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9528B1 - 속경성 아크릴 개질콘크리트와 표층강화제를 이용한 교면포장 및 도로 보수공법 - Google Patents

속경성 아크릴 개질콘크리트와 표층강화제를 이용한 교면포장 및 도로 보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528B1
KR100849528B1 KR1020080029999A KR20080029999A KR100849528B1 KR 100849528 B1 KR100849528 B1 KR 100849528B1 KR 1020080029999 A KR1020080029999 A KR 1020080029999A KR 20080029999 A KR20080029999 A KR 20080029999A KR 100849528 B1 KR100849528 B1 KR 100849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avement
weight
quick
modified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선
주명기
김동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알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88099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4952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알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알건설
Priority to KR1020080029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95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5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067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making use of vibr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187Repairing bituminous covers, e.g. regeneration of the covering material in situ, application of a new bituminous top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53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involving the removal of at least part of the materials of the treated article, e.g. etching, drying of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illing or priming, with or without working the surface of the filling 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 thereto, e.g. for filling the joints of stone-sett paving
    • E01C23/0973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illing or priming, with or without working the surface of the filling 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 thereto, e.g. for filling the joints of stone-sett pav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materials, e.g. crack sealants
    • E01C23/098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illing or priming, with or without working the surface of the filling 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 thereto, e.g. for filling the joints of stone-sett pav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materials, e.g. crack sealants and working the surface of the filling 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 thereto, e.g. smoothing, grit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 E01C23/12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power-driven tools, e.g. oscillated hammer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26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mixed with other materials, e.g. cement, rubber, leather, fibre
    • E01C7/265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mixed with other materials, e.g. cement, rubber, leather, fibre with rubber or synthetic resin, e.g. with rubber aggregate, with synthetic resin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5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road constr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34Non-shrinking or non-cracking materials
    • C04B2111/343Crack resistant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고 기존 구조물과의 부착이 우수하며, 내구성 및 강도특성이 우수한 속경성 아크릴 개질콘크리트와 표층 강화제를 이용한 교면 포장 및 도로 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속경성 아크릴 개질콘크리트와 표층 강화제를 이용한 교면 포장 및 도로 보수공법은, 노면파쇄기를 이용하여 포장층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포장층 제거단계 후 자체 제작한 파쇄기를 사용하여 방수층 제거 및 요철부의 표층을 평탄화하고, 신구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숏트블라스터 또는 워터젯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열화된 부위, 뜬돌,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흡입기를 이용하여 표면을 청소하는 표면처리단계; 상기 표면 처리 단계 후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5~60 중량%의 부분 소수화 처리된 수성 실리카 졸, 0.1~60 중량%의 알칼리 실리케이트, 용매는 30~50 중량% 및 0.1~10 중량%의 붕산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표층 강화제를 도포하는 단계; 속경성 아크릴 개질 콘크리트를 타설 하는 단계; 타설된 콘크리트가 기존 포장면과 평탄하게 되도록 포장 표면을 더블 바이브레이터 또는 콘크리트 피니셔를 이용하여 정지하는 정지단계; 정지한 직후 표면을 안정화한 후 콘크리트의 초기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표층 보호제를 분무하는 안정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로, 보수, 표층강화제, 속경성 아크릴 개질 콘크리트

Description

속경성 아크릴 개질콘크리트와 표층강화제를 이용한 교면 포장 및 도로 보수공법{Overlay Pavement and Repairing Method for Road with Rapid Set Acrylic-Modified Concrete and Suface Reinforcing Agent }
본 발명은 교면 포장 및 도로 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화된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한 덧씌우기 공법으로서 속경성 아크릴 개질콘크리트의 재질특성을 고려하여 모빌믹서에 의해 현장에서 직접 포설하여 신,구 콘크리트의 충분한 부착력 및 평탄성 확보, 균열발생을 억제하여 초기 균열방지 및 작업성 및 시공성을 개선하여 콘크리트 품질관리를 안정화 시키는 속경성 아크릴 개질 콘트리트 및 표층 강화제를 이용한 교면 포장 및 도로 보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교량의 교면포장방법으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면포장 시공방법이 주로 시행되어 왔다.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면포장 시공방법은 모두 투수성 포장이므로 교량 바닥판 철근 콘크리트를 보호하기 위하여 교면포장에 앞서 방수층을 설치하게 되어 시공성의 어려움과 평균 5년마다 절삭하여, 재포장하게 되어 사회 경제적 부담이 되어 왔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아스팔트 콘크리트 교면포장의 경우에는 아스팔트의 절삭이후 재포장 시 방수층이 파손되어 교면의 방수기능이 상실하게 되고 교량 바닥판 철근콘크리트에 염화물이온이 침투되어 철근의 부식이 촉진되고, 그 결과 철근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여 교량 바닥판 콘크리트의 내구성이 조기에 저하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대두되어 왔다. 그 뿐 만 아니라 아스팔트콘크리트는 가요성 포장 재료로서 소성변형, 노화, 박리 등에 의해 소요의 주행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평균 5년에 1회씩 재포장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교량 유지관리비가 과다 투입되고 교통장애의 심각한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스팔트콘크리트 교면포장공법이나 콘크리트 마모층 교면포장공법 등과 같은 종래의 교면포장 재료 및 그 시공방법의 단점을 개선하고 상기 교면포장 재료의 구비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부착력이 우수하고 균열억제 및 방수효과가 뛰어난 라텍스혼합개질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면포장 시공방법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교량 교면 포장 및 보수공법은 그 특성상 장기간 교량의 폐쇄 시 엄청난 교통 체증이 발생하게 되므로, 교량의 보수공사는 대단히 신속하게 이루어질 것이 요구되며, 보수공사에 의해 재포장된 포장과 기존 포장의 경계부의 접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응력집중에 의한 균열, 박리 등의 국부 파손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재포장된 포장체 전체의 파손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재포장되는 콘크리트가 상호 정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보수공법인 아스팔트 덧씌우기 공법, 아크릴계 폴리머 콘크리트 박층 포장 보수공법 등은 이러 한 요건을 모두 충족하지 못한다는 측면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고, 기존 포장과의 접합이 우수하며, 우수한 장기 강도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속경성 아크릴 개질콘크리트와 표층 강화제를 이용한 교면 포장 및 도로 보수공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속경성 아크릴 개질콘크리트와 표층 강화제를 이용한 교면 포장 및 도로 보수공법은, 표층 강화제를 살포함으로 구 콘크리트 내의 알칼리성 부여로 중성화 및 철근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 콘크리트의 표층을 강화하여 신 구 콘크리트의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신속한 시공 및 우수한 품질의 콘크리트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속경성 아크릴 개질콘크리트와 표층 강화제를 이용한 교면 포장 및 도로 보수공법은, 노면파쇄기를 이용하여 포장층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포장층 제거단계 후 파쇄기를 사용하여 방수층 제거 및 요철부의 표층을 평탄화하고, 신구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숏트블라스터 또는 워터젯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열화된 부위, 뜬돌,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흡입기를 이용하여 표면을 청소하는 표면처리단계; 상기 표면 처리 단계 후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5~60 중량%의 부분 소수화 처리된 수성 실리카 졸, 0.1~60 중량%의 알칼리 실리케이트, 용매는 30~50 중량% 및 0.1~10 중량%의 붕산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표층 강화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속경성 아크릴 개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타설된 콘크리트가 기존 포장면과 평탄하게 되도록 포장 표면을 더블 바이브레이터 또는 콘크리트 피니셔를 이용하여 정지하는 정지단계; 정지한 직후 완전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방향 경사 타이닝기를 이용하여 표면을 안정화하고 콘크리트의 초기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표층 보호제를 분무하는 안정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속경성 아크릴 개질 콘크리트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속경성 시멘트 결합재 14~16 중량%, 잔골재 45~47 중량%, 굵은 골재 29~31 중량%, 물 3~5 중량%, 폴리머 에멀젼 4~6 중량%로 구성되되, 상기 속경성 시멘트 결합재는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초미립 시멘트 30~50 중량%, 비정질 칼슘 알루미네이트 미분말 10~20 중량%, 플라이애쉬 30~50 중량%, 리튬 카보네이트 0.1~1.0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속경성 아크릴 개질콘크리트와 표층 강화제를 이용한 교면 포장 및 도로 보수공법에 의하면, 시공시 별도의 방수층을 설치하지 않고 직접 슬래브콘크리트 교면에 포설하는 방식으로 콘크리트 교면 포장에 있어 중요 사항인 신,구 콘크리트의 부착력 증진 및 균열억제, 평탄성 확보 등을 도모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교면포장공법과 달리 건전한 콘크리트 파쇄를 방지하고 파쇄되지 않은 불건전한 콘크리트 부분을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노출된 철근에 대해서는 폴리머 개질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방청하고 노출되지 않은 철근은 표층 보호제를 침투시킴으로서 알칼리성을 부여하여 방청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파쇄기 및 숏트블라스터로 방수층 제거 및 요철부 평탄화를 기존 공법보다 빠른 시간 내에 작업을 마칠 수 있다. 또한, 표층 강화제를 살포하여 열화된 콘크리트부의 강도회복 및 신구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속경성 아크릴 개질 콘크리트를 타설한 직 후에 기존 공법에서는 양생제를 살포하였으나, 이는 유기계 성분을 가지고 있어 환경에 유해하고, 콘크리트 수분 발산을 방지하여 초기 균열을 방지하는 효과만을 가지고 있으나, 본 표층 보호제는 무기계로서 환경에 무해하며, 콘크리트 내부의 조직을 치밀하여 초기균열 방지이외에 표층이 강화되어 내마모성 등이 개선된다.
본 발명에 의한 속경성 아크릴 개질콘크리트와 표층 강화제를 이용한 교면 포장 및 도로 보수공법은 다음과 같다.
(S10) 포장층 제거.
노면파쇄기 등을 이용하여 포장층 및 방수층을 제거하는 단계로 포장층 내부에 배근된 철근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S20) 표면 처리.
상기 포장층 제거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포장층의 요철부를 자체 개발한 파쇄기를 이용하여 제거한 후 신구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표면을 처리한 후 흡입기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파쇄기를 사용하여 방수층 제거 및 요철부의 표층을 평탄화하고, 숏트블라스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열화된 부위, 뜬돌,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표층이 습윤상태인 경우 워터젯트로 숏트블라스터를 대처 사용하여 표층을 제거한다. 여기서 숏트블라스터를 이용하여 신구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증가시키고, 건전한 콘크리트에 대한 불필요한 파쇄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나 표층이 습윤상태일 경우에 숏트블라스터로 파쇄할 경우에는 파쇄능력이 저하됨으로 이러한 경우에는 숏트블라스터 작업을 워터젯트로 대신하여 파쇄할 수 있다. 표면 파쇄 후 흡입기를 이용하여 표면을 청소한다.
(S30) 표층 강화.
상기 표면 처리 단계가 완료되면 표층 강화제를 포설하여 콘크리트 내부 조직을 치밀하게 함과 아울러 강도를 증대하며, 표층 강화제는 알칼리성이기 때문에 별도의 방청처리가 불필요하다.
상기 표층 강화제는 부분 소수화 처리된 수성 실리카 졸과 알칼리 실리케이트를 포함한다.
먼저, 부분소수화 처리된 수성 실리카 졸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수성 실리카 졸은 통상의 물유리를 이온교환법으로 제조하거나 알콕시 실 란(Alkoxy silane)을 가수분해하여 제조할 수 있다. 수성 실리카 졸은 단분산 형태를 갖는 미립자로서 입자크기가 약 10~30㎚를 가진다.
수성 실리카 졸은 물유리를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이온교환법으로 얻을 수 있다. 물유리는 이산화규소와 알칼리를 융해해서 얻은 규산알칼리염 수용액을 말한다.
또한, 테트라 에톡시 실란(tetra ethoxy silane, Si(OC2H5)4) 또는 테트라 메톡시 실란(tetra methoxy silane, Si(OCH3)4) 등으로 대표되는 알콕시 실란(Alkoxy silane)을 가수분해하여 수성 실리카 졸을 얻을 수도 있다. 상기 가수분해는 용매와 촉매를 이용할 수 있는데, 용매로는 에탄올과 같은 알콜류 또는 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촉매로는 산 또는 알칼리계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산계 촉매로는 염산(HCl), 황산(H2SO4), 질산(HNO3), 초산(CH3COOH)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알칼리계 촉매로는 수산화암모늄(NH4OH),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KOH), 유기 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알콕시 실란은 5~60 중량% 정도 첨가하며, 바람직하게는 40~60 중량% 정도 첨가한다. 용매는 30~50 중량% 정도 첨가하며, 촉매는 0.1~10 중량% 정도 첨가한다. 상기 가수분해 반응은 상온(예컨대, 15∼25℃ 정도의 온도)에서 실시할 수 있다.
수성 실리카 졸에 오가노 알콕시 실란(organo alkoxy silane, R1Si(OR2)3) 을 투입하여 가수분해 반응을 시킨다. 오가노 알콕시 실란의 분자식 R1Si(OR2)3에서 R1 은 탄소수 1 내지 8의 유기기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기를 나타낸다. 상기 가수분해 반응은 용매와 촉매를 이용할 수 있는데, 용매로는 에탄올과 같은 알콜류 또는 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촉매로는 산 또는 알칼리계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산계 촉매로는 붕산, 염산(HCl), 황산(H2SO4), 질산(HNO3), 초산(CH3COOH)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알칼리계 촉매로는 수산화암모늄(NH4OH),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KOH), 유기 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수성 실리카 졸은 5~60 중량% 정도 첨가하며, 바람직하게는 20~40 중량% 정도 첨가한다. 오가노 알콕시 실란은 1~50 중량% 정도 첨가하며, 바람직하게는 5~40중량% 정도 첨가한다. 용매는 30~40 중량% 정도 첨가하며, 촉매는 0.1~10 중량% 정도 첨가한다. 상기 가수분해 반응은 20∼90℃ 정도의 온도에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에 의해 가수분해물이 단분산 실리카 졸의 입자 표면에 생성됨과 함께 중축합반응을 일으켜 부분 소수화된 수성 실리카 졸을 얻을 수 있다. 수성 실리카 졸에 오가노 알콕시 실란을 처리하는 것에 의해 실리카 입자가 부분적으로 소수화되어 친수 및 소수성의 특성을 발현하게 된다.
수성 실리카 졸의 입자 표면을 부분소수화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오가노 알콕시 실란(organo alkoxy silane, R1Si(OR2)3)의 분자식 중에 R1은 탄소수 1 내지 8의 탄소를 지니는 유기기일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8을 갖는 유기기에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등의 알킬기, 그 밖에 r-클로로프로필기, 비닐기, 3,3,3-트르플로로프로필기, r-글리시독시프로필기, r-메타크릴옥시프로필기, r-메르카프로토프로필기, 페닐기, 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기, r-아미노프로필기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R2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아실기일 수 있는데, 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포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아세틸기 등 일 수 있다.
오가노 알콕시 실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n-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i-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r-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r-클로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3,3,3-트리플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r-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r-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r-메르카프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r-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오가노 알콕시 실란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용할 수 있으며, 사용량은 수성 실리카 졸의 1~50 중량%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5~20 중량% 정도이다.
이어서, 부분소수화 처리된 수성 실리카 졸에 알칼리 실리케이트(alkali silicate, R2O.SiO2)를 첨가하여 소정 시간(예컨대, 4∼24 시간) 동안 교반하여 침투형 보수재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교반은 100∼200rpm 정도의 속도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칼리 실리케이트(alkali silicate, R2O.SiO2)는 규산 칼륨(potassium silicate)과 규산 리튬 (lithium silicate)으로 이루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알칼리 실리케이트 중 규산나트륨(sodium silicate)은 콘크리트의 보수재로 사용할 때 칼륨 이온과의 치환반응에 의해 불용성의 규산 칼슘(Calcium silicate)을 형성하므로 범용적으로 사용되나, 본 발명에서는 우수한 내수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규산 나트륨보다 내수성이 우수한 규산 칼슘 및 규산 리튬을 사용한다.
이들 알칼리 실리케이트의 사용량은 표층 강화제 100중량%에 대하여 0.1~60 중량% 이며, 바람직하게는 30~50 중량% 정도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표층 강화제는 콘크리트 지수 구조물에 처리시 조성물의 유리화를 촉진시키고,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붕산(B2O3)을 첨가한다. 붕산(B2O3)의 첨가량은 침투형 보수재용 조성물에 대하여 0.1∼1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2~5 중량% 정도이다.
이와 같은 조성의 표층 강화제를 이용하여 균열부분, 상부의 강도저하부분, 신구콘크리트의 부착력 증가 및 배근된 철근의 방청효과를 얻을 수 있는 표층강화단계를 실시하는 것이다. 실리케이트 계열의 표층 강화제를 배근층에 있는 열화된 콘크리트 내부로 20mm이상을 침투시켜 이 콘크리트 내부조직을 치밀하게 함과 동시에 강도를 개선할 수 있고, 그 재료 특성상 알칼리성을 부여함으로써 별도의 방청처리가 불필요하다. 이러한 표층 콘크리트 강화제 작업은 표면 처리된 면에 인접한 시공이음부, 신축이음장치, 난간 방호벽, 중앙분리대 등의 취약부에는 반드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표면처리 단계에서 노출된 철근에 대해서는 폴리머 에멀젼과 속경성 시멘트 결합재를 중량비로 0.6-0.8 : 0.4-0.2로 하여 제조된 폴리머 개질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도포하여 방청재 도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기존 공법에서는 콘크리트 타설작업 직전, 모르타르를 브러시 등에 의해 청소된 면에 얇게 도포하는 브루밍(brooming) 작업하여 기존 포장과 새로이 타설되는 포장 사이의 부착강도를 증진시키고, 신구 이음부의 결함을 최소화하도록 사용하고 있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작업은 브루밍 작업에 의해 도포된 모르타르가 고결되기 전에 실시되어야 하므로, 브루밍 작업의 구간과 콘크리트 타설작업구간 사이의 거리는 1.5 ~ 2 m 정도를 유지하여 사용되도록 하였으나, 사용하는 재료가 속경성으로 20분 정도가 작업이 가능한 시간이므로 이를 현실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S40) 속경성 아크릴 개질콘크리트 타설.
전체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속경성 시멘트 결합재 14~16 중량%, 잔골재 45~47 중량%, 굵은 골재 29~31 중량%, 물 3~5 중량%, 폴리머 에멀젼 4~6 중량%로 구성되되, 상기 속경성 시멘트 결합재는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초미립 시멘트 30~50 중량%, 비정질 칼슘 알루미네이트 미분말 10~20 중량%, 플라이애쉬 30~50 중량%, 리튬 카보네이트 0.1~1.0 중량%로 이루어진 속경성 아크릴 개질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여기서 타설 전 표층 강화제를 살포함으로써 보수면을 습윤상태로 유지 하여 포설되는 속경성 아크릴 개질콘크리트의 배합수량이 구 콘크리트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나서 모빌믹서를 이용 현장에서 속경성 아크릴 개질콘크리트 조성물을 생산하여 포설하는데, 모빌믹서에 골재, 시멘트, 물, 라텍스 등의 원재료가 일정량 연속적으로 배출되어 믹싱오거를 통해 배출된 속경성 아크릴 개질콘크리트가 소정의 다짐도와 소요의 평탄성과 마무리됨을 가질 수 있는 반죽질기를 유지하여야 한다. 또, 모빌믹서로부터 배출된 속경성 아크릴 개질콘크리트는 구성성분과 반죽질기는 포장이 종료될 때까지 균등하여야 하며, 모빌믹서에 투입된 용량은 표면에 라텍스필름이 생기기 전에 마무리작업이 종료되고, 마무리 장비가 일정한 속도로 진행될 수 있게 한다. 모빌믹서의 배합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포설 전 켈리브레이션을 실시하여 각각의 재료의 검,교정시 설정값을 비교하여 그 허용오차는 1% 범위 이내로 하여 믹싱을 실시한다. 한편, 라텍스혼합개질콘크리트의 포설 전 예상치 못한 기상변화에 대비하여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보호하기 위해 사전에 충분한 준비를 한다.
한편 콘크리트 타설 작업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는 속경성, 고강도, 접합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속경성 아크릴 개질 콘크리트 등이 그 예라 할 수 있다. 속경성 아크릴 개질 콘크리트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먼저, 작업성이 우수하다. 기존 라텍스 혼합 개질 콘크리트는 라텍스의 점도가 높아 초기에 표면에 폴리머 피막이 형성됨으로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짐과 동시 에 포설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경향이 있다. 두 번째, 폴리머에 포함되어 있는 계면활성제의 활성작용에 의해 분산효과가 커 유동성이 우수하여 낮은 물-시멘트비에서도 높은 슬럼프 값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세번째, 폴리머 재료의 특성상 점성(점착력)이 커 재료분리에 대한 저항성이 크고, 블리딩이 발생하지 않는다. 네번째, 폴리머 결합재량이 클수록 휨, 인장 및 부착강도는 우수하나 약간의 압축강도 저하가 발생됨으로 현장 시공 조건에 따라 적당한 결합재량의 선택이 중요하다. 다섯번째, 휨, 인장, 부착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하여 기존 포장과의 접합 및 표면 보호를 위한 보수공법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재료이다.
(S50) 정지.
상기 포설단계가 완료되면 속경성 아크릴 개질콘크리트의 포설이 이루어진 후 마무리면의 소요 평탄성과 종,횡 계획고 및 내구성이 우수한 표면이 유지되도록 하는 정지단계를 실시하는데 여기서는 더블 바이브레이터 빔 또는 콘크리트 피니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60) 표면 안정화.
상기 (S40) 정지단계가 완료되면 도로의 진행방향으로 경사 타이닝기(종방향 경사 타이닝기)를 표층 강화제 살포기에 장착하여 홈의 깊이를 5mm내외를 표준으로 하고, 홈의 간격을 4cm내외로 정밀하게 형성하여 차량의 타이어와 충분한 마찰력을 발생하게 함으로써 주행성과 안정성을 유지하게 한다. 그리고 타이닝기가 타이닝홈을 형성하고 나면, 콘크리트의 초기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층 보호제(상기 표층 강화제를 물로 4배(중량) 희석한 희석액)를 타설 콘크리트의 전면적에 걸쳐 빠 짐없이 고르게 살포한다.

Claims (4)

  1. 노면파쇄기를 이용하여 포장층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포장층 제거단계 후 파쇄기를 사용하여 방수층 제거 및 요철부의 표층을 평탄화하고,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숏트블라스터 또는 워터젯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열화된 부위, 뜬돌,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흡입기를 이용하여 표면을 청소하는 표면처리단계;
    상기 표면 처리 단계 후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5~60 중량%의 부분 소수화 처리된 수성 실리카 졸, 0.1~60 중량%의 알칼리 실리케이트, 용매는 30~50 중량% 및 0.1~10 중량%의 붕산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표층 강화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속경성 아크릴 개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타설된 콘크리트가 기존 포장면과 평탄하게 되도록 포장 표면을 더블 바이브 레이터 또는 콘크리트 피니셔를 이용하여 정지하는 정지단계; 및
    정지한 직후 완전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방향 경사 타이닝기를 이용하여 표면을 안정화하고 콘크리트의 초기 균열 방지 및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표층 보호제를 분무하는 안정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경성 아크릴 개질콘크리트와 표층 강화제를 이용한 교면 포장 및 도로 보수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경성 아크릴 개질 콘크리트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속경성 시멘트 결합재 14~16 중량%, 잔골재 45~47 중량%, 굵은 골재 29~31 중량%, 물 3~5 중량%, 폴리머 에멀젼 4~6 중량%로 구성되되, 상기 속경성 시멘트 결합재는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초미립 시멘트 30~50 중량%, 비정질 칼슘 알루미네이트 미분말 10~20 중량%, 플라이애쉬 30~50 중량%, 리튬 카보네이트 0.1~1.0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경성 아크릴 개질콘크리트와 표층강화제를 이용한 교면 포장 및 도로 보수공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안정화단계에서는 깊이 5mm내외 간격 4cm내외로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상기 표층 강화제를 물로 희석한 표층 보호제를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경성 아크릴 개질콘크리트와 표층 강화제를 이용한 교면 포장 및 도로 보수공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단계에서는 노출된 철근을 폴리머 개질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방청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경성 아크릴 개질콘크리트와 표층 강화제를 이용한 교면 포장 및 도로 보수공법.
KR1020080029999A 2008-03-31 2008-03-31 속경성 아크릴 개질콘크리트와 표층강화제를 이용한 교면포장 및 도로 보수공법 KR100849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999A KR100849528B1 (ko) 2008-03-31 2008-03-31 속경성 아크릴 개질콘크리트와 표층강화제를 이용한 교면포장 및 도로 보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999A KR100849528B1 (ko) 2008-03-31 2008-03-31 속경성 아크릴 개질콘크리트와 표층강화제를 이용한 교면포장 및 도로 보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9528B1 true KR100849528B1 (ko) 2008-08-06

Family

ID=39880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999A KR100849528B1 (ko) 2008-03-31 2008-03-31 속경성 아크릴 개질콘크리트와 표층강화제를 이용한 교면포장 및 도로 보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952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391B1 (ko) 2008-08-08 2008-12-11 주식회사 홍서이엔씨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KR101045982B1 (ko) 2011-01-18 2011-07-01 (주)아이에스오코리아 개질 아크릴 폴리머를 이용한 초속경 방수콘크리트 도로포장재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도로포장재 조성물
KR101069820B1 (ko) * 2011-01-31 2011-10-04 (주)삼우아이엠씨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KR101080958B1 (ko) * 2011-01-31 2011-11-08 (주)삼우아이엠씨 워터젯과 흡입장치가 결부된 교면 처리장치를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
KR101847453B1 (ko) * 2015-09-24 2018-05-28 이재형 토질개량제를 이용한 흙 표면처리공법
KR101982186B1 (ko) 2018-12-20 2019-05-24 주식회사 정우소재 바이오 폴리머를 포함한 초속경 개질 모르타르 조성물 및 초속경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 포장 보수방법
KR102482904B1 (ko) * 2021-12-16 2022-12-30 주식회사 송현산업 저탄소 폴리머 콘크리트 교면 포장 신설 시공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618A (ko) * 1996-08-14 1998-05-25 조병창 교량 상판 및 도로 보수 공법
KR20020049479A (ko) * 2000-12-19 2002-06-26 이한승 방청성이 있는 복합 알칼리 회복제를 사용한 철근 부식보수 및 억제방법
JP2002179479A (ja) 2000-10-05 2002-06-26 Asuton:Kk コンクリート補強工法
KR20050032553A (ko) * 2005-03-15 2005-04-07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폴리머 콘크리트를 이용한 기존 아스팔트 포장의 박층덧씌우기 공법
KR20050067115A (ko) * 2005-06-03 2005-06-30 김문찬 복합재질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모르타르 및폴리머콘크리트용 결합재 조성물
JP2006036563A (ja) 2004-07-23 2006-02-09 Asuton:Kk コンクリートの補修方法
KR20070046583A (ko) * 2005-10-31 2007-05-03 한국전력공사 콘크리트 열화방지를 위한 표면침투 보강제의 제조방법
KR100807850B1 (ko) 2007-06-11 2008-02-29 주식회사 에스알건설 속경성 아크릴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20276B1 (ko) 2007-09-12 2008-04-08 주식회사 에스알건설 콘크리트 보수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콘크리트 보수재용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618A (ko) * 1996-08-14 1998-05-25 조병창 교량 상판 및 도로 보수 공법
JP2002179479A (ja) 2000-10-05 2002-06-26 Asuton:Kk コンクリート補強工法
KR20020049479A (ko) * 2000-12-19 2002-06-26 이한승 방청성이 있는 복합 알칼리 회복제를 사용한 철근 부식보수 및 억제방법
JP2006036563A (ja) 2004-07-23 2006-02-09 Asuton:Kk コンクリートの補修方法
KR20050032553A (ko) * 2005-03-15 2005-04-07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폴리머 콘크리트를 이용한 기존 아스팔트 포장의 박층덧씌우기 공법
KR20050067115A (ko) * 2005-06-03 2005-06-30 김문찬 복합재질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모르타르 및폴리머콘크리트용 결합재 조성물
KR20070046583A (ko) * 2005-10-31 2007-05-03 한국전력공사 콘크리트 열화방지를 위한 표면침투 보강제의 제조방법
KR100807850B1 (ko) 2007-06-11 2008-02-29 주식회사 에스알건설 속경성 아크릴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20276B1 (ko) 2007-09-12 2008-04-08 주식회사 에스알건설 콘크리트 보수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콘크리트 보수재용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391B1 (ko) 2008-08-08 2008-12-11 주식회사 홍서이엔씨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KR101045982B1 (ko) 2011-01-18 2011-07-01 (주)아이에스오코리아 개질 아크릴 폴리머를 이용한 초속경 방수콘크리트 도로포장재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도로포장재 조성물
KR101069820B1 (ko) * 2011-01-31 2011-10-04 (주)삼우아이엠씨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KR101080958B1 (ko) * 2011-01-31 2011-11-08 (주)삼우아이엠씨 워터젯과 흡입장치가 결부된 교면 처리장치를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
KR101847453B1 (ko) * 2015-09-24 2018-05-28 이재형 토질개량제를 이용한 흙 표면처리공법
KR101982186B1 (ko) 2018-12-20 2019-05-24 주식회사 정우소재 바이오 폴리머를 포함한 초속경 개질 모르타르 조성물 및 초속경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 포장 보수방법
KR102482904B1 (ko) * 2021-12-16 2022-12-30 주식회사 송현산업 저탄소 폴리머 콘크리트 교면 포장 신설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528B1 (ko) 속경성 아크릴 개질콘크리트와 표층강화제를 이용한 교면포장 및 도로 보수공법
KR101710300B1 (ko) 동결융해, 염해저항성 및 균열저항성을 향상시킨 초속경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면 보수 및 포장 공법
KR100873391B1 (ko)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KR100943312B1 (ko)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KR101665945B1 (ko) 동결융해, 염해저항성 및 균열저항성을 향상시킨 보수 보강용 초속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노면, 활주로 노면 및 엘형 측구 열화 부위 보수 보강 공법
KR100880908B1 (ko)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면 포장공법
KR10116462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방지 및 단면보수용 폴리머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열화방지 및 단면보수방법
KR101001112B1 (ko) 콘크리트 긴급보수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811276B1 (ko) 해조류 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구조체용 방수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82186B1 (ko) 바이오 폴리머를 포함한 초속경 개질 모르타르 조성물 및 초속경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 포장 보수방법
KR101133782B1 (ko) 고분자 융합 신소재와 탄소 나노튜브 단면 보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증대를 위한 표면 처리 공법과 그 콘크리트 구조물
KR101792619B1 (ko)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20350B1 (ko)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내산, 내황산염 및 염화 이온 침투 저항성이 우수한 친환경적인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방법
KR100869080B1 (ko) 수지몰탈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포장된 구조물
KR101166792B1 (ko) 단면복구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보수공법
KR101302448B1 (ko) 유동성 및 초기 강도발현이 우수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공법
KR101676296B1 (ko) 나노경질실리카 및 페닐에텐-에틸 프로펜노에이트계 폴리머 합성라텍스로 개질된 조강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공법
KR101363857B1 (ko) 조강형 혼합 시멘트 결합재를 이용한 교면 포장용 조강형 혼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 공법
KR100994195B1 (ko) 아스팔트 포장용 에폭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조성물, 교면 포장 보수공법 및 도로 보수공법
KR102105862B1 (ko) 분급된 페로니켈 슬래그 잔골재를 사용한 초속경 콘크리트 교면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포장 시공방법
KR10144666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미세균열 보수제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105860B1 (ko) 고로슬래그분말 및 플라이애시를 사용한 초속경 콘크리트 교면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포장 시공방법
KR20130063802A (ko) 도로 보수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도로 보수 방법
WO2020004434A1 (ja) コンクリートの改質方法および改質材
JPH11256504A (ja) スラブ式軌道の補修材料及び補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10000109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507

Effective date: 201009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507

Effective date: 20100930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