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8742B1 - 유료 동영상의 공유를 차단하는 주문형 동영상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유료 동영상의 공유를 차단하는 주문형 동영상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8742B1
KR100858742B1 KR1020070013835A KR20070013835A KR100858742B1 KR 100858742 B1 KR100858742 B1 KR 100858742B1 KR 1020070013835 A KR1020070013835 A KR 1020070013835A KR 20070013835 A KR20070013835 A KR 20070013835A KR 100858742 B1 KR100858742 B1 KR 100858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pod
video
share
server
sh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4549A (ko
Inventor
안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to KR1020070013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8742B1/ko
Publication of KR20080074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04N21/23109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by placing content in organized collections, e.g. EPG data reposit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7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for transmitting client requests to a VOD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36Monitoring of piracy processes or acti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1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accounts, e.g. accounts for childr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청자가 인터넷 전송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동영상을 MPOD 서버에 직접 저장해 두었다가, 원하는 시간에 해당 동영상을 디지털 TV의 방송 출력유닛을 통해서 시청할 수 있는 주문형 동영상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MPOD 서버에 MPOD 회원별로 개별 저장된 동영상이 무료 동영상인지 유료 동영상인지를 판별하여, 무료 동영상인 경우에는 MPOD 회원들간에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고, 유료 동영상인 경우에는 MPOD 회원들간에 공유할 수 없도록 강제하는 방식이므로, MPOD 회원들이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무료 동영상을 자유롭게 상호 교환하여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저작권 침해 문제가 원천적으로 방지되고, 주문형 동영상 서비스가 보다 폭넓고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료 동영상의 공유를 차단하는 주문형 동영상 서비스 방법{Moving picture on demand service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문형 동영상 서비스를 구현하는 주문형 동영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문형 동영상 서비스 방법을 단계별로 구분한 순서도,
도 3은 MPOD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10 ; 방송사업자 서버, 20 ; 방송송출 서버,
30 ; 디지털 TV, 31 ; 셋톱박스,
32 ; 방송 출력유닛, 32a ; 디스플레이,
32b ; 스피커, 33 ; 리모컨,
40a ~ 40n ; 클라이언트, 50a ~ 50n ; 웹사이트 서버,
60 ;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
70a ~ 70n ; MPOD(Moving Picture On Demand) 서버,
100 ; MPOD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110 ; 공유 대상자 설정부, 111 ; 공유 그룹 설정부,
111a ; 설정 그룹 표시부, 111b ; 신규 그룹 입력부,
111c ; 그룹 추가 메뉴, 111d ; 그룹 삭제 메뉴,
112 ; 그룹별 개인 공유자 설정부, 112a ; 설정 개인 공유자 표시부,
112b ; 개인 공유자 입력부, 112c ; 개인 공유자 추가 메뉴,
112d ; 개인 공유자 삭제 메뉴, 112e ; 공유 요청 메뉴,
120 ; MPOD 회원별 동영상 설정부, 121 ; 동영상 표시부,
122 ; 동영상 실행 메뉴, 123 ; 동영상 삭제 메뉴,
124 ; 동영상 공유 설정 메뉴,
124a ; 공유 설정 가능한 상태를 표시,
124a' ; 공유된 상태를 표시, 124a" ; 공유되지 않은 상태를 표시,
124b ; 공유 설정 불가능한 상태를 표시,
130 ; 공유 요청자 설정부, 131 ; 공유 요청자 표시부,
132 ; 공유 요청자 삭제 메뉴,
140 ; 공유 요청자별 공유 동영상 설정부,
141 ; 공유 동영상 표시부, 142 ; 공유 동영상 실행 메뉴.
본 발명은 시청자가 인터넷 전송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동영상을 MPOD 서버에 직접 저장해 두었다가, 원하는 시간에 해당 동영상을 디지털 TV의 방송 출력유닛을 통해서 시청할 수 있는 주문형 동영상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공지의 공중파 방송이나 케이블 방송 및 위성 방송은 미리 정해져 있는 시간에 맞춰서 방송프로그램을 송출하고, 시청자는 단순하게 이를 수동적으로 시청하는 방식이어서 방송 시청의 편이성이 크게 저하되었다.
이에 IP 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나 VOD(Video On Demand) 서비스와 같은, 시청자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양방향 영상 서비스가 제안되었지만, 이러한 종래 양방향 영상 서비스는 시청자가 디지털 TV의 리모컨을 조작하여 디지털 TV의 셋톱박스를 통해서 양방향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한 후, 양방향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저장된 영상물 중에서 하나의 영상물을 선택하여 해당 영상물을 시청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서, 시청할 수 있는 영상물 선택의 폭이 크게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상기 종래 양방향 영상 서비스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바 있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002960호와 같은, 시청자가 인터넷 전송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동영상을 MPOD 서버에 직접 저장해 두었다가, 원하는 시간에 해당 동영상을 디지털 TV의 방송 출력유닛을 통해서 시청할 수 있도 록 된 주문형 동영상 서비스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 주문형 동영상 서비스 방법은, MPOD 서버에 MPOD 회원별로 개별 저장된 동영상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지 못하여, MPOD 회원들이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동영상을 자유롭게 교환하여 시청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서비스 이용의 불편함이 초래되었다.
한편, 상기 동영상은 무료로 제공되는 동영상과, 유료로 제공되는 동영상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무료로 제공되는 동영상의 경우에는 저작권자의 동의를 구하지 않고서도 보유자 임의대로 해당 무료 동영상을 공유해서 자유롭게 교환 시청할 수 있지만, 유료로 제공되는 동영상의 경우에는 저작권자의 허락없이 해당 유료 동영상을 공유하게 되면 저작권 침해문제가 발생되므로, MPOD 회원들이 동영상을 공유해서 자유롭게 교환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유료 동영상을 공유할 수 없도록 강제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MPOD 서버에 MPOD 회원별로 개별 저장된 동영상이 무료 동영상인지 유료 동영상인지를 판별하여, 무료 동영상인 경우에는 MPOD 회원들간에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고, 유료 동영상인 경우에는 MPOD 회원들간에 공유할 수 없도록 강제하는 주문형 동영상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에서, MPOD 서버로부터 MPOD 회원 식별자와 MPOD 회원 패스워드 및 셋톱박스 식별자를 입력받는 제1단계 ; 셋톱박스에서, 리모컨으로 입력되는 MPOD 서버별 셋톱박스 식별자를 구분 저장하는 제2단계 ; 클라이언트가 MPOD 서버에 로그인 접속하는 제3단계 ; 해당 MPOD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부터 다운로드되는 동영상을 MPOD 회원별로 구분 저장하는 제4단계 ; 해당 MPOD 서버에서, MPOD 회원별로 저장된 동영상이 유료 동영상인가를 판별하여, MPOD 회원 클라이언트의 유저 인터페이스상에 유료 동영상은 공유 불가로, 무료 동영상은 공유 가능으로 표시하되, 유료 동영상은 공유할 수 없도록 차단하는 제5단계 ; 해당 MPOD 서버에서, 공유 요청자의 클라이언트로부터 공유 대상자 및 공유 동영상 정보를 입력받아서 공유 대상자의 클라이언트로 공유 요청 정보를 출력하는 제6단계 ; 해당 MPDO 서버에서, 공유 대상자의 클라이언트로부터 공유 허락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공유 요청자 클라이언트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공유 대상자 및 공유 동영상를 표시하고, 공유를 허락한 공유 대상자 클라이언트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공유 요청자 및 공유 동영상를 표시하는 제7단계 ; 해당 MPOD 서버에서, 공유 허락자의 클라이언트로부터 공유 요청자의 공유 동영상 시청 정보가 입력되면, 시청 선택된 공유 요청자의 공유 동영상을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 부호화 및 변조하여 공유 허락자의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제8단계 ; 공유 허락자의 셋톱박스에서, 해당 MPOD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 스트림을 복호화 및 복조하여. 방송 출력유닛을 매개로 공유 동영상을 방영하는 제9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주문형 동영상 서비스는 도 1에 도시된 주문형 동영상 시스템에 의해서 구현된다.
도 1에 따른 주문형 동영상 시스템은, 디지털 방송 어플리케이션과 디지털 방송 콘텐츠를 방송송출 서버(20)로 제공하는 방송사업자 서버(10)와 ; 방송망에 연결되어, 방송사업자 서버(10)로부터의 디지털 방송 어플리케이션과, 디지털 방송 콘텐츠를 방송망을 통해서 디지털 TV(30)의 셋톱박스(31)로 유무선 송신하는 방송송출 서버(20) ; 방송망과 인터넷에 연결되어, 방송망을 통해서 방송송출 서버(20)로부터의 디지털 방송 어플리케이션과, 디지털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복호 및 복조하여 방송 출력유닛(32)으로 디지털 방송 콘텐츠를 출력하는 셋톱박스(31)와, 디스플레이(32a) 및 스피커(32b)로 구성되어 셋톱박스(31)로부터의 디지털 방송 콘텐츠를 방영하는 방송 출력유닛(32) 및, 셋톱박스(31)의 작동을 원격 제어하는 리모컨(33)을 구비한 디지털 TV(30) ; 인터넷에 연결되어, 주된 작업이나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고 그 결과를 돌려받는 클라이언트(40a ~ 40n) ; 인터넷에 연결되어, 클라이언트(40a ~ 40n)가 요청하는 작업이나 정보를 수행한 후에 수행결과를 클라이언트(40a ~ 40n)에게 돌려주는 웹사이트 서버(50a ~ 50n) ; 인터넷에 연결되어, 클라이언트(40a ~ 40n)나 셋톱박스(31)에는 변동 IP 주소를 할당하고, 웹사이트 서버(50a ~ 50n)나 MPOD 서버(70a ~ 70n)에는 고정 IP 주소를 할당하는 DHCP 서버(60) 및; 인터넷에 연결되어, 클라이언트(40a ~ 40n)로부터 요청된 동영상을 다 운로드 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동영상을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 전환하여 해당 MPOD 회원의 셋톱박스(31)로 전송하는 MPOD 서버(70a ~ 70n)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따른 주문형 동영상 시스템은, 방송사업자 서버(10)와 방송송출 서버(20) 및 디지털 TV(30)를 갖춘 공지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TV(30)의 셋톱박스(31)가 클라이언트(40a ~ 40n)와 서버(50a ~ 50n, 60, 70, 70a ~ 70n)로 이루어진 공지의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에 연결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MPOD 서버(70a ~ 70n)는 하드웨어적인 구성이 IP 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사실상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문형 동영상 서비스 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클라이언트(40a ~ 40n)에서, MPOD 서버(70a ~ 70n)로부터 MPOD 회원 식별자와 MPOD 회원 패스워드 및 셋톱박스 식별자를 입력받는 제1단계.
본 제1단계는 클라이언트(40a ~ 40n)를 이용해서 MPOD 서버(70a ~ 70n)에 인터넷 접속하여 주문형 동영상 서비스 회원에 가입하는 단계로서, 회원 가입한 시청자의 개인정보를 MPOD 서버(70a ~ 70n)에 등록하고, 회원 인증을 위한 MPOD 회원 식별자 및 MPOD 회원 패스워드와, 해당 MPOD 회원의 셋톱박스를 식별하기 위한 셋톱박스 식별자를 부여받는다. 필요에 따라서는, 하나의 식별자를 상기 MPOD 회 원 식별자와 셋톱박스 식별자로 공동 사용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2개의 식별자를 MPOD 회원 식별자와 셋톱박스 식별자로 개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MPOD 서버(70a ~ 70n)는 회원 가입한 시청자의 개인정보와, MPOD 회원 식별자, MPOD 회원 패스워드, 셋톱박스 식별자를 저장하여, MPOD 회원 식별자와 MPOD 회원 패스워드를 매개로 클라이언트(40a ~ 40n) 사용자가 정당한 MPOD 회원인지를 인증하고, 셋톱박스 식별자를 매개로 해당 MPOD 회원의 셋톱박스를 식별한다.
2. 셋톱박스(31)에서, 리모컨(33)으로 입력되는 MPOD 서버(70a ~ 70n)별 셋톱박스 식별자를 구분 저장하는 제2단계.
본 제2단계는 MPOD 서버(70a ~ 70n)가 셋톱박스(31)를 식별하고, 셋톱박스(31)와 MPOD 서버(70a ~ 70n)간의 세션 연결을 위한 셋톱박스 IP 어드레스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셋톱박스 식별자를 셋톱박스(31)에 MPOD 서버(70a ~ 70n)별로 저장하는 단계이다.
상기 셋톱박스 식별자를 셋톱박스(31)에 MPOD 서버(70a ~ 70n)별로 저장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는 방송송출 서버(20)로부터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어 셋톱박스(31)에 저장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MPOD 회원이 리모컨(33)의 셋업 버튼을 누르면, "셋톱박스 식별자 저장" 메뉴와 "셋톱박스 식별자 확인" 메뉴 및 "화면 닫기" 메뉴를 표함하는 환경설정 화면이 디스플레이(32a)를 통해서 표시되고, 리모컨(33)을 조작해서 "셋톱박스 식별자 저장" 메뉴를 선택하면, "MPOD 서비스업체를 선택해 주세요"라는 안내문구와, "1번 ; AAA업체", "2번 ; BBB업체", "3번 ; CCC업체" 등의 메뉴를 포함하는 MPOD 서비스업체 선택화면이 디스플레이(32a)를 통해서 표시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상태에서, MPOD 회원이 리모컨(33)을 조작해서 특정 MPOD 서비스업체, 예를 들어 "1번 ; AAA업체"를 선택하면, "AAA업체로부터 부여받은 셋톱박스 식별자를 입력하세요"라는 안내문구와, 셋톱박스 식별자 입력을 위한 입력창을 포함하는 셋톱박스 식별자 저장 화면이 디스플레이(32a)를 통해서 표시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상태에서, MPOD 회원이 리모컨(33)을 조작해서 회원가입 시에 부여받은 셋톱박스 식별자를 입력하면, 상기 셋톱박스 환경설정 화면이 디스플레이(32a)를 통해서 표시된다. 상기 셋톱박스 환경설정 화면이 디스플레이(32a)를 통해 표시되는 상태에서, 리모컨(33)을 조작해서 "셋톱박스 식별자 확인" 메뉴를 선택하면, "1번 ; AAA업체의 셋톱박스 식별자는 XXXXXXXX 입니다", "2번 ; BBB업체의 셋톱박스 식별자는 등록되지 않았습니다", "3번 ; CCC업체의 셋톱박스 식별자는 등록되지 않았습니다"라는 안내 문구와, "확인" 메뉴를 포함하는 셋톱박스 식별자 확인 화면이 디스플레이(32a)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상태에서, MPOD 회원이 리모컨(33)을 조작해서 "확인"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셋톱박스 환경설정 화면이 디스플레이(32a)를 통해 표시된다. 이후, 상기 셋톱박스 환경설정 화면이 디스플레이(32a)를 통해 표시되는 상태에서, 리모컨(33)을 조작해서 "화면 닫기" 메뉴를 선택하면, 셋톱박스 환경설정 화면이 디스플레이(32a)로부터 사라진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각 MPOD 서버(70a ~ 70n)의 고정 IP 어드레스는 방송송출 서버(20)로부터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어 셋톱박스(31)에 저 장된다. 따라서, 상기 MPOD 서버(70a ~ 70n)별로 회원별 셋톱박스(31)의 IP 어드레스가 자동으로 업데이트되고, MPOD 서버(70a ~ 70n)가 셋톱박스 식별자와 셋톱박스 IP 어드레스를 이용해서 특정 회원의 셋톱박스(31)에 자유롭게 선택 접속할 수 있게 된다.
3. 클라이언트(40a ~ 40n)가 MPOD 서버(70a ~ 70n)에 로그인 접속하는 제3단계.
본 제3단계는 MPOD 회원의 클라이언트(40a ~ 40n)가 MPOD 서버(70a ~ 70n)에 세션 연결되는 단계이다.
우선, 상기 클라이언트(40a ~ 40n)를 매개로 MPOD 서버(70a ~ 70n)에 인터넷 접속하여, 회원 가입시에 부여받은 MPOD 회원 식별자와 MPOD 회원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세션 연결을 요청하면, MPOD 서버(70a ~ 70n)에서 클라이언트(40a ~ 40n)로부터 입력되는 MPOD 회원 식별자와 MPOD 회원 패스워드를 MPOD 서버(70a ~ 70n)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MPOD 회원의 MPOD 회원 식별자와 MPOD 회원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이들이 상호 일치하면 로그인을 허용하여 클라이언트(40a ~ 40n)와 MPOD 서버(70a ~ 70n)를 상호 세션 연결하고, 이들이 상호 일치하지 않으면 로그인 오류 메시지를 해당 클라이언트(40a ~ 40n)로 전송한다.
4. 해당 MPOD 서버(70a ~ 70n)에서, 클라이언트(40a ~ 40n)로부터 다운로드되는 동영상을 MPOD 회원별로 구분 저장하는 제4단계 ;
본 제4단계는 클라이언트(40a ~ 40n)를 매개로 다운로드할 동영상을 선택한 후, 클라이언트(40a ~ 40n)를 매개로 다운로드 선택된 동영상을 MPOD 서버(70a ~ 70n)에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동영상을 MPOD 서버(70a ~ 70n)에 MPOD 회원별로 저장하는 단계이다.
우선, 본 제4단계는 클라이언트(40a ~ 40n)와 MPOD 서버(70a ~ 70n)가 세션 연결된 상태에서, MPOD 회원이 클라이언트(40a ~ 40n)를 이용해서 MPOD 서버(70a ~ 70n)에 다운로드할 동영상을 선택한다. 상기 다운로드할 동영상은 해당 클라이언트(40a ~ 40n)에서 보유하고 있는 동영상이나, 다른 클라이언트(40a ~ 40n)에서 보유하고 있는 파일 공유 허융된 동영상이나, 웹사이트 서버(50a ~ 50n)에서 보유하고 있는 동영상 모두가 가능하다. 다만, 상기 웹사이트 서버(50a ~ 50n)에서 보유하고 있는 동영상이 유료 제공일 경우에는, MPOD 회원이 해당 웹사이트 서버(50a ~ 50n)에 접속하여 회원 인증을 받고 연회비를 결제하거나, 별도의 사용자 인증 절차를 걸쳐서 건별 전송료를 개별 결제하는 등의 동영상 전송 인증절차를 수행하여, 해당 웹사이트 서버(50a ~ 50n)로부터 동영상 전송을 허용받아야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제4단계는 MPOD 회원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동영상을 방송 시청할 수 있도록, 방송 시청을 원하는 동영상을 MPOD 서버(70a ~ 70n)에 저장한다. 상기 다운로드할 동영상을 선택하여 다운로드하는 작업은 MPOD 서버(70a ~ 70n)에서 제공하는 다운로드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유저 인터페이스는 MPOD 서버(70a ~ 70n)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표시될 수도 있고, 공지의 메신저 프로그램과 같이 별도의 유저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으로 클라이언트(40a ~ 40n)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삭제
본 실시예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100)를 적용하였는데, 다운로드할 동영상을 유저 인터페이스(100)를 구성하는 MPOD 회원별 동영상 설정부(120)의 동영상 표시부(121)에 드레그 앤 드롭하면, 해당 동영상의 명칭이 동영상 표시부(121)에 표시되면서 MPOD 서버(70a ~ 70n)에 자동으로 다운로드되도록 하였으며, 이처럼 다운로드된 동영상은 MPOD 서버(70a ~ 70n)에 MPOD 회원별로 저장된다. 도 3에 도시된 유저 인터페이스(100)는, 공유 대상자를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공유 대상자 설정부(110)와 ; 동영상을 MPOD 서버(70a ~ 70n)로 다운로드하여 저장하고, MPOD 서버(70a ~ 70n)에 저장된 동영상을 공유 동영상으로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MPOD 회원별 동영상 설정부(120) ; 공유 요청자를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공유 요청자 설정부(130) 및; 공유 요청자별 공유 동영상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공유 요청자별 공유 동영상 설정부(14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유 대상자 설정부(110)는 공유 그룹 설정부(111)와, 그룹별 개인 공유자 설정부(112)로 구성되어, 개인 또는 그룹별로 공유 대상자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공유 그룹 설정부(111)는, 설정된 그룹들을 표시하는 설정 그룹 표시부(111a)와, 설정 그룹 표시부(111a)에 추가할 그룹명을 입력하는 신규 그룹 입력부(111b), 신규 그룹 입력부(111b)에 입력된 그룹명을 설정 그룹 표시부(111a)에 추가하는 그룹 추가 메뉴(111c) 및, 설정 그룹 표시부(111a)에서 선택된 그룹을 삭제하는 그룹 삭제 메뉴(111d)로 이루어진다. 상기 그룹별 개인 공유자 설정부(112)는, 설정 그룹 표시부(111a)에서 선택된 그룹에 속하는 설정 개인 공유자들 의 MPOD 회원 식별자를 표시하는 설정 개인 공유자 표시부(112a)와, 해당 그룹에 새롭게 추가할 개인 공유자의 MPOD 회원 식별자를 입력하는 개인 공유자 입력부(112b), 개인 공유자 입력부(112b)에 입력된 MPOD 회원 식별자를 설정 개인 공유자 표시부(112a)에 추가하는 개인 공유자 추가 메뉴(112c), 설정 개인 공유자 표시부(112a)에서 선택된 MPOD 회원 식별자를 삭제하는 개인 공유자 삭제 메뉴(112d) 및, 해당 그룹에 소속된 개인 공유자들에게 공유를 요청하는 공유 요청 메뉴(112e)로 이루어진다. 상기 MPOD 회원별 동영상 설정부(120)는, MPOD 서버(70a ~ 70n)에 MPOD 회원별로 저장된 동영상을 표시하는 동영상 표시부(121)와 ; 동영상 표시부(121)에서 선택된 동영상을 실행하는 동영상 실행 메뉴(122) ;, 동영상 표시부(121)에서 선택된 동영상을 삭제하는 동영상 삭제 메뉴(123) 및; 동영상 표시부(121)에 표시된 동영상의 공유 가능 여부와, 공유 가능한 동영상의 공유 여부를 개별적으로 설정·표시하는 동영상 공유 설정 메뉴(124)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유 요청자 설정부(130)는, 공유 요청자의 MPOD 회원 식별자를 표시하는 공유 요청자 표시부(131)와, 공유 요청자 표시부(131)에서 선택된 공유 요청자의 MPOD 회원 식별자를 삭제하고 공유를 차단하는 공유 요청자 삭제 메뉴(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유 요청자별 공유 동영상 설정부(140)는, 공유 요청자별 공유 동영상 설정부(140)에서 선택된 공유 요청자의 공유 동영상들을 표시하는 공유 동영상 표시부(141)와, 공유 동영상 표시부(141)에서 선택된 공유 동영상을 실행하는 공유 동영상 실행 메뉴(142)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다운로드된 동영상이 디지털 방송용 동영상 형식(MPEG2, MPEG4, H.264 등)인 경우에는 해당 동영상을 파일 형식 변환없이 저장한다. 반면, 상기 다운로드된 동영상이 MPEG1이나, MOV, RealVideo, Avi 등과 같이 디지털 방송용 동영상 형식이 아니면, 이들을 디지털 방송용 동영상 형식으로 변환하여 MPOD 서버(70a ~ 70n)에 저장해 두거나, 원래 형식대로 MPOD 서버(70a ~ 70n)에 저장해 주었다가 해당 동영상을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 부호화 및 변조하기 이전에 디지털 동영상 형식으로 실시간 전환할 수도 있다.
5. 해당 MPOD 서버(70a ~ 70n)에서, MPOD 회원별로 저장된 동영상이 유료 동영상인가를 판별하여, MPOD 회원 클라이언트(40a ~ 40n)의 유저 인터페이스상(100)에 유료 동영상은 공유 불가로, 무료 동영상은 공유 가능으로 표시하되, 유료 동영상은 공유할 수 없도록 차단하는 제5단계.
본 제5단계는 MPOD 서버(70a ~ 70n)에 MPOD 회원별로 저장된 동영상이 유료 동영상인가를 판별하여, 유료 동영상은 MPOD 회원이 임의로 공유할 수 없도록 강제하고, 무료 동영상은 MPOD 회원이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단계이다.
무료 동영상과는 달리 유료 동영상에는 AV정보 뿐만 아니라 저작권 보호를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유·무료 판별을 위한 별도의 수단 없이도 이러한 저작권 보호 정보를 이용해서 해당 동영상이 유료 동영상인지 혹은 무료 동영상인지를 판별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해당 동영상의 유·무료를 판별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동영상의 유·무료 판별을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유료 동영상에 유·무료 판별을 위한 전용 식별자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작업은 유료 동영상 제공자가 유료 동영상 제작시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MPOD 서버 사업자와, 유료 동영상을 제공하는 웹사이트 서버 사업자 간에 제휴를 맺는 경우, IP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해서 제휴 웹사이트 서버(50a ~ 50n)로부터 MPOD 서버(70a ~ 70n)로 전송되는 동영상은 무조건 유료 동영상으로 판별할 수도 있다. 이처럼, MPOD 서버 사업자와 웹사이트 서버 사업자 간에 제유를 맺어서 제휴 웹사이트 서버의 IP 어드레스 정보를 매개로 동영상의 유·무료를 판별하는 경우에는, MPOD 서버(70a ~ 70n)의 저장 공간을 물리적으로 무료 동영상 저장 공간과, 유료 동영상 저장 공간으로 이원화하여 개별관리하는 것이 해커들의 해킹에 의한 유료 동영상의 유출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MPOD 서버(70a ~ 70n)의 동영상에 대한 유·무료 판별이 수행된 후에는 해당 MPOD 회원의 유저 인터페이스상(100)에 판별 결과를 표시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유저 인터페이스(100)를 이용하는 실시예의 경우, 동영상 공유 설정 메뉴(124)를 통해서 공유 설정 가능한 상태(124a)와, 공유 설정 불가능한 상태(124b)를 표시하였는데, 공유 설정 가능한 상태(124a)는 동영상 공유 설정 메뉴(124)를 클릭해서 해당 무료 동영상을 공유할 수 있고, 공유 설정 불가능한 상태(124b)는 동영상 공유 설정 메뉴(124)가 설정이 불가능한 이미지로 표시되어(즉, 메뉴 기능이 정지되어) 해당 유료 동영상을 공유할 수 없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24a"는 해당 동영상이 공유된 상태를 표시하고 있고, 미설명부호 "124b"는 해당 동영상이 공유되지 않은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6. 해당 MPOD 서버(70a ~ 70n)에서, 공유 요청자의 클라이언트(40a ~ 40n)로부터 공유 대상자 및 공유 동영상 정보를 입력받아서 공유 대상자의 클라이언트(40a ~ 40n)로 공유 요청 정보를 출력하는 제6단계 ;
본 제6단계는 공유 요청자가 공유 대상자 및 공유 동영상를 선택하고, 공유 요청자가 공유 대상자에게 공유 허락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우선, MPOD 회원들 중에서, 본인이 MPOD 서버(70a ~ 70n)에 보관하고 있는 무료 동영상을 다른 MPOD 회원이 볼 수 있도록, 공유 대상자 및 공유 동영상을 선택한다.
이에 대해서, 도 3에 도시된 유저 인터페이스(100)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공유 요청자(MPOD 회원이면서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동영상을 다른 MPOD 회원에게 공유하기를 원하는 자)는 공유 대상자 설정부(110)의 신규 그룹 입력부(111b)에 식별가능한 그룹명을 입력한 후, 그룹 추가 메뉴(111c)를 클릭하여 설정 그룹 표시부(111a)에 그룹명을 등록한다. 이후, 상기 설정 그룹 표시부(111a)에 등록 표시된 그룹명을 선택한 상태에서, 해당 그룹에 소속시킬 개인 공유자의 MPOD 회원 식별자를 개인 공유자 입력부(112b)에 입력한 후, 개인 공유자 추가 메뉴(112c)를 클릭하여 설정 개인 공유자 표시부(112a)에 개인 공유자 MPOD 회원 식별자를 등록한다. 이후, 상기 MPOD 회원별 동영상 설정부(120)의 동영상 공유 설정 메뉴(124)중에서 공유 설정 가능한 동영상 공유 설정 메뉴(124a)를 클릭하여 동영상 표시부(121)에 표시된 동영상들 중에서 해당 그룹에 속한 개인 공유자들에게 공유시킬 무료 동영상을 선택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후, 공유 요청자가 공유 대상자에게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무료 동영상을 공유해서 볼 것인지를 요청한다.
도 3에 도시된 유저 인터페이스(100)를 사용하는 실시예의 경우, 상기와 같이 공유 대상자 및 공유 동영상를 선택한 후에, 공유 요청 메뉴(112e)를 클릭하면, "DDD님이 동영상 공유를 요청하셨습니다. 허락하십니까?"라는 안내 문구와, "허락" 메뉴 및 "거절" 메뉴를 포함하는 공유 허락 요청창(도시되지 않음)이, 해당 그룹에 속한 개인 공유자들의 클라이언트(40a ~ 40n)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각각 개별적으로 표시되도록 하였다.
7. 해당 MPDO 서버(70a ~ 70n)에서, 공유 대상자의 클라이언트(40a ~ 40n)로부터 공유 허락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공유 요청자 클라이언트(40a ~ 40n)의 유저 인터페이스(100)에 공유 대상자 및 공유 동영상를 표시하고, 공유를 허락한 공유 대상자 클라이언트(40a ~ 40n)의 유저 인터페이스(100)에 공유 요청자 및 공유 동영상를 표시하는 제7단계.
본 제7단계는 공유 대상자가 공유 요청을 허락하는 경우, 공유 요청자와 공유 허락자에게 이를 표시하고, 이들 간의 공유 관계를 유지토록 하는 단계이다.
도 3에 도시된 유저 인터페이스(100)를 참조하여 본 제7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6단계가 수행되어서, 상기 해당 그룹에 속한 개인 공유자의 클라이언트(40a ~ 40n)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공유 허락 요청창이 표시되면, 해당 개인 공유자는 이를 확인하고, 공유를 허락할 것이라면 "허락" 메뉴를, 공유를 허락하지 않을 것이라면 "거절" 메뉴를 클릭한다. 만일, 상기 개인 공유자가 "허락" 메뉴를 클릭하면, 공유 요청자의 유저 인터페이스(100)를 구성하는 설정 개인 공유자 표시부(112a)에 공유 허락자의 MPOD 회원 식별자가 자동 삭제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서 표시되는 한편, 해당 공유 허락자의 유저 인터페이스(100)를 구성하는 공유 요청자 설정부(130)의 공유 요청자 표시부(131)에 공유 요청자의 MPOD 회원 식별자가 자동으로 추가되어 표시되면서, 공유 요청자별 공유 동영상 설정부(140)의 공유 동영상 표시부(141)에 해당 공유 요청자의 공유 동영상들의 명칭이 표시된다. 반면, 상기 개인 공유자가 "거절" 메뉴를 클릭하면, 공유 요청자의 유저 인터페이스(100)를 구성하는 설정 개인 공유자 표시부(112a)에 해당 공유 허락자의 MPOD 회원 식별자가 자동으로 삭제되는 한편, 해당 공유 거절자의 유저 인터페이스(100)를 구성하는 공유 요청자 설정부(130)의 공유 요청자 표시부(131)와, 공유 요청자별 공유 동영상 설정부(140)의 공유 동영상 표시부(141)에 공유 요청자의 MPOD 회원 식별자와, 공유 동영상들이 각각 표시되지 않는다.
8. 해당 MPOD 서버(70a ~ 70n)에서, 공유 허락자의 클라이언트(40a ~ 40n)로부터 공유 요청자의 공유 동영상 시청 정보가 입력되면, 시청 선택된 공유 요청자의 공유 동영상을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 부호화 및 변조하여 공유 허락자의 셋톱박스(31)로 전송하는 제8단계.
본 제8단계는 MPOD 회원인 공유 허락자가 다른 MPOD 회원인 공유 요청자의 공유 동영상을 시청 선택하여, 해당 공유 동영상을 전송받는 단계이다.
도 3에 도시된 유저 인터페이스(100)를 참조하여 본 제8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공유 허락자가 자신의 유저 인터페이스(100)의 공유 요청자 표시부(131)에 표시된 공유 요청자를 선택하면, 해당 공유 요청자의 공유 동영상들의 명칭이 공유 동영상 표시부(141)에 표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유 동영상 표시부(141)에 표시된 공유 동영상들 중에서 시청할 특정 공유 동영상을 선택한 후에 공유 동영상 실행 메뉴(142)를 클릭하면, MPOD 서버(70a ~ 70n)에서 해당 공유 요청자의 공유 동영상을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 부호화 및 변조하여 해당 공유 허락자의 셋톱박스(31)로 전송한다.
9. 공유 허락자의 셋톱박스(31)에서, 해당 MPOD 서버(70a ~ 70n)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 스트림을 복호화 및 복조하여. 방송 출력유닛(32)을 매개로 공유 동영상을 방영하는 제9단계.
본 제9단계는 공유 허락자가 MPOD 서버(70a ~ 70n)로부터의 디지털 방송 스트림을 디지털 TV(30)의 방송 출력유닛(32)을 통해서 공유 요청자의 공유 동영상을 시청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예로, 상기 MPOD 서버(70a ~ 70n)로부터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100)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MPOD 회원별 동영상 설정부(120)에 동영 상 실행정지 메뉴를 추가하거나, 공유 요청자별 공유 동영상 설정부(140)에 공유 동영상 실행정지 메뉴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공유 대상자의 클라이언트(40a ~ 40n)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에 공유 허락 요청창을 별도로 표시하지 않고, 공유 대상자의 유저 인터페이스(100) 내에, 예를 들어 공유 허락자 설정부(130)에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공유 요청자가 공유 대상가 공유 거절한 상태를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공유 요청자의 유저 인터페이스(100) 내에 공유 대상자의 공유 거절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공유 거절 확인창을 표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동영상은 시청이 가능한 영상정보와 음성정보를 포함하고, 동영상은 정지 화상들의 연속이므로, 본 발명은 동영상에만 그 대상이 국한되지 않고 디지털 TV(30)의 방송 출력유닛(32)을 통해서 실행할 수 있는 모든 콘텐츠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들 역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MPOD 서버에 MPOD 회원별로 개별 저장된 동영상이 무료 동영상인지 유료 동영상인지를 판별하여, 무료 동영상인 경우에는 MPOD 회원들간에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고, 유료 동영상인 경우에는 MPOD 회원들간에 공유할 수 없도록 강제하는 방식이므로, MPOD 회원들이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무료 동영상을 자유롭게 상호 교환하여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저작권 침해 문제가 원천적으로 방지되고, 주문형 동영상 서비스가 보다 폭넓고 다양 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클라이언트(40a ~ 40n)에서, MPOD 서버(70a ~ 70n)로부터 MPOD 회원 식별자와 MPOD 회원 패스워드 및 셋톱박스 식별자를 입력받는 제1단계 ; 셋톱박스(31)에서, 리모컨(33)으로 입력되는 MPOD 서버(70a ~ 70n)별 셋톱박스 식별자를 구분 저장하는 제2단계 ; 클라이언트(40a ~ 40n)가 MPOD 서버(70a ~ 70n)에 로그인 접속하는 제3단계 ; 해당 MPOD 서버(70a ~ 70n)에서, 클라이언트(40a ~ 40n)로부터 다운로드되는 동영상을 MPOD 회원별로 구분 저장하는 제4단계 ; 해당 MPOD 서버(70a ~ 70n)에서, MPOD 회원별로 저장된 동영상이 유료 동영상인가를 판별하여, MPOD 회원 클라이언트(40a ~ 40n)의 유저 인터페이스상(100)에 유료 동영상은 공유 불가로, 무료 동영상은 공유 가능으로 표시하되, 유료 동영상은 공유할 수 없도록 차단하는 제5단계 ; 해당 MPOD 서버(70a ~ 70n)에서, 공유 요청자의 클라이언트(40a ~ 40n)로부터 공유 대상자 및 공유 동영상 정보를 입력받아서 공유 대상자의 클라이언트(40a ~ 40n)로 공유 요청 정보를 출력하는 제6단계 ; 해당 MPDO 서버(70a ~ 70n)에서, 공유 대상자의 클라이언트(40a ~ 40n)로부터 공유 허락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공유 요청자 클라이언트(40a ~ 40n)의 유저 인터페이스(100)에 공유 대상자 및 공유 동영상를 표시하고, 공유를 허락한 공유 대상자 클라이언트(40a ~ 40n)의 유저 인터페이스(100)에 공유 요청자 및 공유 동영상를 표시하는 제7단계 ; 해당 MPOD 서버(70a ~ 70n)에서, 공유 허락자의 클라이언트(40a ~ 40n)로부터 공유 요청자의 공유 동영상 시청 정보가 입력되면, 시청 선택된 공유 요청자의 공유 동영상을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 부호화 및 변조하여 공유 허락자의 셋톱박스(31)로 전송하는 제8단계 ; 공유 허락자의 셋톱박스(31)에서, 해당 MPOD 서버(70a ~ 70n)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 스트림을 복호화 및 복조하여. 방송 출력유닛(32)을 매개로 공유 동영상을 방영하는 제9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형 동영상 서비스 방법.
KR1020070013835A 2007-02-09 2007-02-09 유료 동영상의 공유를 차단하는 주문형 동영상 서비스 방법 KR100858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835A KR100858742B1 (ko) 2007-02-09 2007-02-09 유료 동영상의 공유를 차단하는 주문형 동영상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835A KR100858742B1 (ko) 2007-02-09 2007-02-09 유료 동영상의 공유를 차단하는 주문형 동영상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549A KR20080074549A (ko) 2008-08-13
KR100858742B1 true KR100858742B1 (ko) 2008-09-17

Family

ID=39883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835A KR100858742B1 (ko) 2007-02-09 2007-02-09 유료 동영상의 공유를 차단하는 주문형 동영상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87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232A (ko) 2000-08-19 2000-12-05 이석구 인터넷망을 이용한 디지털컨텐츠 배포시스템
KR20030031319A (ko) 2001-10-13 2003-04-21 (주)세호정보통신 인터넷상에서의 개인간 컨텐츠 판매 시스템
KR20050049226A (ko) 2003-11-21 2005-05-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수의 셋탑박스에 저장장치 공유 기능을 제공하는홈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저장장치 공유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232A (ko) 2000-08-19 2000-12-05 이석구 인터넷망을 이용한 디지털컨텐츠 배포시스템
KR20030031319A (ko) 2001-10-13 2003-04-21 (주)세호정보통신 인터넷상에서의 개인간 컨텐츠 판매 시스템
KR20050049226A (ko) 2003-11-21 2005-05-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수의 셋탑박스에 저장장치 공유 기능을 제공하는홈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저장장치 공유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549A (ko) 200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1674B2 (en) Public/private communications paths
EP2382774B1 (en) Shared television sessions
US9167287B2 (en) Controlling a viewing session for a video program
US86712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content
US8484687B2 (e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remote video-on-demand (VOD)
US87670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ewing room services for network based content
JP5582214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KR20130114683A (ko) 플레이스쉬프팅을 이용하여 미디어 콘텐츠로 분배 접속 시스템 및 방법
US20070147777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20116934A1 (en) Systems and methods to share access to placeshifting devices
US20060053456A1 (en) Technique for delivering through a communications network content of entertainment programs, and video recordings provided by users
JP5589848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KR20060123519A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시청각 콘텐츠를 레코딩하는 방법
US201801317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nt Capture, Distribution, and Management
JP5836942B2 (ja) マルチメディアサービスを供給する方法
KR100824741B1 (ko) 동영상 공유가 가능한 주문형 동영상 서비스 방법
KR100858742B1 (ko) 유료 동영상의 공유를 차단하는 주문형 동영상 서비스 방법
JP2012531863A5 (ko)
CN101677396B (zh) 一种预览频道媒体流协商的方法、系统和装置
KR100798150B1 (ko) 주문형 동영상 서비스 방법
KR100870047B1 (ko) 주문형 동영상 서비스 방법
KR20080055742A (ko) 주문형 동영상 서비스 방법
JP6768906B2 (ja) 表示装置
JP7371195B2 (ja) 表示装置
JP6940673B2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