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1435B1 -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로고 정보에 기반한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로고 정보에 기반한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1435B1
KR100851435B1 KR1020070122147A KR20070122147A KR100851435B1 KR 100851435 B1 KR100851435 B1 KR 100851435B1 KR 1020070122147 A KR1020070122147 A KR 1020070122147A KR 20070122147 A KR20070122147 A KR 20070122147A KR 100851435 B1 KR100851435 B1 KR 100851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ogo
digital content
cont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김준환
류중희
Original Assignee
(주)올라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올라웍스 filed Critical (주)올라웍스
Priority to KR1020070122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1435B1/ko
Priority to PCT/KR2007/006438 priority patent/WO2009069840A1/en
Priority to US12/741,827 priority patent/US2010026860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Handling legal document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컨텐츠에 나타나는 로고를 검출하고 검출된 로고를 인식하여, 해당 로고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디지털 컨텐츠 제작자의 로고를 수집하여 로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네트워크 상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검출된 로고를 로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로고들과 비교하여 검출된 로고를 매칭한 후, 이를 기반으로 디지털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하거나, 디지털 컨텐츠의 제작자에게 디지털 컨텐츠의 유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로고 매칭, 로고 검출, 방송 통계, 저작권

Description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로고 정보에 기반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LOGO INCLUDED IN DIGITAL CONTENTS}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 가령 동영상 데이터, 사진 등에 포함되어 나타나는 로고를 검출하고 검출된 로고를 인식하여, 해당 로고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디지털 컨텐츠 제작자의 로고를 수집하여 로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네트워크 상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검출된 로고를 로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로고들과 비교하여 검출된 로고를 인식한 후, 이를 기반으로 디지털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하거나, 디지털 컨텐츠의 제작자에게 디지털 컨텐츠의 유통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통신 기술의 발달 및 대용량 저장 장치의 발달로 인하여 사용자들이 네트워크 상에서 동영상 파일 등의 디지털 컨텐츠를 공유하는 것이 용이해졌고, 이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 간에 디지털 컨텐츠가 교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중개자 역할을 담당하는 인터넷 서비스 업체들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서비스 업체들은, 사용자들에게 자신이 원하는 동영상을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검색된 동영상 파일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전송하거나, 온라인 상에서 실시간으로 동영상을 재생하는 스트리밍(streaming)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유통되는 동영상 파일들 중 상당 수는 텔레비젼 방송사 또는 텔레비젼 방송용 컨텐츠 제작 업체에 의해 제작된 디지털 컨텐츠에 해당되어, 인터넷 서비스 업체와 컨텐츠 제작자 사이에 저작권 문제와 같은 분쟁이 유발될 수 있는 여지가 있고, 텔레비젼 방송사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제작된 컨텐츠에 대한 시청률 등을 정확히 집계하는 것이 어렵고 이에 따라 광고료의 책정 등에 있어서 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로부터 파악되는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적합한 관련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단지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된 웹 서버에 기록된 해당 컨텐츠에 부수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제공할 뿐, 디지털 컨텐츠를 구성하는 영상으로부터 추출되는 정보를 고려하여 보다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로고를 검출하고 이를 인식하여 컨텐츠의 제작자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동영상 제작자에게 해당 동영상의 유통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에게는 사용자가 시청하는 동영상과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획득되는 로고(logo)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로고 이미지를 검출하는 로고 검출 단계, (b) 적어도 하나의 로고 데이터 및 상기 로고 데이터와 연관된 컨텐츠 제작자들에 관한 정보가 연계되어 저장된 로고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특정 로고 데이터와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로고 이미지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측정하는 로고 매칭 단계, (c) 상기 유사도가 기설정된(predetermined)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특정 로고 데이터와 연계된 특정 컨텐츠 제작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작자 정보 획득 단계, 및 (d) 상기 특정 컨텐츠 제작자 정보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특정 컨텐츠 제작자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제작자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 정보로 부 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로고 정보 이용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로고(logo) 정보를 이용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로고 데이터 및 상기 로고 데이터와 연관된 컨텐츠 제작자들에 관한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는 로고 데이터베이스,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프레임(frame)들을 분석하여 로고 이미지를 검출하는 로고 검출부, 상기 로고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로고 이미지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추출하는 로고 추출부, 상기 추출된 로고 이미지를 상기 로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로고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로고 이미지와 상기 로고 데이터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로고 매칭부, 및 상기 유사도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특정 로고 데이터와 연계된 특정 컨텐츠 제작자들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특정 컨텐츠 제작자에 관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제작자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 정보로 부여하는 태깅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컨텐츠의 유통 현황에 대한 정보가 컨텐츠 제작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므로, 컨텐츠 제작자는 이를 이용하여 자신의 저작권에 대한 보호를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상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컨텐츠가 방송 컨텐츠인 경우, 디지털 컨텐츠의 유통 현황에 대한 정보를 시청률 산정에 반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로고 등을 분석하여 해당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기호 등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데이터의 흐름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로고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 작자 또는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흐름 A에 따르면, 방송국, 외주 제작사, 및 개인 제작자 등 다양한 컨텐츠 제작자(120)들이 디지털 컨텐츠를 제작하여 컨텐츠 관리 시스템(130)에 컨텐츠를 등록한다.
이 때, 컨텐츠의 등록은 컨텐츠 제작자(120)가 직접 컨텐츠 관리 시스템(130)에 접속하여 제작된 컨텐츠를 업로드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컴퓨터, 또는 다른 유사한 전자 장치 등의 단말 장치(110)를 통해 컨텐츠 제작자(120)의 서버 등에 접속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획득한 후, 이를 컨텐츠 관리 시스템 (130)에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컨텐츠 관리 시스템(130)에 디지털 컨텐츠 자체가 전송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피어투피어(Peer-to-Peer: P2P) 통신 환경과 같이 디지털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는 경로만이 제공됨으로써 컨텐츠 관리 시스템(130)이 P2P 서버와 같이 기능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흐름 B에 따르면, 컨텐츠 관리 시스템(130)은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자의 단말 장치(110)에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해당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로고 정보에 근거하여 맞춤 광고, 연관 컨텐츠 제시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흐름 C에 따르면, 컨텐츠 관리 시스템(130)은 컨텐츠 제작자(120)로부터 획득된 동영상이 사용자들에게 유통되는 현황에 대한 통계 리포트 또는 컨텐츠 제작자(120)의 저작권이 침해되는지 여부에 대한 리포트 등을 컨텐츠 제작자(1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단말 장치(1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외부에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단말 장치(130)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컨텐츠 관리 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관리 시스템(13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130)은 컨텐츠 분석부(210), 컨텐츠 관리부(220), 히스토리 데이터 생성부(230), 리포트 생성부(240), 광고 제공부(250), 통신부(260), 제어부(270), 및 다양한 데이터베이스(281-28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텐츠 분석부(210)는 로고 검출부(211), 로고 추출부(212), 로고 매칭부(213), 태깅부(214), 및 텍스트 추출부(2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고 검출부(211)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81)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분석하여 디지털 컨텐츠 내에 로고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로고 추출부(212)는 로고가 검출된 경우 상기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해당 로고 영역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로고 매칭부(213)는 추출된 로고 영역과 로고 데이터베이스(282)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로고 데이터들에 대한 이미지 매칭 작업을 수행하여 서로 일치되는 로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추출된 로고 영역이 로고 데이터베이스(282)에 저장된 특정 로고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태깅부(214)는 해당 로고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디지털 컨텐츠의 일 속성으로서 부여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텍스트 추출부(215)는 디지털 컨텐츠에 자막 데이터 등과 같은 텍스트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텍스트 추출부(215)에 의해 추출된 문자열 중 주요 문자열로 판단되는 텍스트 데이터는 태깅부(214)에 의해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으로 부여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컨텐츠 관리부(220)는 검색부(221) 및 중복 제거부(2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검색부(221)는 단말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컨텐츠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81)로부터 검색하여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단말 장치(110)에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중복 제거부(222)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81)에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들의 속성을 참조하여, 검색부(221)가 생성한 리스트에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 중 중복되는 항목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추가적으로, 중복 제거부(222)는 단말 장치(110)의 요청과 무관하게,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81)에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들에 대한 중복 여부를 검사하여,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Contents Delivery Network; CDN) 상의 서버들을 재배치하거나 중복되는 디지털 컨텐츠들을 삭제함으로써 저장장치의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히스토리 데이터 생성부(230)는 사용자별로 또는 디지털 컨텐츠별로 컨텐츠 이용 현황에 대한 히스토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283)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리포트 생성부(240)는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283)에 저장된 히스토리 데이터를 참조로 하여, 디지털 컨텐츠 제작자(120)에게 제공될 컨텐츠 유통 현황에 대한 리포트 및/또는 저작권 침해 보고서 등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고 제공부(250)는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283) 및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81)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기타 다른 디지털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 광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130)은 사용자에게 제공된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또는 광고 정보 등을 포함하는 광고 데이터베이스(28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부(260)는 본 발명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130)이 사용자 단말 장치(110) 및 컨텐츠 제작자(120)의 서버 등과 같은 외부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70)는 컨텐츠 분석부(210), 컨텐츠 관리부(220), 히스토리 데이터 생성부(230), 리포트 생성부(240), 광고 제공부(250), 통신부(260) 및 데이터베이스들(281-284)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는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한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데이터베이스를 지칭하며, 단순 로그의 집합이라도 이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위에서 언급한 본 발명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130)을 이루는 구성 요소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사용자의 단말 장치(110)에 포함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의 단말 장치(110)와 컨텐츠 관리 시스템(130)의 구분이 다른 식으로 정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컨텐츠 관리부(220) 및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81) 등과 같은 일부 구성 요소들은 사용자의 단말 장치(110)에 설치되는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검색 기능 및 파일 시스템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을 것이다.
로고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본 발명의 로고 데이터베이스(282)에는 컨텐츠 제작자(120)와 관련된 로고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도 3은 로고 데이터베이스(282)에 저장되는 데이터 레코드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따르면, 로고 데이터베이스(282)는 일련번호, 컨텐츠 제작자, 로고, 제작자 연락처, 유통현황 수신여부, 및 저작권 침해보고서 수신여부 등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련번호"는 로고 데이터베이스(282)에 저장되는 각각의 레코드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제작자"는 로고가 포함된 컨텐츠를 제작한 제작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컨텐츠 제작자는 제작자의 이름, 아이디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로고 정보"는 컨텐츠 제작자에 의해 제작된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로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고 정보"는 로고의 이미지 데이터 또는 로고의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경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로고 정보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고 정보"는 'KBS', 'SBS' 등과 같은 방송사를 나타내는 로고, '김종학 프로덕션' 등과 같은 프로그램 제작사를 나타내는 로고, 또는 '무한도전', '무릎팍 도사' 등과 같은 방송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로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타의 개인 제작자 등의 다른 주체를 상징하는 로고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도 있을 것이다.
"제작자 연락처"는 컨텐츠 제작자에게 연락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작자의 이메일, 전화번호, 자택 주소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유통현황 수신여부"는 컨텐츠 제작자에 의해 제작된 디지털 컨텐츠가 사용자들에 의해 이용되는 현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리포트를 수신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저작권 침해보고서 수신여부"는 컨텐츠 제작자에 의해 제작된 디지털 컨텐츠가 제작자의 허락 없이 유통되는 것이 감지된 경우, 이에 대한 유통 내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권 침해보고서를 수신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로고 데이터베이스(282)에 저장되는 정보는, 컨텐츠 제작자(120)가 본 발명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130)에 접속하여 직접 등록할 수도 있고, 컨텐츠 관리 시스템(130)의 운영자에 의해 등록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로고 데이터베이스(282)가 사용자의 단말 장치(110)에 포함되는 경우, 로고 데이터베이스(282)에 저장된 정보들은 본 발명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130)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여타의 원격 시스템으로부터 획득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의 분석
도 5는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로고를 검출 및 인식하고, 그 결과를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의 컨텐츠 분석부(210)는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로고 정보를 획득하게 되는데(S510), 이러한 과정은 디지털 컨텐츠가 본 발명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81)에 저장되기 전에 수행될 수도 있고,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81)에 이미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대상으로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81) 및 컨텐츠 분석부(210)가 사용자의 단말 장치(110)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경우 외에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를 시청하는 와중에 수행될 수도 있다.
컨텐츠 분석부(210)의 로고 검출부(211)는 디지털 컨텐츠의 프레임들을 분석하여 로고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고(S520), 로고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530), 로고 추출부(212)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로고가 포함된 영역을 추출한다(S540).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로고를 검출하여 추출하는 기술은, Jinqiao Wang 외 5인이 저술하고, 2006년 미국 전기전자학회 국제회의(IEEE International Conference)에서 발표된 논문인 "A Robust Method for TV Logo Tracking in Video Streams",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4352권(2007년)에 게재된 논문인 "Automatic TV Logo Detection, Tracking and Removal in Broadcast Video", 및 학술 저널인 "MULTIMEDIA SYSTEMS" 10권 5호(2005년 8월)에 게재된 논문인 "Automatic Video Logo Detection and Removal" 등과 같은 공지의 기술을 적어도 하나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논문들은 디지털 컨텐츠의 프레임들을 분석하여 로고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로고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프레임을 광고 정보로서 인식하여 녹화를 중단하거나, 해당 영역에 포함된 로고를 제거하는 기술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는데, 상기 논문들에 기재된 내용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병합되어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다만, 상기에서 열거된 공지 기술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로고 영역이 추출되면, 본 발명의 로고 매칭부(213)는 추출된 로고 영역의 이미지와 동일 또는 유사한 로고 데이터가 로고 데이터베이스(282)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550). 이 때,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기술은, Clark F. Olson이 저술하고,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TCHING INTELLIGENCE" 24권 6호(2002년 6 월)에 게재된 논문인 Maximum-Likelihood Image Matching", 및 Lei Wang 외 2인이 저술하고, 제 18회 패턴 인식에 관한 국제회의(International Conference on Pattern Recognition) 3권에 기재된 논문인 "Video Local Pattern Based Image Matching for Visual Mapping" 등과 같은 공지의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상기 논문들에 기재된 내용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병합되어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다만, 상기에서 열거된 공지 기술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로고 매칭부(213)에 의해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추출된 로고 영역이 로고 데이터베이스(282)에 저장되어 있는 로고 데이터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고 판단되면, 태깅부(214)는 로고 데이터베이스(282)로 획득되는 컨텐츠 제작자(120) 등에 관한 정보를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일 속성으로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81)에 기록한다(S571). 또한, 로고 매칭부(213)는 추출된 로고 영역이 로고 데이터베이스(282)에 저장된 로고 데이터 전부와 상이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추출된 로고를 새로운 로고 데이터로서 로고 데이터베이스(282)에 등록할 수도 있을 것이다(S57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로고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과 병행하여 또는 별도의 공정으로,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주요 문자열을 광학 문자 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기술을 적용하여 획득하고, 이를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일 속성으로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컨텐츠가 연속 기획물의 일 회 방영분인 경우, 일반적으로 디지털 컨텐츠의 시작 부분에는 부제(副題) 또는 현재 방영 횟수에 대한 정보가 자막 등으로 표시되 게 마련인데, 이러한 정보는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을 표시하는 주요한 문자열로 취급될 수 있으므로, 태깅부(214)는 이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81)에 기록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검색 조건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동일한 컨텐츠들에 대한 중복 제거를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술은 Jian Liang 외 2인이 저술하고, 2005년 "INTERNATIONAL JOURNAL ON DOCUMENT ANALYSIS AND RECOGNITION"에 게재된 논문인 "Camera-based Analysis of Text and Documents: a survey" 및 정기철 외 2인이 저술하고, 2004년 "PATTERN RECOGNITION"에 게재된 논문인 "Text Information Extraction in Images and Video: a survey" 등과 같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상기 논문들에 기재된 내용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병합되어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다만, 상기에서 열거된 공지 기술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과정은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를 시청하는 와중에 수행될 수도 있는데(S580),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히스토리 데이터 생성부(230)는 사용자가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한 행적에 대한 정보를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283)에 기록하게 된다(S590). 여기서 언급되고 있는 히스토리의 기록 과정(S590)은 앞서 설명한 로고 영역의 검출 및 매칭 과정과 독립적일 수 있으므로, 수행되는 시점이 유동적일 수도 있을 것이다. 히스토리 데이터 생성 및 이용에 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절을 나누어 살펴보기로 한다.
히스토리 데이터의 이용 및 광고의 제공
사용자가 본 발명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130)에 접속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면, 본 발명의 히스토리 데이터 생성부(230)는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 히스토리를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283)에 기록한다.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283)에 기록되는 히스토리는 컨텐츠별 이용 현황에 대한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들이 디지털 컨텐츠를 온라인 상에서 재생하거나 단말 장치(110)에 저장하는 경우, 히스토리 데이터 생성부(230)는 각각의 디지털 컨텐츠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이용된 횟수에 대한 정보, 이용된 시각에 대한 정보, 이용한 사용자들에 관한 정보 등을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283)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283)에 기록되는 히스토리는 사용자별 이용 현황에 대한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들이 디지털 컨텐츠를 온라인 상에서 재생하거나 단말 장치(110)에 저장하는 경우, 히스토리 데이터 생성부(230)는 각각의 사용자들이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한 횟수에 대한 정보, 이용한 시각에 대한 정보, 이용된 디지털 컨텐츠의 제작자에 관한 정보 등을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283)에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생성된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283)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포트 생성부(240)는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283)에 기록된 히스토리 데이터 및 태깅부에 의해 디지털 컨텐츠에 태그 정보로 서 부여된 컨텐츠 제작자에 대한 정보 등를 기반으로 디지털 컨텐츠의 유통 현황에 대한 리포트를 디지털 컨텐츠의 제작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유통 현황에 대한 리포트에는 디지털 컨텐츠가 검색된 횟수, 디지털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전송된 횟수,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컨텐츠 제작자의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시스템에 대한 정보 등과 같은 통계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유통 현황 리포트는 컨텐츠 제작자(120)가 방송사 등인 경우,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시청률 집계(가령, 집단 통계, 개인별 통계, 인구 통계학적 통계)를 위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고, 만약 해당 디지털 컨텐츠가 불법적으로 유통되는 컨텐츠인 경우, 해당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침해 보고서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제공부(250)는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283)에 기록된 히스토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맞춤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광고 제공부(250)는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과거 히스토리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기호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기타 다른 디지털 컨텐츠나 상품 정보 등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고 제공부(250)는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283)에 저장된, 사용자가 과거 이용하였던 디지털 컨텐츠 목록과, 로고 데이터베이스(282)에 저장된, 각각의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제작자 정보를 연계하여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고, 리스트 상에 특정 컨텐츠 제작자(120)가 빈번하게 출현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 제작자(120)가 제작한 디지털 컨텐츠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컨텐츠 제작자(120)의 다른 프로그 램 또는 해당 프로그램과 관련된 상품 등을 추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제공부(250)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81)에 기록된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을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태깅부(214)에 의해 디지털 컨텐츠를 분석하여 획득되는 속성일 수도 있고, 또 다른 경우로서, 본 발명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130)의 관리자 또는 이용자들이 직접 부여한 태그 등과 같은 속성 정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이용하는 디지털 컨텐츠가 연속 기획물 중 특정 일 회의 방영분인 경우, 광고 제공부(250)는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에게 다음 회 방영분을 추천하거나, 해당 컨텐츠에 출현하는 등장 인물과 관련된 상품 정보 등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광고 정보는 컨텐츠의 플레이 전후의 적절한 타이밍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컨텐츠 플레이어의 하단 자막 또는 플레이어의 외부에 텍스트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집행된 광고의 수익은, 방송사, 외주 제작사, 개인 제작자 등을 포함하는 개념인 컨텐츠 제작자(120)에게 분배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하여 온라인 디지털 컨텐츠 유통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로고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자 또는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로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 레코드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로고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로고를 검출 및 인식하고, 그 결과를 저장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사용자 단말 장치
120 : 컨텐츠 제작자
130 : 컨텐츠 관리 시스템
210 : 컨텐츠 분석부
211 : 로고 검출부
212 : 로고 추출부
213 : 로고 매칭부
214 : 태깅부
215 : 텍스트 추출부
220 : 컨텐츠 관리부
221 : 컨텐츠 검색부
222 : 중복 제거부
230 : 히스토리 데이터 생성부
240 : 리포트 생성부
250 : 광고 제공부
260 : 통신부
270 : 제어부
281 :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282 : 로고 데이터베이스
283 :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
284 : 광고 데이터베이스

Claims (28)

  1.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획득되는 로고(logo)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로고 이미지를 검출하는 로고 검출 단계,
    (b) 적어도 하나의 로고 데이터 및 상기 로고 데이터와 연관된 컨텐츠 제작자들에 관한 정보가 연계되어 저장된 로고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특정 로고 데이터와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로고 이미지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측정하는 로고 매칭 단계,
    (c) 상기 유사도가 기설정된(predetermined)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특정 로고 데이터와 연계된 특정 컨텐츠 제작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작자 정보 획득 단계, 및
    (d) 상기 특정 컨텐츠 제작자 정보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특정 컨텐츠 제작자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제작자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 정보로 부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로고 정보 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e)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정보,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정보,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이용된 횟 수, 시각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f)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정보 및 상기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생성되는 분석 정보를 상기 특정 컨텐츠 제작자의 단말 장치 또는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특정 컨텐츠 제작자에 의해 제작된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무단으로 이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저작권 침해 현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집단 통계, 개인별 통계, 인구 통계학적 통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 정보로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데이터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광학 문자 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기술을 적용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여된 속성 정보를 참조하여 광고 데이터베이스에서 광고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광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데이터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제목, 부제, 및 방영분 횟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고자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검색하는 경우,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제목, 부제, 및 방영분 횟수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한 디지털 컨텐츠들을 중복된 디지털 데이터로 판단하여 중복 제거된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 정보 또는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정보는 상기 속성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속성 정보로서 포함하는 다른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정보의 제공에 따른 광고 수익의 일부를 상기 컨텐츠 제작자에게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로고(logo) 정보를 이용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로고 데이터 및 상기 로고 데이터와 연관된 컨텐츠 제작자들 에 관한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는 로고 데이터베이스,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프레임(frame)들을 분석하여 로고 이미지를 검출하는 로고 검출부,
    상기 로고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로고 이미지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추출하는 로고 추출부,
    상기 추출된 로고 이미지를 상기 로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로고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로고 이미지와 상기 로고 데이터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로고 매칭부, 및
    상기 유사도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특정 로고 데이터와 연계된 특정 컨텐츠 제작자들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특정 컨텐츠 제작자에 관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제작자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 정보로 부여하는 태깅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행적에 관한 히스토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히스토리 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행적은 상기 사용자의 정보,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정보,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이용된 횟수, 시각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가 저장되는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히스토리 데이터 및 상기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 제작자 또는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보고서를 생성하는 리포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서는,
    상기 특정 컨텐츠 제작자에 의해 제작된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무단으로 이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저작권 침해 현황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현황에 대한 통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정보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집단 통계, 개인별 통계, 인 구 통계학적 통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텍스트 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태깅부는,
    상기 텍스트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 정보로 부여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추출부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제목, 부제, 및 방영분 횟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 정보 또는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정보는 상기 속성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속성 정보로서 포함하는 다른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정보의 제공에 따른 광고 수익의 일부를 상기 컨텐츠 제작자에게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컨텐츠 관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컨텐츠 관리부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컨텐츠 검색부, 및
    상기 컨텐츠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상기 디지털 컨텐츠 중 동일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들을 중복된 디지털 데이터로 판단하여 중복 제거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중복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8.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070122147A 2007-11-28 2007-11-28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로고 정보에 기반한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851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147A KR100851435B1 (ko) 2007-11-28 2007-11-28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로고 정보에 기반한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PCT/KR2007/006438 WO2009069840A1 (en) 2007-11-28 2007-12-11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logo included in digital contents
US12/741,827 US20100268604A1 (en) 2007-11-28 2007-12-11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logo included in digital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147A KR100851435B1 (ko) 2007-11-28 2007-11-28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로고 정보에 기반한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1435B1 true KR100851435B1 (ko) 2008-08-11

Family

ID=39881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147A KR100851435B1 (ko) 2007-11-28 2007-11-28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로고 정보에 기반한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268604A1 (ko)
KR (1) KR100851435B1 (ko)
WO (1) WO200906984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5714A (zh) * 2011-01-27 2011-05-25 深圳市辰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视频道选择切换方法
KR20130125200A (ko) * 2012-05-08 2013-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KR101345549B1 (ko) 2010-05-07 2013-12-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콘텐츠 식별자(uci) 기반의 광고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43147B2 (en) * 2010-04-26 2016-09-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riching online videos by content detection, searching, and information aggregation
US8744196B2 (en) 2010-11-26 2014-06-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tomatic recognition of images
US20150019340A1 (en) * 2013-07-10 2015-01-15 Visio Medi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n audience in a defined space
US9659447B2 (en) 2014-04-08 2017-05-23 Bally Gam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wagering
US10929812B2 (en) 2014-11-26 2021-02-23 Adobe Inc. Content creation, deployment collaboration, and subsequent marketing activities
US10482705B2 (en) 2015-08-11 2019-11-19 Bally Gaming, Inc. Gaming machine and system for concurrent gaming player interface manipulation based on visual focus
US10229314B1 (en) * 2015-09-30 2019-03-12 Groupon, Inc. Optical receipt processing
WO2020191382A1 (en) * 2019-03-21 2020-09-24 Warner Bros. Entertainment Inc. Automatic media production risk assessment using electronic datase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0063A (ja) 2000-06-23 2002-01-1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画像加工装置および方法およびこの方法の実行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40054773A (ko) * 2001-11-13 2004-06-25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방송 이벤트에서 로고들에 대한 시청자 노출의 식별 및 평가
KR20070087067A (ko) * 2004-12-13 2007-08-2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수집된 미디어 컨텐트와의 유사성들에 따라 광고를전달하는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8070B1 (en) * 1995-02-13 2005-09-20 Intertrust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transaction management and electronic rights protection
US7130466B2 (en) * 2000-12-21 2006-10-31 Cobion Ag System and method for compiling images from a database and comparing the compiled images with known images
US6938045B2 (en) * 2002-01-18 2005-08-30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server synchronization
WO2004038548A2 (en) * 2002-10-21 2004-05-06 Sinisi John P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data collection
JP2005286882A (ja) * 2004-03-30 2005-10-13 Nec Corp 広告動画作成配信システムと方法
JP2007233906A (ja) * 2006-03-03 2007-09-13 Cho & Company Co Ltd 広告提供装置、広告提供方法及び広告提供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0063A (ja) 2000-06-23 2002-01-1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画像加工装置および方法およびこの方法の実行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40054773A (ko) * 2001-11-13 2004-06-25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방송 이벤트에서 로고들에 대한 시청자 노출의 식별 및 평가
KR20070087067A (ko) * 2004-12-13 2007-08-2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수집된 미디어 컨텐트와의 유사성들에 따라 광고를전달하는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549B1 (ko) 2010-05-07 2013-12-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콘텐츠 식별자(uci) 기반의 광고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2075714A (zh) * 2011-01-27 2011-05-25 深圳市辰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视频道选择切换方法
KR20130125200A (ko) * 2012-05-08 2013-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KR102056166B1 (ko) * 2012-05-08 2019-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69840A1 (en) 2009-06-04
US20100268604A1 (en) 201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1435B1 (ko)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로고 정보에 기반한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US20210382929A1 (en) Multimedia content tags
US10075742B2 (en) System for social media tag extraction
US84240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extraction of closed captions in real time or near real-time and tagging of streaming data for advertisements
US9471936B2 (en) Web identity to social media identity correlation
US960285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extraction of closed captions in real time or near real-time and tagging of streaming data for advertisements
EP2541963B1 (en) Method for identifying video segments and displaying contextually targeted content on a connected television
WO2018125557A1 (en) Recommendation of segmented content
US1045526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extraction of closed captions in real time or near real-time and tagging of streaming data for advertisements
US101169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extraction of closed captions in real time or near real-time and tagging of streaming data for advertisements
KR20120088650A (ko) 컴퓨터 실행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CN105230035A (zh) 用于选择的时移多媒体内容的社交媒体的处理
JP2018530273A (ja) 共通メディアセグメントの検出
US202000534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Extraction of Closed Captions in Real Time or Near Real-Time and Tagging of Streaming Data for Advertisements
US9607084B2 (en) Assigning a single master identifier to all related content assets
KR101181732B1 (ko) 동영상 핑거프린트 정보에 기반한 동영상 마크업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0015548B1 (en) Recommendation of segmented content
Lian Innovative Internet video consuming based on media analysis techniques
KR101108584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내용에 기반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그 광고 제공 방법
KR101345549B1 (ko) 콘텐츠 식별자(uci) 기반의 광고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084667B1 (ko)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이미지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