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240B1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어 학습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어 학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6240B1
KR100856240B1 KR1020020084933A KR20020084933A KR100856240B1 KR 100856240 B1 KR100856240 B1 KR 100856240B1 KR 1020020084933 A KR1020020084933 A KR 1020020084933A KR 20020084933 A KR20020084933 A KR 20020084933A KR 100856240 B1 KR100856240 B1 KR 100856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lish learning
display
learning contents
english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8598A (ko
Inventor
김대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4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240B1/ko
Publication of KR20040058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8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어학습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영어학습내용 입력에 의거하여 메모리에 상기 입력된 영어학습내용을 저장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저장된 영어학습내용의 표시방식을 설정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저장된 영어학습내용의 표시여부를 설정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저장된 영어학습내용이 표시되도록 설정되면 표시부에 상기 저장된 영어 학습내용을 상기 설정된 표시방식으로 표시하는 제4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동통신 단말기, 영어학습방법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어 학습방법{ENGLISH STUDYING METHOD IN MOBILE TERMANAL}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브바디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브바디가 메인바디상에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블록 구성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어 학습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어 학습 기능 설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일예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영어 학습기능 수행 시 제어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프론트 LCD창 및 내부 LCD창에 영어 학습 내용이 표시되는 화면 일예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어 학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영어 학습내용을 등록시키면 등록된 영어 학습내용을 표시부에 표시하여 영어 학습을 수행하는 영어 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동통신 서비스의 가입자 수는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이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요즈음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전화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원래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부가기능들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리를 증진시키는 필수품이 되어가고 있다. 그런데 요즈음 이동통신 단말기는 LCD가 점점 대형화, 컬러화되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LCD의 공간 및 기능의 활용은 그 추세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즉,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LCD는 대형화 및 컬러화되어 가고 있음에도 시간과 같은 문자와 그림화면 표시용도로만 사용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LCD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LCD에 대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대형화, 컬러화되는 LCD의 공간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기능들을 접목시키는 활용이 필요하다. 그러면 대형화, 컬러화되어 가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LCD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기능들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요즘은 영어가 세계 공통언어가 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영어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영어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치로는 최근까지 가장 인기가 있던 제품 중의 하나로 전자사전 기능이 포함된 휴대용 전자수첩과 카셋트 플레이어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전자수첩은 기존의 단어장이나 사전에 비해서 분명히 휴대가 용이할 정도로 크기가 작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미, 한 두 개 정도의 휴대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그러한 휴대 장치 및 전자수첩을 모두 휴대하기에는 다소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 영어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으로 무선 인터넷을 접속하여 영어 서비스를 받거나, 영어 사전 기능이 구비된 PDA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사용자가 고가의 비용을 지불해야 하거나 번거로움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상에 영어 학습 내용이 표시되도록 하여 표시부의 효용가치를 높이고 사용자들이 등하교 또는 출퇴근시간과 같이 짧은 시간에도 단말기에 표시되는 영어 학습 내용을 암기할 수 있도록 하는 영어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상에 영어 학습내용을 표시하는 방식을 사용자가 다양하게 편집 가능토록 하여 사용자의 영어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영어학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어학습방법에 있어 서, 사용자로부터 영어학습내용 입력에 의거하여 메모리에 상기 입력된 영어학습내용을 저장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저장된 영어학습내용의 표시방식을 설정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저장된 영어학습내용의 표시여부를 설정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저장된 영어학습내용이 표시되도록 설정되면 표시부에 상기 저장된 영어 학습내용을 상기 설정된 표시방식으로 표시하는 제4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실시 예인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브바디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브바디가 메인바디상에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함께 참조하면,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메인바디(110)와, 메인바디(110)상에서 일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서브 바디(120)와, 서브 바디(120)를 메인 바디(110)상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장치(10)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바디(120)면상에는 이어피스부(140)가 위치하게 되며, 이어피스부(140)의 하측에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내부 LCD(150)를 구비한다. 그리고 메인바디(110)에는 상기 내부 LCD(150)에 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한 입력수단인 다수의 키버튼을 갖는 키패드(160)가 설치되며, 그 하측에는 상대방에게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장치(170)가 설치된다. 또한 메인바디(110)의 일측부에는 볼륨 업 및 다운등의 기능을 하는 볼륨 업/다운 기능키(18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바디(110)의 최상단 일측에 안테나 장치(130)가 장착되어 있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바디(120)의 외측부상에는 외부 프론트 LCD(190)가 구비되어 있다.
도 2는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표시부에 영어 학습내용을 표시하는데 따르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무선부(202)는 제어부(20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음성처리부(204)는 제어부(200)의 제어 하에, 무선부(202)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speaker) 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로폰(microphone) 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무선부(202)로 출력한다. 또한 음성처리부(204)는 제어부(200)의 제어 하에 무선부(202)에 수신된 착신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스피커 SPK를 통해 벨소리로 출력한다. 키입력부(206)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로 각종 기능 키 및 통화 또는 문자 입력 등을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사용자는 상기 키입력부(206)의 키들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에 영어 학습내용을 입력 및 등록시킬 수 있다. LCD구동부(208)는 제어부(200)의 제어 하에 각종 메시지 등을 외부 프론트 LCD(190) 및/또는 내부 LCD(150)상에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LCD구동부(20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입력 및 등록된 영어 학습 내용을 외부 프론트 LCD(190) 및/또는 내부 LCD(150)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메모리부(2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 동작 제어 시 필요한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 Read Only Memory) 및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음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메모리부(2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어 학습 방법 수행 도중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센서(212)는 듀얼LCD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서브바디(120)의 열림을 감지하여 제어부(200)로 인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영어 학습을 수행하기 위해 영어 학습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영어 학습내용을 등록 및 저장하고, 영어 학습내용 표시방식을 편집할 수 있으며, 상기 등록된 영어 학습내용의 표시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한 바와 같이 영어 학습기능을 설정하면 단말기(100)는 내부 및 외부 프론트 LCD(150,190)상에 등록, 저장된 영어 학습내용을 편집된 표시방식으로 표시한다. 사용자는 내부 및 외부 프론트 LCD(150,190)를 통해 영어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어 학습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 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어 학습 기능 설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일예도이다.
이하 도 3a 내지 3b와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사용자에 의한 영어 학습기능을 설정과정 수행 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200)는 도 3a의 30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메인메뉴 선택에 대응된 키입력이 있는지 검사한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키입력부(206)의 메인메뉴 선택에 대응된 키입력이 있으면 제어부(200)는 도 3의 302단계로 진행하여 내부LCD(150)상에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메뉴 화면을 표시하고 도 3의 304단계로 진행한다. 사용자는 상기 메인메뉴 화면에서 메인메뉴를 확인한 후, 영어 학습기능을 설정하기 위해 "5. 나의 영어 학습기"와 같은 영어학습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도 3의 304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5. 나의 영어 학습기" 메뉴 선택이 있으면 도 3의 306단계로 진행하여 영어학습 메뉴화면을 표시한다. 즉, 제어부(200)는 내부LCD(150)상에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의 영어 학습기"메뉴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나의 영어 학습기"메뉴화면에는 참조번호 52와 같이 영어 학습내용을 등록, 저장하기 위한 "1.등록"서브메뉴 및 영어 학습내용 표시방식을 편집하기 위한 "2.편집"서브메뉴가 포함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록 및 저장된 영어 학습내용의 표시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3.설정"서브메뉴가 포함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의 영어 학습기"메뉴화면을 내부LCD(150) 상에 표시한 후, 제어부(200)는 도 3의 308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영어 학습 내용 등록에 대응된 서브메뉴 선택이 있는지 검사한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영어 학습 내용 등록에 대응된 서브메뉴인 "1.등록"서브메뉴 선택이 있으면, 제어부(200)는 도 3b의 320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200)는 도 3의 320단계에서 영어학습내용 입력화면을 표시한다. 제어부(200)는 예컨대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LCD(150)상에 "1.등록"서브메뉴화면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상기 "1.등록"서브메뉴화면에서 새 영단어를 작성하거나 영숙어를 작성하는 등 영어학습내용 입력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영어학습내용 입력화면에서 새 영단어를 작성하거나 영숙어를 작성을 마치고 영어학습 입력 완료하면 제어부(200)는 도 3b의 322단계에서 이를 체크하고 도 3b의 324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200)는 도 3b의 324단계에서 입력된 영어학습내용을 등록시키고 메모리부(210)에 저장한다.
한편,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의 영어 학습기"메뉴화면 표시 후, 제어부(20)는 도 3의 31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영어학습내용 표시방식 편집에 대응된 서브메뉴 선택이 있는지 검사한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예컨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어학습내용 표시방식 편집에 대응된 "2.편집"서브메뉴 선택이 있으면, 제어부(200)는 도 3c의 326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200)는 도 3c의 326단계에서 영어학습내용 표시방식 편집 서브메뉴화면을 표시한다. 즉, 제어부(200)는 내부LCD(150)상에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편집"서브메뉴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2.편집" 서브메뉴화면에는 "1. 표시형식", "2. 표시속도", "3.깜박임 회수"와 같이 영어학습내용 편집을 위한 항목들이 표시된다.
내부LCD(150)상에 상기한 바와 같은 영어학습내용 표시방식 편집에 대응된 서브메뉴화면을 표시한 후, 제어부(200)는 도 3c의 328단계에서 사용자가 표시형식을 선택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사용자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어학습내용 편집을 위한 항목들 중 "1.표시형식"을 선택하면 제어부(20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형식" 화면을 내부 LCD(150)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형식" 화면에는 "영어만 표시", "한글만 표시", "모두 표시"와 같은 항목들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형식" 화면에서 상기 "영어만 표시", "한글만 표시", "모두 표시"와 같은 항목들 중 하나의 영어학습 내용 표시형식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표시형식을 선택하면 제어부(200)는 도 3c의 330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200)는 도 3c의 33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표시형식으로 영어학습내용 표시형식을 설정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형식" 화면에서 "영어만 표시" 항목을 선택하였다면 영어학습내용 표시형식은 영어만 표시형식으로 설정되고 등록된 영어학습내용 중 영어만 표시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표시형식을 선택하지 않으면 제어부(2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미리 설정된 표시형식을 유지하고, 도 3c의 332단계에서 사용자가 표시속도를 선택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사용자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어학습내용 편집을 위한 항목들 중 "2.표시속도"를 선택하면 제어부(200)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속도" 화면을 내부 LCD(150)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속도" 화면에는 "빠르게", "보통", "느리게"와 같은 항목들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속도" 화면의 항목들 중 하나의 영어학습 내용 표시속도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표시속도를 선택하면 제어부(200)는 도 3c의 334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200)는 도 3c의 334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표시속도로 영어학습내용 표시속도를 설정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속도" 화면에서 "빠르게" 항목을 선택하였다면 영어학습내용 표시속도가 빠른속도로 설정되고 등록된 영어학습내용이 빠른 속도로 표시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표시속도를 선택하지 않으면 제어부(2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미리 설정된 표시속도를 유지하고, 도 3c의 336단계에서 사용자가 깜박임회수를 선택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사용자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어학습내용 편집을 위한 항목들 중 "3.깜박임 회수"를 선택하면 제어부(200)는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깜박임 회수" 화면을 내부 LCD(150)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깜박임 회수" 화면에는 "깜박이지 않음", "1회", "2회","3회"와 같은 항목들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상기 "깜박임 회수" 화면의 항목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깜박임 회수를 선택하면 제어부(200)는 도 3c의 338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200)는 도 3c의 338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깜박임 회수로 영어학습내용 표시 시 깜박임 회수를 설정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깜박임 회수" 화면에서 "1회" 항목을 선택하였다면 영어학습내용이 한번 깜박이면서 표시되도록 설정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깜박임 회수를 선택하지 않 으면 제어부(200)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깜박임 회수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도 3c의 34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영어학습내용 표시방식 편집 완료에 대응되는 키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키입력부(206)의 기능키를 이용한 영어학습내용 표시방식 편집완료에 대응되는 키입력이 있으면 제어부(200)는 도 3의 342단계에서 메모리부(210)에 전술한 도 3c의 328단계 내지 338단계에서 설정된 영어학습내용 표시방식을 저장한다. 그러나 사용자로부터 키입력부(206)의 기능키를 이용한 영어학습내용 표시방식 편집완료에 대응되는 키입력이 없으면 제어부(200)는 도 3의 326단계로 되돌아간다.
한편,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의 영어 학습기"메뉴화면 표시 후, 제어부(20)는 도 3의 312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영어학습내용 표시 설정/해제에 대응된 서브메뉴 선택이 있는지 검사한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예컨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어학습내용 표시 설정/해제에 대응된 "2.설정"서브메뉴 선택이 있으면, 제어부(200)는 도 3a의 314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200)는 도 3a의 314단계에서 영어학습내용 표시 설정/해제에 대응된 서브메뉴화면을 표시한다. 즉, 제어부(200)는 내부LCD(150)상에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서브메뉴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설정" 서브메뉴화면에는 "설정", "해제"와 같이 영어학습내용 표시 설정/해제를 위한 항목들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상기 "설정"서브메뉴화면에서 상기 항목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영어학습내용 표시 설정/해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영어학습내용 표시 설정/해제 여부를 선택 후, 도 3a의 316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영어학습내용 표시 설정/해제 선택 완료에 대응되는 키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키입력부(206)의 기능키를 이용한 영어학습내용 표시 설정/해제 선택완료에 대응되는 키입력이 있으면 제어부(200)는 도 3a의 318단계에서 영어학습내용 표시 설정/해제 여부를 메모리부(210)에 저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어 학습기능이 설정되면 단말기(100)는 내부 및 외부 프론트 LCD(150,190)상에 영어학습내용을 표시하는 영어학습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영어 학습기능 수행 시 제어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프론트 LCD창 및 내부 LCD창에 영어 학습 내용이 표시되는 화면 일예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사용자에 의해 영어학습기능이 설정됨에 따라 단말기(100)가 내부 및 외부 프론트 LCD(150,190)상에 영어학습내용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어부(200)는 도 6의 400단계에서 단말기(100)에 전원이 온 상태인가를 판단한다. 만약 단말기(1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200)는 도 4의 402단계로 진행하여 영어학습내용이 표시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만약, 영어학습내용이 표시되도록 설정되어있으면 제어부(200)는 도 4의 404단계에서 센서부(212)를 통해 서브바디(120)가 메인바디(110)상에서 개방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의 서브바디(120)가 메인바디(110)상에서 개방된 상태가 아니면 제어부 (200)는 도 4의 408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200)는 도 4의 408단계에서 전술한 영어학습기능 설정과정에서 미리 등록 및 저장된 영어학습 내용을 미리 설정된 표시방식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외부프론트LCD(190)상에 표시한다. 예컨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프론트LCD(190)는 공간의 제약으로 영어학습내용이 한줄로 슬라이딩시키면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바디(120)가 메인바디(110)상에서 개방된 상태이면 제어부(200)는 도 4의 406단계에서 영어학습기능 설정과정에서 미리 등록 및 저장된 영어학습내용을 미리 설정된 표시형식으로 내부LCD(150)상에 표시한다. 예컨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LCD(150)는 외부프론트LCD(190)에 비해 공간이 넓으므로 영어학습내용이 여러 줄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내부 및 외부프론트LCD(150,190)에는 영어학습내용이 예컨대 50개가 저장되어 있다면 1~50개의 영어학습내용이 일정시간당 1개씩 표시되고 50개의 내용이 모두 표시되고 나면 반복하여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어 학습을 수행하기 위해 영어 학습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어학습내용을 등록 및 저장하고, 영어학습내용 표시방식을 편집할 수 있으며, 상기 등록된 영어학습내용의 표시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한 바와 같이 영어 학습기능을 설정하면 단말기는 표시부 예컨대 내부 및 외부 프론트 LCD상에 등록, 저장된 영어 학습내용을 미리 설정된 표시방식으로 표시한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 예컨대 내부 및 외부 프론트 LCD를 통해 영어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새로운 욕구 충족의 일환이며, 세계화와 영어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요즘, 사용자들은 생활의 필수품이 되어버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영어학습을 할 수 있다. 이는 중고생들이나 수험생들이 영어단어장을 들고 다니지 않고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단어를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Claims (6)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어학습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영어학습내용 입력에 의거하여 메모리에 상기 입력된 영어학습내용을 저장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저장된 영어학습내용의 표시방식을 설정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저장된 영어학습내용의 표시여부를 설정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저장된 영어학습내용이 표시되도록 설정되면 표시부에 상기 저장된 영어 학습내용을 상기 설정된 표시방식으로 표시하는 제4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어학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정은,
    사용자로부터 영어학습내용 입력메뉴 선택이 있으면 표시부에 상기 영어학습내용 입력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영어학습내용 입력화면에서 영어학습내용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입력된 영어학습내용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어학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2 과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저장된 영어학습내용 표시방식 설정에 대응되는 메뉴선택이 있으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영어학습내용 표시방식 설정에 대응되는 항목들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표시부상에 표시되는 상기 영어학습내용 표시방식 설정에 대응된 항목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해당되는 영어학습내용 표시방식을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어학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3 과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저장된 영어학습내용 표시 설정 및 해제에 대응된 메뉴선택이 있으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영어학습내용 표시 설정 및 해제에 대응된 항목들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표시부상에 표시되는 상기 영어학습내용 표시 설정 및 해제에 대응된 항목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에 의거하여 영어학습내용 표시여부를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어학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4 과정은,
    전원 온 상태가 되면 미리 저장된 영어학습내용이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미리 저장된 영어학습내용이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서브바디가 메인바디에서 개방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서브바디가 메인바디에서 개방된 상태라면 미리 저장된 영어학습 내용을 미리 설정된 표시형식으로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어학습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어학습내용 표시방식 설정에 대응된 항목들은 표시형식, 표시속도, 깜박임 회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영어학습방법.
KR1020020084933A 2002-12-27 2002-12-27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어 학습방법 KR100856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933A KR100856240B1 (ko) 2002-12-27 2002-12-27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어 학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933A KR100856240B1 (ko) 2002-12-27 2002-12-27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어 학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598A KR20040058598A (ko) 2004-07-05
KR100856240B1 true KR100856240B1 (ko) 2008-09-03

Family

ID=37350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933A KR100856240B1 (ko) 2002-12-27 2002-12-27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어 학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2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1028A (ko) 1999-07-24 2001-02-15 윤종용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영어단어 학습방법
KR20010026578A (ko) 1999-09-07 2001-04-06 윤종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어학 학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1028A (ko) 1999-07-24 2001-02-15 윤종용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영어단어 학습방법
KR20010026578A (ko) 1999-09-07 2001-04-06 윤종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어학 학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598A (ko) 2004-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003B1 (ko) 텍스트 입력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
US20020022503A1 (en) Mobile phone of dual display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using the same
KR20030046891A (ko) 상폴더 외부에 터치스크린과 기능키를 구비하는 폴더형이동통신단말기
JP2009153224A (ja) 電子装置及び情報表示方法
KR20010091968A (ko)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
US20040142734A1 (en) Wireless cell phone
CA2589734A1 (en) Wireless phone with lanyard antenna
US7206616B2 (en) Handphone capable of inputting characters like keyboard
US20020183017A1 (en) Cellular telephone digital recorder
US20070082693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foldable and turnable housing members
US20040209577A1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including a moveable camera lens unit
CN100505035C (zh) 通信终端装置及通信终端装置的字符显示方法
KR10085624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어 학습방법
JP2001136095A (ja) 折畳式携帯電話装置
US20090143100A1 (en) Portable office: cell phone & personal computer
JP2002232533A (ja) 折畳型携帯情報端未装置及びその情報表示方法
KR20040044829A (ko) 2단 액정화면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JP4131165B2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
JP2002344574A (ja) 移動体通信機器
KR100338638B1 (ko) 입력 장치가 구비된 단말기의 하우징
US7181249B2 (en) Anthropomorphic mobile telecommunication apparatus
KR100381138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KR100606043B1 (ko)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 정보 표시 방법
KR20060032881A (ko) 복수개의 화면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 그 제어 방법.
KR100834620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메시지 슬라이딩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