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1287B1 - 난간용 향 발산장치 - Google Patents

난간용 향 발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1287B1
KR100851287B1 KR1020070037847A KR20070037847A KR100851287B1 KR 100851287 B1 KR100851287 B1 KR 100851287B1 KR 1020070037847 A KR1020070037847 A KR 1020070037847A KR 20070037847 A KR20070037847 A KR 20070037847A KR 100851287 B1 KR100851287 B1 KR 100851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iverging
fragrance
cap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철
Original Assignee
민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철 filed Critical 민병철
Priority to KR1020070037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12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간의 지주 상단에 설치되어 향 용재의 교체에 의해 반 영구적으로 향을 발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난간용 향 발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난간용 향 발산장치(100)는, 난간에 구비되어, 향을 발산하는 발산수단(110)과; 상기 발산수단(110)의 외측에 구비되어, 발산수단(110)을 감싸는 보호수단(120)과; 상기 보호수단(120)과 발산수단(1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130)과; 상기 보호수단(1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호수단(120)과 발산수단(110)의 상측을 감싸는 보호캡(14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난간용 향 발산장치에 의하면, 설치가 용이하며,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향기, 난간, 캡, 지주, 환경

Description

난간용 향 발산장치 {Device for emit a sweet fragrance of parape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난간용 향 발산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난간용 향 발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분해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각 부품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발산수단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보호캡의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수용케이스의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향 발산장치 110. 발산수단
120. 보호수단 130. 지지수단
140. 보호캡 150. 안착부재
본 발명은 향 발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난간의 지주 상단에 설치되어 향 용재의 교체에 의해 반 영구적으로 향을 발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난 간용 향 발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欄干/欄杆)은 층계나 다리 또는 마루 따위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높이로 막아 세우는 구조물을 일컫는 것으로, 사람이 떨어지는 것을 막거나 장식을 위해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난간은 콘크리트나 목재 등으로 설치되며,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이루지 않는 경우가 많고, 또한 특정한 향기 등을 발산하는 구성을 가지지 않는다.
물론, 목재로 난간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목재 고유의 향이 발산될 수 있으나, 이는 영구적인 것이 아니며, 일정한 기간이 지나고 나면, 향기가 모두 소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향 용재의 교체가 가능하여, 반 영구적으로 향이 발산되도록 구성되는 난간용 향 발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난간용 향 발산장치는, 난간에 구비되어, 향을 발산하는 발산수단과; 상기 발산수단의 외측에 구비되어, 발산수단을 감싸는 보호수단과; 상기 보호수단과 발산수단을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보호수단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호수단과 발산수단의 상측을 감싸는 보호캡;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산수단은, 향 용재가 수용되는 수용용기와; 상기 수용용기의 상면을 차폐하는 수용캡과; 상기 수용용기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수용용기 내부의 향 용재를 외부로 안내하는 발산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발산부재는 갈대(reed)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캡을 관통하여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수단은, 허리 부분이 잘록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발산수단의 측방을 감싸는 수용케이스와; 상기 수용케이스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보호캡을 지지하는 다수의 캡지지편과; 상기 수용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발산부재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케이스는, 상기 발산수단(110)을 감싸며, 중앙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의 상하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다수의 통기공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지지편은,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다수가 구비되어 상기 수용케이스의 외면에 등(等) 간격으로 고정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캡은, 상기 다수의 캡지지편(124)에 의해 지지되고; 반구(半球)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반구부와, 상기 반구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 외측으로 연장된 나팔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보호캡의 하단과 상기 수용케이스의 상단은 일정 거리 이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난간의 지주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중앙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산수단을 지지하는 안착대와; 상기 안착대의 외측에 등 간격으로 다수 구비되어, 상기 보호수단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지지대의 일단에는, 상기 수용케이스의 하단이 안착되는 지지부가 단차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대의 상면에는, 고무재질의 안착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난간용 향 발산장치에 의하면, 설치가 용이하며,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향 발산장치의 실시예가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나 다리(10)의 양단 가장자리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난간(20)이 설치된다.
상기 난간(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지주(22)와, 상기 지주(22) 사이를 연결하는 지주연결대(24) 그리고, 상기 지주연결대(24) 사이를 상하로 가로지르는 다수의 차단대(2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22)는 등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며, 사각 기둥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주연결대(24)는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22) 하단과 상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차단대(26)는, 좌우로 길게 설치되는 상측과 하측의 지주연결대(24) 사 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지주연결대(24)를 서로 고정함과 동시에, 상측과 하측의 지주연결대(24)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여 사람이나 동물 등이 난간(20)을 벗어나 다리(10)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지주(22) 상측에는 향 발산장치(100)가 설치된다. 상기 향 발산장치(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22)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이러한 향 발산장치(100)를 통해서 향기가 계속적으로 외부로 발산된다.
도 2와 도 3에는 상기 향 발산장치(100)의 구성이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에는 상기 향 발산장치(100)의 각 구성의 분해도가 정면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상기 향 발산장치(100)의 각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는 상기 향 발산장치(100)를 구성하는 발산수단이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와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보호캡과 수용케이스의 정단면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향 발산장치(100)는, 상기 난간(20)에 구비되어 향을 발산하는 발산수단(110)과, 상기 발산수단(110)을 감싸는 보호수단(120)과, 상기 보호수단(120)과 발산수단(1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130)과, 상기 보호수단(120)과 발산수단(110)의 상측을 감싸는 보호캡(140) 등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난간(20)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수단(130)이 고정 설치되며, 이러한 지지수단(130)의 상측에 상기 보호수단(120)이 구비된다. 상기 보호수단(120)은 상기 발산수단(110)의 외측에 구비되어 발산수단(110)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보호캡(1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캡(cap)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보호수단(120)의 상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이러한 보호캡(140)에 의해 상측으로부터 상기 발산수단(110)으로의 이물이나 빗물 등의 침투가 방지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보호캡(140)은 반구(半球)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반구부(142)와, 상기 반구부(142)의 하단으로부터 하방 외측으로 연장된 나팔부(144) 등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보호캡(140)의 하단은 나팔관과 같이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더 커지는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상기 보호캡(140)의 하단이 나팔관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하는 것을,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수단(120) 내부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보호캡(140) 내부에 도달한 공기와 향기는 상기 보호캡(140)의 반구부(142) 내면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나팔부(144) 내면을 따라 안내되어 보호캡(140)의 하단 외측으로(화살표 참조) 토출되는 것이다.
상기 발산수단(110)은, 향 용재가 수용되는 수용용기(112)와, 상기 수용용기(112)의 상면을 차폐하는 용기캡(114)과, 상기 수용용기(112) 내부의 향 용재에 함유된 향을 외부로 안내하는 발산부재(11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용기(112)는, 유리(glass)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는 병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수용용기(112)의 내부에는 향 용재가 수용된다. 즉, 향을 함유한 향 용재가 상기 수용용기(112) 내부에 삽입되는데, 이러한 향 용재는 고체 또는 액체로 이루어지며, 자연적으로 또는 인공에 의해 합성된 것이 사 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용기(112)에 수용되는 향 용재는, 들국화 추출물과 같이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재질, 또는 유자와 같은 과일향이나 꽃 등의 향기를 가지는 합성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캡(114)은 상기 수용용기(112)의 상면을 차폐하는 마개이며, 코르크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용기캡(114)에는 다수의 홀(hole)이 관통 형성되고, 이러한 홀(hole)을 통해 상기 발산부재(116)가 관통 설치된다.
상기 발산부재(11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용기(112)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수용용기(112) 내부의 향 용재가 함유한 향을 외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발산부재(116)는 액체가 스며들어 전달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산부재(116)는 갈대(reed)로 이루어진다.
갈대(reed)는 볏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단단하고 속이 비어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갈대(reed)는 다공질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러한 내부의 통로를 통해 상기 수용용기(112) 내부의 용액을 상측으로 빨라 올리게 된다. 즉,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수용용기(112) 내부의 용액이 상기 갈대(reed)의 윗부분으로 빨려와 외부로 발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갈대(reed)는 다공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외부와의 접촉면적이 넓어 발산효율도 높다.
상기 보호수단(120)은, 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발산수단(110)의 측방을 감싸는 수용케이스(122)와, 상기 수용케이스(122)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보호캡(140)을 지지하는 다수의 캡지지편(124)과, 상기 수용케이스(122)의 내측에 구 비되어 상기 발산부재(116)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부재(12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케이스(1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져 상기 발산수단(110)의 측방을 감싼다. 그리고, 이러한 수용케이스(122)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다수의 통기공(128)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수용케이스(122)의 허리 부분은 잘록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수용케이스(122)의 중앙부분은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단과 하단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중앙 함몰부분의 상측과 하측에는 다수의 통기공(128)이 관통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수용케이스(122)의 형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수용케이스(122)의 중앙부(더욱 상세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치우친 부분)는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함몰되어 함몰부(122a)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함몰부(122a)의 상하에는 다수의 통기공(128)이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함몰부(122a)의 상측에는 상측통기공(128')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122a)의 하측에는 하측통기공(128")이 다수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용케이스(122)의 허리 부분을 잘록하게 하여 함몰부(122a)와 통기공(128)을 각각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수용케이스(122) 내부에서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하여 향 발산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통기공(128")을 통해 수용케이스(122)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함몰부(122a)의 내면을 따라 안내되어 상측으로 이동하 면서 자연스럽게 상기 상측통기공(128')으로 안내되는 것이다.
물론, 이때 상기 상측통기공(128')을 통해 수용케이스(122)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보호캡(140) 내부로 유동되기도 한다.
상기 수용케이스(122)는 상기 지지수단(130)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케이스(122)의 하단부 전후좌우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스크류(138')가 관통하는 체결공(12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캡지지편(12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며, 다수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다수의 캡지지편(124)은 상기 수용케이스(122)의 외면에 등(等)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 부착된다. 즉, 상기 캡지지편(124)은 라운드지게 굴곡되어 있으며, 이러한 굴곡된 중앙부분이 상기 수용케이스(122)의 상단 외면에 접하고, 캡지지편(124)의 상단과 하단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26)는 상기 수용케이스(122)의 상단 내측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발산부재(116)의 상단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가이드부(126')와, 상기 가이드부(126')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걸이부(126") 등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걸이부(126")는 상기 가이드부(126')의 외측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126') 내부에는 상기 다수의 발산부재(116)가 수용되고, 상기 걸이부(126")의 끝단부는 상기 수용케이스(122)의 상단 내면에 접촉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126)는 상기 수용케이스(122)의 상단 내면 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보호캡(140)은, 상기 다수의 캡지지편(124)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보호캡(140)의 하단과 상기 수용케이스(122)의 상단은 일정 거리 이격된다. 즉, 상기 다수의 캡지지편(124)이 상기 수용케이스(122)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면, 도 2와 같이 상기 캡지지편(124) 상단이 상기 수용케이스(122) 상단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고, 이러한 캡지지편(124)의 상단에 상기 보호캡(140)이 놓여지므로, 상기 보호캡(140)가 수용케이스(122)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보호캡(1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하방이 개구된 캡(cap) 형상으로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보호캡(140)의 상단은 반구 형상을 가지며, 하단은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증가되어 나팔관 형상을 가진다.
상기 지지수단(130)은, 상기 난간(20)의 지주(22)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판(132)과, 상기 베이스판(132)의 상면 중앙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산수단(110)을 지지하는 안착대(134)와, 상기 안착대(134)의 외측에 등 간격으로 다수 구비되어 상기 보호수단(120)을 지지하는 지지대(13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판(132)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베이스판(132)에는 다수의 고정홀(133)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고정홀(133)은 고정스크류(B)가 관통하는 홀(hole)이다. 따라서, 고정스크류(B)가 상기 베이스판(132)의 고정홀(133)을 통과하여 상기 지주(22)의 상면에 체결되면, 상기 베이스판(132)이 지주(22)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안착대(134)는 상기 베이스판(132)의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안착대(134)의 상면은 상기 수용용기(112)의 저면과 대응되는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136)는 상기 안착대(134)의 측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다수가 구비되며, 이러한 지지대(136)의 상면은 상기 수용케이스(122)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36)의 하단부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지지부(136')를 더 형성한다. 즉, 상기 지지대(136)의 하단은 측방으로 더 연장되어 지지부(136')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지부(136')에 상기 수용케이스(122)의 하단이 안착된다.
상기 지지대(136)의 측면에는 체결홀(138)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138)은 체결스크류(138')가 체결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체결스크류(138')가 상기 수용케이스(122)의 하단에 형성된 체결공(122')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홀(138)에 나사 체결되면, 상기 수용케이스(122)의 하단이 상기 지지수단(130)에 결합된다.
상기 안착대(134)의 상면에는 안착부재(1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안착부재(150)는 상기 수용용기(112)의 저면 및 상기 안착대(134)의 상면 형상과 대응되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재(150)는, 테두리가 상기 수용용기(112)의 하단을 일정 부분 감싸도록 형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안착부재(150)가 상기 안착대(134) 상면에 놓여진 다음, 상 기 수용용기(112)가 상기 안착부재(150) 상면에 안착되면, 상기 수용용기(112)의 미끄럼이 방지될 뿐 아니라, 상기 수용용기(112)와 안착대(134) 사이의 온도 차이로 인한 수분의 결빙 현상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난간용 향 발산장치의 설치과정과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와 같은 향 발산장치(1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수단(130)을 상기 지주(22)의 상면에 체결한다. 즉, 상기 고정스크류(B)가 상기 베이스판(132)의 고정홀(133)을 상방으로부터 통과하도록 한 다음, 고정스크류(B)가 상기 지주(22)의 상면에 체결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지지수단(130)이 지주(2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안착대(134) 상면에 상기 안착부재(150)를 놓은 다음, 상기 수용케이스(122)를 상기 지지대(136)에 올려놓는다. 그런 다음, 상기 체결스크류(138')를 사용하여 상기 수용케이스(122)를 상기 지지대(136)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캡지지편(124)은 상기 수용케이스(122)에 부착된 상태이며, 상기 가이드부재(126)는 상기 수용케이스(122) 내부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이때 상기 수용케이스(122) 내부에 상기 발산수단(110)을 상방으로부터 넣는다.
이렇게 되면, 상기 수용용기(112)가 상기 안착대(134) 위에 놓이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재(126)를 상기 수용케이스(122) 상단 내부에 끼운다. 그리고, 이때 상기 발산수단(110)의 발산부재(116)가 상기 가이드부재(126)의 가이드부(126') 내부에 모이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수단(120)의 상측에 상기 보호캡(140)을 씌운다. 이렇게 되면, 상기 보호캡(140)의 하단 내부에 상기 캡지지편(124)이 수용되어 상기 보호캡(14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조립절차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향 발산장치(100)가 난간(20)의 지주(22)에 설치된다. 물론, 상기에서 설명한 조립 순서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므로, 이러한 조립 순서가 변경되어도 무관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향 발산장치(100)가 난간(20)에 설치되면, 상기 발산수단(110)의 수용용기(112) 내부에 저장된 향 용재에 함유된 향은 상기 발산부재(116)를 따라 조금씩 외부로 스며 나온다. 즉, 갈대(reed)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발산부재(116)를 따라 상기 수용용기(112) 내부의 향 용재가 상기 수용용기(112) 외부로 나오게 되며, 이러한 향 용재가 증발되어 공기 중에 퍼진다.
이렇게 되면, 상기 발산부재(116)에서 증발되는 향수가 상기 향 발산장치(100) 외부로 발산된다. 즉, 상기 수용케이스(122)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128)을 통해 공기가 왕래하게 되는데, 이러한 공기의 유동에 따라 상기 발산부재(116)에서 향수가 공기 중으로 퍼져나오게 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향 발산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케이스(122)의 하단에 형성된 통기공(128)을 통해 공기가 수용케이스(122) 내부로 유입되면, 이러한 공기는 상기 발산부재(116)에 스며있는 향수를 머금고, 상기 수용케이스(122) 상반부에 형성된 통기공(128) 또는 상기 수용케이스(122)와 보호캡(14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측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다리(10) 위를 이동하는 사람은, 상기 향 발산장치(1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의 향수를 맡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소정의 기간이 지나, 상기 수용용기(112) 속에 담겨진 향 용재가 모두 소진되거나, 상기 수용용기(112) 내부의 향 용재를 다른 것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향 용재를 보충하거나 다른 향 용재로 교환하면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향 발산장치(100)가 난간(20)의 지주(22) 상면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본 발명의 향 발산장치(100)는 난간(20) 외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난간용 향 발산장치에는, 향을 발산하는 발산수단과, 발산수단을 감싸는 보호수단과, 보호수단과 발산수단을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보호수단과 발산수단의 상측을 감싸는 보호캡 등이 구비되고, 이러한 각 부품은 서로 조립 가능하며, 난간의 지주 상면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설치가 상대적으로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향 발산장치는, 향 용재를 보충하는 것에 의해 반 영구적으로 향을 발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향 발산장치에서 발생되는 향수의 양 조절도 가능해진다. 즉, 향수를 공기 중으로 전파하는 발산부재의 수 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향수의 발산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거리의 난간에 구비되는 향 발산장치로부터 계속적으로 향기가 품어나오게 되므로, 보다 쾌적한 생활환경 구축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난간에 구비되어 향을 발산하며, 향 용재가 수용되는 수용용기(112)와, 상기 수용용기(112)의 상면을 차폐하는 용기캡(114)과, 상기 수용용기(112)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설치되어 수용용기(112) 내부의 향 용재를 외부로 안내하는 발산부재(116)가 구비되는 발산수단(110)과;
    상기 발산수단(110)의 외측에 구비되어 발산수단(110)을 감싸며, 허리 부분이 잘록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발산수단(110)의 측방을 감싸는 수용케이스(122)와, 상기 수용케이스(122)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보호캡(140)을 지지하는 다수의 캡지지편(124)과, 상기 수용케이스(12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발산부재(116)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부재(126)가 구비되는 보호수단(120)과;
    상기 보호수단(120)과 발산수단(1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130)과;
    상기 보호수단(1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호수단(120)과 발산수단(110)의 상측을 감싸는 보호캡(14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발산부재(116)는,
    갈대(reed)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기캡(114)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수용케이스(122)는,
    상기 발산수단(110)을 감싸며, 중앙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122a)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122a)의 상하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다수의 통기공(128)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향 발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지지편(124)은,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다수가 구비되어 상기 수용케이스(122)의 외면에 등(等) 간격으로 고정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향 발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140)은,
    상기 다수의 캡지지편(124)에 의해 지지되고;
    반구(半球)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반구부(142)와, 상기 반구부(142)의 하단으로부터 하방 외측으로 연장된 나팔부(14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보호캡(140)의 하단과 상기 수용케이스(122)의 상단은 일정 거리 이격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향 발산장치.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130)은,
    난간의 지주(22)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판(132)과;
    상기 베이스판(132)의 상면 중앙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산수단(110)을 지지하는 안착대(134)와;
    상기 안착대(134)의 외측에 등 간격으로 다수 구비되어, 상기 보호수단(120)을 지지하는 지지대(136)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지지대(136)의 일단에는, 상기 수용케이스(122)의 하단이 안착되는 지지부(136')가 단차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향 발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대(134)의 상면에는,
    고무재질의 안착부재(15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향 발산장치.
KR1020070037847A 2007-04-18 2007-04-18 난간용 향 발산장치 KR100851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847A KR100851287B1 (ko) 2007-04-18 2007-04-18 난간용 향 발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847A KR100851287B1 (ko) 2007-04-18 2007-04-18 난간용 향 발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1287B1 true KR100851287B1 (ko) 2008-08-08

Family

ID=39881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847A KR100851287B1 (ko) 2007-04-18 2007-04-18 난간용 향 발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12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793A (ko) * 2021-01-29 2022-08-05 주식회사 와우쓰리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971A (ja) * 2000-05-29 2001-12-04 Ranpanto Kk 滴下式芳香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971A (ja) * 2000-05-29 2001-12-04 Ranpanto Kk 滴下式芳香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793A (ko) * 2021-01-29 2022-08-05 주식회사 와우쓰리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KR102643826B1 (ko) * 2021-01-29 2024-03-06 주식회사 와우쓰리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47161A1 (en) Urinal screens and assemblies
US9155813B2 (en) Volatile material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080217425A1 (en) Evaporating Device
ES2539758T3 (es) Dispositivo de transferencia y evaporación de líquidos
US20110148329A1 (en) Multi-sensory product combining reeds, volatile actives diffusion, form-within-a-form construction, and light show capabilities
KR20070120143A (ko) 휘발성 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식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하여 휘발성 물질을 대기 중으로 방출시키는 방법
CA2640559A1 (en) System for delivering volatile materials
KR20060054483A (ko) 휘발성 물질의 전달방법
KR100851287B1 (ko) 난간용 향 발산장치
KR200443136Y1 (ko) 향 발산기능이 구비된 난간
US11986576B2 (en) Air freshener with multiple air flow paths
KR20130083300A (ko) 발향 스틱 지지체 및 이를 구비한 방향용구
KR101429337B1 (ko) 공기 청정 분수 화분
US20190230914A1 (en) Fly Trap With Bait Filling System
KR20120135612A (ko) 향 발생장치
WO2011123004A1 (en) Height-adjustable insect trap and method for determining flight altitude of insects
US20140175189A1 (en) Refill for a Liquid
KR102119933B1 (ko) 방향제 용기
KR200426998Y1 (ko) 광고수단이 장치된 타원형걷기용 운동기구
EP272339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emanating liquids
KR101790064B1 (ko) 헬퍼 가드
US20060213002A1 (en) Liquid active substance dispenser for w.c. bowl
KR200343059Y1 (ko) 아로마향료가 수용된 목걸이
KR200301177Y1 (ko) 가습기
KR200447989Y1 (ko) 분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