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373B1 - 낚시대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낚시대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373B1
KR100862373B1 KR1020080043979A KR20080043979A KR100862373B1 KR 100862373 B1 KR100862373 B1 KR 100862373B1 KR 1020080043979 A KR1020080043979 A KR 1020080043979A KR 20080043979 A KR20080043979 A KR 20080043979A KR 100862373 B1 KR100862373 B1 KR 100862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rt
thigh
fishing rod
auxiliary suppor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김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현 filed Critical 김대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7Work holder for fishing f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사용자의 대퇴부를 감싸도록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본체와; 본체의 외측에 결합되며, 낚시대가 끼워져 지지 가능한 홀더; 및 홀더를 상기 본체에 대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지지장치가 개시된다.
낚시대, 홀더, 대퇴부, 각도 조절

Description

낚시대 지지장치{A supporting apparatus for fishing tool}
본 발명은 낚시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 몸에 부착한 상태로 낚시대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낚시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는 민물낚시와 바다낚시 및 루버낚시 등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바다낚시의 경우에는 주로 릴 낚시대를 이용하게 되는데, 갯바위나 방파제 등과 같이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장소에서 주로 낚시질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바다낚시의 경우에는 릴을 이용하여 하게 되는데, 한 장소에서 않아서 하기보다는 대부분이 서서 하기 때문에 낚시 받침대가 없고, 사람이 낚시를 하는 동안 계속해서 낚시대를 들고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낚시대를 계속해서 들고 있게 되면, 양손을 모두 필요로 할 때, 예를 들어 채비를 교체하건, 미끼를 교체할 때, 뜰채 질을 할 때, 담배를 피울때 등과 같은 동작시에는 낚시대를 바닥에 내려놓거나, 아니면 다리 사이 또는 팔과 옆구리 사이에 부자연스럽게 끼워놓고 볼일을 보게 되므로, 불편함이 많다.
또한, 오랜 시간 낚시대를 들고 있으며, 팔이 아프고 힘이 드는데, 특별히 바다에서 서서 하는 낚시질의 경우, 낚시 대를 거치할 마땅한 곳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도 1과 같이 낚시대를 거치할 수 있는 지지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지지장치는, 플레이트형의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일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거치부(12)를 가진다. 상기 본체(11)는 벨트나, 또는 낚시조끼의 소정 부위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12)는 링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거치부(12)에 낚시대를 끼워넣어서 지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지지장치는 사용자들로부터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지적받고 있는 실정이다.
즉, 종래 지지장치의 경우에는, 본체(11)를 견고하게 설치할만한 부분이 없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각기 사용자의 사용방법에 따라서 의도한바 대로 사용하기기 쉽지 않다. 또한, 거치부(12)에 낚시대를 끼우더라도 낚시대의 무게를 충분히 감당하지 못하므로, 낚시대가 흔들리고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거나 하게 되면, 낚시대가 쉽게 빠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를 벨트나 조끼 등에 결합하더라도, 벨트와 조끼 자체가 플렉시블하거나 헐거운 상태이므로, 낚시대를 안정되게 지지하기가 쉽지 않게 되고, 낚시대의 거치높이가 높아지므로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대퇴부에 장착할 수 있으며, 낚시대를 안정되게 지지하고 휴대가 편리하도록 개선된 낚시대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낚시대 지지장치는, 사용자의 대퇴부를 감싸도록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에 결합되며, 낚시대가 끼워져 지지 가능한 홀더; 및 상기 홀더를 상기 본체에 대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대퇴부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메인 지지부와; 상기 메인 지지부의 일단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대퇴부를 적어도 1/2 이상 감싸서 탄력적으로 접촉 지지하는 제1보조 지지부와; 상기 제1보조 지지부에 대칭되도록 상기 메인 지지부의 타단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대퇴부를 적어도 1/2 이상 감싸서 탄력적으로 접촉 지지하는 제2보조 지지부와; 상기 제1보조 지지부가 상기 대퇴부를 감싼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보조 지지부의 양단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보조 지지부의 양단을 연결하여 상기 제2보조 지지부가 상기 대퇴부를 감싼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보조 지지부들의 상기 대퇴부에 밀착되는 면이 상기 메인 지지부의 대퇴부에 밀착되는 면과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보조 지지부들은 상기 메인 지지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는, 상기 제1 및 제2보조 지지부의 일단부에 마련된 제1벨크로부와; 상기 제1벨크로부에 대응되는 제2벨크로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보조 지지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홀더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각도 조절부에 의해 각도 조절 가능하며,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홀더의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낚시대를 거치시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 흡수부재가 설치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기 대퇴부에 접하는 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재가 설치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홀더 각각에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 방향으로 상호 상보적으로 결합 가능한 각도 조절패턴부를 가지는 제1 및 제2결합부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 각각의 각도 조절패턴부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에 연결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가 상대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각도 조절패턴부의 결합위치를 변경 가능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본체 또는 홀더에는 야간에 확인이 가능한 야광부가 마련된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낚시대 지지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의 좌측 또는 우측 대퇴부에 선택적으로 착용이 가능하며, 착용이 안정되고 견고하게 장착이 가능하므로, 낚시대를 안정하게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대퇴부에 장착이 가능하므로, 낚시대를 거치하거나 거치시킨 낚시대를 회수하기 위해서 몸을 숙일 필요가 없으며, 손의 높이에 위하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또한, 낚시대를 거치하는 홀더를 각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서 낚시대를 다양한 각도로 거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낚시대 지지장치를 보관할 때에는 메인 지지부에 대해서 보조 지지부들을 접어서 크기 및 부피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보관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되면, 휴대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대 지지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도 4b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대 지지장치는, 사용자의 대퇴부를 감싸도록 장착가능하며, 낚시대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110)와, 홀더(120) 및 각도 조절부(13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10)는 사용자의 대퇴부(허벅지)를 감싸도록 결합 및 분리 가능하다. 이러한 본체(110)는 대퇴부에; 밀착되는 플레이트형의 메인 지지부(111)와, 메인 지지부(111)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보조 지지부(112)와, 메인 지지부(111)의 타 단에 연결되는 제2보조 지지부(113)와, 제1보조 지지부(112)에 마련되는 제1연결부(114) 및 제2보조 지지부(113)에 마련되는 제2연결부(115)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지지부(111)는 대퇴부의 바깥쪽 측면에 밀착되는 부분으로서, 상하 소정 길이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보조 지지부(112)와 제2보조 지지부(113) 각각은 메인 지지부(111)의 양단에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보조 지지부(112)와 제2보조 지지부(113)는 메인 지지부(111)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도 5 및 도 6의 상태로 회동될 수 있도록 대략 180도 각도 회동되게 연결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서 제1 및 제2보조 지지부(112,113)와 메인 지지부(111)의 연결부분(116)은 도 4b 및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지지부(112) 측에 마련된 제1결합부(116a)와, 상기 메인 지지부(111) 측에 마련된 제2결합부(116b) 및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16a,116b)를 체결하는 회동핀(116c)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16a,116b)는 보조 지지부(112) 및 메인 지지부(111)의 테두리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 지지부들(112,113)은 도 4a의 상태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는 회동 가능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회동되지 않고 탄력적으로 변형만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대퇴부에 밀착되게 착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분(116)은 연성의 재질 예를 들어, 러버재질이나 또는 섬유재질로 마련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제1 및 제2보조 지지부(112,113)와 메인 지지부(111)의 연결부분(116)은 메인 지지부(11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연성의 재질로 연결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연결부(116)는 통상적인 경 첩부재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보조 지지부(112,113)는 메인 지지부(111)의 양단에서 양측으로 각각 분기되게 연장되어 대퇴부를 감싸서 지지하게 된다. 제1 및 제2보조 지지부(112,113)는 구체적으로는 메인 지지부(111)에 회동 가능 즉, 접힐 수 있게 연결되는 몸체(112a,113a)와, 몸체(112a,113a)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게 연결되는 날개부(112b,113b)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112a,113a)는 메인 지지부(111)의 양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112b,113b)는 몸체(112a,113a) 각각의 양측에서 연장되게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대퇴부를 자연스럽게 감쌀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날개부(112b,113b)는 몸체(112a,113a)의 양측에서 회동 내지는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분(117,118)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분(117,118)은 앞서 설명한 연결부분(116)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분(117)은 회동핀(117c)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결합부(117a,117b)를 가진다.
상기 구성의 날개부(112b,113b)는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한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 모두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날개부들(112b,113b)을 이용하여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대퇴부(200)를 밀착한 상태로 감싸도록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마다 대퇴부(200)의 굵기가 다르더라도 상기 날개부들(112b,113b)을 탄력적으로 변형시켜서 장착함으로써 대퇴부(200)에 밀착시켜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114,115)는 제1 및 제2보조 지지부(112,113) 각각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제1벨크로부(114a,115a)와, 제1 및 제2보조 지지부(112,113) 각각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벨크로부(114a,115a)에 결합 가능한 제2벨크로부(114b,115b)를 가지는 밴드부재(114c,115c)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보조 지지부(112,113)가 대퇴부를 감싸도록 장착한 상태에서 밴드부재(114c,115c)를 이용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114,115)는 벨크로 및 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다양한 종류의 연결부재 및 결합부재를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홀더(120)는 본체(110) 즉, 메인 지지부(111)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각도 조절부(130)에 의해 각조 조절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홀더(120)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형상을 가짐으로써, 그 중공(121)에 도 7b와 같이 낚시대(300)를 꽂아서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12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 각각에 충격 흡수부재(123)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충격 흡수부재(123)는 상기 중공(121)에 낚시대를 끼울 때 릴(310) 등이 접촉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이나 섬유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120')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홀더(120')의 경우에는 홀더 몸체(125)를 기준으로 양단 각각에 탄력적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일부가 절개된 홀딩부(124)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홀 딩부(124) 각각에 낚시대(300)를 지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홀딩부(124)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부분이 있기 때문에, 그 절개된 부분으로 낚시대를 강제로 힘을 주어서 빼낼 수도 있다.
상기 각도 조절부(130)는 본체(110)를 사용자의 좌측다리 또는 우측다리에 선택적으로 장착시, 홀더(120)의 자세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일예가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되어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각도 조절부(130)는 본체(110)에 마련되는 제1결합부(131)와, 상기 홀더(120)에 마련되는 제2결합부(132)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31,132)를 연결하는 탄성부재(133)와, 상기 탄성부재(133)가 연결되는 베어링부(134)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31,132)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상호 상보적으로 결합 가능한 각도 조절패턴부(131a,132a)를 가진다. 상기 각도 조절패턴부(131a,132a)는 음각 및 양각이 예를 들어 톱니바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음각 및 양각 패턴으로 형성되어 각도 조절시마다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결합부(131,132)가 서로 접근하여 밀착된 상태에서는 각도 조절패턴부(131a,132a)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홀더(120)의 각도 조절이 불가하고 자세 고정된다. 반대로 제1 및 제2결합부(131,132)를 서로 이격시키게 되면, 각도 조절패턴부(131a,132a)가 서로 분리됨으로써 홀더(12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31,132) 각각은 상기 탄성부재(133)가 수용되는 수용홈(131b,132b)을 가진다.
상기 베어링부(134)는 어느 한쪽 결합부(1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 기 탄성부재(133)가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133)의 일단은 상기 베어링부(133)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결합부(132)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120)의 회동시 탄성부재(133)가 홀더(12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 베어링부(134)와 함께 회전되면서 탄성력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133)는 압축스프링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31,132)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홀더(120)의 각도를 조절하고 싶을 때는 홀더(120)를 잡고 도 9b의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주어 잡아당기게 되면, 제1 및 제2결합부(131,132)의 각도 조절패턴부(131a,132a)가 서로 분리되어 홀더(12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도 조절부(130) 이외에, 산업 전반에 걸쳐서 널리 적용되는 다양한 예의 각조 조절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의 낚시대 지지장치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내측면에는 대퇴부(200)에 착용시 미끄럼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찰계수가 높은 미끄럼 방지부재(103)가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03)는 러버재질 또는 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접착제에 의해 본체(11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외측에는 야간에 확인이 용이하도록 야광부(119)가 더 마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야광부(119)는 띠 형태의 야광부재를 접착시켜 마련할 수도 있고, 야광물질을 페인팅하여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대 지지장치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대퇴부(200)에 본체(110)를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이때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한 제1 및 제2보조 지지부(112,113)가 대퇴부(200)를 감싼 상태로 밀착되어 지지하기 때문에 홀더(120)에 큰 하중의 낚시대가 거치되더라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a와 같은 상태에서 앞서 설명한 각도 조절부(130)를 이용하여 도 7b와 같이 홀더(120)를 원하는 경사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도 조정된 홀더(120)에 낚시대를 꽂아서 지지함으로써, 서서 낚시를 하는 사람은 손을 뻗을 수 있는 위치에서 낚시대를 자유롭게 홀더(120)에 거치하거나 빼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낚시대를 거치하거나 빼내기 위해서 허리를 굽히는 등 불필요한 행동을 할 필요가 없게 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신체 부위 중에서 안정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대퇴부(200)에 지지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낚시대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홀더(12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낚시하는 사람이 오른손잡이거나 왼손잡이에 관계없이 좌측 또는 우측 대퇴부(200)에 선택적으로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낚시를 하지 않고 낚시대 지지장치를 보관시에는, 상기 연결부분(116)을 도 4a의 화살표 A와 같이 180도 각도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보조 지지부(112,113)가 접힌 상태가 됨으로써, 지지장치의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부분들(117,118)을 다시 접은 상태로 상기 연결부(114,115)를 이용하여 보조 지지부들(112,113)의 양단를 연결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날개부들(112b,113b)이 홀더(120)를 감싸는 형태로 유지하게 되어 지지장치 전체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휴대가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낚시대 지지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낚시대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대 지지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b 내지 도 4d 각각은 도 4a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4a의 상태에서 제1 및 제보조 지지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4a에 도시된 낚시대 지지장치를 보관시키기 위하여 변경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4a에 도시된 낚시대 지지장치를 사용자의 대퇴부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8a는 도 4a에 도시된 낚시대 지지장치의 홀더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8b는 낚시대 지지장치의 홀더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도 4a에 도시된 낚시대 지지장치의 각도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본체 111..메인 지지부
112,113..제1 및 제2지지부 114,115..제1 및 제2연결부
120,120'..홀더 130..각도 조절부

Claims (9)

  1. 사용자의 대퇴부를 감싸도록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에 결합되며, 낚시대가 끼워져 지지 가능한 홀더; 및
    상기 홀더를 상기 본체에 대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대퇴부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메인 지지부와;
    상기 메인 지지부의 일단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대퇴부를 적어도 1/2 이상 감싸서 탄력적으로 접촉 지지하는 제1보조 지지부와;
    상기 제1보조 지지부에 대칭되도록 상기 메인 지지부의 타단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대퇴부를 적어도 1/2 이상 감싸서 탄력적으로 접촉 지지하는 제2보조 지지부와;
    상기 제1보조 지지부가 상기 대퇴부를 감싼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보조 지지부의 양단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보조 지지부의 양단을 연결하여 상기 제2보조 지지부가 상기 대퇴부를 감싼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보조 지지부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지지장치.
  2. 삭제
  3. 사용자의 대퇴부를 감싸도록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에 결합되며, 낚시대가 끼워져 지지 가능한 홀더; 및
    상기 홀더를 상기 본체에 대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대퇴부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메인 지지부와;
    상기 메인 지지부의 일단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대퇴부를 감싸서 탄력적으로 접촉 지지하는 제1보조 지지부와;
    상기 제1보조 지지부에 대칭되도록 상기 메인 지지부의 타단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대퇴부를 감싸서 탄력적으로 접촉 지지하는 제2보조 지지부와;
    상기 제1보조 지지부가 상기 대퇴부를 감싼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보조 지지부의 양단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보조 지지부의 양단을 연결하여 상기 제2보조 지지부가 상기 대퇴부를 감싼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보조 지지부들의 상기 대퇴부에 밀착되는 면이 상기 메인 지지부의 대퇴부에 밀착되는 면과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보조 지지부들은 상기 메인 지지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지지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는,
    상기 제1 및 제2보조 지지부의 일단부에 마련된 제1벨크로부와;
    상기 제1벨크로부에 대응되는 제2벨크로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보조 지지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지지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각도 조절부에 의해 각도 조절 가능하며,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지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낚시대를 거치시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 흡수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지지장치.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홀더 각각에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 방향으로 상호 상보적으로 결합 가능한 각도 조절패턴부를 가지는 제1 및 제2결합부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 각각의 각도 조절패턴부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에 연결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가 상대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각도 조절패턴부의 결합위치를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지지장치.
  9. 사용자의 대퇴부를 감싸도록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에 결합되며, 낚시대가 끼워져 지지 가능한 홀더; 및
    상기 홀더를 상기 본체에 대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또는 홀더에는 야간에 확인이 가능한 야광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지지장치.
KR1020080043979A 2008-03-17 2008-05-13 낚시대 지지장치 KR100862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346 2008-03-17
KR20080024346 2008-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2373B1 true KR100862373B1 (ko) 2008-10-13

Family

ID=40152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979A KR100862373B1 (ko) 2008-03-17 2008-05-13 낚시대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3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4017B2 (en) * 2018-12-28 2022-05-31 Trent A. Shakal Tip-down fishing rod hold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5286U (ja) * 1994-06-16 1994-12-13 株式会社ヨーヅリ 腕用竿受け具
JPH09322683A (ja) * 1996-05-27 1997-12-16 Meimei Sha 装着式釣竿支え装置
KR200321128Y1 (ko) 2003-04-23 2003-07-23 박칠만 낚싯대받침대
KR20040036471A (ko) * 2002-10-26 2004-04-30 김성범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
KR200405124Y1 (ko) 2005-10-04 2006-01-10 정덕진 착용식 낚싯대 거치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5286U (ja) * 1994-06-16 1994-12-13 株式会社ヨーヅリ 腕用竿受け具
JPH09322683A (ja) * 1996-05-27 1997-12-16 Meimei Sha 装着式釣竿支え装置
KR20040036471A (ko) * 2002-10-26 2004-04-30 김성범 인체에 착용하는 낚싯대 받침장치
KR200321128Y1 (ko) 2003-04-23 2003-07-23 박칠만 낚싯대받침대
KR200405124Y1 (ko) 2005-10-04 2006-01-10 정덕진 착용식 낚싯대 거치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4017B2 (en) * 2018-12-28 2022-05-31 Trent A. Shakal Tip-down fishing rod hol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8880B2 (en) Support apparatus
US20220176548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xoskeleton attachment
US7621066B1 (en) Fishing rod holder
JP2010538769A5 (ko)
US8424731B2 (en) Child carrier
JP5824528B2 (ja) 管楽器用支持具
JP2004261531A (ja) 肩関節脱臼急性期固定用装具
CA3010299A1 (fr) Structure d&#39;exosquelette pour l&#39;assistance a l&#39;effort d&#39;un utilisateur
US7901371B1 (en) Posture correcting back brace
KR101167825B1 (ko) 배낭용 프레임
US6557292B1 (en) Fishing rod support device
CN203562188U (zh) 吉他托架
KR100862373B1 (ko) 낚시대 지지장치
ES2462949T3 (es) Dispositivo de soporte dorsal ajustable
US10172724B2 (en) Harness for upper extremity below-elbow prosthesis
WO1997013557B1 (en) Swing trainer
US9504300B1 (en) Wearable hands-free support for mobile devices
JP2013138767A (ja) 肩傘
JP6626284B2 (ja) 膝関節運動用支持具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468599Y1 (ko) S자형 곡면 등판부가 구비된 배낭
JP6456719B2 (ja) 楽器ホルダー
KR200381850Y1 (ko) 손목보호용 낚시대 거치구
FR3028734A1 (fr) Dispositif et ensemble de portage d&#39;une charge par un utilisateur
JP6360416B2 (ja) 肩痛緩和装具
KR20160115162A (ko) 전후 이동 가능한 백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