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157B1 - 디지털 저작권 관리 특성들을 갖는 통신 단말기에서네트워크들의 우선순위화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저작권 관리 특성들을 갖는 통신 단말기에서네트워크들의 우선순위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6157B1
KR100856157B1 KR1020067025311A KR20067025311A KR100856157B1 KR 100856157 B1 KR100856157 B1 KR 100856157B1 KR 1020067025311 A KR1020067025311 A KR 1020067025311A KR 20067025311 A KR20067025311 A KR 20067025311A KR 100856157 B1 KR100856157 B1 KR 100856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networks
network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5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2526A (ko
Inventor
마르쿠스 트라우베르크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70012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4Grouping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7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wherein the security policies are location-dependent, e.g. entities privileges depend on current location or allowing specific operations only from locally connect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1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04W12/64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using geofenced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200)에서 통신 네트워크들의 우선순위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우선순위화 동안에 사용자 데이터 객체(212)가 통신 단말기(200)에 저장되고, 액세스 파라미터(120, 214)가 상기 사용자 데이터 객체(118, 212)에 할당되어 상기 통신 단말기(200)가 어느 통신 네트워크(242, 244)에 체크-인되어 있는지에 따라 상기 사용자 데이터 객체(212)에 대한 액세스를 허락한다. 그 외에, 통신 네트워크들(242, 244)은 액세스 파라미터(120, 214)가 사용되는 동안에 다른 네트워크들 사이에서 우선순위화된다. 디지털 저작권 관리는 선택 기준의 하나일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저작권 관리 특성들을 갖는 통신 단말기에서 네트워크들의 우선순위화 방법{METHOD FOR PRIORITIZING NETWORKS IN A TELE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서 네트워크들의 우선순위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데이터 객체는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고 액세스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자 데이터 객체에 연관된다.
"오픈 모바일 얼라이언스(OMA : Open Mobile Alliance)"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정되었고 종래 기술에 공지된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 상의 디지털 콘텐트가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액세스로부터 보호될 수 있고 상기 콘텐트를 사용하도록 정의된 권한(rights)이 인증된 사용자들에 승인(grant)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법은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로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소위 "미디어 엘리먼트들(디지털 이미지, 텍스트, 오디오 데이터 및/또는 다른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갖는 파일들)"과 같은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권한 관리의 세 가지 상이한 방법들이 정의되어 왔고 여러 명세들에서 "오픈 모바일 얼라이언스"에 의해 합의되어 왔다. 상기 세 가지 특정된 방법들은 상세하게 다음과 같다 :
ㆍ"포워드 잠금(Forward Lock)" : 미디어 엘리먼트(들)는 상기 미디어 엘리먼트들 이외에도 특정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데이터 타입으로 패키징된다. 상기 새로운 데이터 타입(상기 OMA 명세에 따른 "application/oma.drm.message")에는, 상기 데이터 타입의 내부에 포함된 객체들이 포워딩될 수 없을 수도 있고, 자유로이 액세스될 수 있는 방식으로 파일 시스템에 저장될 수 없을 수도 있고, 변경될 수 없을 수도 있다는 제약이 부여된다. 그러므로, 상기 타입의 객체들에 대한 단말기에 의한 특별한 처리가 요구된다.
ㆍ"결합된 전달(Combined Delivery)" : 미디어 엘리먼트들은 "포워드 잠금"을 위한 것과 동일한 데이터 타입으로 패키징된다. 추가로, 디지털 미디어 객체들의 사용에 관하여 추가 제약들이 규정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저작권 기술(description)이 그 내부에 포함된다. 사용 시간, 사용 빈도, 사용 타입(예를 들면, "프린트하지 마시오")에 대한 제한들을 예로 들 수 있다.
ㆍ"개별 전달(Separate Delivery)" : 미디어 객체들은 어느 정도의 시그널링 정보를 다시 포함하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 타입(OMA 명세에 따른 "application/oma.drm.content", 이후에는 또한 DRM 컨테이너(DRMC)로도 언급됨)으로 암호화된다. 암호화는 콘텐트가 심지어 특정한 DRM 기능성 없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처리되고 자유로이 액세스될 수 있는 단말기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는 경우에도 상기 콘텐트가 인증되지 않은 사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그 외에, 저작권 객체는 안전한 채널을 통해 수신측에 전송된다. 그것은 텍스트형 코딩에서는 OMA 명세에 따른 데이터 타입 "application/vnd.oma.drm.rights+xml"을 갖고 바이너리 코딩에서는 타입 "application/vnd.oma.drm.right+wbxml"을 갖는다.
상기 두 방법들 "결합된 전달"과 "개별 전달"에서는, 상기 저작권 객체(RO)가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객체는 콘텐트 객체에 첨부된 허가(permission)들에 관련된 정보(저작권 기술)와 "개별 전달" 방법을 사용할 때 DRMC 내의 암호화된 콘텐트 객체를 복호화하기 위한 키(key)를 포함한다.
http://www.openmobilealliance.org/docs/drmre110.dtd로부터 검색될 수 있는 XML DTD(eXtensible Markup Language Document Type Definition)과 함께 명세 OMA-Download-DRMREL-v1_0-20020913-C에 의해 저작권 객체의 정의는 주어진다.
현재 버전의 저작권 객체에 대한 정의는 다수의 허가들과 제약사항(constraint)들을 포함한다. 상기 허가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
ㆍ"재생"(시청각 콘텐트일 경우),
ㆍ"디스플레이"(시각 콘텐트(이미지들, 비디오)일 경우),
ㆍ"실행"(실행 가능한 프로그램들일 경우) 및
ㆍ"인쇄"(이미지들, 텍스트들 또는 그래픽들과 같은 콘텐트의 하드카피를 생성하는 경우).
정의된 제약사항들은 다음에 관한 것이다 :
ㆍ허가된 사용 횟수
ㆍ또는 허가된 사용 기간(usage duration). 이는, 시작 시각 및 종료 시각(상기 시작 시각에 절대적이거나 상대적임)에 의해 정의될 수도 있거나 최대 누적 사용 시간에 의해 정의될 수도 있다.
"개별 전달"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콘텐트 객체(보호되어야 할 미디어 객체)는 DRM 컨테이너에 포함된다. 상기 콘텐트 객체는 두 구성요소들을 가진다 : 한편으론 암호화된 콘텐트 객체와 다른 한편으론 제어 정보 및 상기 콘텐트 객체에 대한 기술을 포함한 헤더. 상기 제어 정보는 콘텐트 객체에 대한 추가 허가들을 얻기 위하여 단말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저작권 제공자(RA)에 대한 레퍼런스("Rights Issuer")와, 저작권 객체로부터 콘텐트 객체를 참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위 "ContentURI"라고 불리는 고유 레퍼런스를 포함한다. 상기 레퍼런스(URI 형태)는 저작권 객체와 콘텐트 객체 사이의 연결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레퍼런스로서 저작권 객체 내에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기술된 DRM은 다음의 명세에서 오픈 모바일 얼라이언스에 의해 정의된다 :
ㆍ"디지털 저작권 관리". 오픈 모바일 얼라이언스 : OMA-Download-DRM-v1_0,
ㆍ"DRM 저작권 표현 언어". 오픈 모바일 얼라이언스 : OMA-Download-DRMREL-v1_0 및
ㆍ"DRM 콘텐트 포맷". 오픈 모바일 얼라이언스 : OMA-Download-DRMCF-v1_0.
종래 기술의 단점은, 종래의 공지된 방법들에서는 이러한 디지털 콘텐트를 위한 사용 권한들이 그것의 소재, 특정 이동 네트워크들 또는 기술적 제약사항들과 같은 사용자 환경에 관련되도록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상기 종류의 디지털 콘텐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이때 디지털 콘텐트의 사용은 사용자 환경에 관련된다.
상기 목적은 통신 단말기에서 통신 네트워크들의 우선순위화 방법에 의해 달성되는데, 상기 방법에서는,
- 사용자 데이터 객체가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고,
- 상기 통신 단말기가 어느 통신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는지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 객체에 대한 액세스를 허가하는 액세스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자 데이터 객체에 할당되고,
- 상기 통신 네트워크들은 상기 액세스 파라미터에 의해 우선순위화된다.
통신 단말기가 어느 통신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는지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 객체의 사용을 허가하거나 금지하는 액세스 파라미터를 할당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 객체의 사용을 사용자 환경에 관련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정보가 통신 네트워크들의 우선순위화를 위해 사용되는 사실에 기인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사용자 데이터 객체를 사용함에 대한 편리한 수단을 공급받는다. 우선순위화를 위해, 액세스 파라미터가 예를 들어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외에, 액세스 파라미터뿐만 아니라 다른 기준들도 우선순위화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기준으로는 요금제-관련 측면들 또는 네트워크 가용성을 예로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선순위화는, 사용자 데이터 객체의 사용이 허가되지 않는 통신 네트워크보다 사용자 데이터 객체의 사용이 액세스 파라미터에 따라 허가되는 통신 네트워크에 더 높은 우선순위가 주어지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사용자 데이터 객체가 또한 통신 단말기에서 실제로 사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통신 네트워크가 예를 들어 다수의 주어진 통신 네트워크들로부터 선택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사용자 데이터 객체를 사용하기 위하여 어떠한 과도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없다.
통신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가 특정한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데이터 객체를 사용하는 허가를 위해 통신 단말기의 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들을 체크하는 방식으로 우선순위화될 수 있고, 사용자 데이터 객체가 사용되도록 허가하는 이러한 네트워크들에는 사용자 데이터 객체가 사용되도록 허가하지 않는 네트워크들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가 주어진다.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할 때,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네트워크들, 특히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통신 네트워크는 선호에 따라(on a preferred basis) 선택된다. 다수의 통신 네트워크들이 동일한 우선순위, 특히 또한 동일한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동일한 우선순위의 다수 네트워크들로부터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할 때, 요금제 기준 또는 네트워크 가용성과 같은 다른 선택 기준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우선순위화는 예를 들어 연속적인 우선순위들의 순서에 따라 수행되거나 또는 미리 정의된 우선순위 등급들로의 분류(예를 들면,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네트워크들을 위한 등급, 중간 우선순위를 갖는 네트워크들을 위한 등급 그리고 낮은 우선순위의 네트워크의 등급으로의 분류)로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는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와 함께 통신 단말기에 저장될 수 있다. 그 외에, 우선순위화는 또한 통신 네트워크 선택시 우선순위가 영구적으로 저장되지 않는 특정 선택의 일부로서 일시적으로 할당된 우선순위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가 선택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우선순위는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다음의(subsequent) 선택을 위해 재결정된다.
통신 네트워크들은 예를 들어 고정된 네트워크들로서, 이동 네트워크들로서 또는 심지어 블루투스 또는 WLAN 네트워크들 또는 DECT 네트워크들과 같은 로컬 무선 네트워크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동 네트워크들은 예를 들어 GSM, UMTS, CDMA2000 또는 유사 표준들, 또는 또한 상기 표준들의 조합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통신 단말기들은 예를 들어 고정 네트워크 전화기, 셀 전화기들, 통신 모듈을 갖는 핸드-헬드 장치들, 통신 모듈(예를 들면, 이동 통신 모뎀 또는 고정 네트워크 모뎀)을 갖는 컴퓨터들, 그리고 전화 네트워크 또는 데이터 네트워크와 같은 고정 네트워크 데이터 라인들에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될 수 있는 임의 종류의 단말기들일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 객체들은 예를 들어 이미지, 오디오 및/또는 텍스트 데이터와 같은 임의 종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일 수 있다. 그 외에, 사용자 데이터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들 또는 C-애플리케이션들, 자바 애플리케이션들, SIM 툴킷 애플리케이션들(STK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유사 종류와 같은 다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과 같은 임의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통신 단말기가 등록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 객체에 대한 액세스를 허가하는 액세스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관련된, 기술적 및/또는 지리적 허가 정보일 수 있다.
네트워크-관련된 허가 정보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이동 모바일 운영자들의 통신 네트워크들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 객체의 사용 제한이거나 또는 또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운영자들의 네트워크들에서 사용자 데이터 객체의 사용 배제일 수 있다.
기술적 허가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된 무선 표준(예를 들어 GSM, UMTS, CDMA 2000, WLAN, 및/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표준)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그 외에, 기술적 허가 정보는 또한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의 특정한 기술적 요구사항들의 존재, 예를 들면 특별한 선택적 속성들 또는 서비스들의 존재(예를 들면, 이동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징의 존재, UMTS 네트워크에서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존재)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지리적 허가 정보는 예를 들어 특정한 나라 또는 영역들에서의 사용자 데이터 객체의 사용에 대한 허가 가능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액세스 파라미터는 또한 예를 들어 네트워크 관련된 액세스 파라미터 및 지리적 액세스 파라미터의 조합, 예를 들어 특정한 나라에서 특정한 네트워크 운영자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 객체의 사용 제한과 같은 상기 종류의 허가 정보의 다수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상응하는 콘텐트에 액세스하기 위한 권한을 얻기 위하여 한정된 영역 내의 위치에 머물러야만 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상응하는 제약이 지리적 조건에 의해 정의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가 특정한 이동 네트워크에 또는 다수의 가능한 이동 네트워크들 중에서 하나에 등록되어야함을 요구함으로써 정의가 간접적으로 기술되는데, 커버리지 영역은 이동 네트워크(들)에 의해 간접적으로 한정된다. 한편으론, 예를 들어 나라에 대한 제약은 이동 단말기가 그 나라에서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들 중에서 한 네트워크에 등록되는 경우에 권한을 승인함으로써만 부과될 수 있고, 반면에 다른 한편으론, 특정한 네트워크 운영자에 대한 제약은 또한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이동 네트워크 운영자의 네트워크에 등록되는 경우에 권한을 승인함으로써만 부과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한 나라들에서 자신만의 고유 이동 네트워크들에 대한 권한을 제약함으로써, 네트워크 운영자는 사용자들이 바람직하게도 그들의 이동 전화기를 이용하여 심지어는 해외에서 특정한 DRM-보호 콘텐트(DRM : "Digital Rights Management")를 사용하길 원하는 경우에도 자신만의 고유 네트워크들 중의 하나에 등록되도록 동기부여할 수 있다.
액세스 파라미터는 사용자 데이터 객체의 사용이 허가되도록 하는 조건들을 기술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 외에, 액세스 파라미터는 또한 사용자 데이터 객체의 사용이 허가되지 않도록 하는 조건들을 규정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허가 정보에 대한 다수 항목들이 있는 경우, 두 가능성 모두 액세스 파라미터 내에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특정한 사용자 데이터 객체를 사용하길 원하는 경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 객체에 대한 액세스가 액세스 파라미터에 따라 허가되는 통신 네트워크에 등록을 시도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통신 단말기가 가능한 한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통신 네트워크에 등록을 시도하는 경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가 실제로는 낮은 우선순위 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것을 시도하지 않는 경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위에서 기술한 방법에 관련하여, 통신 단말기는 또한 사용중인 통신 네트워크에 자동으로 등록을 시도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단지 통신 단말기에 사용자 데이터 객체의 사용에 대한 바램을 입력할 수 있고 통신 단말기는 자동으로 적합한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허가권 제한들을 이용하여 이러한 사용자 데이터 객체들의 사용자 친밀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네트워크에는(예를 들어 사용자에게는 너무 비싼 네트워크일 경우) 통신 단말기가 등록하지 않음을 보장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등록하기에 앞서 통신 단말기는 자신이 등록하려고 의도하는 통신 네트워크가 어느 통신 네트워크인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발송한다. 동의함으로써, 사용자는 등록을 개시할 수 있다. 거절함으로써, 사용자는 예를 들어 대안적인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개시하거나 또는 심지어 연결 설정을 중단할 수 있다.
그 외에, 예를 들면, 통신 단말기는 사용중인 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기에 앞서 이미 다른 통신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 객체를 사용하기 위한 바램에 관련하여 통신 단말기가 자동으로 이전의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등록 취소하는 경우가 유리하다. 그런 다음 액세스 파라미터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 객체의 사용을 허가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에 예를 들어 이전의 단락에서 기술한 방법에 따라 통신 단말기가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마찬가지로 사용자 데이터 객체들을 이용하기 위한 높은 수준의 사용자 편리성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통신 단말기에 존재하는 최대 수의 액세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허가되는 하나 이상의 우선적인 통신 네트워크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받는 경우가 제공되는데, 거기에는 예를 들어 하나의 액세스 파라미터가 존재할 수 있다. 그 외에, 다수의 액세스 파라미터들이 또한 존재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최대 가능한 수의 액세스 파라미터들 하에서 허가된 통신 네트워크(들)에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가 주어진다.
그 외에, 상응하도록 보완적인 방법이 또한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방법에서는 통신 단말기에 존재하는 최대 수의 액세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허가될 수 없는 하나 이상의 우선적인(preferred) 통신 네트워크에 가장 낮은 우선순위가 주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통신 단말기는 예를 들어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통신 네트워크에 등록을 시도할 수 있거나 또는 가장 낮은 우선순위를 갖는 통신 네트워크에 등록을 시도하지 않을 수 있다.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다수의 통신 네트워크들의 경우, 통신 단말기가 등록을 시도하는 해당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추가 기준(호(call)들 또는 텍스트들(예를 들어, 셀룰러의 SMS(Short Message Service))을 위해 특히 저렴한 것과 같은 기준)이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택된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등록이 불가능한 경우, 통신 단말기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만약 있다면) 다른 통신 네트워크에 등록을 시도하거나 또는 다음으로 낮은 우선순위를 갖는 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기를 시도한다. 이는, 실제로 이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들 중에서, 통신 단말기는 상기 통신 단말기 내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데이터 객체들을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하나의 네트워크들에 등록됨을 의미한다.
우선순위화는 또한 목록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단말기에 존재하는 액세스 파라미터 또는 액세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허가되는 통신 네트워크들은 통신 단말기 및/또는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유지되는 우선적인 네트워크들의 목록에 입력될 수 있거나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목록 내에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액세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허가된 통신 네트워크들에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허가되지 않은 통신 네트워크들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가 주어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액세스 파라미터에 의해 허가되는 통신 네트워크들의 집합 내에서, 최대수의 액세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허가된 통신 네트워크들에 가장 높은 우선순위가 주어지도록 하는 것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액세스 파라미터들의 내림차순에 따라 추가의 우선순위화가 이루어지고, 그러한 상황 하에서 각 경우에 통신 네트워크들이 허가된다.
그 외에, 이러한 목록 내에서의 가장 낮은 우선순위가 예를 들어 최대 수의 액세스 파라미터들 하에서 허가될 수 없는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에 할당될 수 있다. 다시 한 번 추가 계층구조가 상기 허가할 수 없는 액세스 파라미터들의 수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목록 내에서, 특히 동일한 우선순위의 통신 네트워크들의 경우에, 특히 요구되는 네트워크 운영자들 또는 필요한 기술적 특성들과 같은 추가 우선순위화 파라미터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할 때, 통신 단말기는 우선적인 통신 네트워크들의 목록으로부터 가장 높은 우선순위의 통신 네트워크 또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의 통신 네트워크들 중의 하나를 판독할 수 있고 그에 등록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이 성공적이지 못한 경우, 통신 단말기가 다음으로 낮은 우선순위를 갖는 통신 네트워크 또는 다음의 목적지 네트워크가 동일한 우선순위를 갖는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목록을 사용하는 것은, 사용자가 예를 들어 단지 제한된 유용성의 사용자 데이터 객체의 사용을 특별히 의도하지 않고 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길 원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이 경우, 위에서 기술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 객체들이 또한 다른 네트워크에 등록되지 않고 실제로 사용될 수 있는 높은 확률을 갖는 통신 네트워크에 사용자가 등록하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그 외에, 위에서 기술한 우선적인 통신 네트워크들의 목록에 따르면, 상응하는 부정적 목록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록은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파라미터에 따라 허가될 수 없는 상기의 통신 네트워크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목록의 우선순위화는 위에서 기술한 긍정적 목록의 우선순위화와 유사하게 일어난다.
통신 네트워크 선택은, 위에서 기술한 우선순위화 파라미터들 이외에, 통신 단말기가 최종 등록되었던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를 위해 더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예를 들어 다수의 통신 네트워크들이 위에서 기술한 다른 파라미터들에 따라 동일한 우선순위를 가지는 경우 통신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최종 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길 맨 먼저 시도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가능하다면 친숙한 통신 환경에서 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더욱 사용자에게 유리하도록 만든다.
통신 단말기가 최종 등록되었던 통신 네트워크에, 하나 이상의 사용자 데이터 객체들의 사용이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가능한 한 상기 통신 단말기가 항상 등록하는 것이 언급된 방법의 일부분으로서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위에서 기술한 목적은 위의 기술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 장치를 구비한 통신 단말기에 의해 추가로 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기는 마이크로처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 제어 장치는 또한 예를 들어 마이크로처리기에서 실행중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도록 설계될 수 있는 상기 마이크로처리기에 할당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장치는 또한 예를 들어 소위 DRM 에이전트(DRM : Digital Rights Manag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DRM 에이전트는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 객체들에 대한 액세스 권한들에 관해서 담당하는 통신 단말기 상의 모든 프로세스들(소위 DRM-관련 프로세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DRM 에이전트는 또한 DRM-보호 객체들의 관리를 처리할 수 있다.
그 외에, 통신 단말기는 메모리 장치를 통합할 수 있는데, 상기 메모리 장치는 우선적인 통신 네트워크들의 목록 및/또는 허가될 수 없는 통신 네트워크들의 목록을 저장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장치는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삭제 가능한 메모리 모듈(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카드 또는 SIM 카드)로서 구현될 수 있는데, 상기 우선적인 통신 네트워크들의 목록 또는 허가될 수 없는 통신 네트워크들의 목록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삭제 가능한 메모리 모듈 상에 저장될 수 있다. 그 외에, DRM 에이전트는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삭제 가능한 메모리 모듈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삭제 가능한 메모리 모듈은 사용자를 위해 추가의 장점을 갖는데 예를 들어, 다수의 네트워크 단말기들을 사용할 때 네트워크 자원들의 균일한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특정한 사전-설정들은 사용자에 의해 한 번만 수행되면 되고 그런 다음에 삭제 가능한 메모리 모듈을 통해 여러 통신 단말기들 사이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예를 들어 우선적인 통신 네트워크의 목록 및/또는 허가될 수 없는 통신 네트워크의 목록을 저장하기 위하여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DRM 에이전트를 저장하기 위하여 통신 단말기를 위한 삭제 가능한 메모리 모듈에 의해 추가로 달성되고, 각 경우에 특정된 파일들이 또한 삭제 가능한 메모리 모듈 상에서 부분적으로만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 객체를 위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파라미터들은, 상응하는 사용자 데이터 객체, 예를 들어 이미지, 오디오 및/또는 텍스트 파일을 위한 소위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저작권 객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작권 객체들은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 객체와 직접 관련될 수 있거나(예를 들면, 도입부에서 언급한 OMA-특정 "포워드 잠금"과 "결합된 전달"의 경우) 또는 개별적인 파일들로서 존재할 수 있다(예를 들면, 도입부에서 언급한 OMA-특정 "개별 전달"의 경우).
네트워크-관련 액세스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들에 대하여 특정된 식별들에 기초하여 DRM 저작권 객체에 통합될 수 있다. 그 외에, 네트워크들의 특정한 카테고리들을 위한 식별들이 또한 정의될 수 있거나(예를 들면, 특정한 네트워크 운영자의 모든 네트워크들) 또는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들의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이동 통신 시스템들(GSM, GPRS, UMTS, CDMA, PCS 등)에 대한 권한을 제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이 네트워크 상에서 요구되고 이는 단지 UMTS를 이용하여서만 달성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DRM-보호 소프트웨어가 UMTS 단말기들에서 사용하도록 제약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위에서 이미 기술한 DRM 에이전트는 예를 들어 유닛 상에서 모든 DRM-관련 프로세스들을 제어하고 DRM 컨테이너들의 DRM-보호 객체들과 DRM 저작권 객체들을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종류의 DRM 에이전트는 통신 장치상의 메모리,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의 대용량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DRM 에이전트는 통신 단말기 상의 우선적인 네트워크들의 목록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우선적인 네트워크들의 목록은 이동 통신 장치들의 전화 서비스들을 위해 이미 사용중인 목록일 수 있지만, 또한 DRM 저작권 객체들에 대한 관련성을 갖는 네트워크들만이 입력되는 본 발명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은 새로운 추가의 목록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및/또는 이동 통신 시스템 ID들은 한 개의 엔트리로서 또는 네트워크들/이동 통신 시스템들의 목록으로서 DRM 저작권 객체에 포함될 수 있고, 허가된 네트워크들의 ID들을 포함하는 긍정적 리스트를 생성하고 또한 허가되지 않은 네트워크들/이동 통신 시스템들의 ID들을 포함하는 부정적 목록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두 목록들이 모두 존재한다면, DRM 에이전트는 상기 양쪽 목록들의 엔트리들을 고려함으로써 예를 들어 어느 네트워크들이 선호될 것인지를 추론할 수 있다.
위에서 기술한 네트워크 ID들을 포함하는 목록들에 따르면, DRM 에이전트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네트워크 선택 유닛을 제어할 수 있는데, 단말기 상에 존재하는 DRM 컨테이너들의 가능한 많은 저작권 보호 콘텐트에 대한 액세스를 허가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가 선택되는 방식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가능하다면 다른 네트워크에 단말기를 재등록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다음에 사용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객체(들)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어된다. 적합한 네트워크의 포워드-검색 선택(forward-looking selection)이 특정한 경우에 가능하지 않다면, DRM-보호 객체에 대한 특정 권한들의 사용자-개시 요청 또는 자동적 요청을 위하여, DRM 에이전트는 단말기를 다른 네트워크에 재등록함으로써 권한이 승인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만일 권한이 승인될 수 있다면, DRM 에이전트는 예를 들어 사용자에 대한 조회 없이 요구되는 네트워크에 적당한 재등록을 개시할 수 있거나, 또는 재등록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동의를 요청할 수 있고 사용자가 결정한 후에 상기 요청된 권한들을 승인하기로 하거나 또는 거절함으로써 응답할 수도 있다.
위에서 기술한 방법의 장점들은, 예를 들어 특정한 네트워크들 및/또는 이동 통신 시스템들을 위한 제약들을 DRM 컨테이너 자체에 통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장점은, 저작권 객체들에 관련하여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제약을 충족시키기 위해 DRM 에이전트의 상응하게 유사한 기능성, 예를 들면 포워드-검색 기반에 따라 또는 요청에 따라 요구되는 네트워크/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등록을 자동으로 제공하거나 개시할 가능성이다. 여기서 배경은,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달 시에 새로운 저작권 객체들의 다운로드에 대한 사용자에게 편리한 요금 부과를 위해, 데이터 전달 자체에 대한 요금 부과가 억제됨으로써 예를 들면 사용자를 위해 비용 투명성이 더 나아지도록 한다.
실시예 1 : 한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을 제약하기
가장 간단한 경우, DRM 보호 객체의 사용이 한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으로 제약될 수 있다. 사용자가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잃기 이전에 사용자의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거나 최종 등록되었을 경우에만, DRM 에이전트는 요청시 추가 제약들에 따라 콘텐트를 사용하도록 사용자 권한을 승인한다. 요청시 단말기가 요구된 네트워크보다는 임의 네트워크에 등록되는 경우, DRM 에이전트는 - 가능하다면, 사용자 확인을 받은 후 - 네트워크 선택 유닛이 자동으로 상기 요구되는 네트워크에 재등록하도록 야기한다. DRM-보호 객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허가권들은 그런 다음 DRM 에이전트에 의해 승인된다.
실시예 2 : 다수의 네트워크들에 대한 사용 제약하기
DRM-보호 객체의 사용은 또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으로 제약될 수 있다. 사용자가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잃기 이전에 사용자의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거나 최종 등록되었을 경우에만, DRM 에이전트는 추가 제약들에 따라 콘텐트를 사용하기 위하여 요청시 사용자 권한을 승인한다.
두 변형예들 사이에 차이점이 도시될 수 있다 :
변형예 A : 네트워크 운영자의 모든 네트워크들
많은 이동 전화 회사들은 여러 이동 통신 네트워크들을 운영하고 또한 여러 나라들에 있다. 그들의 고객들이 해외에서 동일한 공급자의 다른 네트워크에 등록되는 것은 중요하다. 예를 들면, 회사(A)가 영국, 독일, 및 많은 다른 나라들에서 이동 통신 네트워크들을 운영한다고 가정해 보자. 회사(A)는 사용자의 단말기가 상기 회사(A)의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만 사용될 수 있는 DRM-보호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회사(A)의 고객이 해외에 체류중이고 회사(A)의 네트워크에서만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DRM-보호 객체들을 그의 단말기상에 갖고 있다면, 상기 단말기는 바람직하게 그리고 자동으로 회사(A)의 네트워크(만약 그 네트워크가 이용가능하다면)에 등록한다.
그러면 회사(A)는 호(call)들 및/또는 데이터 트래픽에 대하여 발생하는 요금들로부터 직접 이익을 얻는다. 이는 예를 들어 추가로 제공되는 DRM-보호 콘텐트를 통해 고객 보유를 향상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유리하다. 이는, 또한, 예를 들어 회사(A)가 경쟁 공급자들의 네트워크들을 위한 것보다 자신의 네트워크에서의 로밍(roaming) 이동 사용자들을 위한 호 요금들을 더 유리하게 설계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유용하다. 위에서 기술한 단말기의 새롭고 자동적인 네트워크 선택은, 요구되는 네트워크들에 관한 추가의 제약들에 기인하여 DRM-보호 콘텐트를 처리하는데 있어 사용자에게 어려움을 주지 않는다. 단말기는 -요구되는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한 것으로 가정하면 - 권한을 승인하기 위해 요구되는 조건들이 충족됨을 사용자를 위해 자동적으로 보장한다.
변형예 B : 지리적 영역의 모든 네트워크들
음악 트랙들과 비디오 필름들과 같은 많은 분량의 콘텐트는 특정한 영역들 - 통상적으로 국가들에 관련된 마케팅 제약들이 필요하다. 이러한 콘텐트의 제공자는 종종 특정한 국가들에서의 마케팅 권한을 가진다. 이는 제안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요구되는 영역/국가에서 이용 가능한 모든 네트워크들에 대하여 DRM-보호 콘텐트에 대한 권한을 제약함으로써 쉽게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기가 요구되는 네트워크들 중의 하나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즉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요구되는 영역/나라에 체류하고 있는 경우에만, 권한들이 승인된다. 이에 대한 장점은, 기술한 제약들에 종속되는 콘텐트조차도 일반적으로 제공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변형예를 이용함으로써 제약들을 따르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는 것이다. 자동적인 네트워크 선택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의 편리함을 제약하지 않고 콘텐트에 대한 액세스를 승인받을 수 있다.
실시예 3 : 한 네트워크에 대한 스트리밍 콘텐트의 사용을 제약하기
DRM-보호 콘텐트가 예를 들어 스트리밍 콘텐트, 즉 사용되는 동안에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기에 전송되는 콘텐트인 경우, 스트리밍 콘텐트의 기술(description)과 필요한 액세스 파라미터들만이 예를 들어 DRM 컨테이너를 통해(예를 들어, "세션 기술 프로토콜(SDP)"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콘텐트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실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에 의해 사용된다. 특정한 네트워크들 및/또는 특정한 이동 통신 시스템들에 대한 사용 제약은 예를 들어 한편으론 충분한 전송 품질과 대역폭이 보장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론 스트리밍 콘텐트 제공자와 네트워크 운영자가 협력하거나 동일할 경우에만 종종 가능한 서비스별 요금제가 또한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유용하다. 이는, 마찬가지로 평소와는 달리 전송된 데이터를 요금 청구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투명하고 쉽게 이해될 수 있는 요금제 모델을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하여 음악 트랙들은 고정 가격으로 전송될 수 있다.
자동적인 네트워크 선택을 위한 위에서 기술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추가적인 네트워크 제약들로 인한 사용자에 대한 단점들은 예를 들어 포워드-검색에 기초하여 또는 심지어 자동으로 DRM-보호 콘텐트에 대한 사용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기 시도에 의해 회피됨으로써, 사용 조건들이 요구되는 네트워크에 단말기를 등록함으로써 충족됨을 보장한다.
실시예 4 : 특정한 네트워크들에 대한 권한의 자동 요청 제약하기
특정한 네트워크들/이동 통신 시스템들을 위한 제약이 또한 저작권 객체 이외에 DRM-컨테이너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제약은, 예를 들어 단말기가 요구되는 네트워크/이동 통신 시스템 또는 요구되는 네트워크들/이동 통신 시스템들 중에서 하나에 등록되는 경우에만 새로운 저작권 객체들을 얻기 위한 네트워크 자원들에 대한 액세스가 자동으로 일어나도록 하는 방식으로 해석된다. 예를 들어 저작권 객체의 콘텐트가 "미리 보기"를 위하여 무료로 다운로드될 수 있는 경우 또는 예를 들어 기존의 계약의 일부로서 무료로 추가의 권한이 다운로드될 수 있는 경우, 저작권 제공자로부터 저작권 객체들을 요청하기 위한 액세스들이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단말기에 의해 자동으로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DRM 에이전트가 상응하는 저작권 객체들을 저작권 제공자로부터 자동으로 그리고 사용자가 개입할 필요 없이 다운로드하도록 하는 레퍼런스들이 DRM 컨테이너에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이 요금 부과되지 않거나 정상요금보다 더 낮게 부과됨을 저작권 제공자가 네트워크 운영자와 함께 보장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특히 유용하다. 예를 들면, DRM 에이전트가 DRM-보호 객체의 미리 보기를 위한 권한을 완벽하게 무료로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변형예는, 위에서 기술한 방법에 의해, 예를 들면, DRM 에이전트가 임의의 제약들을 위해 DRM 컨테이너를 검사하고, 찾아낸 제약들을 분석하고, 요구되거나 회피되어야 하는 네트워크들/이동 통신 시스템들을 단말기의 상응하는 목록에 통합하고, 그리고 다른 저작권 객체들의 자동적인 다운로드를 위한 레퍼런스들을 사용하기에 앞서 필요한 네트워크들 중 하나로의 단말기의 등록/재등록을 개시함으로써 지원될 수 있다. 이는, 비용이 최소화되고 편리성이 최대화된 편리한 서비스를 사용자가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동반된 도면들을 참조한 추가의 예시들에 의해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개별 전달" 방법에 따른 저작권 객체에 의한 콘텐트 객체의 레퍼런스에 대한 도면,
도 2는 통신 단말기의 블록도, 및
도 3은 DRM 에이전트의 동작 흐름도.
도 1은 도입부에서 언급한 오픈 모바일 얼라이언스(OMA) "개별 전달" 방법에 따라 사용되는 것으로서 DRM 컨테이너(110) 및 연관된 DRM 저작권 객체(120)를 나타낸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 약어 DRM이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 의미하고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 권리들의 생성, 관리 및 실행에 연관된 방법들 및 장치들을 위해 사용된다.
실제 사용자 데이터(118)와 상기 사용자 데이터(118)에 연관된 다양한 기술 데이터(112, 116) 이외에, DRM 컨테이너(110)는 사용자 데이터(118)에 연관된 소위 "Content URI"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DRM 컨테이너(110)는 다음과 같은 두 구성요소들을 갖는다 : 한편으론 암호화된 콘텐트 객체(118)와 다른 한편으론 제어 정보와 콘텐트 객체의 기술(112, 116)을 포함하는 헤더(112, 114, 116). 상기 제어 정보(112, 116)는 예를 들어 콘텐트 객체(118)에 대한 추가의 디지털 권한을 얻기 위해 통신 단말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디지털 액세스 권한의 제공자에 대한 레퍼런스를 포함한다. 제어 정보(112, 114, 116)는 할당된 저작권 객체(120)로부터 콘텐트 객체(118)를 참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고유 레퍼런스(114), 소위 "Content URI"(114)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응하는 레퍼런스(124)가 또한 연관된 저작권 객체(120)에 포함되고 저작권 객체(120)와 DRM 컨테이너(110) 사이의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Content URI"(124) 이외에, 저작권 객체(120)는 연관된 권한의 여전히 많은 기술들 및 암호 정보(122, 126)를 포함한다.
위의 기술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DRM 컨테이너(110) 및/또는 콘텐트 객체(118)는 사용자 데이터 객체들의 예시이다. 액세스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어 저작권 객체(120), 또는 또한 상기 저작권 객체(120)에 포함된 정보 블록들(122, 124, 126)일 수 있다. 그 외에, 액세스 파라미터들은 또한 DRM 컨테이너(110)의 제어 정보 블록들(112, 114, 116)에 포함된 정보 블록들(112, 114, 116)일 수도 있다.
도 2는 위에서 기술한 방법들 중의 하나를 실행하기 위해 설정된 통신 단말기(200)를 나타낸다. 상기 통신 단말기는 DRM 컨테이너(212)와 상기 DRM 컨테이너(212)(사용자 데이터 객체)에 연관된 저작권 객체(214)(액세스 파라미터)를 포함하는데, 상기 DRM 컨테이너(212) 및 저작권 객체(214)는 모두 통신 단말기(200)의 메모리 장치(210)에 저장된다. 상기 통신 단말기(200)에는 상응하는 디지털 권한의 사용을 제어하는 DRM 에이전트(220)가 추가로 제공된다.
DRM 에이전트(220)는 우선적인 통신 네트워크들(242, 244)의 목록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240)에 추가로 연결된다. 상기 장치에는 통신 단말기(20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들(242, 244)이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240)에 저장된 통신 네트워크들(242, 240)은 특히 DRM 에이전트(220)에 의해 우선순위화된다. 상기 DRM 에이전트(220)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242)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받는 방식으로, 메모리 장치(210)에 포함된 사용자 데이터 객체들(212)을 위한 최대 수의 액세스 파라미터들(214)이 충족되는 방식으로 우선순위화를 구성한다. 추가로, 특정한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다이얼-인(dial-in)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선택 유닛(230)이 DRM 에이전트(220)에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통신 단말기(200) 내에서의 기능적 순서의 예시가 도 3에 도시된다. 제1 단계(310)에서, DRM 에이전트는 요구되는 네트워크들 또는 또한 이동 통신 시스템들의 ID들을 저작권 객체로부터 추출한다. 제2 단계(320)에서, DRM 에이전트는 요구되는 네트워크들의 목록 또는 회피되어야 할 네트워크들의 목록에 상기 ID들을 통합시킨다. 다음 단계(330)에서, 상기 에이전트는 현재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들과 현재 선택된 네트워크를 확인하기 위하여 통신 단말기에 문의한다. 단계(340)에서, DRM 에이전트는 목록들과 일부 경우 객체들의 사용 확률에 기초하여 다음의 사용 요청시에 디지털 권한들의 승인을 도출할 네트워크 또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결정한다. 도 3에 도시된 최종 단계(350)에서, DRM 에이전트는 상기 단계(340)에서 결정된 네트워크 또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 현재 사용중인 네트워크 또는 이동 통신 시스템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단말기가 상기 단계(340)에서 결정된 통신 네트워크에 재등록되도록 유발한다.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서 통신 네트워크들의 우선순위화 방법을 기술하고, 여기서 사용자 데이터 객체는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 객체는 상기 통신 단말기가 등록된 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 객체에 대한 액세스를 허가하는 액세스 파라미터에 할당되고, 이때 통신 네트워크들은 특히 상기 액세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우선순위화된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들은 또한 한 개의 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우선순위화는 통신 단말기에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데이터 객체들에 상기 통신 네트워크가 적합한지 아닌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상기 방법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사용자 데이터 객체들을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하고 사용중인 통신 네트워크, 사용중인 전송 시스템들 또는 지리적 환경과 같은 사용자의 환경으로부터 발생하는 조건들에 제약받지 않는 액세스를 제공한다.

Claims (17)

  1. 통신 단말기에서 통신 네트워크들의 우선순위화 방법으로서,
    - 사용자 데이터 객체가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고,
    - 사용자 데이터 객체에는 상기 통신 단말기가 어느 통신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는지에 따라 상기 사용자 데이터 객체에 대한 액세스를 허가하는 액세스 파라미터(들)가 할당되고,
    - 상기 통신 네트워크들은 상기 액세스 파라미터(들)를 사용하여 우선순위화되는,
    우선순위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파라미터(들)는 네트워크-관련된, 기술적 및/또는 지리적 허가 정보를 포함하는,
    우선순위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 객체에 대한 액세스가 상기 액세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허가되는 사용중인 통신 네트워크에 등록을 시도하는,
    우선순위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자동으로 상기 사용중인 통신 네트워크에 등록을 시도하는,
    우선순위화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중인 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기에 앞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 객체에 대한 액세스가 상기 액세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허가될 수 없는 이전의 통신 네트워크에 상기 통신 단말기가 등록되었고,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전의 통신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떠나는,
    우선순위화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에 존재하는 최대 수의 액세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허가된 하나 이상의 우선적인(preferred) 통신 네트워크에 가장 높은 우선순위가 주어지는,
    우선순위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등록을 시도하는,
    우선순위화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허가된 상기 통신 네트워크들은 상기 통신 단말기 및/또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유지되는 우선적인 통신 네트워크들의 목록에 입력되거나 이미 포함되어 있는,
    우선순위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허가된 상기 통신 네트워크들은, 상기 액세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허가될 수 없는 통신 네트워크들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게 되거나 더 높은 우선순위인,
    우선순위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액세스 파라미터들이 존재하고, 최대 수의 액세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허가된 하나 이상의 우선적인 통신 네트워크에 상기 우선적인 통신 네트워크들의 목록 내에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가 주어지는,
    우선순위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우선적인 통신 네트워크들의 목록에 있는 통신 네트워크에 등록을 시도하는,
    우선순위화 방법.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허가될 수 없는 통신 네트워크들은 허가될 수 없는 통신 네트워크들의 목록에 입력되는,
    우선순위화 방법.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가 최종 등록되었던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통신 단말기에 존재하거나 저장되고, 상기 통신 단말기가 최종 등록되었던 통신 네트워크는 우선순위화를 위해 및/또는 사용중인 통신 네트워크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우선순위화 방법.
  14. 제어 장치를 구비한 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설정되는,
    통신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액세스 파라미터(들)에 따라 허가된 상기 통신 네트워크들이 상기 통신 단말기 및/또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유지되는 우선적인 통신 네트워크들의 목록에 입력되거나 이미 포함되어 있음을 보장하는 절차를 실행하기 위해 설정되고, 상기 우선적인 통신 네트워크들의 목록 및/또는 허가될 수 없는 통신 네트워크들의 목록이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는,
    통신 단말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삭제 가능한 메모리 모듈을 포함하고, 우선적인 통신 네트워크들의 목록 및/또는 허가될 수 없는 통신 네트워크들의 목록은 상기 삭제 가능한 메모리 모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저장되는,
    통신 단말기.
  17. 제 8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를 위한 삭제 가능한 메모리 모듈로서,
    상기 우선적인 통신 네트워크들의 목록 및/또는 허가될 수 없는 통신 네트워크들의 목록이 상기 삭제 가능한 메모리 모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저장되는,
    삭제 가능한 메모리 모듈.
KR1020067025311A 2004-05-19 2005-04-14 디지털 저작권 관리 특성들을 갖는 통신 단말기에서네트워크들의 우선순위화 방법 KR100856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24869.9 2004-05-19
DE102004024869A DE102004024869A1 (de) 2004-05-19 2004-05-19 Verfahren zur Priorisierung von Telekommunikations-Netzwerken in einem Telekommunikations-Endgerä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526A KR20070012526A (ko) 2007-01-25
KR100856157B1 true KR100856157B1 (ko) 2008-09-03

Family

ID=34966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5311A KR100856157B1 (ko) 2004-05-19 2005-04-14 디지털 저작권 관리 특성들을 갖는 통신 단말기에서네트워크들의 우선순위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166985B2 (ko)
EP (1) EP1747688B1 (ko)
JP (1) JP4512134B2 (ko)
KR (1) KR100856157B1 (ko)
AT (1) ATE397357T1 (ko)
DE (2) DE102004024869A1 (ko)
ES (1) ES2304696T3 (ko)
RU (1) RU2341039C2 (ko)
WO (1) WO20051150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3483B2 (en) 2000-12-27 2017-04-04 Proxense, Llc Personal digital key and receiver/decoder circuit system and method
US9020854B2 (en) 2004-03-08 2015-04-28 Proxense, Llc Linked account system using personal digital key (PDK-LAS)
WO2006069330A2 (en) 2004-12-20 2006-06-29 Proxense, Llc Biometric personal data key (pdk) authentication
US8893302B2 (en) * 2005-11-09 2014-11-18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for managing security keys utilized by media devices in a local area network
US9113464B2 (en) 2006-01-06 2015-08-18 Proxense, Llc Dynamic cell size variation via wireless link parameter adjustment
US11206664B2 (en) 2006-01-06 2021-12-21 Proxense, Llc Wireless network synchronization of cells and client devices on a network
US8036184B2 (en) * 2006-01-27 2011-10-11 Cisco Technology, Inc. Method to dynamically provide link specific information to mobile clients
US7904718B2 (en) 2006-05-05 2011-03-08 Proxense, Llc Personal digital key differentiation for secure transactions
US9269221B2 (en) 2006-11-13 2016-02-23 John J. Gobbi Configuration of interfaces for a location detection system and application
US20090082014A1 (en) * 2007-09-21 2009-03-26 Smith Micro Software, Inc. System for extended roaming messages
WO2009062194A1 (en) 2007-11-09 2009-05-14 Proxense, Llc Proximity-sensor supporting multiple application services
US8171528B1 (en) 2007-12-06 2012-05-01 Proxense, Llc Hybrid device having a personal digital key and receiver-decoder circuit and methods of use
WO2009079666A1 (en) 2007-12-19 2009-06-25 Proxense, Llc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computing resources
US8508336B2 (en) 2008-02-14 2013-08-13 Proxense, Llc Proximity-based healthcare management system with automatic access to private information
FR2929732B1 (fr) * 2008-04-02 2010-12-17 Alcatel Lucent Dispositif et procede de gestion de l'accessibilite a des objets reels ou virtuels dans des lieux differents.
WO2009126732A2 (en) 2008-04-08 2009-10-15 Proxense, Llc Automated service-based order processing
US9418205B2 (en) 2010-03-15 2016-08-16 Proxense, Llc Proximity-based system for automatic application or data access and item tracking
GB2479596B (en) * 2010-04-16 2013-01-30 Toshiba Res Europ Ltd Communications system
US9322974B1 (en) 2010-07-15 2016-04-26 Proxense, Llc. Proximity-based system for object tracking
US9265450B1 (en) 2011-02-21 2016-02-23 Proxense, Llc Proximity-based system for object tracking and automatic application initialization
CN102739623B (zh) * 2011-04-15 2014-12-31 华为终端有限公司 授权方法和终端设备
JP5602124B2 (ja) * 2011-12-29 2014-10-08 株式会社大和総研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 スマートフォンを利用し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9405898B2 (en) 2013-05-10 2016-08-02 Proxense, Llc Secure element as a digital pocket
US9298741B1 (en) * 2014-06-26 2016-03-29 Amazon Technologies, Inc. Context-specific electronic media processing
JP6739467B2 (ja) * 2018-04-24 2020-08-12 株式会社東芝 放送信号受信装置および放送信号受信方法
JP6739466B2 (ja) * 2018-04-24 2020-08-12 株式会社東芝 放送信号受信装置および放送信号受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8198A (en) 1998-08-05 2000-11-14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service provid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9811A (en) 1996-02-16 1999-12-07 Ericsson, Inc. Mobile telephone for roaming using dual mode/band equipment including SIM cards
US5825877A (en) * 1996-06-11 1998-10-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upport for portable trusted software
DE19823074C2 (de) * 1998-05-22 2002-08-29 Ericsson Telefon Ab L M Mobilstation, Mobilfunk-Kommunikationsnetz und Kommunikationsverfahren unter Verwendung von mehreren Teilnehmerprofilen
SE522317C2 (sv) 2000-02-02 2004-02-03 Telia Ab Metod för val av radionät, samt system och terminal för utnyttjande av metoden
JP3744364B2 (ja) * 2000-03-09 2006-02-08 株式会社デンソー クライアントサーバーシステム、サーバー、通信端末
US20020039892A1 (en) * 2000-10-04 2002-04-04 Bo Lindell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and service sele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tation
US20040039704A1 (en) * 2001-01-17 2004-02-26 Contentguard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and managing usage rights of users and suppliers of items
TW508933B (en) * 2001-04-23 2002-11-01 Inventec Appliances Corp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SIM card of mobile phone and device therefor
US20030003933A1 (en) * 2001-06-27 2003-01-02 Intel Corporation Mobile client for multi-service provider network environment
US7069026B2 (en) * 2001-06-28 2006-06-27 Nokia Corporation Geographic area assisted system selection for mobile stations
US20030065738A1 (en) * 2001-10-01 2003-04-03 Thumb Logic, Inc. Wireless information systems and methods
DE10239062A1 (de) * 2002-08-26 2004-04-01 Siemens Ag Verfahren zum Übertragen von verschlüsselten Nutzdatenobjekten
EP1566071B1 (en) * 2002-10-30 2007-11-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device for preferably selecting a communication network which makes data service available
US7725582B2 (en) * 2003-01-10 2010-05-25 At & T Intellectual Property I, L.P. Network based proxy control of content
US7278165B2 (en) * 2003-03-18 2007-10-02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US9003048B2 (en) * 2003-04-01 2015-04-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etwork zon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8198A (en) 1998-08-05 2000-11-14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service provi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538437A (ja) 2007-12-27
RU2006145025A (ru) 2008-06-27
US9166985B2 (en) 2015-10-20
US20070213048A1 (en) 2007-09-13
EP1747688A1 (de) 2007-01-31
ATE397357T1 (de) 2008-06-15
ES2304696T3 (es) 2008-10-16
JP4512134B2 (ja) 2010-07-28
WO2005115027A1 (de) 2005-12-01
RU2341039C2 (ru) 2008-12-10
EP1747688B1 (de) 2008-05-28
DE102004024869A1 (de) 2006-01-19
KR20070012526A (ko) 2007-01-25
DE502005004286D1 (de) 200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6157B1 (ko) 디지털 저작권 관리 특성들을 갖는 통신 단말기에서네트워크들의 우선순위화 방법
US8806585B2 (en) Application of dynamic profiles to the allocation and configuration of network resources
US7191179B2 (en) Distributed profile storage and management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7139372B2 (en) Authorized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 over mobile networks
EP1530885B1 (en) Robust and flexible digital rights management involving a tamper-resistant identity module
KR101489725B1 (ko) 컨텐트 라이센싱을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장치
EP1646204B1 (en) Method for sharing rights objects between users
KR101124069B1 (ko) 사용자로의 콘텐츠 바인딩
US20060080259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ccess to encrypted content and generating a secure content package
US20040127200A1 (en) Delivery of network services
US200402053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EP1495409B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on of encrypted data in a mobile network
KR20070120577A (ko) 멀티미디어 콘텐츠로의 접속을 관리하기 위한 보안 방법 및장치
US200500443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time management in digital rights management
KR20090120458A (ko) 난독화된 모바일 장치 사용자 신원을 사용하여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법 및 장치
US87392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OMA DRM protected files from java application
GB2415808A (en) Encoding content to two part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US20040127215A1 (en) Delivery of network services
KR100640543B1 (ko) 이동 통신망에서 데이터 다운로드 서비스 방법
US20130104241A1 (en) Devices for Controlling Rendering Protected Content and Related Methods
KR100623293B1 (ko) 콜백 메시지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 인증 방법
KR20080069451A (ko) 콘텐츠 인증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