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9792B1 - 수증기 온수순환장치 - Google Patents

수증기 온수순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792B1
KR100859792B1 KR1020080021703A KR20080021703A KR100859792B1 KR 100859792 B1 KR100859792 B1 KR 100859792B1 KR 1020080021703 A KR1020080021703 A KR 1020080021703A KR 20080021703 A KR20080021703 A KR 20080021703A KR 100859792 B1 KR100859792 B1 KR 100859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valve
cap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석
Original Assignee
윤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희석 filed Critical 윤희석
Priority to KR1020080021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7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8Packaged or self-contained boilers, i.e. water heaters with control devices and pump in a single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4Electric heating systems using electric heating of heat-transfer fluid in separate units of th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8Level sensors, e.g. water level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순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온수매트 등에 사용되는 온수순환장치에 있어서, 기존의 온수매트는 온수의 순환을 위해 순환모터를 사용하므로 소음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숙면에 방해가 되고, 또한, 순환모터가 고온에서 동작함으로 인해 수명이 짧으며, 더욱이 온수매트의 사용시 사용자의 체중으로 인해 온수호스가 눌려지면 그 압력으로 인해 순환모터의 소음이 더 심해지며 수명이 더욱 단축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순환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수증기에 의해 온수를 순환시킬 수 있는 수증기 온수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증기 온수순환장치{A hot water circulation apparatus using bubbles}
본 발명은 온수순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순환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수증기에 의해 온수를 순환시킬 수 있는 수증기 온수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겨울철 난방 등을 목적으로 온수매트와 같은 난방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온수매트와 같은 난방장치는, 매트 내에 온수 파이프를 설치하고 이 파이프 내에 온수를 순환시켜 매트를 따뜻하게 가열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순환모터와 같은 모터를 이용한 기계적인 구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순환모터와 같은 기계적인 구성에서는, 기본적으로 모터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므로, 특히, 사용자가 밤에 숙면을 취하는데 방해가 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또한, 모터가 고온에서 동작하므로, 순환모터의 수명이 비교적 짧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온수매트를 사용할 때, 즉, 사용자가 매트 위에 누웠을 때,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온수호스가 눌려지면, 그 압력으로 인해 온수호스가 좁아져 온수의 순환이 방해되고, 이에 따라 순환모터가 더욱 강하게 동작하게 되어 그만큼 소음이 커지게 되는 동시에, 이러한 일이 반복됨으로 인해 모터의 수명이 더욱 단축되어 버리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순환모터의 수명이 온수매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으므로, 순환모터의 고장으로 인해 온수매트의 사용기간마저 단축되어 버리는 경우도 빈번하여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부담까지도 더하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순환모터와 같은 기계적인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 온수를 순환시킬 수 있는 구성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직까지 그러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방법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순환모터를 사용한 온수순환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순환모터와 같은 기계적인 구성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소음을 발생하지 않고 온수를 순환시킬 수 있는 수증기 온수순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순환모터와 같은 기계적인 구성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기계적인 고장의 우려가 없이 온수매트를 그 수명이 다할 때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난방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수증기 온수순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온수매트와 같은 난방기구에 설치되어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수증기 온수순환장치에 있어서,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제 1 배출구 및 제 2 배출구의 두 개의 배출구와 상기 온수매트의 온수배출구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하나의 유입구를 가지는 물탱크와, 상기 제 1 배출구 측에 설치되는 제 1 밸브 및 상기 제 2 배출구 측에 설치되는 제 2 밸브와, 상기 제 2 밸브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제 3 밸브와, 상기 제 1 밸브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제 1 유입구, 상기 제 3 밸브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제 2 유입구, 상기 온수매트의 온수유입구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제 1 배출구 및 상기 제 3 밸브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제 2 배출구를 가지고, 그 내부에 상기 물탱크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가열하는 발열히터를 포함하는 가열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열탱크는, 상기 가열탱크의 제 2 배출구 측이 상기 가열탱크의 제 1 유입구보다 더 높은 위치가 되도록 경사지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온수순환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발열히터는, 외부전원과 연결되고, 상기 가열탱크의 제 1 유입구와 상기 가열탱크의 상기 제 2 배출구에 걸쳐 설치된 파이프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탱크는, 수위를 감지하고 저수위 시 이를 통지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수증기 온수순환장치는, 상기 가열탱크의 제 1 유입구 측에 상기 발열히터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로부터 얻어진 측정값이 소정의 값 이상이면 상기 발열히터로 공급되는 상기 외부전원을 차단하고, 이후,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측정값이 소정의 값 이하로 내려가면 상기 외부전원을 다시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 2, 제 3 밸브는, 전체적으로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양 측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분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가운데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캡과, 상기 캡과 결합되는 결합홈이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밸브몸체와, 얇은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몸체와 상기 캡 사이에 삽입되는 차단막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밸브몸체는, 상기 캡의 상기 결합돌기가 형성된 부분과 결합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차단막과 닿는 부분에 상기 측벽보다 작게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그 중앙부가 뚫려 있는 형태로 상기 중앙부에 대하여 그 단면이 좌우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캡의 상기 관통공의 크기는 상기 밸브몸체의 상기 돌기부 사이의 거리보다 작고, 상기 밸브몸체의 상기 돌기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캡의 상기 중앙부분의 지름보다 작으며, 상기 캡의 상기 중앙부분의 지름은 상기 차단막의 지름보다 작고, 상기 차단막의 지름은 상기 밸브몸체의 한쪽 측벽에서 다른 쪽 돌기부까지의 거리와 같거나 크고 상기 밸브몸체의 상기 측벽 사이의 거리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작은 압력으로도 개폐동작하는 동시에 역류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밸브는 배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막은 실리콘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순환모터와 같은 기계적인 구성을 사용하지 않고 온수를 순환시킬 수 있는 수증기 온수순환장치가 제공되므로, 종래의 순환모터와 같이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 조용한 밤시간대에도 사용자의 숙면을 방해하지 않고 난방을 할 수 있는 수증기 온수순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순환모터와 같은 기계적인 구성을 사용하지 않고 온수를 순환시킬 수 있는 수증기 온수순환장치가 제공되므로, 종래의 순환모터를 사용하는 온수순환장치에서는 순환모터의 수명이 짧아 사용이 불편하였고 순환모터의 수명이 다하거나 고장이 발생하면 온수매트와 같은 난방기기 자체에는 이상이 없어도 그 기기 자체를 사용할 수 없게 되었던 단점을 개선하여, 순환모터와 같은 기계장치의 고장의 우려가 없이 온수매트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는 동시에 난방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수증기 온수순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온수순환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나타내는 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여기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순환장치가 온수매트에 설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온수순환장치(10)는, 가열탱크(11), 발열히터(12), 제 1 밸브(13), 제 2 밸브(14), 제 3 밸브(15), 물탱크(16) 및 온도감지센서(1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요소들은 배관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또한, 물탱크(16) 및 가열탱크(11)는 배관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온수매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발열히터(12)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외부전원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물탱크(16)의 물이 제 1 밸브(13) 및 제 2 밸브(14)를 통해 가열탱크(11) 내의 발열히터(12) 내로 보내지고, 발열히터(12) 내의 물이 가열되어 기포가 발생하면 제 3 밸브(15) 쪽으로 팽창하게 되며, 이때의 압력에 의해 다시 제 1 밸브(13) 및 제 2 밸브(14)를 통해 물탱크(16)의 물을 끌어들임으로써 온수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수증기 온수순환장치(1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물탱크(16)는, 제 1 및 제 2 밸브(13, 14)가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배출구(19, 20)와, 온수매트의 온수배출구(27)와 연결되는 하나의 유입구(21)를 가지며, 두 개의 배출구(19, 20)에 각각 연결된 제 1 및 제 2 밸브(13, 14)를 통하여 물탱크(16)에 저장되어 있는 물이 가열탱크(11)로 공급된다.
여기서, 물탱크(16) 내에는 수위센서(18)가 설치되어 저수위일 경우 경보를 울리는 등으로 과열이나 수압저하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13, 1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작은 압력으로도 움직이도록 구성되나, 역류는 불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열탱크(11)는 제 1 밸브(13)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제 1 유입구(22) 및 제 3 밸브(15)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제 2 유입구(23)의 두 개의 유입구를 가지며, 온수매트의 온수유입구(26)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제 1 배출구(24) 및 제 3 밸브로 연결되는 제 2 배출구(25)의 두 개의 배출구를 가진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유입구(23)와 제 2 배출구(25)는 제 3 밸브(15)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물탱크(16)로부터 제 2 밸브(14)를 통과한 물이 다시 제 3 밸브(15)도 통과하도록 제 2 배출구와 제 3 밸브(15)도 배관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밸브(13)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제 1 유입구(22) 측에는 온도감지센서(17)가 설치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발열히터(12)의 과열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 3 밸브(15)는 제 1 및 제 2 밸브(13, 14)와 동일한 것으로서,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작은 압력으로도 움직일 수 있으나 역류는 불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가열탱크(11)의 내부에는 발열히터(12)가 설치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유입구(22)에서 제 2 배출구(25)에 걸쳐 파이프 형태의 파이프히터로서 구성되어, 도시하지 않은 전원에 의해 내부의 물을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가열탱크(11) 및 발열히터(1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탱크(11)의 제 2 배출구(25) 측이 더 높게 위치되도록 약간의 경사를 주어 설치함으로써, 내부에서 발생된 기포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는, 바람직하게는 약 5도 정도의 경사를 가진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밸브(13, 14, 15)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밸브(13, 14, 15)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그 평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13, 14, 15)가 지름 18mm의 배관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밸브(13, 14, 15)는 배관(30) 내에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분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양 측면에 결합돌기(32) 및 중앙에 관통공(37)이 형성된 캡(31)과, 그 외측 면에 상기 결합돌기(32)와 결합하는 결합홈(34)이 형성된 밸브몸체(33) 및 얇은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캡(31)과 밸브몸체(33)에 사이에 삽입되어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차단막(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막(35)은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막으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몸체(33)는 그 중앙부가 뚫려 있는 형태로 그 단면이 상기 중앙부에 대하여 좌우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32)와 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측벽(38)과 상기 측벽(38)보다 작게 형성된 한 쌍의 돌기부(36)를 가진다.
또한, 캡(31)의 관통공(37)의 크기는 밸브몸체(33)의 돌기부(36) 사이의 거리(d1)보다 작고, 밸브몸체(33)의 돌기부 사이의 거리(d1)는 캡(31)의 중앙부분의 지름보다 작으며, 캡(31)의 중앙부분의 지름은 차단막(35)의 지름보다 작고, 차단막(35)의 지름은 밸브몸체(33)의 한쪽 측벽(38)에서 다른 쪽 돌기부(36)까지의 거리(d2)와 같거나 크고 밸브몸체(33)의 측벽(38) 사이의 거리(d3)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 배관(30)의 지름은 18mm이고, 밸브몸체(33)의 측벽(38)의 두께는 각각 1.5mm이며, 돌기부(36)의 두께는 각각 1mm이고, 밸브몸체(33)의 중앙부, 즉, 밸브몸체(33)의 돌기부(36) 사이의 거리(d1)는 8mm이다. 또, 캡(31)의 중앙부분의 지름은 10mm이고, 관통공(37)의 지름은 4mm이다.
즉, 돌기부(36) 사이의 거리(d1)는 8mm이고 밸브몸체(33)의 측벽(38) 사이의 거리(d3)는 15mm이므로, 측벽(38)과 돌기부(36) 사이의 거리는 (d3-d1)/2 = 3.5mm가 되고, 따라서 돌기부(36)의 두께 1mm를 고려하면 밸브몸체(33)의 한쪽 측벽(38) 에서 다른 쪽 돌기부(36)까지의 거리(d2)는 12.5mm가 된다.
그러므로, 차단막(35)의 지름은 12.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물이 흐를 때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밸브몸체(33)의 한쪽 측벽(38)에서 다른 쪽 돌기부(36)까지의 거리(d2)와 같도록, 즉, 12.5mm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차단막(35)의 지름이 12.5mm인 것으로 한다.
또한, 돌기부(36)의 높이는 1mm이며, 캡(31)과 밸브몸체(33)를 결합했을 때 차단막(35)과 캡(31) 사이의 간격도 1mm이고, 차단막(35)은 두께 2mm의 원형 실리콘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도 2를 기준으로 위에서 본 모양이 도 3의 평면도와 같게 되며,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물이 흐를 경우는 차단막(35)이 캡(31) 쪽으로 이동하고 캡(31)의 중앙부분과 차단막(35)의 지름은 밸브몸체(33)의 측벽(38) 사이의 거리(d3)보다는 작으므로, 도 3의 빗금친 부분을 통해 물이 흐르게 된다.
그러나 그 반대의 경우는, 차단막(35)이 돌기부(36) 쪽으로 이동하고 차단막(35)의 지름은 밸브몸체(33)의 한쪽 측벽(38)에서 다른 쪽 돌기부(36)까지의 거리(d2)와 같거나 크므로, 차단막(35)이 밸브몸체(33)의 중앙부(d1)를 막게 되어 물이 흐르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 차단막(35)의 지름이 밸브몸체(33)의 한쪽 측벽(38)에서 다른 쪽 돌기부(36)까지의 거리(d2)와 같거나 크게 형성함으로써, 차단막(35)이 한쪽으로 완전히 치우치더라도 물이 역류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캡(31)의 중앙부분의 지름이 차단막(35)의 지름보다 작으므로 물이 저항을 적게 받으면서 흐를 수 있 으며, 캡(31)에 관통공(37)을 형성함으로써, 물이 역류하려 할 때 이 관통공(37)을 통해 압력을 받은 차단막(35)이 밸브몸체(33)의 돌기부(36) 쪽으로 이동하여 보다 신속하고 확실하게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밸브(13, 14, 15)를 사용하여 작은 압력으로도 순간적으로 개폐기능을 반복할 수 있는 동시에 역류가 방지되는 배관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수증기 온수순환장치(1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물탱크(16)로부터 가열탱크(11)에 물이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전원을 통하여 가열탱크(11) 내의 발열히터(12)를 가열시킨다.
이어서, 발열히터(12)의 발열에 의해 그 내부의 물의 온도가 상승하여 기포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가열탱크(11)의 제 2 배출구(25) 측이 더 높게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모든 밸브(13, 14, 15)는 역류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온도가 높은 쪽이 위로 올라가는 성질에 따라 발생한 기포가 제 2 배출구(25) 쪽으로 흐르고, 이와 함께 내부의 물이 제 3 밸브(15) 쪽으로 팽창하고 제 3 밸브(15)를 통과하여 배관을 따라 제 2 유입구(23)로 순환된다.
즉,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 2 배출구(25)로 빠져나간 물이 배관을 따라 제 2 유입구(23)를 통해 가열탱크(11)로 다시 유입되고, 이어서 제 2 유입구(23)를 통해 유입된 양만큼의 물이 제 1 배출구(24)를 통하여 가열탱크(11)로부터 온수매트의 온수유입구(26)로 흐르게 되어 온수매트 내부를 순환한 뒤, 다시 온수매트의 온수배출구(27)로부터 물탱크(16)의 유입구(21)로 유입되어, 물탱크(16)로부터 제 1 및 제 2 밸브(13, 14)를 통해 다시 상대적으로 저온의 물이 가열탱크(11)의 발열히터(12)로 주입되어 가열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도 1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은 온수매트의 전체적인 온수의 순환이 순환모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이 계속 반복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체적으로 순환하는 물의 온도가 점점 올라가게 되고 물탱크(16)의 수위가 줄어들게 된다. 이를 위해, 물탱크(16)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위센서(18)를 설치하여 저수위 시 경보 등을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이에 따라 물을 보충해 주도록 하면 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부재중인 등으로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장시간 작동 등으로 인해 순환하는 물의 온도가 높아져 발열히터(12) 내에, 예를 들면, 약 섭씨 50도 이상의 물이 공급되면, 물의 공급과 발열히터(12) 내에서 발생하는 기포의 균형이 깨져서 발열히터(12)의 온도가 급격히 올라가고, 팽창하는 수증기와 물이 미처 순환하지 못하여 제 1 및 제 2 밸브(13, 14) 측의 수온도 급상승하게 되는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는, 특히, 사용자의 체중 등으로 인해 온수매트 내의 배관이 압력을 많이 받게 되면 더욱 쉽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감지센서(17)를 가열탱크(11)의 제 1 유입구(22) 측에 설치하여 발열히터(12)로 유입되 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고, 물의 온도가 높을 때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고, 이후, 온도가 내려가면 다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과열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전원을 차단하는 기준이 되는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섭씨 70도 정도가 이상적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발열히터(12)의 발열에 의해 순환하는 물의 온도가 올라가므로, 온수매트의 온도조절은 발열히터(12)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조절하여 발열히터(12)의 열량을 조절함으로써 행하면 된다.
즉, 발열히터(12)의 열량이 물의 순환에 영향을 미치므로, 필요에 따라 적절한 열량의 발열히터(12)를 선택함으로써, 다양한 용도의 온수순환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기한 실시예의 경우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하고자 하는 환경이나 필요한 난방용량 등에 따라 물탱크(16)의 크기나 발열히터(12)의 열량, 배관의 길이 등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 상기한 실시예의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의 경우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설계상의 필요 및 기타 여러 가지 요건에 따라 본 발명의 취지 및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대체 등이 가능한 것임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온수순환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온수순환장치에 사용되는 밸브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온수순환장치에 사용되는 밸브의 평면도이다.
[ 부호의 설명 ]
10. 수증기 온수순환장치 11. 가열탱크
12. 발열히터 13. 제 1 밸브
14. 제 2 밸브 15. 제 3 밸브
16. 물탱크 17. 온도감지센서
18. 수위센서 19. 제 1 배출구
20. 제 2 배출구 21. 유입구
22. 제 1 유입구 23. 제 2 유입구
24. 제 1 배출구 25. 제 2 배출구
26. 온수유입구 27. 온수배출구
30. 배관 31. 캡
32. 결합돌기 33. 밸브몸체
34. 결합홈 35. 차단막
36. 돌출부 37. 관통공
38. 측벽

Claims (8)

  1. 온수매트와 같은 난방기구에 설치되어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수증기 온수순환장치에 있어서,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제 1 배출구 및 제 2 배출구의 두 개의 배출구와, 상기 온수매트의 온수배출구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하나의 유입구를 가지는 물탱크와,
    상기 제 1 배출구 측에 설치되는 제 1 밸브 및 상기 제 2 배출구 측에 설치되는 제 2 밸브와,
    상기 제 2 밸브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제 3 밸브와,
    상기 제 1 밸브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제 1 유입구, 상기 제 3 밸브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제 2 유입구, 상기 온수매트의 온수유입구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제 1 배출구 및 상기 제 3 밸브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제 2 배출구를 가지고, 그 내부에 상기 물탱크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가열하는 발열히터를 포함하는 가열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열탱크는, 상기 가열탱크의 제 2 배출구 측이 상기 가열탱크의 제 1 유입구보다 더 높은 위치가 되도록 경사지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온수순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히터는, 외부전원과 연결되고, 상기 가열탱크의 제 1 유입구와 상기 가열탱크의 제 2 배출구에 걸쳐 설치된 파이프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온수순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수위를 감지하고 저수위 시 이를 통지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온수 순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탱크의 제 1 유입구 측에 상기 발열히터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로부터 얻어진 측정값이 소정의 값 이상이면 상기 발열히터로 공급되는 상기 외부전원을 차단하고, 이후,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측정값이 소정의 값 이하로 내려가면 상기 외부전원을 다시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온수순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밸브는,
    전체적으로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양 측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분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가운데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캡과,
    상기 캡과 결합되는 결합홈이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밸브몸체와,
    얇은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몸체와 상기 캡 사이에 삽입되는 차단막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밸브몸체는, 상기 캡의 상기 결합돌기가 형성된 부분과 결합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차단막과 닿는 부분에 상기 측벽보다 작게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그 중앙부가 뚫려 있는 형태로 상기 중앙부에 대하여 그 단면이 좌우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캡의 상기 관통공의 크기는 상기 밸브몸체의 상기 돌기부 사이의 거리보다 작고, 상기 밸브몸체의 상기 돌기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캡의 상기 중앙부분의 지름보다 작으며, 상기 캡의 상기 중앙부분의 지름은 상기 차단막의 지름보다 작고, 상기 차단막의 지름은 상기 밸브몸체의 한쪽 측벽에서 다른 쪽 돌기부까지의 거리와 같거나 크고 상기 밸브몸체의 상기 측벽 사이의 거리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온수순환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밸브는 배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막은 실리콘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온수순환장치.
  7. 배관의 개폐동작과 동시에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밸브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양 측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분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가운데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캡과,
    상기 캡과 결합되는 결합홈이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밸브몸체와,
    얇은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몸체와 상기 캡 사이에 삽입되는 차단막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밸브몸체는, 상기 캡의 상기 결합돌기가 형성된 부분과 결합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차단막과 닿는 부분에 상기 측벽보다 작게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그 중앙부가 뚫려 있는 형태로 상기 중앙부에 대하여 그 단면이 좌우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캡의 상기 관통공의 크기는 상기 밸브몸체의 상기 돌기부 사이의 거리보다 작고, 상기 밸브몸체의 상기 돌기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캡의 상기 중앙부분의 지름보다 작으며, 상기 캡의 상기 중앙부분의 지름은 상기 차단막의 지름보다 작고, 상기 차단막의 지름은 상기 밸브몸체의 한쪽 측벽에서 다른 쪽 돌기부까지의 거리와 같거나 크고 상기 밸브몸체의 상기 측벽 사이의 거리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배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막은 실리콘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KR1020080021703A 2008-03-07 2008-03-07 수증기 온수순환장치 KR100859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703A KR100859792B1 (ko) 2008-03-07 2008-03-07 수증기 온수순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703A KR100859792B1 (ko) 2008-03-07 2008-03-07 수증기 온수순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9792B1 true KR100859792B1 (ko) 2008-09-23

Family

ID=40023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703A KR100859792B1 (ko) 2008-03-07 2008-03-07 수증기 온수순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7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166B1 (ko) 2009-07-09 2010-05-06 윤희석 온수매트의 온수순환장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928A (ja) 1982-07-28 1984-02-04 Haruo Kojima 給湯装置
JPS6397770U (ko) 1986-12-16 1988-06-24
JPH0630576U (ja) * 1992-09-25 1994-04-22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傘形バルブ
JPH081540U (ja) * 1996-03-22 1996-11-0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人体局部洗浄装置
KR19980033538A (ko) * 1998-04-23 1998-07-25 양군석 순환펌프가 내장된 온수순환 매트
KR20000007328A (ko) * 1998-07-02 2000-02-07 이만호 온수 보일러의 자동순환방법 및 그 장치
KR200179639Y1 (ko) 1999-11-04 2000-04-15 박주성 소형온수보일러
KR20040018782A (ko) * 2002-08-27 2004-03-04 문영환 열에너지를 이용한 무동력 강제순환장치 및 그를 이용한온수매트
KR200388961Y1 (ko) 2005-04-19 2005-07-07 경기섬유산업(주) 난방수가 무동력으로 순환되는 기능성 온수침대
KR20070000493U (ko) * 2007-04-05 2007-04-27 정의갑 무구동 온수 순환 시스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928A (ja) 1982-07-28 1984-02-04 Haruo Kojima 給湯装置
JPS6397770U (ko) 1986-12-16 1988-06-24
JPH0630576U (ja) * 1992-09-25 1994-04-22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傘形バルブ
JPH081540U (ja) * 1996-03-22 1996-11-0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人体局部洗浄装置
KR19980033538A (ko) * 1998-04-23 1998-07-25 양군석 순환펌프가 내장된 온수순환 매트
KR20000007328A (ko) * 1998-07-02 2000-02-07 이만호 온수 보일러의 자동순환방법 및 그 장치
KR200179639Y1 (ko) 1999-11-04 2000-04-15 박주성 소형온수보일러
KR20040018782A (ko) * 2002-08-27 2004-03-04 문영환 열에너지를 이용한 무동력 강제순환장치 및 그를 이용한온수매트
KR200388961Y1 (ko) 2005-04-19 2005-07-07 경기섬유산업(주) 난방수가 무동력으로 순환되는 기능성 온수침대
KR20070000493U (ko) * 2007-04-05 2007-04-27 정의갑 무구동 온수 순환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166B1 (ko) 2009-07-09 2010-05-06 윤희석 온수매트의 온수순환장치
WO2011004983A2 (ko) * 2009-07-09 2011-01-13 Youn He Suk 온수매트의 온수순환장치
WO2011004983A3 (ko) * 2009-07-09 2011-04-07 Youn He Suk 온수매트의 온수순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6168B1 (ko) 난방용 자연순환식 보일러
KR100882302B1 (ko) 온수매트의 수증기 온수순환장치
KR100803282B1 (ko) 온수 및 스팀을 이용한 난방장치
KR20090093341A (ko) 밀폐형 팽창탱크를 구비한 가스보일러
KR100859792B1 (ko) 수증기 온수순환장치
KR100872414B1 (ko) 온수순환장치
KR100891575B1 (ko) 온수 순환 시스템
US20140003801A1 (en) Water heating system
KR100783597B1 (ko) 온수 순환 매트용 온수가열장치
KR100956166B1 (ko) 온수매트의 온수순환장치
CN101813203B (zh) 小型热水锅炉用无噪音止回阀
KR20090082991A (ko) 전기 보일러
KR20090082986A (ko) 온수매트장치
CN107787432B (zh) 具备过压防止部件的流体循环式供暖装置
KR101592536B1 (ko) 유체 순환식 난방장치
KR101399717B1 (ko) 위생 세정 장치
KR101981070B1 (ko) 직수형 온수공급장치
KR200467215Y1 (ko) 온수 보일러용 물통
KR101151771B1 (ko) 증기압력을 이용한 온수순환장치
KR200472263Y1 (ko)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
KR101041546B1 (ko) 열에너지를 이용한 무동력 강제순환 온수매트용 가열히터
JP2014040942A (ja) 風呂給湯装置
KR101042723B1 (ko) 증기압력을 이용한 온수순환장치
KR20120035899A (ko) 온수 순환 장치
KR101573798B1 (ko) 온수 매트용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