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992B1 - 전선 연결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선 연결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992B1
KR100853992B1 KR1020060104907A KR20060104907A KR100853992B1 KR 100853992 B1 KR100853992 B1 KR 100853992B1 KR 1020060104907 A KR1020060104907 A KR 1020060104907A KR 20060104907 A KR20060104907 A KR 20060104907A KR 100853992 B1 KR100853992 B1 KR 100853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wires
wire
fastening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7803A (ko
Inventor
민웅기
Original Assignee
민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웅기 filed Critical 민웅기
Priority to KR1020060104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3992B1/ko
Publication of KR20080037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6Conductive members located under tip of scre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05Intermediate parts for distributing sig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45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insertion of a wire only possible by pressing on the sp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선을 간편하고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하나의 메인전선에서 여러 갈래의 전선으로 분배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는 절연체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 다수의 방향으로 안내구(11)(11a)가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면에는 나사공(12)(12a)이 각각 형성되며, 내주연에는 고정편(13)이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10)와; 도전체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면서 "+" 라인과 "-" 라인의 한 쌍으로 형성되어 몸체(10)의 내부에 나란히 매몰되게 설치되고, 외주연에는 다수의 체결관(21)(21a)이 일체로 형성되어 몸체(10)의 안내구(11)(11a)내에 설치되는 통전관(20)(20a)과; 상기 몸체(10)의 나사공(12)(12a)에 각각 나사체결되고 별도의 절연체로 이루어져 전선(200)을 고정토록 하는 체결보울트(30);를 갖추어 구성된 것이다.
커넥터, 전선 연결용 커넥터, 전선연결구, 전선연결장치, 전선연결분배구,

Description

전선 연결용 커넥터{Electric wire join for connecter}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도1의 평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도1의 평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정단면구성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본체 10:몸체
11,11a:안내구 12,12a:나사공
13:고정편 14:푸시버튼
15:힌지축 16:스프링
17:링크 20,20a:통전관
21,21a:체결관 30:체결보울트
200:전선
본 발명은 전선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선을 간편하고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하나의 메인전선에서 여러 갈래의 전선으로 분배하는 형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의 실내외에 전선을 배선함에 있어서는 전선의 길이나 전열기구들의 위치, 또는 여러 가지 건물의 조건에 따라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전선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작업은 물론이고, 하나의 메인전선에서 여러 갈래의 전선으로 분배하는 전선분배작업 등이 필연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양측 전선의 끝단을 각각 일정간격만큼 피복한 후, 그 끝단의 벗겨진 전선끼리 서로 꼬아서 연결하고, 이어서 이의 연결부위를 별도의 절연테이프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충분히 감아서 마무리하는 방법으로 전선을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선 연결방법은 연결하고자 하는 양측 전선을 피복하여 이들의 끝단을 꼬아서 연결하는 방식임으로써 연결작업에 따른 작업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오랜 숙련공이 아니면 작업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후에도 감전이나 누선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절연테이프를 여러 번 감아서 마무리함에 따라 연결부위가 매끄럽지 못하고 외관도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오랜 사용이나 또는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높은 온도의 열이나 기타 기상조건 등에 따라서는 절연테이프의 접착력이 점차적으로 약해져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경우 틈새를 통하여 수분이 침투하게 됨으로써 감전이나 누선 등의 위험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근자에는 전선을 상호 연결토록 하는 연결 커넥터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연결 커넥터의 대체적인 구조는 일측 전선의 끝단에 콘센트를 장착하고, 타측 전선의 끝단에는 콘센트에 체결되는 플러그를 연결하여 이들을 통하여 두 개의 전선을 서로 연결토록 하는 구성임으로써 이는 각 전선에 콘센트와 플러그를 장착하는 선행작업이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 등 그 연결구조가 복잡하여 역시 숙련공이 아니면 작업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더욱이 하나의 메인 전선에서 여러 갈래의 전선으로 분배하는 형태의 연결구조에 있어서는 연결작업이 불가능한 등의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두 개의 전선을 서로 연결하거나 또는 하나의 메인전선을 통하여 여러 갈래로 전선을 연결분배토록 하는 배선작업을 보다 효과적이고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접속력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전선 연결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나의 독립된 물품으로 이루어지는 전용의 전선 연결용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상기 커넥터는 절연체인 합성수지 재질의 도너츠형으로 이루어지는 몸체의 양사방으로 여러 갈래의 전선을 체결할 수 있는 안내구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전원이 통전되는 도전체의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통전관을 "+,-"의 도전라인으로 각각 나란히 매몰되게 설치함과 동시에 이의 외주연에는 안내구를 통해 설치되어 전선을 체결할 수 있는 체결관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안내구의 나사공을 통하여 별도의 체결보울트를 나사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선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여러 갈래로 분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의 전체적인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2 내지 도4 에서는 본 발명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의 도면에서 부호 10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연결용 커넥터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커넥터의 본체(100)는 도너츠형의 원형으로 형성되면서 단면이 사각 또는 반원형 등으로 형성되는 절연체의 몸체(10)를 갖추어 구성되고, 몸체(10)의 내 부에는 전기가 통하는 도전체인 통전관(20)(20a)이 한쌍으로 매설되게 설치되며, 상기 몸체(10)의 외주연에는 다수 개의 안내구(11)(11a)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의 안내구를 통하여 통전관(20)(20a)의 체결관(21)(21a)이 설치되어 체결보울트(30)에 의해 전선(200)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몸체(10)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합성수지 재질의 절연체로 형성되면서 외주연에는 다수의 방향으로 "+,-" 두 가닥의 전선(200)이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안내구(11)(11a)가 일체로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구(11)(11a)의 상면에는 별도의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체결보울트(30)가 나사체결되는 나사공(12)(12a)이 각각 형성된다.
또, 상기 몸체(10)의 내경에는 본체(100)를 보울트, 스크류, 못 등으로서 벽면이나 기타 물품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13)이 적어도 하나 이상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내에 설치되는 통전관(20)(20a)은 역시 도너츠형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몸체(10)내에 매설되게 설치되고, 전기가 통전되는 도전체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면서 "+" 라인과 "-" 라인의 한 쌍으로 형성되어 몸체(10)의 내부에서 상,하 나란히 설치되며, 이들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체결관(21)(21a)이 일체로 형성되어 몸체(10)의 안내구(11)(11a)내에 설치된다.
즉, 상기 통전관(20)(20a)은 두 개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몸체(10)내에 일체로 매설되게 설치되는 것이며, 이는 전선(200)의 "+" 또는 " -" 선이 각각 연결되어 통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의 각 외주연상에는 다수의 방향 으로 체결관(21)(21a)이 일체로 연결되어 몸체(10)의 안내구(11)(11a)내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관(21)(21a)은 관체형으로 형성되면서 그 끝단이 몸체(10)의 안내구(11)(11a)를 통해 외향 노출되게 설치됨으로써 피복된 전선(200)이 간편하고도 손쉽게 삽입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몸체(10)의 나사공(12)(12a)과 연통되어 별도의 체결보울트(30)가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관(21)(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분배하고자 하는 갯수에 따라 그 이하 또는 그 이상의 갯수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커넥터(10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절연체의 몸체(10)와, 이의 몸체(10)내에 금속재질의 도전체인 통전관(20)(20a)이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하나의 독립된 물품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100)를 사용시에는 몸체(10)의 어느 일측 안내구(11)(11a)를 통하여 체결관(21)(21a)내로 피복된 메인 전선(200)의 "+, -"선을 각각 삽입한 후, 별도의 체결보울트(30)를 각 나사공(12)(12a)으로 나사조임함으로써 전선(200)를 커넥터(100)에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다른 전선(200)이나 또는 여러 갈래로 분배하고자 하는 전선(200)들을 전술한 동일한 방법으로 나머지 체결관(21)(21a)들에 각각 체결함으로써 손쉽게 작업을 완료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이 완료되면 메인전선(200)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체결 관(21)(21a)을 통해 각각의 통전관(20)(20a)을 거쳐서 다른 위치에 연결된 또 다른 전선(200)으로 통전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면의 도5 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도면에서 보듯이 커넥터의 본체(100a)를 "T"형으로 형성하되, 하나의 메인 전선에서 두 개의 전선으로 분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러한 경우 사용용도에 맞게 그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첨부된 도면의 도6 에서 보듯이 본체(100b)를 "+"자형으로 형성하여 하나의 전선에서 세 개의 전선으로 분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의 도7 에서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본체(100c)의 구조가 하나의 메인전선에서 좌,우 여러 갈래의 전선으로 분배가능토록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의 경우는 메인 전선에서 좌,우로 여러 갈래를 한꺼번에 분배하는 형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의 도8 및 도9 에서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이는 본체(100d)의 몸체(10)에 전선(200)을 연결함에 있어서 별도의 공구없이 원터치식으로 간편하게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수단을 갖추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 체결수단은 몸체(10)의 안내구(11)(11a)상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나사공(12)(12a)의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푸시버튼(14)과, 이 푸시버튼(14)의 하부에 힌지축(15)을 지지점으로 회동작동되도록 설치되는 링크(17)와, 링크(17)를 탄력설치토록 하는 스프링(16)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안내구(11)(11a)의 체결관(21)(21a)내로 피복된 전선(200)을 끼워맞춤하는 식으로 삽입하게 되면,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링크(17)가 힌지축(15)을 지지점으로 회동작동되면서 일측단이 전선(200)을 눌러서 고정하게 하게 되고, 이와 아울러 타측단은 푸시버튼(14)을 밀어 올려 작동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체결된 전선(200)을 분리하기 위하여 푸시버튼(14)을 눌러주면, 이의 푸시버튼(14)은 링크(17)의 일측단을 눌러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됨으로써 링크(17)는 누르고 있던 전선(200)을 놓게 되어 손쉽게 분리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면의 도9 에서 부호 18은 몸체(10)의 배면에 설치되는 양면테이프로서, 이는 본체(100)를 벽면 또는 기타 물품에 설치시 별도의 체결보울트, 스크류, 못 등을 이용하지 않고 보다 간편하고도 편리하게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용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일정한 길이로 이루어진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선을 필요로 하는 알맞은 길이만큼 간편하고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접속이 견고하고 외관이 깨끗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전선의 상호 연결할 뿐만 아니라 메인전선에서 여러 갈래의 전선으로 분배하는 형태로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보다 간편하고 손쉽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절연체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 다수의 방향으로 안내구가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면에는 나사공이 각각 형성되며, 내주연에는 고정편이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와;
    도전체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면서 "+" 라인과 "-" 라인의 한 쌍으로 형성되어 몸체의 내부에 나란히 매몰되게 설치되고, 외주연에는 다수의 체결관이 일체로 형성되어 몸체의 안내구내에 설치되는 통전관과;
    상기 몸체의 나사공에 각각 나사체결되고 별도의 절연체로 이루어져 전선을 고정토록 하는 체결보울트;를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T"형으로 형성하여 하나의 메인 전선에서 두 개의 전선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용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형으로 형성하여 하나의 메인 전선에서 세 개의 전선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용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몸체의 양측면으로 다수개의 전선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용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몸체(10)의 안내구(11)(11a)상에 각각 설치되는 푸시버튼(14)과, 이 푸시버튼(14)의 하부에 힌지축(15)을 지지점으로 회동작동되도록 설치되는 링크(17)와, 링크(17)를 탄력설치토록 하는 스프링(16)으로 구성되어 전선(200)을 원터치식으로 체결 및 분리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용 커넥터.
KR1020060104907A 2006-10-27 2006-10-27 전선 연결용 커넥터 KR100853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907A KR100853992B1 (ko) 2006-10-27 2006-10-27 전선 연결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907A KR100853992B1 (ko) 2006-10-27 2006-10-27 전선 연결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803A KR20080037803A (ko) 2008-05-02
KR100853992B1 true KR100853992B1 (ko) 2008-08-25

Family

ID=39646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907A KR100853992B1 (ko) 2006-10-27 2006-10-27 전선 연결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399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340U (ko) * 1994-08-09 1996-03-16 김승태 와이어 커넥터
KR960706206A (ko) * 1993-10-29 1996-11-08 제랄드 에프. 체니벡 와이어 커넥터(wire connector)
KR200179979Y1 (ko) * 1999-12-10 2000-04-15 김태극 전력 분배기
KR20000020870U (ko) * 1999-05-14 2000-12-15 전주영 전선 컨넥터
KR200290303Y1 (ko) * 2002-06-10 2002-09-26 이명정 전원커넥터
KR20030080486A (ko) * 2002-04-09 2003-10-17 박세재 커넥터
KR20040004090A (ko) * 2002-07-01 2004-01-13 토마스 앤드 베츠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분리가능한 전기적 커넥터 어셈블리
KR200342735Y1 (ko) 2003-11-12 2004-02-18 문동해 전선 연결용 커넥터
KR200400489Y1 (ko) * 2005-08-19 2005-11-08 코앤전자산업 주식회사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706206A (ko) * 1993-10-29 1996-11-08 제랄드 에프. 체니벡 와이어 커넥터(wire connector)
KR960009340U (ko) * 1994-08-09 1996-03-16 김승태 와이어 커넥터
KR20000020870U (ko) * 1999-05-14 2000-12-15 전주영 전선 컨넥터
KR200179979Y1 (ko) * 1999-12-10 2000-04-15 김태극 전력 분배기
KR20030080486A (ko) * 2002-04-09 2003-10-17 박세재 커넥터
KR200290303Y1 (ko) * 2002-06-10 2002-09-26 이명정 전원커넥터
KR20040004090A (ko) * 2002-07-01 2004-01-13 토마스 앤드 베츠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분리가능한 전기적 커넥터 어셈블리
KR200342735Y1 (ko) 2003-11-12 2004-02-18 문동해 전선 연결용 커넥터
KR200400489Y1 (ko) * 2005-08-19 2005-11-08 코앤전자산업 주식회사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803A (ko) 2008-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6297B1 (en) Grounded conduit bushing
CN102414927B (zh) 线缆连接装置
US4487997A (en) Electric cable
KR20180068446A (ko) 콘센트 설치 구조
KR100853992B1 (ko) 전선 연결용 커넥터
KR101562166B1 (ko) 전선 커넥터용 방수튜브
US4842530A (en) Electrical floating bond assembly
KR101626145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
KR100816282B1 (ko) 배전 선로의 분기슬리브
RU2467437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зажим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проводников
CN113612172A (zh) 一种预制装配式电气快装管线、连接装置和系统
KR20100002055A (ko)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
CN110600895A (zh) 一种电线连接头
US10714918B2 (en) Compact electrical junction box connector system
US9136633B2 (en) Terminal retainer for plug or receptacle of modular wiring system
KR100682602B1 (ko) 공동주택의 저압 인입선용 스트립
KR200333811Y1 (ko) 전선접속구
CN205621866U (zh) 一种接线帽
CN113937524B (zh) 电缆终端防护端子及其制备工艺
CN216563727U (zh) 一种快速组装的电源连接器
CN210468170U (zh) 电缆连接器连接结构及电缆连接器
KR200400489Y1 (ko)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KR20090018351A (ko) 전선 연결용 커넥터
US1256813A (en) Connecting member for electrical conductors.
JPH013940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