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8346B1 - 터널의 조명설비용 안전진단장치 - Google Patents

터널의 조명설비용 안전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8346B1
KR100858346B1 KR1020080020594A KR20080020594A KR100858346B1 KR 100858346 B1 KR100858346 B1 KR 100858346B1 KR 1020080020594 A KR1020080020594 A KR 1020080020594A KR 20080020594 A KR20080020594 A KR 20080020594A KR 100858346 B1 KR100858346 B1 KR 100858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input terminal
output terminal
ceiling wall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준
Original Assignee
(주)성지토목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지토목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성지토목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080020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8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57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operating status of the lighting device, e.g. to detect failure of a light source or to provide feedback to th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21V25/02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coming into action when lighting device is disturbed, dismounted, or brok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1Outdoor lighting of tunnels or the like, e.g. under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의 조명설비용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체결부재(B)를 매개로 터널 천장벽(W)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1)과, 고정브라켓(11)에 체결되는 보호케이스(12)와, 보호케이스(12)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전력라인과 연결되는 소켓(13)과, 소켓(13)에 삽입되는 전등(14)으로 구성되어, 터널 천장벽(W)에 설치되는 조명기구(10)를 갖춘 터널의 조명설비용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널 천장벽(W)에 내설되는 케이스(20)와; 케이스(20)에 내설되는 실린더(31)와, 실린더(31)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판(32)과, 이동판(32)을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33)과, 일단이 이동판(32)에 연결되고 타단이 조명기구(10)의 고정브라켓(11)에 연결되어 고정브라켓(11)을 천장 벽면 쪽으로 당기는 와이어(34)로 구성된 고정기구(30)와; 상호 이격되도록 실린더(31) 내부에 설치되는 입력단자(41) 및 출력단자(42)와, 이동판(32)의 일측에 구비되며 입력단자(41)와 출력단자(42) 사이에 끼워져 입력단자(41)와 출력단자(42)의 연결을 차단하는 절연부(32a)와, 출력단자(42)를 향해 입력단자(41)를 가압하여 절연부(32a)가 입력단자(41)와 출력단자(42) 사이에서 이탈되면 출력단자(42)와 입력단자(41)를 연결시키는 스프링(43)으로 구성된 감지기구(40)와; 감지기구(40)의 입력단자(41) 및 출력단자(42)와 연결되어, 입력단자(41)와 출력단자(42)의 연결상태를 감시하여 연결이 차단되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유닛(50)과; 제어유닛(5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조명기구(10)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장치(61)와, 조명기구(10)의 고정브라켓(11)에 설치되어 이상이 발생한 조명기구(10)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등(62)으로 구성된 출력유닛(60);을 더 구비하는 구조로 되어, 조명기구가 터널 내부를 통행하는 차량에 낙하되지 않으며, 관리자가 조명기구 안전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널의 조명설비용 안전진단장치{Equipment for checking the illuminator installed inside a tunnel}
본 발명은 터널의 조명설비용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의 천장벽에는 터널 내부를 통행하는 운전자의 안전한 시야 확보를 위해 조명기구가 설치된다.
이러한 조명기구는, 체결부재를 매개로 터널 천장벽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고정브라켓에 체결되는 보호케이스와, 보호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전력라인과 연결되는 소켓과, 소켓에 삽입되는 전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조명기구는 장기간 사용되면, 조명기구와 천장벽과의 결속력이 약해지고, 더 나아가 조명기구가 천장벽으로부터 이탈되어 터널 내부를 통행하는 차량에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터널 내부를 통행하는 차량운전자는 심각한 안전상 위협을 받게 되며,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터널 천장벽으로부터 조명기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터널 내부를 통행하는 운전자가 항상 교통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터널 천장벽에 설치된 조명기구가 낙하되지 않음은 물론, 천장벽으로부터 이격된 조명기구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터널 내부를 통행하는 운전자가 안전운행을 할 수 있는 터널의 조명설비용 안전진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체결부재를 매개로 터널 천장벽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고정브라켓에 체결되는 보호케이스와, 보호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전력라인과 연결되는 소켓과, 소켓에 삽입되는 전등으로 구성되어, 터널 천장벽에 설치되는 조명기구를 갖춘 터널의 조명설비용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널 천장벽에 내설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내설되는 실린더와, 실린더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판과, 이동판을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과, 일단이 이동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조명기구의 고정브라켓에 연결되어 고정브라켓을 천장 벽면 쪽으로 당기는 와이어로 구성된 고정기구와; 상호 이격되도록 실린더 내부에 설치되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와, 이동판의 일측에 구비되며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끼워져 입력단자와 출력단자의 연결을 차단하는 절연부와, 출력단자를 향해 입력단자를 가압하여 절연부가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서 이탈되면 출력단자와 입력단자를 연결시키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감지기구와; 감지기구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와 연결되어, 입력단자와 출력단자의 연결상태를 감시하여 연결이 차단되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유닛과;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조명기구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조명기구의 고정브라켓에 설치되어 이상이 발생한 조명기구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등으로 구성된 출력유닛; 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명기구가 터널 내부를 통행하는 차량에 낙하되지 않으며, 관리자가 조명기구 안전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의 조명설비용 안전진단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1부분을 나타낸 확대도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널의 조명설비용 안전진단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터널의 조명설비용 안전진단장치의 조명기구(10)가, 체결부재(B)를 매개로 터널 천장벽(W)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1)과, 고정브라켓(11)에 체결되는 보호케이스(12)와, 보호케이스(12)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전력라인과 연결되는 소켓(13)과, 소켓(13)에 삽입되는 전등(14)으로 구성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터널의 조명설비용 안전진단장치는, 터널의 천장벽(W)에 설치되는 케이스(20)와, 조명기구(10)를 고정하는 고정기구(30)와, 터널의 천장벽(W)과 조명기구(10)의 이격을 감지하는 감지기구(40)와, 감지기구(4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50)과, 터널의 천장벽(W)과 조명기구(10)의 이격 상태를 나타내는 출력유닛(60)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터널의 조명설비용 안전진단장치는 터널 내부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20)는, 내부에 공간부(21)가 형성되어, 터널 천장벽(W)에 내설된다. 이때, 케이스(20)는 조명기구(10)의 고정브라켓(11)과 맞대어지도록 천장벽(W)에 삽입설치된다.
상기 고정기구(30)는, 케이스(20)의 공간부(21)에 설치되는 실린더(31)와, 실린더(31)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면에 절연부(32a)가 돌출된된 이동판(32)과, 이동판(32)을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33)과, 일단이 이동판(32)에 연결되고 타단이 조명기구(10)의 고정브라켓(11)에 연결되어 일정장력으로 고정브라켓(11)을 당기는 와이어(3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절연부(32a)는 부도체 성질을 갖는 것이면 충분하다.
상기 스프링(33)은 실린더(31) 내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실린더(31) 내부 상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이동판(32)에 고정되어, 이동판(32)을 실린더(31) 내부 하면으로 탄발지지한다.
상기 와이어(34)는, 일단이 실린더(31) 내부로 삽입되어 이동판(32)의 상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실린더(31) 외부로 인출되어 고정브라켓(11)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31)의 외면으로 인출된 와이어(34)는, 실린더(31) 외면을 따 라 설치된 다수의 롤러(R)에 의해 안내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브라켓(11)에 연결된다.
따라서 조명기구(10)가 낙하하면, 조명기구(10)의 하중에 의해 와이어(34)가 당겨지고 이동판(32)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절연부(32a)가 입력단자(41)와 출력단자(42)에서 이탈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43)은 상방향으로 압축되면서 낙하하는 조명기구(10)를 완충시켜준다.
상기 감지기구(40)는, 이동판(32)의 절연부(32a)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실린더(31) 내부에 설치되는 입력단자(41) 및 출력단자(42)와, 출력단자(42)를 향해 입력단자(41)를 가압하는 스프링(43)으로 구성된다. 이때, 입력단자(41)는 이동판(32)의 절연부(32a)가 입력단자(41)와 출력단자(42) 사이에서 이탈되면 스프링(43)에 의해 가압되어, 입력단자(41)와 출력단자(42)가 접속된다.
상기 제어유닛(50)은, 감지기구(40)의 입력단자(41) 및 출력단자(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입력단자(41)와 출력단자(42)가 접속되어 전기가 통전되면 이를 감지한다.
상기 출력유닛(60)은, 제어유닛(5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각각의 조명기구(10) 이상 유무를 통합적으로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장치(61)와 각각의 조명기구(10) 고정브라켓(11)에 개별설치되어 이상이 발생한 조명기구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등(6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명기구(10)가 터널 천장벽(W)으로부터 이탈되면, 관리자는 디스플레이장치(61)를 통해 이탈된 조명기구(10)를 확인할 수 있고 점등된 표시 등(62)을 통해 터널 내부에서 이탈된 조명기구(10)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의 조명설비용 안전진단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고, 도 4는 도 3의 A2의 확대도로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널의 조명설비용 안전진단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조명기구(10)가 터널 천장벽(W)에 설치된 상태에서, 조명기구(10)가 장기간 사용되면 조명기구(10)의 고정브라켓(11)에 부식이 생기고, 이로 인해 고정브라켓(11)과 터널 천장벽(W)의 결속상태가 헐거워지면서, 조명기구(10)가 도 3와 같이 낙하하게 된다.
상기 조명기구(10)가 낙하하면, 조명기구(10)의 하중에 의해 와이어(34)가 당겨지고, 이에 따라 이동판(32)가 이동하면서 이동판(32)의 절연부(32a)가 감지기구(40)의 입력단자(41)와 출력단자(42) 사이에서 이탈된다. 이때 고정기구(30)의 스프링(33)은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판(32)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낙하하는 조명기구(10)에 완충력을 제공한다.
한편, 이동판(32)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이와 동시에 감지기구(40)의 스프링(43)이 입력단자(41)를 가압하여 입력단자(41)와 출력단자(42)가 접속되어 입력단자(41)와 출력단자(42)가 통전된다. 따라서 제어유닛(50)이 입력단자(41)와 출력단자(42)의 통전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장치(61)에 조명기구(10)가 터널 천장벽(W)으로부터 이탈되었다는 것을 나타냄과 동시에 표시등(62)을 점등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조명기구(10)가 터널 천장벽(W)으로부터 이탈되면, 관 리자는 디스플레이장치(61)를 통해 조명기구(10) 이상을 확인한다. 이후 관리자는 터널 내로 들어가서 점등된 표시등(62)을 통해 이상 조명기구(10)의 위치를 확인하여 이상 조명기구(10)를 수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널의 조명설비용 안전진단장치는, 조명기구(10)가 천장벽(W)으로부터 이탈되더라도 와이어에 의해 일시적으로 천장벽(W)에 고정되어, 조명기구(10)가 터널을 통행하는 차량으로 낙하하지 않는다. 또한, 관리자는 디스플레이장치(61)를 통해 조명기구(10)의 이탈유무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어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점멸하는 표시등(62)을 통해 이탈된 조명기구(10)의 위치를 정확히 찾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의 조명설비용 안전진단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1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의 조명설비용 안전진단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고,
도 4는 도 3의 A2의 확대도이다.

Claims (1)

  1. 체결부재(B)를 매개로 터널 천장벽(W)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1)과, 고정브라켓(11)에 체결되는 보호케이스(12)와, 보호케이스(12)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전력라인과 연결되는 소켓(13)과, 소켓(13)에 삽입되는 전등(14)으로 구성되어, 터널 천장벽(W)에 설치되는 조명기구(10)를 갖춘 터널의 조명설비용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널 천장벽(W)에 내설되는 케이스(20)와;
    케이스(20)에 내설되는 실린더(31)와, 실린더(31)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판(32)과, 이동판(32)을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33)과, 일단이 이동판(32)에 연결되고 타단이 조명기구(10)의 고정브라켓(11)에 연결되어 고정브라켓(11)을 천장 벽면 쪽으로 당기는 와이어(34)로 구성된 고정기구(30)와;
    상호 이격되도록 실린더(31) 내부에 설치되는 입력단자(41) 및 출력단자(42)와, 이동판(32)의 일측에 구비되며 입력단자(41)와 출력단자(42) 사이에 끼워져 입력단자(41)와 출력단자(42)의 연결을 차단하는 절연부(32a)와, 출력단자(42)를 향해 입력단자(41)를 가압하여 절연부(32a)가 입력단자(41)와 출력단자(42) 사이에서 이탈되면 출력단자(42)와 입력단자(41)를 연결시키는 스프링(43)으로 구성된 감지기구(40)와;
    감지기구(40)의 입력단자(41) 및 출력단자(42)와 연결되어, 입력단자(41)와 출력단자(42)의 연결상태를 감시하여 연결이 차단되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유닛(50)과;
    제어유닛(5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조명기구(10)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장치(61)와, 조명기구(10)의 고정브라켓(11)에 설치되어 이상이 발생한 조명기구(10)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등(62)으로 구성된 출력유닛(60);
    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조명설비용 안전진단장치.
KR1020080020594A 2008-03-05 2008-03-05 터널의 조명설비용 안전진단장치 KR100858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594A KR100858346B1 (ko) 2008-03-05 2008-03-05 터널의 조명설비용 안전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594A KR100858346B1 (ko) 2008-03-05 2008-03-05 터널의 조명설비용 안전진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8346B1 true KR100858346B1 (ko) 2008-09-17

Family

ID=40023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594A KR100858346B1 (ko) 2008-03-05 2008-03-05 터널의 조명설비용 안전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83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500B1 (ko) 2015-10-19 2016-02-12 주식회사 케이알산업 터널용 조명의 이탈 및 조도변화 진단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001B1 (ko) 2004-11-22 2005-08-04 (주)씨에스티개발 터널용 조명 안전진단장치
KR100655467B1 (ko) 2006-09-14 2006-12-08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교량난간의 안전진단장치
KR100797940B1 (ko) 2007-12-21 2008-01-24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강교의 부식을 예측하는 안전진단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001B1 (ko) 2004-11-22 2005-08-04 (주)씨에스티개발 터널용 조명 안전진단장치
KR100655467B1 (ko) 2006-09-14 2006-12-08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교량난간의 안전진단장치
KR100797940B1 (ko) 2007-12-21 2008-01-24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강교의 부식을 예측하는 안전진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500B1 (ko) 2015-10-19 2016-02-12 주식회사 케이알산업 터널용 조명의 이탈 및 조도변화 진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93424B2 (ja) エレベータの牽引スチールベルトのロープ破損検出装置、検出システムおよび検出方法
US6195002B1 (en) Alarms for monitoring operation of sensors in a fire-suppression system
KR101280292B1 (ko) 수변전설비의 멀티센서를 이용한 이상감지장치
KR102131877B1 (ko)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JP4926613B2 (ja) 昇降装置およびワイヤーロープの損傷検知装置
CN107922157A (zh) 用于牵引带和/或牵引带终端的状态监测的装置和方法
CN102923544A (zh) 曳引钢丝绳断股检测装置及方法
KR102449154B1 (ko) 통전 감지 경보장치
KR101181934B1 (ko) 접지선 도난 방지장치
KR100858346B1 (ko) 터널의 조명설비용 안전진단장치
CN103879852A (zh) 基于形变原理的电梯钢丝绳断绳监测装置
JP6067813B1 (ja) エレベーター脱レール検出装置
US20190084805A1 (en) Elevator system
CN201236084Y (zh) 升降式电梯的传感器和数码显示电子限速器安全装置
KR102116761B1 (ko) 배전용 지중배관 시설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개폐장치
KR101602143B1 (ko) 크레인의 안전 감시 시스템
KR20130024533A (ko) 화재 감지 장치 및 시스템
CN203053882U (zh) 立体车库钢丝绳连续在线检测装置
KR19990087514A (ko) 로드 및 케이블에 의해 작동되는 기계 전동식시스템용안전 장치
CN105043236A (zh) 钢丝绳监测传感器
CN205616382U (zh) 块式制动器、电梯曳引机及电梯
WO2014188051A1 (en) Elevator derailment detection system and elevator system comprising the same
CN211110506U (zh) 绳头张紧检测机构及电梯安全保护装置
JP2009132482A (ja)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破断検出装置
CN205014942U (zh) 钢丝绳监测传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