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694B1 - 공중 이동 통신망 선택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중 이동 통신망 선택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694B1
KR100860694B1 KR1020020006797A KR20020006797A KR100860694B1 KR 100860694 B1 KR100860694 B1 KR 100860694B1 KR 1020020006797 A KR1020020006797 A KR 1020020006797A KR 20020006797 A KR20020006797 A KR 20020006797A KR 100860694 B1 KR100860694 B1 KR 100860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plmn
communication network
public mobile
pub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7008A (ko
Inventor
황선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6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694B1/ko
Publication of KR20030067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69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공중 이동 통신망의 선택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공중 이동 통신망 선택 시 미리 저장되어 있는 공중 이동 통신망 정보들을 사용자가 있는 환경에 맞게 동적으로 수정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공중 이동 통신망(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선택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공중 이동 통신망(PLMN)들과 각각의 공중 이동 통신망(PLMN)마다 위치 업 데이트 성공 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위치 업 데이트 성공 횟수가 많은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순으로 우선 순위를 저장하는 동적 선택 테이블을 구비하는 과정과, 이동 통신망 선택이 필요할 경우 상기 동적 선택 테이블에서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의 우선 순위 순서에 따라 수신 전계 강도가 미리 설정된 한계치 이상인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의 위치 업 데이트 성공 횟수를 증가시켜서 상기 동적 선택 테이블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공중 이동 통신망 선택을 제어하는 발명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공중 이동 통신망 선택 시에 사용된다.
공중 이동 통신망, 가입자 식별 모듈, 로밍 서비스.

Description

공중 이동 통신망 선택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PUBLIC LAND MOBILE NETWORK SELEC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중 이동 통신망 선택 제어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일반적인 GSM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공중 이동 통신망을 식별하기 위한 국제 이동 통신 가입자 번호 체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중 이동 통신망 선택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선택된 공중 이동 통신망 차단 시 다른 공중 이동 통신망 선택 제어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공중 이동 통신망(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선택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가 파워가 온(on)이 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파워 온(on)상태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해당하는 공중 이동 통신망(PLMN)들의 기지국을 통해 통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어느 한 곳의 지역에 기지국을 각 사업자별로 별도로 다 세워야 하기 때문에 기지국의 수가 너무 많아진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자신의 기지국 이외의 기지국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로밍(ROAMING) 서비스를 하게 되었다. 상기 로밍(ROAMING) 서비스는 주로 유럽에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로밍(ROAMING)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사업자간에 기지국을 공동으로 쓰겠다는 계약을 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로밍(ROAMING) 서비스는 011-017 간이나, 018-016 간의 서로 다른 사업자의 기지국을 사용할 수 있게 공유함으로써, 전파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로밍(ROAMING) 서비스는 서로 다른 이동 통신 영역 시스템들간의 호환성 문제를 범 유럽적인 통신 시스템 구조를 만들기 위해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의 통신 기술로 발전하게 되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GSM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로밍(Roaming) 서비스가 되는 GSM 단말기이다. 상기 로밍(Roaming)서비스를 하기 위해서 상기 GSM 단말기에는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선택 기능이 있다. 그리고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선택 기능에는 선택 모드를 설정하는 기능과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될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상기 GSM 단말기는 상기 이동 통신망 선택 절차에서 GSM 스펙 3.22에 정의되어 있는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선택 우선권에 따라서 도 1과 같은 순서로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하는 제어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라 GSM 단말기에서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GSM 단말기의 파워가 온(on)상태가 되면 100 단계에서 GSM 단말기의 제어부는 가입자 식별 모듈 내에 등록되어 있는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한다. 상기 등록된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은 GSM 단말기에서 파워 온(on) 시에 처음 화면에 표시되는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말한다. 예를 들어 상기 파워 온(on)시에 GSM 단말기 화면에 "016"이라고 표시가 되면, 상기 "016"에 해당하는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상기 GSM 단말기가 처음으로 선택하려고 하였음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016"에 해당하는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은 상기 GSM 단말기가 파워 오프(OFF)되었을 때의 마지막으로 통신하고 있던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의미한다.
상기 10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이 선택이 되었는지를 102 단계에서 검사를 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이 선택이 되었으면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104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이 선택되지 않아서 진행한 상기 104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홈 공중 이동 통신망(HPLMN : 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선택하게 된다. 상기 홈 공중 이동 통신망(HPLMN)이란 유럽적인 통신 시스템인 GSM의 통신 기술에서 사용되는 가입자 식별 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213)에 저장 등록되어 있는 이동 통신망을 말한다. 예를 들어 "016" 가입자의 홈 공중 이동 통신망(HPLMN)은 "016"이 되고, "011" 가입자의 홈 공중 이동 통신망(HPLMN)은 "011"이 되는 것이다. 이런 홈 공중 이동 통신망(HPLMN)은 가입자가 가입한 국가에 종속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GSM 방식의 시스템에서는 가입자 식별 모듈(SIM)에 저장 등록되어 있는 것과 일치한다.
상기 106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104 단계에서 홈 공중 이동 통신망(HPLMN)이 선택되었는지 검사하고, 상기 홈 공중 이동 통신망(HPLMN)이 선택이 되었으면 종료를 하고 그렇지 않으면 108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8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가입자 식별 모듈(SIM : Subscriber Identity Module)내에 미리 우선 순으로 저장되어 있는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이 016-018-017-011 순으로 저장이 되어 있으면, 처음에는 상기 제어부가 "016"에 해당하는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한다. 상기 "016"에 해당하는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이 미리 정해져 있는 수신 전계 강도 이상이 되지 않아서 선택이 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두 번째의 순서인 상기 "018"에 해당하는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한다. 이후에도 선택된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이 미리 정해져 있는 수신 전계 강도 이상이 되지 않으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저장되어 있는 순서로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의 선택을 시도한다.
상기 100 단계와 104 단계와 108 단계에서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이 선택이 되지 않으면, 112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 전계 강도가 -85dBm 이상인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중에 랜덤하게 하나의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한다. 그리고 114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이 선택이 되었는지를 검사하고,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이 선택이 되었으면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116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16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 전계 강도 -85dBm 이하에서 최고치 신호 강도를 보내는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하고 종료한다.
이와 같이 현재에는 상기와 같은 순서로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한다. 이렇게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선택 절차에 사용되는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은 미리 셋팅(setting)되어 있다. 이때, 상기 미리 셋팅(setting)된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들은 사용자가 임의로 입력한 값이다. 또는 사용자가 처음 단말을 구입했을 때, 가입자 식별 모듈(SIM : Subscriber Identity Module)내에 초기 값으로 셋팅(setting)된 공중 이동 통신망(PLMN)들이 그대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셋팅(setting)된 공중 이동 통신망(PLMN)들은 사용자에 의해 우선 순위가 수정될 수 있지만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추가할 수는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국내에서 이용하던 GSM 단말기를 가지고 다른 국가로 이동해서 로밍(ROAMING) 서비스를 받게 된다면 상기와 같은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은 선택 순서가 미리 셋팅(setting)되어 있는 상기 공중 이동 통신(PLMN)망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선택된다. 이때,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SIM)에 저장된 공중 이동 통신망(PLMN)들은 실제 필드에서는 없는 공중 이동 통신망(PLMN)들이다. 따라서 GSM 단말기는 파워 온(on)시 현재 다른 국가에서 서비스 중인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필드에는 없는 공중 이동 통신망(PLMN)에 대한 선택 절차를 수행하려는 시도를 하게 되기 때문에 로밍(ROAMING) 서비스를 받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불필요한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선택 시도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가 많이 생기는 문제점과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선택에 있어서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선택 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사용자의 환경에 맞게 동적으로 수정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선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선택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공중 이동 통신망(PLMN)들과 각각의 공중 이동 통신망(PLMN)마다 위치 업 데이트 성공 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위치 업 데이트 성공 횟수가 많은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순으로 우선 순위를 저장하는 동적 선택 테이블을 구비하는 과정과, 이동 통신망 선택이 필요할 경우 상기 동적 선택 테이블에서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의 우선 순위 순서에 따라 수신 전계 강도가 미리 설정된 한계치 이상인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의 위치 업 데이트 성공 횟수를 증가시켜서 상기 동적 선택 테이블을 갱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선택을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GSM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 및 각 구성들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211)는 GSM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211)는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11)는 파워 온(ON)시 최근 공중 이동 통신망(PLMN)과 위치 업 데이트 성공 횟수에 따른 우선 순위가 저장된 동적 선택 테이블이 설정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동적 선택 테이블이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211)는 상기 동적 선택 테이블의 우선 순위에 따라 선택 횟수가 가장 많은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순차적으로 선택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11)는 상기 선택된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이 선택된 횟수만큼 선택 횟수를 증가시키고, 선택 횟수가 가장 많은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순으로 우선 순위를 변경하여 상기 동적 선택 테이블을 갱신하도록 수행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도 4와 도 5의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선택 제어 흐름도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무선부(212)는 주파수 대역의 무선 채널로 수신되는 주파수의 신호를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면, 이를 대역 하강 변환하고 데이터의 종류를 구별하여 상기 제어부(211)로 출력하거나 또는 음성 처리부(217)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무선부(212)로부터 상기 제어부(211)로 출력되는 데이터는 문자 데이터 또는 페이징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페이징 신호 및 시그널링 신호들이 된다. 그리고 상기 음성 처리부(217)로 출력되는 데이터는 음성 호가 설정된 경우에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가 된다. 또한 상기 무선부(212)는 상기 제어부(211)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음성 처리부(217)로부터 수신되는 코드화된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대역 상승 변환하여 안테나(ANT)를 통해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로 변환한 후 출력한다.
가입자 식별 모듈(SIM : Subscriber Identity Module)(213)은 주로 유럽에서 사용이 되는 모듈로써, 국제 이동 통신 가입자 번호(IMSN :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Number)와 개인 식별 번호(PIN :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가 저장된다. 또한 가입자 식별 모듈(SIM)은 각 공중 이동 통신망(PLMN)에 해당하는 로밍 주파수와 동적 선택 테이블 및 정적 선택 테이블을 저장한다. 상기 동적 선택 테이블은 하기 설명되는 <표 1> 및 <표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정적 선택 테이블은 하기 설명되는 <표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SIM)(213)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안에 삽입할 수 있는 카드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동적 선택 테이블과 상기 정적 선택 테이블은 가입자 식별 모듈(SIM)(213)과 메모리(216)를 분리하여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SIM)(213)에 저장을 했지만, 메모리(216)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국제 이동 통신 가입자 번호(IMSN) 체계는 도 3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상기 도 3은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식별하기 위한 국제 이동 통신 가입자 번호(IMSN)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국제 이동 통신 가입자 번호(IMSN)에서 첫 번째 세자리 수는 이동 통신 서비스 국가 코드(MCC : Mobile Country Code)이다. 예를 들어 05인 이동 통신 서비스 국가 코드는 호주를 나타내고, 234인 이동 통신 서비스 국가 코드는 영국을 나타낸다. 상기 이동 통신 서비스 국가 코드(MCC : Mobile Country Code) 다음의 두자리 수는 망 제공자의 고유한 식별자인 이동 통신 망 코드(MNC : Mobile Network Cord)를 나타내고, 또한 공중 이동 통신망(PLMN)으로 불린다. 예를 들어, 01인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은 텔레콤 오스트레일리아 회사를 나타낸다. 상기 국제 이동 통신 가입자 번호의 나머지 부분은 이동 통신 가입자 식별 코드(MSIC : Mobile Subscriber Identification Code)를 이루고, 이것은 고객 식별 코드 번호를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SIM)(213)에는 초기 값으로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이 셋팅(setting)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SIM)(213)에는 상기 셋팅(setting) 된 공중 이동 통신망(PLMN)과 사용자가 최근에 위치 업 데이트(up date) 과정을 거쳐서 등록된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이 상기 위치 업 데이트(up date)를 시도한 성공 횟수와 함께 저장된다.
이때,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위치 업 데이트 성공 횟수가 높을수록 우선 순위가 높아진다. 여기서 상기 위치 업 데이트 과정이란, 이동 통신 단말기 파워 온(on)시에 해당하는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또는 상기 선택된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이 미리 설정된 수신 전계 강도보다 낮아져 차단이 되는 경우에 다시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도 4 및 도 5의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선택 제어 흐름도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SIM)(213)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동적 선택 테이블을 예를 들어 도시하면 하기 <표 1>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Figure 112002003927074-pat00001
상기 <표 1>에 도시된 각 필드들은 순번, 최근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위치 업 데이트 성공 횟수를 나타낸다. 순번 0인 첫 번째 필드를 보면 최근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이 "001 01"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001 01"의 "001"은 이동 통신 서비스 국가 코드(MCC)에 해당하는 것이다. 또한 "01"은 이동 통신 망코드(MNC)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이 "01"에 해당하는 망을 선택했음을 말한다. 또한 상기 위치 업 데이트 성공 횟수가 3이므로 상기 <표 1>에서 가장 높은 성공 횟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우선 순위를 1로 둔다.
즉,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SIM)(213)은 사용자가 최근에 위치 업 데이트 과정을 거쳐서 등록한 공중 이동 통신망(PLMN)들의 정보를 저장해 놓는다. 또한 위치 업 데이트 과정을 시도해 성공한 횟수도 같이 저장해 놓는다.
상기의 경우는 사용자가 상기 동적 선택 테이블을 설정해 놓은 시에 필드에 따라 상기 위치 업 데이트 성공 횟수값을 비교해서 순위를 변경하여 갱신하도록 한다.
상기 <표 1>의 동적 선택 테이블이 갱신되는 예를 도시하면 하기 <표 2>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 상기 <표 1>과 상기 <표 2>를 참조하여 동적 선택 테이블이 갱신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Figure 112002003927074-pat00002
상기 <표 2>는 상기 <표 1>을 토대로 하여 업 데이트를 통해 새로운 우선권을 갖고 구성된다. 상기 <표 1>에서 업 데이트를 통해 우선 순위가 2인 "011 02"에 해당하는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이 선택되어 상기 위치 업 데이트 성공 횟수가 증가하게 되면, 우선 순위가 2인 "001 02"에 해당하는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은 상기 위치 업 데이트 성공 횟수가 4로 저장이 된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상기 업 데이트하기 전의 우선 순위가 1인 "001 01"에 해당하는 최근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은 업 데이트를 하고 난 후에는 상기 <표 2>에서 우선 순위가 2가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위치 업 데이트 성공 횟수에 따라 순번 0과 순번 1의 우선 순위가 바뀐다. 즉, 업 데이트를 통해 선택된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의 횟수가 증가되면, 상기 위치 업 데이트 성공 횟수를 비교하여 다시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의 우선 순위를 변경한 후 동적 선택 테이블인 <표 1>이 <표 2>로 갱신된다.
상기 업 데이트 과정은 주기적으로 반복되게 하거나 아니면 새로운 상기 이동 통신망 정보들로 업 데이트 될 때마다 새롭게 작성되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위치 업 데이트를 성공한 횟수가 가장 높은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들을 상기 위치 업 데이트의 횟수가 높은 순서대로 저장된 동적 선택 테이블에 있는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정보들과 비교해 가면서 스택(stack)방식으로 위에서부터 채워지도록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상기 동적 선택 테이블을 이용해서 상기 우선 순위 순으로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선택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동적 선택 테이블이 설정이 되지 않을 시에는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라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하게 된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라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하기 위해서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SIM)(213)에는 정적 선택 테이블이 저장이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정적 선택 테이블이란 미리 셋팅(setting)된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들을 사용자가 임의로 입력한 값이다. 또는, 사용자가 처음 단말을 구입했을 때, 가입자 식별 모듈(SIM) 내에 초기 값으로 셋팅(setting)된 공중 이동 통신망(PLMN)들을 의미한다.
상기 정적 선택 테이블의 예를 도시하면 하기 <표 3>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Figure 112002003927074-pat00003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상기 각 필드들은 우선 순위,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나타낸다. 상기 정적 선택 테이블은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이 필요할 경우에 상기 우선 순위 순서에 따라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한다. 즉,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이 필요할 경우에 상기 첫 번째 우선 순위의 01에 해당하는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먼저 선택 시도를 한다. 상기 01에 해당하는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의 미리 저장되어 있는 수신 전계 강도 이하가 되면, 두 번째 우선 순위의 02에 해당하는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 시도를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한다.
상기 정적 선택 테이블은 상기 동적 선택 테이블에 해당하는 상기 <표 1>과 <표 2>와 같은 순위 변경 없이 단지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의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214)는 단말기 현재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 변화를 표시한다. 또한 수신 단문 메시지 등을 표시한다. 이런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등과 같은 표시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키 입력부(215)는 일반적으로 키 매트릭스 구조로 구성이 된다. 상기 키 입력부(215)는 다수의 숫자 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키 데이터의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부(211)로 출력한다.
한편, 메모리(216)는 제어부(211)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을 임시 저장하거나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216)는 수신된 단문 메시지 및 전화번호 테이블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메모리(216)는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전기적으로 프로그램이 가능한 이이피롬(EEPROM)과 램(RAM)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SIM)(213)을 따로 두어 개인 정보 및 동적 선택 테이블, 정적 선택 테이블 등을 저장하였지만, 이를 상기 메모리(216)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처리부(217)는 일반적으로 보코더(VOCODER)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11)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음성 처리부(217)는 마이크(MIC)에 의해 입력된 전기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무선부(212)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음성 처리부(217)는 상기 무선부(212)로부터 입력된 부호화 된 음성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K)로 출력하고, 스피커(SPK)는 이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이제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GSM 단말기에서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선택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GSM 단말기의 파워가 온(on)상태가 되면 400 단계에서 제어부(211)는 동적 선택 테이블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동적 선택 테이블이 설정되어 있으면 404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02 단계로 진행하여 통상 모드를 수행한다. 여기서 "통상 모드"는 도 2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라 제어부(211)가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SIM)(213)내에 미리 셋팅(setting)되어 있는 공중 이동 통신망(PLMN)순으로 선택하는 과정을 말한다.
상기 동적 선택 테이블이 설정되어 있어 진행한 404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1)는 상기 동적 선택 테이블에 따라 최고 우선 순위의 공중 이동 통신망(PLMN)순으로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한다.
406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1)는 상기 404 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에 해당하는 카운터를 증가시킨다. 상기 카운터는 위치 업 데이트에 따른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의 선택이 성공한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말한다.
상기 선택된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위치 업 데이트 성공 횟수 카운터를 증가시킨 것을 바탕으로 408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1)는 상기 위치 업 데이트 성공 횟수 카운터 값을 비교하여 우선 순위를 변경한 후 동적 선택 테이블을 갱신한다. 상기 제어부(211)는 상기 갱신된 동적 선택 테이블을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SIM)(213)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211)는 동적 선택 테이블을 갱신하여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SIM)(213)에 저장을 하고, 410 단계에서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대기 상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일반적인 대기 상태를 말한다.
즉, 상기 새롭게 갱신된 동적 선택 테이블의 상기 우선 순위는 사용자가 자주 위치하고 있는 곳의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에 우선권을 주어 파워 온(on)이 되었을 때, 가장 먼저 선택을 시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우선 순위 순으로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을 시도 할 시에 미리 정해 놓은 수신 전계 강도 이상이 되는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동적 선택 테이블에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이 미리 정해 놓은 수신 전계 강도 이하가 되면, 그 다음으로 우선 순위가 높은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 시도를 하게 된다. 상기 두 번째로 시도한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도 미리 정해 놓은 수신 전계 강도 이하가 되면 그 다음의 우선 순위를 가지는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하도록 시도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 시도를 하고, 상기 동적 선택 테이블에 있는 모든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 시도한 후에도 선택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미리 정해 놓은 수신 전계 강도 이하에서 가장 높은 상기 수신 전계 강도를 보내는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선택된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차단 시 다른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선택 제어 흐름도이다. 그러면 이하에서 선택된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차단 시 다른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500 단계에서 제어부(211)는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대기 상태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이벤트가 일어나기를 기다리는 상태이다. 502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1)는 무선부(212)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가 0에 가까운지를 검사한다. 상기 "수신 전계 강도"는 상기 무선부(212)가 수신하는 신호들의 세기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과 차단되는 수신 전계 강도의 한계치를 0으로 두어서 검사를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상기 수신 전계 강도를 다른 값으로 두어 미리 저장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211)는 상기 수신 전계 강도 검사 결과 0에 가까우면 504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522 단계로 진행하여 대기 상태를 수행한다. 상기 "대기 상태"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이벤트가 일어나기를 기다리는 상태이다.
만약, 상기 수신 전계 강도가 0에 가깝게 되면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과정에 따라 GSM 단말기는 선택된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과 차단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 진행된 504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211)는 타이머(218)를 셋(set)시킨다. 상기 타이머(218)가 셋(set)되면 상기 제어부(211)는 506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06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1)는 미리 정해져 있는 상기 타이머(218)의 주기가 오버(over)되는지를 검사한다. 만약, 상기 검사 결과 미리 정해져 있는 상기 타이머(218)의 주기가 오버(over)가 되면 512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508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08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1)는 타이머(218)를 계속해서 구동하도록 수행한다. 그리고 51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1)는 다시 한번 502 단계와 같이 무선부(112)로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가 0에 가까운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무선부(212)로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가 0에 가까우면 506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522 단계로 진행하여 대기 상태를 수행한다. 상기 대기 상태는 상기 500 단계에서 설명한 대기 상태와 동일하다.
상기 506 단계에서 타이머(218)의 주기가 오버(over)가 되어서 진행한 512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1)는 동적 선택 테이블이 설정되어 있는 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동적 선택 테이블이 설정되어 있으면 516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514 단계로 진행하여 통상 모드를 수행한다. 여기서 "통상 모드"는 도 2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라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상 모드에서는 상기 정적 선택 테이블의 순위 변동이 없는 우선 순위 순서로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선택을 시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동적 선택 테이블이 설정되어 있어 진행한 516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1)는 동적 선택 테이블에 따라 최고의 우선 순위 공중 이동 통신망(PLMN)순으로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한다.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선택시에는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동적 선택 테이블에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부터 선택을 시도한다. 상기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이 미리 정해 놓은 수신 전계 강도 이하가 되면, 그 다음으로 우선 순위가 높은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 시도를 하게 된다. 상기 두 번째로 시도한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도 미리 정해 놓은 수신 전계 강도 이하가 되면 그 다음의 우선 순위를 가지는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하도록 시도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 시도를 하고, 상기 동적 선택 테이블에 있는 모든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 시도한 후에도 선택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미리 정해 놓은 수신 전계 강도 이하에서 가장 높은 상기 수신 전계 강도를 보내는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하도록 한다.
이후, 518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1)는 상기 516 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에 해당하는 카운터를 증가시킨다. 상기 카운터는 위치 업 데이트에 따른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선택 성공 횟수를 나타낸다.
상기 선택된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위치 업 데이트 성공 횟수 카운터를 증가시킨 것을 바탕으로 52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1)는 상기 위치 업 데이트 성공 횟수 카운터를 비교하여 동적 선택 테이블의 우선 순위를 변경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11)는 상기 변경된 순위와 상기 증가된 위치 업 데이트 성공 횟수 필드를 동적 선택 테이블을 갱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11)는 상기 갱신된 동적 선택 테이블을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SIM)(213)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어부(211)는 새로운 동적 선택 테이블을 갱신하여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SIM)(213)에 저장을 하고 522 단계에서 대기 모드를 수행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다 효과적인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선택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네트워크 사업자들의 로밍(ROAMING) 계약이 바뀌더라도 위치 업 데이터 정보에 따라서 그 때마다 새로운 동적 선택 테이블이 만들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의 동적 선택 테이블에 따른 우선 순위를 고려해서 적합하지 않은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선택을 방지하고, 빠르고 효율적인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선택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선택 시도가 없어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공중 이동 통신망(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선택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공중 이동 통신망(PLMN)들과 각각의 공중 이동 통신망(PLMN)마다 위치 업 데이트 성공 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위치 업 데이트 성공 횟수가 많은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순으로 우선 순위를 저장하는 동적 선택 테이블을 구비하는 과정과,
    이동 통신망 선택이 필요할 경우 상기 동적 선택 테이블에서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의 우선 순위 순서에 따라 수신 전계 강도가 미리 설정된 한계치 이상인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의 위치 업 데이트 성공 횟수를 증가시켜서 상기 동적 선택 테이블을 갱신하는 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공중 이동 통신망 선택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과정은,
    상기 이동 통신망 선택 시 상기 동적 선택 테이블에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공중 이동 통신망(PLMN)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의 수신 전계 강도가 미리 설정된 한계치 이상인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과정에서 미리 설정된 한계치 이상의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이 검출되면 상기 검출된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공중 이동 통신망 선택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과정에서,
    상기 동적 선택 테이블에 있는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이 모두 수신 전계 강도 한계치 이하가 될 경우에는 상기 공중 이동 통신망(PLMN) 중 가장 높은 수신 전계 강도를 가지는 공중 이동 통신망(PLMN)을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공중 이동 통신망 선택 제어 방법.
  4. 삭제
KR1020020006797A 2002-02-06 2002-02-06 공중 이동 통신망 선택 제어 방법 KR100860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797A KR100860694B1 (ko) 2002-02-06 2002-02-06 공중 이동 통신망 선택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797A KR100860694B1 (ko) 2002-02-06 2002-02-06 공중 이동 통신망 선택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008A KR20030067008A (ko) 2003-08-14
KR100860694B1 true KR100860694B1 (ko) 2008-09-26

Family

ID=32220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797A KR100860694B1 (ko) 2002-02-06 2002-02-06 공중 이동 통신망 선택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6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625B1 (ko) * 2005-11-09 2013-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우선순위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망들간의 자동 핸드오버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6338A (en) * 1994-12-22 1996-12-17 Bell Atlantic Mobile Systems, Inc. System identification (SID) list for selecting operating frequencies
WO2000070901A1 (en) * 1999-05-14 2000-11-23 Ericsson, Inc. Sele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 a multiple communication mode environment
WO2001001666A1 (en) * 1999-06-29 2001-01-04 Sony Electronics Inc. Wireless communication fringe coverage enhancement
WO2001054435A1 (en) * 2000-01-21 2001-07-26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Intelligent roaming database (irdb) updat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6338A (en) * 1994-12-22 1996-12-17 Bell Atlantic Mobile Systems, Inc. System identification (SID) list for selecting operating frequencies
WO2000070901A1 (en) * 1999-05-14 2000-11-23 Ericsson, Inc. Sele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 a multiple communication mode environment
WO2001001666A1 (en) * 1999-06-29 2001-01-04 Sony Electronics Inc. Wireless communication fringe coverage enhancement
WO2001054435A1 (en) * 2000-01-21 2001-07-26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Intelligent roaming database (irdb) upda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008A (ko) 200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1160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locally block incoming selected calls
EP180214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emergency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634214B1 (ko) 휴대 단말기의 공중 이동 통신망 선택 방법 및 장치
US6185436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703481B1 (ko) 멀티밴드 지원 단말기에서의 자동 주파수밴드 설정 방법
US20080200169A1 (en) Method of scanning for a network using a preferred radio access technology
KR100282958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
US20020068574A1 (en) Network selection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EP3468260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erminal, and smart card
US20070133665A1 (en) Network aware mobile devices and operations
US20060270402A1 (en) Mobile radio terminal apparatus
US9131359B2 (en)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portable terminal and system therefor
US7512107B2 (e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tting time according to present location information, and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time using the same
KR100860694B1 (ko) 공중 이동 통신망 선택 제어 방법
CN100444673C (zh) 语音邮件提示信息处理方法及其移动通信终端
KR10117015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종망 부가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20040082310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switch device using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KR19990015555A (ko) 지에스엠시스템에서 지에스엠이동단말기에 의한 쇼트메시지관리방법
EP181688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cket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5057518A (ja) 携帯端末におけるローミング呼制御方式およびその方法
KR20040048275A (ko) 착신 및 발신 전화번호의 다양한 검색 및 저장 기능을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080261589A1 (en) Mobile radio terminal
KR20050072199A (ko) 로밍 상태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착신번호 입력 방법
KR100977993B1 (ko) 이동단말기의 수신거부 방법
KR100969874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에스엠에스메시지 제한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