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4535B1 -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4535B1
KR100854535B1 KR1020060128698A KR20060128698A KR100854535B1 KR 100854535 B1 KR100854535 B1 KR 100854535B1 KR 1020060128698 A KR1020060128698 A KR 1020060128698A KR 20060128698 A KR20060128698 A KR 20060128698A KR 100854535 B1 KR100854535 B1 KR 100854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ent pool
pool
product
price
pa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3799A (ko
Inventor
정연덕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88338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5453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128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535B1/ko
Publication of KR20080073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Fina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시스템 및 방법은 특허풀에 대한 기대 수익을 평가하여 특허풀 상품을 설계하고, 설계된 특허풀 상품에 대한 판매 대금을 기초로 상기 특허풀에 가입한 개별 특허에 대한 배당 수익을 계산한다. 계산된 배당 수익은 개별 특허를 소유한 특허권자에게 지급되는데, 그 결과 특허권자의 유동성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특허풀, 실시료, 기대 수익, 특허풀 상품, 유동성

Description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FUND RAISING BASED ON PATENT POOL}
도 1은 일반적인 특허풀의 계약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시스템의 운영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금조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특허풀 상품 설계부를 보다 상세히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의 수익 분배 관리부를 보다 상세히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풀 상품의 가격 선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허풀 상품의 가격 선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허풀 상품의 가격 선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당 수익을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당 수익을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시스템을 이용한 자금조달 과정을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특허풀(patent pool) 기반의 자금조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술 분야의 눈부신 발달로 인해 급변하는 사회경제 상황 속에서 현대 산업사회는 기술전쟁의 양상을 띠고 있고, 각국의 기업들은 관련 시장에서 자사 기술의 독점적 사용을 통한 시장 지배를 위해서 특허를 획득하는 등 지적재산권 확보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어떤 기술에 대하여 두 명 이상이 특허를 가지고 있는 경우, 서로 이용 저촉관계에 있게 되므로 어느 누구도 다른 특허권자의 동의를 얻지 못하면 그 기술을 실시하여 제품을 개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 다른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와의 이해관계를 조정하기 위해 특허풀(patent pool)이 결성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특허풀이란 다수의 특허권자들이 특허업무대행기관에 자신들의 특허를 공동으로 위탁하여 관리하도록 하는 형태의 특허권의 집합체(pool)를 말한다. 좀 더 자세하게는 특허풀은 복수의 권리자가 각각 소유하는 특허의 실시허락을 할 권한을 일정한 기업체나 조직체(그 조직 형태에는 여러 형태가 있고, 또한 그 조직을 새롭게 설립한 경우나 기존의 조직이 이용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음)에 집중시켜 해당 기업체나 조직체를 통하여 특허풀의 구성원 등이 필요한 실시허락을 받는 것을 말한다. 특허풀은 보통 특정한 기술을 중심으로 하여 비교적 제한된 수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비교적 적은 수의 필수적인 특허와 단일의 제품에 적절하며 지역적으로 제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풀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요소에 의해 구성된다.
첫째, 여러 가지 특허권을 중앙의, 독립된 실체(entity)에게 통합시킨다. 이러한 실체가 되는 것은 미국에서는 보통 파트너쉽 또는 책임이 제한되는 회사(한국의 주식회사 또는 유한 회사에 해당)인데, 이 회사는 보유하고 있는 여러 개의 특허를 한데 묶어(일반적으로 하나의 패키지(package)) 이에 대한 사용허락을 한다. 대부분의 특허풀은 MPEG LA, LLC, 3G Patent社, VIA(MPEG LA, VIA에 관하여는 후술함) 등과 같이 별도의 법인을 설립하여 라이센싱을 추진하거나, 특허풀에 속한 특허권자 중 대표 특허권자가 직접 라이센싱을 대행하기도 한다.
둘째, 특허풀은 특허의 가치를 판단하고 사용허락으로 인한 사용료(통상 실시료) 수입을 분배하는 방법을 갖추고 있다. 사용료를 배분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어떤 특허풀에서는 사용료를 균등하게 배분한다. 지적재산권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사용료를 분배하는 구조 내지 체계는 어떠한 특허풀의 성공이나 실패를 판가름할 정도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현재 완성단계의 특허풀로는 MPEG Licensing Administrator(동영상 압축기술 관련 특허풀), VIA Licensing Corporation(음성압축기술관련 특허풀), DVD3C Licensing Agency(DVD 기술에 대한 특허풀), DVD6C Licensing Agency(DVD 기술에 대한 특허풀) 등이 있고, 결성중인 특허풀로는 DVB-T Licensing Administrator(유럽식 디지털 지상방송 규격인 DVB-T의 특허풀), 3G Patents(3세대 통신기술 관련 특허풀) 등이 있다.
(1) MPEG 특허풀
MPEG 기술은 대부분 디지털 장비에 사용되는 영상압축기술로 지금까지 발표된 것으로 CD롬, MP3플레이어 등에 사용되는 MPEG-1, 디지털방송 및 DVD 분야의 방송용 멀티미디어 부호화 표준인 MPEG-2, MPEG-2의 응용성을 높인 동영상 및 오디오 압축기술로 IMT2000과 차세대 대화형 멀티미디어 방송에 MPEG-4, 멀티미디어 정보검색 가능한 동영상 데이터 검색 및 전자상거래 등에 사용하도록 개발된 MPEG-7, 위의 MPEG-1 기술을 통합해 디지털 컨텐츠의 제작, 유통, 보안 등 전과정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인 MPEG-21이 있다. 이중 현재 특허풀을 구성한 표준기술은 MPEG-2, MPEG-4시스템, MPEG비쥬얼을 포함하는 MPEG Licensing Administrator이다. MPEG LA(Moving Picture Experts Group Licensing Administrator)는 동영상압축기술 관련 특허풀로서 1997년 출범되었다. MPEG LA는 하나의 라이센싱 대행기관에서 다수의 특허풀에 대한 라이센싱을 대행하는 대표적인 법인이다. VIA Licensing Corporation은 음성압축기술관련 특허풀에 관한 대행기관으로 1998년 출범되었다. MPEG-4 오디오 라이센싱 위원회(Audio Licensing Committee)는 VIA사를 MPEG-4 오디오 특허풀에 대한 라이센싱 관리자로 선택하였다.
(2) DVD 특허풀
DVD3C Licensing Agency는 DVD 기술에 대한 특허풀로서 1998년 3개 회사(필립스, 소니, 파이오니아)가 모여 결성되었다. 이후 2003년 7월 재생전용 DVD 기기 및 미디어에 대하여 LG전자가 추가로 가입되면서 DVD4C로 그 명칭이 바뀌었다. 필립스가 4C를 대표하여 조인트 라이센싱을 수행하고 있으며 4C 특허풀은 DVD-비디오 및 DVD-ROM에 대한 표준특허를 포함한다. 특허풀에 대한 라이센싱은 디스크제조업체와 플레이어 제조업체로 구분하여 수행된다.
DVD7C 연합은 7개사(히타치, 마츠시다(파나소닉), 미츠비시, 타임워너, 도시바, JVC 및 IBM)로 이루어진 특허풀 라이센싱 연합으로 도시바가 일본, 유럽, 아프리카 지역을 담당하고, 히다치는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오세아니아, 중동지역을 담당하며 마츠시타가 미국을 담당하고 있다. 라이센스된 특허에 의해 포함되는 제품에는 재생전용장치 및 미디어, 기록가능한 장치 및 미디어(케이스 포함)가 해당된다.
(3) 디지털방송 특허풀
DVB LA(Licensing Administrator)는 유럽식 디지털 지상방송 규격인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유럽방식의 디지털 지상방송 규격)의 특허풀로서 1998년 DVB-T특허권을 가진 4개 회사가 특허풀의 결성을 추진하였으나, 특허권 미보유 회사들의 강한 반발에 부딪혀 자체 결성을 포기하고 자신들의 특허권을 MPEG LA에 위탁하였다. 현재 MPEG LA에서 DVB-T 표준은 ETSI(Europe Telecommunication Standards Institute) document ETS 300744를 대상으로 한다. 1394LA는 대용량 고속 전송기술 관련 특허풀로서 1999년에 출범되었다. 1394LA의 특허업무 대행기관은 MPEG LA와 동일하다. 특허풀의 대상은 1394 관련 기술표준 중 IEEE 1394-1395, IEEE 1394a-2000, IEC 61883-1, IEEE P1394b를 대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특허풀의 계약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특허권자와 라이센싱(licensing) 대행기관은 '라이센싱관리기관계약'을 체결하고, 실시권자는 라이센싱 대행기관과 '라이센싱 계약(특허사용계약)'을 체결한다.
라이센싱 대행기관은 특허권자들로부터 특허의 실시허락을 할 권한을 부여받은 일정한 기업체 또는 조직체를 의미하며, 계약에 따라 특허권자는 라이센싱 대행기관에 특허를 위탁하고 대행기관은 특허권자에게 수익을 배분하게 된다. 또한, 실시권자는 특허풀의 구성원이 아닌 제3자로서 특허풀에 속한 특허 기술을 사용하고자 할 때 라이센싱 대행기관에게 실시료(통상, '로얄티'라고 일컬어짐)를 지불하고 기술을 사용하는 기술도입자를 의미한다. 라이센싱 대행기관은 특허풀을 이용하여 특허권자들을 대신하여 특허권자의 상호교차사용계약(cross licensing), 제3자에 대한 특허사용계약, 실시료 징수 및 배분 등의 포괄적인 업무를 대행할 수 있다. 따라서 특허풀에 공동 출자한 구성원들은 실시권자들로부터 얻어지는 실시료 수입을 매출 원천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향후 후속 기술에 대한 연구비로도 활용할 수 있다.
통상 특허권을 확보하기 위해서 기업은 연구개발을 하고 연구개발된 결과를 특허출원한다. 특허권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비교적 짧은 시간동안 비용이 발생한다. 반면에 실시료는 대부분 장기간(통상적으로는, 특허권 존속기간인 20년간)에 걸쳐 징수하게 된다. 그 결과 특허권을 확보한 기업(특허권자)는 유동성(자금) 문제에 직면할 수 있게 되고 후속의 기술을 연구하거나 개발하는데 자금을 투자할 수 있는 여유를 갖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실시권자들의 자금력 부족으로 인한 실시료 체납 및 실시료 지급불이행에 따른 위험성 때문에 특허권자들이 특정 실시권자에게만 실시하도록 허여하여 시장 내에서 결탁 또는 공모를 촉진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한편 개별 특허권의 실시료 수입 채권의 양도나 유동화에 비해 특허풀이 안정적이다. 예를 들어 개별 특허권이 무효가 되면 이에 따라 그 특허권에 대한 실시료 채권도 존재하지 않게 되는 위험성이 있다. 또한 개별 특허권은 가치평가가 기업의 협상능력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특허풀은 다수의 특허가 존재하므로 이러한 위험성이 줄어들면서 안정적으로 가치평가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같이 다양한 장점을 갖는 특허풀에 기반하여 특허권자의 유동성 문제를 완화시키고 특허권에 의한 수익을 짧은 시간동안에 현실화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권자가 특허권에 의한 수익을 짧은 시간동안에 현실화할 수 있게 도와주는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시스템은 특허풀에 대한 기대 수익을 평가하여 특허풀 상품을 설계하는 특허풀 상품 설계부, 및 상기 설계된 특허풀 상품에 대한 판매 대금을 기초로 상기 특허풀에 가입한 개별 특허에 대한 배당 수익을 계산하는 수익 분배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특허풀 상품 설계부는 상기 특허풀을 이용하는 실시권자들이 향후 지불할 로얄티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로얄티를 기초로 상기 기대 수익을 평가하는 기대 수익 평가부, 및 상기 기대 수익과 상기 특허풀에 대한 실시료 수수 제한 조건에 기초해서 상기 특허풀 상품의 가격을 산정하는 가격 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격 산정부는 상기 기대 수익과 상기 특허풀에 대한 실시료의 지분을 제한하여 상기 특허풀 상품의 가격을 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가격 산정부는 상기 기대 수익과 상기 특허풀에 대한 실시료의 수수 기간을 제한하여 상기 특허풀 상품의 가격을 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가격 산정부는 상기 기대 수익과 상기 특허풀에 대한 실시료의 지분 및 수수 기간을 제한하여 상기 특허풀 상품의 가격을 산정할 수도 있다.
상기 수익 분배 관리부는 상기 특허풀에 가입된 특허들의 국가 및 존속 기간 등의 정보(특허풀 정보)를 저장한 특허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판매 대금 및 상기 특허풀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개별 특허에 대한 상기 배당 수익을 계산하는 배당 수익 계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당 수익 계산부는 상기 특허풀에 가입된 특허들의 존속 기간과 상기 판매 대금에 기초하여 상기 개별 특허에 대한 상기 배당 수익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특허풀 상품은 유동화 증권으로 판매되고, 상기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시스템은 상기 유동화 증권을 관리하는 유동화 증권 관리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방법은 특허풀에 대한 기대 수익을 평가하여 특허풀 상품을 설계하는 단계, 및 상기 설계된 특허풀 상품에 대한 판매 대금을 기초로 상기 특허풀에 가입한 개별 특허에 대한 배당 수익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특허풀 상품을 설계하는 단계는 상기 특허풀을 이용하는 실시권자들이 향후 지불할 로얄티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로얄티를 기초로 상기 기대 수익을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기대 수익과 상기 특허풀에 대한 실시료 수수 제한 조건에 기초해서 상기 특허풀 상품의 가격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격을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대 수익과 상기 특허풀에 대한 실시료의 지분을 제한하여 상기 특허풀 상품의 가격을 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가격을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대 수익과 상기 특허풀에 대한 실시료의 수수 기간을 제한하여 상기 특허풀 상품의 가격을 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가격을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대 수익과 상기 특허풀에 대한 실시료의 지분 및 수수 기간을 제한하여 상기 특허풀 상품의 가격을 산정할 수 있다.
상기 배당 수익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특허풀에 가입된 특허들의 국가 및 존속 기간 등의 정보(특허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 대금 및 상기 특허풀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개별 특허에 대한 상기 배당 수익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당 수익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특허풀에 가입된 특허들의 존속 기간과 상기 판매 대금에 기초하여 상기 개별 특허에 대한 상기 배당 수익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특허풀 상품은 유동화 증권으로 판매되고, 상기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방법은 상기 특허풀 상품에 대해 발행된 유동화 증권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시스템의 개념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기존의 특허풀 모델과 비교할 때 도 2의 특허풀 모델에는 실시료 채권을 짧은 시간 안에 현실화하기 위한 자금 조달 시스템과, 투자자가 더 포함되어 있다.
도 2에서 특허권자는 특허풀에 가입한 특허권을 소유하고 있는 복수의 권리자들을 의미한다. 특허풀은 복수의 특허권들로 구성되며, 통상 라이센싱 대행기관(미도시됨)에 의해 운용된다.
자금조달 시스템은 라이센싱 대행기관(미도시됨)으로부터 특정 특허풀에 대한 일련의 실시료 채권들을 양수한 후 이를 기초로 특허풀 상품을 설계하고, 설계된 특허풀 상품을 판매한다. 특허풀 상품은 실시료 채권들에 기초한 파생 상품으로서 특허풀 상품을 구매한 자는 특허풀 상품의 조건에 따라 실시료 채권들에 권리를 갖는다. 다시 말하면 특허풀 상품을 구매한자는 특허풀 상품의 조건에 따라 실시권자가 지불하는 실시료를 수수하게 된다.
자금조달 시스템은 라이센싱 대행기관과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고, 라이센싱 대행기관이 자금조달 시스템을 운영할 수도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는 자금조달 시스템의 법적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고, 특허풀 상품을 설계하고 특허권자에게 특허풀의 기대수익을 짧은 시간동안 현실화시키기 위한 자금조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자금조달 시스템은 특허풀 상품을 그 자체로 판매할 수도 있지만, 특허풀 상품을 유동화증권화시켜서 판매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자금조달 시스템은 자산유동화증권(ABS) 상품들을 발행하고, ABS를 일반 자본시장(예컨대, 증권시장)의 투자자들에게 매각하고, 그 매각대금을 해당 특허풀의 특허권자에게 분배함으로써 특허권자의 자금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로 특허권자는 후속의 기술을 연구하거나 개발하는데 자금을 투자할 수 있는 여유를 갖게 된다.
통상적으로 ABS를 발행하기 위해서는 감독기관에 유동화계획을 등록할 필요가 있고, 이 때 자금조달 시스템은 감독기관의 관리 감독을 받게 된다.
이하에서는 자금조달 시스템의 구성 및 각 구성요소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은 자금조달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을 보여준다.
자금조달 시스템(100)은 특허풀 상품을 설계하는 특허풀 상품 설계부(110)와 특허풀 상품을 판매하여 얻은 수익을 분배하기 위한 수익 분배 관리부(120)를 포함한다.
특허풀 상품 설계부(110)는 특허풀로부터 향후에 발생될 수 있는 기대 수익을 평가하여 특허풀 상품을 설계한다. 특허풀에 의한 수익은 실시권자가 특허풀을 이용하는 대가로 지불하는 로얄티의 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허풀에 의한 수익은 일정하지 않고 변화하는 특성을 갖는다. 즉 실시권자가 지불할 미래의 로얄티 액수는 실시권자들의 수와 생산되는 제품의 개수 및 제품당 로얄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및 미래에 특허풀에 의한 수익(기대 수익)은 확 정적이지 않다. 기대 수익이 확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특허풀 상품 설계부(110)는 특허풀 상품을 설계할 때 특허풀에 대한 기대 수익을 평가하고, 평가된 결과를 이용하여 특허풀 상품을 설계한다. 특허풀 상품 설계부(11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수익 분배 관리부(120)는 설계된 특허풀 상품을 판매하여 얻은 대금으로부터 개별 특허에 배당될 수익을 계산한다. 개별 특허를 소유한 특허권자는 자금조달 시스템(100)에 의해 계산된 배당 수익에 해당하는 금액을 짧은 시간동안에 얻을 수 있다. 수익 분배 관리부(12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특허풀 상품은 그 자체로 판매될 수도 있지만, 유동화증권 형태로 판매될 수도 있다. 특허풀 상품이 유동화증권 형태로 판매될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금조달 시스템(100)은 발행된 유동화증권 및 유통중인 유동화증권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유동화 증권 관리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특허풀 상품 설계부를 보다 상세히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특허풀 상품 설계부(110)는 특허풀에 대한 기대 수익을 평가하기 위한 기대 수익을 평가하는 기대 수익 평가부(112)와 평가된 기대 수익에 기초해서 특허풀 상품의 가격을 산정하는 가격 산정부(114)를 포함한다.
기대 수익 평가부(112)는 특허풀을 이용하는 실시권자들이 매년 지불해야하는 로얄티를 추정하고, 추정된 로얄티를 기초로 기대 수익을 평가한다.
가격 산정부(114)는 평가된 기대 수익과 특허풀 상품의 조건(특허풀에 대한 실시료 수수 제한 조건)에 따라 특허풀 상품의 가격을 산정한다. 예를 들어 특허 풀 상품의 조건은 특허풀에 대해 실시권자가 제공하는 실시료(로얄티)의 지분일 수 있고, 특허풀에 대해 실시권자가 제공하는 실시료를 징수할 수 있는 실시료 수수 기간일 수도 있고, 양자 모두일 수도 있다. 가격 산정부(114)는 이와 같이 다양한 특허풀 상품의 조건에 따라 특정 조건의 특허풀 상품의 가격을 산정한다. 특허풀 상품의 가격을 산정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5는 도 3의 수익 분배 관리부를 보다 상세히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수익 분배 관리부(120)는 특허풀에 가입된 특허들의 정보들(특허번호, 국가, 존속기간 등)을 저장한 특허풀 데이터베이스(122)와 특허풀 상품을 판매하여 얻은 대금 중에서 개별 특허의 몫인 배당 수익을 계산하는 배당 수익 계산부(124)를 포함한다.
특허풀 데이터베이스(122)는 개별 특허에 대한 배당 비율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실시료 배당 비율이 특허가치의 가중 등에 의해 특허별로 다른 경우에 개별 특허에 대한 실시료 배당 비율에 대한 정보가 특허풀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될 수 있다.
배당 수익 계산부(124)는 특허풀 상품 판매 대금 중에서 개별 특허에 지급되어야할 배당 수익을 계산한다. 배당 수익 계산부(124)는 특허풀 상품에 실시료 수수 기간의 제한이 있는 경우에 개별 특허의 존속 기간을 고려하여 특허풀 상품의 판매 대금에 대한 배당 수익을 계산할 수 있다. 개별 특허에 대한 배당 수익을 계산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풀 상품의 가격 선정 과정을 설명 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로얄티는 제품당 1$, 실시권자는 총 3명이고, 제품당 로얄티와 실시권자의 수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한편 실시권자A는 특허풀에 대해 3년간 실시권 계약을 맺었고, 실시권자B는 특허풀에 대해 5년간 계약을 맺었으며, 실시권자C는 특허풀에 대해 20년간 계약을 맺은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실시권자A는 매년 100개의 제품을 생산하고, 실시권자B는 매년 50개의 제품을 생산하고, 실시권자C는 매년 50개의 제품을 생산하며, 제품의 생산량은 변화가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처음 3년 동안 실시권자들에 의한 제품 생산량은 매년 200개이고, 4~5년째는 매년 100개, 6년 이후는 50개가 된다.
그러므로 특허풀에 의한 수익은 표 1과 같다.
[표 1]
1 2 3 4 5 6 7 중략 18 19 20
총생산량 200 200 200 100 100 50 50 50 50 50
연간 로얄티 200 200 200 100 100 50 50 50 50 50
누적 로얄티 200 400 600 700 800 850 900 1450 1500 1550
현시점부터 3년간 특허풀의 기대수익은 600$가 되고, 현시점부터 5년간 특허풀의 기대수익은 800$가 되며, 현시점부터 20년간 특허풀의 기대수익은 1550$가 된다.
따라서 이자율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에, 3년간 실시료 수수 권한이 있는 특허풀 상품의 가격은 600$가 되고, 5년간 실시료 수수 권한이 있는 특허풀 상품의 가격은 800$가 되며, 20년간 실시료 수수 권한이 있는 특허풀 상품의 가격은 1550$ 가 된다. 이자율을 고려할 경우에 특허풀 상품의 가격은 이자율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보다 약간 떨어지게 산정된다.
통상적인 특허풀에 의한 기대 수익의 규모는 매우 크기 때문에 단일 투자자가 특허풀의 전체 지분에 대한 특허풀 상품을 구입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실시료 수수에 대한 지분을 제한한 특허풀 상품을 설계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풀 상품의 실시료 수수 지분이 0.01인 경우에 특허풀에 대한 기대이익(총 20년간의 누적 로얄티 기댓값)의 0.01배, 즉 15.5$가 특허풀 상품의 가격이 될 것이다.
특허풀 상품에 실시료 수수 기간과 지분의 제한이 모두 있는 경우에 특허풀 상품의 가격을 살펴본다. 예를 들어, 0.1 지분의 3년짜리 특허풀 상품의 가격은 60$가 되고, 0.01 지분의 7년짜리 특허풀 상품의 가격은 90$가 되며, 0.2 지분의 5년짜리 특허풀 상품의 가격은 160$가 되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이와 같이 다양한 조건에 따른 특허풀 상품의 가격이 A인 경우에 특허풀 상품의 가격(P1)은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P1=aA+b
여기서, a는 이자율을 고려한 할인율로서 0이상 1 미만의 값을 갖고, b는 특허풀 상품을 설계하고 판매하는데 필요한 부대 비용을 의미한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허풀 상품의 가격 선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제로 특허풀이 결성된 이후 해당 특허풀을 이용하는 제품의 시장이 확대되면 실시권자의 수는 증가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권자 D가 특허풀과 새로 실시권 계약을 체결할 경우에 특허풀의 실시료 수익은 증가할 것이다.
이 경우에 특허풀 상품의 가격(P2)은 수학식 2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2]
P2=aA+b+c
여기서 a, A, b는 앞서 설명한 파라미터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c는 향후 미래에 실시권자의 추가에 의한 실시료 수익의 증가분을 의미한다.
이 때 c는 현시점(특허풀 상품의 가격을 산정하는 시점)에서 알 수 없지만, 기존의 다른 특허풀에 대해 연구할 때 통계적으로 찾을 수 있는 결정할 수 있다. 실제 통계적으로 찾아진 값보다 c 값을 작게 결정할 경우에 투자자에게 유리할 수 있고, c 값을 크게 결정할 경우에 특허권자에게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특허풀 상품의 가격을 결정할 때 c 값을 적절히 결정함으로써 투자자를 유치할 수도 있고, 특허권자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도 있다.
도 6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허풀 상품의 가격 선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제로 특허풀이 결성된 이후 해당 특허풀을 이용하는 제품의 시장이 확대되면 실시권자의 수가 변화지 않을지라도 연간 생산되는 제품의 수가 증가할 수 있다. 도 6c와 도 6a를 비교하면, 도 6c의 실시권자들은 도 6a에 비해서 연간 20%의 제품 생산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에 특허풀 상품의 가격(P3)은 수학식 3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3]
P3=aA*1.2+b+c
여기서 a, A, b, c는 앞서 설명한 파라미터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이상에서 특허풀 상품을 설계하는 과정을 매우 간단한 모델을 통해 설명했지만, 이는 예시적인 설명으로 실제로는 보다 복잡한 계산 과정이 필요하다. 로얄티 단가가 변동될 수 있고(대개의 경우에 로얄티 단가는 낮아지는 경향이 있음), 실시권자의 수가 변동될 수 있고(대개의 경우에 실시권자의 수는 증가하다가 일정해지는 경향이 있음), 제품 생산량이 변동될 수도 있다(대개의 경우 제품 생산량은 특정 시점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음). 따라서 이와 같은 변동 요인을 고려할 때 특허풀 상품은 이와 같은 변동 요인을 통계적으로 모델링하고, 변동 요인에 대한 통계적 모델에 기초해서 특허풀 상품의 가격을 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당 수익을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단 투자자가 특허풀 상품을 구매하면 상품 판매 대금을 기초로 각 특허권자에게 전해질 배당 수익이 계산되어야 한다.
설명의 편의상 특허풀 상품의 판매대금은 300$/1년인 것으로 가정한다. 즉, 3년짜리 특허풀 상품의 경우에 900$이고, 5년짜리 특허풀 상품의 경우에 1500$이며, 10년짜리 특허풀 상품의 경우에 3000$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특허권자A, 특허권자B, 특허권자C의 배당 비율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예를 들어 3년짜리 특허풀 상품이 판매된 경우라면, 총 판매 대금은 900$이고 특허권자A, 특허권자B, 특허권자C의 배당 수익은 모두 300$씩으로 계산된다.
5년짜리 특허풀 상품이 판매된 경우라면, 총 판매 대금은 1500$가 된다.
특허풀 상품이 판매되지 않은 경우라도 처음 3년 동안 특허권자A, 특허권자B, 특허권자C는 매년 100$씩으로 실시료를 받는다. 그렇지만 4년차와 5년차의 실시료는 특허권자 B와 특허권자 C만 매년 150$씩 받아야 한다.
따라서 특허권자 A의 배당 수익은 300(연간 실시료)*1/3*3년=300$가 되고, 특허권자 B의 배당 수익은 300(연간 실시료)*1/3(배당 비율)*3년+300(연간 실시료)*1/2(배당 비율)*2년=600$가 되며, 특허권자 C의 배당 수익은 300(연간 실시료)*1/3(배당 비율)*3년+300(연간 실시료)*1/2(배당 비율)*2년=600$가 된다.
10년짜리 특허풀 상품이 판매된 경우라면, 총 판매 대금은 3000$가 된다.
특허풀 상품이 판매되지 않은 경우라도 처음 3년 동안 특허권자A, 특허권자B, 특허권자C는 매년 100$씩으로 실시료를 받는다. 그렇지만 4년차와 5년차의 실시료는 특허권자 B와 특허권자 C만 매년 150$씩 받고, 6년차~10년차의 실시료는 특허권자 C만 매년 300$씩 받는다.
따라서 특허권자 A의 배당 수익은 300(연간 실시료)*1/3*3년=300$가 되고, 특허권자 B의 배당 수익은 300(연간 실시료)*1/3(배당 비율)*3년+300(연간 실시료)*1/2(배당 비율)*2년=600$가 되며, 특허권자 C의 배당 수익은 300(연간 실시료)*1/3(배당 비율)*3년+300(연간 실시료)*1/2(배당 비율)*2년+300(연간 실시료)*1(배당 비율)*5년=2100$가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당 수익을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제로 특허제도는 국가독립주의를 택하고 있기 때문에, 특정 국가에서 받은 특허권은 해당 국가에서만 효력을 발휘한다. 특허풀 상품의 수수료 수수 조건이 특정 국가에 제한된 경우라면 이 때 특허별 배당 수익은 특허가 등록된 국가를 고려해야 한다.
설명의 편의상 특허풀 상품이 실시료를 수수할 수 있는 권한은 한국의 실시권자로부터 수수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와 같이 제한이 있는 특허풀 상품(한국 특허풀 상품)의 판매대금은 300$/1년인 것으로 가정한다. 즉, 3년짜리 특허풀 상품의 경우에 900$이고, 5년짜리 특허풀 상품의 경우에 1500$이며, 10년짜리 특허풀 상품의 경우에 3000$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특허권자A, 특허권자B, 특허권자C의 배당 비율은 동일하지만, 특허권자A, 특허권자B, 특허권자C는 각각 3년 잔존기간의 한국 특허권, 10년 잔조기간의 한국 특허권, 15년 잔존기간의 미국 특허권을 소유한 것으로 가정한다.
예를 들어 3년짜리 한국 특허풀 상품이 판매된 경우라면, 총 판매 대금은 900$이고 특허권자A, 특허권자B의 배당 수익은 모두 450$씩으로 계산되지만, 특허권자C는 미국 특허권을 소유하였기 때문에 배당 수익이 없다.
5년짜리 특허풀 상품이 판매된 경우라면, 총 판매 대금은 1500$가 된다.
특허풀 상품이 판매되지 않은 경우라도 처음 3년 동안 특허권자A, 특허권자B는 매년 150$씩으로 실시료를 받는다. 그렇지만 4년차와 5년차의 실시료는 특허권 자 B만 300$씩 받아야 한다.
따라서 특허권자 A의 배당 수익은 300(연간 실시료)*1/2*3년=450$가 되고, 특허권자 B의 배당 수익은 300(연간 실시료)*1/2(배당 비율)*3년+300(연간 실시료)*1(배당 비율)*2년=1050$가 되며, 특허권자 C는 배당 수익이 없다.
이와 같은 배당 수익은 특허풀 상품 판매 대금으로부터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특허권자는 짧은 시간(특허풀 상품의 설계부터 판매까지의 시간)에 금전적인 보상을 받을 수 있게 되어, 유동성 문제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배당 수익을 계산하는 과정은 매우 간략화된 모델을 기초로 설명한 것이지만, 실제 배당 수익을 계산하는 과정을 더 복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에서는 특허마다 그 배당 비율이 같은 것으로 하였지만 특허별로 그 배당 비율이 다른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시스템을 이용한 자금조달 과정을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시스템이 운영되기 위해서는 먼저 특허풀이 결성될 필요가 있다(S1). 통상적으로 특허풀의 결성은 오프라인상에서 이루어진다. 대개의 특허풀은 특허풀에 가입하려는 특허들이 특정한 기술 표준에 커버하는지 여부를 심사하고, 특정한 기술 표준을 커버하는 특허들을 특허풀에 가입시킨다. 특허풀이 결성되면(S1), 특허풀에 가입한 특허들을 소유한 특허권자들에 의해서 특허풀에 대한 라이센스 정책이 논의된다. 통상적으로 특허풀이 공정거래법이나 반독점법을 위반하지 않기 위해서는 특허풀의 라이센스 조건은 실시권자별로 차별적이지 않고, 특허풀에 가입된 개별 특허에 대한 개별 라이센스가 가능해야 한다.
특허풀이 결성되고 특허풀에 대한 라이센스 정책이 결정되면, 해당 특허풀을 이용하고자하는 실시권자들이 특허풀에 대한 실시권 계약을 체결한다(S2). 이 때 실시권자들이 지불해야할 실시료는 라이센스 정책에 따라 결정되며 비차별적이다. 특허풀에 대해 실시권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권자들이 나타나면 특허풀 상품 설계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자금조달 시스템은 특허풀에 대한 기대 수익을 평가해서 특허풀 상품을 설계한다(S3). 특허풀 상품은 실시료 채권에 대한 파생상품으로서 특허풀 상품 그 자체(권리)로 판매(유통)될 수 있지만, 유동화증권의 형태로 유통될 수도 있다.
설계된 특허풀 상품은 투자자에게 판매된다(S4).
자금조달 시스템은 특허풀 상품을 판매한 대금으로 개별 특허별 배당 수익을 계산한다(S5).
개별 특허별 배당 수익이 계산되면, 해당 특허를 소유한 특허권자에게 배당 수익이 지급된다(S6).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금조달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할 경우에 특허권자는 장시간에 걸쳐 회수해야 하는 특허권에 대한 기대수익을 비교적 짧은 시간에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특허권자는 연구개발에 필요한 자금원을 보다 손쉽게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투자자는 특허풀 상품이라는 새로운 투자 수단을 통해 자기의 이익을 실현할 수 있다. 통상의 벤처 캐피탈과 달리 특허풀 상품은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실시료 수익)이 보장되기 때문에 투자자는 적절한 특허풀 상품을 선택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에서 특허풀은 무형의 지적재산권의 집합을 대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제로 특허와 마찬가지로 무형의 지적재산권 중 중요한 것으로 저작권이 있다. 저작권도 특허권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기간(저작자 사후 50년까지) 동안은 법적 보호를 받고 이에 대해 저작권에 대한 수익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특허풀에 기반한 자금조달 시스템의 개념은 저작권을 포함한 다른 지적재산권풀에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7)

  1. 특허풀에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개별 특허가 적어도 하나의 실시권자에 의해 실시됨으로써 발생하는 장래의 수익인 기대 수익을 평가하여 투자자에게 판매할 특허풀 상품을 설계하는 특허풀 상품 설계부; 및
    상기 설계된 특허풀 상품을 상기 투자자에게 판매한 판매 대금을 기초로 상기 특허풀에 가입한 상기 개별 특허마다 대한 배당 수익을 계산하고, 상기 배당 수익을 상기 개별 특허의 특허권자에게 분배하는 수익 분배 관리부;
    를 포함하되,
    상기 특허풀 상품 설계부는
    상기 특허풀을 이용하는 상기 실시권자가 향후 지불할 로얄티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로얄티를 기초로 상기 기대 수익을 평가하는 기대 수익 평가부; 및
    상기 기대 수익과 상기 특허풀에 대한 상기 투자자의 실시료 수수 제한 조건에 기초해서 상기 특허풀 상품의 가격을 산정하는 가격 산정부;
    를 포함하는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격 산정부는
    상기 기대 수익과 상기 투자자의 상기 특허풀에 대한 실시료 수수 지분을 제한하여 상기 특허풀 상품의 가격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격 산정부는
    상기 기대 수익과 상기 투자자의 상기 특허풀에 대한 실시료의 수수 기간을 제한하여 상기 특허풀 상품의 가격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격 산정부는
    상기 기대 수익과 상기 특허풀에 대한 실시료 수수 지분 및 수수 기간을 제한하여 상기 특허풀 상품의 가격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 분배 관리부는
    상기 특허풀에 가입된 특허들의 국가 및 존속 기간 등 정보(특허풀 정보)를 저장한 특허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판매 대금 및 상기 특허풀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개별 특허에 대한 상기 배당 수익을 계산하는 배당 수익 계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당 수익 계산부는
    상기 특허풀에 가입된 특허들의 존속 기간과 상기 판매 대금에 기초하여 상기 개별 특허에 대한 상기 배당 수익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허풀 상품은 유동화 증권으로 판매되고,
    상기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시스템은 상기 유동화 증권을 관리하는 유동화 증권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시스템.
  9. 특허풀에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개별 특허가 적어도 하나의 실시권자에 의해 실시됨으로써 발생하는 장래의 수인인 기대 수익을 평가하여 투자자에게 판매할 특허풀 상품을 설계하는 단계; 및
    상기 설계된 특허풀 상품을 상기 투자자에게 판매한 판매 대금을 기초로 상기 특허풀에 가입한 상기 개별 특허마다 대한 배당 수익을 계산하고, 상기 배당 수익을 상기 개별 특허의 특허권자에게 분배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특허풀 상품을 설계하는 단계는
    상기 특허풀을 이용하는 상기 실시권자가 향후 지불할 로얄티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로얄티를 기초로 상기 기대 수익을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기대 수익과 상기 특허풀에 대한 상기 투자자의 실시료 수수 제한 조건에 기초해서 상기 특허풀 상품의 가격을 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격을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대 수익과 상기 투자자의 상기 특허풀에 대한 실시료 수수 지분을 제한하여 상기 특허풀 상품의 가격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격을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대 수익과 상기 투자자의 상기 특허풀에 대한 실시료의 수수 기간을 제한하여 상기 특허풀 상품의 가격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격을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대 수익과 상기 특허풀에 대한 실시료 수수 지분 및 수수 기간을 제한하여 상기 특허풀 상품의 가격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당 수익을 상기 개별 특허의 특허권자에게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특허풀에 가입된 특허들의 국가 및 존속 기간 등의 정보(특허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 대금 및 상기 특허풀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개별 특허에 대한 상기 배당 수익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당 수익을 상기 개별 특허의 특허권자에게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특허풀에 가입된 특허들의 존속 기간과 상기 판매 대금에 기초하여 상기 개별 특허에 대한 상기 배당 수익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허풀 상품은 유동화 증권으로 판매되고,
    상기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방법은 상기 특허풀 상품에 대해 발행된 유동화 증권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방법.
  17. 제9항 또는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특허풀 기반의 자금 조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KR1020060128698A 2006-12-15 2006-12-15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시스템 및 방법 KR100854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698A KR100854535B1 (ko) 2006-12-15 2006-12-15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698A KR100854535B1 (ko) 2006-12-15 2006-12-15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799A KR20080073799A (ko) 2008-08-12
KR100854535B1 true KR100854535B1 (ko) 2008-08-26

Family

ID=39883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698A KR100854535B1 (ko) 2006-12-15 2006-12-15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45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4720A (ja) * 1995-07-14 1997-02-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知識取引システム
KR20000012802A (ko) * 1999-12-28 2000-03-06 주진용 인터넷에서의 무체재산권 거래방법
KR20000036345A (ko) * 2000-02-14 2000-07-05 차종근 지적재산권 분할거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4720A (ja) * 1995-07-14 1997-02-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知識取引システム
KR20000012802A (ko) * 1999-12-28 2000-03-06 주진용 인터넷에서의 무체재산권 거래방법
KR20000036345A (ko) * 2000-02-14 2000-07-05 차종근 지적재산권 분할거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799A (ko) 2008-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elley Practicing in the patent marketplace
Aoki et al. Promoting access to intellectual property: patent pools, copyright collectives, and clearinghouses
US20140379531A1 (en) Method for collecting sales and use tax in real-time
KR100669224B1 (ko) 디지털저작권관리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및 사용자 제작컨텐츠 거래하는 방법
Lewis et al. Evaluating the impact of the internet on barriers to entry in the music industry
US20190362400A1 (en) Digital content commerce management device, digital content commerc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2016173808A (ja) 著作権流通システム
KR100854535B1 (ko) 특허풀 기반의 자금조달 시스템 및 방법
Altinkemer et al. Analyzing Protection Strategies for Online Software Distribution.
Gervais The economics of collective management
Uetz Same Song and Dance: FBT Productions, LLC v. Aftermath Records and the Role of Licenses in the Digital Age of Copyright Law
Huang et al. Coordination for distribution of motion pictures in the context of piracy
Gatto et al. NFT License Breakdown: Exploring Different Marketplaces and Associated License Issues
Heim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Lu Patent Valuations across Markets-Patent Price, Royalty Rate, and Damage Award, Part I: Patent Valuations Across Transaction and Licensing Markets
Olson Changing Tides in Music Licensing? BMI v. DMX and in re THP
Srivastava Cases in Management
Platkin In Search of a Compromise to the Music Industry's Used CD Dilemma
Boyer The economics fair use/dealing: copyright protection in a fair and efficient way
Majekolagbe et al. The Complexities of Music Licensing in the Digital Environment and the United States’ Music Modernization Act “Solution
Burgess et al. Parallel importation and service quality: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competition between DVDs and cinemas in New Zealand
Simson et al. From owning to using music: Transactional music attorneys struggle with a changing landscape and its financial realities
Fazzini et al. Intangible assets valuation
Benassi et al. Is There a Market for Patents?
Gheorghiu Policy Forum: Non-Fungible Tokens and Their Income Tax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9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9

Year of fee payment: 1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0048;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70105

Effective date: 2017101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