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221B1 - 대장균과 살모넬라 감염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장균과 살모넬라 감염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221B1
KR100855221B1 KR1020070030947A KR20070030947A KR100855221B1 KR 100855221 B1 KR100855221 B1 KR 100855221B1 KR 1020070030947 A KR1020070030947 A KR 1020070030947A KR 20070030947 A KR20070030947 A KR 20070030947A KR 100855221 B1 KR100855221 B1 KR 100855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almonella
coli
composition
inf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우선영
김권회
Original Assignee
(주)양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양성 filed Critical (주)양성
Priority to KR1020070030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2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4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61K36/355Lonicera (honeysuc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2Bacterial antigens
    • A61K39/025Enterobacteriales, e.g. Enterobacter
    • A61K39/0275Salmonell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질병의 주요 원인인 대장균과 살모넬라에 대한 감염을 동시에 예방할 수 있는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전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장균 및 살모넬라 감염 예방용 조성물은 (i) 가자 5 내지 25중량%, 양제근 5 내지 25중량%, 측백엽 5 내지 25중량 %, 소목 5 내지 25중량%, 우슬 5 내지 10중량%, 전호 5 내지 10중량%, 백모등 5 내지 10중량%, 방풍 5 내지 10중량%, 형개 5 내지 10중량%, 백작약 5 내지 10중량%, 금은화 5 내지 10중량%, 자초 5 내지 10중량% 및 승마 5 내지 10중량%로 구성된 생약 성분 50 내지 70중량%; 및, (ⅱ) 살모넬라 갈리나륨(Salmonella gallinarum), 살모넬라 플로륨(Salmonella pullorum) 및 병원성 대장균인 O-157(E. coli O-157)에 특이적인 난황항체 30 내지 50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대장균 및 살모넬라 감염 예방용 조성물은 종래에 사용되어 온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으면서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축산농가의 소득증대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대장균, 살모넬라, 생약, 난황항체

Description

대장균과 살모넬라 감염 예방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Infection of E. coli and Salmonella sp.}
본 발명은 대장균과 살모넬라 감염 예방용 조성물에 대한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가축질병의 주요 원인인 대장균과 살모넬라에 대한 감염을 동시에 예방할 수 있는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전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에 관한 것이다.
인체와 가축질병의 주요 원인체인 살모넬라(Salmonella sp.)는 현재까지 밝혀진 지구상에 존재하는 종류는 약 2,000여 종으로 알려져 있는데, 인간에서는 세균성 식중독, 닭에서는 추백리 및 가금티푸스 등의 주요질병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체로, 살모넬라에 의한 질병은 어린 가축에서는 높은 폐사율과 설사증상을 특징적으로 동반하며 성장저해가 일어나고 다른 질병의 혼합감염에 의한 심한 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성계에서는 산란율의 저하가 나타나고 패혈증을 유발시킨다. 특히, 살모넬라 속 병원균이 감염된 닭에서는 어린 병아리의 백색설사 및 이로 인한 높은 폐사율을 특징적으로 나타내고, 성체에서는 백색설사 증 이외에도 호흡곤란, 절룩거림, 신경마비 증상이 보고되어 있다. 닭에서 유발되는 질병 중에서, 가금티푸스는 전염율과 치사율이 높아서, 닭을 사육하는 농가에 있어서, 크나큰 위해 요인이 되고 있다.
한편, 병원성 대장균(E. coli)은 숙주의 세포를 파괴시키는 독소를 생산하는데, 대체로 소화기 질병을 특징적으로 나타낼 뿐만 아니라, 전신적인 부종과 장기의 손상을 동반한다. 특히, 닭에서의 병원성 대장균의 감염에 의한 피해가 막대한 실정으로서, 세균성 질병으로 인한 폐사 원인의 90%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가축의 주요 질병인 대장균과 살모넬라 감염증을 치료하거나 또는 예방하기 위하여, 대부분 항생제를 사용하여 왔으나, 무분별한 항생제의 사용으로 인하여 가축 뿐만 아니라 가축을 사육하는 사람에게까지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가축사용시 항생제의 남용으로 인하여, 항생제 내성균주가 급격히 증가되고, 항생제가 가축 뿐만 아니라 가축을 사육하는 사람에게도 축적되어, 인체의 대사를 교란시킨다는 사실이 알려짐에 따라, 항생제 사용규제라는 현실적인 법제화에 의하여, 항생제의 남용을 방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항생제 이외에는 살모넬라, 대장균 등의 병원균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같은 규제에도 불구하고, 항생제의 남용은 감소하지 않고 있다. 만일,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가축에 대한 대장균 및 살모넬라균의 감염을 안전하게 예방할 수 있는 물질이 개발된다면, 가축을 사육하는 농가에게 있어서, 하나의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직까지는 이러한 물질이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가축의 주요질병인 대장균과 살모넬라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여야 할 필요성이 끊임없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가축의 주요질병인 대장균과 살모넬라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생약재인 가자, 양제근, 측백엽, 소목, 우슬, 전호, 백모등, 방풍, 형개, 백작약, 금은화, 자초 및 승마로 구성된 생약 혼합물과 병원성 대장균과 살모넬라에 대한 특이 난황항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가축에 투여할 경우, 대장균과 살모넬라의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가축의 대장균과 살모넬라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대장균과 살모넬라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대장균 및 살모넬라에 특이적인 난황항체를 이용하는 방법에 촛점을 맞추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던 중, 한방에서 사용하여온 생약재의 효능에 주목하게 되었다. 동의보감, 한약집성방 등에 기재된 전염병을 예방할 수 있는 다양한 생약재들을 대상으로 대장균과 살모넬라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물질을 검색한 결과, 가자, 양제근, 측백엽, 소목, 우슬, 전호, 백모등, 방풍, 형개, 백작약, 금은화, 자초 및 승마가 대장균과 살모넬라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들의 예방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조성비를 산출한 결과, 가자 5 내지 25중량%, 양제근 5 내지 25중량%, 측백엽 5 내지 25중량 %, 소목 5 내지 25중량%, 우슬 5 내지 10중량%, 전호 5 내지 10중량%, 백모등 5 내지 10중량%, 방풍 5 내지 10중량%, 형개 5 내지 10중량%, 백작약 5 내지 10중량%, 금은화 5 내지 10중량%, 자초 5 내지 10중량% 및 승마 5 내지 10중량%로 구성된 조성물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상기 조성물과 살모넬라 갈리나륨(Salmonella gallinarum), 살모넬라 플로륨(Salmonella pullorum) 및 병원성 대장균인 O-157(E. coli O-157)에 특이적인 난황항체를 조합할 경우, 상기 예방효과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었는 데, 이때 상기 조성물의 함량은 50 내지 70중량%이고 상기 난황항체의 함량은 30 내지 50중량%가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결국, 본 발명의 대장균 및 살모넬라 감염 예방용 조성물은 (i) 가자 5 내지 25중량%, 양제근 5 내지 25중량%, 측백엽 5 내지 25중량 %, 소목 5 내지 25중 량%, 우슬 5 내지 10중량%, 전호 5 내지 10중량%, 백모등 5 내지 10중량%, 방풍 5 내지 10중량%, 형개 5 내지 10중량%, 백작약 5 내지 10중량%, 금은화 5 내지 10중량%, 자초 5 내지 10중량% 및 승마 5 내지 10중량%로 구성된 생약 성분 50 내지 70중량%; 및, (ⅱ) 살모넬라 갈리나륨(Salmonella gallinarum), 살모넬라 플로륨(Salmonella pullorum) 및 병원성 대장균인 O-157(E. coli O-157)에 특이적인 난황항체 30 내지 50중량%를 포함한다. 이때, 생약 성분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각 생약재의 열풍건조분말 또는 동결건조분말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난황항체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분무건조분말 또는 동결건조분말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대장균 및 살모넬라 감염 예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ⅰ) 가자 5 내지 25중량%, 양제근 5 내지 25중량%, 측백엽 5 내지 25중량 %, 소목 5 내지 25중량%, 우슬 5 내지 10중량%, 전호 5 내지 10중량%, 백모등 5 내지 10중량%, 방풍 5 내지 10중량%, 형개 5 내지 10중량%, 백작약 5 내지 10중량%, 금은화 5 내지 10중량%, 자초 5 내지 10중량% 및 승마 5 내지 10중량%를 혼합하고, 건조시킨 다음, 이를 마쇄하여 혼합분말을 수득하는 공정; (ⅱ) 살모넬라 갈리나륨(Salmonella gallinarum), 살모넬라 플로륨(Salmonella pullorum) 및 병원성 대장균인 O-157(E. coli O-157)의 사균으로부터 수득한 항원을 산란계에 접종하고, 접종된 산란계로부터 계란을 채란한 다음, 이로부터 난황을 수득하는 공정; (ⅲ) 전기 수득한 난황을 건조시키고, 이를 마쇄하여 분말형태의 난황항체를 수득하는 공정; 및, (ⅳ) 상기 각각 수득한 혼합분말과 분말형태의 난황항체를 50:50 내지 70:3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때, (ⅰ)공정의 건조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열풍건조방법 또는 동결건조방법에 의하여 수행됨이 바람직하고, (ⅰ)공정의 마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30 내지 200메쉬의 크기로 마쇄함이 바람직하며, (ⅲ)공정의 건조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분무건조방법 또는 동결건조방법에 의하여 수행됨이 바람직하고, (ⅲ)공정의 마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30 내지 200메쉬의 크기로 마쇄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대장균 및 살모넬라 감염 예방용 조성물은 가축의 사료 또는 음수에 혼합하고, 이를 섭식시키는 방법을 통하여 투여할 수 있다: 이때, 사료 또는 음수에 혼합되는 형태 또는 혼합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가축의 사료에 혼합할 경우 분말형태로 사료 중량의 0.05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중량%의 성분비로 혼합하여 투여함이 바람직하고, 가축의 음수에 혼합할 경우에는 액상추출물 형태의 생약재 혼합물과 특이난황항체를 음수의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음수 중량의 0.1 내지 2중량%의 성분비로 혼합하여 투여함이 바람직하다.
급성독성실험
본 발명의 조성물은 종래로부터 한방 또는 민간요법에서 사용되고, 금기물질로 분류되지 않은 안전성이 입증된 생약재만을 원료로서 사용하였고, 계란은 태고로부터 섭식하여 그 안전성이 기 입증된 바, 별도의 급성독성실험을 수행하지 않았다.
유효량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성물의 투여량은 인체의 경우 체중 kg 당 1일 0.1 내지 5 g 을 투여할 수 있고, 가축의 경우, 가축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가축중량 kg 당 1일 0.1 내지 100g을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가축의 상태에 따라 당업자가 투여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장균 및 살모넬라 감염 예방용 조성물은 종래에 사용되어 온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으면서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축산농가의 소득증대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대장균과 살모넬라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생약성분의 검색
실시예 1-1: 생약성분의 검색
전염병의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산수유, 가자, 복분자, 양제근, 측백엽, 용안육, 소목, 우슬, 삼백초, 전호, 백출, 백모등, 방풍, 백복령, 형개, 백작약, 금은화, 자초 및 승마의 건조분말을 실험동물인 7주령의 특정 병원체 미검출(specific pathogen free, SPF) 하이-라인 백색 산란계에 하루에 200g씩 7일 동안 경구투여하고, 7일이 경과된 시점에서 각 실험동물에 8x107CFU/ml의 대장균, 5x107CFU/ml의 살모넬라 플로륨 및 5x107CFU/ml의 살모넬라 갈리나륨을 각각 경구투여하고 3일 후, 분변에 포함된 세균의 수를 측정한 다음, 대조군의 분변에 포함된 세균수로 나누어 각 분변에 포함된 각 세균수의 상대적인 비율을 비교하였다(참조: 표 1a). 이때, 대조군으로는 생약성분을 투여하지 않고, 대장균 및 살모넬라만을 투여한 산란계를 사용하였다.
각 생약성분이 투여된 산란계의 분변에 포함된 대장균과 살모넬라의 상대적 비율
생약 대장균 살모넬라 생약 대장균 살모넬라
대조군 산수유 가자 복분자 양제근 측백엽 용안육 소목 우슬 삼백초 1.0 1.1 0.7 1.0 0.8 0.8 1.2 0.8 0.7 1.0 1.0 1.0 0.8 1.3 0.8 0.7 1.4 0.9 0.7 1.1 전호 백출 백모등 방풍 백복령 형개 백작약 금은화 자초 승마 0.7 1.0 0.9 0.8 1.1 0.7 0.8 0.9 0.7 0.8 0.5 1.1 0.8 0.7 1.2 0.8 0.9 0.9 0.8 0.7
상기 표 1a에서 보듯이, 가자, 양제근, 측백엽, 소목, 우슬, 전호, 백모등, 방풍, 형개, 백작약, 금은화, 자초 및 승마를 투여한 경우에는 대조군 보다도 적은 수의 세균이 분변에서 발견되었는 바, 상기 생약재가 대장균 및 살모넬라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2: 생약성분의 최적 조성비 결정
상기 실시예 1-1에서 검색한 생약성분을 혼합하여, 대장균과 살모넬라균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최적의 혼합비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가자(GJ), 양제근(YJ), 측백엽(CB), 소목(SO), 우슬(US), 전호(JH), 백모등(BM), 방풍(BP), 형개(HG), 백작약(BJ), 금은화(GE), 자초(JC) 및 승마(SM)를 하기의 표 1b와 같이 혼합하고, 이를 70℃에서 1시간동안 열풍건조시킨 다음, 100메쉬의 크기로 마쇄하여 수득한 각각의 혼합분말을 하루에 500g씩 산란계에 투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을 수행하여, 각 분변에 포함된 각 세균수의 상대적인 비율을 비교하였다(참조: 표 1c). 이때, 대조군으로는 생약성분을 투여하지 않고, 대장균 및 살모넬라만을 투여한 산란계를 사용하였다.
각 생약재의 혼합비(단위: 중량%)
실험군 GJ YJ CB SO US JH BM BP HG BJ GE JC SM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5 5 5 5 10 5 5 5 10 15 5 5 5 10 10 5 25 5 5 10 5 5 5 25 5 5 5 5 15 10 10 5 5 5 10 5 5 5 5 15 5 10 5 5 5 5 5 20 5 25 5 5 10 25 10 5 5 5 5 20 5 5 5 10 15 5 25 5 5 5 10 5 15 15 5 5 5 5 10 5 25 5 5 5 5 5 10 5 5 5 5 5 5 5 5 5 5 5 10 5 5 25 5 5 5 5 5 5 5 5 10 5 5 5 5 5 10 15 25 5 5 5 25 5 5 5 10 5 5 5 5 5 5 5 5 5 5 25 10 5 5 10 5 10 25 5 5 5 5 5 5 20 5 5 5 5 5 10 5 5 15 5 5 5 5 5 5 5 5 5 5 5 5 5 5 25 10 5 5 5 5 10 5 10 5 25 5 5 5 5 5 5 5 5 25 5 5 5 5 5 10 5 5 5 5 10 10 25 5 5 5 5 25 5 5 5 5 5 5 5 5 5 20 5 5 10 5 5 25 5 5 25 5 5 5 5 5 5 5 10 5 5 5 5 5 10 5 5 5 5 25 5 5 5 5 20 10 5 5 5
각 혼합비의 생약성분이 투여된 산란계의 분변에 포함된 대장균과 살모넬라의 상대적 비율
실험군 대장균 살모넬라 실험군 대장균 살모넬라 실험군 대장균 살모넬라
대조군 1 2 3 4 5 6 1.0 0.8 0.7 0.8 0.5 0.7 0.8 1.0 1.0 0.8 0.9 0.4 0.9 0.7 7 8 9 10 11 12 13 0.4 0.9 0.8 0.4 0.7 0.7 0.8 0.4 0.7 1.0 0.5 0.9 0.8 0.7 14 15 16 17 18 19 20 0.5 0.7 0.7 0.4 0.8 0.9 0.4 0.5 1.0 0.8 0.4 0.7 0.9 0.5
상기 표 1c에서 보듯이, 혼합된 생약을 투여한 산란계의 분변에 포함된 대장균 및 살모넬라균의 상대적 비율은 전체적으로 0.4 내지 1.0을 나타내었고, 그 중에서도 실험군 4, 7, 10, 14, 17 및 20은 0.4 내지 0.5의 상대적 비율을 나타낸 반면, 실험군 1, 2, 3, 5, 6, 8, 9, 11, 12, 13, 15, 16, 18 및 19는 0.7 내지 1.0의 상대적 비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실험군 4, 7, 10, 14, 17 및 20을 구성하는 혼합비의 범위인 가자 5 내지 25중량%, 양제근 5 내지 25중량%, 측백엽 5 내지 25중량 %, 소목 5 내지 25중량%, 우슬 5 내지 10중량%, 전호 5 내지 10중량%, 백모등 5 내지 10중량%, 방풍 5 내지 10중량%, 형개 5 내지 10중량%, 백작약 5 내지 10중량%, 금은화 5 내지 10중량%, 자초 5 내지 10중량% 및 승마 5 내지 10중량%로 구성된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대장균 및 살모넬라의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대장균 및 살모넬라 특이적 난황항체의 대장균 및 살모넬라 감염예방효과 확인
실시예 2-1: 대장균 및 살모넬라 특이적 난황항체의 수득
살모넬라의 종류 중 닭에서 병원성을 유발하는 살모넬라 갈리나륨(Salmonella gallinarum), 살모넬라 플로륨(Salmonella pullorum) 및 병원성 대장균인 O-157(E. coli O-157)을 사용하여 면역형성용 항원을 제조하고, 이를 닭에 주사하여 특이적인 난황항체를 제조하였다.
먼저, 살모넬라 갈리나륨균, 살모넬라 플로륨균 및 O-157균을 각각 5㎖의 트립티카아제 소이 액상배지(Trypticase soy broth, pH 7.4)(Sigma Chem. Co., USA)에 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를 다시 500㎖의 트립티카아제 소이 액상배지에 접종하여 37℃의 호기조건으로 18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액에 0.3%(v/v)가 되도록 포르말린을 가하여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방치하여, 각 균을 불활성화시켜 각각의 사균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각각의 사균액을 5,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수득하고, 수득한 각 균체를 PBS로 세척한 다음, 0.3%(v/v) 포르말린을 포함하는 PBS에 현탁시켜서, O.D.410 값이 0.5 내지 1.5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상기 각각의 현탁액을 동일부피로 혼합한 혼합액과 유화제인 ISA70(Sepic, 프랑스)를 3:7(w/w)로 혼합하고, 균질기를 적용하여, 30,000rpm에서 20분간 균질화시켜서 면역형성제를 수득하였다.
전기 수득한 면역형성제를 14주령의 산란계의 흉근에 1㎖씩 접종하여 면역반응을 유도시키고, 산란계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스트레스 감소제인 놉스르레스(DIASHAM RESOURCES, Singapore)가 첨가된 사료를 접종전 3일동안 및 접종후 7일동안 경구투여하였다.
상기 면역반응을 유도시킨 산란계에서 계란을 채란하고, 채란된 계란으로부터 난황을 수득한 다음, 난황을 3배 부피의 PBS에 현탁시키고, 13,000rpm으로 1시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인 난황분획을 수득하였다.
상기 난황분획에 각 균체에 대하여 특이적인 항체가 포함되었는지의 여부를 효소면역분석법(ELISA)을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면역항원으로 사용된 각각의 사균된 균주를 초음파처리하여 분쇄하고, 상기 분쇄물을 흡착용 완충용액(1.59g/L sodium carbonate, 2.93g/L sodium bicarbonate, 0.20g/L sodium azide, pH 9.6)으로 희석하여 효소면역분석용 마이크로플레이트에 가하고, 4℃에서 16시간 반응시켜서, 상기 항원을 플레이트에 흡착시켰다. 상기 항원이 흡착된 플레이트에 상기 수득한 난황분획을 가하고 37℃에서 1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PBS로 3회 세척하였다. 이어, 페록시다아제가 포함되어있는 닭의 면역항체(IgG)에 대한 항체(anti-chicken IgG HRP labeled)(BioRad Co., Ltd., USA)인 2차 항체를 가하고 37℃에서 1시간동안 반응시킨 다음, 다시 PBS로 3회 세척하였다. 그런 다음, 발색기질인 TMB를 가하고, 3분동안 반응시킨 후, 0.25몰 황산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각 균체에 대한 항체가 형성된 난황을 선별하였다.
상기 선별된 난황을 포함하는 계란을 수득할 수 있는 산란계로부터 계란을 채란한 다음, 채란된 계란으로부터 난황을 수득하고, 이를 분무건조시켜서, 분말형태의 대장균 및 살모넬라 특이적 난황항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2: 대장균 및 살모넬라 특이적 난황항체의 대장균 및 살모넬라 감염 예방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2-1에서 수득한 각각의 대장균 및 살모넬라 특이적 난황항체를 하루에 500g씩 산란계에 투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을 수행하여, 각 분변에 포함된 각 세균수의 상대적인 비율을 비교하였다(참조: 표 2). 이때, 대조군으로는 생약성분을 투여하지 않고, 대장균 및 살모넬라만을 투여한 산란계를 사용하였다.
대장균 및 살모넬라 특이적 난황항체가 투여된 산란계의 분변에 포함된 대장균과 살모넬라의 상대적 비율
대장균 살모넬라
대조군 1.0 1.0
난황항체 투여군 0.5 0.5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대장균 및 살모넬라 특이적 난황항체가 투여된 산란계의 분변에는 대조군의 분변보다 대장균 및 살모넬라 균체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으므로, 대장균 및 살모넬라 특이적 난황항체를 사용할 경우, 대장균 및 살모넬라의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생약성분 및 난황항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대장균 및 살모넬라의 감염예방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 및 2의 결과로부터, 생약성분 및 대장균 및 살모넬라 특이적 난황항체가 모두 대장균 및 살모넬라의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므로, 상기 생약성분 및 난황항체를 동시에 투여할 경우, 대장균 및 살모넬라의 감염예방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먼저, 상기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실험군 14의 생약성분과 상기 실시예 2-1에서 수득한 난황항체를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여 각각의 혼합 조성물을 수득하고, 상기 수득한 조성물을 하루에 500g씩 산란계에 투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을 수행하여, 각 분변에 포함된 각 세균수의 상대적인 비율을 비교하였다(참조: 표 3a). 이때, 대조군으로는 생약성분을 투여하지 않고, 대장균 및 살모넬라만을 투여한 산란계를 사용하였다.
생약성분 및 난황항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투여된 산란계의 분변에 포함된 대장균과 살모넬라의 상대적 비율
혼합비(생약성분:난황항체, 중량%) 대장균 살모넬라균
대조군 10:0 9:1 8:2 7:3 6:4 5:5 4:6 3:7 2:8 1:9 0:10 1.0 0.5 0.5 0.5 0.2 0.1 0.3 0.5 0.5 0.5 0.5 0.5 1.0 0.5 0.5 0.5 0.3 0.1 0.2 0.4 0.5 0.5 0.5 0.5
상기 표 3a에서 보듯이, 생약성분과 난황항체의 혼합비가 7:3(중량%)인 경우 각 균체의 상대적 비율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4:6(중량%)인 경우에 각 균체의 상대적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므로, 생약성분과 난황항체가 7:3 내지 5:5(중량%)로 혼합된 조성물이 대장균 및 살모넬라의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은 가축질병의 주요 원인인 대장균과 살모넬라에 대한 감염을 동시에 예방할 수 있는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전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대장균 및 살모넬라 감염 예방용 조성물은 종래에 사용되어 온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으면서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축산농가의 소득증대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i) 가자 5 내지 25중량%, 양제근 5 내지 25중량%, 측백엽 5 내지 25중량 %, 소목 5 내지 25중량%, 우슬 5 내지 10중량%, 전호 5 내지 10중량%, 백모등 5 내지 10중량%, 방풍 5 내지 10중량%, 형개 5 내지 10중량%, 백작약 5 내지 10중량%, 금은화 5 내지 10중량%, 자초 5 내지 10중량% 및 승마 5 내지 10중량%로 구성된 생약 성분 50 내지 70중량%; 및,
    (ⅱ) 살모넬라 갈리나륨(Salmonella gallinarum), 살모넬라 플로륨(Salmonella pullorum) 및 병원성 대장균인 O-157(E. coli O-157)의 사균으로부터 수득한 항원을 산란계에 접종하고, 접종된 산란계로부터 계란을 채란한 다음, 이로부터 난황을 수득하고 이를 건조 및 마쇄하여 제조한, 살모넬라 갈리나륨, 살모넬라 플로륨 및 병원성 대장균인 O-157에 특이적인 난황항체 30 내지 50중량%를 포함하는, 대장균 및 살모넬라 감염 예방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생약 성분은 열풍건조분말 또는 동결건조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균 및 살모넬라 감염 예방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난황항체는 분무건조분말 또는 동결건조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균 및 살모넬라 감염 예방용 조성물.
  4. (ⅰ) 가자 5 내지 25중량%, 양제근 5 내지 25중량%, 측백엽 5 내지 25중량 %, 소목 5 내지 25중량%, 우슬 5 내지 10중량%, 전호 5 내지 10중량%, 백모등 5 내지 10중량%, 방풍 5 내지 10중량%, 형개 5 내지 10중량%, 백작약 5 내지 10중량%, 금은화 5 내지 10중량%, 자초 5 내지 10중량% 및 승마 5 내지 10중량%를 혼합하고, 건조시킨 다음, 이를 마쇄하여 혼합분말을 수득하는 공정;
    (ⅱ) 살모넬라 갈리나륨(Salmonella gallinarum), 살모넬라 플로륨(Salmonella pullorum) 및 병원성 대장균인 O-157(E. coli O-157)의 사균으로부터 수득한 항원을 산란계에 접종하고, 접종된 산란계로부터 계란을 채란한 다음, 이로부터 난황을 수득하는 공정;
    (ⅲ) 전기 수득한 난황을 건조시키고, 이를 마쇄하여 분말형태의 난황항체를 수득하는 공정; 및,
    (ⅳ) 상기 가각 수득한 혼합분말과 분말형태의 난황항체를 50:50 내지 70:3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대장균 및 살모넬라 감염 예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ⅰ)공정의 건조는 열풍건조방법 또는 동결건조방법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균 및 살모넬라 감염 예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ⅰ)공정 및 (ⅲ)공정의 마쇄는 30 내지 200메쉬의 크기로 마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균 및 살모넬라 감염 예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ⅲ)공정의 건조는 분무건조방법 또는 동결건조방법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균 및 살모넬라 감염 예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1항의 대장균 및 살모넬라 감염 예방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KR1020070030947A 2007-03-29 2007-03-29 대장균과 살모넬라 감염 예방용 조성물 KR100855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947A KR100855221B1 (ko) 2007-03-29 2007-03-29 대장균과 살모넬라 감염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947A KR100855221B1 (ko) 2007-03-29 2007-03-29 대장균과 살모넬라 감염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5221B1 true KR100855221B1 (ko) 2008-09-01

Family

ID=40022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947A KR100855221B1 (ko) 2007-03-29 2007-03-29 대장균과 살모넬라 감염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2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376B1 (ko) 2009-10-13 2011-04-29 주식회사 중앙백신연구소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 감염 예방용 불활화 백신
KR102077701B1 (ko) * 2018-12-18 2020-02-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살모넬라 갈리나룸 사균체를 포함하는 가금 티푸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625A (ko) * 1997-04-23 1998-11-25 도꼬로히데오 장관 출혈성 대장균에 의한 감염증의 예방제 및 치료제
KR20020067832A (ko) * 2001-02-19 2002-08-24 주식회사 에그 바이오택 항 대장균 및 헬리코박터 피로리의 특수면역단백질을함유한 과일쥬스
KR20030002827A (ko) * 2001-06-29 2003-01-09 주식회사 에그 바이오택 항-대장균 및 항-헬리코박터 피로리 혼합특수면역단백질함유 난황과 알로에분말, 녹차추출물분말및 들깨잎분말을 함유한 헬리코박터 피로리 성장억제식품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함유한 요구르트
KR20040101588A (ko) * 2003-05-23 2004-12-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29807A (ko) * 2004-10-04 2006-04-07 양재우 피부염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625A (ko) * 1997-04-23 1998-11-25 도꼬로히데오 장관 출혈성 대장균에 의한 감염증의 예방제 및 치료제
KR20020067832A (ko) * 2001-02-19 2002-08-24 주식회사 에그 바이오택 항 대장균 및 헬리코박터 피로리의 특수면역단백질을함유한 과일쥬스
KR20030002827A (ko) * 2001-06-29 2003-01-09 주식회사 에그 바이오택 항-대장균 및 항-헬리코박터 피로리 혼합특수면역단백질함유 난황과 알로에분말, 녹차추출물분말및 들깨잎분말을 함유한 헬리코박터 피로리 성장억제식품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함유한 요구르트
KR20040101588A (ko) * 2003-05-23 2004-12-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29807A (ko) * 2004-10-04 2006-04-07 양재우 피부염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376B1 (ko) 2009-10-13 2011-04-29 주식회사 중앙백신연구소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 감염 예방용 불활화 백신
KR102077701B1 (ko) * 2018-12-18 2020-02-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살모넬라 갈리나룸 사균체를 포함하는 가금 티푸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3233C2 (ru) Глиняный продукт и его применения
US7326775B2 (en) Treatments for contaminant reduction in lactoferrin preparations and lactoferrin-containing compositions
US20110129529A1 (en) Probiotic products for pet applications
KR100569908B1 (ko) 헬리코박터 에스피 감염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되는 경구용제제
El-Abasy et al. Immunostimulating and growth-promoting effects of sugar cane extract (SCE) in chickens
KR101134987B1 (ko) 돼지 전염성질병 예방용 조성물
KR20110034770A (ko) 송아지 설사병 예방용 조성물
KR100855221B1 (ko) 대장균과 살모넬라 감염 예방용 조성물
CN110128548A (zh) 一种兼具调节免疫、抗氧化、抗炎和解毒多功能的杂合肽及其制备方法与应用
Gräber et al. Agrimonia procera exerts antimicrobial effects, modulates the expression of defensins and cytokines in colonocytes and increases the immune response in lipopolysaccharide-challenged piglets
CN110251561B (zh) 一种猪用抗病毒复方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KR102034492B1 (ko) 식용곤충, 벌나무, 대추 및 헛개나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력 증진 효과를 가지는 반려동물용 사료 조성물
KR100956648B1 (ko) 돼지질병의 항원 제조방법 및 면역 난황항체 생산과전해질을 첨가한 돼지질병 방제용 조성물
CA2217191C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pectin and a phospholipid, used as an antidiarrheal and antiulcer agent
KR102197664B1 (ko)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제품
Teymouri Zadeh et al. The effects of Thymus vulgaris L., Echinacea purpurea (L.) Moench., Allium sativum L. extracts and virginiamycin antibiotic on intestinal microflora population and immune system in broilers
KR100889830B1 (ko) 광물성 동물사료
CN111195298B (zh) 一种调节肠道菌群和防治食物过敏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0623144A (zh) 一种用于增强畜禽免疫力的复合型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2144706A (zh) 一种杜仲提取物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3153304A (zh) 用于治疗幽门螺旋杆菌感染的组合物
DE1792256B2 (de) Oral applizierbare, polyvalente Impfstoffe gegen lokale Darminfektionen
RU2769617C1 (ru) Лекарственная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диареи у новорожденных телят
KR19990079334A (ko) 돼지 대장균 설사증 예방 및 치료용 난황항체를 이용한 경구용면역제제
KR20030021298A (ko) 동물용 면역증진 및 정장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