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047Y1 -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신발 - Google Patents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047Y1
KR200496047Y1 KR2020210002084U KR20210002084U KR200496047Y1 KR 200496047 Y1 KR200496047 Y1 KR 200496047Y1 KR 2020210002084 U KR2020210002084 U KR 2020210002084U KR 20210002084 U KR20210002084 U KR 20210002084U KR 200496047 Y1 KR200496047 Y1 KR 2004960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art
toe
pad
wearer
big t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금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210002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0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0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0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toe-spacers or toe-spread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4Uppers made of one piece; 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A43B23/045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2Sandals; Strap guides thereon
    • A43B3/126Sandals; Strap guide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layout of the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toes, i.e. the phalang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8Joint supports, e.g. instep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 신발은 착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신발 바닥부(100); 상기 신발 바닥부(100)와 상기 착용자의 발등을 감싸는 갑피 덮개부(200); 및 상기 신발 바닥부(100)와 상기 갑피 덮개부(200) 사이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착용자의 엄지발가락과 둘째발가락 사이를 분리하도록 제공되어 상기 엄지발가락이 상기 둘째발가락 쪽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 시 상기 착용자의 발가락을 바르게 정렬시켜 상기 착용자의 보행 중 무지외반증을 교정하도록 제공된 분리부(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신발{Shoes for correction of valgus valgus}
본 고안은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신발은 엄지발가락과 둘째발가락사이에 분리부를 설치하여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 쪽으로 휘어지는 것을 막아줌으로써, 엄지발가락이 변형되는 무지외반증을 교정할 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보행하는 동안 자연스럽게 엄지발가락의 바른 정렬을 유지하여 무지외반증의 외관상 불편해 보이는 부분을 해소하여 자신 있고 편안한 보행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무지외반증은 일명‘하이힐 병’으로 불리고 있으며, 큰 키를 선호하는 여성들이 하이힐을 신을 때 또는 앞쪽 폭이 좁고 뾰족한 신발을 신으면 악화되는 질병으로, 나이가 들면서 점점 심해지는 경향을 보이며, 엄지발가락의 돌출된 부위가 신발과 마찰을 일으켜 통증 및 염증을 일으켜 한국 여성의 약 5~10%가 통증을 느끼는 질병이다.
   또한 외측으로 엄지발가락 변형이 심하게 진행되면 이로 인해 다른 발가락들도 공간이 부족하여 엄지발가락 위로 올라가게 되는 변형, 갈퀴변형 및 외측전위 등이 일어나 외관상 매우 보기가 좋지 않으며 심하게 진행되면 관절이 탈구되기도 하여 치료가 필요한 질병이다.
무지외반증은 일시적이거나 고정적인 질병이 아니며, 지속적인 보행습관에 의해 점차로 심하게 변형을 일으키는 질병으로 발가락 전체의 균형 붕괴로 인해 정상적인 보행이 어려울 뿐 아니라 무릎, 고관절 및 척추에 스트레스가 가해져 필연적으로 2차 합병증이 유발하게 된다.
그러므로 굽이 높고 앞쪽 폭이 좁은 신발에 의해 야기되는 무지외반증의 교정을 위해서는 일상생활에서 보행하는 동안 엄지발가락의 적절한 정렬을 통해 발과 발가락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의 개발이 필요하다.
관련 선행기술 중 특허문헌 1과 2에서는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의 전단부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바닥면의 전단부에 삽입 고정되어 엄지발가락과 둘째발가락 사이를 분리하는 플립플랍형 지지부 또는 스트랩을 설치한 신발 및 샌달을 제안하였으나, 플립플랍형 지지부 또는 스트랩의 폭이 좁아 엄지발가락과 둘째발가락 사이를 충분히 분리하기 어려워 효과적인 무지외반증의 교정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앞부분에 발가락 집을 형성하여 발가락이 겹치지 못하도록 하는 신발을 고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윗부분이 열려있는 샌달형태가 아닌 구두나 운동화형태의 신발에 적용한 것으로 신발 내부에 설치된 발가락 분리장치로 인해 지정된 공간에 발가락을 끼우기 어려워 신발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4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인별로 각각 다른 엄지발가락 상태에 맞춤형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샌달형태의 신발이 제안되었다 (도 4 참조).  제안된 기술은 회전형 레버와 와이어로 구성되는 교정구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교정구(11)의 각도 및 유격 정도 등을 개인별 엄지발가락의 상태에 따라 직접 눈으로 보고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를 위해 엄지발가락 전체를 교정구(11)로 감싸도록 되어있어, 착화 후 보행 시 엄지발가락을 압박하여 일상에서의 착용 및 자유로운 보행에 불편함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언급된 대부분의 선행기술들은 구조 및 형태가 복잡하여 제작 시 여러 단계의 공정이 필요하여, 이에 따른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1)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850316호 (공고일 2008년 08월 04일) (2) 국내 등록실용공보 제20-0441275호 (공고일 2008년 08월 04일) (3) 국내 등록실용공보 제20-0426025호 (공고일 2006년 09월 18일) (4)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07740호 (공고일 2019년 08월 06일)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샌달 형태의 신발에 엄지발가락과 둘째발가락 사이를 분리하는 분리부를 장착하여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 쪽으로 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일상적인 보행 시 효율적으로 발가락 변형을 교정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함과 동시에 착용 시 엄지발가락의 정렬을 통해 무지외반증의 외관상 불편함을 해소하여 자신 있고 편안한 보행이 가능한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 달성을 위해, 신발 바닥부(100)와 갑피 덮개부(200) 사이에 분리부(10)를 삽입 고정하였고, 이 분리부(10)에 의해 신발 착용 시 엄지발가락과 둘째발가락 사이가 분리되어 발가락변형 뿐 아니라 다양한 무지외반증에 대한 효과적인 교정이 가능하여 발가락이 제대로 정렬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엄지발가락의 돌출부가 신발 갑피 덮개부(200)에 닿는 부분에 실리콘 소재의 패드(20)를 부착하여 보행 시 마찰에 의한 충격 및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또 하나의 과제로 한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 신발은 착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신발 바닥부(100); 상기 신발 바닥부(100)와 상기 착용자의 발등을 감싸는 갑피 덮개부(200); 및 상기 신발 바닥부(100)와 상기 갑피 덮개부(200) 사이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착용자의 엄지발가락과 둘째발가락 사이를 분리하도록 제공되어 상기 엄지발가락이 상기 둘째발가락 쪽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 시 상기 착용자의 발가락을 바르게 정렬시켜 상기 착용자의 보행 중 무지외반증을 교정하도록 제공된 분리부(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갑피 덮개부(200)의 내측면에 부착된 패드(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20)는 상기 착용자의 상기 엄지발가락의 돌출부가 상기 착용자의 보행 시 마찰에 의한 충격 및 통증을 완화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분리부(10)의 아랫단은 신발 바닥부(100)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분리부(10)의 윗단은 상기 갑피 덮개부(200)에 연결 삽입되어 상기 엄지발가락과 상기 둘째발가락을 분리시키고 상기 엄지발가락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10)는 상기 엄지 발가락의 휘임 정도에 따라 2단계로 각도를 조절하여 삽입 고정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은 개인의 엄지발가락 형태에 맞게 분리부(10)의 삽입 각도를 직접 육안으로 보고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지외반증의 증세에 따라 개인별로 맞춤 교정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비교적 편안한 상태에서 엄지발가락과 둘째발가락이 분리됨에 따라 자유로운 보행 및 장시간 착용이 가능하여 무지외반증 교정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본 샌달(또는 신발)을 착용하는 동안 엄지발가락의 바른 정렬이 유지되어 자연스럽게 무지외반증을 교정함과 동시에 무지외반증의 외관상 불편해 보이는 부분이 해소되어 자신 있고 편안한 보행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갑피 내부에 실리콘소재의 패드를 부착하여 엄지발가락 돌출부의 충격 및 통증을 완화시켜 편안한 보행을 구현하였으며, 신발의 구조 및 형태를 단순화함으로써 제작공정이 단축되어 이에 따른 제작비가 현저히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특허문헌 1에 의한 신발에 대한 도면
도 2은 특허문헌 2에 의한 샌달에 대한 도면
도 3는 특허문헌 3에 의한 신발에 대한 도면
도 4는 특허문헌 4에 의한 신발에 대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대한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신발 바닥부(100)의 윗면과 갑피 덮개부(200)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분리부(10)의 위치를 표시한 실시도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바닥부(100)의 윗면과 갑피 덮개부(200)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분리부(10)의 위치를 표시한 실시도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바닥부(100)의 윗면과 갑피 덮개부(200)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분리부(10)의 위치를 표시한 실시도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바닥부(100)의 윗면과 갑피 덮개부(200)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분리부(10)의 위치를 표시한 실시도
도 10은 도 9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고안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특허문헌 1에 의한 신발에 대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은 착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발바닥 형태의 바닥부와; 착용자의 발등과 뒷축을 감싸도록 바닥면의 중후단부 테두리면으로부터 반구형 형태로 제작되며 후미에 발을 삽입하는 공간부를 갖춘 갑피 덮개부와; 상기 갑피 덮개부의 전단부 일측 끝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바닥면의 전단부에 삽입 고정되며 엄지 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를 분리 삽입토록 하는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30)와; 바닥부(10)의 전중단부에는 발의 중족골 부위를 서로 모이게 조이는 중족골 압박밴드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30)는, 내측에 설치되는 팽창 가능한 에어백(31)과; 상기 에어백(31)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이며, 에어백의 팽창에 상응하여 외부로 팽창하는 탄성소재(가죽, 섬유, 합성수지)의 외피(32)와 탄성밴드(35); 및 상기 에어백(31)의 하단 혹은 상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바닥부의 하면 혹은 상면에 결합되어 에어백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체크밸브(33)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플립플랍형 신발의 발가락 지지부(toe post)(30)는, 외주연에 착탈하여 개인별로 엄지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도록, 다양한 폭과 단면형상을 갖는 일측이 절개된 토스프레더(36)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중족골 압박밴드(40)는 갑피 덮개부(20)의 내피(21)와 외피(22) 사이 공간부를 통해 관통 설치되거나 갑피안쪽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중족골 압박밴드(4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갑피 덮개부(20)의 전단부 끝단으로부터 바닥부의 전단부 끝단까지 연장되어 발가락 부분을 감싸는 발가락 보호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2은 특허문헌 2에 의한 샌달에 대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른 본 고안은 플립플랍형 신발과 아쿠아 형태의 신발을 결합한 무지외반증 치료용 신발을 제공하여 평상시 사무실이나 실외에서 착용할때 착용감을 높이면서 치료효과를 극대화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착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발바닥 형태의 바닥부와; 착용자의 발의 일부와 발뒷축을 감싸도록 상기 바닥부의 중후단부 테두리면으로부터 반구형 형태로 제작되며, 후미에 발을 삽입하는 공간부를 갖는 갑피 덮개부와; 상기 갑피 덮개부의 전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바닥부의 전단부에 삽입 고정되며 엄지 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를 분리시키는 일자형 끈 형태의 스트랩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스트랩의 단면은 사각형 또는 타원형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스트랩은 가죽 재질, 섬유 또는 합성수지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갑피 덮개부는 망사재질, 합성수지제 또는 천재질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갑피 덮개부의 전단부 끝단으로부터 바닥부의 전단부 끝단까지 연장되어 발가락 부분을 감싸는 발가락 보호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3는 특허문헌 3에 의한 신발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지외반증, 및 건막류의 예방 및 교정 신발(1) 제작과정은 먼저 갑피(6)의 안감 앞 부분에 발가락 사이에 끼워질 벽체(5)를 만들어 갑피(6)을 완성한다
중창(10)은 발바닥이 닿는 부분을 발바닥 형상과 같이 뒤꿈치(7)를 오목하게 하고 아치 부분(8)을 볼록하게 하여 발이 신발 내부에서 미끄러지는 슬립현상을 방지하게 하고 앞 부분(2) 절개 홈(9)은 갑피(6) 안감에 만들어진 벽체(5)를 끼울 수 있는 만큼 절개하여 중창(10)을 완성한다, 완성된 중창(10)을 골바닥 면에 부착하고 갑피(6)을 들씌우기 과정에서 갑피(6)안감에 만들어진 벽체(5)를 중창(10) 앞 부분(2)의 절개 홈(9)에 끼워 접착하면 갑피(6)과 중창(10)이 결속되게 된다 이렇게 골씌어진 신발 저 면에 밑창을 부착하고 신발을 완성하여 탈골 하면 발가락 집(4)이 형성된다.
무지외반증, 및 건막류의 예방 및 교정 신발(1)을 착용하면 발가락 사이에 벽체(5)가 끼워져 발가락이 서로 겹치지 못하게 되고 중창(10)은 뒤꿈치(7)를 오목하고 아치 부분(8)을 볼록하게 하여 발이 신발 내부에서 미끄러지는 슬립현상을 방지하여 무지외반증 건막류 예방 및 교정의 기능을 갖게된다
도 4는 특허문헌 4에 의한 신발에 대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발 갑피(100)에 있어서, 발가락이 삽입되는 교정구(11); 및 상기 교정구(11)의 각도 및 유격 정도를 조절하는 교정구 조절수단(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 및 보정용 신발 갑피를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교정구(11)는, 일단이 신발창(20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교정구 조절수단(12)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교정구 조절수단(12)은, 와이어(12b)를 감거나 풀어 와이어(12b)를 이송시키는 회전형 레버(12a); 및 상기 회전형 레버(12a)의 동작에 따라 감기거나 풀려 이송되되, 그 일단에 교정구(11)의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감기거나 풀리는 동작에 따라 교정구(11)의 각도 및 유격 정도를 조절하는 와이어(12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와이어(12b)는, 와이어 터널(T)에 삽입된 상태로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신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신발 바닥부(100)의 윗면과 갑피 덮개부(200)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분리부(10)의 위치를 표시한 실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은 바닥부(100), 갑피 덮개부(200)와 분리부(10) 및 패드(20)로 구성된다.
바닥부(100)는 신발의 착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할 수 있다.
갑피 덮개부(200)는 신발의 착용자의 발등을 감쌀 수 있다. 갑피 덮개부(200)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의 전단부에 위치한 전단 덮개부(220), 상기 전단 덮개부(220)보다 후단에 위치하는 후단 덮개부(210), 및 전단 덮개부(220)와 후단 덮개부(210)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덮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덮개부(230)는 두께 방향에서 분리부(10)와 중첩할 수 있다.
분리부(10)는 신발의 착용자의 엄지발가락과 둘째발가락을 분리할 수 있다.
분리부(10)는 신발의 착용자의 엄지발가락과 둘째발가락을 분리하기 위해, 갑피 덮개부(200)와 바닥부(1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분리부(10)는 신발의 착용자의 엄지발가락과 둘째발가락을 분리하기 위해, 갑피 덮개부(200)와 바닥부(100) 사이에 설치되고, 신발의 착용자의 엄지발가락과 둘째발가락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리부(10)는 신발의 착용자의 엄지발가락과 둘째발가락 사이를 분리할 수 있고,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 쪽으로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리부(10)는 제2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분리부(10)는 신발의 착용자가 신발 착용시 착용자의 발가락을 바르게 정렬시킬 수 있다.
분리부(10)의 상기 제2 경도는 후술할 상기 제1 경도보다 클 수 있다.
즉, 분리부(10)의 상기 제2 경도는 상기 제1 경도보다 큰 물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신발 착용자의 엄지발가락과 둘째발가락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분리부(10)는 신발 착용시 착용자의 엄지발가락과 둘째발가락을 바르게 정렬(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 쪽으로 휘는 것을 방지)시켜 착용자의 보행 중 무지외반증을 교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리부(10)는 신발 착용시 착용자의 엄지발가락과 둘째발가락을 바르게 정렬(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 쪽으로 휘는 것을 방지)시켜 착용자의 보행 중 무지외반증을 교정하기 위해, 갑피 덮개부(200) 및 바닥부(100)보다 재질이 딱딱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분리부(10)의 경도는 갑피 덮개부(200)의 경도, 및 바닥부(100)의 경도보다 각각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부(10)의 물질은 갑피 덮개부(200)의 경도, 및 바닥부(100)의 경도보다 큰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분리부(10)의 물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 덮개부(200)의 내측면에 부착된 패드(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드(20)는 엄지발가락의 돌출부가 착용자의 보행 시 마찰에 의한 충격 및 통증을 완화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패드(20)는 착용자의 엄지발가락의 돌출부와 갑피 덮개부(2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나아가, 패드(20)는 엄지발가락의 돌출부가 착용자의 보행 시 마찰에 의한 충격 및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패드(20)의 물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패드(20)는 제1 경도(Rigidinity)를 가질 수 있다.
패드(20)는 후단 덮개부(22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패드(20)의 상기 제1 경도는 상술한 상기 제2 경도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착용자의 보행 시 엄지발가락의 돌출부가 마찰에 의한 충격 및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분리부(10)의 아랫단은 바닥부(100)에 연결되고, 분리부(10)의 윗단은 갑피 덮개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분리부(10)의 아랫단은 바닥부(100)에 삽입 연결될 수 있고, 분리부(10)의 윗단은 갑피 덮개부(200)에 삽입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리부(10)는 상기 엄지발가락과 상기 둘째발가락을 분리시키고 상기 엄지발가락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부(100)의 윗면과 갑피 덮개부(200) 전반부의 안쪽에 홈이 파져있어, 분리부(10)를 삽입 고정시킬 수 있다.
분리부(10)는 바닥부(100) 및 갑피 덮개부(200)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들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출부들이 각각 바닥부(100)의 윗면홈, 및 갑피 덮개부(200)의 안쪽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분리부(10)를 바닥부(100) 및 갑피 덮개부(200)에 삽입 연결시킬 수 있다.
나아가, 분리부(10)는 발가락의 휘임 정도(또는 엄지발가락의 휘임 정도)에 따라 2단계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엄지발가락의 변형정도에 따라 분리부(10)의 각도를 조절하여 삽입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이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서 지칭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바닥부(100)의 윗면과 갑피 덮개부(200)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분리부(10)의 위치를 표시한 실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패드(20)가 전단 덮개부(220)의 내측면 상에 더 배치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5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 신발과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20)는 전단 덮개부(220)의 내측면과 후단 덮개부(21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패드(20)는 엄지발가락의 돌출부가 착용자의 보행 시 마찰에 의한 충격 및 통증을 완화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패드(20)는 착용자의 엄지발가락의 돌출부와 갑피 덮개부(2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패드(20)는 착용자의 엄지발가락의 돌출부와 전단 덮개부(220) 사이, 및 상기 돌출부와 후단 덮개부(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패드(20)는 엄지발가락의 돌출부가 착용자의 보행 시 마찰에 의한 충격 및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패드(20)의 물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패드(20)는 제1 경도(Rigidinity)를 가질 수 있다.
패드(20)는 후단 덮개부(22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패드(20)의 상기 제1 경도는 상술한 상기 제2 경도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착용자의 보행 시 엄지발가락의 돌출부가 마찰에 의한 충격 및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패드(20)가 상기 돌출부와 후단 덮개부(210) 사이에 배치될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엄지발가락의 돌출부와 전단 덮개부(220) 사이에 더 배치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착용자의 보행 시 엄지발가락의 돌출부가 마찰에 의한 충격 및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바닥부(100)의 윗면과 갑피 덮개부(200)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분리부(10)의 위치를 표시한 실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 신발은 분리부(10)에 부착된 패드(20_1)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7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 신발과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 신발은 분리부(10)에 부착된 패드(20_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드(20_1)는 분리부(10)에 부착될 수 있다. 패드(20_1)는 단면상 분리부(10)와 패드(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패드(20_1)는 분리부(10)의 패드(20) 및 갑피 덮개부(200)의 전단 덮개부(220) 또는 후단 덮개부(210)를 바라보는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패드(20_1)는 분리부(10)의 패드(20) 및 갑피 덮개부(200)의 전단 덮개부(220) 또는 후단 덮개부(210)를 바라보는 일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패드(20)는 제1 두께(T1)를 갖고, 패드(20_1)는 제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패드(20_1)는 분리부(10)의 패드(20) 및 갑피 덮개부(200)의 전단 덮개부(220) 또는 후단 덮개부(210)를 바라보는 일면 상에 부착됨으로써, 분리부(10)에 의한 엄지발가락과 둘째발가락 간의 분리시키는 효과뿐만 아니라, 엄지발가락의 둘째발가락을 바라보는 부분이 분리부(10)에 의해 마찰되어 통증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갑피 덮개부(200)에 부착된 패드(20)와 분리부(10)에 부착된 패드(20_1)는 각각 착용자의 인접한 갑피 덮개부(200)나 분리부(10)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에 의한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공통점이 존재하지만, 서로 다른 기능을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갑피 덮개부(200)에 부착된 패드(20)와는 달리, 분리부(10)에 부착된 패드(20_1)는 분리부(10)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엄지발가락과 둘째발가락 간의 분리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갑피 덮개부(200)에 부착된 패드(20)와 분리부(10)에 부착된 패드(20_1)는 각각 착용자의 인접한 갑피 덮개부(200)나 분리부(10)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에 의한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으나, 분리부(10)에 부착된 패드(20_1)는 분리부(10)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엄지발가락과 둘째발가락 간의 분리시키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갑피 덮개부(200)에 부착된 패드(20) 대비 큰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이유로 인해, 분리부(10)에 부착된 패드(20_1)의 제3 강도는 갑피 덮개부(200)에 부착된 패드(20)의 상기 제1 강도보다 더 클 수 있다. 강도가 더 작으면 패드(20, 20_1)에 착용자의 발가락의 일부분이 접촉한 경우, 상기 일부분으로부터 패드(20, 20_1)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효과가 적을 수 있다.
즉, 분리부(10)에 부착된 패드(20_1)의 제3 강도는 갑피 덮개부(200)에 부착된 패드(20)의 상기 제1 강도보다 더 큼으로써, 분리부(10)에 부착된 패드(20_1)는 착용자의 인접한 분리부(10)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에 의한 통증을 완화시킬뿐만 아니라, 분리부(10)와 마찬가지로 엄지발가락과 둘째발가락 간의 분리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패드(20_1)는 상기 제1 강도보다 더 큰 상기 제3 강도를 갖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바닥부(100)의 윗면과 갑피 덮개부(200)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분리부(10)의 위치를 표시한 실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패드(20)와 패드(20_1)의 두께가 서로 상이하다는 점에서, 도 8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패드(20)는 제1 두께(T1)를 갖고 패드(20_1)는 제2 두께(T2)를 갖는데, 제1 두께(T1)는 제2 두께(T2)보다 클 수 있다.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 쪽으로 휘는 증상인데,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 쪽으로 휘는 것뿐만 아니라,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닥의 상부에까지 올라온다.
따라서, 무지외반증을 완벽하게 교정하기 위해서는 분리부(10)를 통해 엄지발가락과 둘째발가락을 좌우 방향으로 분리하는 것뿐만 아니라, 엄지발가락의 뼈가 휘어져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의 상부로 휘어진 것까지 교정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패드(20)는 제1 두께(T1)를 갖고 패드(20_1)는 제2 두께(T2)를 갖는데, 제1 두께(T1)는 제2 두께(T2)보다 클 수 있다. 즉,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의 상부로 휘어진 것을 교정하기 위해, 엄지발가락이 상부로 휘어지는 것을 교정하도록 엄지발가락과 두께 방향에서 중첩하는 패드(20)의 제1 두께(T1)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두께(T1)를 갖는 패드(20)의 하면은 착용자가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신발을 착용한 경우, 착용자의 엄지발가락의 상부와 직접 닿을 수 있다. 즉, 패드(20)의 제1 두께(T1)는 착용자가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신발을 착용한 경우, 착용자의 엄지발가락의 상부와 직접 닿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두께(T1)는 제2 두께(T2)보다 약 2배 내지 4배 이하일 수 있다. 제1 두께(T1)가 2배 이상임으로써, 상술한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의 상부로 휘어진 것을 교정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고, 제1 두께(T1)가 4배 이하임으로써, 착용자가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신발을 착용할 때, 엄지발가락이 패드(20), 패드(20_1), 및 신발 바닥부(10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쉽게 들어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패드(20_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 덮개부(220)의 단면 연장 방향을 따라 동일한 제1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이외 설명은 도 8에서 상술한 바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신발은 제1 두께(T1)가 영역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도 10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신발과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신발은 패드(20')의 제1 두께(T1)가 전단 덮개부(220)의 단면 연장 방향을 따라 상이해질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단 덮개부(220)의 단면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분리부(10)에 인접한 전단 덮개부(220)와 중첩하는 패드(20')의 제1 두께(T1)는 신발 바닥부(100)에 인접한 전단 덮개부(220)와 중첩하는 패드(20')의 제1 두께(T1)보다 더 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드(20')의 제1 두께(T1)는 착용자가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신발을 착용한 경우, 착용자의 엄지발가락의 상부와 직접 닿도록 설계되어야 하기 때문에, 분리부(10)에 인접한 전단 덮개부(220)와 중첩하는 패드(20')의 제1 두께(T1)는 크게 설계되어야 한다.
한편, 신발 바닥부(100)에 인접한 전단 덮개부(220)와 중첩하는 패드(20')는 단순히, 착용자의 엄지발가닥의 돌출부가 전단 덮개부(220)의 내측면에 마찰되는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신발 바닥부(100)에 인접한 전단 덮개부(220)와 중첩하는 패드(20')의 제1 두께(T1)는 크게 설계될 필요성이 적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전단 덮개부(220)의 단면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신발 바닥부(100)에 인접한 전단 덮개부(220)와 중첩하는 패드(20')의 제1 두께(T1)보다 분리부(10)에 인접한 전단 덮개부(220)와 중첩하는 패드(20')의 제1 두께(T1)가 더 작게 형성됨으로써, 착용자가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신발을 착용할 때, 엄지발가락이 패드(20'), 패드(20_1), 및 신발 바닥부(10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보다 쉽게 들어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패드(20')에 소모되는 재료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인 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100 : 신발 바닥부
200 : 갑피 덮개부
10 : 분리부
20 : 패드

Claims (4)

  1. 착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신발 바닥부(100);
    상기 신발 바닥부(100)와 상기 착용자의 발등을 감싸는 갑피 덮개부(200); 및
    상기 신발 바닥부(100)와 상기 갑피 덮개부(200) 사이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착용자의 엄지발가락과 둘째발가락 사이를 분리하도록 제공되어 상기 엄지발가락이 상기 둘째발가락 쪽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 시 상기 착용자의 발가락을 바르게 정렬시켜 상기 착용자의 보행 중 무지외반증을 교정하도록 제공된 분리부(10)를 포함하고
    상기 갑피 덮개부(200)의 내측면에 부착된 패드(20, 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20, 20')는 상기 착용자의 상기 엄지발가락의 돌출부가 상기 착용자의 보행 시 마찰에 의한 충격 및 통증을 완화시키도록 제공되고,
    상기 분리부(10)의 아랫단은 신발 바닥부(100)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분리부(10)의 윗단은 상기 갑피 덮개부(200)에 연결 삽입되어 상기 엄지발가락과 상기 둘째발가락을 분리시키고 상기 엄지발가락의 휘어짐을 방지하고,
    상기 분리부(10)는 상기 엄지 발가락의 휘임 정도에 따라 2단계로 각도를 조절하여 삽입 고정되고,
    상기 갑피 덮개부(200)는 전단부에 위치한 전단 덮개부(220), 상기 전단 덮개부(220)보다 후단에 위치하는 후단 덮개부(210), 및 상기 전단 덮개부(220)와 상기 후단 덮개부(210)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덮개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덮개부(230)는 두께 방향에서 상기 분리부(10)와 중첩하고,
    상기 패드(20, 20')는 제1 경도를 갖고,
    상기 분리부(10)는 제2 경도를 갖고,
    상기 제2 경도는 상기 제1 경도보다 크고,
    상기 제2 경도는, 상기 갑피 덮개부(200)의 경도, 및 상기 바닥부(100)의 경도보다 각각 크고,
    상기 분리부(10)의 물질은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20, 20')는 엄지발가락의 돌출부가 착용자의 보행 시 마찰에 의한 충격 및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리부(10)는 상기 바닥부(100) 및 상기 갑피 덮개부(200)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들이 각각 상기 바닥부(100)의 윗면홈, 및 상기 갑피 덮개부(200)의 안쪽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분리부(10)를 상기 바닥부(100) 및 상기 갑피 덮개부(200)에 삽입 연결시키고,
    상기 패드(20, 20')는 상기 전단 덮개부(220)의 내측면 상에 더 배치되고,
    상기 패드(20, 20')는 상기 전단 덮개부(220)의 내측면과 상기 후단 덮개부(210)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분리부(10)에 부착된 패드(20_1)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20_1)는 상기 분리부(10)의 상기 패드(20, 20') 및 상기 갑피 덮개부(200)의 상기 전단 덮개부(220) 또는 상기 후단 덮개부(210)를 바라보는 일면 상에 부착되고,
    상기 패드(20, 20')는 제1 두께(T1)를 갖고, 상기 패드(20_1)는 제2 두께(T2)를 갖고,
    상기 분리부(10)에 부착된 상기 패드(20_1)는 상기 분리부(10)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엄지발가락과 둘째발가락 간의 분리시키는 기능을 하고,
    상기 패드(20_1)는 제3 강도를 갖고, 상기 제3 강도는 상기 제1 강도보다 더 크고,
    상기 제1 두께(T1)는 상기 제2 두께(T2)보다 더 크고,
    상기 제1 두께(T1)는 상기 제2 두께(T2)보다 2배 내지 4배 이하일 수 있고,
    상기 패드(20, 20')의 상기 제1 두께(T1)가 상기 전단 덮개부(220)의 단면 연장 방향을 따라 상이하고,
    상기 전단 덮개부(220)의 단면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분리부(10)에 인접한 상기 전단 덮개부(220)와 중첩하는 패드(20, 20')의 상기 제1 두께(T1)는 상기 신발 바닥부(100)에 인접한 상기 전단 덮개부(220)와 중첩하는 패드(20, 20')의 상기 제1 두께(T1)보다 더 큰 무지외반증 교정 신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210002084U 2021-07-01 2021-07-01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신발 KR2004960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084U KR200496047Y1 (ko) 2021-07-01 2021-07-01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084U KR200496047Y1 (ko) 2021-07-01 2021-07-01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047Y1 true KR200496047Y1 (ko) 2022-10-20

Family

ID=83795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084U KR200496047Y1 (ko) 2021-07-01 2021-07-01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047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716U (ja) * 1992-02-24 1994-02-01 清水化学株式会社 外反母趾矯正用靴
JPH09238701A (ja) * 1996-03-04 1997-09-16 Mizuno Corp
KR200426025Y1 (ko) 2006-04-24 2006-09-18 배호 건막류, 무지외반증 예방 및 교정신발
KR100850316B1 (ko) 2007-04-09 2008-08-04 (주)인투스에이치씨앤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KR200441275Y1 (ko) 2007-04-09 2008-08-04 (주)인투스에이치씨앤 플립플랍형 샌들 및 갑피 덮개형 신발을 조합한 무지외반증 교정화
KR101968285B1 (ko) * 2018-10-05 2019-04-11 주식회사 와이앤씨 무지외반증 교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신발
KR102007740B1 (ko) 2018-05-10 2019-08-06 오연주 무지외반증 교정 및 보정용 신발 갑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716U (ja) * 1992-02-24 1994-02-01 清水化学株式会社 外反母趾矯正用靴
JPH09238701A (ja) * 1996-03-04 1997-09-16 Mizuno Corp
KR200426025Y1 (ko) 2006-04-24 2006-09-18 배호 건막류, 무지외반증 예방 및 교정신발
KR100850316B1 (ko) 2007-04-09 2008-08-04 (주)인투스에이치씨앤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KR200441275Y1 (ko) 2007-04-09 2008-08-04 (주)인투스에이치씨앤 플립플랍형 샌들 및 갑피 덮개형 신발을 조합한 무지외반증 교정화
KR102007740B1 (ko) 2018-05-10 2019-08-06 오연주 무지외반증 교정 및 보정용 신발 갑피
KR101968285B1 (ko) * 2018-10-05 2019-04-11 주식회사 와이앤씨 무지외반증 교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355126B2 (en) Shoe with improved heel fit performance
US20180116335A1 (en) Footwear Sole Structure Including a Spring Plate
WO1993020725A1 (en) Sport shoe and support system
KR200457048Y1 (ko)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KR101709736B1 (ko) 발가락 교정기를 갖는 깔창
KR102007740B1 (ko) 무지외반증 교정 및 보정용 신발 갑피
US11134744B2 (en) Climbing shoe
EP1772123A1 (en) Shoe, in particular for prevention and correction of Hallux Valgus
US20110314694A1 (en) Sandal toe post and strap system
EP2883469B1 (en) Structure of high-heeled shoe
KR101709735B1 (ko) 발가락 교정기
US20030005601A1 (en) Corrective appliance mounted to footwear for correcting and preventing deformity of a foot
KR200496047Y1 (ko)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신발
KR102236233B1 (ko) 발 교정용 신발 깔창
KR101269961B1 (ko) 신발창의 구조
KR200437328Y1 (ko) 무지외반증 환자의 발가락 교정을 위한 신발
KR200495970Y1 (ko) 체형 교정용 슬리퍼
KR102493347B1 (ko) 족부 질환 예방 및 교정을 위한 기능성 슬리퍼
KR20240000340U (ko) 넣고 빼기가 용이한 신발 카운터
KR20110021126A (ko) 발가락 교정용 발가락 신발
CN212913497U (zh) 矫正袜
US20200170825A1 (en) Footwear to correct pronation issues
WO2010138991A1 (en) Three arch support footwear
US20190321209A1 (en) Peditrack
KR101188698B1 (ko) 깁스 환자용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