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989B1 - 셀 분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셀 분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989B1
KR100853989B1 KR1020070060697A KR20070060697A KR100853989B1 KR 100853989 B1 KR100853989 B1 KR 100853989B1 KR 1020070060697 A KR1020070060697 A KR 1020070060697A KR 20070060697 A KR20070060697 A KR 20070060697A KR 100853989 B1 KR100853989 B1 KR 100853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module
modules
cells
attachment 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인흠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휘닉스 디지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휘닉스 디지탈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휘닉스 디지탈테크
Priority to KR1020070060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39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65G49/066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being suspended; Suspending devices, e.g. clamps, supporting to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셀 분리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분리 장치는 스틱을 이루고 있는 복수의 셀들을 분리하며, 복수의 부착 모듈들, 제 1 이동 모듈, 및 제 2 이동 모듈을 포함한다. 복수의 부착 모듈들은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셀들 각각에 흡착하여 부착한다. 제 1 이동 모듈은 상기 복수의 부착 모듈들과 결합하며, 상기 대응하는 셀들에 각각 부착하도록 상기 복수의 부착 모듈들을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복수의 부착 모듈들이 대응하는 셀들에 각각 부착한 후 상기 복수의 부착 모듈들을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 2 이동 모듈은 상기 복수의 부착 모듈들과 결합하며, 상기 수직 이동 모듈에 의해 상기 복수의 부착 모듈들이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복수의 부착 모듈들 각각을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분리 장치는 하나의 스틱을 이루고 있는 복수의 셀들을 자동으로 한 번에 분리함으로써, 생산비를 줄이고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생산 라인을 하나의 라인으로 자동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셀 분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cell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하나의 기판에 만들어진 복수의 LCD 패널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하나의 스틱을 이루고 있는 셀들을 각각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분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셀 분리 장치가 스틱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셀 분리 장치에 의해 셀들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LCD 기판에서의 셀 분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LCD 기판에 형성된 스틱을 이루고 있는 복수의 셀들을 한 번에 자동으로 분리하는 장치 및 방 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얇고 가벼운 장점을 갖는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가 종래의 표시장치들을 대체하고 있다. 특히 핸드폰(Mobile Phone), PDA,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는 얇고 가볍게 만들어지는 것이 우선적인 과제이며,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 분야에서 평판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FED(Field Emission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이 있다. 이 중에서 LCD는 양산화,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 측면에서 장점이 있기 때문에, 현재 휴대용 전자기기 분야에서는 LCD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LCD 패널은, TV 또는 모니터에 사용되는 LCD 패널에 비해 크기가 작다. 따라서 수율을 높이기 위해서, 휴대용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LCD 패널은 하나의 LCD 기판에 복수개가 만들어진다.
도 1은 하나의 기판에 만들어진 복수의 LCD 패널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기판에는 LCD 패널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이 때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단위를 스틱(stick, 110)이라 하고, 하나하나의 LCD 패널을 셀(cell, 150)이라 하고, 그리고 스틱을 제외한 필요 없는 부분을 더미(dummy, 130)라 한다. 도 1의 기판에서는, 하나의 기판에 12개의 스틱들이 만들어지고, 하나의 스틱은 9개의 셀들로 이루어진다.
LCD 패널을 사용할 때에는, 하나의 기판에서 스틱들을 하나씩 분리하고, 각각의 스틱들에서 셀들을 하나씩 분리한 후, 분리된 셀이 하나의 LCD 패널로서 사용된다. 도 2는 하나의 스틱을 이루고 있는 셀들을 각각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셀 분리 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분리 작업은 작업대(210) 상에서 이루어진다. 먼저 기판에서 분리된 스틱(230)이 작업대(210)에 놓아진다. 이 때 작업대(210)에 놓아지는 스틱은, 셀 크기에 맞게 스크라이브(scribe)와 브레이크(break) 공정을 거친 상태의 스틱이다.
분리된 스틱(230)이 작업대(210)에 놓아진 후, 각각의 흡착 패드(270_1 내지 270_5)가 대응하는 셀에 흡착하여 부착한다. 그 후 흡착패드(270_1)를 <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셀(250)이 분리되며, 다시 흡착패드(270_1)을 <2>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분리된 셀(250)이 후속하는 공정으로 이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방법에서는, 한 번에 하나의 셀이 분리되므로 셀을 분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이에 따라 자동화 설계 시 가동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LCD 셀 모델이 다양해지는 추세를 따라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셀 분리 작업이 작업대 상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대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에 의해 셀 표면에 스크래치가 생겨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대를 이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복수의 셀들을 한 번에 분리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LCD 기판에 형성된 스틱을 이루고 있는 복수의 셀들을 한 번에 자동으로 분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LCD 기판에 형성된 스틱을 이루고 있는 복수의 셀들을 한 번에 자동으로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분리 장치는 스틱을 이루고 있는 복수의 셀들을 분리하며, 복수의 부착 모듈들, 제 1 이동 모듈, 및 제 2 이동 모듈을 포함한다. 복수의 부착 모듈들은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셀들 각각에 흡착하여 부착한다. 제 1 이동 모듈은 상기 복수의 부착 모듈들과 결합하며, 상기 대응하는 셀들에 각각 부착하도록 상기 복수의 부착 모듈들을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복수의 부착 모듈들이 대응하는 셀들에 각각 부착한 후 상기 복수의 부착 모듈들을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 2 이동 모듈은 상기 복수의 부착 모듈들과 결합하며, 상기 제 1 이동 모듈에 의해 상기 복수의 부착 모듈들이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복수의 부착 모듈들 각각을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상기 제 2 이동 모듈은 소정 위치의 부착 모듈부터 양 끝단의 부착 모듈까지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소정 위치의 부착 모듈은 중 앙에 위치한 부착 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2 이동 모듈은 일 끝단의 부착 모듈부터 다른 끝단의 부착 모듈까지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분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부착 모듈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분리 방법은 스틱을 이루고 있는 복수의 셀들을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부착 모듈들을 제 1 방향으로 이동시켜,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셀들 각각에 흡착시켜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대응하는 셀들에 부착된 복수의 부착 모듈들을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 부착 모듈들 각각을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소정 위치의 부착 모듈부터 양 끝단의 부착 모듈까지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소정 위치의 부착 모듈은 중앙에 위치한 부착 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일 끝단의 부착 모듈부터 다른 끝단의 부착 모듈까지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분리 방법은 상기 흡착시켜 부착시키는 단계 전에, 상기 복수의 셀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복수의 부착 모듈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분리 장치의 구성도로, 도 3은 셀을 분리하기 위해 셀 분리 장치가 스틱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셀 분리 장치에 의해 셀들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분리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기판에 형성된 스틱들이 각각 분리된 후, 스틱을 이루고 있는 셀들이 LCD 패널로 사용되기 위해서 스틱은 셀들로 분리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분리 장치(300)는 스틱을 이루고 있는 복수의 셀들을 각각 분리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셀 분리 장치(300)는 복수의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 제 1 이동 모듈(330), 및 제 2 이동 모듈(350)을 포함한다. 기판으로부터 분리된 스틱은 복수의 셀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복수의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은 대응하는 복수의 셀들 각각에 흡착하여 부착한다. 한편 도 3에서 셀 분 리 장치(300)는 16개의 부착 모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부착 모듈들의 개수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이동 모듈(330)은 복수의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이 대응하는 셀들에 각각 부착하도록 복수의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을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복수의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이 대응하는 셀들에 각각 부착한 후, 제 1 이동 모듈(330)은 복수의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을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을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또는 이동시킨 후 셀들이 각각 분리되는데, 셀들이 분리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방향 및 반대 방향은 수직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이러한 이동 방향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제 1 이동 모듈(330)이 복수의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제 2 이동 모듈(350)은 복수의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과 결합하며, 복수의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 각각을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2 방향은 수평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이러한 방향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2 방향이 수평방향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이동 모듈(350)은, 복수의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이 수직방향으로 상승되는 도중 또는 상승된 후에, 복수의 부착 모듈 들(310_01 내지 310_16)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2 이동 모듈(350)은 수직방향으로 상승된 후에 복수의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서는, 복수의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이 제 2 이동 모듈(350)과 결합하고, 제 1 이동 모듈(330)은 제 2 이동 모듈(350)과 결합하여 제 2 이동 모듈(350)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복수의 부착 모듈들과 제 1 이동 모듈의 연결 관계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은 제 1 이동 모듈과 직접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제 2 이동 모듈(350)은 소정 위치의 부착 모듈부터 양 끝단의 부착 모듈까지 순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 이동 모듈(350)이 중앙에 위치한 부착 모듈부터 양 끝단의 부착 모듈까지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방법으로, 제 2 이동 모듈(350)은 일 끝단의 부착 모듈부터 다른 끝단의 부착 모듈까지 순차적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이동 모듈(350)은 왼쪽 끝의 부착 모듈(310_01)부터 순차적으로 오른쪽 끝의 부착 모듈(310_16)까 지 순차적으로 부착 모듈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기판에는 LCD 패널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셀 크기의 다양한 규격에 대응하기 위해서, 복수의 부착 모듈들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셀 분리 장치(300)는 복수의 부착 모듈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복수의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은 제 2 이동 모듈(350)에 결합되는데, 복수의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의 간격을 조절하여 제 2 이동 모듈(350)에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는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간격 조절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과, 셀 분리 장치가 스틱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인 도 4, 및 셀 분리 장치에 의해 셀들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인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분리 장치(300)에 의해 셀이 분리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작업대(320)에 스틱이 놓여진 후, 제 1 이동 모듈(330)은 복수의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을 수직방향으로 하강시키고, 이에 따라 복수의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에 대응하는 복수의 셀들 각각에 흡착되어 부착된다(도 4 참조).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셀 크기의 다양한 규격에 대응하기 위해서, 제 1 이동 모듈(330)이 복수의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을 수직으로 하강시키기 전에, 복수의 부착 모듈들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그 후 제 1 이동 모듈(330)은 대응하는 셀들이 부착된 복수의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을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킨다. 한편 제 1 이동 모듈이 복수의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을 상승시키는 동안, 또는 상승시킨 후, 제 2 이동 모듈(350)이 복수의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셀들이 한 번에 각각 분리된다(도 5 참조).
이 때 제 2 이동 모듈(350)은, 다양한 방법으로 복수의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을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이동 모듈(350)은, 소정 위치의 부착 모듈, 바람직하게는 중앙에 위치한 부착 모듈부터 양 끝단의 부착 모듈까지 순차적으로 복수의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을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이동 모듈(350)은 일 끝단의 부착 모듈부터 다른 끝단의 부착 모듈까지, 바람직하게는 왼쪽 끝의 부착 모듈(310_01)부터 오른쪽 끝의 부착모듈(310_16)까지 순차적으로 복수의 부착 모듈들(310_01 내지 310_16)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 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분리 장치는 하나의 스틱을 이루고 있는 복수의 셀들을 자동으로 한 번에 분리함으로써, 생산비를 줄이고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생산 라인을 하나의 라인으로 자동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분리 장치는 스틱을 부양시킨 상태에서 셀 분리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셀 표면에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치를 방지하여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스틱을 이루고 있는 복수의 셀들을 분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셀들 각각에 흡착하여 부착하는 복수의 부착 모듈들;
    상기 복수의 부착 모듈들과 결합하며, 상기 대응하는 셀들에 각각 부착하도록 상기 복수의 부착 모듈들을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복수의 부착 모듈들이 대응하는 셀들에 각각 부착한 후 상기 복수의 부착 모듈들을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이동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부착 모듈들과 결합하며, 상기 제 1 이동 모듈에 의해 상기 복수의 부착 모듈들이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복수의 부착 모듈들 각각을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이동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이동 모듈은 일 끝단의 부착 모듈부터 다른 끝단의 부착 모듈까지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분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착 모듈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분리 장치.
  6. 스틱을 이루고 있는 복수의 셀들을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부착 모듈들을 제 1 방향으로 이동시켜,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셀들 각각에 흡착시켜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대응하는 셀들에 부착된 복수의 부착 모듈들을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 부착 모듈들 각각을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일 끝단의 부착 모듈부터 다른 끝단의 부착 모듈까지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분리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시켜 부착시키는 단계 전에, 상기 복수의 셀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복수의 부착 모듈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분리 방법.
KR1020070060697A 2007-06-20 2007-06-20 셀 분리 장치 및 방법 KR100853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697A KR100853989B1 (ko) 2007-06-20 2007-06-20 셀 분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697A KR100853989B1 (ko) 2007-06-20 2007-06-20 셀 분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3989B1 true KR100853989B1 (ko) 2008-08-25

Family

ID=39878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697A KR100853989B1 (ko) 2007-06-20 2007-06-20 셀 분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39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170Y1 (ko) * 1995-09-26 1998-12-15 신문현 기판의 자동분리장치
KR20060123211A (ko) * 2003-12-04 2006-12-01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기판 가공방법, 기판 가공장치 및 기판 반송방법, 기판반송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170Y1 (ko) * 1995-09-26 1998-12-15 신문현 기판의 자동분리장치
KR20060123211A (ko) * 2003-12-04 2006-12-01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기판 가공방법, 기판 가공장치 및 기판 반송방법, 기판반송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65198B (zh) 一种玻璃加工平台及加工玻璃的方法
CN102050566A (zh) 吸附装置
US7637799B2 (en) Substrate production apparatus for producing a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CN1577012A (zh) 放置玻璃基板用的框架
KR101265277B1 (ko) 패널 부착장치
CN104647282A (zh) 电子产品屏幕拆卸装置
KR102028913B1 (ko) 기판 탈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N212031279U (zh) 一种兼容正反面检测贴附精度的装置
KR100853989B1 (ko) 셀 분리 장치 및 방법
KR100809031B1 (ko) 스틱 분리 장치 및 방법
KR102033349B1 (ko) 커버기판 제조방법, 캐리어기판 분리장치 및 디스플레이패널 제조방법
CN1333292C (zh) 制作液晶显示器的方法
WO2015180201A1 (zh) 检测系统的修复方法
CN105538196A (zh) 手机玻璃基板夹具
KR20130078802A (ko) 기판 분리 장치
CN212221687U (zh) 一种大尺寸玻璃翻转装置
JP2011093707A (ja) 基板吸着ユニットおよび基板吸着アセンブリ
CN202217652U (zh) 一种模块化基板载物台及其应用设备
CN106695859A (zh) 一种吸嘴结构
KR102009487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 장치 및 합착 방법
CN215050670U (zh) 一种光电玻璃基板镀膜用搬运载体
KR101458473B1 (ko) 기판 분리 방법
CN108076594B (zh) Pcb板支撑交握装置及pcb板交握方法
CN210616572U (zh) 基板抓取机械手及自动光学检测设备
CN204028513U (zh) 液晶显示设备及其面框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