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056B1 -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 - Google Patents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056B1
KR100855056B1 KR1020070083510A KR20070083510A KR100855056B1 KR 100855056 B1 KR100855056 B1 KR 100855056B1 KR 1020070083510 A KR1020070083510 A KR 1020070083510A KR 20070083510 A KR20070083510 A KR 20070083510A KR 100855056 B1 KR100855056 B1 KR 100855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apartment
floor
extension
single househol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2970A (ko
Inventor
김태호
Original Assignee
김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호 filed Critical 김태호
Priority to KR1020070083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056B1/ko
Publication of KR20070102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2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05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05Modulation co-ord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파트의 각 단위층에서 단독세대 내의 소정부위를 아파트 기준층고보다 높은 층고 확장부와 기준층고보다 높이가 낮은 층고 축소부인 알파존을 형성하여, 동일 층고를 갖는 종래 아파트 구조물의 획일적 구성요소를 탈피하여, 실내공간의 개방감을 부여하고, 부족한 수납공간의 확보 및 입주민의 개성에 부합하는 다양한 공간연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아파트의 가치상승을 도모한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은 아파트의 임의층에서의 단독세대는 기준층고에 비해 상부 및 하부로 길이가 동시에 더 확장되어 형성된 층고 확장부와, 상기 층고 확장부와 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기 단독세대의 상부층과 하부층에서의 상기 층고 확장부 형성에 의해 기준층고에 비해 높이가 내측 방향으로 동시에 더 줄어들어 형성된 층고 축소부인 알파존이 함께 구비되며, 상기 층고 확장부와 상기 알파존은 아파트 구조물의 종방향 층 배열시 그 상부층 또는 그 하부층에 대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AN APARTMENT STRUCTURE WITH DIFFERENT FLOOR HEIGHT}
본 발명은 아파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파트 구조물의 임의층에서의 단독세대 내의 소정부위를 기준층고보다 높이가 상하 방향으로 더 높은 층고 확장부와, 기준층고보다 높이가 상하 방향으로 더 낮은 층고 축소부인 알파존을 갖는 구조로 형성하여, 아파트 구조물의 임의층에서의 동일한 층고를 갖는 종래 아파트 구조물의 획일적 구성요소를 탈피하여, 실내공간의 개방감 부여와, 부족한 수납공간의 확보 및 입주민의 개성에 부합하는 다양한 공간연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아파트의 가치를 크게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구조물은 통상 5층 이상의 층수를 가지는 한 채의 건물 안에 독립된 여러 단독세대가 살 수 있게 한 공동주택으로, 핵가족 현상, 자녀수의 감소, 인터넷의 보급 등으로, 개인생활을 중시하는 구조, 자녀 위주의 구조로 변화하고 있고, 또한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으로 주부를 배려한 구조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의 변화로 같은 평수에 대해서, 그 내부 구조도 시대에 따라 다 양한 형태로 변화되고 있다.
특히, 최근 아파트의 발코니 확장이 합법화 되면서 발코니 확장을 염두에 둔 평면설계로 인해 실내의 여유공간이 부족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예컨대, 수납공간, 빨래 건조공간, 세탁공간 등이 소멸되고, 대부분 방 또는 거실로의 확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아파트 구조물은 정형화된 평면구성으로 인한 다양한 형태의 공간 연출에 한계가 있다. 즉 인테리어적인 요소를 발생할 수 있는 공간적 구성이 일반 단독주택에 비하여 턱없이 부족하고,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시행, 시공사들이 마감재의 고급화에 초점을 맞춤으로 인해서 공동주택의 특별한 가치상승 요인이 없는 상황에서도 집값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아울러 종래의 아파트 구조물에서는 거실의 낮은 천정고(반자높이)로 인한 공간감의 상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적은 평형대나 큰 평형대나 항상 같은 천정고로 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큰 평형대에서는 오히려 답답함을 느끼는 공간감의 상실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종래의 아파트 구조물은 평탄한 단순 구조로 인해 입면의 획일화가 되어 있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아파트 구조물이 가지고 있는 획일화된 입면은 평탄한 단순구조가 만들어 내는 평면과 단면으로 인해 발생되며, 이러한 입면을 극복하기 위하여 대부분 아파트에서는 상부 구조물과 외부에 처리되는 '빔', '바', '커튼월' 등으로 포인트를 주는 것이 전부이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는 획일화된 입면구조를 탈피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파트의 임의층에서서 단독세대 내의 소정부위를 아파트 기준층고보다 높은 층고 확장부와 기준층고보다 높이가 낮은 층고 축소부인 알파존을 갖는 구조로 형성하여, 균일한 높이의 단위층고가 반복적으로 배열된 종래의 아파트 구조물이 갖는 획일적 구성요소를 탈피하여, 실내공간의 개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실내의 부족한 수납공간의 확보와 입주민의 개성에 부합하는 다양한 공간 연출하여, 아파트의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는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은 다수의 단위층이 종방향으로 반복하여 배열되어 형성된 아파트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아파트 각 단위층에서의 단독세대는 실내 소정부위에서의 천정고를 높이는 것과 함께 바닥면을 낮추어 기준층고(h)에 비해 상부와 하부로 높이가 더 확장된 층고 확장부와, 상기 층고 확장부에서 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기 단독세대의 상하로 인접한 층의 단독세대에서의 층고 확장부 형성에 의해 기준층고(h)에 비해 더 줄어든 높이(h')의 층고 축소부인 알파존(α70)을 함께 구비한 단독세대이고,
상기 단독세대의 상하로 인접한 층의 단독세대(60,90)의 층고 확장부(61,91)와 알파존(α60,α90)은 아파트 구조물 형성을 위한 단위층의 종방향 배열시 상기 단독세대(70)의 층고 확장부(71)와 알파존(α70)에 대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은 상기 아파트의 임의층에서의 단독세대는 실내 소정부위에서의 천정고를 높이는 것과 함께 바닥면을 낮추어 기준층고(h)에 비해 상부와 하부로 확장된 높이(H)의 층고 확장부(11)를 갖는 단독세대(1)이고,
층고 확장부(11)가 형성된 상기 단독세대(1)의 상부와 하부에 인접한 단독세대(3,5) 내에는 소정 공간이 상기 층고 확장부(11)의 형성에 의해 기준층고(h)에 비해 줄어든 높이(h′)의 층고 축소부인 알파존(α3,α5)이 구비되며,
상기 층고 확장부(11)와 상기 알파존(α3,α5)은 아파트 구조물 형성을 위한 종방향 층 배열시 일직선상에서 교대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층고 확장부와 알파존은 아파트 구조물의 전체층중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층고 확장부는 아파트 실내공간중 실내 거주시간이 가장 많은 거실에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내의 구조를 변경하여 욕실 또는 주방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며, 상기 거실, 욕실, 주방 중 적어도 둘 이상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확장된 층고가 형성되는 아파트 구조물로는 타워형 아파트, 오피스형 아파트, 공장형 아파트, 상가형 아파트, 호텔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은 아파트 구조물의 임의의 층에서, 거실과 같은 실내의 소정부위에서 천정고를 높이고 바닥면을 낮추어 기준층고보다 상하 방향으로 높이가 높아진 층고 확장부와, 상기 층고 확장부가 형성된 층의 상부와 하부로 인접한 층에서의 층고 확장부의 형성에 의해 기준층고보다 낮은 높이의 층고 축소부인 알파존을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아파트 구조물이 갖는 획일적 구성요소를 탈피하여 실내 공간의 입체화를 통한 새로운 이미지의 공간을 창출해 내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은 공간의 변화를 통해 아파트의 진정한 가치상승 요인을 부여하고, 고급 마감재에 걸맞는 인테리어를 구사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 공간인 알파존을 주변 공간과 적절하게 활용함으로써, 부족한 수납공간을 효과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집안 내부 정리정돈의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파트의 층고를 달리함으로써, 아파트 입주민의 개성에 부합하는 다양한 공간연출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되며, 휴면 스케일을 적용한 공간의 설계로 거실의 층고를 획기적으로 높임으로써, 공간의 개방감을 부여하고 보다 고급스러운 인테리어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술 적용으로, 종래의 아파트 구조물이 가진 단순한 입면 구조가 건축적으로 덩어리감을 주는 새로운 형태의 다양한 입면으로 표현됨으로써, 건축적 미학을 살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의 랜드마크로서의 역할도 충분 히 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공동주택의 형태적인 미학 또한 새로운 트랜드로 만들어 나아 갈 수 있는 새로운 기술로 거듭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며, 아울러 이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이하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의 전체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3a 는 상기 도 2 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b 는 상기 도 3a 의 단면도상에서 층고의 실제 설계치수를 대입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100)은 종방향으로 반복 배열되어 일정높이의 고층을 형성하는 각 단위층에 있어서, 각 단위층의 단독새대 내에서의 특정 위치, 예컨대 거실과 같은 실내거주 시간이 가장 많은 거실공간의 높이를 상부 및 하부로 일정 길이만큼 더 연장하여 그 높이를 높인 구조이다.
즉,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파트의 기준층고를 h 라 표기하면, 아파트 구조물(100)의 임의층에서의 단독세대(1)에서, 거실과 같은 실내 소정부위에서 천정고를 높이는 것과 동시에 바닥면을 낮추어 소정부위의 공간을 일정높이(△h)만큼 상부 및 하부로 동시에 각각 높여 층고 확장부를 형성하면, 층고 확장부(11)의 높이는 H 가 된다.
상기 층고 확장부(11)가 형성된 단독세대(10)의 상하로 인접한 층의 단독세대(3,5)에서는, 상기 단독세대(1)에서의 층고 확장부(11)의 형성에 의해 층고가 줄어든 층고 축소부(이하 '알파존'이라 함)(α3,α5)가 형성되며, 그 높이는 h´가 된다. 즉, 상기 알파존(α3,α5)의 줄어든 층고 h´ 는 본 아파트 구조물(100)의 기준층고 h 에서 상부 및 하부로 2△h 의 높이가 빠진 높이가 된다.(h´ = h - 2△h)
따라서, 층고 확장부(11)의 높이(H)가 기준층고 h 에서 상부와 하부 방향으로 동시에 △h 만큼 조정될 경우, 층고 확장부(11)의 상부 및 하부 층은 기준층고 h 보다 높이가 더 줄어든 알파존(α3,α5)으로 형성되며, 이 공간은 사람의 키보다 작은 높이가 되어 생활공간으로 활용하기 어렵게 되어 이 공간을 알파존(α)이라 표기하였다.
이때, 상기 알파존은 높이가 대략 1.3m 정도 형성되어, 단독 아파트세대를 형성하는 평수에는 포함되지 않는 서비스 공간으로 제공되게 된다.
참고로, 통상 아파트 면적은 전용면적과 공용면적을 합한 면적이며, 이 면적으로 분양가가 결정된다. 건축법상 발코니는 바닥면적에 산입하지 않는 면적으로 전용면적에서 제외되며, 이와 같은 개념으로 층고가 1.5m 이하의 공간(다락 등)은 역시 바닥면적에 산입하지 않는 서비스 면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 3a 에 예시된 본 발명의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100)의 예에서는 층고 확장부(11) 및 알파존(α3,α5)이 종방향으로 동일선상으로 교대로 배열되는 단일형의 아파트 구조물(100)의 예이다.
상기 층고를 달리한 단일형 아파트 구조물(100)에 있어서는, 확장된 층고(H)가 형성되는 임의층의 경우, 동일한 평수의 아파트 제1 단독세대(1) 2개가 가운데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층고 확장부(11)가 형성된 층의 상부와 하부에 인접한 층에서는, 상기 확장된 층고(H)를 갖는 제1 단독세대(1)보다 작은 평수의 아파트 제2 단독세대(3)와 제3 단독세대(5)가 각각 형성된다.
예컨대, 확장된 층고(H)를 갖는 층의 상부 및 하부층에는, 양측단의 제2 단독세대(3)와 가운데의 제3 단독세대(5)가 형성되며, 가운데의 제3 단독세대(5)는 좌,우측의 제2 단독세대(3)보다 상대적으로 큰 평수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단독세대(3)와 제3 단독세대(5)는 모두 기준층고(h)를 유지하되, 일측단에서 기준층고(h)보다 낮은 알파존(α3,α5)을 갖는다. 상기 도 3a 의 실시예에서는, 제2 단독세대(3)는 일측단부가 기준층고(h)보다 낮은 알파존(α3)으로 형성되고, 제3 단독세대(5)는 양측단이 낮아진 층고인 알파존(α5)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단독세대(1)가 예를 들어, 191.7 m2(58평형; 분양면적)일 경우, 하부층의 양측에 위치한 제2 단독세대(3)는 105.8 m2(32 평형; 분양면적), 가운데의 제3 단독대(5)는 158.7 m2(48평형; 분양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평형의 크기는 임의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a 에 예시된 본 발명의 단일형 아파트 구조물(100)은 임의의 한개 층에 층고 확장부(11)를 갖는 단독세대(1)가 횡방향으로 2개가 연결된 구조이며, 그 상부와 하부층에는 각각 3개의 단독세대(3,5)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즉, 도 3a 에 예시된 본 발명의 단일형 아파트 구조물(100)의 경우, 상부층에는 큰 평형의 제1 단독세대(1)가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층에는 알파존(α3,α5)의 형성으로 인해 작은 평수의 제2 및 제3단독세대(3,5)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3b 는 상기 도 3a 에서 거실의 확장된 층고와 기존의 단일층 층고의 설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시된 설계예에서는, 거실(11)의 확장된 층고(H)가 3,600mm 이고, 기존의 단일층 층고(h)는 2,300mm 이며, 확장된 층고(H)의 하부에 위치한 알파존(α)의 높이(h´)는 1,320mm 이다.
따라서, 상기 확장된 층고(H)와 기존의 단일층 층고(h)는 사람이 서서 이동할 수 있는 충분한 높이가 되나, 상기 알파존(α)에서는 층고나 낮아 서서 활동할 수 없는 공간이 된다.
따라서 상기 알파존(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락이나 수납공간, 또는 세탁공간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공간으로서, 경우에 따라 아파트의 환산평수에는 포함되지 않는 서비스 영역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c 는 상기 도 3a 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로, 거실의 확장된 층고를 중심으로 아파트 전후 방향으로 절개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d 는 상기 도 3a 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로, 확장된 층고의 인접한 부위에서 아파트 전후 방향으로 절개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c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층고 확장부(11)의 전면에는 전면 발코니 공간(15)이 같은 높이로 형성되고, 그 선단에 발코니 창(18)이 형성되며, 층고 확장부(11)의 후방으로는 아파트의 기준층고(h)인 주방/식당 공간(13)이 위치하고, 그 후방에는 후면 발코니(17)가 위치하고, 그 후단부에는 후면 발코니 창(1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주방/식당 공간(13)에서 거실에 해당하는 층고 확장부(11)로 이어지는 하부 바닥면에는 그 경계부에 단차가 형성되고, 이 단차부에 계단(11a)을 형성하여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따라서 동일 아파트 층의 단독세대 내부 공간에 있어서, 층고 확장부(11)와 인접해 있는 다른 공간(13)과는 단차가 형성되고, 이 단차부에 계단(11a)이 형성됨으로 인해 종래의 단순한 구조에서 입체감을 나타내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4a 는 상기 도 3a 의 단일형 아파트 구조물에서, 층고 확장부가 형성된 상부층의 평면도이고, 도 4b 는 상기 도 3a 의 아파트 구조물에서, 층고 확장부가 형성되지 않은 하부층의 평면도로서, 아파트의 동일층의 단독세대 내에 설치된 레이아웃 구조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a 를 참조하면, 상기 도 3a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단일형 아파트 구조물(100)에서, 층고 확장부(11)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전면 발코니(15)와 함께 굵은 선으로 구분하여 표시되어 있으며, 아파트의 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나온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예시된 본 발명의 단일형 아파트 구조물(100)의 상부층에 위치한 상기 제1 단독세대(1)에 있어서, 층고 확장부(11)는 예를 들어 거실로 형성되고, 그 이외의 모든 평면구조는 기존의 아파트 기준층고(h)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도면에서 룸은 도면부호 16a,16b,16c 로 표기되어 있으며, 주방은 부호 13, 주방(13)과 이어지는 통로는 13a 로 표기되어 있다.
상기 도 3a 에서의 하부층의 평면구조를 도시한 도 4b 를 참조하면, 그 상층부에서의 층고 확장된부(11)의 형성에 의해 3 종류의 단독세대(1,3,5)가 형성된다. 즉, 중앙부를 가운데로 하여 좌,우측에 위치한 제2 단독세대(3)는 상층부에서 형성된 층고 확장부(11)에 의해 높이가 기준층고(h)보다 낮아진 알파존(α3)이 형성되고, 가운데의 제3 단독세대(5)는 역시 상층부에서의 층고 확장부(11) 형성의 영향에 의해 기준층고(h)보다 높이가 낮아진 알파존(α5)이 각각 형성된다.
하층부에 형성되는 상기 각 알파존(α3,α5)은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주변으로 방(31a,51a)과 세면장(33,53) 등이 둘러싸고 있어, 상기 방(31a,51a)과 세면장(33,53)에서 필요한 물품들을 바로 수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때 수납공간은 반드시 아파트의 일반적인 층고를 유지할 필요는 없으므로, 층고가 낮아진 상기 알파존(α3,α5)은 수납공간으로 충분히 활용 가능한 것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층고 확장부 및 알파존을 종방향으로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지 않고 지그재그 형으로 위치하도록 형성한 조합형 아파트 구조물(300)의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종방향으로 절개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상기 예시된 조합형 아파트 구조물(300)에 있어서, 임의의 한 층에는 각 단독세대(60,70,90)가 두개 형성되며, 가운데의 중앙선을 중심으로 각각 좌,우측에 각각 대칭된 구조로 형성되며, 층고 확장부(61,71,91)와 상기 층고 확장부(61,71,91)에서 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층고 축소부인 알파존(α60,α70,α9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층고 확장부(61,71,91)는 높이가 H 로서, 주로 거실로 꾸며지며, 알파존(α60,α70,α90)은 기준층고(h)보다 낮은 높이인 h′로서, 주로 수납공간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도면중 굵은 선으로 도시된 3개의 단독세대(60,70,90)중 가운데 위치한 제1 단독세대(70)를 살펴보면, 층고 확장부(71)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층의 단독세대 소정부위에서 기준층고(h)로부터 상부와 하부방향으로 동시에 일정 높이 더 확장된 부분으로서, 그 높이는 기준층고 h 에서 2△h 만큼 더 늘어난 높이 H 가 된다. 층고 축소부인 알파존(α70)의 높이는 기준층고 h 에서 2△h 가 줄어든 h′가 된다.
이때, 상기 층고 확장부(71)와 알파존(α70)이 형성된 상기 제1 단독세대(70)의 상부와 하부로 인접한 층의 제2 단독세대(60)와 제3 단독세대(90)에 형성되는 층고 확장부(61,91)와 알파존(α60,α90)은 상기 가운데층의 제1 단독세대(70)의 층고 확장부(71)와 알파존(α70)에 대해 대각선 방향으로 어긋나게 형성된다. 즉, 층고 확장부와(61,71,91) 알파존(α60,α70,α90)의 배열은 아파트 건축물(300)의 종 방향 층 배열시 지그재그 형으로 배열된다.
한편, 상기의 경우에서, 예시되지는 않았지만 임의의 한 층의 단독세대에서, 가운데의 소정지점에서 아파트를 더 분할하여 보다 작은 평수로 세분화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상부와 하부층에서의 형성되는 단독세대 수는 보다 늘어나게 된다.
도 6a 는 상기 도 5 의 조합형 아파트 구조물(300)에 있어서, 상부층에서의 평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 는 하부층에서의 평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를 참조하면, 도 5 의 조합형 아파트 구조물(300)에 있어서, 임의의 층에 형성되는 제1 단독세대(70)는 거실이 발코니(75)와 함께 층고 확장부(71)로 형성되고, 상기 층고 확장부(71))와 횡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역에 알파존(α7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알파존(α70)의 둘레로 방(74b,74c)과 주방/식당(73)과 연결되는 통로(73a)가 둘러싸고 있으므로, 상기 알파존(α70)의 둘레를 따라 각 위치에서 필요한 수납물품을 용이하게 넣을 수 있으므로, 아파트 실내 공간에서의 수납공간 활용도를 크게 높이게 된다.
다음, 도 6b 를 참조하면, 도 5 의 조합형 아파트 구조물(300)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독세대(70)의 하부층에 형성되는 단독세대의 평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층에 형성되는 제2 단독세대(90)는 상부층의 제1 단독세대(70)의 구조에서와 마찬가지로, 거실과 발코니(95)가 높이가 H 인 층고 확장부(91)로 형성되고, 그 인접하여 일정거리 이격된 지역에 역시 알파존(α9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알파존(α90)은 그 둘레로 주방/식당(97)과 연결되는 통로(96)와, 방(93a,93b)이 위치하여 낮은 높이의 여유공간인 상기 알파존(α90)은 상기 통로(96)와, 방(93a,93b)에 필요한 수납물품을 적절히 수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아울러, 거실은 상부로 길이가 늘어난 것과 함께, 그 바닥면이 인접한 지역보다 높이가 낮아 단차를 이루게 되고, 이 단차부에 계단과 같은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실내에서의 입체감을 돋보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 5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조합형 아파트 구조물(300)에 있어서는, 거실과 같은 실내의 소정공간을 높이가 기준층고(h)보다 높은 H 인 층고 확장부(61,71,91)가 종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반복 배열되고, 층고 확장부(61,71,91)의 형성에 의해 높이가 낮아진 알파존(α70,α90)도 종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반복 배열되는 형상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100,200)에서, 층고 확장부와 알파존은 아파트 구조물의 전체에 걸쳐 또는 부분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적용부위는 아파트 단독세대 내에서 거주시간이 가장 많은 거실을 비롯하여, 욕실이나 주방이 해당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거실, 욕실, 주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 은 본 발명의 확장된 층고가 다양한 형상의 타워형 아파트 구조물에 적용된 경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7 의 제1 타워형 아파트 구조물(400)은 3개의 단위 아파트가 120도 각도로 전개된 형태의 아파트 구조물로서, 각 단위 아파트에 있어서 도면부호 (410)은 층고 확장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면부호 (430)은 상부 및 하층에서의 상기 층고 확 장부(410)의 형성에 의해 상대적으로 층고가 낮아진 알파존을 나타낸 것이다.
도 8 의 제2 타워형 아파트 구조물(500)은 가운데가 공동부이고, 상기 공동부를 중심으로 사각형상으로 둘러싸는 형태의 아파트 구조물로서, 도면부호 (510)은 확장된 층고 형성부를 도시한 것이고, 부호 (530)은 상부층과 하부층에서의 층고 확장부(510)의 형성에 의해 층고의 높이가 낮아진 알파존을 나타낸다.
도 9 의 제3 타워형 아파트 구조물(600)은 3개의 단위 아파트가 일정각도 굴곡지게 서로 연결된 형태의 아파트 구조물(600)로서, 각 단위 아파트에 있어서 도면부호 (610)은 층고 확장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면부호(630)은 상부층과 하부층에서의 상기 층고 확장부(610)의 형성에 의해 층고가 낮아진 알파존 영역을 역시 나타낸 것이다.
도 10 의 제4 타워형 아파트 구조물(700)은 가운데 부위가 공동부이고, 상기 공동부를 중심으로 다각형상으로 연결된 형태의 아파트 구조물(700)로서, 각 단위 아파트에 있어서 도면부호 (710)은 확장된 층고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면부호(730)은 상부층과 하부층에서의 층고 확장부(710)의 형성에 의해 높이가 낮은 알파존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100,300)에 있어서, 층고 확장부는 거실에만 한정되지 않고, 주방이나 통로 등 필요한 임의의 다른 부위로 할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 아파트 구조물의 각 단위층에 있어서의 확장된 층고를 적용할 수 있는 아파트 구조물은 위에서 예시된 형태의 아파트 구조물에 한 정되지 않고, 아파트와 유사하거나 아파트 이외의 다양한 건축 구조물, 예컨대 오피스텔 아파트나 공장형 아파트, 상가형 아파트, 주상 복합상가형 아파트 또는 호텔이나 연립주택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의 전체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의 정면도,
도 3a 는 상기 도 2 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b 는 상기 도 3a 의 단면도상에서 실제 층고의 설계치수를 대입하여 예시한 도면,
도 3c 는 상기 도 3a 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d 는 상기 도 3a 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a 와 도 4b 는 본 발명의 아파트 구조물에서, 확장된 층고가 형성된 상부층과 확장된 층고가 형성되지 않은 하부층의 평면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6a 와 도 6b 는 상기 도 5 의 아파트 구조물에 있어서, 상부층과 하부층의 평면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7 내지 도 10 은 본 발명의 확장된 층고가 다양한 형상의 타워형 아파트 구조물에 적용된 경우를 도시한 평단면도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5,60,70,90 : 아파트 단독세대 11,35,55,61,71,91 : 거실
13,57,73,97 : 주방/식당 15,17 : 발코니
14a-14e,31a-31c,51a-51d,74a-74e,93a-93w : 룸
α, α3, α5, α60, α70, α90 : 알파존(층고 축소부)
100,300,400,500,600,700 : 아파트 구조물
기준층고 : h 층고 확장부 높이 : H
층고 축소부 높이 : h′

Claims (6)

  1. 다수의 단위층이 종방향으로 반복하여 배열되어 형성된 아파트 구조물(100)에 있어서,
    상기 아파트 구조물(100)의 임의층에서의 제1 단독세대(1)는 중앙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실내 소정부위에서 천정고를 높이는 것과 함께 바닥면을 낮추어 기준층고(h)에 비해 상부와 하부로 확장된 높이(H)의 층고 확장부(11)를 구비하고,
    상기 층고 확장부(11)가 형성된 상기 제1 단독세대(1)에 인접한 상부와 하부 층의 제2 및 제3 단독세대(3,5) 내에는 상기 층고 확장부(11)의 형성에 의해 기준층고(h)에 비해 상하부가 줄어든 높이(h′)의 층고 축소부인 알파존(α3,α5)을 구비하며,
    상기 층고 확장부(11)와 상기 알파존(α3,α5)은 아파트 구조물 형성을 위한 종방향 층 배열시 일직선상에서 교대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아파트 구조물(100)의 임의층에서 동일한 평수의 상기 제1 단독세대(1) 2개는 가운데의 상기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 우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층고 확장부(11)가 형성된 층에 인접한 상부와 하부 층에서는, 양측단에는 상기 제1 단독세대(1)보다 작은 평수의 제2 단독세대(3)가, 상기 양 제2 단독세대(3) 사이에는 제3 단독세대(5)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 단독세대(3)는 모두 일측단에 기준층고(h)보다 낮은 알파존(α3)을 갖고, 상기 제3 단독세대(5)는 양측단에서 기준층고(h)보다 낮은 알파존(α5)을 갖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파존(α3,α5)은 높이가 1,300 mm로 형성되어, 단독 아파트세대를 형성하는 평수에는 포함되지 않는 서비스 공간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단일층의 기준 층고(h)는 2,300 mm,
    상기 층고 확장부의 층고(H)는 3,60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독세대(1)는 191.7 m2 (58평)형,
    상기 제1 단독세대(1)의 상하부층의 양측에 위치한 제2 단독세대(3)는 105.8 m2 (32평)형,
    상기 제2 단독세대(3) 사이의 제3 단독세대(5)는 158.7 m2 (48평)형으로 분양면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층고 확장부(11)는 아파트 단독세대 내의 거실, 욕실, 주방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층고 확장부(11)와 알파존(α3,α5)이 함께 형성되는 아파트는 타워형 아파트, 오피스형 아파트, 공장형 아파트, 상가형 아파트, 호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
KR1020070083510A 2007-08-20 2007-08-20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 Expired - Fee Related KR100855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510A KR100855056B1 (ko) 2007-08-20 2007-08-20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510A KR100855056B1 (ko) 2007-08-20 2007-08-20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461A Division KR20070102805A (ko) 2006-04-17 2006-04-17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970A KR20070102970A (ko) 2007-10-22
KR100855056B1 true KR100855056B1 (ko) 2008-08-29

Family

ID=38817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510A Expired - Fee Related KR100855056B1 (ko) 2007-08-20 2007-08-20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0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2589A (zh) * 2016-12-10 2017-03-22 王升 一种新型建筑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903A (ja) * 1993-09-13 1995-03-28 Takenaka Komuten Co Ltd 多層集合住宅
JPH09256653A (ja) * 1996-03-26 1997-09-30 Sumitomo Constr Co Ltd 多層建築物
JPH10252291A (ja) * 1997-03-14 1998-09-22 Shimizu Corp 集合住宅
JP2002213093A (ja) * 2001-01-17 2002-07-31 Iida Bed:Kk 簡易組み立て式あずま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903A (ja) * 1993-09-13 1995-03-28 Takenaka Komuten Co Ltd 多層集合住宅
JPH09256653A (ja) * 1996-03-26 1997-09-30 Sumitomo Constr Co Ltd 多層建築物
JPH10252291A (ja) * 1997-03-14 1998-09-22 Shimizu Corp 集合住宅
JP2002213093A (ja) * 2001-01-17 2002-07-31 Iida Bed:Kk 簡易組み立て式あずま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970A (ko) 2007-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12589B2 (ja) 集合住宅
Generalova et al. Apartments in skyscrapers: innovations and perspectives of their typology development
Krebs Basics Design and Living
KR100855056B1 (ko)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
KR101314742B1 (ko) 테라스를 갖는 아파트 구조
Shon A study on the modernization and sustainablity of traditional hanok in the 20th century
KR100973852B1 (ko)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
Stanojević et al. Functional and aesthetic transformation of industrial into housing spaces
CN112031468A (zh) 一种带有斜向露台的多边住宅楼
KR20070102805A (ko)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
Hasan et al. Impact of design requirements for facade formation on the functional performance of the balcony space in residential apartments
JP6668026B2 (ja) 建物
Eskandari Analysis of traditional Iranian houses of Kashan, Iran in terms of space organization and access design
Nosé Japan Modern: New ideas for contemporary living
Hizli et al. Re-thinking loft buildings in the scope of housing production in Turkey
McKiernan Jean nouvel, arab world institute, 1987
KR101711946B1 (ko) 발코니의 이용효율을 증대시킨 발코니하우스
Jaglan et al. Pol’s Houses in Ahmedabad: The Evolution of Architectural Elements and Their Influence on Community Living
Wakita et al. Spatial recomposition of shophouses in Phnom Penh, Cambodia
Phillips THE VALUE OF A HOME: A Critical Approach to Local Practice
Mirmoghtadaee Demands and feasibilities of open building in Iranian urban context
Hussein Design factors of flat typologies: A case study of İstanbul
Ali et al. Integration of tall building systems
Shahran A Study of Single Family Housing in Libya
Cibis Typology of housing arrangements of Upper Silesia in 1848-2013 years–archetypes and their modernization flexi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208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5

K11-X000 Ip right revival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20823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308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30823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