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350B1 - 줌 렌즈 - Google Patents

줌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350B1
KR100857350B1 KR1020070008886A KR20070008886A KR100857350B1 KR 100857350 B1 KR100857350 B1 KR 100857350B1 KR 1020070008886 A KR1020070008886 A KR 1020070008886A KR 20070008886 A KR20070008886 A KR 20070008886A KR 100857350 B1 KR100857350 B1 KR 100857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group
plastic
zoom lens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5760A (ko
Inventor
후-밍 장
쿠-촨 왕
Original Assignee
영 옵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옵틱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영 옵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95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 G02B15/1445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negative
    • G02B15/144511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negative arrange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2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crystals, e.g. rock-salt, semi-condu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광소자에다 물체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줌 렌즈에 관한 것이다. 줌 렌즈는 순차적으로 배열된 하나의 제1 렌즈군, 하나의 제2 렌즈군, 하나의 제3 렌즈군 및 하나의 제4 렌즈군으로 구성되고 제4 렌즈군은 감광소자에 인접하고 제2 렌즈군과 제3 렌즈군은 제1 렌즈군과 제4 렌즈군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1 렌즈군, 제2 렌즈군, 제3 렌즈군 및 제4 렌즈군은 모두 적어도 하나의 유리렌즈 및 다수 개의 플라스틱렌즈를 포함하고 플라스틱렌즈의 수량은 유리렌즈의 수량보다 크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줌 렌즈는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다.
줌 렌즈, 유리렌즈, 광학적 디옵터, 광각단, 조리개, 감광소자, 망원단

Description

줌 렌즈{Zoom Lens}
도 1A는 종래의 줌 렌즈의 구조설명도다.
도 1B는 종래의 다른 줌 렌즈의 구조설명도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가 서로 다른 줌 배율에서의 구조설명도다.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도2A 내지 도2C의 줌 렌즈에 대응되는 이미징 광학 데이터 그래프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감광소자 100a, 100b, 200: 줌 렌즈
110a, 120a, 130a, 140a, 110b, 120b, 130b, 140b: 렌즈군
112a, 122a, 132a, 142a, 112b, 122b, 132b, 142b: 렌즈
210: 제1 렌즈군 212: 제1 플라스틱렌즈
220: 제2 렌즈군 222: 제2 플라스틱렌즈
224: 제3 플라스틱렌즈 230: 제3 렌즈군
232: 유리렌즈 240: 제4 렌즈군
242: 제4 플라스틱렌즈 250: 구경조리개
260: 적외선 차단판 S1~S14: 표면
D: 거리
본 발명은 줌 렌즈(Zoom Lens)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가가 저렴한 줌 렌즈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비디오 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DVC)와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C) 등과 같은 영상장치가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영상장치의 핵심 부품 중의 하나는 바로 줌 렌즈다. 줌 렌즈의 광학적 가변촛점 기능은 이미지를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에다 정확하게 맞춘 후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줌 렌즈의 광학적 품질은 이미지의 형성 품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시장에서 모든 제조업체는 줌 렌즈의 품질을 개선하고 생산원가를 낮춰서 상기 영상장치의 경쟁력을 제고하려고 노력을 기울인다.
도 1A는 종래의 줌 렌즈의 구조설명도다. 종래의 줌 렌즈(100a)는 미국의 제2004/0189834 A1호 특허 출원안에서 공개한 것이다. 줌 렌즈(100a)는 네 개의 렌즈군(110a, 120a, 130a, 140a)을 포함한다. 이 중에서 렌즈군(110a)은 하나의 렌즈(112a)로 구성되고 렌즈군(120a)은 두 개의 렌즈(122a)로 구성되고 렌즈군(130a)은 하나의 렌즈(132a)로 구성되고 렌즈군(140a)은 두 개의 렌즈(142a)로 구성된다.
종래의 줌 렌즈(100a)은 렌즈군(110a), 렌즈군(120a) 및 렌즈군(130a) 간의 상호 이동을 통해 배율을 크게 하거나 작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줌 렌즈(100a)의 연동장치는 반드시 렌즈군(110a, 120a, 130a)이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하기 때문에 연동장치가 비교적 복잡하여 생산원가를 높이고 전체 부피도 커진다.
그리고 줌 렌즈(100a)는 모두 여섯 개의 렌즈가 필요하고 또한 렌즈군(110a, 120a, 130a)에게 충분한 이동 공간을 줘야 하기 때문에 줌 렌즈(100a)의 총 길이가 너무 크게 되어서 소형화되는 추세를 충족 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렌즈의 원가도 낮출 수 없게 된다.
도 1B는 종래의 다른 줌 렌즈의 구조설명도다. 종래의 줌 렌즈(100b)는 대만 제299039호 특허공고에서 공개한 것이다. 줌 렌즈(100b)는 광학적 디옵터(diopter)가 순차적으로 마이너스, 플러스, 마이너스 및 플러스인 네 개의 렌즈군(110b, 120b, 130b, 140b)을 포함한다. 이 중에서 렌즈군(110b)은 세 개의 렌즈(112b)로 구성되고 렌즈군(120b)은 세 개의 렌즈(122b)로 구성되고 렌즈군(130b)은 세 개의 렌즈(132b)로 구성되고 렌즈군(140b)은 하나의 렌즈(142b)로 구성된다.
줌 렌즈(100b)는 모두 열 개의 렌즈가 필요하기 때문에 줌 렌즈(100b)의 총 길이가 너무 크게 되어서 소형화되는 추세를 충족 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렌즈의 원가도 낮출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dpi(dots per inch)가 높고 생산원가가 낮은 줌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 혹은 기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감광소자에다 물체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줌 렌즈를 제공한다. 상기 줌 렌즈는 순차적으로 배열된 하나의 제1 렌즈군, 하나의 제2 렌즈군, 하나의 제3 렌즈군 및 하나의 제4 렌즈군으로 구성되고 제4 렌즈군은 감광소자에 인접하고 제2 렌즈군과 제3 렌즈군은 제1 렌즈군과 제4 렌즈군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1 렌즈군, 제2 렌즈군, 제3 렌즈군 및 제4 렌즈군은 모두 적어도 하나의 유리렌즈 및 다수 개의 플라스틱렌즈를 포함하고 플라스틱렌즈의 수량은 유리렌즈의 수량보다 크다.
상기 제1 렌즈군과 감광소자의 거리는 D이고 줌 렌즈의 시야각(Field of View, FOV)은 θ이고 줌 렌즈의 배율을 광각단으로 전환할 경우 4 < θ/D < 5가 된다.
상기 제1 렌즈군, 제2 렌즈군, 제3 렌즈군과 제4 렌즈군의 광학적 디옵터는 각각 마이너스, 플러스, 마이너스 및 플러스의 값을 지닌다.
상기 제1 렌즈군은 하나의 제1 플라스틱렌즈를 포함하고 제1 플라스틱렌즈의 광학적 디옵터는 마이너스 값을 지닌다.
상기 제2 렌즈군은 하나의 제2 플라스틱렌즈와 하나의 제3 플라스틱렌즈를 포함한다. 제2 플라스틱렌즈의 광학적 디옵터는 플러스 값을 지니고 제3 플라스틱렌즈의 광학적 디옵터는 플러스 값을 지니고 제2 플라스틱렌즈와 제3 렌즈군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줌 렌즈는 제2 플라스틱렌즈와 제3 플라스틱렌즈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의 구경조리개(Aperture Stop)를 포함한다.
상기 제3 렌즈군은 하나의 유리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유리렌즈의 광학적 디옵터는 마이너스 값을 지닌다.
상기 제4 렌즈군은 하나의 제4 플라스틱렌즈를 포함하고 제4 플라스틱렌즈의 광학적 디옵터는 플러스 값을 지닌다.
상기 제4 플라스틱렌즈는 하나의 메니스커스(meniscus) 렌즈이고 제4 플라스틱렌즈는 제3 렌즈군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줌 렌즈는 여러 가지 배율에서 물체의 이미징 빔의 메인 광선이 감광소자에 입사하는 입사 각도차가 15도보다 작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줌 렌즈는 여섯 개의 렌즈로 구성된 것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줌 렌즈는 다섯 개의 렌즈만 포함하기 때문에 렌즈의 재료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줌 렌즈는 제작하기 쉽고 가격이 저렴한 플라스틱렌즈를 대량 사용하여 줌 렌즈를 구성하기 때문에 줌 렌즈의 생산 수율을 높이고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다.
이하 적절한 실시예와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및 기타 목적 그리고 특징과 장점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가 서로 다른 줌 배율에서의 구조설명도다. 이 중에서 도 2A는 줌 렌즈가 망원단(tele-end)에 있을 때의 구조이고 도 2B는 줌 렌즈가 중간 위치(middle)에 있을 때의 구조이고 도 2C는 줌 렌즈가 광각단(wide-end)에 있을 때의 구조다. 도 2A 내지 도 2C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200)는 물체(도시되지 않음)의 이미지를 하나의 감광소자(50)에다 형성하고 상기 감광소자(50)는 전하결합소자 혹은 상호보완식 금속산화물 반도체(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CMO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줌 렌즈(200)는 순차적으로 배열된 하나의 제1 렌즈군(210), 하나의 제2 렌즈군(220), 하나의 제3 렌즈군(230) 및 하나의 제4 렌즈군(24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4 렌즈군(240)은 감광소자(50)에 인접한다. 제2 렌즈군(220)과 제3 렌즈군(230)은 제1 렌즈군(210)과 제4 렌즈군(240) 사이에서 이동한다. 제1 렌즈군(210), 제2 렌즈군(220), 제3 렌즈군(230) 및 제4 렌즈군(240)은 모두 적어도 하나의 유리렌즈과 다수 개의 플라스틱렌즈를 포함하고 플라스틱렌즈의 수량은 유리렌즈의 수량보다 크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200)는 다섯 개의 렌즈로 제1 렌즈군(210), 제2 렌즈군(220), 제3 렌즈군(230) 및 제4 렌즈군(240)의 광학적 디옵터가 각각 마이너스, 플러스, 마이너스 및 플러스인 조합을 통해 수차와 색수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비 구면(球面) 기술로 소형화를 이루고 dpi를 높인다. 플라스틱렌즈는 유리렌즈에 비해 제작하기 쉽고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우수한 광학적 특성 을 유지하는 전제 하에 플라스틱렌즈를 대량 사용하여 줌 렌즈(200)를 구성함으로써 줌 렌즈(200)의 생산 수율을 높이고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200)의 제1 렌즈군(210)은 하나의 제1 플라스틱렌즈(2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라스틱렌즈(212)의 광학적 디옵터는 마이너스 값을 지닌다. 제2 렌즈군(220)은 하나의 제2 플라스틱렌즈(222)와 하나의 제3 플라스틱렌즈(224)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플라스틱렌즈(224)는 제2 플라스틱렌즈(222)와 제3 렌즈군(230) 사이에 위치하고 제2 플라스틱렌즈(222)의 광학적 디옵터는 플러스 값을 지니고 제3 플라스틱렌즈(224)의 광학적 디옵터는 플러스 값을 지닌다. 제3 렌즈군(230)은 하나의 유리렌즈(232)를 포함하고 상기 유리렌즈(232)의 광학적 디옵터는 마이너스 값을 지닌다. 제4 렌즈군(240)은 하나의 제4 플라스틱렌즈(242)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플라스틱렌즈(242)의 광학적 디옵터는 플러스 값을 지닌다.
전술한 구조를 가진 상기 줌 렌즈(200)는 제2 플라스틱렌즈(222)와 제3 플라스틱렌즈(224)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의 구경조리개(Aperture Stop)(250)를 추가하여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플라스틱렌즈(242)는 하나의 메니스커스(meniscus) 렌즈이고 제4 플라스틱렌즈(242)는 제3 렌즈군(230)을 향해 돌출된다. 그리고 종래의 줌 렌즈(100a)(도 1A 참조)가 여섯 개의 렌즈로 구성되거나 종래의 다른 줌 렌즈(100b)(도 1B 참조)가 열 개의 렌즈로 구성된 것에 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200)는 다섯 개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고 단지 하나의 렌즈만 가격이 높은 유리렌즈를 사용하기 때문에 줌 렌즈(200)의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 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줌 렌즈(200)의 배율은 망원단(도 2A 참조)에서 중간위치(도 2B 참조)로 변하거나 중간위치에서 광각단(도 2C 참조)으로 변할 때, 즉 배율을 작은 값으로 변경할 때 제2 렌즈군(220)과 제3 렌즈군(230)은 제4 렌즈군(240)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와 반대로 줌 렌즈(200)의 배율이 중간위치에서 망원단으로 변하거나 광각단에서 중간위치로 변경될 때, 즉 배율을 큰 값으로 변경할 때 제2 렌즈군(220)과 제3 렌즈군(230)은 제4 렌즈군(240)을 멀리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발명에 따른 줌 렌즈(200)는 촛점을 조정할 때 제2 렌즈군(220)과 제3 렌즈군(230)만 이동하면 되기 때문에 연동장치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연동장치를 설계 및 제조할 때의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고 또한 연동장치가 너무 복잡함으로써 고장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200)는 다섯 개의 렌즈만 필요하고 연동장치가 비교적 간단하기 때문에 줌 렌즈(200)의 부피를 더욱 작게 만들 수 있어 줌 렌즈(200)의 소형화 발전 추세에 부합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촬영하고자 하는 물체의 거리가 변경될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200)는 제3 렌즈군(230)을 감광소자(50)를 멀리하는 방향이나 가까이 하는 방향으로 이동 시킴으로써 이미징 위치를 조정하여 줌 렌즈(200)가 선명한 이미지를 구현해 낼 수 있도록 한다. 즉, 제3 렌즈군(230)은 초점 조절 기능 외에도 이미징 보상 기능도 수행하여 수차 및 이미징 면의 오프셋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렌즈군(230)은 하나의 렌즈만 구비하기 때문에 스탭 모터로 초점을 조절할 때에는 비교적 작은 구동 모터를 선택할 수 있고 렌즈의 전체 부피도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줌 렌즈(200)의 이미징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줌 렌즈(200)의 배율을 광각단으로 전환 시킬 때 4 < θ/D < 5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θ는 줌 렌즈(200)가 광각단에 위치할 때의 시야각(Field of View)이고 D는 제1 렌즈군(210)의 제1 플라스틱렌즈(212)와 감광소자(50) 사이의 거리이고, 다시 말해서 상기 거리 D는 제1 플라스틱렌즈(212)에서 감광소자(50)과 비교적 멀리 떨어진 표면과 감광소자(50)의 주동 표면 사이의 간격을 나타내는 거리다. 이 외에도 상기 줌 렌즈(200)는 여러 가지 배율에서 물체의 이미징 빔의 메인 광선이 감광소자(50)에 입사하는 입사 각도차가 15도보다 작다.
전술한 상기 줌 렌즈(200)의 광학적 품질을 더욱 높이기 위해 상기 줌 렌즈(200)에다 구경조리개(250)와 제3 플라스틱렌즈(224)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의 적외선 차단판(IR Cutting)(260)을 별도로 추가할 수 있다. 이하 줌 렌즈(200)의 적절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지만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열된 데이터 자료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파라미터나 설정에 대하여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표 1]
Figure 112007008597213-pat00001
S1, S2, S3, S4, S8, S9, S10, S11, S12 및 S13은 아래의 수학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112007008597213-pat00002
이 중에서 X는 광축 방향의 오프셋 값이고 R은 밀착 구면(osculating sphere)의 반경, 즉 광축에 근접한 부위의 곡율반경(예: 표 안의 S1, S2, S3, S4, S8, S9, S10, S11, S12 및 S13의 곡율반경)이다. H는 비 구면(球面) 높이, 즉 렌즈 중심에서 렌즈 가장자리까지의 높이이고 수학식에서 볼 수 있듯이 X값은 H의 값에 따라 변한다. 본 설계에서 K=0이고 A, B, C 및 D는 비 구면(球面) 계수다(aspheric coefficient). S1~S4, S8~S13의 비 구면(球面) 계수는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08597213-pat00003
표 1에서 곡율반경(mm)은 각 표면의 곡율반경을 가리키고 간격(mm)은 두 개의 인접한 표면 간의 거리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표면S1의 간격은 표면 S1에서 표면 S2까지의 거리다. 비고 칸에서 각각의 렌즈나 적외선 차단판이 대응하는 두께, 굴절률 및 분광 값은 동일 열의 각 간격, 굴절률(refractive index) 및 분광 값(Abbe number)에 대응하는 값을 참고한다. 이 외에도 표 1에서 표면 S1과 S2는 각각 제1 플라스틱렌즈(212)가 제2 플라스틱렌즈(222)로부터 멀리 있거나 가까이 있는 표면을 가리킨다. 표면 S3과 S4는 각각 제2 플라스틱렌즈(222)가 제3 플라스틱렌즈(224)로부터 멀리 있거나 가까이 있는 표면을 가리킨다. 표면S5는 입사 광 선량을 조절하는 구경조리개를 가리킨다. 표면 S6과 S7은 각각 적외선 차단판(260)이 제3 플라스틱렌즈(224)로부터 멀리 있거나 가까이 있는 표면을 가리킨다. 표면 S8과 S9는 각각 제3 플라스틱렌즈(224)가 유리렌즈(232)로부터 멀리 있거나 가까이 있는 표면을 가리킨다. 표면 S10과 S11은 각각 유리렌즈(232)가 제4 플라스틱렌즈(242)로부터 멀리 있거나 가까이 있는 표면을 가리킨다. 표면 S11과 S12는 각각 제4 플라스틱렌즈(242)가 감광소자(50)로부터 멀리 있거나 가까이 있는 표면을 가리킨다.
[표 2]
Figure 112007008597213-pat00004
표 2는 줌 렌즈(200)가 광각단, 중간위치 및 망원단에 위치했을 때의 유효 초점 거리(Effective Focal Length, EFL), 시야각, F값(F/#) 및 표면(S2, S9, S11)의 가변 거리(mm) 등의 주요 값을 나열했다.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도2A 내지 도2C의 줌 렌즈에 대응되는 이미징 광학 데이터 그래프다. 도 3A 내지 도 3C에 제시된 바와 같이, 종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디스토션(distortion), 비점수차 필드 곡선(astigmatism field curves) 혹은 배율 색수차(later color)의 그래프가 모두 표 준 범위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줌 렌즈(200)는 우수한 광학적 품질을 지닌다.
여기에서 주의해야 할 것은, 광선의 가역성 때문에 상기 파라미터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줌 렌즈를 투사(projection)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줌 렌즈는 적어도 아래와 같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1) 종래의 줌 렌즈가 여섯 개의 렌즈로 구성되거나 열 개의 렌즈로 구성된 것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줌 렌즈는 다섯 개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고 단지 하나의 렌즈만 가격이 높은 유리렌즈를 사용하기 때문에 줌 렌즈의 재료 원가를 낮춤으로써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차의 누적을 감소시켜서 전체 줌 렌즈의 광학적 품질을 제고 시킬 수 있다.
2) 본 발명에 따른 줌 렌즈는 촛점을 조정할 때 제2 렌즈군과 제3 렌즈군만 이동하면 되기 때문에 연동장치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연동장치를 설계 및 제조할 때의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고 줌 렌즈의 전체 부피를 작게 할 수 있다.
3) 제3 렌즈군은 초점 조절 기능 외에도 이미징 보상 기능도 수행하여 수차 및 이미징 면의 오프셋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4) 네 개의 렌즈군의 광학적 디옵터는 순차적으로 마이너스, 플러스, 마이너스 및 플러스인가 되어 수차를 제거하고 또한 플라스틱렌즈를 대량 배치한 경우에도 배율이 높고 dpi가 높은 이미징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5) 본 발명에 따른 줌 렌즈는 소형화되고 dpi가 높고 시야각이 넓고 가격이 저렴한 줌 렌즈로써, 서로 다른 사이즈의 감지기에 적용되어도 시야각이 부족한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적절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0)

  1. 감광소자에다 물체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줌 렌즈에 있어서,
    하나의 제1 렌즈군;
    상기 제1 렌즈군과 감광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의 제2 렌즈군;
    상기 제2 렌즈군과 상기 감광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의 제3 렌즈군; 및
    상기 제3 렌즈군과 상기 감광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의 제4 렌즈군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렌즈군과 상기 제3 렌즈군은 상기 제1 렌즈군과 상기 제4 렌즈군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1 렌즈군, 상기 제2 렌즈군, 상기 제3 렌즈군 및 상기 제4 렌즈군은 모두 적어도 하나의 유리렌즈과 다수 개의 플라스틱렌즈를 포함하고 플라스틱렌즈의 수량은 유리렌즈의 수량보다 크며,
    상기 제1 렌즈군, 제2 렌즈군, 제3 렌즈군과 제4 렌즈군의 광학적 디옵터는 각각 마이너스, 플러스, 마이너스 및 플러스의 값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군은 하나의 제1 플라스틱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라스틱렌즈의 광학적 디옵터는 마이너스 값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군은 광학적 디옵터가 플러스 값을 지니는 하나의 제2 플라스틱렌즈; 및
    광학적 디옵터가 플러스 값을 지니고, 상기 제2 플라스틱렌즈와 상기 제3 렌즈군 사이에 위치하는 제3 플라스틱렌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6. 제 5항에 있어서,
    제2 플라스틱렌즈와 제3 플라스틱렌즈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의 구경조리개를 별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군은 하나의 유리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유리렌즈의 광학적 디옵터는 마이너스 값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군은 하나의 제4 플라스틱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플라스틱렌즈의 광학적 디옵터는 플러스 값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플라스틱렌즈는 하나의 메니스커스(meniscus) 렌즈이고 상기 제4 플라스틱렌즈는 상기 제3 렌즈군을 향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10. 삭제
KR1020070008886A 2006-03-21 2007-01-29 줌 렌즈 KR100857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5109611 2006-03-21
TW095109611A TWI277765B (en) 2006-03-21 2006-03-21 Zoom l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760A KR20070095760A (ko) 2007-10-01
KR100857350B1 true KR100857350B1 (ko) 2008-09-05

Family

ID=38533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886A KR100857350B1 (ko) 2006-03-21 2007-01-29 줌 렌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49694B2 (ko)
KR (1) KR100857350B1 (ko)
TW (1) TWI2777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9718B2 (ja) * 2011-10-17 2016-05-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射用ズームレンズ
JP5828393B2 (ja) 2011-10-17 2015-12-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射用ズームレン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668A (ko) * 1997-02-21 1998-10-26 구자홍 LCD 프로젝터용 대구경 줌 렌즈(Zoom Len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7848B2 (ja) * 1990-02-09 2001-09-10 東洋製罐株式会社 ケプラー式変倍ファインダー
TW299039U (en) 1995-05-10 1997-02-21 Via Tech Inc Zoom lens
JP3708995B2 (ja) * 1995-09-20 2005-10-19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
US5786942A (en) * 1995-10-03 1998-07-28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Zoom lens and aspherical lens
US5999329A (en) * 1995-12-26 1999-12-07 Nikon Corporation Variable focal length optical system
US6930839B2 (en) * 2003-03-31 2005-08-16 Minolta Co., Ltd. Zoom lens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668A (ko) * 1997-02-21 1998-10-26 구자홍 LCD 프로젝터용 대구경 줌 렌즈(Zoom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23104A1 (en) 2007-09-27
TWI277765B (en) 2007-04-01
KR20070095760A (ko) 2007-10-01
TW200736656A (en) 2007-10-01
US7649694B2 (en) 2010-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6201B2 (en) Zoom lens and camera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851840B1 (ko) 결상 변배 광학계 및 이것을 사용한 촬상장치
JP4065123B2 (ja) ズームレンズ
US20170336605A1 (en)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
US7333275B2 (en) Zoom lens system and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4507140B2 (ja) 3群ズームレンズ
US7283314B2 (en) Zoom lens and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6735020B2 (en) Zoom lens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7522350B2 (en) Zoom lens system and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657749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ズームレンズモジュール
US8064143B2 (en) Variable power optical system and imaging device
JP4156775B2 (ja) ズーム光学系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US7227696B1 (en) Zoom lens and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60161724A1 (en) Zoom lens, optica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zoom lens
US7679836B2 (en) Zoom lens system and image pickup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US6853498B2 (en) Zoom lens
KR101880633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US7106522B2 (en) Zoom lens
KR100857350B1 (ko) 줌 렌즈
JP4064596B2 (ja) バリフォーカルレンズ
JP4890703B2 (ja) ズームレンズ
US7468845B2 (en) Zoom lens
KR101429517B1 (ko) 소형 줌 광학계
KR102595462B1 (ko) 줌 광학계
KR100389529B1 (ko) 소형 줌 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