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159B1 - 연결기 및 연결기용 폐쇄체 - Google Patents

연결기 및 연결기용 폐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159B1
KR100855159B1 KR1020060120390A KR20060120390A KR100855159B1 KR 100855159 B1 KR100855159 B1 KR 100855159B1 KR 1020060120390 A KR1020060120390 A KR 1020060120390A KR 20060120390 A KR20060120390 A KR 20060120390A KR 100855159 B1 KR100855159 B1 KR 100855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channel
body portion
slit
valve member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0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8344A (ko
Inventor
시게아끼 후나무라
이찌로오 기따니
Original Assignee
코비디엔 아게
니뽄 셔우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비디엔 아게, 니뽄 셔우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코비디엔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058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0Closure caps or plugs for connectors or open ends of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23Multiway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4Access sites having pierceable self-sealing members
    • A61M39/045Access sites having pierceable self-sealing members pre-slit to be pierced by blunt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6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having provision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6Valves closing automatically on disconnecting the line and opening on reconnec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6/00Characteristics of a physical parameter; associated device therefor
    • A61M2206/10Flow characteristics
    • A61M2206/20Flow characteristics having means for promoting or enhancing the flow, actively or passive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815Multiple inlet with single outl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863Rotary valve unit
    • Y10T137/86871Plu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Lift Valve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기에 대한 연결이 이루어질 때, 밀봉 요소가 연결기 내로 변위되어, 연결기를 통해 유체 유동 채널을 개방하도록 밀봉 요소(40)가 제공된, 연결기, 예를 들어 루어 연결기를 제공한다. 양호하게는, 밀봉 부재는 밀봉 부재의 변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의 하부 표면 상에 슬릿(41d)을 포함한다.
연결기, 밸브 부재, 유동 채널, 슬릿, 폐쇄체

Description

연결기 및 연결기용 폐쇄체{CONNECTOR AND CLOSURE FOR CONNECTOR}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3-방향 밸브의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3-방향 밸브의 정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3-방향 밸브의 좌측면도.
도4는 도2의 A-A를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
도5는 도3의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밸브 부재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3-방향 밸브의 제3 분지 튜브로부터의 혼합 주입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밸브 부재 내로의 루어 시린지 부분의 삽입 이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b)는 루어 시린지 부분이 밸브 부재 내로 삽입되었지만 밸브 부재가 여전히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c)는 루어 시린지 부분이 밸브 부재 내로 삽입되고 밸브 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8은 도7에서와 동일한 작동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밸브 부재의 본체 부분 상에 작용하는 가압력과 상향 당김력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10은 실시예 2의 3-방향 밸브의 평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3-방향 밸브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3-방향 밸브의 제3 분지 튜브로부터의 혼합 주입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밸브 부재 내로의 루어 시린지 부분의 삽입 이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b)는 루어 시린지 부분이 밸브 부재 내로 삽입되었지만 밸브 부재가 여전히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c)는 루어 시린지 부분이 밸브 부재 내로 삽입되고 밸브 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13은 도1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작동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밸브 부재의 본체 부분 상에 작용하는 가압력과 상향 당김력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혼합 주입기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측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혼합 주입기의 단면도이고, (a)는 도15의 (b)의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b)는 도15의 (a)의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c)는 도15의 (b)의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연결기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평면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연결기의 단면도이고, (a)는 도17의 (b)의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b)는 도17의 (a)의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제1 분지 튜브
12 : 제2 분지 튜브
13 : 제3 분지 튜브
13a : 제3 분지 유동 채널
40 : 밸브 부재
41 : 본체 부분
41d : 내측 슬릿
42a, 42b : 지지 아암
본 발명은 유동 채널이 형성되어 있는 튜브에 대해 연결기를 폐쇄 또는 밀봉하기 위한 폐쇄체의 일 유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평시에 차단되고 액체를 유동 채널에 공급할 필요가 있을 때 개방되는 차단 시스템을 위한 연결기 폐쇄체의 일 유형에 관한 것이다.
의료 기관에서, 주사, 수혈, 인공 투석, 채혈 등과 같은 액체 전달이 종종 필요하다. 튜브가 다양한 유형의 액체를 이송하는데 사용된다. 복수의 유형의 액체를 혼합하거나 필요하다면 유동을 차단하는 연결기가 튜브를 제어한다. 상기 연결기는 튜브의 중간에 설치되고, 다른 약물 용액의 혼합을 위한 혼합기가 튜브에 부착되고, 다양한 다른 장치가 튜브에 대해 채택된다. 예를 들어, 연결기는 절환 밸브의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밸브는 복수의 유동 채널로부터의 액체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3-방향 밸브로서 사용된다. 연결기는 약물 용액 튜브의 말단에 부착 되고, 평시에 상기 약물 용액 튜브로부터의 액체의 공급을 차단하고, 액체를 공급할 필요가 있을 때에만 개방된다. 즉, 연결기는 평시 폐쇄 밸브로서 사용된다.
보통, 연결기는 약물 용액 또는 다른 액체의 유동을 위한 유동 채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갖는다. 하우징은 유동 채널에 연결되는 연결 포트를 갖는다. 유동 채널은 약물 용액의 유동을 위해 연결 포트를 통해 유동 채널 공간에 연결된다. 또한, 하우징 내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개방 부분이 형성된다. 루어(Luer) 시린지 부분이 개방 부분 내에 삽입되고, 약물 용액 등은 개방 부분을 통해 유동 채널 공간 내로 공급된다.
그러나, 개방 부분에 아무것도 부착되지 않은 개방 시스템의 연결기에 대해, 루어 시린지 부분이 삽입되지 않고 유동 채널 공간이 평시에 외부로 연결되면, 약물 용액은 유동 채널 공간으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또한, 박테리아가 개방 부분 근방의 약물 용액에 부착된 부분 내에서 증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최근에, 평시 폐쇄 타입 밸브 부재가 개방 부분에 부착되고, 루어 시린지 부분이 삽입되지 않았을 때, 개방 부분은 액체 밀봉식으로 차단된다. 차단 시스템의 그러한 연결기가 종종 사용된다.
차단 시스템의 연결기는 보통 개방 부분에 부착된 밸브 부재 상에 형성된 슬릿을 갖는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159336호 및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성8(1996)-206230호 참조). 그 다음, (루어 시린지 부분이 삽입되지 않고 액체가 공급되지 않는) 평시 상태에서, 이러한 슬릿은 폐쇄된다. 다른 한편으로, 액체 공급이 수행될 때, 루어 시린지 부분은 슬릿 내에 삽입된다. 그 다음, 슬릿이 개방되 고, 루어 시린지 부분은 하우징 내부의 유동 채널 공간으로 노출된다. 공급되는 액체가 이러한 상태에서 주입되면, 액체는 유동 채널 공간 내로 주입되고, 액체가 공급된다. 액체 공급의 종료 후에, 루어 시린지 부분은 슬릿으로부터 당겨져 나온다. 결과적으로, 슬릿은 다시 한번 폐쇄되고, 개방 부분은 차단된다.
차단 시스템의 종래의 연결기 내에서 사용되는 밸브 부재에 대해, 상기 관통 슬릿이 형성되고, 루어 시린지 부분은 상기 슬릿을 거쳐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슬릿이 반복적으로 개방/폐쇄됨에 따라, 슬릿 부분이 열화된다. 슬릿 부분이 열화되면, 슬릿은 잘 폐쇄될 수 없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단 시스템의 연결기의 장점이 잘 표시될 수 없고, 액체는 유동 채널 공간으로부터 누출될 수 있다. 또한, 박테리아가 슬릿의 주연부에서 증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의 연결이 비사용 시에 신뢰할 수 있게 차단되고 누출 또는 박테리아 증식이 거의 발생할 수 없는 밸브 부재를 갖는 사실을 특징으로 하는 유형의 연결기 폐쇄체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의 사실을 특징으로 하는 일 유형의 연결기 폐쇄체를 제공한다. 연결기는 외부로 개방된 개방 부분 및 튜브에 연결된 연결 포트를 가지며 내부에 형성된 상기 연결 포트를 통한 액체의 유동을 허용하는 유동 채널 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개방 부분에 부착되고 상기 밸브 부재를 온/오프 전환함으로써 상기 유동 채널 공간 내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밸 브 부재를 갖고, 이러한 연결기에서,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개방 부분을 액체 밀봉식으로 밀봉하며 외부로부터의 가압력 하에서 상기 유동 채널 공간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본체 부분과, 상기 본체 부분에 연결되어 하우징에 맞물리고 상기 본체 부분이 외부로부터의 가압력 하에서 상기 유동 채널 공간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본체 부분 상에 작용하는 탄성력을 갖는 지지 부분을 갖는다. 상기 본체 부분은 외부와 대면하는 외측 표면 및 유동 채널 공간과 대면하는 내측 표면을 갖고, 상기 개방 부분은 액체 밀봉식으로 차단되고, 상기 외측 표면 상에, 상기 본체 부분이 외부로부터의 가압력 하에서 상기 유동 채널 공간측 내로 가압될 때 상기 유동 채널 공간에 연결되는 연결 표면이 형성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연결기에 대해, 하우징의 개방 부분에 부착된 밸브 부재는 본체 부분 및 지지 부분을 갖는다. 또한, 상기 외측 표면 상에, 상기 본체 부분이 외부로부터의 가압력 하에서 상기 유동 채널 공간측 내로 가압될 때 상기 유동 채널 공간에 연결되는 연결 표면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연결 표면이 루어 시린지 부분 또는 다른 가압 부재에 의해 외부로부터 안으로 가압될 때, 가압 부재는 본체 부분과 함께 상기 유동 채널 공간 내로 가압되어, 유동 채널 공간에 연결된다. 가압 부재로부터 공급되는 액체가 이러한 상태에서 투입될 때, 투입되는 액체는 연결 표면으로부터 유동 채널 공간 내로 유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체의 공급이 수행된다.
다른 한편으로, 가압 부재가 연결 표면으로부터 상승되고 가압력이 해제되면, 지지 부분으로부터 받는 탄성력 하에서, 본체 부분은 원래의 상태(유동 채널 공간 내로 가압되지 않는 상태)로 복귀한다. 결과적으로, 유동 채널 공간의 외부로의 연결은 본체 부분에 의해 차단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연결기의 밸브 부재에 대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압력) 하에서, 본체 부분은 유동 채널 공간 내로 가압되고, 본체 부분의 외측 표면은 유동 채널 공간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외부 및 유동 채널 공간이 밸브 부재를 통해 형성된 슬릿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종래 기술의 시스템과 다르다. 결과적으로, 종래 기술에서 필요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을 가질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관통 슬릿의 열화에 기인하는 비사용 시에 (루어 시린지 부분이 삽입되지 않고 액체가 공급되지 않을 때) 밸브 부재가 반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비사용 시에 높은 신뢰성으로 외부로의 연결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고, 얻어지는 연결기는 누출 또는 박테리아 증식의 가능성을 거의 갖지 않는다.
상기 본 발명에서, 지지 부분에 대해, 본체 부분이 가압 부재의 가압력(압력) 하에서 유동 채널 공간 내로 가압될 때, 본체 부분은 본체 부분이 개방 부분측으로부터 아래로 현수된 상태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가압 부재로부터의 가압력(압력)이 제거되면, 지지 부분에 의해 발생되는 탄성력으로 인해, 본체 부분은 원래의 상태를 회복한다. 이러한 기능이 실현될 수 있는 한, 임의의 구성이 지지 부분에 대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이 지지 부분으로서 사용되고 스프링이 본체 부분 상에 고정되는 시스템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본체 부분 및 지지 부분이 고무 부재 등으로서 일체로 형성되는 계획이 채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밸브 부재를 형성하는 작업이 단순해진다.
또한, 지지 부분이 본체 부분의 전체 주연부 둘레에 갭이 없이 부착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는 지지 부분이 본체 부분의 전체 주연부 둘레에서 갭이 없이 부착되면, 본체 부분이 유동 채널 공간 내로 가압될 때, 외측 표면과 유동 채널 공간을 연결할 수 있는 갭이 없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본체 부분이 유동 채널 공간 내로 가압될 때, 외측 측면 부분과 유동 채널 공간을 연결하기 위한 작은 갭이 있도록만 요구된다. 이러한 갭은 슬릿 형상일 수 있거나, 지지 부분이 본체 부분의 주연 방향으로 단지 부분적으로 부착될 때 주연 방향으로 부착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복수의 지지 아암이 본체 부분의 (대칭 위치와 같은) 균형잡힌 부착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양호하고, 복수의 지지 아암은 본체 부분을 현수하기 위한 지지 부분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현수식 밸브 개방/폐쇄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본체 부분이 유동 채널 공간 내로 가압될 때, 다양한 지지 아암들의 갭을 통한 외측 표면 및 본체 부분의 유동 채널 공간으로의 유동이 가능하다.
본체 부분과 관련하여, 이는 외부와 대면하는 외측 표면 및 유동 채널 공간과 대면하는 내측 표면을 가지며, 개방 부분은 액체 밀봉식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만 요구된다. 임의의 형상이 그에 대해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우유병 상의 뚜껑과 유사한 둥근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기능이 표시될 수 있는 한, 이는 채택될 수 있다. 그러나, 개방 부분을 액체 밀봉식으로 차단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개방 부분과의 접촉 영역이 더 큰 것이 양호하다. 예를 들어, 이는 단부 표면으로서 외측 표면 및 내측 표면을 갖는 원통형 고무 플러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형상에서, 그의 주연부는 개방 부분과 넓은 접촉을 이룰 수 있어서, 충분한 액체 밀봉이 보장될 수 있다.
본체 부분의 외측 표면과 관련하여, 이는 외부로부터 유동 채널 공간 내로 인가되는 가압력(압력)에 의해 가압될 때 유동 채널 공간에 연결되는 연결 표면을 갖도록만 요구된다. 이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표면은 평면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전체 표면은 유동 채널 공간 내로 가압되어 유동 채널 공간에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에, 외측 표면 전체는 연결 표면이 된다. 또한, 홈이 판 형상을 갖는 외측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외측 표면이 유동 채널 공간 내로 가압될 때, 홈은 상기 유동 채널 공간에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에, 홈의 표면은 연결 표면이 된다.
전술한 구성 이외에,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본체 부분 상에, 내측 슬릿이 상기 내측 표면으로부터 상기 외측 표면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측 표면으로 개방된다 (절단부가 형성된다).
본체 부분의 외측 표면이 시린지의 루어 시린지 부분에 의해 가압될 때, 가압력은 외부로부터 유동 채널 공간을 향한 방향, 즉 외측 표면으로부터 내측 표면으로의 방향으로의 압력으로서 작용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체 부분이 상기 가압력에 의해 유동 채널 공간측을 향해 가압될 때, 당김력이 본체 부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 부분으로부터 작용하여 본체 부분을 그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당김력은 유동 채널 공간측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즉 내측 표면으로부터 외측 표면으로의 방향으로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본체 부분이 외측 표면으로부터 내측 표면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해 작용을 받는 동안, 이는 또한 반대 방향으로의 상향 당김력에 의해 작용을 받는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힘을 구성하는 한 쌍의 힘이 본체 부분 상에 작용한다.
여기서, 본체 부분의 내측 표면 상에서, 상향 당김력의 작용점이 가압력의 작용점에 대해 외측 주연부 상에 위치될 때, 본체 부분의 내측 표면은 중심 근방(가압력의 작용점 근방)으로부터 외측 주연부 근방(상향 당김력의 작용점)을 향해 당겨진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르면,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내측 표면을 개방할 때, 내측 표면으로부터 외측 표면으로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슬릿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전술한 힘으로 인해, 상기 내측 슬릿이 개방된다. 내측 슬릿의 개방으로 인해, 리세스가 내측 슬릿에 대응하는 본체 부분의 외측 표면 상의 위치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리세스의 부분이 유동 채널 공간에 연결되면, 혼합되어 주입되는 액체는 리세스로부터 유동 채널 공간 내로 고효율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 부분의 외측 표면을 유동 채널 공간 내로 가압함으로서 유동 채널 공간에 대한 연결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한 쌍의 힘이 본체 부분의 내측 표면측을 개방하도록 인가되고, 리세스가 이러한 작동에 수반하여 외측 표면 상에 형성되고, 리세스는 유동 채널 공간에 연결된다. 또한, 루어 시린지 부분이 상기 리세스를 형성하지 않고서 본체 부분의 외측 표면 상에 가압될 때, 루어 시린지 부분의 선단 개방부는 외측 표면 상에 가압되고, 루어 시린지 부분으로부터 약물 용액을 공급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리세스의 형성으로 인해, 갭이 루어 시린지 부분의 선단 개방부와 외측 표면 사이에 형성되어, 약물 용액이 갭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은 특허 출원을 용이하게는 하는 구성으로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힘으로 인해, 힘이 본체 부분의 내측 표면 상에서 중심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내측 표면 상에서, 지지 부분으로부터의 상향 당김력의 작용점은 가압력의 작용점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위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지 부분이 본체 부분에 연결되는 부분 (즉, 상향 당김력이 본체 부분 상에 작용하는 부분)은 가압력이 본체 부분 상에 작용하는 부분(본체 부분이 루어 시린지 부분의 일부에 의한 가압력을 받는 부분)에 대해 외측 주연부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분으로부터의 상향 당김력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방향으로 본체 부분 상에 작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내측 표면 상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로의 당김력은 복수의 방향으로 분산되고, 본체 부분의 내측 표면측은 더욱 신뢰할 수 있게 개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지 부분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상이한 지점에서 본체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더욱 양호하게는, 가압력을 받는 본체 부분의 부분이 중심으로서 취해지고 지지 부분은 본체 부분에 대칭으로 연결되는 계획이 채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가압력이 외측 주연 방향으로 거의 균일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본체 부분의 내측 표면은 편차가 없이 개방될 수 있다.
본체 부분의 내측 표면 상에서, 내측 슬릿이 가압력의 작용점과 지지 부분으로부터의 상향 당김력의 작용점을 연결하는 라인 세그먼트 상에서 또는 상기 라인 세그먼트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는 상기 방향이 내측 표면의 중심으로부터의 외향 당김력의 작용 방향이기 때문이고, 슬릿이 상기 방향으로 개방될 때, 슬릿은 여전히 개방될 수 없다. 결과적으로, 내측 슬릿은 내측 표면 상에서 상기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개방되어야 한다. 내측 슬릿이 가압력의 작용점과 상향 당김력의 작용점을 연결하는 라인 세그먼트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 즉 본체가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될 때의 가압 위치와 지지 부재에 의한 본체의 상향 당김 위치를 연결하는 라인 세그먼트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본체의 내측 표면 상에서 개방되는 것이 가장 양호하다.
또한, 내측 슬릿이 본체 부분의 내측 표면을 양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될 때, 내측 슬릿은 중심으로부터의 외향 당김력에 의해 쉽게 개방될 수 있고, 동시에 내측 슬릿의 개방에 대응하여, 본체 부분의 외측 표면 상에 형성된 리세스는 내측 슬릿을 따른 홈으로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홈형 리세스는 유동 채널로서 작용하고, 공급되는 액체는 홈형 리세스를 따라 유동 채널 공간 내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급되는 액체가 홈형 리세스를 따라 유동하면, 액체는 유출이 없이 외측 표면으로부터 고효율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다음의 계획이 양호하다. 개방부가 상기 외측 표면 상에 형성되는 동안 (절단부가 형성되는 동안), 상기 외측 표면 부분으로부터 내측 표면 부분으로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힘의 쌍에 의해, 본체 부분의 외측 표면 상에서, 힘이 내측면(중심면)에 포개지도록 작용한다. 그러나, 상기 외측 슬릿이 형성되면, 상기 힘은 외측 슬릿을 개방하고, 응력이 완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밸브 부재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고, 동시에 사용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체 부분의 외측 표면 상에서, 외측 슬릿이 가압력의 작용점과 지지 부분으로부터의 상향 당김력의 작용점을 연결하는 라인 세그먼트 상에서 또는 상기 라인 세그먼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상기 방향은 상기 힘(내측면에 포개지는 힘)이 외측 표면 상에 작용하는 방향이고, 슬릿이 이러한 방향을 따라 개방될 때에도, 슬릿은 여전히 개방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외측 슬릿은 내측 표면 상에서 상기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외측 슬릿이 본체의 내측 표면 상에서 가압력의 작용점과 당김력의 작용점을 연결하는 라인 세그먼트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즉 본체가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될 때의 가압 위치와 지지 부재에 의한 본체의 상향 당김 위치를 연결하는 라인 세그먼트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이 가장 양호하다.
이러한 경우에, 내측 슬릿이 형성될 때, 외측 슬릿의 형성 표면 및 내측 슬릿의 형성 표면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외측 슬릿은 지지 부분이 본체 부분 상에 장착되는 부분 근방에 설정될 수 있다. 지지 부분이 본체 부분 상에 장착되는 부분이 응력이 가장 집중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그의 근방에 외측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응력 집중을 효과적으로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될 것이 다.
(실시예 1)
다음에서, 본 발명의 연결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이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질 것이다. 우선, 실시예 1로서, 본 발명의 연결기는 3-방향 밸브로서 사용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된 3-방향 밸브의 평면도이다. 도2는 정면도이고, 도3은 도2에 도시된 것의 좌측면도이다.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3-방향 밸브(100)는 하우징(10), 밸브 몸체(20), 및 유지 부분(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 몸체(20) 및 유지 부분(30)은 일체로 형성되고, 밸브 몸체(20)는 하우징(10) 내에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원통형 부품(15)과, 상기 원통형 부품(15) 상에 장착된 3개의 분지 튜브, 즉 제1 분지 튜브(11), 제2 분지 튜브(12), 및 제3 분지 튜브(13)로 구성된다. 이러한 분지 튜브 내에, 각각의 분지 유동 채널(제1 분지 유동 채널(11a), 제2 분지 유동 채널(12a), 및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이 형성된다. 다양한 분지 유동 채널은 원통형 부품(15)의 내벽 상에서 개방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하우징(10)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재료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 다른 수지 재료는 물론, 폴리카보네이트(PC)를 포함한다.
도4는 도1의 A-A를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5는 도3의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몸체(20)는 하우징(10)의 원통형 부품(15)의 내측 주연부 상에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끼워진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몸체(20)의 외측 주연부 상에, 2개의 홈(21, 22)이 형성된다. 또한, 유지 부분(30)은 밸브 몸체(20)의 일 단부 상에 장착된다. 상기 유지 부분(30)은 3개의 아암 부분을 갖고, 밸브 몸체(20)와 함께 일체로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유지 부분(30)을 회전시킴으로써, 밸브 몸체(20) 또한 원통형 부품(15)의 내측 주연부 상에서 회전된다. 밸브 몸체(20)의 회전에 의해, 밸브 몸체(20)의 외측 주연부 상에 형성된 홈(21, 22)의 설치 상태가 변화된다. 홈(21, 22)의 설치 상태를 다양한 상태 중 하나로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분지 튜브 내에 형성된 분지 유동 채널을 온/오프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밸브 몸체(20) 및 유지 부분(30)은 일체로 형성된다. 재료는 폴리에틸렌(PE)이다. 그러나, 폴리옥시메틸렌(POM) 및 폴리프로필렌(PP) 등과 같은 다른 수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분지 튜브(11)는 원통형 부품(15)의 우측에 연결된다. 상기 제1 분지 유동 채널(11a)의 개방 부분(11b)은 도면에 도시된 우측으로 개방된다. 또한, 제2 분지 튜브(12)는 원통형 부품(15)의 좌측에 연결되고, 제2 분지 유동 채널(12a)의 개방 부분(12b)은 도면에 도시된 좌측으로 개방된다. 또한, 제3 분지 튜브(1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부품(15)의 상부측에 연결되고,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의 제3 분지 유동 채널(13b)은 도면에 도시된 상부측으로 개방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은 본 발명의 유동 채널 공간에 대응하고, 제1 분지 튜브(11) 및 제2 분지 튜 브(12)는 본 발명의 연결 포트에 대응한다.
상기 제1 분지 튜브(11), 제2 분지 튜브(12), 및 제3 분지 튜브(13)는 그들 사이에 약 90°의 간격으로 원통형 부품(15)에 연결된다. 상기 제1 분지 튜브(11) 및 제2 분지 튜브(12)는 원통형 부품(15)이 그들 사이에 개재된 채로 서로 대면하여 설치된다. 또한, 제3 분지 튜브(13)는 원통형 부품(15)의 원주 방향으로, 각각 상기 제1 분지 튜브(11) 및 제2 분지 튜브(12)로부터 90°의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은 제1 분지 유동 채널(11a) 및 제2 분지 유동 채널(12a)에 대해 직교하여 형성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분지 튜브(13)는 원통형 부품(15)의 주연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위치가 원통형 부품(15)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내경이 더 작아지는 테이퍼진 내벽을 갖는 테이퍼 부분(13c)과, 상기 테이퍼 부분(13c)의 선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원통형 부분(13d)으로 구성된다. 상기 테이퍼 부분(13c)은 그의 내부에 형성된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을 갖고, 동시에 그의 외측 표면 상에 형성된 단차부(13e)를 갖는다. 또한, 테이퍼 부분(13c) 내부에 형성된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은 상기 홈(21, 22)에 연결될 수 있어서, 홈(21, 22) 내의 액체가 상기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을 거쳐 유동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3f)이 제3 분지 유동 채널(13a) 내에 설치된다. 이러한 격벽(13f)은 밸브 몸체(20)의 외측 주연부 상에 형성된 2개의 홈(21, 22)들 사이에 형성된 격벽(23)과 동일한 축 방향으로의 일 위치에 형성된 다. 도4에 도시된 상태에서, 이는 홈(21, 22)들 사이에 설치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2개의 홈(21, 22) 내의 액체는 상기 격벽(13f)을 넘어가지 못하고, 서로 직접 유동할 수 없다.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의 개방 부분(13b)은 제3 분지 튜브(13)의 원통형 부분(13d)의 도면에 도시된 상부측 상에서 개방된다. 밸브 부재(40)가 이러한 개방 부분(13d) 상에 장착된다. 상기 밸브 부재(40)는 본체 부품(41), 제2 지지 아암(42a), 및 제2 지지 아암(42b)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고무계 재료로부터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 부분(41)은 개방 부분(13b) 내에 삽입되고, 상기 개방 부분(13d)은 액체 밀봉식으로 차단된다. 상기 본체 부분(41)은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 그의 외측 윤곽은 외부에 대면하는 단부 표면인 외측 표면(41a),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에 대면하는 단부 표면인 내측 표면(41b), 및 외측 표면(41a)과 내측 표면(41b) 사이의 주연 표면인 측면 주연 표면(41c)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의 개방 부분(13b)은 본 발명의 개방 부분에 대응한다.
상기 본체 부분(41)은 제3 분지 튜브(13)의 원통형 부분(13d)의 내벽과 접촉하는 그의 측면 주연 표면(41c)을 갖고, 탄성력에 의해 개방 부분(13d) 내로 끼워진다. 그 다음, 외부로부터 외측 표면(41a)을 가압함으로써, 이를 개방 부분(13b) 내에 장착될 때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측으로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슬릿(41d)이 본체 부분(41)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내측 슬릿(41d)은 내측 표면(41b) 상의 절단부로서 개방되고, 동시에 개방 부분으로부터 외측 표면(41a)을 향해 거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내측 슬릿(41d)은 외측 표면(41a)에 도달하지 않고, 내측 표면(41b)으로부터 외측 표면(41a)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지 않는다.
도6은 본 발명의 밸브 부재(4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슬릿(41d)의 내측 표면(41b) 상의 개방 부분(41d1)이 내측 표면(41b)의 외측 주연부의 모서리로부터 중심(O)을 통해 반대측 상의 모서리로 연장되는 선형 개방 부분(절단부)으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내측 슬릿(41d)에 의해, 내측 표면(41b)이 양분된다. 또한, 본체 부분(41)은 상기 내측 슬릿(41d)에 의해 제1 부분(41h) 및 제2 부분(41i)으로 분할된다. 그러나, 상기 제1 부분(41h) 및 제2 부분(41i)은 서로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다. 이들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부분(41)의 상부에서 공통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아암(42a) 및 제2 지지 아암(42b)은 반경 방향으로 본체 부분(41)의 외측 표면(41a)의 개방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아암들은 각각 외측 표면(41a) 상의 대향 위치에 부착된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아암(42a) 및 제2 지지 아암(42b)은 본체(41)의 대칭면으로서 취해진 평면 상에 형성된 내측 슬릿(41d)을 갖는 평면에서 면 대칭으로 원주 방향으로의 위치에 부착된다. 상기 지지 아암(42a, 42b)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분지 튜브(13)의 원통형 부분(13d)의 상단부를 넘어가고, 원통형 부분(13d) 및 테이퍼 부분(13c)의 외측 벽 측면 둘레에 도달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덮개(51)가 제3 분지 튜브(13)의 테이퍼 부분(13c)의 외측 주연부에 부착된다. 이러한 덮개(51)는 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덮개(51)는 그의 중심에 형성된 둥근 개방부를 갖는다. 이러한 개방부로부터, 제3 분지 튜브(13)의 원통형 부분(13d)이 삽입되고, 제3 분지 튜브(13) 상에 장착된다. 그 다음, 제3 분지 튜브(13)는 테이퍼 부분(13c)의 전체 원주부를 덮도록 부착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51)의 하단부측의 내측 주연부 상에서, 홈(51a)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홈(51a)이 테이퍼 부분(13c)의 하부 외측 주연부 상에서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돌출 스트립(13g)에 맞물리면, 덮개(51)는 테이퍼 부분(13c)에 고정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51b)는 상기 덮개(51)의 내측 주연부 상의 상부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51b)는 테이퍼 부분(13c)의 외측 주연부 상에 형성된 단차부(13e)에 맞물린다. 상기 제1 지지 아암(42a) 및 제2 지지 아암(42b)은 상기 돌출부(51b)가 단차부(13e)에 맞물리는 부분에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제1 지지 아암(42a) 및 제2 지지 아암(42b)은 덮개(51)와 테이퍼 부분(13c) 사이에 유지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기 지지 아암(42a, 42b)에 의해, 본체 부분(41)은 제1 지지 아암(42a) 및 제2 지지 아암(42b)에 의해 현수되어 지지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3-방향 밸브(100)에서, 유지 부분(30)은 제1 분지 유동 채널(11a)이 밸브 몸체(20) 상에 형성된 홈(21)에 연결되고 제2 분지 유동 채널(12a)이 홈(22)에 연결되도록 회전된다. 약물 튜브가 제1 분지 튜브(11) 및 제2 분지 튜브(12)에 부착된다. 약물 용액이 제1 분지 튜브(11)에 연결된 약물 용액 튜브로부터 유동한다. 그 다음 상기 약물 용액은 제1 분지 유동 채널(11a)로부터 밸브 몸체(20)의 홈(21)으로 유동한다. 홈(21) 내의 약물 용액은 격벽(21c)을 넘어 제3 분지 유동 채널(13a) 내로 간다. 그 다음, 약물 용액은 제3 분지 유동 채널(13a) 내의 격벽(13f)을 넘어 홈(22) 내로 간다. 이는 그 다음 홈(22)으로부터 제2 분지 유동 채널(12a) 내로 유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 유동 채널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분지 튜브(13)의 개방 부분(13b)은 밸브 부재(40)의 본체 부분(41)에 의해 액체 밀봉식으로 차단되어, 폐쇄 상태에 있다. 결과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은 주 유동 채널의 유동은 제3 분지 튜브(13)로부터 누출되지 않는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불순물이 제3 분지 튜브(13)의 개방 부분(13b)을 통해 제3 분지 유동 채널(13a) 내로 들어갈 수 없다.
약물 용액이 혼합되어 제3 분지 튜브(13)측으로부터 주 유동 채널 내로 주입될 때, 루어 시린지 부분은 밸브 부재(40)의 본체 부분(41) 내로 삽입되어, 밸브 부재가 개방된다. 도7의 (a) - (c)는 상기 루어 시린지 부분(52)이 제3 분지 튜브(13)의 개방 부분(13b)에 부착된 밸브 부재(40) 내에 장착되고, 약물 용액이 시린지로부터 주 유동 채널 내로 공급되는 작동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8의 (a) - (c)는 도7의 (a) - (c)에 도시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7의 (a) 및 도8의 (a)는 밸브 부재(40) 내로의 루어 시린지 부분(52)의 삽입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7의 (b) 및 도8의 (b)는 루어 시린지 부분(52)이 밸브 부재(40) 내에 삽입되었지만 밸브 부재(40)가 여전히 폐쇄 상태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7의 (c) 및 도8의 (c)는 루어 시린지 부분(52)이 삽입되고 밸브 부재(40)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우선, 도7의 (a) 및 도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되어 주입되는 액체를 충전하기 위한 시린지의 루어 시린지 부분(52)의 선단은 제3 분지 튜브(13)의 개방 부분(13b)에 부착된 밸브 부재(40) 근방으로 이동된다. 그 다음, 도7의 (b) 및 도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어 시린지 부분(52)의 선단 부분은 밸브 부재(40)의 본체 부분(41)의 외측 표면(41a) 상에 가압되고, 그의 외측 표면(41a)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 상에 위치된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측으로 가압된다. 결과적으로, 루어 시린지 부분(52)의 가압력으로 인해, 본체 부분(4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가압되고, 동시에 제1 지지 아암(42a) 및 제2 지지 아암(42b)은 당겨져서 신장된다.
제1 지지 아암(42a) 및 제2 지지 아암(42b)이 당겨져서 신장되면, 상기 지지 아암(42a, 42b)으로부터의 탄성력이 본체 부분(41) 상에 작용하고, 지지 아암(42a, 42b)들은 본체 부분(41)을 위로 당기기 위한 힘(상향 당김력)을 발생시켜서, 본체 부분(41)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도9는 루어 시린지 부분(52)으로부터의 가압력과 제1 지지 아암(42a) 및 제2 지지 아암(42b)으로부터의 상향 당김력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어 시린지 부분(52)의 선단 개방 부분에 의해 밸브 부재(40)의 본체 부분(41) 상에 작용하는 가압력(Fa)은 본체 부분(41)을 제2 분지 유동 채널(13a)측 상에서 가압 방향(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향 방향)으로 작동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제1 지지 아암(42a)에 의해 본체 부분(41) 상에 인가되는 상향 당김력(Fb1)은 본체 부분(41)을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측으로부터 외부로 위로 당기는 방향(도면에 도시된 상향 방향)으로 작용한다. 유사하게, 제2 지지 아암(42b)에 의해 본체 부분(41) 상에 인가되는 상향 당김력(Fb2) 또한 본체 부분(41)을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측으로부터 외부로 위로 당기는 방향(도면에 도시된 상향 방향)으로 작용한다. 가압력(Fa) 및 상향 당김력(Fb1, Fb2)이 반대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서 작용하기 때문에, 한 쌍의 힘이 본체 부분(41) 상에 작용한다.
한 쌍의 힘은 각각 가압력(Fa)과 상향 당김력(Fb1) 사이 그리고 가압력(Fa)과 상향 당김력(Fb2) 사이에서 작용한다. 또한, 상향 당김력(Fb1, Fb2)의 작용선은 가압력(Fa)의 작용선에 대해 본체 부분(41)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본체 부분(41)에 대해, 그의 중심 부분 근방의 부분은 제3 분지 유동 경로(13a)측으로 가압되고, 그의 외측 주연 모서리 근방의 부분은 지지 아암(42a, 42b)에 의해 위로 당겨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 부분(41)의 외측 표면(41a)측은 그를 내측으로 구부리는 힘에 의해 작용을 받고, 본체 부분(41)의 내측 표면(41b)측은 도면의 화살표(Fg1, Fg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그를 중심으로부터 외측 주연부를 향해 당기는 힘에 의해 작용을 받는다.
또한, 내측 슬릿(41d)이 본체 부분(41) 상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슬릿(41d)은 내측 표면(41b)을 양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측 슬릿(41d)이 형성된 평면은 제1 지지 아암(42a)이 본체 부분(41)에 부착되는 부분과 제2 지지 아암(42b)이 본 체 부분(41)에 부착되는 부분 사이의 대칭면이 되고, 내측 슬릿(41d)에 의해 분할된 제1 부분(41h) 및 제2 부분(41i)과 관련하여, 상기 제1 부분(41h)은 외측 표면(41a)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 부분(41i)은 제2 지지 아암(42b)에 의해 지지된다. 결과적으로, 화살표(Fg1)에 의해 표시된 힘은 주로 제1 부분(41h) 상에 작용하고, 화살표(Fg2)에 의해 표시된 힘은 주로 제2 부분(41i) 상에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도7의 (c), 도8의 (c),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슬릿(41d)이 개방되고, 상기 내측 슬릿(41d)에 의해 분할된 상기 제1 부분(41h) 및 제2 부분(41i)은 도면에 도시된 하부에서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구성에서, 내측 슬릿(41d)이 개방될 때, 도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측 슬릿(41d)의 뿌리 부분(41e)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가압된다. 그 다음, 그가 당겨져서 벌어지면, 본체 부분(41)의 외측 표면(41a)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가압되어, 리세스(S)가 중심 근방에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S)는 외측 표면(41a)의 외측 주연부의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반대측 상의 모서리 부분으로의 홈으로서 내측 슬릿(41d)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S)는 루어 시린지 부분(52)의 선단 개방 부분과 본체 부분(41)의 외측 표면 사이에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루어 시린지 부분(52)이 본체 부분(41)의 외측 표면(41a)을 테이퍼 부분(13c)의 상단부(원통형 부분(13d)에 연결된 부분)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가압할 때, 상기 리세스(S)는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의 내부에 연결된다. 그 다음, 약물 용액은 루어 시린지 부분(52)으로부터 상기 홈형 리세스(S)로 공급되고, 그 다음 리세스(S)로부터 제3 분지 유동 채널(13a)로 유동한다. 이러한 방 식으로, 혼합 주입은 제3 분지 유동 채널(13a)로부터 수행된다. 여기서, 리세스(S)가 형성된 외측 표면(41a)의 부분은 본 발명의 연결 표면에 대응한다.
루어 시린지 부분(52)이 리세스(S)가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에 연결된 상태로부터 당겨질 때, 루어 시린지 부분(52)으로부터의 가압력(Fa)이 제거된다. 결과적으로, 힘(Fg1, Fg2)도 작용하지 않고, 내측 슬릿(41d)은 폐쇄된다. 동시에, 상향 당김력(Fb1, Fb2)만이 지지 아암(42a, 42b)으로부터 본체 부분(41) 상에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본체 부분(41)은 상기 지지 아암(42a, 42b)에 의해 위로 당겨지고, 도7의 (a) 및 도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기본 위치로 복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 부분(41)의 외측 표면(41a)은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에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제3 분지 튜브(13)의 개방 부분(13b)이 액체 밀봉식으로 차단되기 때문에, 본체 부분(41)에 대해, 제3 분지 유동 채널(13a)과 외부 사이의 연결이 차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3-방향 밸브(100)는 본 실시예에서 다음의 구성을 갖는다. 하우징(10)을 형성하는 제3 분지 튜브(13)의 개방 부분(13b)에 부착된 밸브 부재(40)는 본체 부분(41)과, 지지 부분으로서 제1 지지 아암(42a) 및 제2 지지 아암(42b)을 갖고, 본체 부분(41)이 루어 시린지 부분에 의해 제3 분지 유동 채널(13a) 내로 가압될 때, 본체 부분(41)의 외측 표면(41a)은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에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본체 부분(41)의 외측 표면(41a)을 루어 시린지 부분에 의해 외부로부터 가압함으로써, 본체 부분(41)과 함께, 루어 시린지 부분은 제3 분지 유동 채널(13a) 내로 가압되고,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에 연결된다. 공급되는 액체가 이러한 상태에서 루어 시린지 부분으로부터 투입될 때, 투입된 유체는 외측 표면(41a)으로부터 제3 분지 유동 채널(13a)로 유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체의 공급이 수행된다.
또한, 루어 시린지 부분이 본체 부분(41)의 외측 표면(41a)으로부터 상승되어 가압력이 해제될 때, 본체 부분(41)은 제1 지지 아암(42a) 및 제2 지지 아암(42b)에 의해 인가되는 상향 당김력(탄성력) 하에서 원래의 상태(제3 분지 유동 채널(13a) 내로 가압되지 않은 상태)를 회복한다. 원래의 상태에서, 본체 부분(41)은 액체 밀봉식으로 차단된 제3 분지 튜브(13)의 개방 부분(13b)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의 외부로의 연결이 차단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실시예의 3-방향 밸브(100)에 대해, 본체 부분(41)이 외부로부터의 가압력(압력)에 의해 유동 채널 공간 내로 가압되면, 본체 부분(41)의 외측 표면(41a) 자체가 유동 채널 공간에 연결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밸브 부재를 통해 형성된 슬릿을 통해 외부와 유동 채널 공간 사이에서 연결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시스템과 다르다. 결과적으로, 종래 기술에서 필요한 바와 같이 밸브 부재 상에 형성된 관통 슬릿을 가질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3-방향 밸브에 대해, 슬릿의 열화로 인한 밸브 부재의 반개방 상태를 방지하고, 비사용 시에 높은 신뢰성으로 외부에 대한 연결의 차단을 보장하고, 누출 또는 박테리아 증식의 가능성을 거의 갖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밸브 부재(40)에 대해, 본체 부분(41) 및 지지 부품(제1 지지 아암(42a) 및 제2 지지 아암(42b))은 고무 재료로부터 일체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밸브 부재(40)가 쉽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밸브 부재(40)의 본체 부분(41)은 단부 표면으로서 외측 표면(41a) 및 내측 표면(41b)을 갖는 원통형 고무 밸브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형상에서, 상기 주연 표면(41c)은 제3 분지 튜브(13)의 개방 부분(13b)에 연결된 원통형 부분(13d)의 넓은 범위에서 내측 주연 표면과 접촉을 이룰 수 있고,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의 충분한 액체 밀봉성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 부분(41)에 대해, 내측 표면(41b) 상에서 개방된 개방 부분(41d)이 있지만, 내측 표면(41b)으로부터 외측 표면(41a)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슬릿(41d)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 슬릿(41d)은 루어 시린지 부분의 가압력과 제1 지지 아암(42a) 및 제2 지지 아암(42b)으로부터의 상향 당김력으로 구성된 한 쌍의 힘에 의해 개방된다. 상기 내측 슬릿(41d)의 개방으로 인해, 리세스(S)가 내측 슬릿(41d)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외측 표면(41a) 상에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S)가 루어 시린지 부분의 선단과 외측 표면(41a) 사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루어 시린지 부분으로부터 혼합되어 주입되는 액체는 높은 신뢰성으로 리세스(S)로부터 제3 분지 유동 채널(13a)로 유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지지 아암(42a) 및 제2 지지 아암(42b)은 본체 부분(41)에 대해 대칭으로 부착된다. 결과적으로, 2개의 지지 부분에 의해 발생되는 상향 당김력은 본체 부분(41) 상에 균일하게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양호한 균형이 가압력과 상향 당김력 사이에서 실현된다. 따라서, 본체 부분이 상기 균형을 잃음으로써 가압될 때 기울어지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내측 슬릿(41d)이 본체 부분(41)의 내측 표면(41b)을 양분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될 때, 내측 슬릿(41d)은 한 쌍의 힘에 의해 개방된다. 또한, 내측 슬릿(41d)이 개방될 때, 외측 표면(41a) 상에 형성된 리세스(S)는 내측 슬릿(41d)의 내측 표면(41b) 상의 개방 부분(41d1)을 따른 홈이 된다. 결과적으로, 홈형 리세스의 일부가 유동 채널로서 작용하고, 공급되는 액체는 홈형 리세스를 따라 제3 분지 유동 채널(13a)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급되는 액체가 홈형 리세스를 따라 유동하기 때문에, 액체가 외측 표면으로부터 유출되지 않고, 액체는 훨씬 더 높은 효율로 공급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대한 설명이 주어질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외측 표면이 밸브 부재의 본체 부분 상에 설치되는 특징을 갖는다. 다른 특징은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위에서 채택된 것과 동일한 도면 부호가 채택될 것이고, 다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특징에 대해서만 설명이 주어질 것이다.
도10은 이러한 실시예의 3-방향 밸브의 평면도이다. 도11은 측표면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11은 실시예 1의 도4에 대응한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3-방향 밸브(200)에 대해, 밸브 부재(40)의 본체 부분(41) 상에, 제1 외측 슬릿(41f) 및 제2 외측 슬릿(41g)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외측 슬릿(41f)에 대해, 본체 부분(41)의 외측 표면(41a) 중에, 제1 지지 아암(42a)이 부착된 곳 근방에서 개방된 개방 부분(41f1)이 있고, 이는 상기 개방 부분(41f1)으로 부터 내측 표면(41b)측을 향해 현수되어 형성된다. 제2 외측 슬릿(41g)에 대해, 외측 표면(41a) 중에서, 제2 지지 아암(42b)이 장착된 곳 근방에서 개방된 개방 부분(41g1)이 있고, 이는 상기 개방 부분(41g1)으로부터 내측 표면(41b)측을 향해 현수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외측 슬릿(41f) 및 제2 외측 슬릿(41g)은 내측 표면(41b)에 도달하지 않고, 외측 표면(41a)으로부터 내측 표면(41b)에 도달하도록 관통하여 형성되지 않는다.
도1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 부분(41)의 외측 표면 상에 형성된 제1 외측 슬릿(41f)의 개방 부분(41f1) 및 제2 외측 슬릿(41g)의 개방 부분(41g1)은 외측 표면(41a) 상에서 하나의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다른 모서리 부분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외측 표면(41a)을 분할한다. 결과적으로, 본체 부분(41)의 외측 표면(41a)은 제1 외측 슬릿(41f)의 개방 부분(41f1) 및 제2 외측 슬릿(41g)의 개방 부분(41g1)에 의해 3개의 부분으로 분할된다. 또한, 개방 부분(41f1) 및 개방 부분(41g1)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측 슬릿(41f) 및 제2 외측 슬릿(41g)은 본체 부분(41)의 내측 표면(41b) 상으로 개방된 내측 슬릿(41d)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외측 슬릿(41f) 및 제2 외측 슬릿(41g)은 대칭면으로서 내측 슬릿(41d)이 형성된 평면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본체 부분(41)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외측 슬릿(41f) 및 제2 외측 슬릿(41g)의 구성 이외의 특징은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가 채택되고, 다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다음에서, 약물 용액이 혼합되어 제3 분지 튜브(13)로부터 주입되는 경우에서의 상기 구성을 갖는 3-방향 밸브(200)에 관한 설명이 주어질 것이다. 도12의 (a) - (c)는 시린지의 루어 시린지 부분(52)이 제3 분지 튜브(13)의 개방 부분(13b) 상에 장착된 밸브 부재(40)에 부착될 때의 시린지로부터의 약물 용액의 공급의 작동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13의 (a) - (c)는 도11의 (a) - (c)에 도시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2의 (a) 및 도13의 (a)는 밸브 부재(40) 내로의 루어 시린지 부분(52)의 삽입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12의 (b) 및 도13의 (b)는 루어 시린지 부분(52)이 밸브 부재(40) 내에 삽입되었지만 밸브 부재(40)가 여전히 폐쇄 상태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12의 (c) 및 도13의 (c)는 루어 시린지 부분(52)이 밸브 부재(40) 내로 삽입되고 밸브 부재(40)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우선, 도12의 (a) 및 도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되어 주입되는 액체로 충전된 시린지의 루어 시린지 부분(52)의 선단은 제3 분지 튜브(13)의 개방 부분(13b)에 부착된 밸브 부재(40) 근방으로 이동된다. 그 다음, 도12의 (b) 및 도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어 시린지 부분(52)의 선단 부분은 밸브 부재(40)의 본체 부분(41)의 외측 표면(41a) 상에 가압되고, 상기 외측 표면(41a)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 상에 위치된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측으로 가압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밸브 부재(40)의 본체 부분(41), 제1 지지 아암(42a), 및 제2 지지 아암(42b)은 고무계 물질로부터 일체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루어 시린지 부분(52)의 가압력으로 인해, 본체 부분(41)이 도면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아래로 가압되는 동안, 제1 지지 아암(42a) 및 제2 지지 아암(42b)은 당겨져서 신장된다.
제1 지지 아암(42a) 및 제2 지지 아암(42b)이 당겨져서 신장될 때, 상기 지지 아암(42a, 42b)으로부터의 탄성력이 본체 부분(41) 및 지지 아암(42a, 42b) 상에 작용하여, 본체 부분(41)을 위로 당겨서 본체 부분(41)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기 위한 힘(상향 당김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경우에,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가압력 및 상향 당김력의 한 쌍의 힘이 본체 부분(41) 상에 작용한다. 한 쌍의 힘으로 인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슬릿(41d)이 개방되고, 내측 슬릿(41d)에 의해 분할된 제1 부분(41h) 및 제2 부분(41i)이 도면에 도시된 하부에서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내측 슬릿(41d)이 개방되면, 내측 슬릿(41d)의 뿌리 부분(41e)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가압된다. 결과적으로, 본체 부분(41)의 외측 표면(41a)도 아래로 당겨지고, 도12의 (c) 및 도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S)가 중심 근방에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S)는 내측 슬릿(41d)을 따라 외측 표면(41a)의 모서리로의 홈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세스(S)는 루어 시린지 부분(52)의 선단 개방 부분과 본체 부분(41)의 외측 표면 사이에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루어 시린지 부분(52)이 본체 부분(41)의 외측 표면(41a)을 테이퍼 부분(13c)의 상단부(원통형 부분(13d)에 연결된 부분)와 동일한 높이로 가압하도록 사용되면, 리세스(S)는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의 내부에 연결된다. 그 다음, 약물 용액은 루어 시린지 부분(52)으로부터 상기 홈형 리세스(S)로 공급되고, 그 다음 리세스(S)로부 터 제3 분지 유동 채널(13a)로 유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혼합 및 주입은 제3 분지 유동 채널(13a)로부터 수행된다. 여기서, 리세스(S)가 형성된 외측 표면(41a)의 부분은 본 발명의 연결 표면에 대응한다.
도14는 루어 시린지 부분(52)으로부터의 가압력과 제1 지지 아암(42a) 및 제2 지지 아암(42b)에 의해 인가되는 상향 당김력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어 시린지 부분(52)의 선단 개방 부분에 의해 밸브 부재(40)의 본체 부분(41) 상에 인가되는 가압력은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측으로의 본체 부분(41)의 가압 방향(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향 방향)으로 작용한다. 다른 한편으로, 제3 분지 유동 채널(13a)로부터 외부로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향 방향으로의) 제1 지지 아암(42a)에 의해 본체 부분(41) 상에 인가되는 상향 당김력(Fb1)은 본체 부분(41) 상에서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측으로부터 외부로의 상향 당김 방향으로 작용한다. 유사하게, 제2 지지 아암(42b)에 의해 본체 부분(41) 상에 인가되는 상향 당김력(Fb2)은 본체 부분(41) 상에서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측으로부터 외부를 향한 상향 당김 방향(도면에 도시된 상향 방향)으로 작용한다. 가압력(Fa) 및 상향 당김력(Fb1, Fb2)이 상이한 위치 상에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한 쌍이 힘이 본체 부분(41) 상에 작용한다.
상기 실시예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본체 부분(41) 상에 작용하는 한 쌍의 힘으로 인해, 본체 부분(41)에 대해, 중심 부분 근방의 부분은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측으로 가압되고, 외측 주연 모서리 근방의 부분은 지지 아암(42a, 42b)에 의해 위로 당겨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면의 화살표(Fg1, Fg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본체 부분(41)의 내측 표면(41b)측은 중심으로부터 외측 주연부를 향해 작용하는 힘에 의해 당겨진다. 결과적으로, 내측 슬릿(41d)이 개방되고, 내측 슬릿(41d)에 의해 분할된 제1 부분(41h) 및 제2 부분(41i)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서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다른 한편으로, 본체 부분(41)의 외측 표면(41a)측 상에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Fg1', Fg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힘은 그를 내측으로 구부리도록 작용한다. 이러한 경우에, 도면에 도시된 제1 지지 아암(42a) 및 제2 지지 아암(42b)이 본체 부분(41)의 외측 표면(41a)의 모서리 부분에 부착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 아암의 기부 단부 근방의 부분에 대해, 힘이 화살표(Fg1', Fg2')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작용하여, 응력이 인가된다.
이점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 제1 외측 슬릿(41f)은 제1 지지 아암(42a)이부착된 부분 근방에 형성되고, 제2 외측 슬릿(41g)은 제2 지지 아암(42b)이 부착된 부분 근방에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슬릿(42f, 42g)을 개방함으로써, 힘이 이러한 부분 상에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그들 근방에서의 응력의 집중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본체 부분(41)의 외측 표면(41a) 상에 작용하는 응력의 집중은 완화될 수 있고, 밸브 부재의 신뢰성이 상승하고, 이는 밸브 부재의 사용 수명의 증가에 기여한다.
루어 시린지 부분(52)이 도12의 (c), 도13의 (c) 및 도14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당겨질 때, 루어 시린지 부분(52)으로부터의 가압력(Fa)이 제거된다. 결과적으로, 힘(Fg1, Fg2, Fg1', Fg2')이 작용하지 않고, 내측 슬릿(41d), 제1 외측 슬 릿(41f), 및 제2 외측 슬릿(41g)이 폐쇄된다. 동시에, 제1 지지 아암(42a) 및 제2 지지 아암(42b)으로부터의 상향 당김력(Fb1, Fb2)만이 본체 부분(41) 상에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본체 부분(41)은 제1 지지 아암(42a) 및 제2 지지 아암(42b)에 의해 위로 당겨지고, 도12의 (a) 및 도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원래의 상태로 회복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 부분(41)의 외측 표면(41a)은 제3 분지 유동 채널(13a)에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본체 부분(41)이 제3 분지 튜브(13)의 개방 부분(13b)에 액체 밀봉식으로 부착되기 때문에, 제3 분지 유동 채널(13a)과 외부 사이의 연결이 차단된다.
(실시예 3)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대한 설명이 주어질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연결기는 3-방향 밸브가 아니고, 유동 채널 중간으로부터 액체를 혼합하여 주입하기 위한 혼합 주입기가 채택된다. 이러한 특징을 제외하고는, 다른 특징은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다.
도15의 (a)는 본 실시예의 혼합 주입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15의 (b)는 그의 평면도이고, 도15의 (c)는 그의 측면도이다. 도16의 (a)는 도15의 (b)의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16의 (b)는 도15의 (a)의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16의 (c)는 도15의 (b)의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혼합 주입기(300)는 하우징(310)을 갖는다. 이러한 하우징(310)은 제1 분지 튜브(311), 제2 분지 튜브(312), 제3 분지 튜브(313), 및 중심 병합 부분(315)을 갖는다. 다양한 분지 튜 브들이 중심 병합 부분(315)에서 연결된다. 상기 분지 튜브 내에, 각각의 분지 유동 채널이 형성된다 (제1 분지 유동 채널(311a), 제2 분지 유동 채널(312a), 및 제3 분지 유동 채널(313a)). 또한, 도16의 (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심 병합 부분(315) 내에, 격벽(315a)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315a)에 의해, 격벽(315)의 내측 공간은 제1 연결 공간(315b) 및 제2 연결 공간(315c)으로 분할된다. 여기서, 제1 연결 공간(315b) 및 제2 연결 공간(315c)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315a)의 상부에 위치된 제3 분지 유동 채널(313a)을 거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 공간(315b)은 제1 분지 유동 채널(311a)에 연결되고, 제2 연결 공간(315c)은 제2 분지 유동 채널(312a)에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제1 분지 유동 채널(311a)은 제1 연결 공간(315b) 및 제2 연결 공간(315c)을 거쳐 제2 분지 유동 채널(312a)에 연결된다.
도15의 (a) 및 도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지 튜브(311), 제2 분지 튜브(312), 및 제3 분지 튜브(313)는 약 90°의 간격으로 중심 병합 부품(315)에 연결된다. 상기 제1 분지 튜브(311) 및 제2 분지 튜브(312)는 서로 대면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3 분지 튜브(311)는 각각 제1 분지 튜브(311) 및 제2 분지 튜브(312)로부터 90°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도1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분지 튜브(313)는 테이퍼진 내벽을 갖는 테이퍼 부분(313c)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 부분(313c)의 선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 원통형 부분(313d)으로 구성된다. 그 다음, 개방 부분(313b)이 원통형 부분(313d)의 선단에 형성된다. 상기 테이퍼 부분(313c)은 그의 내부에 형성된 제3 분지 유동 채널(313a)을 갖는다. 상기 제3 분지 유동 채널(313a)은 하부에 위치된 중심 병합 부품(315) 내의 제1 연결 공간(315b) 및 제2 연결 공간(315c)에 연결된다. 또한, 구성의 다른 특징, 특히 밸브 부재(40)의 특징은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고, 동일한 도면 부호가 여기서 채택된다. 이는 다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혼합 주입기(300)에서, 약물 용액은 제1 분지 튜브(311)에 연결된 약물 용액 튜브로부터 유동한다. 그 다음, 약물 용액은 제1 분지 유동 채널(311a)로부터 중심 병합 부품(315)의 제1 연결 공간(315b)으로 유동한다. 제1 연결 공간(315b) 내의 약물 용액은 격벽(315a)을 넘어 제3 분지 유동 채널(313a)로 간다. 그 다음, 약물 용액은 제3 분지 유동 채널(313a)의 내부로부터 유동하여, 격벽(315a)이 사이에 개재되어 제1 연결 공간(315b)의 대향측 상에 형성된 제2 연결 공간(315c)으로 진입한다. 그 다음, 이는 제2 연결 공간(315c)으로부터 제2 분지 유동 채널(312a)로 유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 유동 채널의 유동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1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분지 튜브(313)의 개방 부분(313b)은 밸브 부재(40)의 본체 부분(41)에 의해 액체 밀봉식으로 차단된다. 결과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주 유동 채널의 유동에 대해, 제3 분지 튜브(313)로부터의 누출이 없다. 또한, 불순물이 외부로부터 제3 분지 튜브(313)의 개방 부분(313b)을 거쳐 제3 분지 유동 채널(313a)로 진입할 수 없다.
약물 용액이 혼합되어 제3 분지 튜브(313)측으로부터 주입되어야 할 때, 시린지의 루어 시린지 부분이 밸브 부재(40)의 본체 부분(41) 내로 삽입된다. 그 다음, 루어 시린지 부분이 밸브 부재(40)의 본체 부분(41)을 제3 분지 유동 채널(313a) 내로 가압하도록 사용되면, 밸브 부재(40)가 개방된다. 밸브 부재(40)의 개방 및 본체 부분(41)의 외측 표면(41a)의 제3 분지 유동 채널(313a)로의 연결에 관한 작동의 원리는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고, 이는 다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은 또한 혼합 주입기에서 채용될 수 있다.
(실시예 4)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설명이 주어질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연결기가 유동 채널의 단부에 부착되고, 유동 채널이 평시에 폐쇄되고 튜브 또는 시린지의 루어 시린지 부분이 부착될 때 개방되어 연결기로서 사용될 수 있는 사실을 특징으로 한다. 나머지 특징은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다.
도17의 (a)는 본 실시예의 연결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17의 (b)는 그의 측면도이고, 도17의 (c)는 그의 평면도이다. 도18의 (a)는 도17의 (b)의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18의 (b)는 도17의 (a)의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결기(400)는 하우징(410)을 갖는다. 이러한 하우징(410)은 연결 튜브 부분(411), 연결 튜브 덮개 부분(412), 및 연결 튜브 부분(4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 튜브 부분(411)은 연결 튜브 채널(411a)이 내부에 형성된 세장형 원통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연결 튜브 부분(411)은 튜브 또는 다른 튜브형 부품 에 연결된다. 또한, 연결 튜브 덮개 부분(412)은 연결 튜브 부분(411)의 외측 주연부를 덮도록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내부 나사(412a)가 연결 튜브 덮개 부분(412)의 내벽 상에 형성된다. 상기 내부 나사(412a)는 연결 튜브 부분(411)에 연결된 튜브에 조여서, 튜브를 고정시킨다. 연결 튜브 부분(413)은 연결 튜브 부분(411)의 기부 단부에 연결되고, 그의 내부에 형성된 연결 공간(413a)을 갖는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공간(413a)은 연결 튜브 부분(411) 내부의 연결 유동 채널(411a)에 연결된다. 여기서, 연결 공간(413a)은 본 발명의 유동 공간에 대응한다.
도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튜브 부분(413)은 테이퍼진 내벽을 갖는 테이퍼 부분(413c)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 부분(413c)의 선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원통형 형상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부분(413d)으로 구성된다. 그 다음, 개방 부분(413b)이 원통형 부분(413d)의 선단 상에 형성된다. 상기 테이퍼 부분(413c)은 그의 내부에 형성된 연결 공간(413a)을 갖는다. 상기 연결 공간(413a)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된 연결 유동 채널(411a)에 연결된다.
연결 튜브 부분(413)의 외측 주연부 상에,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덮개(451)가 부착된다. 상기 덮개(451)는 돔 형상으로 형성된 돔 부분(451a)과, 상기 돔 부분(451a)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융기된 외측 나사 부분(451b)으로 구성된다. 또한, 외측 나사 부분(451b)의 상단부는 개방되고, 상기 개방 부분으로부터, 연결 튜브 부분(413)의 원통형 부분(413d)이 삽입되고, 덮개(451)는 연결 튜브 부분(413) 상에 장착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덮개(451)의 하단부 상의 내측 주연부 상에, 홈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홈이 테이퍼 부분(413c)에 맞물리면, 덮개(451)는 연결 튜브 부분(413) 상에 고정된다. 또한, 외부 나사가 외측 나사 부분(451b)의 외벽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외부 나사는 로킹을 위해 시린지의 루어 시린지 부분 등을 조이기 위한 것이다. 구성, 특히 밸브 부재(40)의 구성의 나머지 특징은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고, 동일한 도면 부호가 채택되고, 다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연결기(400)에 대해, 우선, 튜브 또는 다른 튜브형 부품이 연결 튜브 부분(411)에 연결되고, 튜브는 연결 튜브 덮개 부분(412)의 내부 나사에 의해 조여서 고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시린지가 밸브 부재(40)에 부착되지 않았을 때, 도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튜브 부분(413)의 개방 부분(413b)은 밸브 부재(40)의 본체 부분(41)에 의해 액체 밀봉식으로 차단되어, 폐쇄 상태에 있다. 결과적으로, 연결 튜브 부분(411)에 부착된 튜브는 밸브 부재(40)에 의해 차단된다. 결과적으로, 액체가 튜브 내에서 유동할 때에도, 액체는 누출되지 않는다. 또한, 불순물이 외부로부터 연결 튜브 부분(413)의 개방 부분(413b)을 거쳐 연결 공간(413a) 내로 진입할 수 없다.
약물 용액이 연결 튜브 부분(413)측으로부터 공급되지 않을 때, 시린지의 루어 시린지 부분은 밸브 부재(40)의 본체 부분(41) 내로 삽입되고, 외측 나사 부분은 조여서 루어 시린지 부분에 고정되도록 사용된다. 그 다음, 루어 시린지 부분은 본체 부분(41)을 연결 공간(413a) 내로 가압하도록 사용되어, 밸브 부재(40)가 개방된다. 여기서, 밸브 부재(40)의 개방 및 제3 분지 유동 채널(313a)에 대한 본 체 부분(41)의 외측 표면(41a)의 연결의 작동의 원리는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고, 다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연결기에서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3-방향 밸브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밸브 부재(40)의 원리는 실시예 3 및 4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그러나 특히 루어 연결기에 대해 필수적이지 않는 다른 형태의 연결기로 일반적으로 확장될 수 있는 것이 실현될 것이다. 암형 루어 연결기 상의 밸브 부재(40)와 같은 폐쇄체의 배치는 수형 연결기가 암형 연결기 내로 도입될 때 자동으로 개방되는 자가 밀봉식 폐쇄체를 제공한다.
지시된 바와 같이, 밸브 부재(40)는 고무계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천연 또는 합성 고무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밸브 부재는 하나 이상의 재료로부터 제조되는, 복합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아암은 더욱 탄력적인 중합체로 제조될 수 있고, 내부 부분은 더욱 탄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로의 연결이 비사용 시에 신뢰할 수 있게 차단되고 누출 또는 박테리아 증식이 거의 발생할 수 없는 밸브 부재를 갖는 유형의 연결기 폐쇄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3)

  1. 삭제
  2. 외부로 개방된 개방 부분 및 튜브에 연결된 연결 포트를 가지며, 내부에 형성된 상기 연결 포트를 통해 액체의 유동을 허용하는 유동 채널 공간을 갖는 하우징을 갖는 연결기(13)를 위한 폐쇄체(40)에 있어서,
    상기 개방 부분에 부착되어, 밸브 부재의 개방 후에 외부로부터의 액체가 상기 유동 채널 공간 내로 유동하도록 허용하는 밸브 부재(40)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개방 부분을 액체 밀봉식으로 밀봉하며 외부로부터의 가압력 하에서 상기 유동 채널 공간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본체 부분(41)과, 상기 본체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에 맞물리고, 상기 본체 부분이 외부로부터의 가압력 하에서 상기 유동 채널 공간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본체 부분 상에 작용하는 탄성력을 갖는 지지 부분을 갖고,
    상기 본체 부분은 외부와 대면하는 외측 표면(41a)과, 상기 유동 채널 공간과 대면하는 내측 표면(41b)을 갖고, 상기 개방 부분은 액체 밀봉식으로 차단되고,
    상기 외측 표면 상에, 상기 본체 부분이 외부로부터의 가압력 하에서 상기 유동 채널 공간측 내로 가압될 때 상기 유동 채널 공간에 연결되는 연결 표면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부분 내에, 내측 슬릿(41d)이 상기 내측 표면으로부터 상기 외측 표면을 향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기용 폐쇄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슬릿(41d)은 상기 내측 표면을 양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기용 폐쇄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분 내에, 외측 슬릿(41f)이 상기 외측 표면으로부터 상기 내측 표면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기용 폐쇄체.
  5. 제2항에 있어서, 폐쇄체는 루어 연결기의 일부인 연결기용 폐쇄체.
  6. 제5항에 있어서, 폐쇄체는 밸브 유닛(100, 200)에 부착되는 연결기용 폐쇄체.
  7. 제6항에 있어서, 밸브 유닛은 3-방향 밸브 유닛인 연결기용 폐쇄체.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060120390A 2005-12-02 2006-12-01 연결기 및 연결기용 폐쇄체 KR1008551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48737 2005-12-02
JP2005348737 2005-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344A KR20070058344A (ko) 2007-06-08
KR100855159B1 true KR100855159B1 (ko) 2008-08-29

Family

ID=37776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390A KR100855159B1 (ko) 2005-12-02 2006-12-01 연결기 및 연결기용 폐쇄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581561B2 (ko)
EP (1) EP1792639B1 (ko)
KR (1) KR100855159B1 (ko)
CN (1) CN100586504C (ko)
AT (1) ATE457185T1 (ko)
AU (1) AU2006241288B2 (ko)
CA (1) CA2567868C (ko)
DE (1) DE602006012155D1 (ko)
IL (1) IL179259A0 (ko)
MX (1) MXPA06013911A (ko)
TW (1) TWI3279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5817B1 (en) 2000-07-11 2004-02-24 Icu Medical, Inc. Medical valve with positive flow characteristics
CA2586115C (en) 2004-11-05 2013-04-23 Icu Medical, Inc. Medical connector for having high flow rate characteristics
JP4820703B2 (ja) * 2006-04-28 2011-11-24 日本シャーウッド株式会社 液体混注具
US8105314B2 (en) 2006-10-25 2012-01-31 Icu Medical, Inc. Medical connector
US8454579B2 (en) 2009-03-25 2013-06-04 Icu Medical, Inc. Medical connector with automatic valves and volume regulator
US8151885B2 (en) * 2009-04-20 2012-04-10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Erosion resistant flow connector
US7955317B2 (en) * 2009-06-30 2011-06-07 Tyco Healthcare Group Lp Female adaptor for feeding line
KR100946693B1 (ko) * 2009-08-17 2010-03-12 주식회사 메디파마플랜 인퓨젼 포트
USD644731S1 (en) 2010-03-23 2011-09-06 Icu Medical, Inc. Medical connector
EP2377607B1 (en) * 2010-04-19 2018-05-30 Corning Incorporated Fluid connectors for microreactor modules
US8758306B2 (en) 2010-05-17 2014-06-24 Icu Medical, Inc. Medical connectors and methods of use
EP2762194B1 (en) * 2011-09-27 2019-02-20 Terumo Kabushiki Kaisha Connector
AU2013216019B2 (en) * 2012-01-31 2018-01-25 Terumo Kabushiki Kaisha Connector
JP6316294B2 (ja) * 2013-07-31 2018-04-25 テルモ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輸液セット
CA2932124C (en) 2013-12-11 2023-05-09 Icu Medical, Inc. Check valve
USD793551S1 (en) 2014-12-03 2017-08-01 Icu Medical, Inc. Fluid manifold
USD786427S1 (en) 2014-12-03 2017-05-09 Icu Medical, Inc. Fluid manifol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9418A2 (en) * 1993-05-19 1994-12-21 Filtertek, Inc. Needleless access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5026A (en) * 1989-08-16 1992-08-04 Manska Wayne E Medical valve having fluid flow indicia
US5509433A (en) * 1993-10-13 1996-04-23 Paradis; Joseph R. Control of fluid flow
US5470319A (en) * 1994-06-20 1995-11-28 Critical Device Corporation Needleless injection site
US5836923A (en) * 1994-06-20 1998-11-17 Critical Device Corp. Needleless injection site with fixed flow rate
JPH08206230A (ja) 1994-12-09 1996-08-13 Nippon Zeon Co Ltd 輸液用ニードルレス混注管
WO1999061093A1 (en) * 1998-05-29 1999-12-02 Lynn Lawrence A Luer receiver and method for fluid transfer
US6595964B2 (en) * 2000-12-22 2003-07-22 Baxter International Inc. Luer activated thread coupler
JP2003159336A (ja) 2001-11-29 2003-06-03 Jms Co Ltd 医療用活栓
US7306579B2 (en) * 2002-08-12 2007-12-11 Jms Co., Ltd. Needleless port
EP1750797A1 (en) * 2004-05-11 2007-02-14 Occupational &amp; Medical Innovations Ltd A one way valve that uses fluid pressure to open and close the valv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9418A2 (en) * 1993-05-19 1994-12-21 Filtertek, Inc. Needleless access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6013911A (es) 2008-10-24
CN101032646A (zh) 2007-09-12
CA2567868A1 (en) 2007-06-02
KR20070058344A (ko) 2007-06-08
CN100586504C (zh) 2010-02-03
DE602006012155D1 (de) 2010-03-25
TW200733994A (en) 2007-09-16
US20070175485A1 (en) 2007-08-02
AU2006241288A1 (en) 2007-06-21
AU2006241288B2 (en) 2008-12-04
TWI327924B (en) 2010-08-01
ATE457185T1 (de) 2010-02-15
IL179259A0 (en) 2007-03-08
EP1792639A1 (en) 2007-06-06
EP1792639B1 (en) 2010-02-10
US7581561B2 (en) 2009-09-01
CA2567868C (en) 2010-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5159B1 (ko) 연결기 및 연결기용 폐쇄체
KR100915749B1 (ko) 연결기
KR100901910B1 (ko) 의료용 스톱콕 및 밸브 유닛
US9629956B2 (en) Pivoting joint infusion system with seal
US6079432A (en) Control of fluid flow by oval shaped valve member containing a cam interface
US11065383B2 (en) Connector and transfusion set
US20150190627A1 (en) Connector
US8062280B2 (en) Port assembly for use with needleless connector
US5509433A (en) Control of fluid flow
US8287518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a connector
US7584767B2 (en) Connector
US20070232989A1 (en) Liquid Co-Infusion Device
CA2125217A1 (en) Fluid delivery system
US20220008708A1 (en) Connector
US20210069484A1 (en) Body-Fluid-And-Medication Leak-Proof and Closed Medical Connector
JP4769113B2 (ja) コネクタ
EP3871993A1 (en) Direct locking injection adapter and injection valve
JP5523003B2 (ja) 医療用活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