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0316B1 -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 Google Patents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0316B1
KR100850316B1 KR1020070034774A KR20070034774A KR100850316B1 KR 100850316 B1 KR100850316 B1 KR 100850316B1 KR 1020070034774 A KR1020070034774 A KR 1020070034774A KR 20070034774 A KR20070034774 A KR 20070034774A KR 100850316 B1 KR100850316 B1 KR 100850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foot
shoes
flip
metatars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수
박훈
Original Assignee
(주)인투스에이치씨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투스에이치씨앤 filed Critical (주)인투스에이치씨앤
Priority to KR1020070034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0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idfoot, i.e. the second, third or fourth metatars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toes, i.e. the phalang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toe-spacers or toe-sprea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부의 전중단부에는 발의 중족골 부위를 서로 모이게 조이는 중족골 압박밴드를 설치하며, 갑피 덮개부의 후단부에는 발이 삽입되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무지외반증의 치료 효율을 극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발바닥 형태의 바닥부와; 착용자의 발등과 뒷축을 감싸도록 바닥면의 중후단부 테두리면으로부터 반구형 형태로 제작되며 후미에 발을 삽입하는 공간부를 갖춘 갑피 덮개부와; 상기 갑피 덮개부의 전단부 일측 끝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바닥면의 전단부에 삽입 고정되며 엄지 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를 분리 삽입토록 하는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와; 바닥부의 전중단부에는 발의 중족골 부위를 조이는 중족골 압박밴드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며;
본 발명은 플립플랍형 신발 구조를 전단부에 설치하고, 바닥부의 전중단부에는 발의 중족골 부위를 서로 모이게 조이는 중족골 압박밴드를 설치하여 발의 중족골이 조이도록 함으로써 무지외반증의 치료효과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무지외반증, 교정, 신발, 갑피 덮개, 에어백

Description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Hallux Valgus Reform Footwears}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을 착용한 상태의 평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도.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도.
도 4a는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밴드와 끈이 복합된 형태의 압박강도 조절기능을 갖는 중족골 압박밴드 구성도.
도 4b는 본 발명에 있어서 길이조절장치가 결합되어 압박강도 조절기능을 갖는 중족골 압박밴드.
도 4c는 본 발명에 있어서 길이조절장치가 없는 터널형태의 중족골 압박밴드.
도 5a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갑피 덮개부의 안쪽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중족골 압박밴드 설치예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갑피 덮개부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설치된 중족골 압박밴드 설치예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있어서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에 공기를 주입하는 위치를 나타낸 실시예도.
도 6b는 본 발명에 있어서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가 부풀어 오른 상태도.
도 7a는 본 발명에 있어서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가 부풀어 오르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에 있어서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가 부풀어 오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토스프레더를 착탈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도.
도 9a는 본 발명에 있어서 발가락 지지부(toe post)에 편심되지 않은 토스프레더가 장착된 경우 피팅치수가 줄어든 상태도.
도 9b는 본 발명에 있어서 에어백이 편심되어 부풀어 오르고, 편심되게 제작된 토스프레더가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실시예도.
도 9c는 본 발명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장착되는 토스프레더의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서 발가락 보호부와 토스프레더를 일치로 형성한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바닥부
20: 갑피 덮개부
21: 갑피의 내피
22: 갑피의 외피
30: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
31: 에어백
32: 외피
33: 체크밸브
34: 공기주입기
35: 중족골 압박밴드
36: 토스프레더
40: 조임용 밴드
41 : 원통형 스토퍼
50: 발가락 보호부
60: 통풍용 공간부
100: 발
110: 엄지 발가락
120: 둘째 발가락
본 발명은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발의 전단부에 플립플랍형 신발 구조를 설치하고, 바닥부의 전중단부에는 발의 중족골 부위를 서로 모이게 조이는 중족골 압박밴드를 설치하며, 갑피 덮개부의 후단부에는 발이 삽입되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무지외반증의 치료 효율을 극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무지외반증은 선천적인 요인외에 하이힐처럼 굽이 높고 앞이 뽀족하여 볼이좁은 신발에 의한 후천적요인으로 발생한다. 참고로, 무지외반증이란 엄지발가락이 새끼발가락쪽으로 휘는 뼈의 기형으로 점차 변형이 커지고 심하면 다른 네개의 발가락도 함께 기울어지면서 발바닥에 굳은살이 박히거나 신경종등 여러질환을 유발하고 걸음걸이에 문제를 일으킨다. 이에 따라 무릎이나 엉덩이 관절 및 허리 통증까지 유발하여 수술을 통한 외과적인 치료까지 받아야한다.
또한, 무지외반증은 수술을 통해 치료할 경우, 수술을 받은 환자들은 수술 후 몇달 동안 샌달처럼 앞이 터진 교정신발을 신거나 사회생활을 위하여 신발의 내측을 곡선으로 하지 않고 일직선으로 만들어 신발의 앞쪽 볼폭을 확장한 정형외과적으로 고안된 별도의 특수 제작된 고가의 보조구두를 신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술을 하지 않을 경우, 엄지발가락이 더 이상 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발에 착용하는 위와 같은 보조기구를 지속적으로 착용하여 엄지발가락을 잡아당기게 하는 보존치료를 꾸준히 장기간 지속하여야 한다.
그런데, 현재까지의 무지외반증을 치료하는 보조기구는 의료용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일상생활중에 착용하기에는 디자인이 부담스러웠으며, 특히 여성들이 주요한 치료대상인 관계로 조악한 디자인의 보조기구는 외면받을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신발모양과 비슷한 디 자인을 제공하여 남들의 눈길을 집중시키지 않으면서 내부적으로 무지외반증 치료가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착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발바닥 형태의 바닥부와; 착용자의 발등과 뒷축을 감싸도록 바닥면의 중후단부 테두리면으로부터 반구형 형태로 제작되며 후미에 발을 삽입하는 공간부를 갖춘 갑피 덮개부와; 상기 갑피 덮개부의 전단부 일측 끝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바닥면의 전단부에 삽입 고정되며 엄지 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를 분리 삽입토록 하는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30)와; 바닥부(10)의 전중단부에는 발의 중족골 부위를 서로 모이게 조이는 중족골 압박밴드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30)는, 내측에 설치되는 팽창 가능한 에어백(31)과; 상기 에어백(31)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이며, 에어백의 팽창에 상응하여 외부로 팽창하는 탄성소재(가죽, 섬유, 합성수지)의 외피(32)와 탄성밴드(35); 및 상기 에어백(31)의 하단 혹은 상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바닥부의 하면 혹은 상면에 결합되어 에어백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체크밸브(33)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30)는, 외주연에 착탈하여 개인별로 엄지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도록, 다양한 폭과 단면형상을 갖는 일측이 절개된 토스프레더(36)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중족골 압박밴드(40)는 갑피 덮개부(20)의 내피(21)와 외피(22) 사이 공간부를 통해 관통 설치되거나 갑피안쪽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중족골 압박밴드(4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갑피 덮개부(20)의 전단부 끝단으로부터 바닥부의 전단부 끝단까지 연장 되어 발가락 부분을 감싸는 발가락 보호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을 착용한 상태의 평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도.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도.
도 4a는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밴드와 끈이 복합된 형태의 압박강도 조절기능을 갖는 중족골 압박밴드 구성도.
도 4b는 본 발명에 있어서 길이조절장치가 결합되어 압박강도 조절기능을 갖는 중족골 압박밴드.
도 4c는 본 발명에 있어서 길이조절장치가 없는 터널형태의 중족골 압박밴드.
도 5a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갑피 덮개부의 안쪽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중족골 압박밴드 설치예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갑피 덮개부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설치된 중족골 압박밴드 설치예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있어서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에 공기를 주입하는 위치를 나타낸 실시예도.
도 6b는 본 발명에 있어서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가 부풀어 오른 상태도.
도 7a는 본 발명에 있어서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가 부풀어 오르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에 있어서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가 부풀어 오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토스프레더를 착탈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도.
도 9a는 본 발명에 있어서 발가락 지지부(toe post)에 편심되지 않은 토스프레더가 장착된 경우 피팅치수가 줄어든 상태도.
도 9b는 본 발명에 있어서 에어백이 편심되어 부풀어 오르고, 편심되게 제작된 토스프레더가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실시예도.
도 9c는 본 발명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장착되는 토스프레더의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서 발가락 보호부와 토스프레더를 일치로 형성한 실시예도로서,본 발명은 착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발바닥 형태의 바닥부(10)와, 착용자의 발등과 뒷축을 감싸도록 바닥면의 중후단부 테두리면으로부터 반구형 형태로 제작되며 후미에 발을 삽입하는 공간부를 갖춘 갑피 덮개부(20)와, 상기 갑피 덮개부의 전단부 일측 끝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바닥부(10)의 전단부에 삽입 고정되며 엄지 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를 분리 삽입토록 하는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30)와, 바닥부(10)의 전중단부에는 발의 중족골 부위를 서로 모이게 조이는 중족골 압박밴드(40)와, 상기 갑피 덮개부(20)의 전단부 끝단으로부터 바닥부(10)의 전단부 끝단까지 연장 되어 발가락 부분을 감싸는 발가락 보호부(50)로 이루어진다.
먼저, 바닥부(10)는 일반적인 신발의 바닥부와 동일한 형태로서 대략적으로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긴 타원형태이고 중간부분이 내측으로 약간 들어감과 동시에 상부로 약간 튀어 올라간 형태이다. 이러한 바닥부(10)는 착용자의 발바닥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보호할 뿐만 아니라 탄성재질로 구성하여 푹신한 느낌을 갖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바닥부(10)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신발의 바닥부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갑피 덮개부(20)와,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30)와, 중족골 압박밴드(40)에 집중된 것으로, 갑피 덮개부(20)는 바닥부(10)의 중간부분과 후미부분의 테두리면으로부터 발등과 발목을 감싸는 형태로 제작되며, 후미부분에 발(100)을 삽입하는 홀을 형성한다.
즉, 갑피 덮개부(20)는 바닥부(10)의 테두리로부터 상부로 설치되어 발등이 삽입되는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발등을 감싸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발(100)을 삽입하기위한 공간부를 후미에 형성한다. 또한, 갑피 덮개부(20)는 망사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고, 일반 운동화와 같이 가죽이나 합성수지제 또는 천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갑피 보호부(20)는 도 1과 같이 양쪽으로 통풍용 공간부가 구비된 발가락부분을 덮는 발가락 보호부를 포함한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고, 도 3a와 같이 발가락 보호부를 갖지 않아 발가락 부분을 오픈한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고, 도 3b와 같이 통풍용 창이 구비되지 않고 막혀있는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30)는 일자형 사각패널 및 타원 형태로서 갑피 덮개부의 전단부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바닥부(10)의 전단부에 고정되며, 통상 바닥부(10)를 뚫고 삽입하고 고정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참고로, 플립플랍(Flip - Flops)형 신발은 엄지발가락(110)과 두번째 발가락(120) 사이에 삽입되는 일자형 패널을 갖춘 형태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엄지발가락(110)과 두번째 발가락(120) 사이에 삽입되는 일자형 패널을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30)로 명명하기로 한다.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30)는 엄지발가락(110)과 두번째 발가락(120) 사이에 삽입되기 때문에 바닥부(10)에 고정되는 위치는 엄지발가락(110)과 두번째 발가락(120)이 위치하는 지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30)는 엄지발가락(110)과 두번째 발가락(120) 사이에서 마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죽재질, 섬유, 합성수지를 사용 부드럽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30)는 내측에 에어백(31)을 형성하고, 외측을 탄성소재(가죽, 섬유, 합성수지)의 외피(32)와 탄성밴드(36)를 조합하여 제작할 수 있는바, 에어백(31)은 바닥면 하부 혹은 상부로부터 공기주입기(34)를 통해 공기를 체워넣을 수 있다. 공기가 에어백(31)의 내부 공간부에 체워지면 에어백이 부풀어 오르면서 탄성밴드(35)를 외부로 밀어내어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30)의 폭이 늘어나면서 엄지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를 넓힌다. 또한, 공기주입기(34)로 에어백(31)의 공기를 빼면 에어백(31)이 줄어들면서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탄성밴드(35)가 자연스럽게 줄어들어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가 내측으로 쪼그라든 형태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30)를 에어백(31)과 탄성소재(가죽, 섬유, 합성수지)의 외피(32)와 탄성밴드(35)로 구성하는 이유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엄지 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의 간극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를 외부로 넓히거나 내부로 좁히도록 하여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공기가 에어백(31)에 주입되면 외부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체크밸브(33)가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30)의 하단 혹은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체크밸브(33)는 타이어, 튜브, 축구공 등에 많이 사용되는 일반적인 기술수단이기 때문에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출원번호 : 1020020082452, '에어패드가 장착된 헬멧' 참조)
즉, 무지외반증이 심한 환자와 덜 심한 환자를 구분하여 엄지발가락과 두번째 발가락 사이의 간극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해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30)의 팽창을 조절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도 8의 토스프레더(toe spreader)(36)를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30)에 착탈방식으로 끼워서 엄지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의 간극을 조절할 수도 있다. 토스프레더를 장착할 때는 도 9a에 나타낸 것처럼 토스프레더(36)의 반지름 만큼 발뒤굼치로부터 발가락 지지부(toe post, 30) 까지의 거리가 줄어들게 되므로 토스프레더(36)를 도 9b와 같이 편심되게 제작하여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착용자의 발가락 형상이나 증상에 따라 토스프레더(36)의 형상을 도 9c에 나나낸 것처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여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도 9c에 나타낸 다양한 형태의 토스프레더(36)를 발가락 지지부(30)와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0과 같이 토스프레더(36)와 발가락 보호부(50)를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다.
즉, 발가락 보호부(50)는 바닥판(10)의 전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테두리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하여 발가락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부 후단을 갑피 덮개부(20)의 전단과 연결하여 발가락 삽입 공간을 확보토록 한다. 또한, 발가락 보호부(50)와 갑피 덮개부(20)는 일체로 설치할 수도 있고, 사이드면에 통풍용 공간부(60)를 확보한 상태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할 수도 있다. 아울러, 발가락 보호부(50)만을 독립적으로 제작하고, 토스프레더와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다.
중족골 압박밴드(40)는 도 4a처럼 원통형 스토퍼(41)를 구비하여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형태이거나, 도 4b처럼 현재 의류, 보관용 주머니, 신발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원통형 스토퍼(41)를 구비하여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형태이거나, 도 4c처럼 단순한 터널형의 밴드 형태로 발(100)의 중족골에 압박을 가하도록 바닥부(10)의 전중단부에 설치되며, 이때 발(100)의 중족골을 압박함으로서 엄지발가락(110)이 내측으로 향하게 되는 치료효과를 누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갑피 덮개부(20) 안쪽에 별도로 설치하여 외부에서 보았을 때 중족골 압박밴드(40)가 보이지 않게 하던가, 도 5b처럼 갑피 덮개부(20)의 내피(21)와 외피(22) 사이 공간부를 통해 관통 설치하고 상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보았을 때 중족골 압박밴드(40)는 돌출된 부분만이 보이도록 하여 디자인이 깔끔하게 보이도록 한다. 아울러, 중족골 압박밴드(40)는 단면이 원형 형태인 끈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아울러, 중족골 압박밴드(40)를 탄성재질로 형성하여 조여졌을 때 발(100)의 중족골 부위를 압박하며서도 걸어다닐 때 자연스럽게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도록 제작한다. 상기와 같이 탄성재질로 중족골 압박밴드(40)를 구성하면 착용자가 신발을 신고 움직이는데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사용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신발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은 자신의 신발에 맞는 치수를 선택하여 구입하면 되고, 이는 통상 자신의 신발 사이즈와 비슷하기 때문에 특별히 큰 치수를 구입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갑피 덮개부(20)의 후미부분의 발목 삽입공간을 통해 발을 삽입하고,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30)에 엄지발가락(110)과 두번째 발가락(120)의 사이를 통과시켜 엄지발가락(110)과 두번째 발가락(120) 사이를 분리하여 상호간에 뭉치지 않토록 한다.
그러면, 엄지 발가락(110)과 두번째 발가락(120)이 상호 분리되어 무지외반증의 치료가 가능하고, 아울러 중족골 압박밴드(40)의 길이를 조절하여 발(100)의 중족골 부위를 압박함으로써 엄지발가락(110)이 내측으로 휘어지도록 하여 무지외반증 치료가 극대화 되도록 한다.
아울러, 착화자의 상태에 따라서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부의 에어백에 공기를 주입하여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가 일정폭만큼 외부로 부풀어 오르도록 하던가 폭과 단면형상이 다양하게 제작된 토스프레더(36)를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에 끼워서 엄지발가락과 두번째 발가락 사이를 더 넓힐 수도 있고, 또한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30)의 폭을 줄이기 위해서 에어백의 공기를 빼던가 폭이 좁은 토스프레더로 갈아끼워주면 엄지발가락과 두번째 발가락 사이를 좁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무지외반증을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실내외에서 자연스러운 착용감 및 디자인을 창출하여 다른사람의 시선으로부터 보다 자연스럽게 착용이 가능하다.
물론, 본 발명의 제품은 실내외에서 공용으로 사용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통상 일주일에 2일정도만 신어도 무지외반증을 충분히 예방할 수 있어 나머지 시간에는 하이힐과 같이 여성의 멋을 한껏 낼 수 있는 신발을 신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립플랍형 구조를 전단부에 설치하고, 바닥부(10)의 전중단부에는 발의 중족골 부위를 서로 모이게 조이는 중족골 압박밴드를 설치하여 발의 중족골 부위를 조이도록 함으로서 무지외반증의 치료효과를 극대화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아울러 세련된 디자인을 제공하여 외부인의 시선으로부터 보다 자연스러운 연출의 효과를 제공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7)

  1. 착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발바닥 형태의 바닥부(10)와;
    상기 바닥부(10)의 전단부에 삽입 고정되며 엄지 발가락(110)과 둘째 발가락(120) 사이를 분리시키는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30)와;
    상기 바닥부(10)의 전중단부에 설치되어 조임에 의해 발의 중족골을 압박하는 중족골 압박밴드(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0)에는 착용자의 발등과 뒷축을 감싸도록 바닥면의 중후단부 테두리면으로부터 반구형 형태로 제작되며 후미에 발을 삽입하는 공간부를 갖춘 갑피 덮개부(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30)는,
    내측에 설치되는 팽창 가능한 에어백(31)과;
    상기 에어백(31)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이며, 에어백의 팽창에 상응하여 외부로 팽창하는 탄성소재(가죽, 섬유, 합성수지)의 외피(32)와 탄성밴드(35); 및
    상기 에어백(31)의 하단 혹은 상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바닥부의 하면 혹은 상면에 결합되어 에어백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체크밸브(33)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30)는,
    외주연에 착탈하여 개인별로 엄지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일측이 절개된 다양한 폭과 단면형상의 토스프레더(3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족골 압박밴드(40)는,
    갑피 덮개부(20) 안쪽에 별도로 설치되거나 혹은 갑피 덮개부(20)의 내피(21)와 외피(22) 사이 공간부를 통해 관통 설치되며;
    단순한 터널형태로 중족골을 압박하거나 혹은 길이를 조절하는 원통형 스토퍼(41)를 구비하여 발(100)의 중족골 압박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용 밴드(4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 증 교정용 신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 덮개부(20)의 전단부 끝단으로부터 바닥부의 전단부 끝단까지 연장 되어 발가락 부분을 감싸는 발가락 보호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KR1020070034774A 2007-04-09 2007-04-09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KR100850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774A KR100850316B1 (ko) 2007-04-09 2007-04-09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774A KR100850316B1 (ko) 2007-04-09 2007-04-09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0316B1 true KR100850316B1 (ko) 2008-08-04

Family

ID=39881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774A KR100850316B1 (ko) 2007-04-09 2007-04-09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03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51189A (zh) * 2011-05-10 2011-08-17 吴天昊 一种动态加压拇外翻矫形鞋垫
KR20170086871A (ko) 2016-01-19 2017-07-27 이동오 무지외반증 치료용 신발
CN108433244A (zh) * 2017-06-22 2018-08-24 吴佳瑶 可释放脚掌两侧局部夹紧力的鞋
KR102007740B1 (ko) 2018-05-10 2019-08-06 오연주 무지외반증 교정 및 보정용 신발 갑피
KR200496047Y1 (ko) 2021-07-01 2022-10-20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신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606U (ja) * 1993-03-19 1994-10-04 株式会社ヒロ・インターナショナル 靴用歩行安定具、歩行安定部を備えた中敷または歩行安定部を備えた靴
JP3015702U (ja) * 1995-03-10 1995-09-12 澄子 打川 外反母趾防止用草履
US5870837A (en) 1997-08-08 1999-02-16 Poulos; Jon D. Combination pedicure sandal
JP3064165U (ja) * 1999-05-21 1999-12-24 隆彌 河内 足の踏みしめを自然に強固にする靴の中敷き
KR200297994Y1 (ko) 2002-07-29 2002-12-12 박희순 신 안창
JP2005305063A (ja) 2004-04-20 2005-11-04 Satoshi Takemura 外反母趾治療用中敷および履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606U (ja) * 1993-03-19 1994-10-04 株式会社ヒロ・インターナショナル 靴用歩行安定具、歩行安定部を備えた中敷または歩行安定部を備えた靴
JP3015702U (ja) * 1995-03-10 1995-09-12 澄子 打川 外反母趾防止用草履
US5870837A (en) 1997-08-08 1999-02-16 Poulos; Jon D. Combination pedicure sandal
JP3064165U (ja) * 1999-05-21 1999-12-24 隆彌 河内 足の踏みしめを自然に強固にする靴の中敷き
KR200297994Y1 (ko) 2002-07-29 2002-12-12 박희순 신 안창
JP2005305063A (ja) 2004-04-20 2005-11-04 Satoshi Takemura 外反母趾治療用中敷および履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51189A (zh) * 2011-05-10 2011-08-17 吴天昊 一种动态加压拇外翻矫形鞋垫
KR20170086871A (ko) 2016-01-19 2017-07-27 이동오 무지외반증 치료용 신발
CN108433244A (zh) * 2017-06-22 2018-08-24 吴佳瑶 可释放脚掌两侧局部夹紧力的鞋
KR102007740B1 (ko) 2018-05-10 2019-08-06 오연주 무지외반증 교정 및 보정용 신발 갑피
KR200496047Y1 (ko) 2021-07-01 2022-10-20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53335A1 (en) Therapeutic footwear
CN108366640A (zh) 可定制的足弓支持系统
US20090300823A1 (en) Sock with orthotic pocket
KR100850316B1 (ko)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US20080229611A1 (en) Adjustable pneumatic cell foot orthosis
US20060161090A1 (en) Heel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KR200457048Y1 (ko)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KR20110119904A (ko) 신발용 펌프식 에어백기구 및 그 에어백기구가 장착된 신발
US9387113B2 (en) Orthopaedic walker
KR101269961B1 (ko) 신발창의 구조
JP2913192B2 (ja) 外反母趾矯正用装具
KR200437328Y1 (ko) 무지외반증 환자의 발가락 교정을 위한 신발
US20170258620A1 (en) Podiatric pressure unloading device
KR20220032238A (ko)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EP1044618A1 (en) Arch support with adjustable strap for the correction of hallux valgus
KR200296822Y1 (ko) 발가락 교정통풍기
KR20110021126A (ko) 발가락 교정용 발가락 신발
KR102172887B1 (ko) 족부환자의 보행 특성에 적합한 족부환자용 신발
WO2007111922A2 (en) Adjustable pneumatic cell foot orthosis
US20090199433A1 (en) Shoe
CN210250191U (zh) 一种抗足部瘢痕挛缩辅助治疗鞋
KR200441275Y1 (ko) 플립플랍형 샌들 및 갑피 덮개형 신발을 조합한 무지외반증 교정화
JPH0685721B2 (ja) 調整可能なガースの靴構造
US11793267B1 (en) Shoe and therapy system
KR200378623Y1 (ko) 무지외반증 교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