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382B1 - Rlc를 이용하는 osd 장치 - Google Patents

Rlc를 이용하는 osd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382B1
KR100857382B1 KR1020020046724A KR20020046724A KR100857382B1 KR 100857382 B1 KR100857382 B1 KR 100857382B1 KR 1020020046724 A KR1020020046724 A KR 1020020046724A KR 20020046724 A KR20020046724 A KR 20020046724A KR 100857382 B1 KR100857382 B1 KR 100857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d
data
engine
color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6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3689A (ko
Inventor
문주형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6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382B1/ko
Publication of KR20040013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5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graph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RLC를 이용하는 OSD 장치는, 저장하는 데이터를 RLC화하여 그 코드화된 데이터를 폰트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같은 크기의 메모리에서 더욱 많은 양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RLC를 이용하는 OSD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CPU 버스로부터 동작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상기 동작 데이터에 따라 중앙 처리부의 동작을 결정하고, 이에 따른 동작 결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OSD 제어 레지스터; 상기 OSD 제어 레지스터로부터 동작 결정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동작 결정 데이터에 따라 OSD 영상을 결정하며, 결정된 OSD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OSD 엔진; 상기 CPU 버스로부터 폰트 및 코드를 입력받아 부호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OSD 엔진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저장된 폰트 및 코드를 복호화하여 상기 OSD 엔진으로 출력하는 SRAM부; 상기 CPU 버스로부터 색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OSD 엔진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으면, 제어 신호가 지정하는 배경 색 및 전경 색을 출력하는 칼라 룩업 테이블; 및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칼라 룩업 테이블으로부터 전경 색 및 배경 색을 입력받으며, 상기 OSD 엔진으로부터 입력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경 색 및 상기 배경 색이 적용된 OSD 영상과 상기 영상 데이터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OSD 혼합부를 포함한다.
RLC, OSD, 폰트 데이터, 압축 메모리, 부호화

Description

RLC를 이용하는 OSD 장치{OSD DEVICE USING RLC}
도 1은 종래의 OSD 장치 내에 장착된 코드 및 폰트 메모리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RLC를 이용하는 OSD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폰트 메모리의 저장 표현 및 화면 표현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RLC를 이용하는 OSD 장치에 장착된 폰트 메모리부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RLC를 이용하는 OSD 장치에 장착된 폰트 메모리부의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OSD 제어 레지스터 220 : OSD 엔진
230 : SRAM부 240 : 칼라 룩업 테이블
250 : OSD 혼합부
본 발명은 RLC(Run Length Code)를 이용하는 OSD(On-Screen Display)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적인 범용 표시 장치들(PDP, HDTV, LCD, CRT 모니터 등)에 장착되어 화면에 필요한 여러 가지 기능을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RLC를 이용하는 OSD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SD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키 입력에 의해 선택된 화면 조절 모드 및 조절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문자신호를 의미한다. 이러한 OSD에 있어서, ROM을 사용하거나,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CPU를 통하여 갱신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 기존의 제품들은 대개 ROM을 적용한 획일적인 방식을 채용하여 사용자 정의가 불가능했었으나, 최근에는 고가격, 고품질의 제품들에 의해 OSD도 고급화되어 사용자에 의한 갱신이 가능해졌다.
도 1은 종래의 OSD 장치 내에 장착된 코드 및 폰트 메모리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이러한 종래의 코드 및 폰트 메모리 구조는, 256개의 폰트를 지원할 수 있는 폰트 메모리(Font Area); 및 폰트 메모리(Font Area)의 폰트에 해당하는 코드를 저장하는 코드 메모리(Display Area)를 포함하는 메모리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코드 메모리로 1K(word)의 메모리가 사용되고, 베이스 주소(Base Address) 레지스터(제어 레지스터)가 있어 코드와 폰트를 분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OSD 장치에서는, 폰트(Font)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메모리를 따라서 증가시킴으로써 설계자가 이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그 에 따른 칩 크기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저장하는 데이터를 RLC화하여 그 코드화된 데이터를 폰트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같은 크기의 메모리에서 더욱 많은 양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RLC를 이용하는 OSD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RLC를 이용하는 OSD 장치는, CPU 버스로부터 동작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상기 동작 데이터에 따라 중앙 처리부의 동작을 결정하고, 이에 따른 동작 결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OSD 제어 레지스터; 상기 OSD 제어 레지스터로부터 동작 결정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동작 결정 데이터에 따라 OSD 영상을 결정하며, 결정된 OSD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OSD 엔진; 상기 CPU 버스로부터 폰트 및 코드를 입력받아 부호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OSD 엔진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저장된 폰트 및 코드를 복호화하여 상기 OSD 엔진으로 출력하는 SRAM부; 상기 CPU 버스로부터 색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OSD 엔진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으면, 제어 신호가 지정하는 배경 색 및 전경 색을 출력하는 칼라 룩업 테이블; 및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칼라 룩업 테이블으로부터 전경 색 및 배경 색을 입력받으며, 상기 OSD 엔진 으로부터 입력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경 색 및 상기 배경 색이 적용된 OSD 영상과 상기 영상 데이터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OSD 혼합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RLC를 이용하는 OSD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러한 본 발명의 RLC를 이용하는 OSD 장치는, OSD 제어 레지스터(210), OSD 엔진(220), SRAM부(230), 칼라 룩업 테이블(240) 및 OSD 혼합부(250)를 포함한다.
OSD 제어 레지스터(210)는, CPU 버스로부터 동작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상기 동작 데이터에 따라 중앙 처리부(CPU)(도시되지 않음)의 동작을 결정하고, 이에 따른 동작 결정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동작 결정 데이터를 후술하는 OSD 엔진(22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현재 데이터를 늘릴 것인지(Stretch), 혹은, 어느 정도에 공간(space)을 주어 표시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OSD 제어 레지스터(210)에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저장된다.
Figure 112002025575718-pat00001
위에 기재된 표에 따르면, 현재 데이터를 늘릴 것인지(Stretch)에 관한 스펙(Spec)은, 총 8 비트가 할당되고, 이러한 8 비트 중 상위 네 비트(D4~D7)는 나중에 사용할 수 있도록 여유있는 할당을 위한 보류(reserved) 비트이다. 상기 OSD 제어 레지스터(210)는, 나머지 비트를 이용하여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4배까지 복사될 수 있도록 해당 값을 저장하고, CPU가 CPU 버스를 통하여 이러한 해당 값을 갱신하게 된다.
또한, OSD 엔진(220)은, 상기 OSD 제어 레지스터(210)로부터 동작 결정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동작 결정 데이터에 따라 표시를 위한 수평 동기 및 수직 동기 계산, 어느 위치에 표시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위치 정보 및 현재 데이터를 늘릴 것인지(Stretch), 혹은, 어느 정도에 공간(space)을 주어 표시할 것인지를 결정하 며, 결정된 OSD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OSD 엔진(220)은, 전체 OSD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OSD는 칩에 장착되므로, 일반적으로 화면에 어떤 그림이나 동영상이 표시되지 않아도 독립적으로 표시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OSD 엔진(220)은, 우리가 알고 있는 현재 표시에 대한 화면 정보(수평 동기 및 수직 동기)를 항상 입력으로 받고 있다고 가정되어 있으며, 표시 못하는 경우는 배제된다.
한편, SRAM부(230)는, 상기 CPU 버스로부터 폰트 및 코드를 입력받아 부호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OSD 엔진(220)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저장된 폰트 및 코드를 복호화하여 상기 OSD 엔진(22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SRAM부(230)는, 코드 메모리부(231) 및 폰트 메모리부(232)를 포함한다.
상기 SRAM부(230) 내에 장착된 코드 메모리부(231)는, 상기 CPU 버스로부터 코드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OSD 엔진(220)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저장된 코드를 상기 OSD 엔진(22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코드는, 하기 표 2에 명시된 바와 같이 나타낸다.
Figure 112002025575718-pat00002
상술한 표 2에 의하면, 어떤 폰트인가(Character code)를 8 비트로 나타내는 데, ASCII로 저장된 것이 아니라 약속된 저장 알파벳, 한글, 특수 문자 등을 순서로 정의해 1번부터 255번까지 정의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면, 1번에 숫자 '2'를 지정한다고 가정하면, 2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어떤 폰트인가(Character code)를 8 비트로 나타내는 부분에 1을 저장한다. 9번째 비트(Bit8)는 명멸(blinking) 여부를 결정하는 비트이고, 10번째 비트 내지 16번째 비트(Bit9~Bit15)는 배경 색(Background Color)을 결정하며, 17번째 비트 내지 24번째 비트(Bit16~Bit23)는 전경 색(Foreground Color)을 결정한다. 즉, 배경 색(Background Color)을 검정으로 하고, 전경 색(Foreground Color)을 빨강으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각각 해당하는 색의 코드를 저장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SRAM부(230) 내에 장착된 폰트 메모리부(232)는, 상기 코드 메모리부(231)에 저장된 코드에 따라 상기 CPU 버스로부터 입력받은 폰트를 부호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OSD 엔진(220)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저장된 폰트를 복호화하여 상기 OSD 엔진(22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코드 메모리부(231)의 어떤 폰트인가(Character code)를 8 비트로 나타내는 부분에 1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진 형식으로 형성된 폰트를 부호화하여 저장하게 되고, 이를 복호화하여 표시하게 되면 도 3b와 같이 표시되게 된다.
한편, 칼라 룩업 테이블(240)은, 상기 CPU 버스로부터 색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OSD 엔진(220)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으면, 제어 신호가 지정하는 배경 색 및 전경 색을 후술하는 OSD 혼합부(25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코드 메모리부(231)의 10번째 비트 내지 16번째 비트(Bit9~Bit15)에 저장된 배경 색(Background Color)의 주소와 17번째 비트 내지 24번째 비트(Bit16~Bit23)에 저장된 전경 색(Foreground Color)의 주소에 따라 상기 칼라 룩업 테이블(240)에서 해당 주소에 저장된 색을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OSD 혼합부(250)는, 영상 데이터(Image data)를 입력받고, 상기 칼라 룩업 테이블(240)으로부터 전경 색 및 배경 색을 입력받으며, 상기 OSD 엔진(220)으로부터 입력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경 색 및 상기 배경 색이 적용된 OSD 영상과 상기 영상 데이터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만약, 이러한 혼합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실제 화면에서 동영상 위에 OSD 윈도우가 있는 부분은 동영상이 보이지 않게 될 것이다. 그러나, 혼합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적당한 농도로 OSD와 동영상이 나타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RLC를 이용하는 OSD 장치에 장착된 폰트 메모리부(132)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러한 본 발명의 폰트 메모리부(132)는, 부호화부(410), 압축 메모리(420) 및 복호화부(430)를 포함한다.
부호화부(410)는, 상기 CPU 버스로부터 폰트 데이터를 입력받아 RLC 데이터로 부호화하고, 상기 RLC 데이터를 후술하는 압축 메모리(42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압축 메모리(420)는, 상기 부호화부(410)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RLC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RLC 데이터를 후술하는 복호화부(43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복호화부(430)는, 상기 압축 메모리(420)로부터 RLC 데이터를 입력받아 폰트 데이터로 복호화하고, 상기 폰트 데이터를 상기 OSD 엔진(22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RLC 데이터의 부호 형식은 아래 표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112002025575718-pat00003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폰트 저장 표현에 있어서 아래로부터 5번째 행의 이진 값을 보면, '001111111100'으로 되어 있는데, 종래의 폰트 메모리에 있어서는 이러한 이진 코드가 그대로 저장되었으나, 본 발명의 동작에 의하면, 왼쪽부터 0이 두 개, 1이 8개, 0이 두 개이므로, 이를 RLC 데이터로 표현하면, 2W8B2W가 되고,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W는 0을 나타내고, B는 1을 나타내게 된다. 즉, 압축 메모리(420)에 2W8B2W를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RLC를 이용하는 OSD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OSD 제어 레지스터(210)는, 예를 들면, 현재 데이터를 늘릴 것인지(Stretch), 혹은, 어느 정도에 공간(space)을 주어 표시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보류 비트를 제외한 나머지 비트를 이용하여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4배까지 복사될 수 있도록 해당 값을 저장하는데, CPU 버스를 통하여 이러한 해당 값을 입력받는다. 이후에, OSD 엔진(220)은, 상기 OSD 제어 레지스터(210)로부터 동작 결정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동작 결정 데이터에 따라 표시를 위한 수평 동기 및 수직 동기 계산, 어느 위치에 표시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위치 정보 및 현재 데이터를 늘릴 것인지(Stretch), 혹은, 어느 정도에 공간(space)을 주어 표시할 것인지를 결정하며, 결정된 OSD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 때, SRAM부(230)는, 상기 CPU 버스로부터 폰트 및 코드를 입력받아 부호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OSD 엔진(220)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저장된 폰트 및 코드를 복호화하여 상기 OSD 엔진(220)으로 출력한다.
이러한 SRAM부(230)의 동작을 상술하면, 코드 메모리부(231)는, 상기 CPU 버스로부터 코드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OSD 엔진(220)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저장된 코드를 상기 OSD 엔진(22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코드는, 폰트 메모리부(232)에 의해 참조된다. 또한, 폰트 메모리부(232)는, 코드 메모리부(231)에 저장된 코드에 따라 상기 CPU 버스로부터 입력받은 폰트를 부호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OSD 엔진(220)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저장된 폰트를 복호화하여 상기 OSD 엔진(220)으로 출력하는데, 폰트 메모리부(232) 내의 부호화부(410)는, 상기 CPU 버스로부터 폰트 데이터를 입력받아 RLC 데이터로 부호화하고, 상기 RLC 데이터를 압축 메모리(420)로 출력하고, 압축 메모리(420)는, 상기 부호화부(410)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RLC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RLC 데이터를 복호화부(430)로 출력하며, 이후에, 복호화부(430)는, 상기 압축 메모리(420)로부터 RLC 데이터를 입력받아 폰트 데이터로 복호화하고, 상기 폰트 데이터를 상기 OSD 엔진(220)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 때, 칼라 룩업 테이블(240)은, 상기 CPU 버스로부터 색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OSD 엔진(220)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으면, 제어 신호가 지정하는 배경 색 및 전경 색을 OSD 혼합부(250)로 출력하고, 이후에, OSD 혼합부(250)는, 외부에서 영상 데이터(Image data)를 입력받고, 상기 칼라 룩업 테이블(240)으로부터 전경 색 및 배경 색을 입력받으며, 상기 OSD 엔진(220)으로부터 입력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경 색 및 상기 배경 색이 적용된 OSD 영상과 상기 영상 데이터를 혼합하여 출력하게 되므로, 적당한 농도로 OSD와 동영상이 나타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저장하는 데이터를 RLC화하여 그 코드화된 데이터를 폰트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같은 크기의 메모리에서 더욱 많은 양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OSD 시스템에 쓰이는 폰트 메모리의 크기를 줄이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삭제
  2. CPU 버스로부터 동작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상기 동작 데이터에 따라 중앙 처리부의 동작을 결정하고, 이에 따른 동작 결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OSD 제어 레지스터;
    상기 OSD 제어 레지스터로부터 동작 결정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동작 결정 데이터에 따라 OSD 영상을 결정하며, 결정된 OSD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OSD 엔진;
    상기 CPU 버스로부터 폰트 및 코드를 입력받아 부호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OSD 엔진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저장된 폰트 및 코드를 복호화하여 상기 OSD 엔진으로 출력하는 SRAM부;
    상기 CPU 버스로부터 색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OSD 엔진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으면, 제어 신호가 지정하는 배경 색 및 전경 색을 출력하는 칼라 룩업 테이블; 및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칼라 룩업 테이블으로부터 전경 색 및 배경 색을 입력받으며, 상기 OSD 엔진으로부터 입력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경 색 및 상기 배경 색이 적용된 OSD 영상과 상기 영상 데이터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OSD 혼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SRAM부는,
    상기 CPU 버스로부터 코드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OSD 엔진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저장된 코드를 상기 OSD 엔진으로 출력하는 코드 메모리부와, 상기 코드 메모리부에 저장된 코드에 따라 상기 CPU 버스로부터 입력받은 폰트를 부호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OSD 엔진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저장된 폰트를 복호화하여 상기 OSD 엔진으로 출력하는 폰트 메모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LC를 이용하는 OSD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폰트 메모리부는,
    상기 CPU 버스로부터 폰트 데이터를 입력받아 RLC 데이터로 부호화하는 부호화부;
    상기 부호화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RLC 데이터를 저장하는 압축 메모리; 및
    상기 압축 메모리로부터 RLC 데이터를 입력받아 폰트 데이터로 복호화하고, 상기 폰트 데이터를 상기 OSD 엔진으로 출력하는 복호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LC를 이용하는 OSD 장치.
KR1020020046724A 2002-08-08 2002-08-08 Rlc를 이용하는 osd 장치 KR100857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724A KR100857382B1 (ko) 2002-08-08 2002-08-08 Rlc를 이용하는 osd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724A KR100857382B1 (ko) 2002-08-08 2002-08-08 Rlc를 이용하는 osd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689A KR20040013689A (ko) 2004-02-14
KR100857382B1 true KR100857382B1 (ko) 2008-09-05

Family

ID=37320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724A KR100857382B1 (ko) 2002-08-08 2002-08-08 Rlc를 이용하는 osd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3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2854A (ko) * 1993-12-31 1995-07-28 문정환 오에스디의 폰트롬 제어회로
JPH09275563A (ja) * 1996-04-05 1997-10-21 Hitachi Ltd Osd機能を有する圧縮画像データの復号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osdデータの圧縮方法
KR980003994A (ko) * 1996-06-18 1998-03-30 구자홍 한글 온스크린을 위한 완성형 한글폰트의 압축방법
KR20000021900A (ko) * 1998-09-30 2000-04-25 전주범 텔레텍스트 수신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2854A (ko) * 1993-12-31 1995-07-28 문정환 오에스디의 폰트롬 제어회로
JPH09275563A (ja) * 1996-04-05 1997-10-21 Hitachi Ltd Osd機能を有する圧縮画像データの復号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osdデータの圧縮方法
KR980003994A (ko) * 1996-06-18 1998-03-30 구자홍 한글 온스크린을 위한 완성형 한글폰트의 압축방법
KR20000021900A (ko) * 1998-09-30 2000-04-25 전주범 텔레텍스트 수신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689A (ko) 200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0811B1 (ko)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데이타 편집.기억 방법및 그 장치
JPS58500779A (ja) 動的定義可能な文字集合の端末発生
JPH08278768A (ja) コンピュータワークステーション及びディスプレイ更新方法
EP0700211B1 (en) Text broadcast and teletext decoding device
US66060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image stretching
US5475808A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US5225819A (en) Screen display device
KR0134967B1 (ko)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속성 발생기
JP4232260B2 (ja) フォント制御方法及び装置
KR100857382B1 (ko) Rlc를 이용하는 osd 장치
US7082612B2 (en) Transmission apparatus of video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of video information and transmission method of video information
KR20000076581A (ko) 데이터 처리 시스템 내부의 비트맵 폰트 데이터 저장
US696768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ariable character size in an on-screen display application
EP0251811A2 (en) Flat panel display control apparatus
US4692758A (en) Legibility enhancement for alphanumeric displays
US20020081038A1 (en) Graphic image coding
EP0043697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US20050219255A1 (en) User interface display apparatus using texture mapping method
JP3957845B2 (ja) ディジタル符号化画像の部分を置換する方法及び装置
KR960008066B1 (ko) 비월주사방식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sd) 회로
JPS6327727B2 (ko)
US5257015A (en) Flat panel display control apparatus
US710999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ndering characters into a memory
JPH1042216A (ja) マイクロプロセッサを有する集積回路を具えた回路配置
JPH01277887A (ja) フォント切替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