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0431B1 -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0431B1
KR100850431B1 KR1020060038221A KR20060038221A KR100850431B1 KR 100850431 B1 KR100850431 B1 KR 100850431B1 KR 1020060038221 A KR1020060038221 A KR 1020060038221A KR 20060038221 A KR20060038221 A KR 20060038221A KR 100850431 B1 KR100850431 B1 KR 100850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ntrol program
user terminal
monitoring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5698A (ko
Inventor
류병순
박정웅
Original Assignee
(주)아이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디스 filed Critical (주)아이디스
Priority to KR1020060038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0431B1/ko
Publication of KR20070105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을 공개한다. 이 장치는 관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감시 영상을 획득하여 저장 및 전송하는 복수개의 감시 장치들과, 복수개의 감시 장치들 각각의 제품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관제프로그램들 중 특정한 감시 장치에 대응되는 관제프로그램의 설치 시에는 감시 장치의 관제프로그램 전송을 요청한 후 관제프로그램을 전송받아 설치하고, 관제 작업 시에는 감시 장치에 직접 접속하여 감시 영상을 전송받으며 관제프로그램을 통해 관제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복수개의 관제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관제프로그램 저장부 및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하여 감시 장치의 관제프로그램 전송을 요청하면, 감시 장치에 접속하여 감시 장치의 제품 정보를 획득하고, 관제프로그램 저장부를 검색하여 제품 정보에 대응되는 관제프로그램을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제프로그램 제공부로 구성되는 관제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관제서버가 복수개의 감시 장치(즉, DVR)들 각각에 대응되는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들을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가 관제서버에 접속하여 필요한 DVR의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을 제공받도록 하여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의 구축 및 유지 관리 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준다.

Description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remote video monitor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도1은 종래에 기술에 따른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의 구성도를 시한 도면.
도3a는 도2의 관제서버내의 장치정보 저장부를 도시한 도면.
도3b는 도2의 관제서버내의 관제프로그램 저장부를 도시한 도면.
도3c는 도2의 DVR내의 인증정보 저장부를 도시한 도면.
도3d는 도2의 DVR내의 장치정보 저장부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a는 도4의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인터넷 접속창.
도5b는 도4의 관제 서버가 제공하는 DVR 선택창.
도5c는 도4의 DVR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증창.
도5d는 도4의 관제 프로그램 실행창.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제서버를 별도로 구비하고, 관제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에 영상 관제 작업에 필요한 관제프로그램을 제공하도록 하는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igital video recorder; DVR)는 CCD(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은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 형태의 감시 영상을 디지털 데이터 형태의 감시 영상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장치이다.
DVR은 데이터 통신 기능을 별도로 제공하여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망을 구축하고, 원격지에 위치되는 사용자 단말기(1)에 DVR(2)의 감시 영상을 전송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를 통해 원격지에서도 감시 영상을 자유롭게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영상 관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사용자 단말기(1)에는 DVR(2)로의 접속을 수행하고, DVR(2)를 이용한 영상 관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제프로그램이 별도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관제프로그램은 DVR의 종류에 따라 서로 상이해지므로 사용자 단말기는 접속하고자 하는 DVR에 적합한 관제프로그램을 별도로 제공받아 설치하여야 한다.
현재 널리 이용되는 관제프로그램의 설치 방법은 두 가지가 있으며, 첫 번째 방법은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이 저장된 설치 씨디를 사용자에게 직접 제공하여, 사용자가 설치 씨디를 이용하여 관제프로그램을 직접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고, 두 번째 방법은 DVR(2)가 직접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을 제공하는 인터넷 웹 서비스를 지원하고, 사용자가 DVR(2)의 인터넷 웹 페이지를 통해 DVR(2)에 접속하여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DVR 종류 및 관제프로그램의 종류가 증가되면 설치 씨디의 종류도 증가되고 이에 따라 설치 씨디의 생산 및 재고관리에 소요되는 비용도 급격하게 증가되는 문제를 가진다.
특히, DVR 제조사가 사용자에게 DVR(2)을 직접 판매하지 않고 주문자상표부착생산방식(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OEM) 혹은 제조업자 개발생산 방식(Original Design Manufacturing; ODM)방식을 통해 국내외 판매 업체에 판매하게 되면, 국내외 판매 업체가 제공하는 관제프로그램의 종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고, 이에 따라 설치 씨디의 종류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게 된다. 예를 들어, 10종의 DVR(2)이 OEM 혹은 ODM으로 10곳의 업체에 판매된다면, 관제프로그램의 종류는 최종적으로 100개가 되어 설치 씨디의 종류도 100개가 되고, 이에 따라 설치 씨디의 생산 및 재고 관리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된다. 즉, 설치 씨디의 생산 및 재고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매우 심각해진다.
그리고 두 번째 방법은 DVR 특히, 독립형(Stand-Alone) DVR은 영상의 녹화 및 감시를 위해 최적화된 시스템을 구성하여 생산 비용을 낮추는 것을 목적으로 하나, DVR이 상기와 같은 인터넷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을 저장하는 저장 수단(예를 들어, 플레쉬 메모리(flash memory))과 인터넷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예를 들어, 에스 디램(SDRM))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DVR의 생산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DVR의 동작 성능 및 생산 비용이 필요이상으로 증대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관제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시에는 복수개의 DVR들 (2) 각각에 저장된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을 일일이 업그레이해야 하거나, 업그레이드 설치 씨디를 새로이 만들어 사용자들에게 오프라인으로 제공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편이성이 매우 저하될 뿐 만 아니라 제조사의 유지 관리 비용이 막대하게 소요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DVR들의 관제프로그램을 저장한 관제서버를 별도로 구비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관제프로그램을 제공하도록 하여, 관제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생산 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은 관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감시 영상을 획득하여 저장 및 전송하는 복수개의 감시 장치들과, 복수개의 감시 장치들 각각의 제품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관제프로그램들 중 특정한 감시 장치에 대응되는 관제프로그램의 설치 시에는 감시 장치의 관제프로그램 전송을 요청한 후 관제프로그램을 전송받아 설치하고, 관제 작업 시에는 감시 장치에 직접 접속하여 감시 영상을 전송받으며 관제프로그램을 통해 관제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복수개의 관제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관제프로그램 저장부 및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하여 감시 장치의 관제프로그램 전송을 요청하면, 감시 장치에 접속하여 감시 장치의 제품 정보를 획득하고, 관제프로그램 저장부를 검색하여 제품 정보에 대응되는 관제프로그램을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제프로그램 제공부로 구성되는 관제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관제서버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감시 장치와 관제프로그램 제공부가 서로 접속되면 사용자 단말기 또는 감시 장치와 관제프로그램 제공부간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서로 인터페이싱하는 통신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제서버는 복수개의 감시 장치들 각각에 대응되는 연결정보와 제품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정보 저장부를 더 구비하고, 관제프로그램 제공부는 복수개의 감시 장치들 각각이 연결정보와 제품 정보를 전송하면 장치정보 저장부에 저장하여 복수개의 감시 장치들 각각을 등록하며, 사용자 단말기가 감시 장치의 관제프로그램 전송을 요청하면, 장치정보 저장부를 검색하여 감시 장치의 연결정보에 대응되는 제품 정보를 획득하고, 관제프로그램 저장부를 검색하여 제품 정보에 대응되는 관제프로그램을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수개의 감시 장치들 각각은 관제서버로 연결정보 및 제품 정보를 전송하고, 관제서버는 연결정보 및 제품정보를 관제서버 내부에 저장하여 복수개의 감시 장치들 각각을 등록하는 등록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가 관제서버에 접속한 후 특정한 감시 장치의 연결정보를 입력하여 감시 장치의 관제프로그램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단계와, 관제서버가 연결정보에 대응되는 제품 정보를 획득한 후, 제품 정보에 대응되는 관제프로그램을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제프로그램 전송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가 감시 장치에 접속하여 감시 장치들이 획득하여 저장 및 전송하는 감시 영상을 전송받으며 관제프로그램을 통해 관제 작업을 수행하는 관제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가 관제서버에 접속한 후 특정한 감시 장치의 연결정보를 입력하여 관제프로그램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단계와, 관제서버가 연결정보를 가지는 감시 장치에 접속하여 제품 정보를 획득한 후, 관제서버내에 저장된 관제프로그램들 중 제품 정보에 대응되는 관제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제프로그램 전송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가 감시 장치에 접속하여 감시 장치들이 획득하여 저장 및 전송하는 감시 영상을 전송받으며 상기 관제프로그램을 통해 관제 작업을 수행하는 관제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은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기들(10-1~10-N), 관제서버(20), 및 복수개의 DVR들(30-1~30-M)을 구비한다.
그리고 각 사용자 단말기(10-1)는 관제동작 제어부(11), 관제프로그램 저장부(12), 사용자입력부(3), 디스플레이부(14), 및 통신부(15)를 구비하고, 관제서버(20)는 관제프로그램 제공부(21), 장치정보 저장부(22), 관제프로그램 저장부(23), 및 통신부(24)를 구비하고, 각 DVR(30-1)은 접속 제어부(31) 및 관제 실행부(33), 영상 획득부(33), 인증정보 저장부(34), 장치정보 저장부(35), 영상 저장부(36), 및 통신부(37)를 구비한다.
이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각 사용자 단말기(10-1)는 관제프로그램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관제서버(20)에 접속하여 해당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관제 작업 시에는 해당 DVR(30-1)로의 직접 접속을 수행한 후, 설치된 관제프로그램을 이용한 영상 관제 작업을 수행한다.
이에 위해, 사용자 단말기(10-1)의 관제동작 제어부(11)는 관제프로그램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관제서버(20)에 접속한 후 해당 DVR(30-1)의 연결정보를 입력하여 해당 DVR(30-1)에 대응되는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의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관제서버(20)로부터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이 다운로드되면 사용자의 동의하에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을 실행하여 관제프로그램을 설치한다. 반면에 관제 작업 시에는 해당 DVR(30-1)에 직접 접속한 후 사용자 인증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DVR(30-1)이 사용자 인증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고, 해당 DVR(30-1)이 사용자 인증 작업이 성공되었음을 통보하면 관제프로그램을 이용한 관제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은 Active X형식에 따라 다운로드되고 설치된 다. Active X는 윈도 사용자들이 인터넷을 쉽고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것으로, 기존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작성된 문서 등을 웹과 연결시켜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로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위해 고안되었으며, 실생활 웹 페이지에 접속하면 자동으로 다운로드되어 설치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관제프로그램 저장부(12)는 관제동작 제어부(11)의 제어하에 관제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파일들과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사용자입력부(13)는 키보드와 마우스와 같은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human interface device, HID)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각종 입력 동작을 감지하여 통보하고, 디스플레이부(14)는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어 관제동작 제어부(11)의 제어하에 관제프로그램과 감시 영상을 그래픽화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통신부(15)는 사용자 단말기(10-1)가 관제서버(20) 또는 DVR(30-1)에 접속되면, 관제동자 제어부(11)와 관제서버(20) 또는 DVR(30-1)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들을 서로 인터페이싱한다.
그리고 관제서버(20)는 복수개의 DVR들(30-1~30-M)의 종류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들을 저장한다. 그리고 특정 DVR(30-1)로부터 연결정보와 제품정보가 전송되면 이를 저장하여 해당 DVR(30-1)을 등록하고, 특정 사용자 단말기(10-1)가 특정 DVR(30-1)의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면, 특정 DVR(30-1)의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을 획득하여 Active X 형식으로 해당 사용자 단말기(10-1)로 전송하여 준다.
이를 위해, 관제서버(20)의 관제프로그램 제공부(21)는 특정 DVR(30-1)가 접속되어 연결정보와 제품정보가 전송되면 장치정보(22)에 저장하여 특정 DVR(30-1)을 등록하고, 특정 사용자 단말기(10-1)가 접속되어 특정 DVR(30-1)의 연결정보를 입력하면, 장치정보 저장부(22) 및 프로그램 설치파일 저장부(23)를 검색하여 입력된 연결정보에 대응되는 제품 정보를 파악한 후, 이 제품 정보에 대응되는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을 획득하여 Active X형식으로 해당 사용자 단말기(10-1)로 전송한다. 즉, 관제프로그램 제공부(21)는 특정 DVR(30-1)의 연결정보 및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DVR(30-1)에 대응되는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을 획득하여 준다.
장치정보 저장부(22)는 도3a와 같이 복수개의 DVR들(30-1~30-M) 각각에 대응되는 연결정보들(DVR의 이름 및 아이피 주소)과 제품 정보들(DVR의 모델 정보 및 판매자 정보)을 저장하고, 관제프로그램 저장부(23)는 도3b와 같이 복수개의 DVR들(30-1~30-M)의 제품 정보들(DVR의 모델 정보 및 판매자 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들을 저장한다.
통신부(24)는 사용자 단말기(10-1) 또는 DVR(30-1)가 관제서버(20)에 접속되면, 관제프로그램 제공부(21)와 사용자 단말기(10-1) 또는 DVR(30-1)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들을 서로 인터페이싱한다.
마지막으로 각 DVR(30-1)은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에 처음 접속되거나 리셋 될 때 마다 관제서버(20)로 연결정보와 제품정보를 전송하여 관제서버(20)에 자신을 등록하고, 허락된 사용자가 특정 사용자 단말기(10-1)를 통해 접속하여 관제 작업의 수행을 요청하면 이에 응답하여 감시 영상을 전송한다.
이를 위해, DVR(30-1)의 접속 제어부(31)는 DVR(30-1)이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에 처음 접속되거나 리셋되면 연결정보와 제품 정보를 관제서버(20)로 전송하여 자신을 관제서버(20)에 등록한다. 그리고 특정 사용자 단말기(10-1)가 접속되면 사용자 인증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 인증정보가 전송되면 사용자 인증 작업을 수행한 후, 사용자 인증 작업이 성공한 경우에만 해당 사용자 단말기(10-1)에 감시 영상을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 인증 작업은 전송된 사용자 인증정보와 인증정보 저장부(34)내에 저장된 인증정보들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일치하는 인증정보가 존재하면 허락된 사용자의 접근임을 확인하여 인증 작업을 성공시키고, 일치하는 인증정보가 없으면 허락되지 않은 사용자의 접근임을 확인하여 인증 작업을 실패시키도록 한다.
영상 획득부(32)는 감시 구역에 설치되는 CCD 카메라(미도시)를 구비하고, CCD 카메라를 통해 감시 구역의 영상 즉, 감시 영상을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획득한다.
관제 실행부(33)는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10-1)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제어 메시지에 따라 DVR(30-1)의 동작을 제어하여 영상 획득부(32)의 아날로그 신호 형태의 영상을 디지털 형태의 영상으로 변환한 후 영상 저장부(36)로 저장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0-1)로 전송한다.
인증정보 저장부(34)는 도3c와 같이 해당 DVR(30-1)를 통한 관제 작업이 허락된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 번호로 구성된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정보들을 저장하고, 장치정보 저장부(35)는 도3d와 같이 DVR(30-1)의 이름과 아이피 주소로 구성된 연결정보와 DVR의 모델 정보와 판매자 정보로 구성된 제품 정보를 저장하고, 영상 저장부(36)는 관제 실행부(33)의 제어하에 디지털 형태의 감시 영상들을 저장한다.
이때, 사용자의 인증정보는 영상 관제 작업이 허락된 소수의 사용자만이 DVR에 접근하는 작업 특성에 따라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의 관리자가 관제 작업을 허락할 사용자 인증정보를 직접 설정하도록 한다.
통신부(37)는 사용자 단말기(10-1) 또는 관제서버(20)가 DVR(30-1)에 접속되면, 접속 제어부(31) 또는 관제 실행부(33))와 사용자 단말기(10-1) 또는 관제서버(20)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들을 서로 인터페이싱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해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0-1)와 DVR(30-1)을 이용한 동작 방법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DVR(30-1)은 자신의 연결정보와 제품 정보를 관제서버(20)로 전송하여 관제서버(20)로의 등록을 요청하고, 관제서버(20)는 수신한 연결정보와 제품 정보를 장치정보 저장부(22)를 저장하여 DVR(30-1)을 등록한다(S11).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5a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1)에 인터넷 접속창을 띄우고 관제서버의 이름(예를 들어, www.dvrappsrv.net) 또는 아이피 주소(예를 들어, 111.222.33.4)를 입력하여 관제서버(20)의 인터넷 웹 페이지로의 접속을 수행하면(S12), 관제서버(20)는 도5b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1)가 접속하기를 원하는 DVR(30-1)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당 DVR(30-1)의 아이피 주소(예를 들어, xxx.xxx.xxx.001)를 입력하도록 하는 DVR 선택창을 제공한다(S13).
사용자가 DVR 선택창에 DVR(30-1)의 이름 또는 아이피 주소를 입력하여 사용자 단말기(10-1)가 DVR(30-1)의 이름 또는 아이피 주소를 전송하면(S14), 관제서버(20)는 장치정보 저장부(22)를 검색하여 전송된 DVR(30-1)의 이름 또는 아이피 주소에 대응되는 제품 정보(AASERIES111/AOEM)를 획득한 후, 관제프로그램 저장부(23)를 검색하여 획득된 제품 정보(AASERIES111/AOEM)에 대응되는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AFILE)을 획득한다. 즉, 사용자 단말기(10-1)가 선택한 DVR(30-1)에 대응되는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AFILE)을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된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AFILE)을 Active X 형식으로 사용자 단말기(10-1)로 다운로드한다(S15).
사용자 단말기(10-1)는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AFILE)을 Active X 형식으로 다운로드받고 실행시켜 관제프로그램을 설치한다(S16).
이와 같이 단계 S11 내지 S17을 통해 관제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기(10-1)에 성공적으로 설치되면, 사용자 단말기(10-1)는 관제서버(20)와의 접속을 해제하고, DVR(30-1)로의 직접 접속을 수행하여 관제프로그램을 이용한 관제 작업을 수행하기 시작한다.
사용자는 다시 사용자 단말기(10-1)에 인터넷 접속창을 띄우고 DVR(30-1)의 아이피 주소(예를 들어, xxx.xxx.xxx.001)를 입력하여 DVR(30-1)에 접속을 수행하면, DVR(30-1)은 허락된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기(10-1)에 의한 접속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도5c와 같은 사용자 인증창을 제공한다(S22).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창에 아이디와 비밀 번호를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 기(10-1)는 입력된 아이디와 비밀 번호를 DVR(30-1)로 전송한다(S23).
그러면 DVR(30-1)는 인증정보 저장부(34)를 검색하여 전송된 아이디와 비밀 번호와 일치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일치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있으면 허락된 사용자에 의한 접속임을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기(10-1)에 인증 작업이 성공하였음을 통보한다. 그리고 관제 실행부(33)를 통해 획득된 감시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10-1)로 전송한다(S24).
이때, 단계 S24에서 DVR(30-1)는 인증 작업이 실패하였으면 인증 작업이 실패하였음을 사용자 단말기로 통보한 후, 사용자 단말기(10-1)와의 접속을 해제한다.
사용자 단말기(10-1)는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프로그램을 통해 DVR(30-1)로부터 전송되는 감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관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S25).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은 관제서버(20)에서 DVR들(30-1) 각각에 대응되는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을 통합 관리하며, 사용자 단말기(10-1)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1)가 필요로 하는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을 제공하여 준다.
이에 본 발명의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은 별도의 설치 씨디를 공급하지 않아도 될 뿐 만 아니라 DVR 각각이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의 구축 및 유지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준다.
그리고 도4의 실시예에서는 단계 S12 내지 S14를 통해 관제서버로의 접속 동작과 특정 DVR의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 요청 동작이 따로 수행되도록 하였지만, "www.dvrappsrv.net/dvr1" 과 같이 관제서버의 이름 뒤에 DVR의 이름(또는 아이피 주소)을 연결하여 입력함으로써 관제서버로의 접속 동작과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 요청 동작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DVR이 관제서버에 반드시 등록되어야 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도6의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과 같이 DVR가 관제서버에 등록되지 않아도 되도록 한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에서도 설명의 편이를 위해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0-1)와 DVR(30-1)을 이용한 동작 방법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1)에 도5a와 같이 인터넷 접속창을 띄우고 관제서버(20)의 이름(예를 들어, www.dvrappsrv.net) 또는 관제서버의 아이피 주소(예를 들어, 111.222.33.4)를 입력하여 관제서버(20)의 인터넷 웹 페이지로의 접속을 수행하면(S31), 관제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10-1)가 접속하기를 원하는 DVR(30-1)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당 DVR(30-1)의 아이피 주소(예를 들어, xxx.xxx.xxx.001)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DVR 선택창을 제공한다(S32).
사용자가 DVR 선택창에 DVR(30-1)의 아이피 주소(xxx.xxx.xxx.001))를 입력하여 사용자 단말기(10-1)가 DVR(30-1)의 아이피 주소를 전송하면(S33), 관제서 버(20)는 전송된 아이피 주소(xxx.xxx.xxx.001))를 가지는 DVR(30-1)에 접속하여 제품 정보의 제공을 요청한다(S34).
그러면 DVR(30-1)은 장치정보 저장부(35)를 검색하여 제품 정보(AASERIES111/AOEM)를 획득한 후 관제서버(20)로 전송하고(S35), 관제서버(20)는 관제프로그램 저장부(23)를 검색하여 전송된 제품 정보(AASERIES111/AOEM)에 대응되는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AFILE)을 획득한 후, 이를 Active X 형식으로 사용자 단말기(10-1)로 다운로드한다(S36).
이에 사용자 단말기(10-1)는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AFILE)을 Active X 형식으로 다운로드 받아 실행시켜 관제프로그램을 설치한다(S37).
이와 같이 단계 S31 내지 S37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1)가 성공적으로 관제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사용자 단말기(10-1)와 DVR(30-1)는 도4에서와 동일하게 단계 S21 내지 S25를 수행하여 관제 작업을 수행하여 준다.
이에 도6의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관제서버(20)가 복수개의 DVR들의 장치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정보 저장부(22)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은 관제서버에 복수개의 DVR들 각각에 대응되는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들을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가 관제서버에 접속하여 필요한 DVR의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을 제공받도록 한다. 이에 설치 씨디를 별도로 제공하거나 DVR이 직접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지 않지 않아도 되므로,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의 구축 및 유지 관리 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준다.
또한 본 발명의 관제서버는 DVR의 제품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DVR에 대응되는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을 획득하고 이를 Active X 형식으로 다운로드하므로, 사용자가 DVR에 대응되는 관제프로그램 설치파일을 검색하기 위한 별도의 검색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이에 사용자의 편이성을 더욱 증대시켜 준다.

Claims (19)

  1. 관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감시 영상을 획득하여 저장 및 전송하는 복수개의 감시 장치들;
    상기 복수개의 감시 장치들 각각의 제품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관제프로그램들 중 특정한 감시 장치에 대응되는 관제프로그램의 설치 시에는 상기 감시 장치의 관제프로그램 전송을 요청한 후 상기 관제프로그램을 전송받아 설치하고, 관제 작업 시에는 상기 감시 장치에 직접 접속하여 상기 감시 영상을 전송받으며 상기 관제프로그램을 통해 관제 작업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복수개의 관제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관제프로그램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하여 상기 감시 장치의 관제프로그램 전송을 요청하면, 상기 감시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감시 장치의 상기 제품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관제프로그램 저장부를 검색하여 상기 제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관제프로그램을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제프로그램 제공부로 구성되는 관제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감시 장치와 상기 관제프로그램 제공부가 서로 접속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감시 장치와 상기 관제프로그램 제공부간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서로 인터페이싱하는 통신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복수개의 감시 장치들 각각에 대응되는 연결정보와 제품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정보 저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관제프로그램 제공부는
    상기 복수개의 감시 장치들 각각이 상기 연결정보와 제품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장치정보 저장부에 저장하여 상기 복수개의 감시 장치들 각각을 등록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감시 장치의 관제프로그램 전송을 요청하면, 상기 장치정보 저장부를 검색하여 상기 감시 장치의 연결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품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관제프로그램 저장부를 검색하여 상기 제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관제프로그램을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정보는 상기 감시 장치의 이름과 아이피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 정보는 상기 감시 장치의 모델 정보와 판매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관제프로그램을 액티브 엑스(Active X)형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특정한 감시 장치에 대응되는 관제프로그램의 설치 시에는 상기 관제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감시 장치의 관제프로그램 전송을 요청한 후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관제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설치하고, 관제 작업 시에는 상기 감시 장치에 직접 접속하여 상기 감시 영상을 전송받으며 상기 관제프로그램을 통해 관제 작업을 수행하는 관제 동작 제어부;
    상기 관제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관제프로그램 저장부;
    상기 관제 동작 제어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관제 동작 제어부로 통보하는 사용자입력부;
    상기 관제 동작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관제프로그램과 상기 감시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관제서버 또는 상기 감시 장치와 상기 관제 동작 제어부가 서로 접속되면 상기 관제서버 또는 상기 감시 장치와 상기 관제 동작 제어부간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서로 인터페이싱하는 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동작 제어부는
    상기 감시 장치에 사용자 인증정보를 더 전송하고, 상기 감시 장치를 통한 사용자 인증 작업이 성공된 경우에만 상기 관제프로그램을 통한 관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감시 장치들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감시장치들 각각에 대응되는 연결정보 및 제품 정보와 상기 감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아날로그 신호 형태의 상기 감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감시 영상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고, 상기 관제서버가 접속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품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하면 상기 변환된 감시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관제서버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어부가 서로 접속되면 상기 관제서버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어부간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서로 인터페이싱하는 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연결정보 및 상기 제품 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여 등록 요청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정보들을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한 후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전송된 사용자 인증정보와 상기 저장부내에 저장된 사용자 인증정보들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 인증 작업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장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
  12. 복수개의 감시 장치들의 연결정보 및 제품 정보와 상기 복수개의 제품 정보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관제프로그램들이 저장된 관제서버를 구비하는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감시 장치들 각각은 상기 관제서버로 상기 연결정보 및 제품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연결정보 및 제품정보를 상기 관제서버 내부에 저장하여 상기 복수개의 감시 장치들 각각을 등록하는 등록 단계;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관제서버에 접속한 후 특정한 감시 장치의 연결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감시 장치의 관제프로그램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단계;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연결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품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제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관제프로그램을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제프로그램 전송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감시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감시 장치들이 획득하여 저장 및 전송하는 감시 영상을 전송받으며 상기 관제프로그램을 통해 관제 작업을 수행하는 관제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감시 장치의 연결정보를 통해 상기 감시 장치에 직접 접속하면, 상기 감시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 인증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감시 장치는 상기 전송된 사용자 인증정보를 상기 감시 장치내에 저장된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정보들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 상기 전송된 사용자 인증정보가 상기 감시 장치 내부에 저장된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정보들 중 하나와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감시 장치의 상기 감시 영상을 전송받으며 상기 관제프로그램을 통해 관제 작업을 수행하는 관제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정보는 상기 감시 장치의 이름과 아이피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 정보는 상기 감시 장치의 모델 정보와 판매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프로그램은
    액티브 엑스(Active X)형식으로 상기 관제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
  16. 복수개의 감시 장치들의 제품 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관제프로그램들이 저장된 관제서버를 구비하는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관제서버에 접속한 후 특정한 감시 장치의 연결정보를 입력하여 관제프로그램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단계;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연결정보를 가지는 상기 감시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제품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관제서버내에 저장된 관제프로그램들 중 상기 제품 정보에 대응되는 관제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제프로그램 전송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감시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감시 장치들이 획득하여 저장 및 전송하는 감시 영상을 전송받으며 상기 관제프로그램을 통해 관제 작업을 수행하는 관제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감시 장치의 연결정보를 통해 상기 감시 장치에 직접 접속하면, 상기 감시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 인증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감시 장치는 상기 전송된 사용자 인증정보를 상기 감시 장치내에 저장된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정보들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 상기 전송된 사용자 인증정보가 상기 감시 장치 내부에 저장된 복수개의 사용자 인증정보들 중 하나와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감시 장치의 상기 감시 영상을 전송받으며 상기 관제프로그램을 통해 관제 작업을 수행하는 관제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정보는 상기 감시 장치의 이름과 아이피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 정보는 상기 감시 장치의 모델 정보와 판매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프로그램은
    액티브 엑스(Active X)형식으로 상기 관제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060038221A 2006-04-27 2006-04-27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0850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221A KR100850431B1 (ko) 2006-04-27 2006-04-27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221A KR100850431B1 (ko) 2006-04-27 2006-04-27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698A KR20070105698A (ko) 2007-10-31
KR100850431B1 true KR100850431B1 (ko) 2008-08-05

Family

ID=38819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221A KR100850431B1 (ko) 2006-04-27 2006-04-27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04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749B1 (ko) * 2009-06-15 2011-09-09 (주)인디고 씨큐리티 단독 실행형 dvr 백업 파일의 생성 및 재생방법
KR101369648B1 (ko) * 2012-11-10 2014-03-05 정원철 사찰 영상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783A (ko) * 2003-08-08 2005-02-23 (주)아이디스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783A (ko) * 2003-08-08 2005-02-23 (주)아이디스 원격 영상관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698A (ko) 200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1140B1 (ko) 통신제어장치와, 통신제어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11269619B2 (en) Firmware management for IoT devices
US9798533B2 (en) Transferring operating environment of registered network to unregistered network
US89970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configuration and customization during manufacturing process
KR100644621B1 (ko)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US7873981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t up
KR100618321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펌웨어 업그레이드방법
JP2006501544A (ja) 埋込デバイスへのリモート・サービス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00036503A2 (en) Automatic and selective transfer of software and configuration information from a source computer to a target computer and automatic upgrade of software
KR20120089000A (ko)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 자동 인스톨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7363623B2 (en) Services of remote software installation, configuration and afterward support, for network connected peripherals
US20050076153A1 (en) System for managing applications dedicated to apparatuses connected to a network, application management method, access terminal, application server and apparatus for such a system
KR100850431B1 (ko) 원격 영상 관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N100595803C (zh) 新或替换eas网络装置的自动配置
GB2348987A (en) Upgrading firmware from a web site using an applet
JP2002034026A (ja) 遠隔監視システム
KR101478570B1 (ko)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방법
US8095925B2 (en) Seamless network installation of device drivers
JP608618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サーバ、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7747711B2 (en) Network configuration method and system
JP2005107737A (ja) 電気機器、電気機器コントローラ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バ
CN110943968B (zh) 一种设备接入控制方法及设备接入组件
KR20130042402A (ko) 스캔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와 서버 장치, 이들을 포함하는 스캔 시스템 및 그 스캔 수행 방법들
CN112506546A (zh) 一种移动终端的版本更新方法及设备
JP2005032192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機器支援システム、情報登録配信装置及び情報配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