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016B1 - Cleaning system of pressure sewage pipe and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leaning system of pressure sewage pipe and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55016B1 KR100855016B1 KR1020070006092A KR20070006092A KR100855016B1 KR 100855016 B1 KR100855016 B1 KR 100855016B1 KR 1020070006092 A KR1020070006092 A KR 1020070006092A KR 20070006092 A KR20070006092 A KR 20070006092A KR 100855016 B1 KR100855016 B1 KR 1008550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pig
- pressure
- water
- cleaning system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41000282887 Suid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8 plumb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 E03F9/002—Cleaning sewer pipes by mechanical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22—Adaptations of pumping plants for lifting sewa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10—Treating the inside of pipes
- F16L2101/12—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내부공간이 매우 협소한 압력식 하수배관 설비용 맨홀 설비 내에서도 설치가 가능케 할 뿐만 아니라 클리닝 작업자로 하여금 비좁은 공간 내에서도 용이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개선된 구조의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system for a pressure sewage pipe and a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and to minimize the size of the cleaning system for a pressure sewage pipe so that it can be installed even in a manhole facility for a pressure sewage pipe facility having a very narrow internal spac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system for a pressure sewage pip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and a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which enables a cleaning worker to easily work in a narrow space.
이를 위해, 관로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피그;저수조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 그리고 상기 저수조의 물이 펌핑되는 관로인 주배관과, 상기 주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펌핑된 물이 저수조의 외부로 압송되는 압송관과, 상기 주배관과 압송관을 연결하는 확관부를 포함하는 유송배관:을 포함하되,별도의 피그발사장치가 없이 유송배관의 내부로 피그가 바로 투입되기 위한 피그투입구는 유체가 흐르는 관로인 유송배관의 확관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송배관의 일측에는 상기 피그투입구를 개폐하는 개폐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을 제공한다.To this end, a pig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pipe; a pump for pumping the water of the reservoir; And a main pipe connected to the main pipe, a main pipe connected to the main pipe, and a pump pipe connected to the main pipe, and an expansion pipe connecting the main pipe and the pipe to the outside of the reservoir. Including, but without a separate pig firing device, the pig inlet for the pig directly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flow pipe is formed in the expansion pipe of the flow pipe is a fluid flow pipe, one side of the flow pip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ig inlet It provides a cleaning system for pressure sewage pip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 is installed.
압력식 하수배관,클리닝,시스템,처리방법,피그,맨홀설비,최소화Pressure sewage piping, cleaning, system, treatment method, pig, manhole facility, minimization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 배관용 독립식 피그 클리닝 시스템을 나타낸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n independent pig cleaning system for general pip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을 나타낸 측면도2 is a side view showing a cleaning system of a pressure sewage pip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 중, 개폐기를 나타낸 정면도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witchgear of the cleaning system of the pressure type sewage pi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이 맨홀 설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system of the pressure type sewage pi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manhole facility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 중, 피그 수취기를 나타낸 측면도5 is a side view showing a pig receiver in a cleaning system of a pressure sewage pip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의 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6 is a flow chart showing a treatment method of the cleaning system of the pressure type sewage pi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을 나타낸 요부 측면도7 is a sid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cleaning system of a pressure type sewage pip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을 나타낸 사용 상태8 is a use state showing the cleaning system of the pressure sewage pip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의 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eating a cleaning system for a pressure sewage pip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symbols in the drawings
10 : 피그 11 : 몸체10: pig 11: body
13 : 선단 30 : 펌프13: tip 30: pump
50 : 유송배관 51 : 주배관50: flow pipe 51: main pipe
51a : 개폐밸브 53 : 압송관51a: on-off valve 53: pressure feed pipe
55 : 확관부 56 : 피그투입구55: expansion tube 56: pig inlet
57 : 개폐기 58 : 도어57: switch 58: door
59 : 고정장치 59a : 고정부59:
59b : 힌지 59c : 나비볼트59b:
60 : 배수부 70 : 피그수취기60: drain 70: pig receiver
71 : 수용체 73 : 이탈방지바71: receptor 73: departure prevention bar
80 : 외부 압송수 연결구80: external water feed connector
본 발명은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공간의 사용을 최대화시킨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system for a pressure sewage pipe and a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ing system for a pressure sewage pipe for maximizing the use of an installation space and a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하수 및 침출수 등과 같이 부유입자의 함유가 많은 슬러리(slurry) 계통의 유체 하수배관은 국내 산업기반의 선진화에 따라 자연유하(自然流下) 유송식 배관에서 압력식 하수배관으로 바뀌어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Fluid sewage pipes of slurry systems containing a lot of suspended particles, such as sewage and leachate, are being changed from natural oil-flow pipes to pressure sewage pipes according to the advancement of the domestic industrial base.
지금까지는 직경이 큰 콘크리트관을 이용하여 자연유하 방식에 의해 유체를 집수 및 이송시키는 방식을 적용해왔으나, 이와 같은 방식은 콘크리트관의 대형화로 인한 공사비의 상승, 침전물의 누적으로 인한 관로폐색 및 병목현상, 콘크리트관의 파손에 따른 오수의 누설로 인해 환경오염 등의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엇다.Until now, the method of collecting and transporting fluids by natural flow method using a large diameter concrete pipe has been applied, but such a method increases construction cost due to the enlargement of concrete pipes, blockage and bottleneck due to accumulation of sediment.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leakage of sewage due to the phenomenon, breakage of concrete pipes.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된 방식이 강관(鋼管)을 이용한 압력식 하수배관 시스템이다.Therefore, the proposed solution is a pressure sewage pipe system using steel pipes.
강관을 이용한 압력식 하수배관 시스템은 유수관리체계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작은 관경을 갖는 배관의 사용이 가능해지므로 인해 굴착 및 매설 등을 위한 공사비의 절감, 오수의 누설에 따른 환경오염의 예방, 부유입자가 많은 유체의 이송능력 향상 등의 많은 장점을 갖는다. Pressure type sewage piping system using steel pipe can efficiently carry out the water flow management system, and it is possible to use pipes with small pipe diameters, thereby reducing construction costs for excavation and laying, and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leakage of sewage. In addition, it has many advantages, such as improving the carrying capacity of a large number of suspended particles.
이러한 강관을 이용한 압력식 하수배관 시스템은 유수의 집수 및 이송을 위해 설치되는 맨홀 설비가 주요 구성요소가 되며 맨홀 설비 내에는 유수 집수조와 유수이송펌프가 설치된다.The pressure sewage pipe system using the steel pipe is the main component of the manhole facility installed for the collection and transfer of running water, and the sump collecting tank and the water feeding pump are installed in the manhole facility.
상기한 유송배관 시스템의 작용은 집수조의 물이 차오르면 펌프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유체를 이송시키게 된다.The action of the flow pipe system is that the pump automatically operates when the water in the sump fills up to transfer the fluid.
이러한 압력식 하수배관 시스템에 의한 방식은 상기와 같은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유체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부유 이물질이 배관 내부에 빠른 속도로 퇴적되고, 이 부유 이물질의 퇴적으로 인해 강관의 직경이 급속히 감소하면서 유량이 감소되고 유속이 저하되어 부유 이물질의 퇴적속도는 가중된다.Despite the many advantages described above, the pressure sewage pipe system has a large amount of suspended contaminants in the fluid deposited at high speed inside the pipe, and the sediment of the suspended debris causes the steel pipe diameter to decrease rapidly. As the flow rate is reduced and the flow rate is lowered, the deposition rate of suspended foreign matter is increased.
즉, 집수조의 물이 특정 수위까지 차오르면 펌프가 작동되어 물을 이송시키다가, 집수조의 물이 빠지면 물의 이송이 중단되므로, 물의 흐름과 정체가 반복되면서 물의 흐름이 정체시에 집중적으로 다량 침강되는 부유 이물질은 배관의 내부에 퇴적되었던 것이다.That is, when the water in the sump rises to a certain level, the pump operates and transfers the water. When the sump is drained, the water stops moving. Floating debris was deposited inside the pipe.
그러나 극히 최근 도입되기 시작한 압력식 하수배관에는 상기 퇴적물을 효과적으로 클리닝 시키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었으며, 이를 위해 개발된 것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However, pressure sewage pipes that have been introduced very recently have been required to develop a system for effectively cleaning the sediment, which has been developed for this purpose.
도 1은 일반 배관용 독립식 피그 클리닝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집수되는 저수조(1)와, 상기 저수조(1)에 설치되어 집수된 물을 펌핑시키는 펌프(2)와, 펌핑된 물이 저수조의 외부로 이송되는 관로인 유송배관(3)과, 유송배관(3)의 내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배관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피그(4)와, 상기 유송배관(3)의 일측에 설치되어 피그(4)를 발사시키는 피그발사장치(5)로 구성된다.1 shows an independent pig cleaning system for general plumbing, as shown in FIG. 1, a
상기 유송배관(3)은 집수된 물이 펌핑되는 관로인 주배관(3a)과, 펌핑된 물 이 이송되는 이송관(3b)으로 구성되고, 주배관(3a)과 이송관(3b)에는 관로를 일시적으로 폐쇄하는 제1밸브(6) 및 제2밸브(7)가 각각 설치된다.The
또한, 피그발사장치(5)는 유송배관(3)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유송배관(3)의 관로와 연결되며 피그(4)가 투입되는 피그발사관(5a)과, 주배관(3a)의 관로상에 있는 물을 피그발사관(5a)으로 유입시키는 서브배관(5b)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이때, 피그발사관(5a)과 유송배관(3) 사이에는 피그발사관(5a)의 관로를 일시적으로 폐쇄시키는 제3밸브(5c)가 설치된다.At this time, a
또한, 서브배관(5b)상에는 주배관(3a)관 피그발사관(5a) 사이의 관로를 일시적으로 폐쇄시키는 제4밸브(5d)가 설치된다.Moreover, on the
이하, 상기한 종래의 독립적 시스템 형태인 독립식 일반배관 피그클리닝 시스템의 처리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ocessing method of the independent general pipe pig cleaning system in the form of the conventional independent system will be described.
저수조(1)의 물이 외부로 유동되는 상태에서는 제3밸브(5c)에 의해 피그발사관(5a)의 관로는 폐쇄된다. In the state where the water of the
이후, 피그(4)를 이용해 유송배관(3) 중, 이송관(3b)의 내부를 클리닝 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피그발사관(5a)에 피그(4)를 투입시킨다.Subsequently, when the inside of the
다음으로, 제1밸브(6) 및 제2밸브(7)를 차단하고 제4밸브(5d)를 개방하여 피그발사관(5a)과 주배관(3a)의 관로인 서브배관(5b)을 개방시킨다.Next, the
이후, 피그발사관(5a)의 제3밸브(5c)를 개방하고 주배관(3a)의 관로 상에 있는 물을 서브배관(5b)을 통해 피그발사관(5a)으로 유입시킨다. 이때, 유입된 물은 피그(4)의 후면을 가압하여 상기 피그(4)를 유송배관(3)내로 이송시킨다.Thereafter, the
다음으로, 제1밸브(6)와 제2밸브(7)를 순차적으로 개방하여 주배관(3a)으로부터 펌핑되는 물의 압력을 이용해 피그(4)를 이송관(3b)으로 압송시킨다.Next, the
이에 따라, 피그(4)는 이송관(3b)을 따라 압송되면서 배관의 내부를 클리닝 하게 된다.Accordingly, the pig 4 is pressed along the transfer pipe (3b) to clean the inside of the pipe.
이때, 일반배관의 경우와는 달리 본 압력식 하수배관 및 오폐수 유송배관의 클리닝 시스템의 설치대상이 되는 하수 및 오폐수배관 설비인 맨홀 설비는 중간집수, 배수, 이송을 위해 여러 곳에 다수 설치되어야 하는 바, 도로점유문제 및 건설비용 등을 고려하여 최대한 작게 만들어야 하는 제약성을 가지고 있다.At this time, unlike in the case of general piping, manhole facilities, which are sewage and wastewater piping facilities, which are the installation targets of the cleaning system of the pressure type sewage pipe and wastewater drainage pipe, should b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for intermediate collection, drainage, and transportation. In addition, it has the limitation of making it as small as possible considering the road occupancy problem and construction cost.
하지만, 상기한 일반배관에 이용되는 종래의 독립식 피그클리닝 시스템을 하수, 오폐수 배관설비의 맨홀과 같은 협소한 공간 내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when the conventional independent pig cleaning system used for the above-mentioned general pipe is to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such as a manhole of sewage and wastewater piping facilities, the following problems occur.
유송배관(3)의 일측에 피그발사장치(5)가 별도로 설치되어야하므로, 클리닝 시스템 전체가 차지하는 공간이 대단히 커지게 되며, 따라서 내부공간이 대단히 협소한 맨홀 설비의 경우 클리닝 시스템의 설치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Since the
설령, 맨홀 설비의 설치공간 내에 이러한 독립식 클리닝 시스템의 설치가 가능한 경우라 하더라도, 설치비용이 대단히 비쌀 뿐만 아니라 설치 후,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클리닝 작업 및 작업자의 수리작업, 및 이에 따르는 부대작업이 배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Even if it is possible to install such a self-contained cleaning system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manhole facility, the installation cost is very expensive, and after installation, the space for cleaning and the repair work by the worker, and the accompanying work due to the small space are The problem arises that it is difficult to learn.
게다가, 다수의 밸브 등으로 인한 장치의 구성요소가 복잡하여 운전조작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비용이 크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the device due to a plurality of valves, etc. are complicated, not only the operation is easy, but also the cost of the system is larg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의 크기를 줄여 맨홀 설비 내에서도 설치를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확보케하는 개선된 구조의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size of the cleaning system of the pressure sewage pipe to enable installation even in the manhole facility, and to improve the work space of the work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eaning system for a pressure sewage pipe having a structure and a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관로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피그;저수조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 그리고 상기 저수조의 물이 펌핑되는 관로인 주배관과, 상기 주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펌핑된 물이 저수조의 외부로 압송되는 압송관과, 상기 주배관과 압송관을 연결하는 확관부를 포함하는 유송배관:을 포함하되,별도의 피그발사장치가 없이 유송배관의 내부로 피그가 바로 투입되기 위한 피그투입구는 유체가 흐르는 관로인 유송배관의 확관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송배관의 일측에는 상기 피그투입구를 개폐하는 개폐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ig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pipe; Pump for pumping the water of the reservoir; And a main pipe connected to the main pipe, a main pipe connected to the main pipe, and a pump pipe connected to the main pipe, and an expansion pipe connecting the main pipe and the pipe to the outside of the reservoir. Including, but without a separate pig firing device, the pig inlet for the pig directly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flow pipe is formed in the expansion pipe of the flow pipe is a fluid flow pipe, one side of the flow pip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ig inlet It provides a cleaning system for pressure sewage pip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 is installed.
삭제delete
또한, 상기 확관부의 하부는 확관부로부터 압송관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expansion pipe gradually decreases in diameter from the expansion pipe to the pressure feeding pipe.
또한, 상기 압송관에는 역류되는 물의 배수를 위한 배수부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essure pip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drain for draining the water flow back.
또한, 상기 주배관에는 외부의 물을 압송 받기 위한 외부 압송수 연결구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ain pipe is preferably further formed with an external pressure water connector for receiving the external water pressure.
또한, 상기 주배관은 확관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각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ain pipe is preferably install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expansion pipe.
또한, 상기 개폐기는 피그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이 도어 및 확관부의 일부를 감싸는 반원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고정부와, 어느 하나의 고정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를 서로 체결시키는 나비볼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witch is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ig mouth, a pair of fixing parts made of a semi-circular shape surrounding the door and the expansion pipe portion, and a butterfly bolt is installed on any one of the fixing parts to fasten the fixing part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또한, 상기 압송관에는 피그를 수취하는 피그 수취기가 더 설치되되, 피그 수취기는 피그가 수용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수용체와 상기 수용체의 일측에 회동되도록 설치되어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간섭하여 피그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바(ba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eed pipe is further provided with a pig receiver for receiving the pig, the pig receiver is installed so that the pig is accommodated and the opening formed in the upper portion and pivoted on one side of the receptor to selectively interfere with the opening to escape the pig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departure prevention bar (bar) to preven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수조의 물이 압송관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주배관의 관로를 일시적으로 폐쇄하는 폐쇄단계; 상기 폐쇄단계 후에 압송관으로부터 물이 역류될 경우, 역류되는 물을 저수조로 배수시키는 배수단계; 피그를 유송배관의 확관부에 투입하는 투입단계; 주배관을 개방하여 저수조 내의 물을 펌핑하는 펌핑단계; 펌핑된 물이 유송배관내의 피그를 압송시키면서 유송배관의 내부를 클리닝시키는 클리닝단계; 그리고 상기 피그가 유송배관의 내부를 클리닝한 후, 피그 수취기에 수취되는 수취단계:를 포함하는 압력식 하수배관 및 오폐수 유송배관의 클리닝 시스템을 이용한 처리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losing step of temporarily closing the pipeline of the main pipe so that the water of the reservoir does not flow into the pressure feed pipe; A drainage step of draining backflow water to the reservoir when the water flows back from the pressure feeding pipe after the closing step; Injecting the pig into the expansion portion of the flow pipe; A pumping step of opening the main pipe to pump water in the reservoir; A cleaning step in which the pumped water cleans the inside of the flow pipe while pressing the pigs in the flow pipe; And after the pig cleans the interior of the flow pipe, the receiving step is received by the pig receiver: a pressure sewage pipe and a waste water discharge pipe comprising a cleaning system comprising a treatment method using.
이때, 상기 폐쇄단계 후, 피그투입구를 폐쇄하는 개폐기의 도어를 열 때, 압송관으로부터 물이 역류될 경우 피그의 투입이 어려우므로 상기 도어를 열기 전에 역류되는 물을 저수조로 배수시키는 배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when opening the door of the switchgear to close the pig inlet after the closing step, it is difficult to put the pig in the case of the water flow back from the pressure feed pipe, so that the drainage step of draining the water back to the reservoir before opening the door furth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그를 유송배관에 투입하는 투입단계; 외부 압송수 연결구로부터 유송배관으로 물을 압송받는 압송단계; 압송된 물이 유송배관 내의 피그를 압송시키면서 유송배관의 내부를 클리닝시키는 클리닝단계; 그리고 상기 피그가 유송배관의 내부를 클리닝한 후, 피그 수취기에 수취되는 수취단계:를 포함하는 압력식 하수배관 및 오폐수 유송배관의 클리닝 시스템을 이용한 처리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input step of injecting the pig into the flow pipe; A pressure feeding step of receiving water from the external pressure water connector to the flow pipe; A cleaning step of cleaning the inside of the flow pipe while the pressurized water pushes the pigs in the flow pipe; And after the pig cleans the interior of the flow pipe, the receiving step is received by the pig receiver: a pressure sewage pipe and a waste water discharge pipe comprising a cleaning system comprising a treatment method using.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leaning system for a pressure type sewage pip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은 피그(10)와, 펌프(30)와, 유송배관(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2 and 4, the cleaning system of the pressure sewage pipe is composed of a
이때, 압력식 하수배관을 비롯한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설비에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cleaning system of the pressure sewage pipe, including the pressure sewage pipe, is installed in the manhole facility, as shown in FIG.
맨홀 설비(100)는 하수 및 오수가 집수 되는 저수조(110)와 상기 저수조(110)를 개폐하는 맨홀 덮개(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이때, 저수조(110)에는 작업자로 하여금 저수조(110)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사다리(111)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저수조(110)의 일측에는 하수 및 오수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관로(112)가 설치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물론, 저수조(110)의 타측에는 하수 및 오수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홀(113)이 형성되며, 이 배출홀(113)에는 배출관로인 유송배관(50)이 설치된다. Of course, the other side of the
한편, 피그(10)는 유송배관(50)내에 투입되어 이 배관의 일방향 즉, 피그(10)의 후방에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 전방으로 진행하며 선단의 경사에 의해 관 내벽에 퇴적된 스케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때, 피그(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몸체(11)와, 이 몸체로부터 외측을 향해 뾰족하게 연장된 선단(13)으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펌프(30)는 저수조(110)에 집수된 물을 유송배관(50)으로 펌핑시키는 역할을 하며, 저수조(110)의 저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유송배관(50)은 저수조(110)의 물을 저수조(1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관로이며, 주배관(51)과 압송관(53)과, 확관부(55)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주배관(51)은 저수조(110)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주배관(51)의 일단부는 저수조(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주배관(51)의 타단부는 저수조(110)의 상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The
물론, 주배관(51)은 저수조(110)에 설치된 별도의 지지장치에 설치된 상태이며, 공간활용 및 원가절감을 위해 저수조(110)의 사다리에 설치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Of course, the
또한, 주배관(51)에는 주배관(51)의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51a)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이는, 피그(10)가 유송배관(50)에 투입될 때, 유송배관(50)에 흐르는 물로부터 일시적으로 간섭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prevent the
또한, 압송관(53)은 주배관(51)을 통해 펌핑된 물이 저수조(110)의 외부로 이송되는 관로이며, 일단부가 주배관(51)의 타단부에 비해 낮은 위치에 배치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압송관(53)은 주배관(51)에 대해 수평으로 설치된 상태이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압송관(53)의 타단부는 다른 맨홀설비(200)의 저수조(210)에 형성된 유입홀(211)에 설치된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pressure pipe (53) is installed in the
또한, 압송관(53)의 일단부측에는 배수부(60)가 설치된다. 배수부(60)는 압송관(53)의 내부에서 역류되는 물을 저수조(110)로 배수시키는 역할을 하며 배수홀과 배수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oreover, the
이때, 배수부(60)의 위치는 저수조(110) 내에 배치되어야함은 이해 가능하다.At this time, it is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f the
한편, 상기 주배관(51)의 타단부와 압송관(53)의 일단부는 확관부(55)에 의해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상기 확관부(55)는 주배관(51)과 압송관(53)의 위치 차가 있는 만큼, "L"형 곡관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주배관(51)은 상기 확관부(55)의 일측 또는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The
즉, 확관부(55)의 상부에는 주배관(51)의 타단부가 연결되며, 확관부(55)의 하부에는 압송관(53)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것이다.That is, the other end of the
또한, 확관부(55)의 상부에는 피그투입구(56)가 형성된다. 피그투입구(56)는 확관부(55)의 상부 중, 상단부에 피그(10)가 자연 낙하되어 투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확관부(55)의 상단부 일측에는 상기 피그투입구(56)를 개폐하는 개폐기(57)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피그투입구(56)는 유송배관(50)의 관로상에 형성되므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은 별도의 피그발사장치 없이 구성됨을 알 수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상기 개폐기(57)는 피그투입구(56)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그투입구(56)를 개폐하는 도어(58)와 이 도어(58)를 확관부(55)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59)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58)에는 손잡이(58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이때, 고정장치(59)는 확관부(55)의 일부 및 도어(58)를 포함하여 감싸는 반원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고정부(59a)와 상기 고정부(59a)를 회동시키는 힌지(59b)와 고정부(59a)의 단부를 체결시키는 나비볼트(59c)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fixing
이때, 나비볼트(59c)는 어느 하나의 고정부(59a) 일단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힌지 결합되며, 다른 하나의 고정부(59a) 일단에는 상기 나비볼트(59c)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butterfly bolt (59c) is hinged to one end of the fixing portion (59a) in a rotatable state, the other fixing portion (59a) one end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butterfly bolt (59c) is inserted. .
즉, 상기와 같은 고정장치(59)는 한 쌍의 고정부(59a)가 확관부(55)의 일부 및 도어(58)를 감싼 상태에서, 나비볼트(59c)를 회동시켜 고정부(59a)의 삽입홈에 삽입시키고 상기 나비볼트(59c)를 돌려 한 쌍의 고정부(59a)를 서로 체결시키는 구성인 것이다.That is, the fixing
한편, 상기 확관부(55) 중, 압송관(53)과 연결된 하부는 확관부(55)로부터 압송관(53)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이는, 확관부(55)로 자연낙하되어 투입된 피그(10)가 압송관(53)으로 압송되기 전에 피그(10)의 선단(13)이 압송관(53)에 압착되도록 하여 피그(1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is causes the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맨홀 설비(100,200)가 설치된 상태에서 맨홀 설비(100,200)에는 압력식 유송배관(50)이 각각 설치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in the state where a plurality of manhole facilities (100,200) is installed, the pressure-
이때, 클리닝 하고자 하는 맨홀 설비(100,200) 구간을 정하여 유송배관(50)의 클리닝 작업을 수행한다.At this time, the manhole facility (100,200) section to be cleaned is determined to perform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flow pipe (50).
이때, 압송관(53)의 타단부에는 압송관(53)을 통과한 피그(10)가 수취되는 피그 수취기(70)가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피그 수취기(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송관(53)을 통과한 피그(10)가 수용되는 수용체(71)와, 피그(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바(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수용체(71)는 피그(1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되, 피그(10)에 의해 밀려나온 하수 및 스케일 등이 저수조(210)에 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브가 서로 이격된 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탈방지바(73)는 수용체(71)의 일측으로부터 수용체(71)의 공간부를 향해 힌지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며, 힌지(72)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공간부를 선택적으로 간섭시킨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이탈방지바(73)가 수용체(71)의 공간부를 전부 차폐시키는 것은 아니지만, 공간부의 일부 영역만 간섭하더라도 피그(10)는 이탈방지바(73)에 걸려 수용체(7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That is, although the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을 이용한 처리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treatment method using a cleaning system of a pressure sewage pip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먼저, 주배관(51)에 설치된 개폐밸브(51a)를 차단하여 주배관(51)의 관로를 일시적으로 폐쇄시킨다.(S10)First, the on-off
이때, 압송관(53)으로부터 역압이 발생되어 압송관(53)내의 물이 확관부(55)측으로 역류되는 일이 발생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ck pressure is generated from the
이와 같이 압송관(53)으로부터 물이 역류되면, 압송관(53)의 일단부측에 설치된 배수부(60)의 배수밸브를 개방하여 더 이상의 역류를 방지한다.(S20)When water flows back from the
다음으로, 확관부(55)에 설치된 개폐기(57)의 고정장치(59)를 해체한 후, 도어(58)를 열어 피그투입구(56)를 개방시킨다. 이후, 피그(10)의 뾰족한 선단(13)을 하방으로 하여 피그투입구(56)에 피그(10)를 투입시킨다.(S30)Next, after disassembling the fixing
이후, 피그(10)는 확관부(55)의 관로를 따라 자연낙하되어 압송관(53)의 일단부에 압착된다.Thereafter, the
다음으로, 주배관(51)의 개폐밸브(51a)를 개방하여 주배관(51)의 관로를 개방시키고, 펌프(30)를 작동시켜 저수조(110)의 물을 펌핑시킨다.(S40)Next, the opening and closing
이에 따라, 주배관(51)의 관로를 따라 저수조(110)의 펌핑된 물은 피그(10)의 후면부를 가압하게 된다.Accordingly, the pumped water of the
이후, 펌핑된 물의 수압에 의해 피그(10)는 압송관(53)의 관로를 따라 압송되면서 압송관(53) 내의 스케일을 클리닝 하게 된다.(S50)Thereafter, the
이때, 상기 피그(10)는 압송관(53) 내의 스케일을 일방향으로 밀고 나가면서 다른 맨홀 설비(200)에 설치된 압송관(53)의 타단부를 통해 배출된다.At this time, the
이때, 피그(10)는 수압에 의해 계속 전진되는 상태로서 압송관(53)의 타단부를 통해 튕겨져 나가 피그 수취기(60)에 수취 된다.(S60)At this time, the
이때, 피그(10)는 피그 수취기(60)에 설치된 이탈방지바(63)에 의해 걸려 피그 수취기(60)로부터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the
이상 전술한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의 가장 큰 특징은 피그(10)를 발사시키기 위해 별도의 피그발사장치가 구비된 것이 아니라 유송배관(50)의 중간에 피그투입구(56)를 설치하여 유송배관(50)의 관로상에 직접 피그(10)를 투입시키는 것에 있다.The above-mentioned cleaning system of the pressure type sewage pipe and the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are the main features of the
즉, 유송배관(50)은 물이 압송되는 관로 역할을 함과 더불어, 피그(10)를 발사시키는 피그발사장치의 역할도 겸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이에 따라, 피그(10)를 압송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게 되어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의 크기는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 separate device for pumping the
지금까지 피그를 이용하여 압력식 하수배관을 클리닝 하는데 있어서, 저수조(110)의 물을 펌핑하여 펌핑된 물의 수압을 이용해 피그(10)를 압송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So far, the cleaning of the pressure type sewer pipe using the pig, the pumping the water in the
하지만, 저수조에 피그를 압송시킬 수 있을 만큼의 물이 집수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외부의 물을 이용하여 피그를 압송시킬 수 있다.However, when water is not collected enough to pump the pigs in the reservoir, the outside of the water can be used to feed the pigs.
이를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제시하며,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is is shown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의 요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구성은 동일하되, 주배관에 외부 압송수 연결구가 더 설치된다.Figure 7 shows the main part of the cleaning system of the pressure-type sewage pip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pressure water connector is further installed in the main pip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Accordingly, components overlapping wit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외부 압송수 연결구(80)는 외부로부터 물을 효율적으로 압송받을 수 있도록 주배관(51)의 외주면 중 상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 external
즉, 이와 같은 구성은 외부 압송수 연결구(80)의 관로와 주배관(51)의 관로는 서로 연통된 구성이다.That is, such a configuration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ipeline of the external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의 작용 및 처리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treatment method of the cleaning system of the pressure type sewage pip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확관부(55)에 형성된 개폐기(57)의 고정장치(59)를 해체하고 도어(58) 를 열어 확관부(55)에 형성된 피그투입구(56)를 개방시킨다.First, the fixing
이때, 제1실시예와는 다르게 저수조(110)에 물이 덜 집수된 상태이므로 주배관(51)의 개폐밸브(51a)를 페쇄하는 작업은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At this time, unlike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water is less collected in the
한편, 개방된 피그투입구(56)에 피그(10)를 투입시키고(S110), 투입된 피그(10)는 피그투입구(56)를 통해 확관부(55)를 따라 압송관(53)의 일단부에 압착된다.On the other hand, the
다음으로, 외부 압송수 연결구(80)에 물을 압송시키는 장치를 결합시킨다.Next, the device for feeding water to the external pressure water connector (80) is coupled.
이때, 상기 물을 압송시키는 장치의 예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수차 등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an example of the device for pumping the water, as shown in FIG.
즉, 외부 압송수 연결구(80)는 살수차(81)와 호스(83) 등으로 연결되어 관로를 형성하는 것이다.That is, the external
다음으로, 살수차(81)로 하여금 물을 압송시키면(S120), 물은 외부 압송수 연결구(80)를 통해 확관부(55)로 압송되어 피그(10)의 후면을 가압시킨다.Next, when the
이에 따라, 수압에 의해 피그(10)는 압송관(53)을 따라 압송되면서 압송관(53)의 스케일을 제거시키는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S120)Accordingly, by the hydraulic pressure, the
다음으로, 압송관(53)의 스케일 제거 작업을 마친 피그(10)는 피그 수취기(60)에 수취된다.Next, the
이로써,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작업이 완료된다.Thus,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pressure sewage pip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본 발명에 따른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에 의하면, 피그를 압송시키기 위한 별도의 독립적인 피그 발사장치가 필요 없게 된다.According to the cleaning system for a pressure sewa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independent pig firing device for feeding the pigs.
즉, 피그발사장치가 바로 관로의 일부로서, 유송배관상에 바로 피그를 투입시켜 상기 유송배관에서 직접 피그가 압송되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pig launcher is a part of the conduit, the pigs are immediately put on the flow pipe so that the pigs are directly pumped from the flow pipe.
이에 따라,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은 그 크기가 최소화되면서 맨홀 설비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게 되고, 작업자로 하여금 맨홀 설비에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Accordingly, the cleaning system of the pressure sewage pipe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manhole facility while its size is minimized, and the worker can easily work in the manhole facility.
또한, 외부 압송수 연결구가 더 설치됨으로써, 저수조의 물이 부족하더라도 외부의 물을 용이하게 압송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external pressure-reducing connector is further, even if the water in the reservoir is insufficient to have an effect that can easily push the external water.
또한, 밸브 등 고가(高價)의 구성요소가 줄어듬으로써, 설치비용이 크게 절감되며 운전조작의 편의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by reducing expensive components such as valves, installation costs are greatly reduced and convenience of operation is improved.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6092A KR100855016B1 (en) | 2007-01-19 | 2007-01-19 | Cleaning system of pressure sewage pipe and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6092A KR100855016B1 (en) | 2007-01-19 | 2007-01-19 | Cleaning system of pressure sewage pipe and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68378A KR20080068378A (en) | 2008-07-23 |
KR100855016B1 true KR100855016B1 (en) | 2008-08-28 |
Family
ID=39822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06092A KR100855016B1 (en) | 2007-01-19 | 2007-01-19 | Cleaning system of pressure sewage pipe and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5501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7293B1 (en) | 2022-04-11 | 2023-08-17 | 주식회사 아세아프로텍 | Pipe cleaning and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O6990145A1 (en) * | 2012-12-26 | 2014-07-10 | Ecopetrol Sa | System for plugging leaks in pipelines and fluid transport pipes |
KR102456714B1 (en) | 2021-02-01 | 2022-10-20 | 주식회사 엔씨기술공사 | The Coating apparatus inside steel pipe used in water treatment system |
KR102643343B1 (en) | 2021-02-01 | 2024-03-04 | 주식회사 엔씨기술공사 | The Steel pipe internal cleaning method used in water treatment system |
KR102275041B1 (en) | 2021-02-01 | 2021-07-08 | 주식회사 엔씨기술공사 | The Coating method inside steel pipe used in water treatment system |
KR102302235B1 (en) | 2021-02-01 | 2021-09-14 | 주식회사 엔씨기술공사 | The Steel pipe internal cleaning device used in water treatment system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104874A (en) * | 1990-08-24 | 1992-04-07 | Kawasaki Steel Corp | Pig for washing pipeline and washing method for pipeline using same |
KR200316306Y1 (en) * | 2003-02-28 | 2003-06-18 | (주)아산테크 | pipeline cleaning apparatus |
US6769152B1 (en) * | 2002-06-19 | 2004-08-03 | Parnell Consultants, Inc. | Launcher for passing a pig into a pipeline |
-
2007
- 2007-01-19 KR KR1020070006092A patent/KR10085501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104874A (en) * | 1990-08-24 | 1992-04-07 | Kawasaki Steel Corp | Pig for washing pipeline and washing method for pipeline using same |
US6769152B1 (en) * | 2002-06-19 | 2004-08-03 | Parnell Consultants, Inc. | Launcher for passing a pig into a pipeline |
KR200316306Y1 (en) * | 2003-02-28 | 2003-06-18 | (주)아산테크 | pipeline cleaning apparatu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7293B1 (en) | 2022-04-11 | 2023-08-17 | 주식회사 아세아프로텍 | Pipe cleaning and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68378A (en) | 2008-07-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55016B1 (en) | Cleaning system of pressure sewage pipe and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 |
US6627089B1 (en) | Water main recirculating/filtering/flushing system and method | |
JP6242097B2 (en) | Underground drainage pump equipment | |
JP2021070976A (en) | Pipeline washing system and pipeline washing method | |
JP7255830B2 (en) | Pipe cleaning method and pipe cleaning system | |
Pisano et al. | Automated sewer and drainage flushing systems in Cambridge, Massachusetts | |
US10654192B1 (en) | Concrete washout and water recycling apparatus | |
JP7097253B2 (en) | Water storage device and drainage system | |
JP6097525B2 (en) | Pipe cleaning method and pipe cleaning system | |
US10975555B1 (en) | Cleanout port drain assembly and method | |
KR100906681B1 (en) | Pressure Flow Pipeline System | |
GB2466772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the interior of a pipe | |
JP7097927B2 (en) | Water storage device and drainage system | |
JP5716122B2 (en) | Sewage discharge system | |
KR20080068379A (en) | Handheld pig launcher | |
GB2460823A (en) | Water main cleaning arrangement | |
CZ295219B6 (en) | Method for periodic rinsing a wastewater gravity piping and wastewater gravity piping for making the same | |
RU2735960C1 (en) | Complex for reception of waste water with automated device of hydraulic flushing | |
KR102432874B1 (en) | Multi-function Pipeline cleaning system and Method | |
KR101208947B1 (en) | cleaning system for gravity flow type wastewater pipeline | |
US8517208B2 (en) | Muck bucket | |
EP3988727A1 (en) | A device and a method for emptying a sewer well, a sewer well and a receiver of a sewer pumping station | |
FR2774110A1 (en) | Syphon device discharges a flush of a known volume of liquid in an effluent treatment plant | |
KR100823240B1 (en) | Maintenance method and device of initial excellent treatment facility | |
KR101756708B1 (en) | Inlet pipe apparatus of syphon type having functions of anti-odor and removal of impurities, fat and oi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8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8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1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2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