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9117B1 -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천연추출물의 안정화방법 및 음료수,주류 - Google Patents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천연추출물의 안정화방법 및 음료수,주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117B1
KR100859117B1 KR1020070020701A KR20070020701A KR100859117B1 KR 100859117 B1 KR100859117 B1 KR 100859117B1 KR 1020070020701 A KR1020070020701 A KR 1020070020701A KR 20070020701 A KR20070020701 A KR 20070020701A KR 100859117 B1 KR100859117 B1 KR 100859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hocyanin
egg white
natural extract
vitamin
white album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용
최동성
장환종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20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42Preservation of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44Preservation of non-alcoholic beverages by adding preser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6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변 및 퇴색을 방지할 수 있는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천연추출물의 안정화방법 및 음료수, 주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안토시아닌 및 비타민 C가 함유된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천연추출물의 안정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천연추출물에 난백알부민을 첨가하여 상기 천연추출물의 갈변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천연추출물의 안정화방법과, 난백알부민이 함유된 음료수 및 주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천연추출물의 안정화방법 등은 오미자 등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이 가열 및 광산화에 의하여 갈변 및 퇴색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동안 제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안토시아닌, 오미자, 복분자

Description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천연추출물의 안정화방법 및 음료수, 주류{THE STABILIZING METHOD OF NATURAL EXTRACTS CONTAINING ANTHOCYANIN}
도 1은 오미자 색소의 조추출물의 스펙트럼을 스캔닝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광원에 노출된 오미자 안토시아닌 조추출물의 시료군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갈변 및 퇴색을 방지할 수 있는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천연추출물의 안정화방법 및 음료수, 주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안토시아닌 및 비타민 C가 함유된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천연추출물의 안정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천연추출물에 난백알부민을 첨가하여 상기 천연추출물의 갈변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천연추출물의 안정화방법과, 난백알부민이 함유된 음료수 및 주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웰빙의 트렌드에 힘입어 건강기능성을 오미자, 복분자 등의 음료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오미자는 다섯 가지의 맛, 즉, 달고, 시며, 맵고 쓰면서 짠맛이 어우러진 독특한 풍미와 선명한 붉은색의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의보감 등에 몸시 여윈 것을 보하여 눈을 밝게 하고, 양기를 세게 하며, 술독을 풀고 기침이 나면서 숨이 찬 것을 치료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는 등 상품성이 매우 높은 원료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오미자의 추출물을 보관 및 저장시 안토시아닌 색소가 퇴색 및 갈변됨에 따라 고부가치 상품으로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미자 등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이 가열 및 광산화에 의하여 갈변 및 퇴색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동안 제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천연추출물의 안정화방법 및 안토시아닌의 갈변 및 퇴색이 방지되는 음료수, 주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토시아닌 및 비타민 C가 함 유된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천연추출물의 안정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천연추출물에 난백알부민을 첨가하여 상기 천연추출물의 갈변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천연추출물의 안정화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난백알부민은 상기 천연추출물에 함유된 비타민 C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16~66중량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토시아닌 및 비타민 C가 함유된 음료수에 있어서, 난백알부민이 함유되어 갈변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난백알부민은 상기 비타민 C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16~66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안토시아닌 및 비타민 C가 함유된 주류에 있어서, 난백알부민이 함유되어 갈변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난백알부민은 상기 비타민 C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16~66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천연추출물의 안정화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천연추출물의 안정화방법은 천연추출물에 난백알부민을 첨가하여 안토시아닌의 갈변을 억제시킨다.
여기서, 천연추출물이란, 안토시아닌 및 비타민 C가 함유된 천연추출물, 예를 들면, 오미자, 오디, 복분자, 포도, 석류, 자색고구마 등의 과실, 곡물 등으로부터 추출된 천연추출물을 일컫는다.
그리고, 상기 난백알부민은 비타민 C가 안토시아닌 색소를 파괴하여 갈변 및 퇴색을 촉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되고, 난백알부민이 천연추출물에 첨가됨으로써, 천연추출물에 함유된 비타민 C와 결합하여 비타민 C가 산화되어 안토시아닌 색소를 파괴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에 따라, 안토시아닌 색소의 갈변 및 퇴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난백알부민은 상기 천연추출물에 함유된 비타민 C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16~66중량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난백알부민이 비타민 C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16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난백알부민과 결합하지 않은 비타민 C가 존재함으로써 갈변 및 퇴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66중량부 초과로 첨가되는 경우 탁도가 증가하여 상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천연추출물에는 다양한 기능성을 발휘하기 위하여 구연산 등의 여러가지 첨가제가 첨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천연추출물의 안정화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천연추출물은 보관 및 유통과정에서 안토시아닌 색소가 갈변 및 퇴색되지 않음에 따라 시간 경과, 태양광의 노출 등에 의하여 제품의 품질이 변질될 우려 가 없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음료수 및 주류는 안토시아닌, 비타민 C 및 난백알부민이 함유된다. 즉, 음류수 및 주류의 경우 유통 및 보관 중 안토시아닌 색소가 갈변 및 퇴색되어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난백알부민이 함유된다.
여기서 음료수라 함은 천연추출물의 액기스 뿐만 아니라 천연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음료수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난백알부민은 상기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천연추출물의 안정화방법에서 기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비타민 C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16~66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천연추출물의 안정화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미자 색소의 추출]
생오미자에 1배량의 증류수를 투입한 후 8℃에서 18시간 추출한 후 6,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오미자 색소의 조추출물을 얻었다.
그리고, 오미자 안토시아닌 색소의 최대 흡수파장을 조사하기 위하여 분광관 도계(SHIMADZU, UV-1650PC)사용하여 오미자 색소의 조추출물의 스펙트럼을 스캔닝하였고, 그 결과는 도 1과 같다. 도 1과 같이 505nm에서 최대의 흡광도를 나타낸 결과 상기 오미자 색소의 붉은색의 최대흡수파장은 505nm를 나타냈다.
[비타민 C의 영향]
1.5배 희석된 오미자 안토시아닌 조추출물에 L-ascorbic acid(SIGMA社)를 0.1%, 0.2%를 각각 투입한 후 5,500 lux의 광원에 48시간 노출시킨 후, L-ascorbic acid의 첨가 농도에 따라 오미자 추출색소의 변화는 도 2와 같다.
도 2와 같이 L-ascorbic acid를 투입하지 않은 경우(control) 안토시아닌 색소의 퇴색정도가 적게 나타났으나, L-ascorbic acid을 0.1%, 0.2% 투입한 시료군의 경우 안토시아닌 색소가 퇴색된 사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중 0.2%의 L-ascorbic acid가 함유된 시료군에서는 오미자의 색소의 대부분이 퇴색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L-ascorbic acid의 산화가 오미자의 안토시아닌 색소의 파괴를 촉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
1.5배 희석된 오미자 안토시아닌 조추출물 5㎖에 L-ascorbic acid 1.5㎎, 난백알부민 0.125㎎을 투입하여 실시예 1의 색소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난백알부민은 계란 흰자를 70℃에서 15분간 가열한 후 3,2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내지 5]
실시예 1과 달리 난백알부민을 1.5배 희석된 오미자 안토시아닌 조추출물에 0.025㎎, 0.5㎎, 1.0㎎ 및 1.5㎎을 각각 투입하여 실시예 2 내지 5의 색소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비교예 1로서는 1.5배 희석된 오미자 안토시아닌 조추출물을 사용하였고, 비교예 2로서는 1.5배 희석된 오미자 안토시아닌 조추출물에 L-ascorbic acid 1.5㎎을 투입하여 사용하였다.
[광산화에 대한 안정성시험]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2를 비가열한 상태에서 5,500 lux의 광원에 각각 48시간 노출한 다음 505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표 1] 흡광도 측정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L-ascorbic acid 100 100 100 100 100 - 100
난백알부민 8.3 16.6 33.3 66.6 100 - -
흡광도 1.280 1.320 1.328 1.331 2.011 1.324 1.159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경우 505nm의 흡광도가 1.280 이상으로 비교예 2 에 비하여 높게 나타남으로써, 난백알부민이 ascorbic acid의 산화촉진을 억제하여 안토시아닌이 광산화로 인한 퇴색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2 내지 4의 경우 모두 505nm의 흡광도가 1.320~1.331로서 안토시아닌 색소의 퇴색억제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탁도가 낮아 상품성이 매우 좋게 평가되었다. 그러나, 실시예 5의 경우 안토시아닌 색소의 퇴색억제효과는 우수하였으나, 탁도가 증가하였다.
[열안정성 시험]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2를 80℃에서 30분간 가열한 후 48시간 광에 노출시킨 후 505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의 표 2와 같다.
[표 2] 흡광도 측정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L-ascorbic acid 100 100 100 100 100 - 100
난백알부민 8.3 16.6 33.3 66.6 100 - -
흡광도 1.103 1.212 1.225 1.239 - 1.227 0.927
비교예 2에 함유된 ascorbic acid가 가열에 의하여 산화형으로 전환되어 안토시아닌 색소와 결합함에 따라 505nm의 흡광도가 0.927로 매우 낮게 측정된 것으로 사료되는 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경우 ascorbic acid가 안토시아닌 색소와 결합하기 전에 난백알부민이 ascorbic acid와 결합하여 안토시아닌 색소와의 결합을 차단하고 이에 의해 안토시아닌 색소의 가열 및 광산화로 인한 퇴색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5의 경우 탁도가 심하여 흡광도를 측 정할 수 없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토시아닌 및 비타민 C가 함유된 천연추출물의 안정화방법은, 상기 천연추출물에 첨가되는 난백알부민이 비타민 C가 안토시아닌과 결합하기 전에 난백알부민이 비타민 C와 결합함으로서, 안토시아닌 색소가 가열 및 광산화로 인하여 갈변 및 퇴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천연추출물의 안정화방법에 의해 안정화된 천연추출물은 장기간동안 유통 및 보관되더라도 안토시아닌 색소가 갈변 및 퇴색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제품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안토시아닌 및 비타민 C가 함유된 음료수 및 주류에 난백알부민이 함유됨으로써, 가열 및 광산화에 의하여 안토시아닌 색소가 갈변 및 퇴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지속적으로 제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안토시아닌 및 비타민 C가 함유된 천연추출물의 안정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천연추출물에 난백알부민을 첨가하고,
    상기 난백알부민은 상기 천연추출물에 함유된 비타민 C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16~66중량부 첨가됨으로써, 상기 천연추출물의 퇴색 및 갈변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천연추출물의 안정화방법.
  2. 안토시아닌 및 비타민 C가 함유된 음료수에 있어서,
    난백알부민이 함유되고, 상기 난백알부민은 상기 비타민 C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16~66중량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3. 안토시아닌 및 비타민 C가 함유된 주류에 있어서,
    난백알부민이 함유되고, 상기 난백알부민은 상기 비타민 C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16~66중량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70020701A 2007-03-02 2007-03-02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천연추출물의 안정화방법 및 음료수,주류 KR100859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701A KR100859117B1 (ko) 2007-03-02 2007-03-02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천연추출물의 안정화방법 및 음료수,주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701A KR100859117B1 (ko) 2007-03-02 2007-03-02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천연추출물의 안정화방법 및 음료수,주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9117B1 true KR100859117B1 (ko) 2008-09-18

Family

ID=40023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701A KR100859117B1 (ko) 2007-03-02 2007-03-02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천연추출물의 안정화방법 및 음료수,주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1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5348A (zh) * 2011-07-23 2013-01-23 江西食方食坊中药食品有限公司 一种具有补肾作用的杞椹饮料及其制备方法
CN103340404A (zh) * 2013-07-05 2013-10-09 滕立玲 一种对性欲减退、肾阴虚及糖尿病有保健作用的饮品
KR20210143470A (ko) 2020-05-20 2021-11-29 김진영 안토시아닌계 색소가 함유된 음료 베이스 및 이를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495A (ko) * 2000-02-25 2000-06-05 임종환 자색고구마 분말의 제조방법
KR100735865B1 (ko) * 2006-05-01 2007-07-04 박민경 무설탕 저열량 기능성 과일 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495A (ko) * 2000-02-25 2000-06-05 임종환 자색고구마 분말의 제조방법
KR100735865B1 (ko) * 2006-05-01 2007-07-04 박민경 무설탕 저열량 기능성 과일 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5348A (zh) * 2011-07-23 2013-01-23 江西食方食坊中药食品有限公司 一种具有补肾作用的杞椹饮料及其制备方法
CN102885348B (zh) * 2011-07-23 2014-04-16 江西江中制药(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补肾作用的杞椹饮料及其制备方法
CN103340404A (zh) * 2013-07-05 2013-10-09 滕立玲 一种对性欲减退、肾阴虚及糖尿病有保健作用的饮品
KR20210143470A (ko) 2020-05-20 2021-11-29 김진영 안토시아닌계 색소가 함유된 음료 베이스 및 이를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utista‐Ortín et al. Improving colour extraction and stability in red wines: the use of maceration enzymes and enological tannins
Cevallos-Casals et al. Stability of anthocyanin-based aqueous extracts of Andean purple corn and red-fleshed sweet potato compared to synthetic and natural colorants
Lago-Vanzela et al. Aging of red wines made from hybrid grape cv. BRS Violeta: Effects of accelerated aging conditions on phenolic composition, color and antioxidant activity
Öncül et al.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attributes of unripe grape functional food products
Lago-Vanzela et al. Chromatic characteristics and color-related phenolic composition of Brazilian young red wines made from the hybrid grape cultivar BRS Violeta (“BRS Rúbea”דIAC 1398-21”)
Alañón et al. Enological potential of chestnut wood for aging Tempranillo wines Part II: Phenolic compounds and chromatic characteristics
Lorenzo et al. Effect of red grapes co-winemaking in polyphenols and color of wines
Benvenutti et al. Effect of addition of phenolic compounds recovered from apple pomace on cider quality
Mendes Lopes et al. Grape juice obtained using steam extraction and other small‐scale extraction methods: phenolic content, antioxidant capacity and stability during storage
Liu et al.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the phenolic and aroma profile of persimmon wine
Akalın et al. Antioxidant phenolic compounds of pomegranate wines produced by different maceration methods
You et al. The effects of six phenolic acids and tannic acid on colour stability and the anthocyanin content of mulberry juice during refrigerated storage
WO2011053106A1 (en) Stabilised colorant composition
KR100859117B1 (ko)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천연추출물의 안정화방법 및 음료수,주류
Zhang et al. Impact of adding Ellagic acid to red grapes on the phenolic composition and chromatic quality of cabernet sauvignon wines from a warm climate
Nour et al. Central Composite Design Applied to Optimize the Hydroalcoholic Extraction of Bilberry (V accinium Myrtillus L.) Fruits
Lu et al. Effect of thermal processing on the phenolic profiles, antioxidant capacity, and volatile compounds of fig wines
de Castilhos et al. Pre-drying and submerged cap winemaking: Effects on polyphenolic compounds and sensory descriptors. Part II: BRS Carmem and Bordô (Vitis labrusca L.)
Arvaniti et al.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capacities of commercial and homemade Greek vinegars
Barbosa et al. Effect of light, food additives and heat on the stability of sorghum 3‐deoxyanthocyanins in model beverages
KR101774110B1 (ko) 블루베리 발효식초를 함유하는 블루베리 프리미엄 발효식초 제조방법
Martin-Gomez et al. Bioactive compounds of chamber‐dried blueberries at controlled temperature and wines obtained from them
Liu et al. Anthocyanins from purple passion fruit (Passiflora edulia Sims) rind—An innovative source for nonbleachable pigment production
JP5143712B2 (ja) 褪色防止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飲料
Cabrera et al. Effects of processing time and temperature on the quality components of Campbell grape ju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