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5555A - 지에스엠시스템에서 지에스엠이동단말기에 의한 쇼트메시지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지에스엠시스템에서 지에스엠이동단말기에 의한 쇼트메시지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5555A
KR19990015555A KR1019970037709A KR19970037709A KR19990015555A KR 19990015555 A KR19990015555 A KR 19990015555A KR 1019970037709 A KR1019970037709 A KR 1019970037709A KR 19970037709 A KR19970037709 A KR 19970037709A KR 19990015555 A KR19990015555 A KR 19990015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identification numb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ervic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형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7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5555A/ko
Priority to KR1019980029555A priority patent/KR19990023228A/ko
Priority to EP98114920A priority patent/EP0896485A3/en
Priority to CN98117910A priority patent/CN1226791A/zh
Publication of KR19990015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55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 H04M3/53366Message disposing or creating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지에스엠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한 쇼트메시지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에 저장된 쇼트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삭제, 수정할 수 있는 지에스엠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한 쇼트메시지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지에스엠 시스템에서 쇼트메시지 관리방법에 있어서,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의 메모리에 저장된 쇼트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기가 삭제, 수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지에스엠 시스템의 쇼트메시지 서비스에 이용한다.

Description

지에스엠 시스템에서 지에스엠 이동단말기에 의한 쇼트메시지 관리방법
본 발명은 지에스엠시스템의 쇼트메시지서비스의 쇼트메시지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에 저장된 쇼트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저장, 삭제할 수 있는 지에스엠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한 쇼트메시지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GSM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단말기(10,20)는 GSM 단말기로서 음성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서브시스템(Base Station Subsystem:이하 BSS라 한다)(30, 40)는 하나 이상의 무선기지국과 무선기지국제어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BSS(30)는 상기 이동단말기(10)와 무선링크를 형성하고, 무선링크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데이터와 음성을 출력하고, 입력된 데이터와 음성을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송신한다.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60)는 GSM 이동단말기(10, 20)로부터 가입자 상호간에 짧은 문자메시지나 음성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모빌스위칭센터(Mobile Switching Center:이하 MSC라 한다)(50)는 상기 BSS(30)로부터 복조된 데이터와 음성신호를 해당 가입자가 등록되어 있는 BSS로 스위칭한다. 또한 BSS로부터 쇼트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60)로 스위칭한다.
도2는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구성도이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면,
도2는 GSM단말기의 일반적인 블록구성도이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구성을 설명하면, 제어부(1)는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의 쇼트메시지를 관리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2)(2)는 쇼트메시지그룹 전송에 대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키입력부(3)는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들을 구비하고, 상기 키들의 입력에 대해 키데이터를 발생한다. 표시부(4)는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키데이터가 입력되면 이를 표시하고, 또한 단말기의 동작상태 등을 표시한다. 오디오부(6)는 입력되는 음성을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무선주파수부(RF부)(5)는 안테나(AT)를 통해 입력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음성신호와 데이터를 분리하고, 음성신호는 오디오부(6)로, 데이터는 제어부(1)로 출력한다.
도3은 일반적인 지에스엠 이동단말기에서의 쇼트메시지 등록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3을 참조하고 GSM단말기(10)의 사용자가 GSM이동단말기(20)의 사용자에게 쇼트메시지를 보낼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우선 GSM이동단말기(10)의 201단계에서 파워가 온되면 제어부(1)는 202단계에서 대기상태에 있게된다. 203단계에서 제어부(1)는 키입력부(3)로부터 메시지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조사하고 메시지키가 입력되면 204단계에서 제어부(1)는 메시지 메뉴를 표시부(4)에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메뉴가 디스플레이 되면 205단계에서 제어부(1)는 SMS메시지가 선택되었는지를 조사하고, SMS메시지가 선택되면 제어부(1)는 SMS메시지 메뉴를 디스플레이 한다. 제어부(1)는 206단계와 207단계에서 셀룰라 메시지 텔리서비스(Cellular Message Teleservice:이하 CMT라 한다)가 선택되었는지 셀룰라 페이징 텔리서비스(Cellular Paging Teleservice:이하 CPT라 한다)가 선택되었는지를 조사한다. CMT가 선택되면 제어부(1)는 208단계로 진행해 쇼트메시지 식별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구한다. 상기 식별번호 입력요구 후 209단계에서 제어부(1)는 식별번호가 입력되었는지를 조사한다. 식별번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는 210단계로 진행하고, 식별번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211단계로 돌아가 식별번호를 입력할 것을 계속적으로 요구한다. 210단계에서는 입력된 쇼트메시지 식별번호를 메모리(2)에 저장한다. 식별번호가 메모리(2)에 저장되면 제어부(1)는 211단계에서 메시지를 입력할 것을 요구한다. 상기 메시지 입력 요구 후, 212단계에서 제어부(1)는 메시지가 입력되었는지를 조사한다. 메시지가 입력되면 제어부(1)는 메시지를 저장하고 발신측 전화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구한다. 상기 발신측 번호 요구 후, 213단계에서 제어부(1)는 발신측 번호가 입력되었는지를 조사한다. 상기 발신측 번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는 발신측 번호를 저장하고, 착신측 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구한다. 상기 발신측 번호 요구 후, 214단계에서 제어부(1)는 착신측 번호가 입력되었는지를 조사한다. 상기 과정에서 착신측 번호가 입력되면 215단계에서 쇼트메시지 송신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조사하고, 입력되면 216단계에서 메시지를 송신한다.
도4는 일반적인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에서의 쇼트메시지 처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쇼트메시지 301단계에서 서비스센터(60)는 도3의 216단계에서 GSM이동단말기(10)로부터 송출되고,BSC(30)와 MSC(50)를 통해 송신된 쇼트메시가 수신되었는지를 조사한다. 상기 과정에서 쇼트메시지가 입력되면 302단계에서 제어부(1)는 발신자가 SMS 가입자인지를 조사하고, 발신자가 가입자라면 제어부(1)는 303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SMS 가입자 인증이 안되면 제어부(1)는 인증에러를 이동단말기로 인증에러를 송신한다. 가입자가 아니라면 313단계로 진행해 제어부(1)는 인증에러 신호를 발생하고 MSC(50)와 BSS(30)을 통해 송신된다. 303단계에서 제어부(1)는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착신측 번호를 검출하고, 304단계에서 식별번호를 검출한다. 상기 식별번호가 검출되면 제어부(1)는 305단계에서 식별번호를 저장한다. 상기 식별번호는 제어부(1)의 제어에 의해 식별번호를 저장한다. 상기 식별번호는 쇼트메시지가 저장되는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그리고 309단계 제어부(1)는 착신측 응답이 있었는지를 조사한다. 착신측이 응답하면 제어부(1)는 쇼트메시지를 MSC(50)와 BSS(40)를 통해 착신측의 이동통신단말기(20)로 메시지를 전송하고, 메모리(70)에 저장된 쇼트메시지를 삭제한다. 그러나 309과정에서 착신측 응답이 없으면 메시지를 메모리(70)에 저장한다.
도5는 종래의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에서의 쇼트메시지 삭제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5를 참조하여 종래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에 저장된 쇼트메시지 삭제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401단계에서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60)는 주기적으로 메모리(70)에 저장된 쇼트메시지들을 검색한다. 402단계에서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60)는 검색한 쇼트메시지 중에서 일정 저장기간을 초과한 것이 있는지를 조사한다. 초과한 쇼트메시지가 있다면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60)는 해당 쇼트메시지를 삭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번 송신된 쇼트메시지는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에서 관리하므로 사용자가 쇼트메시지를 잘못 보냈을 경우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에 저장되어 있는 쇼트메시지를 단말기에서 삭제, 수정할 수 있는 지에스엠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한 쇼트메시지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쇼트메시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에스엠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2는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구성도.
도3은 일반적인 지에스엠 이동단말기에서의 쇼트메시지 등록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4는 일반적인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에서의 쇼트메시지 처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5는 종래의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에서의 쇼트메시지 관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한 쇼트메시지 관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의 지에스엠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한 쇼트메시지 관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쇼트메시지 삭제, 수정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의 지에스엠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한 쇼트메시지 관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6과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는 501단계에서 GSM이동단말기(10)의 전원이 온되었는지를 조사하고, 502단계에서 대기모드로 설정한다. 대기모드로 설정되면 503단계에서 제어부(1)는 키입력부(3)로부터 메시지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조사한다. 상기 503단계에서 메시지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는 204단계로 진행하여 메시지 메뉴를 표시부(4)에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메뉴가 디스플레이 되면 205단계에서 제어부(1)는 SMS서비스가 선택되었는지를 조사하고, 206단계에서 SMS서비스 메뉴를 표시부(4)에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SMS서비스 메뉴는 CMT, CPT, SMS 삭제, SMS수정 등이 있다. 507단계에서 상기 메뉴의 SMS 삭제가 선택되면 제어부(1)는 509단계로 진행하고, SMS 수정이 선택되면 제어부(1)는 515단계로 진행한다. SMS 삭제와 수정 중 삭제가 선택되면 제어부(1)는 509단계에서 삭제할 쇼트메시지의 식별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구한다. 그리고 나서 510단계에서 제어부(1)는 식별번호가 입력되었는지를 조사하고, 입력되었으면 511단계로 진행해 송신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조사한다. 상기 511단계에서 송신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는 쇼트메시지(Short Message:이하 SM이라 한다) 삭제 요구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식별번호도 상기 삭제 요구신호에 포함되어 송신된다.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이하 SM-SC라 한다)(60)는 601단계에서 GSM이동단말기(1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입력받고, 602단계에서 송신된 신호가 삭제요구신호인지 수정요구신호인지를 조사한다. 상기 GSM이동단말기(10)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SM 삭제요구신호이므로 SM-SC(60)는 603단계로 진행하여 SM의 식별번호를 검출한다. 상기 SM의 식별번호가 검출되면 604단계에서 SM-SC(60)는 SM 삭제확인신호를 GSM이동단말기(10)로 송신한다.
GSM이동단말기(10)는 513단계에서 상기 SM-SC(60)로부터 송신된 SM 삭제확인신호를 입력받고 표시부(4)에 삭제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SM-SC(60)는 605단계에서 SM 삭제확인신호를 송신한 후에, 상기 603단계에서 검출된 식별번호에 대한 메모리(70)의 어드레스에 저장되어 있는 SM을 삭제한다. 그리고 나서 606단계에서 SM-SC(60)는 SM 삭제완료신호를 송신한다.
GSM이동단말기(10)는 514단계에서 SM 삭제완료신호를 수신하고 표시부(4)에 해당 SM가 삭제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
그러나 507단계에서 SMS 수정이 선택되면 제어부(1)는 515단계에서 수정할 MS의 식별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구하고, 516단계에서 식별번호가 입력되었는지를 조사한다. 516단계에서 식별번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는 식별번호를 메모리(2)에 저장한다. 상기 식별번호가 저장되면 제어부(1)는 517단계에서 송신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조사하고, 송신키가 입력되면 518단계에서 제어부(1)는 상기 저장된 식별번호와 함께 SM 리드요구신호를 송신한다.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이하 SM-SC라 한다)(60)는 601단계에서 GSM이동단말기(1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입력받고, 602단계에서 송신된 신호가 삭제요구신호인지 수정요구신호인지를 조사한다. 상기 GSM이동단말기(10)로부터 SM 리드확인신호가 송신되었으므로 SM-SC(60)는 608단계로 진행하여 SM 식별번호를 검출한다. 상기 SM 식별번호를 저장하고, SM-SC(60)는 609단계로 진행하여 SM 리드확인신호를 GSM이동단말기(10)로 송신한다.
GSM이동단말기(10)는 519단계에서 SM-SC(60)로부터 송신된 SM 리드확인신호를 수신하고, 리드중임을 표시부(4)에 표시한다.
SM-SC(60)는 610단계에서 SM 리드확인신호를 송신한 후에 메모리()의 식별번호에 대한 어드레스로부터 해당 SM을 독출한다. 제어부(1)는 611단계에서 상기 독출된 SM 데이터를 GSM이동단말기(10)로 송신한다.
GSM이동단말기(10)는 520단계에서 상기 SM-SC(60)로부터 송신된 SM 데이터를 수신하고, 521단계에서 표시부(4)에 디스플레이 한다. 제어부(1)는 상기 수정할 SM이 디스플레이 되면 522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SM이 수정되었는지를 조사하고, 523단계로 진행하여 키입력부(3)의 송신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조사한다. 상기 523단계에서 송신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는 524단계에서 SM 데이터를 SM-SC(60)로 전송한다.
SM-SC(60)는 612단계에서 상기 수정된 SM 데이터를 수신하고, 613단계에서 원래의 SM 식별번호에 대한 어드레스에 수정된 SM 데이터를 덮어쓰기로 저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쇼트메시지를 관리할 수 있으므로서 잘못된 쇼트메시지의 수정, 삭제가 편리함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지에스엠 시스템에서 쇼트메시지 관리방법에 있어서,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의 메모리에 저장된 쇼트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기가 삭제, 수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한 쇼트메시지 관리방법.
  2. 지에스엠시스템에서 쇼트메시지 관리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가 쇼트메시지의 삭제를 요구하는 제1과정과,
    이동통신단말기의 쇼트메시지 삭제요구를 받아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가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의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쇼트메시지를 삭제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에스엠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한 쇼트메시지 관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제1과정이,
    쇼트메시지서비스가 선택되면 쇼트메시지서비스 메뉴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1단계와,
    상기 쇼트메시지서비스 메뉴로부터 삭제가 선택되면 삭제할 쇼트메시지 식별번호의 입력을 요구하고, 상기 쇼트메시지 식별번호가 입력되었는지를 조사하는 제2단계와,
    송신키 입력에 의해 상기 쇼트메시지 식별번호와 함께 쇼트메시지 삭제요구신호를 송신하는 제3단계와,
    상기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받아 해당 쇼트메시지가 삭제 중임을 메시지로 디스플레이 하는 제4단계와,
    상기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받아 해당 쇼트메시지 삭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에스엠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한 쇼트메시지 관리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제2과정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쇼트메시지 삭제요구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삭제요구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쇼트메시지 식별번호를 검출하는 제1단계와,
    상기 쇼트메시지 식별번호가 검출되면 쇼트메시지 삭제확인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고,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의 메모리의 상기 식별번호에 대한 어드레스의 해당 쇼트메시지를 삭제하고, 쇼트메시지 삭제완료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에스엠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쇼트메시지 관리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제1단계에서 쇼트메시지 수정이 선택되면 수정할 쇼트메시지의 식별번호의 입력을 요구하고, 상기 쇼트메시지 식별번호가 입력되었는지를 조사하는 제6단계와,
    상기 쇼트메시지 식별번호가 입력되면 송신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조사하고, 상기 송신키가 입력되면 쇼트메시지 리드요구신호를 송신하는 제7단계와,
    상기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로부터 소정의 확인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쇼트메시지의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쇼트메시지가 리드 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제8단계와,
    상기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부에 상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9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데이터가 수정되었는지를 조사하고, 수정되면 송신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조사하는 제10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에스엠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한 쇼트메시지 관리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쇼트메시지 리드요구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삭제요구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수정할 쇼트메시지 식별번호를 검출하는 제3단계와,
    상기 쇼트메시지 식별번호가 검출되면 쇼트메시지 수정확인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제4단계와,
    상기 쇼트메시지 서비스센터 메모리의 상기 식별번호에 대한 어드레스의 해당 쇼트메시지를 독출하여 이동통신단말기 송신하는 제5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쇼트메시지 수정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쇼트메시지 식별번호에 대한 어드레스에 상기 수정데이터를 덮어쓰는 제6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에스엠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쇼트메시지 관리방법.
KR1019970037709A 1997-08-07 1997-08-07 지에스엠시스템에서 지에스엠이동단말기에 의한 쇼트메시지관리방법 KR1999001555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709A KR19990015555A (ko) 1997-08-07 1997-08-07 지에스엠시스템에서 지에스엠이동단말기에 의한 쇼트메시지관리방법
KR1019980029555A KR19990023228A (ko) 1997-08-07 1998-07-22 지.에스.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한 쇼트메시지 관리방법
EP98114920A EP0896485A3 (en) 1997-08-07 1998-08-07 Method for manipulating short messages and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CN98117910A CN1226791A (zh) 1997-08-07 1998-08-07 在gsm系统中通过移动通信终端管理短消息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709A KR19990015555A (ko) 1997-08-07 1997-08-07 지에스엠시스템에서 지에스엠이동단말기에 의한 쇼트메시지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555A true KR19990015555A (ko) 1999-03-05

Family

ID=195170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709A KR19990015555A (ko) 1997-08-07 1997-08-07 지에스엠시스템에서 지에스엠이동단말기에 의한 쇼트메시지관리방법
KR1019980029555A KR19990023228A (ko) 1997-08-07 1998-07-22 지.에스.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한 쇼트메시지 관리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555A KR19990023228A (ko) 1997-08-07 1998-07-22 지.에스.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한 쇼트메시지 관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9990015555A (ko)
CN (1) CN122679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279A (ko) * 2001-11-22 2003-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 메시지 삭제방법
KR100480050B1 (ko) * 2002-05-24 2005-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저장방법
KR100668640B1 (ko) * 1999-04-29 2007-01-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주문형 정보서비스를 위한 전송메시지 최소화 방법
KR100696142B1 (ko) * 2004-09-20 2007-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스엠에스 메시지 발신 취소 및 수신 메시지 보관 장치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3422B2 (ja) * 2000-07-11 2005-12-07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機
GB2383229A (en) * 2001-10-17 2003-06-18 Nokia Corp Preventing the wastage of network resources by preventing delivery of a message to a recipient who is not intended to receive it
KR100498337B1 (ko) * 2002-11-12 200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sms메시지 저장방법
CN1331368C (zh) * 2004-09-30 2007-08-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保存短消息的方法
CN102740243A (zh) * 2011-04-11 2012-10-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处理过期短消息的方法及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640B1 (ko) * 1999-04-29 2007-01-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주문형 정보서비스를 위한 전송메시지 최소화 방법
KR20030042279A (ko) * 2001-11-22 2003-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 메시지 삭제방법
KR100480050B1 (ko) * 2002-05-24 2005-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저장방법
KR100696142B1 (ko) * 2004-09-20 2007-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스엠에스 메시지 발신 취소 및 수신 메시지 보관 장치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6791A (zh) 1999-08-25
KR19990023228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79538B1 (en) Mobile terminal having network services activation through the use of point-to-point short message service
KR100350455B1 (ko) 수신자의 메시지 확인을 발신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방법
KR100293996B1 (ko) 디지털휴대용전화기의개선된단문메시지발신방법
KR100251783B1 (ko) 이동무선단말기의단축메시지전송상태정보표시장치및방법
US6751483B1 (en) Method of displaying a local time of a called party in a portable mobile terminal
US6628935B1 (en) Memory exceed notification for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device
US7991438B2 (en) Mobile telecommunications terminal
JPH11136752A (ja) 加入者識別カード式無線電話端末
WO20010172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activation of wireless device features using short message services (sms)
EP1441552A1 (en) Subscriber system with user station with removable data store
KR100309381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동송 방법
KR19990015555A (ko) 지에스엠시스템에서 지에스엠이동단말기에 의한 쇼트메시지관리방법
US7512107B2 (e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tting time according to present location information, and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time using the same
KR20020056766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셀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방송 정보송신 및 수신방법
US20100087165A1 (en)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portable terminal and system therefor
US20040203661A1 (en) Method for providing receiver situation mode ser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the same
KR20010074346A (ko) 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 정보 자동 송신 방법
KR100425432B1 (ko) 이동단말기의 데이터 저장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4002030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팸 메시지 처리 방법
US7242673B2 (en) Message bar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40045163A (ko) 특정전화번호의 단문메시지 차단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이동통신 단말기
KR100315711B1 (ko) 통신 단말기에서 호를 연결하기 위한 방법
EP0896485A2 (en) Method for manipulating short messages and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KR1008192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개수 표시 방법
JPH11351903A (ja) 簡易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