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753B1 - Lever switching device - Google Patents

Lever switch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753B1
KR100853753B1 KR1020070058062A KR20070058062A KR100853753B1 KR 100853753 B1 KR100853753 B1 KR 100853753B1 KR 1020070058062 A KR1020070058062 A KR 1020070058062A KR 20070058062 A KR20070058062 A KR 20070058062A KR 100853753 B1 KR100853753 B1 KR 100853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knob
locking block
state
knob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80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춘
권순학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8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37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7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69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 B60Q1/1476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comprising switch controlling means located near the free end of the lever, e.g. press buttons, rotatable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B60Q1/20Fog ligh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A lever switching device is provided to maximize reliability through a simple operation structure by using a locking block structure rotatably mounted on a switch fixing knob unit. A lever switching device(10) includes a switch housing(100), a switch knob unit(200), a locking control unit, and a return control unit. The switch housing includes a switch housing body(120) and a switch shaft. The switch shaft passes through the switch housing body to be rotated in an axial direction. The switch knob unit includes a first switch knob unit(210), a second switch knob unit, and a switch fixing knob unit(230). The first switch knob unit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switch shaft. The second switch knob unit is rotatably positioned to one end of the switch housing body. The switch fixing knob unit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witch knob units. The locking control unit restricts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 knob units.

Description

레버 스위치 장치{LEVER SWITCHING DEVICE}Lever switch device {LEVER SWITCH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lev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ev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 1 노브 캠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first knob c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스위치 제 1 노브 캠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4 is a schematic bottom view of the switch first knob cam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고정 노브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fixing kno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록킹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6 and 7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of a locking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 오프/포그 램프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다. 8 is a schematic partial plan view illustrating a lamp off / fog lamp off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 오프/전방 포그 램프 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측단면도 및 부분 평면도이다. 9 and 10 are schematic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s and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lamp off / front fog lamp 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일 램프 온 상태/전방-후 방 포그 램프 온 상태 및 헤드 램프 온 상태/전방-후방 포그 램프 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측단면도 및 부분 평면도이다. 11 to 13 are schematic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s and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tail lamp on state / front-rear fog lamp on state and head lamp on state / front-rear fog lamp 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스위치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다. 14 is a schematic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lev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레버 스위치 장치 100...스위치 하우징10 ... Lever switch unit 100 ... Switch housing

110...스위치 샤프트 120...스위치 하우징 바디110 ... switch shaft 120 ... switch housing body

200...스위치 노브부 210...스위치 제 1 노브부200 ... switch knob part 210 ... switch first knob part

220...스위치 제 1 노브 캠 230...스위치 고정 노브부220 ... switch 1st knob cam 230 ... switch fixing knob part

240...스위치 제 2 노브부 300...록킹 제어부240 ... switch second knob 300.locking control

400...리턴 제어부 500...스위치 노브 절도부400 ... return control 500 ... switch knob theft

본 발명은 레버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이트 램프 및 포그 램프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복합 기능을 갖는 레버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r switch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ver switch having a combined function that enables operation of a light lamp and a fog lamp.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 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되는데, 운전자의 조작성을 고려하여 각종 스위치들은 스티어링 부에 집약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Vehicles such as automobiles are required to function beyond various functions as a moving means as various convenient means for allowing a user to provide a more stable and comfortable driving state. Accordingly,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various convenience facilities and various switche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same. In consideration of the driver's operability, various switches tend to be concentrated in the steering unit.

예를 들어, 근래 생산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는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윈도우 스위치, 조향 라이트를 온/오프시키는 조향 라이트 스위치 및 오디오를 구동시키는 오디오 스위치,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스위치 등이 배치된다. For example, a steering wheel of a recently produced vehicle is provided with a window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a steering light switch for turning on / off a steering light, an audio switch for driving audio, a wiper switch for driving a wiper, and the like.

한편, 이러한 각종 스위치 장치와 더불어 스티어링 휠의 하단에는 스위치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SRC(Steering Roll Connector)/슬립 링(Slip Ring) 등과 같은 구성 요소들이 배치되는데, 이들 SRC와 슬립 링은 구조는 상당한 부피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제한된 스티어링 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스위치 등과 같은 다른 구성 요소들의 컴팩트화가 요구된다.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various switch devices, components such as a steering roll connector (SRC) and a slip ring (SRC) for supplying power to the switches ar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teering wheel. In terms of volume, compactness of other components such as switches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is required in order to efficiently use the limited space of the steering section.

통상적으로 라이트 스위치와 와이퍼 스위치는 레버 타입으로 형성되어 운전자의 좌측 내지 우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레버 타입으로 구성되는 스위치의 경우 레버를 회전 중심에 대하여 상하 전후 이동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원하는 소정의 모드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각종 구성 요소를 구동시킬 수 있다. In general, the light switch and the wiper switch are formed in a lever type and are arranged on the left to right side of the driver. In the case of the switch type, the light switch and the wiper switch have a predetermined mode desired by the driver by moving the lever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By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for can drive various components.

특히, 라이트 스위치의 경우, 라이트 스위치의 선택적 조작에 의하여 차량의 테일 라이트(미등) 및 헤드 라이트의 점등 및 소등 조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방 포그 램프 및/또는 후방 포그 램프의 점등 및 소등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복합 스위치로 구현된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light switch, not only the lighting and the lighting operation of the tail light (headlight) and the headlight of the vehicle can be performed by the selective operation of the light switch, but also the lighting and the lighting operation of the front fog lamp and / or the rear fog lamp can be performed. It is implemented as a composite switch.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라이트 스위치와 포그 램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복합 스위치로서의 레버 스위치는 복잡한 구조를 구비하여 조립 공정이 어렵다. 또 한, 구성 요소의 개수가 많은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제조 원가가 증대된다는 문제점을 수반하였다.However, a lever switch as a composite switch including a light switch and a fog lamp switch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complicated structure and thus an assembly process is difficult. In addition, the complicated structure with a large number of components involved a problem of increased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립성 및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레버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ver switch having a simple structure capable of increasing assembling and productivity.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위치 하우징 바디와, 축방향 회동 가능하게 상기 스위치 하우징 바디를 관통하는 스위치 샤프트를 구비하는 스위치 하우징; 상기 스위치 샤프트의 단부에 연결되는 스위치 제 1 노브부와, 상기 스위치 하우징 바디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제 2 노브부와, 상기 스위치 제 1 및 제 2 노브부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치 고정 노브부를 갖는 스위치 노브부; 상기 스위치 제 1 노브부와 상기 스위치 제 2 노브부의 상대 회동을 구속시킬 수 있는 록킹 제어부; 상기 스위치 제 1 노브부 및 상기 스위치 제 2 노브부가 사전 설정된 회전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스위치 제 1 노브부가 원위치를 향하여 복귀될 때 상기 스위치 제 2 노브부도 함께 복귀시키는 리턴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록킹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 하우징 바디를 향하여 상기 스위치 제 1 노브부에 배치되는 록킹 가동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의 축방향과 교차되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스위치 고정 노브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록킹 가동부와 접하는 록킹 블록과, 상기 록킹 블록과 상기 스위치 고정 노브부 사이에 배치되는 록킹 블록 탄성 부재와, 상기 스위치 제 2 노브부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 블록의 하단 과 접촉 가능한 록킹 블록 스톱퍼를 구비하는 레버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witch housing having a switch housing body and a switch shaft through the switch housing body axially rotatable; A switch first knob portion connected to an end of the switch shaft, a switch second knob portion rotatably disposed at one end of the switch housing body, and a switch fixing knob disposed between the switch first and second knob portions A switch knob portion having a portion; A locking control part capable of restraining relative rotation of the switch first knob part and the switch second knob part; And a return control section for returning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together with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when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and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are in a preset rotation state. The locking control part may include: a locking movable part disposed in the switch first knob part toward the switch housing body, and rotatably disposed in the switch fixing knob part about an axis crossi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witch shaft. A lever switch device having a locking block in contact with the lock block; a locking block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locking block and the switch fixing knob portion; and a locking block stopper provided in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to be in contact with a lower end of the locking block. To provide.

상기 레버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 1 노브부는, 제 1 노브 오프, 제 1 노브 서브 온, 제 1 노브 메인 온의, 그리고 상기 스위치 제 2 노브부는, 제 2 노브 서브 온, 제 2 노브 메인 온의 회전 상태를 순차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제 2 노브부는, 상기 스위치 제 1 노브부가 상기 제 1 노브 서브 온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2 노브 메인 온 상태로 회동 가능할 수도 있다. In the lever switch device,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is the first knob off, the first knob sub-on, the first knob main on, and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is the second knob sub-on, the second knob main. It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on state of on sequentially, and said switch second knob portion may be rotatable to the second knob main on state when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is in the first knob sub-on state.

또한, 상기 스위치 제 1 노브부는, 제 1 노브 오프, 제 1 노브 서브 온, 제 1 노브 메인 온의, 그리고 상기 스위치 제 2 노브부는, 제 2 노브 서브 온, 제 2 노브 메인 온의 회전 상태를 순차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제 1 노브부가 상기 제 1 노브 서브 온 상태를 그리고 상기 스위치 제 2 노브부가 상기 제 2 노브 메인 온 상태에 있고 상기 스위치 제 1 노브부가 상기 제 1 노브 오프 상태를 향하여 복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 제 2 노브부는 상기 제 2 노브 서브 온 상태로 복귀 회전될 수도 있다.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may include a first knob off, a first knob sub on, and a first knob main on, and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rotate a second knob sub on and a second knob main on. And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is in the first knob sub-on state,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is in the second knob main on state, and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is returned toward the first knob off state. When rotated,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may be rotated back to the second knob sub-on state.

또한, 상기 록킹 블록은,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고정 노브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록킹 블록 회동 중심부와, 상기 스위치 제 1 노브부를 향하여 형성되어 상기 록킹 블록 가동부와 접촉 가능한 록킹 블록 가동 돌기와, 상기 스위치 제 2 노브부를 향하여 형성되어 상기 록킹 블록 스톱퍼와 접촉 가능한 록킹 블록 걸림 돌기를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록킹 블록은 상기 스위치 제 1 노브부를 향한 일면에 상기 록킹 블록 탄성 부재의 일단을 수용하기 위한 록킹 블록 탄성 부재 수용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으며, 상기 리턴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 제 1 노브 부에 상기 스위치 제 2 노브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고정 노브부를 관통하는 리턴 가동부와, 상기 스위치 제 2 노브부에 상기 리턴 가동부와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리턴 가동 대응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The locking block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block pivotal center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locking block pivotal part rotatably mounted to the switch fixing knob part; and a locking block movable projection formed toward the switch first knob part to be in contact with the locking block movable part; It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block locking projection formed toward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and in contact with the locking block stopper, the locking block for locking one end of the locking block elastic member on one surface facing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A block elastic member accommodating part may be further provided, wherein the return control part comprises: a return movable part extending from the switch first knob part toward the switch second knob part and penetrating the switch fixing knob part, and the switch second knob part; A return movable formed in contact with the return movable portion Response may include portions.

또한, 상기 레버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스위치 제 1 노브부의 작동을 절도시키기 위한 스위치 노브 제 1 절도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스위치 제 2 노브부의 작동을 절도시키기 위한 스위치 노브 제 2 절도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lever switch device, the switch knob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knob first theft portion for steal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and the switch knob portion may steal the operation of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It may be provided with a switch knob for the second theft.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 스위치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lev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스위치 장치(1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레버 스위치 장치(1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스위치 장치(10)는 스위치 하우징(100)과, 스위치 노브부(200)와, 록킹 제어부(300)와, 리턴 제어부(400)를 구비한다. 스위치 하우징(100)은 스위치 샤프트(110)와 스위치 하우징 바디(120)를 구비하고, 스위치 노브부(200)는 스위치 제 1 노브부(210)와, 스위치 고정 노브부(230)와, 스위치 제 2 노브부(240)를 구비하고, 록킹 제어부(300)는 스위치 제 1 노브부(210)와 스위치 제 2 노브부(240)의 상대 회동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 노브부(200)에 구비되고, 리턴 제어부(400)는 스위치 제 1 노브부(210)와 스위치 제 2 노브부(240)가 사전 설정된 회전 상태에 있는 경우, 스위치 제 1 노브부(210)가 원위치를 향하여 복귀될 대 상기 스위치 제 2 노브부(240)도 스위치 제 1 노브부(210)와 함께 복귀되도록 한다. 1 show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lever switch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ever switch device 10. The lever switch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tch housing 100, a switch knob unit 200, a locking control unit 300, and a return control unit 400. The switch housing 100 includes a switch shaft 110 and a switch housing body 120. The switch knob part 200 includes a switch first knob part 210, a switch fixing knob part 230, and a switch agent. And a second knob part 240, and the locking control part 300 is provided in the switch knob part 200 to restrain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switch first knob part 210 and the switch second knob part 240. When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and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are in a preset rotation state, the return control unit 400 returns the switch when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second knob part 240 also returns with the switch first knob part 210.

도 3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스위치 장치(10)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및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3 to 7 are schematic perspective and plan views of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lever switch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스위치 하우징(100)의 스위치 샤프트(110)는 하기되는 스위치 하우징 바디(120)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스위치 샤프트(110)의 일단에는 스위치 제 1 노브부(210)가 장착되고, 스위치 고정 노브부(230) 및 스위치 제 2 노브부(240)는 스위치 샤프트(110)에 의하여 관통되어 고정 또는 회동 가능하게 스위치 샤프트(110) 상에 배치된다. 스위치 샤프트(110)는 스위치 샤프트 코어(111)와 스위치 샤프트 바디(113)를 구비하는데, 스위치 샤프트 코어(111)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113)의 중앙에 형성된 내부 관통구에 삽입 배치되고 스위치 샤프트 바디(113)의 단부에는 레버 회동 작동부(115)가 형성되어 레버 스위치 장치(10)의 회동 운동을 다른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또는 레버 스위치 장치(10)의 회동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스위치 샤프트 바디(113)를 관통하는 스위치 샤프트 코어(111)의 단부에는 코어 장착부(112)가 구비되는데, 코어 장착부(112)는 하기되는 스위치 제 1 노브부(210)와 연결됨으로써 스위치 제 1 노브부(210)의 회동 운동은 스위치 샤프트 코어(111)로 전달된다. 레버 회동 장동부(115)의 단부측에는 하기되는 스위치 제 1 노브부(210)의 작동에 따라 작동 상태를 변환시키는 구성요소가 더 구비된다. 예를 들어, 스위치 샤프트 코어(111)의 회동에 의하여 가동되는 슬라이더(미도시)와, 슬라이더에 장착되는 가동 접점(미도시)과, 가동 접점과 전기적 접속 상태를 절환시키 는 고정 접점(미도시)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같은 전기적 절환 요소들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들 구성요소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요소들인바 본 발명에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 기술은 생략한다. The switch shaft 110 of the switch housing 100 is disposed through the switch housing body 120 to be described below. A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is mounted at one end of the switch shaft 110, and the switch fixing knob portion 230 and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are penetrated by the switch shaft 110 to be fixed or rotated. Is disposed on the switch shaft 110. The switch shaft 110 has a switch shaft core 111 and a switch shaft body 113, the switch shaft core 111 is inserted into the inner through-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witch shaft body 113 and the switch shaft body At the end of the 113, a lever pivoting operation 115 is formed to transmit the pivoting motion of the lever switch device 10 to other components or to enable the pivoting motion of the lever switch device 10. An end portion of the switch shaft core 111 penetrating through the switch shaft body 113 is provided with a core mounting portion 112. The core mounting portion 112 is connected to a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to be described below.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art 210 is transmitted to the switch shaft core 111. An end side of the lever pivot drive unit 115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mponent for changing the operation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witch first knob unit 210 described below. For example, a slider (not shown) operated by rotation of the switch shaft core 111, a movable contact (not shown) mounted on the slider, and a fixed contact (not shown) for switching the electrical contact state with the movable contact. Electrical switching elements, such as a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having a) may be further provided, these components are conventional element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o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

스위치 하우징 바디(120)는 차량(미도시)의 스티어링 휠(미도시) 측에 장착되고, 스위치 하우징 바디(120)의 일단은 스위치 고정 노브부(230)의 장착을 허용하는 구조를 취한다. The switch housing body 120 is mounted on a steering wheel (not shown) side of the vehicle (not shown), and one end of the switch housing body 120 takes a structure to allow mounting of the switch fixing knob 230.

스위치 노브부(200)는 스위치 제 1 노브부(210)와, 스위치 고정 노브부(230)와, 스위치 제 2 노브부(240)를 포함한다. 스위치 제 1 노브부(210)는 스위치 샤프트(110)의 일단에 배치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 1 노브부(210)는 스위치 제 1 노브 캡(210a)과 스위치 제 1 노브 캠(220)을 구비한다. 도 3에는 스위치 제 1 노브 캠(22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스위치 제 1 노브 캠(220)에 대한 개략적인 저면도가 도시된다. 스위치 제 1 노브 캠(220)은 스위치 제 1 노브 캠(220)은 스위치 제 1 노브 캡(210a)의 내부에 배치되어 운전자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스위치 제 1 노브 캡(210a)과 함께 스위치 샤프트(110)를 중심으로 축방향 회동한다. 스위치 제 1 노브 캡(210a)의 외주에는 운전자로 하여금 우수한 그립감을 제공하기 위한 캡 그립홈이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치 제 1 노브 캠(220)의 중심에는 캠 관통구(221)가 구비되고, 캠 관통구(221)의 내주에는 캠 샤프트 장착부(222)가 구비되는데, 캠 샤프트 장착부(222)는 스위치 샤프트 코어(111)의 일단에 형성된 코어 장착부(112)와 맞물리어 결합됨으로써, 스위치 제 1 노브 캠(220)은 스위치 샤프트(110)에 고정 장착된다. 스위 치 제 1 노브 캠(220)의 외주에는 캠 장착 돌기(225)가 구비되는데, 캠 장착 돌기(225)는 스위치 제 1 노브 캡(210a)에 형성된 캠 장착 돌기 대응부(215)와 맞물리어 결합됨으로써, 스위치 제 1 노브 캡(210a)과 스위치 제 1 노브 캠(2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운전자에 의하여 스위치 제 1 노브 캡(210a)에 전달되는 회동력은 스위치 제 1 노브 캡(210a)을 통하여 스위치 샤프트(110)로 전달될 수 있다. The switch knob part 200 includes a switch first knob part 210, a switch fixing knob part 230, and a switch second knob part 240.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switch shaft 110.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tch first knob cap 210a and a switch first knob. Cam 220 is provided. 3 show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switch first knob cam 220, and FIG. 4 shows a schematic bottom view of the switch first knob cam 220. The switch first knob cam 220 is the switch first knob cam 220 is disposed inside the switch first knob cap 210a and the switch shaft together with the switch first knob cap 210a by the rotational force provided from the driver. Rotate axially about (110). A cap grip groove may be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witch first knob cap 210a to provide an excellent grip feeling to the driver. A cam through hole 221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witch first knob cam 220, and a cam shaft mount 222 is provided at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cam through hole 221. The cam shaft mount 222 is a switch shaft core. By engaging with the core mounting portion 112 formed at one end of the 111, the switch first knob cam 220 is fixedly mounted to the switch shaft 110. A cam mounting protrusion 225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witch first knob cam 220, and the cam mounting protrusion 225 meshes with the cam mounting protrusion corresponding portion 215 formed in the switch first knob cap 210a. By combining, the coupling between the switch first knob cap 210a and the switch first knob cam 220 may be achieved, whereby the turning force transmitted by the driver to the switch first knob cap 210a is controlled by the switch first knob. It may be delivered to the switch shaft 110 through the cap (210a).

스위치 고정 노브부(230)는 스위치 하우징 바디(120)의 일단에 고정 장착되는데, 도 5에는 스위치 고정 노브부(23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된다. 스위치 고정 노브부(230)의 중심에는 이를 관통하는 고정 노브 관통구(231)가 구비되고, 고정 노브 관통구(231)에는 스위치 샤프트(110)가 관통 배치되는데, 스위치 샤프트(110)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113)의 외주면에는 고정 노브 장착부(114)가 구비되어 고정 노브 장착부(114)가 고정 노브 관통구(231)에 삽입 장착된다. 고정 노브 장착부(114)와 고정 노브 관통구(231)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함으로써, 스위치 고정 노브부(230)가 스위치 샤프트(110)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113)에 대하여 축방향 회전이 구속된다. The switch fixing knob 230 is fixedly mounted to one end of the switch housing body 120, and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switch fixing knob 230 is illustrated in FIG. 5. A fixed knob through hole 231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switch fixing knob 230, and a switch shaft 110 is disposed through the fixed knob through hole 231, and the switch shaft of the switch shaft 110 is provide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3 is provided with a fixed knob mounting portion 114 so that the fixed knob mounting portion 114 is inserted into the fixed knob through hole 231. The fixed knob mounting portion 114 and the fixed knob through-hole 231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 switch fixed knob portion 230 is axially constrained with respect to the switch shaft body 113 of the switch shaft 110. do.

스위치 제 2 노브부(240)는 스위치 제 2 노브(240a)와 가동 접점부(260)를 포함하는데, 스위치 제 2 노브(240a)는 스위치 하우징 바디(120)의 일단에 배치된다. 스위치 제 2 노브(240a)에는 제 2 노브 관통구(242)가 구비되고 제 2 노브 관통구(242)를 스위치 샤프트(110)가 관통함으로써, 스위치 제 2 노브(240a)가 스위치 샤프트(110)를 중심으로 축회동 가능하다. 또한, 스위치 제 2 노브(240a)의 외 주에는 운전자의 그립감을 증대시키기 위한 제 2 노브 그립 돌기가 구비된다. 가동 접점부(260)는 스위치 제 2 노브(240a)의 스위치 하우징 바디(120)를 향한 일면에 배치되고 가동 접점부(260)와 스위치 하우징 바디(260)의 사이에는 제 2 노브 인쇄회로기판(250)이 배치된다. 제 2 노브 인쇄회로기판(250)의 일면으로 가동 접점부(260)를 향한 일면에는 복수 개의 고정 접점(미도시)과 배선(미도시)이 배치됨으로써, 스위치 제 2 노브(240a)의 회동에 따라 전기적 접속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includes a switch second knob 240a and a movable contact portion 260. The switch second knob 240a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switch housing body 120. The switch second knob 240a is provided with a second knob through hole 242 and the switch shaft 110 penetrates the second knob through hole 242 so that the switch second knob 240a is connected to the switch shaft 110. It is possible to pivot around it. In addition, a second knob grip protrusion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witch second knob 240a to increase a driver's grip. The movable contact portion 260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witch second knob 240a facing the switch housing body 120 and between the movable contact portion 260 and the switch housing body 260 is a second knob printed circuit board ( 250) is placed. A plurality of fixed contacts (not shown) and wires (not shown) ar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knob printed circuit board 250 facing the movable contact portion 260 to rotate the switch second knob 240a. Therefore,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can be changed.

록킹 제어부(300)는 스위치 제 1 노브부(210)와 스위치 제 2 노브부(240)의 상태 회동을 구속시킨다. 록킹 제어부(300)는 록킹 블록(310)과 록킹 가동부(320)와 록킹 블록 스톱퍼(340)와 록킹 블록 탄성 부재(330)를 구비하는데, 록킹 가동부(320)는 스위치 하우징 바디(120)를 향하여 스위치 제 1 노브부(210)에 배치되고, 록킹 블록(310)은 록킹 가동부(320)와 접촉하여 가동 가능하도록 스위치 제 2 노브부(240)와 스위치 고정 노브부(230) 사이에 배치되며, 록킹 블록 탄성 부재(330)는 록킹 블록(310)과 스위치 고정 노브부(230) 사이에 배치되어 록킹 블록(31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The locking control unit 300 restrains state rotation of the switch first knob unit 210 and the switch second knob unit 240. The locking control unit 300 includes a locking block 310, a locking movable unit 320, a locking block stopper 340, and a locking block elastic member 330, and the locking movable unit 320 faces the switch housing body 120. It is disposed in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the locking block 310 is disposed between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and the switch fixed knob 230 to be movable in contact with the locking movable portion 320, The locking block elastic member 330 is disposed between the locking block 310 and the switch fixing knob 230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locking block 310.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가동부(320)는 스위치 하우징 바디(120)를 향하여 스위치 제 1 노브부(210)의 스위치 제 1 노브 캠(22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데, 록킹 가동부(320)는 스위치 고정 노브부(230)에 형성된 록킹 가동부 관통구(238)을 관통하여 스위치 제 2 노브부(240)를 향하여 배치된다. 록킹 가동부 관통구(238)을 형성하는 외주 일측에는 록킹 블록 회동 방지부(237)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록킹 블록 회동 방지부(237)는 록킹 블록(310)의 과도하게 회동하여 정해지 회동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록킹 가동부(320)는 록킹 블록(310)의 일면과 접하는 구조를 취하는데, 록킹 가동부(320)의 회동에 따른 힘이 록킹 블록(310)에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록킹 가동부(320)의 단부는 라운딩 처리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블록(310)은 록킹 블록 회동 중심부(310a)와, 록킹 블록 가동 돌기(311)와, 록킹 블록 걸림 돌기(313)를 구비하는 구조를 취하고, 록킹 블록(310)의 일면은 록킹 블록 가동부 접촉면(312;312a,312b,312c)를 포함한다. 스위치 고정 노브(230)에는 록킹 블록(310)의 가동을 허용하며 이를 수용하는 록킹 블록 수용부(217, 도 5 참조)가 구비된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locking movable part 320 extends from one end of the switch first knob cam 220 of the switch first knob part 210 toward the switch housing body 120. The movable part 320 is disposed toward the switch second knob part 240 through the locking movable part through hole 238 formed in the switch fixing knob part 230. A locking block anti-rotation part 237 may be further provided at an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locking movable part through hole 238, and the locking block anti-rotation part 237 is excessively rotated of the locking block 310 to be fixed. Out of range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although not clearly shown here, the locking movable unit 320 has a structur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locking block 310, the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ocking movable unit 320 is smoothly transmitted to the locking block 310. The end of the locking movable part 320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rounded. 6 and 7, the locking block 310 has a structure including a locking block pivot center portion 310a, a locking block movable protrusion 311, and a locking block locking protrusion 313, and locking the locking block 310. One surface of the block 310 includes locking block movable contact surfaces 312; 312a, 312b, and 312c. The switch fixing knob 230 is provided with a locking block accommodating part 217 (see FIG. 5) for allowing the locking block 310 to operate and accommodating the locking block 310.

록킹 블록 회동 중심부(310a)는 록킹 블록(310)의 측면에 형성되는데, 여기서 록킹 블록 회동 중심부(310a)의 인근에는 록킹 블록 수용부(217)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록킹 블록 회동 장착부(239)의 진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진입 요홈이 더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록킹 블록(310)이 록킹 블록 회동 장착부(239)가 형성된 록킹 블록 수용부(217)에 삽입 수용됨으로써, 록킹 블록(310)은 레버 스위치 장치(10)의 길이 방향에 선 A-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여기서, 록킹 블록 회동 중심부(310a)는 요홈 타입으로 그리고 록킹 블록 회동 장착부(239)는 돌기 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이들 구성이 서로 반대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The locking block pivot center part 310a is formed at the side of the locking block 310, where the locking block pivot mounting part 239 is formed at the inner side of the locking block accommodating part 217 near the locking block pivot center part 310a. It is also possible to take a structure in which an entry recess is further formed in order to facilitate entry. As the locking block 31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block accommodating part 217 in which the locking block pivot mounting part 239 is formed, the locking block 310 can be rotated about the line A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ver switch device 10. Do. Here, the locking block pivot center portion 310a is shown as a groove type and the locking block pivot mounting portion 239 is configured as a protrusion type, but in some cases, these configurations may have structures opposite to each othe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스위치 제 1 노브부(210)를 향한 록킹 블록(310)의 일면은 록킹 가동부(320)와 접촉하는데, 록킹 블록(310)의 일단에는 록킹 블록 가동 돌기(311)가 구비된다. 록킹 블록 가동 돌기(311)는 록킹 블록(310)의 일면으로부터 스위치 제 1 노브부(210) 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별도의 구성요소로 형성되어 록킹 블록에 장착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One surface of the locking block 310 facing the switch first knob part 210 is in contact with the locking movable part 320, and one end of the locking block 310 is provided with a locking block movable protrusion 311. The locking block movable protrusion 311 has a structure that protrudes from one surface of the locking block 310 toward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and is formed as a separate component to be mounted to the locking block.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s well.

록킹 블록(310)의 타면으로 록킹 블록 가동 돌기(311)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록킹 블록 걸림 돌기(313)가 구비되고, 록킹 블록 스톱퍼(340)는 스위치 제 2 노브부(240)의 스위치 제 2 노브(240a)에 형성된다. 록킹 블록 걸림 돌기(313)는 록킹 블록(310)이 록킹 블록 가동부(320)에 의하여 가동되어 록킹 블록(310)이 록킹 블록 수용부(217) 및 록킹 블록 회동 장착부(239)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록킹 블록(310)의 일부가 스위치 제 2 노브부(240)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경우, 록킹 블록 걸림 돌기(313)는 록킹 블록 스톱퍼(340) 측을 향하여 배치됨으로써 록킹 블록 걸림 돌기(313)와 록킹 블록 스톱퍼(340)는 서로 접촉 가능하다. A locking block locking protrusion 313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block movable protrusion 311 to the other surface of the locking block 310, and the locking block stopper 340 is a switch second of the switch second knob part 240. It is formed in the knob 240a. The locking block engaging projection 313 is moved by the locking block 310 by the locking block movable part 320 so that the locking block 310 rotates around the locking block accommodating part 217 and the locking block pivot mounting part 239. When a part of the locking block 310 is disposed to be inclined toward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the locking block locking protrusion 313 is disposed toward the locking block stopper 340 side, thereby locking the locking block locking protrusion 313. And the locking block stopper 340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록킹 블록(310)의 일면, 즉 스위치 제 1 노브부(210)를 향한 일면으로 록킹 블록 가동 돌기(311)의 반대편에는 록킹 블록 탄성 부재 수용부(315)가 구비된다. 록킹 블록 탄성 부재 수용부(315)에는 록킹 블록 탄성 부재(330)의 일단이 탄성 변형 가능하게 수용되는데, 록킹 블록 탄성 부재(330)의 타단은 스위치 고정 노브부(230)에 형성되는 고정 노브 탄성 부재 수용부(232)에 수용됨으로써, 록킹 블록 탄성 부재(330)가 록킹 블록(310)과 스위치 고정 노브부(23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사이에 일정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The locking block elastic member accommodating part 315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locking block 310, that i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ocking block movable protrusion 311 toward one surface facing the switch first knob part 210. One end of the locking block elastic member 330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locking block elastic member accommodating part 315, and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block elastic member 330 is fixed knob elastic formed in the switch fixing knob part 230. By being received by the member receiving portion 232, the locking block elastic member 330 is disposed between the locking block 310 and the switch fixing knob 230 to provide a constant elastic restoring force therebetween.

리턴 제어부(400)는 스위치 제 1 노브부(210) 및 스위치 제 2 노브부(240)가 사전 설정된 회전 상태에 있는 경우, 스위치 제 1 노브부(210)가 원위치를 향하여 복귀될 때 스위치 제 2 노브부(240)도 함께 복귀시킨다. 리턴 제어부(400)는 리턴 가동부(410)와 리턴 가동 대응부(420)를 구비한다. 리턴 가동부(410)는 스위치 하우징 바디(120)를 향하여 스위치 제 1 노브부(210)의 스위치 제 1 노브 캠(220)의 단부에 배치되고, 리턴 가동 대응부(420)는 스위치 고정 노브부(240)에 형성되는데, 스위치 고정 노브(230)에는 리턴 가동부(410)의 관통을 허용하도록 리턴 가동부 관통구(235)가 구비된다. 따라서, 리턴 가동부(410)는 스위치 제 1 노브 캠(220)의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리턴 가동부 관통구(235)를 관통하여 리턴 가동 대응부(420)와 맞닿을 수 있도록 배치된다. The return control unit 400 switches the switch second when the switch first knob unit 21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switch first knob unit 210 and the switch second knob unit 240 are in a preset rotation state. The knob unit 240 is also returned. The return control unit 400 includes a return movable unit 410 and a return movable counterpart 420. The return movable portion 410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switch first knob cam 220 of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toward the switch housing body 120, and the return movable counterpart 420 is a switch fixing knob portion ( It is formed in the 240, the switch fixing knob 230 is provided with a return movable portion through hole 235 to allow the passage of the return movable portion 410. Therefore, the return movable part 41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end of the switch first knob cam 220 and to be in contact with the return movable counterpart 420 through the return movable part through hole 235.

스위치 노브 절도부(500)는 스위치 노브 제 1 절도부(510)와 스위치 노브 제 2 절도부(520)를 포함하는데, 스위치 노브 제 1 절도부(510)는 스위치 제 1 노브부(210)의 절도 회동을 이루고, 스위치 노브 제 2 절도부(520)는 스위치 제 2 노브부(240)의 절도 회동을 이룬다. 스위치 노브 제 1 절도부(510)는 스위치 노브 제 1 절도볼(511)과, 스위치 노브 제 1 절도 탄성 부재(513)와, 스위치 노브 제 1 절도산(515)를 포함한다. 스위치 고정 노브부(230)의 스위치 제 1 노브부(210)를 향한 일면에는 절도 탄성 부재 수용부(232)가 구비되고, 절도 탄성 부재 수용부(232)에는 절도 탄성 부재 수용구(234)가 형성되는데, 절도 탄성 부재 수용구(234)에는 스위치 노브 제 1 절도 탄성 부재(513)가 수용된다. The switch knob theft part 500 includes a switch knob first theft part 510 and a switch knob second theft part 520, and the switch knob first theft part 510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switch first knob part 210. The theft knob rotation is performed, and the switch knob second theft section 520 is theft rotation of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The switch knob first theft part 510 includes a switch knob first theft ball 511, a switch knob first theft elastic member 513, and a switch knob first theft 515. The one side of the switch fixing knob 230 toward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is provided with a theft elastic member receiving portion 232, the theft elastic member receiving portion 232 is a theft elastic member receiving opening 234 The switch knob first theft elastic member 513 is accommodated in the theft elastic member receiving opening 234.

스위치 노브 제 1 절도산(515)은 스위치 제 1 노브부(210)의 스위치 제 1 노 브 캠(220, 도 4 참조)에 형성되고, 스위치 노브 제 1 절도볼(511)은 스위치 노브 제 1 절도산(515)과 스위치 절도 탄성 부재 수용구(236)에 수용된 스위치 노브 제 1 절도 탄성 부재(513)와 접하는데, 스위치 노브 제 1 절도산(515)은 사전 설정된 회동 상태를 형성하기 위한 절도산 구조를 취하고 스위치 노브 제 1 절도 탄성 부재(513)에 의하여 초기 탄성력이 제공됨으로써, 스위치 제 1 노브부(210)가 스위치 고정 노브부(230)에 대하여 복수 개의 선택적인 회동 상태를 이룰 수 있다. The switch knob first theft 515 is formed in the switch first knob cam 220 (see FIG. 4) of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and the switch knob first theft ball 511 is the switch knob first. The knob knob 515 and the switch knob elastic member receiver 236 accommodated in the switch knob first theft elastic member 513, the switch knob first theft 515 is theft to form a preset rotation state. By taking the mount structure and providing the initial elastic force by the switch knob first sectional elastic member 513,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can achieve a plurality of selective rotation states with respect to the switch fixing knob portion 230. .

또한, 스위치 노브 제 2 절도부(520)는 스위치 노브 제 2 절도볼(521)과, 스위치 노브 제 2 절도 탄성 부재(523)와, 스위치 노브 제 2 절도산(525)를 포함한다. 스위치 제 2 노브부(240)의 스위치 고정 노브(230)를 향한 일면에는 절도 탄성 부재 수용부가 형성되어 스위치 노브 제 2 절도 탄성 부재(523)가 수용된다. In addition, the switch knob second theft part 520 includes a switch knob second theft ball 521, a switch knob second theft elastic member 523, and a switch knob second theft 525. On one surface of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toward the switch fixing knob 230, a theft-shaped elastic member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second switch knob-theft elastic member 523.

스위치 노브 제 2 절도산(525, 도 5 참조)은 스위치 고정 노브(230)의 스위치 제 2 노브부(240)를 향한 일면에 형성된다. 스위치 노브 제 2 절도볼(521)은 스위치 노브 제 2 절도산(525)과 스위치 절도 탄성 부재 수용부에 수용된 스위치 노브 제 2 절도 탄성 부재(523)과 접하는데, 스위치 노브 제 2 절도산(525)은 사전 설정된 회동 상태를 형성하기 위한 절도산 구조를 취하고 스위치 노브 제 2 절도 탄성 부재(523)에 의하여 초기 탄성력이 제공됨으로써, 스위치 제 2 노브부(240)가 스위치 고정 노브부(230)에 대하여 복수 개의 선택적인 회동 상태를 이룰 수 있다. The switch knob second stealing peak 525 (see FIG. 5)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witch fixing knob 230 facing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The switch knob second theft ball 521 is in contact with the switch knob second theft 525 and the switch knob second theft elastic member 523 accommodated in the switch theft resilient member receiving portion. ) Takes the theft structure to form a preset rotational state and the initial elastic force is provided by the switch knob second theft elastic member 523, whereby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to the switch fixing knob portion 230 A plurality of selective rotation states can be achiev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레버 스위치 장치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ev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스위치 장치(10)의 스위치 제 1 노브부(210)는, 제 1 노브 오프, 제 1 노브 서브 온, 제 1 노브 메인 온의 회전 상태를 순차적으로 구비할 수 있는데, 레버 스위치 장치(10)는 라이트 램프 및 포그 램프의 작동 상태를 전환시키기 위한 레버 스위치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제 1 노브 오프는 램프 오프 상태를, 제 1 노브 서브 온은 테일 램프(tail lamp) 온 상태를, 그리고 제 1 노브 메인 온 상태는 헤드 램프(head light lamp) 온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제 2 노브부(240)는, 제 2 노브 오프, 제 2 노브 서브 온 및 제 2 노브 메인 온의 회전 상태를 포함하는데, 제 2 노브 오프는 포그 램프 오프 상태를, 제 2 노브 서브 온은 전방 포그 램프 온 상태를, 그리고 제 2 노브 메인 온은 전방 및 후방 포그 램프 온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of the lever switch device 1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quentially include rotation states of the first knob off, the first knob sub-on, and the first knob main-on. The lever switch device 10 may be implemented as a lever switch device for switching the operating states of the light lamp and the fog lamp, in which case the first knob off is in the lamp off state and the first knob sub on is in the tail lamp. The tail lamp on state and the first knob main on state may indicate a head light lamp on state. In addition,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includes a rotation state of the second knob off, the second knob sub-on, and the second knob main on, wherein the second knob off indicates a fog ramp-off state and the second knob sub-state. On may indicate the front fog ramp on state and the second knob main on may indicate the forward and rear fog ramp on states.

따라서, 스위치 제 2 노브부(240)의 제 2 노브 오프 상태로부터 제 2 노브 서브 온(전방 포그 램프 온) 상태로의 회동은 스위치 제 1 노브부(210)의 회전 상태에 무관하게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스위치 제 2 노브부(240)의 제 2 노브 서브 온 상태로부터 제 2 노브 메인 온 상태로의 회동은 스위치 제 1 노브부(210)의 회동 상태에 따라 구속된다. 즉, 스위치 제 2 노브부(240)는 스위치 제 1 노브부(210)가 제 1 노브 오프 상태에 있을 때 제 2 노브 오프 상태로부터 제 2 노브 서브 온 상태까지만 회동 가능하고, 스위치 제 1 노브부(210)가 제 1 노브 서브 온(전방 포그 램프 온) 상태에 있을 때 제 2 노브 서브 온(전방 포그 램프 온) 상태로부터 제 2 노브 메인 온(전방 및 후방 포그 램프 온) 상태로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refore, the rotation of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from the second knob off state to the second knob sub-on (front fog lamp on) state can be freely made regardless of the rotation state of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have. Rotation from the second knob sub-on state of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to the second knob main on state is constrained according to the rotation state of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That is,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can rotate only from the second knob off state to the second knob sub on state when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is in the first knob off state, and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Rotation from the second knob sub on (front fog lamp on) state to the second knob main on (front and rear fog lamp on) state when 210 is in the first knob sub on (front fog lamp on) state. Can be done.

또한, 스위치 제 1 노브부가 회동 상태로부터 원위치를 향하여 복귀되는 경우, 스위치 제 1 노브부와 스위치 제 2 노브부 간에도 일정한 회동 상태 관계가 이루어진다. 즉, 스위치 제 1 노브부(210)가 제 1 노브 서브 온 상태(테일 램프 온 상태)를 그리고 스위치 제 2 노브부(240)가 제 2 노브 메인 온 상태(전방 및 후방 포그 램프 온 상태)에 있고 스위치 제 1 노브부(210)가 제 1 노브 서브 온 상태(테일 램프 온 상태)로부터 제 1 노브 오프 상태를 향하여 복귀 회전되는 경우 스위치 제 2 노브부(240)는 제 2 노브 서브 온(전방 포그 램프 온) 상태로 함께 복귀 회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작동 상태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작동 과정에 대한 설명에서는 스위치 제 1 노브부 및 스위치 제 2 노브부가 상기와 같은 회동 상태(램프 오프;테일 램프 온;헤드 램프 온/포그 램프 오프;전방 포그 램프 온;전방 및 후방 포그 램프 온)를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하는데, 이들 작동 과정상 이루어지는 제 1, 2 노브부의 작동 회동 상태는 스위치 노브 절도부의 절도 구조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Moreover, when a switch 1 knob part is returned to a home position from a rotation state, a fixed rotation state relationship is also made between a switch 1 knob part and a switch 2 knob part. That is,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is in the first knob sub-on state (tail lamp on state) and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is in the second knob main on state (front and rear fog lamp on state). And when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is rotated back from the first knob sub-on state (tail lamp on state) to the first knob off state,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is second knob sub-on (front). Fog lamp on) together with the return rotation. Therefore, in the description of a more specific operation process for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and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are rotated as described above (lamp off; tail lamp on; head lamp on / fog lamp off; front). The case of forming a fog lamp on (front and rear fog lamp 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e operation rotational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knobs can be made by the theft structure of the switch knob theft.

도 8에는 레버 스위치 장치의 램프 오프 상태/포그 램프 오프 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정면도가 도시되고, 도 9 및 도 10에는 램프 오프 상태/전방 포그 온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측단면도 및 부분 정면도가 도시되고, 도 11 내지 도 13에는 테일 램프 온 상태/전방-후방 포그 램프 온 상태 및 헤드 램프 온 상태/전방-후방 포그 램프 온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측단면도 및 부분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8 shows a schematic partial front view of the case of forming a lamp off state / fog lamp off state of the lever switch device, and Figs. 9 and 10 show a schematic partial side sectional view of the lamp off state / front fog on state. And a partial front view, and FIGS. 11 through 13 show schematic partial side cross-sectional and partial front views for a tail lamp on state / front-rear fog lamp on state and head lamp on state / front-rear fog lamp on state. It is.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제 1 노브부(210)의 스위치 제 1 노브 캠(220)이 램프 오프 상태에 배치되고 스위치 제 2 노브부(240)가 포그 램프 오프 상태에 배치되는 경우, 스위치 제 1 노브부(210)의 스위치 제 1 노브 캠(220)의 기준 위치는 선 OL0 상에 배치되고 스위치 제 2 노브부(240)의 기준 위치는 선 OF0 상에 배치된다. 이 경우, 록킹 가동부(320, 점선 표시)는 록킹 블록 가동 돌기(311)와 접하여 록킹 블록(310)의 일부, 구체적으로 록킹 블록 걸림 돌기(313)는 스위치 제 2 노브부(240) 측으로 배치된다. 또한, 록킹 블록 걸림 돌기(313)와 록킹 블록 스톱퍼(240) 간에는 일정한 각도로 각 이격되어 있고 리턴 가동부(410)와 리턴 가동 대응부(420) 간에도 일정한 각도로 각 이격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8, when the switch first knob cam 220 of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is disposed in the lamp off state and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is disposed in the fog ramp off state,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switch first knob cam 220 of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is disposed on the line OL 0 and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is disposed on the line OF 0 . In this case, the locking movable part 320 (indicated by dotted lines) is in contact with the locking block movable protrusion 311, and a part of the locking block 310, specifically, the locking block locking protrusion 313 is disposed toward the switch second knob part 240. . In addition, the locking block engaging projection 313 and the locking block stopper 240 are spac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return movable portion 410 and the return movable counterpart 420 are also spaced at a predetermined angle.

그런 후, 운전자에 의하여 스위치 제 2 노브부(240)가 각도(αF)만큼 각 이동을 이루어 전방 포그 램프 온 상태로 회동하는 경우, 록킹 블록 스톱퍼(340)는 일정한 각(αF) 회동을 이루어 록킹 블록 걸림 돌기(313)와 접하도록 또는 적어도 인근 영역(선 OFT)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에 의하여 스위치 제 2 노브부(240)에 더 큰 회동력이 제공되더라도, 록킹 블록 스톱퍼(340)와 록킹 블록 걸림 돌기(313) 간의 맞닿음에 의하여 스위치 제 2 노브부(240)의 회동은 제한된다. Then, when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rotates to the front fog lamp on state by the driver by the angle α F , the locking block stopper 340 rotates at a constant angle α F. It is located in contact with the locking block engaging projection 313 or at least in the adjacent area (line OF T ). Therefore, even if a larger turning force is provided to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by the driver, the contact between the locking block stopper 340 and the locking block locking projection 313 causes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to be closed. Rotation is limited.

그런 후, 스위치 제 1 노브부(210)에 일정한 회동력이 제공되어 스위치 제 1 노브부(210)가 램프 오프 상태로부터 테일 램프 온 상태로 회동하는 경우, 스위치 제 1 노브 캠(220)에 연장 형성된 록킹 가동부(320)는 록킹 블록 가동 돌기(311)의 돌기면(312a)과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고, 경사면(312b)을 따라 이동하여 언록면(312c)과 접촉을 이루어 도면 부호 320T로 표시되는 위치를 점유하게 된다. 따 라서, 스위치 제 1 노브 캠(320)의 기준 위치는 각도 βT만큼의 각 회동을 이루어, 선 OL0로부터 선 OLT로 위치 이동을 이룬다. 이때, 록킹 블록 가동 돌기(311)와 록킹 가동부(320) 간의 접촉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록킹 블록(310)의 타단에 배치되는 록킹 블록 탄성 부재(3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록킹 블록(310)은 축선 A-A(도 5 참조)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록킹 블록 걸림 돌기(313)와 록킹 블록 스톱퍼(340) 간의 접촉이 해제되고, 스위치 제 2 노브부(240)는 각도 αR만큼 회동하여 전방 포그 램프 온 및 후방 로그 램프 온 상태를 이룰 수 있다. Then, when the first rotational force is provided to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so that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rotates from the lamp off state to the tail lamp on state, it extends to the switch first knob cam 220. The formed locking movable part 320 is released from the contact state with the protrusion surface 312a of the locking block movable protrusion 311,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312b to make contact with the unlock surface 312c, and i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320T. Occupy the position where it becomes. Accordingly,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switch first knob cam 320 is rotated by an angle β T to achieve a position shift from the line OL 0 to the line OL T. At this time,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locking block movable protrusion 311 and the locking movable part 320 is released, so that the locking block 310 is resilient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locking block elastic member 330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block 310. By rotating about the axis AA (see FIG. 5), the contact between the locking block engaging projection 313 and the locking block stopper 340 is released, and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rotates by an angle α R to forward fog. Ramp on and rear log ramp on can be achieved.

그런 후, 스위치 제 1 노브부(210)는 스위치 제 1 노브 캠(320)의 기준 위치가 각도 βH만큼의 각 회동을 이루고 선 OL0로부터 선 OLH로 위치 이동을 이룸으로써, 록킹 가동부(320)는 도면 부호 320H로 표시되는 위치를 점유하게 되어 스위치 제 1 노브부(210)는 헤드 램프 온 상태를 이루게 된다. 스위치 제 1 노브부(210)가 테일 램프 온 상태 및 헤드 램프 온 상태를 이루는 경우, 리턴 가동부(410)도 각각 도면 부호 410T 및 410H로 표시되는 위치를 각각 점유하게 된다. Thereafter,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forms a rotation by the reference angle of the switch first knob cam 320 by an angle β H , and moves the position from the line OL 0 to the line OL H , thereby providing a locking movable portion ( 320 occupies the positio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320H so that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is in the head lamp on state. When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is in the tail lamp on state and the head lamp on state, the return movable portion 410 also occupies the position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s 410T and 410H, respectively.

한편, 스위치 제 1 노브부(210)가 원위치(램프 오프 상태)로 복귀되는 경우, 리턴 제어부(400)의 작동에 의하여 스위치 제 2 노브부(240)도 원위치(포그 램프 오프 상태) 방향으로 복귀된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제 1 노브부(210)가 테일 램프 온 상태를 형성하고 스위치 제 2 노브부(240)가 전방 및 후방 포그 램프 온 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스위치 제 1 노브 캠(220)에 형성되고 도면 부호 410T의 위치를 점유하는 리턴 가동부(410, 도 3 참조)는 스위치 제 2 노브 부(240)의 스위치 제 2 노브(240a)에 형성되는 리턴 가동 대응부(420)와 접하는 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스위치 제 1 노브부(210)가 도 13의 도면 부호 O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램프 오프 상태로 복귀되는 경우, 리턴 가동부(410)와 리턴 가동 대응부(420) 간의 맞닿음에 의하여 회동력이 전달됨으로써 스위치 제 2 노브부(210)도 도 10과 같이 전방 포그 램프 온 상태로 회동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lamp off state),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also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fog lamp off state) by the operation of the return control unit 400. do. That is, as shown in FIG. 13, when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forms a tail lamp on state and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forms a front and rear fog lamp on states, the switch first The return movable portion 410 (see FIG. 3) formed in the knob cam 220 and occupying the position of 410T is a return movable correspondence portion formed in the switch second knob 240a of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 420 is in contact with the state. Therefore, when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is rotated clockwise around the symbol O in FIG. 13 to return to the lamp-off state, the contact between the return movable portion 410 and the return movable counterpart 420 is in contact. By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by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10 also rotates to the front fog lamp on state as shown in FIG.

도 14에는 상기와 같은 레버 스위치 장치의 작동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스위치 제 1 노브부(210)는 램프 오프 상태로부터 테일 램프 온 상태를 거쳐 헤드 램프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스위치 제 2 노브부(240)는 포그 램프 오프 상태로부터 전방 포그 램프 온 상태를 거쳐 전방 및 후방 포그 램프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스위치 제 2 노브부(240)의 포그 램프 오프 상태로부터 전방 포그 램프 온 상태로의 전환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반면, 스위치 제 2 노브부(240)의 전방 포그 램프 온 상태로부터 전방 및 후방 포그 램프 온 상태로의 전환은 스위치 제 1 노브부(210)가 램프 오프 상태일 경우 록 상태를 이루고, 테일 램프 온 상태 및 헤드 램프 온 상태에 있을 경우에만 회동 가능하여 전방 포그 램프 온 상태로부터 전방 및 후방 포그 램프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스위치 제 1 노브부(210)가 테일 램프 온 상태로부터 램프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스위치 제 2 노브부(240)도 스위치 제 1 노브부(210)의 회동에 연동하여 전방 포그 램프 오프 상태로 자동 전환된다. 14 shows the operation of the lever switch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may be switched from the lamp off state to the head lamp on state through the tail lamp on state, and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may be changed from the fog lamp off state to the front fog lamp on state. The front and rear fog lamps can be switched on. Switching from the fog lamp off state of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to the front fog lamp on state can be freely made, while the front fog lamp on from the front fog lamp on state of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is on. The transition to the state is achieved in the locked state when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is in the lamp-off state, and can only be rotated when the tail lamp-on state and the head lamp-on state are in the forward fog state. It can be switched to the lamp on state, and when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is switched from the tail lamp on state to the lamp off state,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240 also rotates in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210. It automatically switches to the front fog lamp off state in conjunction.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발명이 이에 국한 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록킹 블록 가동부 접촉면의 돌기면, 경사면 및 언록면의 길이를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하게 변환함에 따라 다양한 스위치 조작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는 등, 상기 기술된 스위치 샤프트의 축방향과 교차되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스위치 고정 노브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록킹 가동부와 접하는 록킹 블록을 포함하는 록킹 제어부를 구비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The above embodiments are examples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various switch operation structures by appropriately converting the lengths of the projection surface,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unlock surface of the locking block movable part contact surface according to the design specifica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a range including a locking control unit including a locking block which is rotatably disposed on the switch fixing knob part and intersects the locking movable part about an intersecting axis.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 스위치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The lev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레버 스위치 장치는, 간단한 구조의 록킹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레버 스위치 장치의 조립 공정을 단순화 및 부품수 감소를 통한 제조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First, the lev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locking control unit of a simpl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assembly process of the lever switch device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레버 스위치 장치는, 스위치 고정 노브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간단한 구조의 록킹 블록 구조를 취함으로써, 간단한 작동 구조를 이룸으로써 제품 신뢰도를 최대화시킬 수도 있다. Second, the lev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aking the locking block structure of the simple structure that is rotatably mounted to the switch fixing knob por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product reliability by achieving a simple oper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8)

스위치 하우징 바디와, 축방향 회동 가능하게 상기 스위치 하우징 바디를 관통하는 스위치 샤프트를 구비하는 스위치 하우징;A switch housing having a switch housing body and a switch shaft axially rotatable through the switch housing body; 상기 스위치 샤프트의 단부에 연결되는 스위치 제 1 노브부와, 상기 스위치 하우징 바디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제 2 노브부와, 상기 스위치 제 1 및 제 2 노브부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치 고정 노브부를 갖는 스위치 노브부;A switch first knob portion connected to an end of the switch shaft, a switch second knob portion rotatably disposed at one end of the switch housing body, and a switch fixing knob disposed between the switch first and second knob portions A switch knob portion having a portion; 상기 스위치 제 1 노브부와 상기 스위치 제 2 노브부의 상대 회동을 구속시킬 수 있는 록킹 제어부;A locking control part capable of restraining relative rotation of the switch first knob part and the switch second knob part; 상기 스위치 제 1 노브부 및 상기 스위치 제 2 노브부가 사전 설정된 회전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스위치 제 1 노브부가 원위치를 향하여 복귀될 때 상기 스위치 제 2 노브부도 함께 복귀시키는 리턴 제어부;를 구비하고, And a return control section for returning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together when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and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are in a preset rotation state. 상기 록킹 제어부는:The locking control unit: 상기 스위치 하우징 바디를 향하여 상기 스위치 제 1 노브부에 배치되는 록킹 가동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의 축방향과 교차되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스위치 고정 노브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록킹 가동부와 접하는 록킹 블록과, 상기 록킹 블록과 상기 스위치 고정 노브부 사이에 배치되는 록킹 블록 탄성 부재와, 상기 스위치 제 2 노브부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 블록의 하단과 접촉 가능한 록킹 블록 스톱퍼를 구비하는 레버 스위치 장치.A locking movable part disposed on the switch first knob part toward the switch housing body, a locking block rotatably disposed on the switch fixing knob part about an axis crossi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witch shaft, and in contact with the locking movable part; And a locking block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locking block and the switch fixing knob portion, and a locking block stopper provided in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to be in contact with a lower end of the locking block.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위치 제 1 노브부는, 제 1 노브 오프, 제 1 노브 서브 온, 제 1 노브 메인 온의, 그리고 상기 스위치 제 2 노브부는, 제 2 노브 서브 온, 제 2 노브 메인 온의 회전 상태를 순차적으로 구비하고,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of the first knob off, the first knob sub-on, the first knob main on, and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the second knob sub-on, the second knob main on sequentially rotated Equipped, 상기 스위치 제 2 노브부는, 상기 스위치 제 1 노브부가 상기 제 1 노브 서브 온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2 노브 메인 온 상태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장치.And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is rotatable in the second knob main on state when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is in the first knob sub-on sta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위치 제 1 노브부는, 제 1 노브 오프, 제 1 노브 서브 온, 제 1 노브 메인 온의, 그리고 상기 스위치 제 2 노브부는, 제 2 노브 서브 온, 제 2 노브 메인 온의 회전 상태를 순차적으로 구비하고,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of the first knob off, the first knob sub-on, the first knob main on, and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the second knob sub-on, the second knob main on sequentially rotated Equipped, 상기 스위치 제 1 노브부가 상기 제 1 노브 서브 온 상태를 그리고 상기 스위치 제 2 노브부가 상기 제 2 노브 메인 온 상태에 있고 상기 스위치 제 1 노브부가 상기 제 1 노브 오프 상태를 향하여 복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 제 2 노브부는 상기 제 2 노브 서브 온 상태로 복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장치.The switch when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is in the first knob sub-on state and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is in the second knob main on state and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is rotated back toward the first knob off state. And the second knob portion is rotated back to the second knob sub-on stat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록킹 블록은,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고정 노브부에 회동 가능하 게 장착되는 록킹 블록 회동 중심부와, 상기 스위치 제 1 노브부를 향하여 형성되어 상기 록킹 블록 가동부와 접촉 가능한 록킹 블록 가동 돌기와, 상기 스위치 제 2 노브부를 향하여 형성되어 상기 록킹 블록 스톱퍼와 접촉 가능한 록킹 블록 걸림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장치.The locking block has a locking block pivotal center which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witch fixing knob to be rotatable, the locking block movable protrusion which is formed toward the switch first knob part to be in contact with the locking block movable part, and the switch And a locking block locking projection formed toward the second knob portion to be in contact with the locking block stopper.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록킹 블록은 상기 스위치 제 1 노브부를 향한 일면에 상기 록킹 블록 탄성 부재의 일단을 수용하기 위한 록킹 블록 탄성 부재 수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장치.And the locking block further comprises a locking block elastic member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one end of the locking block elastic member on one surface facing the switch first knob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리턴 제어부는:The return control unit: 상기 스위치 제 1 노브부에 상기 스위치 제 2 노브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고정 노브부를 관통하는 리턴 가동부와,A return movable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and penetrating the switch fixing knob portion; 상기 스위치 제 2 노브부에 상기 리턴 가동부와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리턴 가동 대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장치.And a return movable counterpart formed in contact with the return movable part of the switch second knob part.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스위치 제 1 노브부의 작동을 절도시키기 위한 스위치 노브 제 1 절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장치.The switch knob unit further comprises a switch knob first theft section for steal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 first knob sec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스위치 제 2 노브부의 작동을 절도시키기 위한 스위치 노브 제 2 절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장치.And the switch knob portion comprises a switch knob second theft portion for steal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 second knob portion.
KR1020070058062A 2007-06-13 2007-06-13 Lever switching device KR1008537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062A KR100853753B1 (en) 2007-06-13 2007-06-13 Lever switch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062A KR100853753B1 (en) 2007-06-13 2007-06-13 Lever switch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3753B1 true KR100853753B1 (en) 2008-08-22

Family

ID=39878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062A KR100853753B1 (en) 2007-06-13 2007-06-13 Lever switch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375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43509A (en) * 2010-10-25 2012-07-0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Multifunction switch for vehicle having lighting modu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6266A (en) * 1995-04-28 1996-11-22 Niles Parts Co Ltd Lever switch for vehicle
JP2001052571A (en) 1999-08-06 2001-02-23 Niles Parts Co Ltd Structure of slide switch
KR20040015995A (en) * 2002-08-14 2004-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mbination switch operating lever using physical structure contact points in vehicle
KR20060079511A (en) * 2004-12-31 2006-07-06 주식회사 신창전기 Light switch apparatus combined with fog lamp switc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6266A (en) * 1995-04-28 1996-11-22 Niles Parts Co Ltd Lever switch for vehicle
JP2001052571A (en) 1999-08-06 2001-02-23 Niles Parts Co Ltd Structure of slide switch
KR20040015995A (en) * 2002-08-14 2004-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mbination switch operating lever using physical structure contact points in vehicle
KR20060079511A (en) * 2004-12-31 2006-07-06 주식회사 신창전기 Light switch apparatus combined with fog lamp switc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43509A (en) * 2010-10-25 2012-07-0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Multifunction switch for vehicle having lighting module
CN102543509B (en) * 2010-10-25 2015-11-2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There is the Multifunction switch for vehicle of lighting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198968A (en) Complex switch lever device for car
US20080302646A1 (en) Interior illumination device
JP3765550B2 (en) In-vehicle knob switch device
US6172311B1 (en) Lever switch
TWI431653B (en) Lever switch device
KR100853753B1 (en) Lever switching device
US20210276606A1 (en) Switch device
EP1959470B1 (en) In-vehicle knob switch
KR100828199B1 (en) Lever switching device
JP4695310B2 (en) Lever switch for vehicle
KR100797607B1 (en) Lever switch
KR100365192B1 (en) Stick shift, especially a steering column switch for motor vehicles
KR100812477B1 (en) Multi-function switch for vehicle
US20090294267A1 (en) Lever switch device
KR101118813B1 (en) Multi-function lever switch for vehicle
JP2009012624A (en) Vehicular speed-change operation device
KR100862001B1 (en) Wiper switch
JPH10321333A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rotary connector
EP1291241B1 (en) Complex switch lever for automobile
JPH10266663A (en) Ignition switch
KR20050018328A (en) Rotary type input apparatus using a limit switch
JP4210622B2 (en) Switch device for vehicle
KR200469359Y1 (en) Combination Switch Assembly for Vehicle
KR20040015995A (en) Combination switch operating lever using physical structure contact points in vehicle
KR100422881B1 (en) Multi-function switch assembly of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