜 미처 다 제거되지 못한 가스속 이물질을 2차로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1차분리수단(100)의 타단과 연결된다.
상기 2차분리수단(200)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내부에는 물과 가스가 함께 채워질 수 있도록 소정의 수용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에 채워진 물을 통과한 가스가 산소검지기(5)로 유입되도록 일측에 가스배출부가 구비되며, 내부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물을 공급하는 냉각수 급수부가 구비된다.
즉, 상기 2차분리수단(20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210)과, 냉각수 급수부(2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하우징(210)에는 별도의 필터부(230)와 수위감지부(240) 및 교반부(250)가 부수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은,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일단은 상기 1차분리수단(100)의 타단과 연결되어 그 1차분리수단(100)을 통과한 고로가스가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에는 수용공간에 채워진 물을 통과한 고로가스가 상기 산소검지기(5)로 들어갈 수 있도록 고로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부(21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스배출부(2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볼록한 반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로 올라온 가스들이 용이하게 포집된 후 상기 산소검지기(5)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 급수부(220)는 상기 하우징(2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수동 또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냉각수 급수부(220)에서 공급되는 물은 상기 2차분리수단(200)을 거쳐 상기 1차분리수단(100)으로 흐르게 되는데, 상기 1차분리수단(100)에 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1차분리수단(100)의 배출밸브(140)는 잠긴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렇게 1차분리수단(100)의 수용공간이 물로 가득 채워지게 되면 계속해서 상기 2차분리수단(200)의 수용공간이 물로 채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2차분리수단(200)의 수용공간이 상부 일부를 제외하고 물로 어느 정도 채워지면 상기 냉각수 급수부(220)를 통해 더 이상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여야 하는바, 상기 하우징(210)에는 상기 냉각수 급수부(220)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수위감지부(240)가 마련된다.
상기 수위감지부(240)는 상기 하우징(210) 내에 물이 어느 정도 채워지면 그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냉각수 급수부(220)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물이 과도하게 채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2차분리수단(200)에서도 물과 가스가 용이하게 섞이도록 하며, 가스속에 함유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탈락되도록 하우징(210)의 물을 저어주는 교반부(250)가 마련된다.
상기 교반부(250)는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교반부(25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모터(251)가 구비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되면, 고로가스에 함유된 이물질이 거의 분리되어 거의 순수가스만 남게 되지만, 가스 속에 포함되어 있는 아주 작은 미세입자까지 여과하여 완전한 순수 가스만이 산소검지기(5)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10)에는 별도의 필터부(2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부(230)는 상기 하우징(210)의 저면으로부터 소정높이를 유지하도록 하우징(210)에 설치되며, 상부에 있는 가스배출부(211)로 가스가 용이하게 포집되도록 꼬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필터부(230)까지 최종적으로 거친 고로가스에는 이물질이 전혀 남아 있지 않으며, 이 순수 가스는 연결관(260)을 통해 산소검지기(5)로 들어가게 되는바, 상기 산소검지기(5)는 순수 고로가스에 함유된 산소농도를 정밀하게 검출하여 고로설비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각 구성들 중에서 작동이 필요한 곳은 수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자동제어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별도의 제어부(270)가 마련되도록 하여 일련의 과정들이 프로그래밍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형이 가능하지만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도1은 통상적인 고로설비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이기 위한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부 구성을 보이기 위한 요부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배관 5 : 산소검지기
100 : 1차분리수단 110 : 교반기
111 : 케이스 112 : 브러쉬부
113 : 구동부 120 : 흡입펌프
130 : 개폐밸브 140 : 배출밸브
200 : 2차분리수단 210 : 하우징
220 : 냉각수 급수부 230 : 필터부
240 : 수위감지부 250 : 교반부
251 : 구동모터 260 : 연결관
270 : 제어부
Claims (9)
- 고로 가스가 흐르는 배관(3)과, 상기 배관에 있는 고로가스를 유입시켜 상기 고로가스에 함유된 산소농도를 검지하기 위한 산소검지기(5)를 포함하는 고로 설비에 있어서,일단이 상기 배관(3)과 연결되고,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에는 수용공간에 채워진 물을 통과하는 가스와 물이 섞이어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하나 이상의 교반기(110)가 구비되는 1차분리수단(100)과;상기 1차분리수단(100)을 통과한 가스가 유입되도록 1차분리수단(100)의 타단과 연결되고,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채워진 물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분리된 가스가 상기 산소검지기(5)로 유입되도록 어느 일 영역에 가스배출부(211)가 연결되는 2차분리수단(200); 및상기 1차분리수단(100)의 수용부와 2차분리수단(200)의 수용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2차분리수단(200)의 어느 일 영역에 연결되는 냉각수 급수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설비의 가스와 이물질 분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분리수단(100)에는 상기 교반기(110) 2개가 가스의 이동경로를 따라 직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설비의 가스와 이물질 분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분리수단(100)은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설비의 가스와 이물질 분리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110)는,일단에는 가스유입구(111a)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가스배출구(111b)가 형성된 원통형의 케이스(111)와, 상기 케이스(111)의 중심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브러쉬부(112)와, 상기 브러쉬부(11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설비의 가스와 이물질 분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분리수단(200)은,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1차분리수단(100)과 연결되며 타단에는 가스배출부(211)가 구비된 하우징(210)과,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부(230)와,상기 하우징(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210) 및 상기 1차분리수단(100)으로 물을 공급하는 냉각수 급수부(220)와,상기 하우징(210)에 공급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냉각수 급수부(22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수위감지부(240)와,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교반부(2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설비의 가스와 이물질 분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부(211)는 위로 볼록한 반원 형태로 이루어져 가스가 용이하게 포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설비의 가스와 이물질 분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230)는 위가 뾰족한 꼬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설비의 가스와 이물질 분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분리수단(100)에서 상기 배관(3)과 연결되는 곳에는 상기 가스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흡입펌프(120)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펌프와 상기 1차분리수단(100) 사이에는 가스의 흡입을 제어할 수 있는 개폐밸브(1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설비의 가스와 이물질 분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분리수단(100)의 일측에는 폐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밸브(1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설비의 가스와 이물질 분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9688A KR100862831B1 (ko) | 2007-08-08 | 2007-08-08 | 고로설비의 가스와 이물질 분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9688A KR100862831B1 (ko) | 2007-08-08 | 2007-08-08 | 고로설비의 가스와 이물질 분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62831B1 true KR100862831B1 (ko) | 2008-10-13 |
Family
ID=40153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79688A KR100862831B1 (ko) | 2007-08-08 | 2007-08-08 | 고로설비의 가스와 이물질 분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6283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6579B1 (ko) | 2010-02-25 | 2012-09-27 | 주식회사 포스코 | 소둔로의 연소가스의 배출 및 외기의 혼입 차단 장치 |
WO2018117605A1 (ko) * | 2016-12-22 | 2018-06-28 | 주식회사 포스코 | 가스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업 방법 |
KR20190065704A (ko) * | 2017-12-04 | 2019-06-12 | 주식회사 포스코 | 가스 처리 장치 및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59501A (ko) * | 1999-12-30 | 2001-07-06 | 이구택 | 더스트 캣쳐의 더스트 자동배출장치 |
KR200346544Y1 (ko) | 2003-12-23 | 2004-04-01 | 성진엔지니어링 (주) | 반도체 공정상에서 발생하는 대기 오염물질의 제거장치 |
-
2007
- 2007-08-08 KR KR1020070079688A patent/KR10086283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59501A (ko) * | 1999-12-30 | 2001-07-06 | 이구택 | 더스트 캣쳐의 더스트 자동배출장치 |
KR200346544Y1 (ko) | 2003-12-23 | 2004-04-01 | 성진엔지니어링 (주) | 반도체 공정상에서 발생하는 대기 오염물질의 제거장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6579B1 (ko) | 2010-02-25 | 2012-09-27 | 주식회사 포스코 | 소둔로의 연소가스의 배출 및 외기의 혼입 차단 장치 |
WO2018117605A1 (ko) * | 2016-12-22 | 2018-06-28 | 주식회사 포스코 | 가스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업 방법 |
CN110100015A (zh) * | 2016-12-22 | 2019-08-06 | 株式会社Posco | 气体处理设备和使用该气体处理设备的操作方法 |
KR20190065704A (ko) * | 2017-12-04 | 2019-06-12 | 주식회사 포스코 | 가스 처리 장치 및 방법 |
KR102035176B1 (ko) * | 2017-12-04 | 2019-10-22 | 주식회사 포스코 | 가스 처리 장치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890971B1 (en) | Gathering method and apparatus of powder separated soluble component | |
KR100418234B1 (ko) | 폐가전 재자원화 처리 장치 | |
KR101304943B1 (ko) | 이산화탄소 탄산염 고정 및 전환 장치 | |
KR100862831B1 (ko) | 고로설비의 가스와 이물질 분리장치 | |
CN105758754B (zh) | 一种空蚀磨蚀实验装置 | |
KR20030012458A (ko) | 스테이브 고로의 스테이브 배관가스 자동검지 장치 | |
CN202741251U (zh) | 高效智能化的固液分离系统 | |
CN206188431U (zh) | 气浮机排渣组件及气浮机 | |
CN113559969B (zh) | 一种基于rfid射频技术的多层抽屉式自动备料仓 | |
WO2010082447A1 (ja) | スラリー再生装置及び方法 | |
JP2009262104A (ja) | 連続遠心分離機 | |
US7318527B2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organic material from inorganic material | |
CN115922579A (zh) | 砂水循环利用率高的自动湿式喷砂设备 | |
CN211595271U (zh) | 一种工业污水处理装置 | |
CN214288612U (zh) | 一种矿山冶金采样检测用辅助装置 | |
CN110180871B (zh) | 一种金属粉末防爆处理装置 | |
CN212559488U (zh) | 一种利用纯co2处理钙基碱渣的装置 | |
KR101773299B1 (ko) | 더스트 제거장치 | |
KR101848785B1 (ko) | 슬러지 처리 장치 | |
CN215195520U (zh) | 一种离心萃取机及具有该萃取机的一键式萃取系统 | |
CN220064050U (zh) | 污染土壤淋洗修复试验装置 | |
CN217613373U (zh) | 智能连续流离心机 | |
KR20010064937A (ko) | 고로 풍구의 누출가스 포집 및 측정장치 | |
CN212731896U (zh) | 一种卷烟纸油墨混合设备 | |
CN219023518U (zh) | 一种废矿物油处理回收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