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8183B1 -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8183B1
KR100848183B1 KR1020060121145A KR20060121145A KR100848183B1 KR 100848183 B1 KR100848183 B1 KR 100848183B1 KR 1020060121145 A KR1020060121145 A KR 1020060121145A KR 20060121145 A KR20060121145 A KR 20060121145A KR 100848183 B1 KR100848183 B1 KR 100848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mera
state
information
normal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0655A (ko
Inventor
이세훈
드미트리 페트로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후후
이세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후후, 이세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후후
Priority to KR1020060121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8183B1/ko
Publication of KR20080050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5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household appliances or professional audio/video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01R19/1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01R19/155Indicating the presence of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선 환경에 배치되는 카메라 시스템에 대한 신호를 처리함과 아울러 상기 시스템의 고장을 효과적으로 진단하도록 한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방사능 지역에 위치한 카메라부 구성에 대한 정상 상태 전압과 전류 및 동작 상태의 전압과 전류를 확인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하고, 영상 신호를 확인하여 정상 여부를 확인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확인 결과를 정상 범위에 대한 위치(혹은 편차) 정보로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수리나 교체가 용이하지 않은 장소에 설치되는 카메라부의 이상 징후를 미리 확인 및 관리하도록 하여 수명을 연장하고 신뢰성을 높이며, 교체 시기를 짐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및 그 방법{DIAGNOSIS APPARATUS FOR RADIATION TOLERANT CAMERA SYSTEM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찰상관 소자를 이용한 내방사선 카메라의 구조.
도 2는 고체 촬상 소자를 이용한 내방사선 카메라의 구조.
도 3은 고체 촬상 소자를 이용한 카메라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보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범용 구성예를 보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리시버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동작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동작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 10내지 11은 본 발명 실시예들에 따른 모니터링부 화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찰상관 센서 11: 광전부
12: 전자총 13: 편향코일
20: 내방사선 카메라 21: 방사선 차폐 하우징
22: 거울 23: 고체 촬상소자 이미지 센서
24: 이미지 센서 신호 처리부 30: 이미지 센서부
31: 타이밍 생성부 32: 싱크 삽입부
100: 카메라부 110: 발광부
120: 카메라 130: 구동부
140: 지지대 200: 리시버부
210: 통신부 220: 고장 진단부
230: 알림부 300: 모니터링부
본 발명은 방사선 환경에 배치되는 카메라 시스템에 대한 신호를 처리함과 아울러 상기 시스템의 고장을 효과적으로 진단하도록 한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화석 에너지의 고갈을 대체하기 위한 에너지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이러한 차세대 에너지 개발이 가시적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현실적으로 원자력 발전을 통한 에너지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국내를 포함한 많은 나라들에서 아직까지 전체 생산 에너지에서 원자력 발전이 차지하는 에너지 생산 비율이 낮지만 획기적인 에너지원이 개발되기 전까지는 원자력 발전에 의한 에너지 생산 비율이 점차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은 일반적인 것이 되었다.
이렇게 원자력 발전의 필요성이 절실해짐에 따라 원자력 발전소의 새로운 설립과 기존 원자력 발전소의 증개축이 전 세계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원자력 관련 산업은 전체 산업에서 그 비중이 매우 낮으며, 그 활용 대상이 한정되어 기술적 진전 역시 매우 늦은 편에 속한다.
예를 들어, 원자력 발전소에서 방사능 발생 지역 내를 감시하기 위한 카메라의 경우, 일반 카메라는 정상적인 영상을 얻을 수 없고, 낮은 수준의 방사능 피폭으로도 쉽게 소손되어 지속적인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내방사선 특성을 가지는 전용 카메라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기술적 개선은 그 요구 정도에 비해 느리게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촬상관 센서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관 센서(10)는 피사체로부터 얻어지는 영상이 광전부(11)의 박막에 결상되면 전기상이 발생하며, 이를 전자총(12)이 전자빔을 주사하여 전자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영상 신호를 얻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상기 전자빔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서 편향코일(13)을 이용한다. 상기 촬상관 센서는 높은 내방사선 특성(2×108rad)을 가지고 있으므로, 비록 가장 오래된 상용 이미지 센서지만 아직도 내방사선 특성이 요구되는 일부 영역에서는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그 크기가 크고 구동이 복잡하여 현재 원자력 발전소를 포함하는 방사선 영역에서의 감시 용도로는 극히 일부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도 2는 CCD나 CMOS와 같은 고체 촬상소자 이미지 센서(23)를 이용한 내방사 선 카메라(20)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것으로, CCD나 CMOS 이미지 센서(23)는 직접 감마선에 노출될 경우 정상적인 동작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는 소재로 만들어진 방사선 차폐 하우징(20)으로 상기 이미지 센서(23)와 이미지 센서 신호 처리부(24)를 보호하고, 거울(22)을 이용하여 간접적인 방식으로 피사체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센서(23)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의 거울을 이용하여 마치 잠망경과 같은 거울 구조를 이용하여 영상의 상하 반전을 방지하는 구조를 이용하기도 한다.
도 3은 고체 촬상 소자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내방사선 특성이 좋은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의 기본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이 결상되는 이미지 센서부(30)와, 상기 이미지 센서부(30)가 제공하는 이미지 신호를 영상 규격에 따라 싱크 파형(동기 신호)을 삽입하는 싱크 삽입부(32)와, 상기 이미지 센서부(30)에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타이밍을 제공하고 상기 싱크 삽입부(32)에 타이밍을 제공하는 타이밍 생성부(31)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싱크 삽입부(32)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 신호는 아날로그 TV 영상 신호(NTSC, PAL 등)가 된다.
상기 카메라는 일정한 영역을 감시하도록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으나, 원하는 감시 영역을 지향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의 지향 방향을 조절하는 구동부를 상기 카메라에 더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카메라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와 구동부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카메라와 구동부가 제 공하는 정보들을 확인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구동부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포괄하여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이라 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상기 카메라와 구동부는 방사선 영역에 구성되기 때문에 보수와 관리가 어려워 높은 안정성과 신뢰성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와 구동부를 원자력 발전 시설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와 구동부를 수리하거나 교체하기 위해서는 원자력 발전 시설의 정지가 요구될 수 있으며, 원자력 발전 시설을 한번 정지한 후 다시 가동시키기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과 오랜 시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비록 카메라와 구동부에 이상이 있더라도 이를 쉽게 복구할 수 없어 고장이 발생한 상태로 방치해야만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수리나 교체가 용이하지 않은 장소에 설치될 수 있는 카메라, 혹은 카메라와 구동부의 이상 징후를 미리 확인하여 수명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새롭게 제안하는 본 발명 실시예들의 목적은 원격지에 위치한 카메라부 구성에 대한 정상 상태 전압과 전류 및 동작 상태의 전압과 전류를 확인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하고, 영상 신호를 확인하여 정상 여부를 확인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확인 결과를 정상 범위에 대한 위치 정보(즉, 정상 범위를 기준으로 하는 편차 정보)로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현재 카메라부의 정확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보수가 어려운 방사선 영역에 배치되는 카메라 및 구동부에 대한 정상 상태의 전압 및 전류에 대한 측정값과, 동작 상태의 전압 및 전류에 대한 측정값을 각각의 정상 범위를 기준으로 하는 편차값 정보나 정상 범위에서의 위치를 보이는 그래픽 정보로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각 상태가 허용 범위 내에서 어떠한 상태인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성능의 열화 상태를 원격지에서 지속적으로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한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방사선 영역에 배치되는 카메라의 구동부에 대한 각 구성부 별 상태를 측정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하고, 이상이 발생한 경우 그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며,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라도 정상 범위 내에서 편차가 발생할 경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안내를 제공하여 성능 유지를 용이하도록 한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사선 영역에 배치되는 광학 조절식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카메라부로부터의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와 모니터링부 사이에 위치하여 전원과 제어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중계하고, 상기 카메라부의 정상 상태와 동작 상태일 경우 얻어지는 전기적 상태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고장을 알리며, 상기 전기적인 상태가 정상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정상 범위에 대한 편차를 파악하여 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리시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카메라부는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이미지 센싱 및 영상 처리 수단과; 모터 구동에 의해 복수의 렌즈 위치가 조절되는 광학 렌즈부와; 상기 광학 렌즈부 전면에 위치되는 광원부와; 상기 구성들의 지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1축 이상의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시버부는 상기 모니터링부가 제공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의 종류를 파악하는 통신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모니터링부에 제공하는 영상 중계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파악한 제어 종류에 맞추어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고, 고장 진단을 위해서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며, 상기 카메라부의 정상 상태와 동작 상태에 따른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기준으로 고장여부 및 정상 범위에서의 편차를 파악하는 고장 진단부와; 상기 고장 진단부를 통해 얻은 상기 카메라부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방사선 영역에 배치되는 광학 조절식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에 전원 및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과, 상기 카메라부를 구성하는 각 부분이 정상 상태일 때와 동작 상태일 때 얻어지는 전기적 상태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고장을 진단하고, 상기 전기적인 상태가 정상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정상 범위에 대한 편차를 파악하여 그 고장 진단 내용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고장 진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장 진단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전기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카메라부에 전원을 인가한 후 얻어지는 전체 및 각 부분에 대한 정상 상태에서의 전기적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카메라부의 각 부분을 동작시키면서 전기적 상 태를 파악하여 대응되는 각각의 기준 범위를 근거로 비정상 여부를 파악하는 고장 검출 수단과; 상기 고장 검출 수단에서 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파악된 카메라부의 각 부분에 대한 정상 상태 및 동작 상태의 전기적 상태를 대응되는 기준 범위에 대한 위치 정보로 파악하는 정상 상태 파악 수단과; 상기 고장 검출 수단 및 정상 상태 파악 수단에서 얻어진 결과를 사용자에게 시각적 혹은 청각적으로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방법은 방사선 영역에 배치되는 광학 조절식 카메라부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카메라부의 각 부분에 대한 정상 상태에서의 전기적 상태와 동작 상태에서의 전기적 상태를 검출하여 각각 기 설정된 정상 범위 정보들과 비교하여 정상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파악된 결과 비정상인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만일 정상인 경우 검출된 전기적 상태가 대응되는 각 정상 범위 중 어디에 위치하는 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상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부의 각 부분이 동작하지 않을 때의 전기적 상태와 기 설정된 정상 범위 정보를 비교하여 비정상인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할 비정상 정보 및 원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부의 각 부분이 동작할 때의 전기적 상태와 기 설정된 정상 범위 정보를 비교하여 비정상인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할 비정상 정보 및 원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 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카메라부 및 이를 포함한 카메라 시스템을 보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방사능 지역에 배치되는 카메라부(100)와, 비방사능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부(100)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카메라부(100)를 통해 제공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중계하는 리시버부(200)와, 역시 비방사능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리시버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리시버부(200)가 제공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상기 리시버부(200)에 제공하여 상기 카메라부(100)를 제어하도록 하는 모니터링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부(100)는 크게 완전한 밀폐와 방사능 차폐성능을 가지는 원통형 금속 하우징에 흑백/칼라 카메라 구성이 보호되는 카메라(120)와, 상기 카메라(120)의 촬상 영역에 환형으로 부착되며 복수의 발광체(발광 다이오드, 램프 등)로 이루어진 발광부(110)와, 상기 발광부(110)가 배치된 상기 카메라(120)를 상하 좌우로 이동(Panning, Tilting)하는 구동부(130) 및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대(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140)나 구동부(130)의 구성은 변경이나 생략 가능하다.
이때, 상기 카메라(120)에 포함된 렌즈 부분은 복수의 렌즈들과 상기 렌즈들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모터로 이루어진 구동 렌즈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아이리스(Iris), 포커스(Focus), 줌(Zoom)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광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적 구동에 의해 영상의 특성을 조절할 경우 이미지 센서를 복잡하게 디지털 방식으로 조절하지 않으면서도 높은 품질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내방사선 특성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카메라(120)의 이미지 센서를 제어하는 회로 구성을 간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리시버부(200)는 상기 모니터링부(300)에 내장될 수 있으나,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로 구성할 경우, 모니터링부(300)에서 제공하는 간단한 제어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카메라(120)와 구동부(130) 및 발광부(110)를 적절하게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적절한 순서와 타이밍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120)와 구동부(130) 및 발광부(110)에 대한 고장을 진단하는 기능을 상기 리시버부(200)에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100)가 용이하게 관리될 수 없는 방사능 영역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상기 고장을 진단하는 기능은 대단히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데, 단순한 고장 여부에 대한 알림이 아닌 고장이 유발될 수 있는 상황을 감시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카메라 어셈블리(100)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부(100)를 원격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상기 도4에 도시된 구성들을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신호들과, 제공되는 신호들 및 리시버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120)는 전원 신호와 광학식 렌즈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아이리스 신호, 포커스 신호, 줌 신호)을 상기 리시버부(200)로부터 제공받고, 영상 신호를 상기 리시버부(200)에 제공한다.
그리고, 구동부(130)는 상기 리시버부(200)로부터 좌우 모터 신호와 상하 모 터 신호를 제공받는다. 그리고, 광원부(110)는 좌측 광 신호와 우측 광 신호(혹은 단일 광 신호)를 상기 리시버부(200)로부터 제공받는다.
상기 광학식 렌즈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나, 구동부(13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및 광원부(11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는 단순한 제어 신호가 아닌 모터나 광원에 제공되는 구동신호이므로 상기 리시버부(200)는 상기 신호들을 제공하면서, 해당 신호의 전류나 전압을 측정하는 것으로 정상적인 구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리시버부(200)는 간단히, 모터터링부(3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제공받고, 필요한 경우 상기 모니터링부(300)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범용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RS-232, RS-485 등)을 지원하며 상기 카메라(120)가 제공하는 영상 신호를 상기 모니터링부(300)에 중계함과 아울러, 상기 모니터링부(300)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를 해석하여 적절한 제어 신호를 상기 카메라부(100)에 제공하는 통신부(210)와, 상기 카메라부(100)에 대한 고장여부를 진단하는 고장 진단부(220) 및 상기 고장 진단부(220)를 통해 파악되는 고장 여부나 고장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부(230)를 포함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카메라부(100)에 제공할 전원을 생성하기 위한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전원부는 교류 고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수단(전원 아답터, 스위칭 전원(SMP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10)의 구성은 순수한 통신 기능부와, 제어 신호 제공부 및 영상 신호 중계부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 기능은 상기 고장 진단부(220)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한다.
도 6은 도 4 및 도 5의 일반적인 구성 방식을 보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카메라부(100a~100n)를 방사능 영역에 구성할 경우 상기 카메라부(100a~100n)의 숫자와 같거나 작은 모니터링부(300a~300m)를 통해 상기 카메라부(100a~100n)를 통해 얻어지는 영상을 감시하고, 적절한 제어 명령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리시버부(200)는 복수의 카메라부들(100a~100n)과 복수의 모니터링부(300a~300m)를 적절하게 대응시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카메라부(100a~100n)를 상기 리시버부(200)에 연결하고, 단일 모니터링부(300)에서 이를 일괄적으로 제어하면서 원하는 영상을 확인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소정 수의 단위 카메라부를 하나의 모니터링부에 대응시키는 방식으로도 구성할 수 있으며, 일대일 대응 방식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이는 각 카메라부들(300a~300m)에 각각 고유 인덱스를 부여하고, 모니터링부(300a~300m)가 상기 인덱스를 선택하여 제어 명령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어렵지 않게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 리시버부(200)의 구성에 대한 예를 보인 것으로, 고장 진단과 관련된 구성의 블록도로서, 통신부(210)와 고장 진단부(220) 및 알림부(23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구성은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에 주의한다. 여기서는 상기 리시버부(200)가 수행하는 모니터링부(300)로부터의 제어 신호 분석과 카메라부(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같은 다양하면서도 일반적인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고장 진단 기능의 수행에 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고장 진단부(200)는 모니터링부(300)에서 고장 진단을 요구하는 제어 신호를 도시된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하거나, 최초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고장 진단을 실시한다.
상기 고장 진단부(200)는 마이크로 콘트롤러와 같은 제어 수단에 의해서 수행되는 부분과 고장 진단을 판단하기 위한 센싱 신호들을 얻는 부분 및 고장 진단을 위한 카메라부 구동 신호들을 제공하는 부분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카메라부 구동 신호는 통신부(210)를 제어하는 것으로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시된 구성은 통신부(210)가 기본적인 통신 기능 외에 카메라부에 대한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 신호 제공 기능(예를 들어, 구동 드라이버 칩이나 스위치 등으로 구성)을 구비한 경우로, 상기 고장 진단부(200)는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카메라부에 제공되는 구동 신호에 대한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수단(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증폭부, 감쇄부 등),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카메라부(100)에 제공할 구동 신호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측정된 전압과 전류를 기 설정된 정상 범위 정보들과 비교하여 정상여부를 판단하고 정상인 경우 정상 범위 중에서 어느 위치(정상 범위의 중심 값을 기준으로 하는 편차 정보일 수 있음) 인지를 판단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에서 제공되는 영상 정보가 정상적으로 제공되고 있는지를 상기 영상에 포함된 동기 신호들의 유무를 통해 파악하는 수단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상기 측정된 전압과 전류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그 원인에 대한 정보들을 생성하거나, 정상 범위에 속하는 경우라도 측정된 값이 정상 범위의 중심 값을 기준치 이상 벗어나는 경우 그 원인에 대한 정보들 을 생성하는 기능도 더 구비할 수 있고, 고장 진단을 실시하는 과정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안내들을 생성하는 기능도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알림부(230)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방식을 이용하는 구성을 보인 것으로, 카메라부에서 제공되는 영상에 상기 고장 진단부(22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삽입하여 출력하는 OSD 삽입부(231)를 구비하며, 필요한 경우 자체 표시부(232)나 음향 발생부(233)를 통해 상기 고장 진단부(220)의 판단 결과나 진행과정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230)는 상기 OSD 삽입부(231), 자체 표시부(232), 음향 발생부(23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체 표시부(232)의 경우 간단한 발광 다이오드(LED)에서부터 엘씨디 디스플레이, FND(Flexible Number Display), 도트 매트릭스, LED 그래픽 디스플레이 등을 포괄하는 다양한 표시 수단이 적용될 수 있고, 음향 발생부(233) 역시 다양한 소자(부저, 스피커 등)와 음향(비프음, 멜로디, 음성 등) 제공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구성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고장 진단을 실시하는 과정을 보인 순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을 인가할 경우 자동적으로 고장 진단부(220)가 동작하는 경우를 예로든 것이다. 이는 모니터링부에 의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먼저,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고장 진단부(220)는 카메라부 전체에 전원을 인 가하고 인가한 전원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한다. 상기 카메라부 전체 전원에 대한 정상 범위(예를 들어, 전압은 9~12V, 전류는 0.28~0.52A)에 속하는 경우 기준치 이내이므로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오류로 판정한다. 이때, 오류일 경우라도 그 종류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은 정상 범위이지만 전류가 정상 범위가 아닌 경우 케이블 연결 불량일 경우가 많으므로 "케이블 연결 불량"으로 오류의 원인을 판단할 수 있고, 이를 알림부(230)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카메라부에 대한 전체적인 전원이 정상 범위인 경우 각부 동작 상태에 대한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각각 정상 범위인지를 파악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는 각부에 대한 정상 상태 전압과 전류 및 동작 상태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구동 렌즈부의 정상 상태 전압과 전류(즉, 전기적 상태)를 측정하여 정상 범위인지 파악하고, 해당 부분을 각각 동작시켜 동작 상태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한 후 그 값이 정상 범위인지 파악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고, 광원부에 전압을 인가한 후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그 값이 정상 범위인지 파악할 수 있으며, 구동부에 전압을 인가하면서 상하좌우(틸팅/패닝) 구동시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그 값이 정상 범위인지 파악할 수 있다. 이때에도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기 설정된 판단 테이블 등을 이용하여 그 원인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면서 현재 측정중인 내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어떤 카메라(복수 카메라 구동이 가능할 경우 카메라를 구 별할 수 있는 식별자)의 구동부를 상향 구동시키고 있으며, 이때 측정되는 전압은 얼마가 된다는 내용을 알림부(230)를 통해 표시하는 등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혹은 단순히 고장 진단중이라는 내용과 시간 정보 등을 알림부(230)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카메라부의 각부에 대한 정상 상태와 동작 상태의 전기적 상태가 모두 정상 범위에 속하는 경우 카메라부가 제공하는 영상 신호의 존재 여부를 파악한다. 상기 영상 신호가 정상적인 경우 수직 혹은 수평 동기 신호들이 일정한 타이밍에 맞추어 존재하게 되므로 이를 측정하여 파악할 수 있다.
만일, 상기 과정을 모두 실시한 후 모든 측정 내용들이 정상 범위에 속하는 경우 최종적으로 고장 진단부(220)는 알림부(230)를 통해 카메라부가 정상임을 알릴 수 있으며, 상기 과정 중 오류가 발생한 부분이 있는 경우 오류 발생을 알리면서 오류가 발생한 원인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장 진단부(220)는 카메라부의 측정 내용이 모두 정상 범위에 속하는 경우라 할지라도 카메라부가 정상임을 알림과 함께 측정된 카메라부의 전기적 상태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 중에서 어떠한 위치에 있는지를 알리는 정보도 함께 제공하도록 한다. 이는 측정된 값이 정상 범위의 중심에서 얼마나 일측으로 치우쳐 있는지에 대한 편차 정보가 될 수 있으며, 평균값으로 제공되거나 부분별, 동작 여부 별로 각각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고장 진단부(220)는 비록 카메라부의 특정 부분에 대한 특정 상태(정상 상태, 동작 상태)의 전기적 특성이 정상 범위에 속하기는 하지만, 중심 영역에 대한 편차가 일정치 이상 발생한 경우 카메라부의 기능 열화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를 제공하거나 그 원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부의 구동 렌즈 중에서 아이리스 조절 렌즈를 구동할 경우 30~50mA가 정상 범위의 전류값이지만, 실제 측정된 전류값이 48mA일 경우, 정상이지만 구동시 전류값이 높으므로 해당 부분에 대한 구동 전압을 약간 하향 조정하도록 권고하는 등의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카메라부의 신호들이 정상 범위에 속하는 경우라도 점차 사용에 따라 열화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측정된 각 부분별, 동작 상황별 전압/전류값들을 적어도 1회 이상 누적 저장하면서 새롭게 측정되는 값들과 비교하여 그 편차의 이동 정보를 카메라부 열화 정보로 제공할 수도 있고, 이러한 정보들을 별도로 그래프 등으로 제공할 수도 있어, 필요한 경우 카메라부의 열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만일, 카메라부가 도 4 및 도 5와 같이, 아이리스/포커스/줌 기능의 광학식 구동 렌즈부와, 카메라와 광원 및 구동부를 구비한 경우, 고장을 진단하기 위한 정상 범위값들과, 상기 정상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제공할 고장 원인들을 다음의 표 1에 도시하였다.
검사내용 정상 범위/비정상판단 상태설명 알림부 표시
카메라 주 전원 9~12V, 0.4A ±30% 정상 Normal/정상
미소전압/전류 전원 미인가 OFF/전원미인가
9~12V, 5~50mA 선로 이상(연결불량) Break/연결불량
2V미만/0.5A 이상 선로 단선 Shortcut/선로단선
렌즈 구동 신호 (Iris,Focus, Zoom) 9~12V, 10~30mA 정상(정상상태) OFF/정지
9~12V, 30~50mA 정상(동작상태) +,- function/+,-구동
10mA 미만 케이블/모터 파손 Error/모터(선로)손상
광원 구동 신호 10~50mA 정상(정상상태) OFF/소등
3A이하(램프) 0.6A이하(LED) 정상(동작상태) ON/점등
10mA 미만 케이블/라이트 파손 Error/램프(선로)손상
구동부 구동 신호 10mA~50mA 정상(정상상태) OFF/정지
0.3~1.5A 정상(동작상태) U,D,R,L / 상,하,좌,우
10mA 미만 케이블/모터 파손 Error/모터(선로)손상
카메라 영상 신호 Composit 신호존재 정상 Normal/정상
10개 라인까지 Composit 신호 부재 선로 단선/연결불량 Loss/신호없음
표 1에 도시한 정상 범위의 내용이나 비정상 판단 내용은 변경 혹은 첨삭될 수 있으며, 알림부 표시 내용도 변경될 수 있다.
도 9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고장 진단에 대한 경과나 결과를 영상에 포함시켜 제공하는 경우의 순서도를 보인 것으로, 전원이 인가될 경우 고장 진단이 실시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것이며, 외부 제어 신호에 의해 고장 진단이 임의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먼저, 전원이 인가되면 카메라부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의 유무에 상관없이 리시버부는 모니터링부에 기본적인 고장진단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현재 고장 진단이 실시되고 있으며, 고장 진단을 실시할 카메라의 식별 번호는 어떠한 것이며, 현재 시간은 어떻게 되는지에 관련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정보를 제공하면서, 리시버부에 포함된 고장진단부는 카메라부의 각 부분들(예를 들어, 카메라(이미지 센서와 이를 제어하여 영상을 제공하는 부분), 구동 렌즈부, 구동부, 광원부 등)에 전원을 인가하고 정상상태에서의 이들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그 값을 OSD로 표시할 수도 있음)하여 각각 정상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파악한다. 만일 카메라부의 일부에서 측정된 전압이나 전류(전기적 상태)가 정상 범위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측정된 값(전압/전류값)을 기 설정된 비정상 기준들과 비교하여 고장 원인을 파악한다.
상기 과정에서 카메라부의 모든 부분들에 대한 정상 상태에서의 전기적 상태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이를 OSD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 경우, 측정된 전기적 상태가 대응되는 정상 범위의 중심을 기준으로 얼마의 편차를 가지는지를 파악하여 저장해 둘 수 있으며, 추후 일괄 연산을 위해 측정된 전기적 상태들을 저장해 둘 수 있다.
이후, 카메라부의 각부에 대한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맞추어 시험을 실시할 카메라부의 부분에 대한 정보와 시험할 동작에 대한 정보를 OSD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면서 해당 부분을 동작시켜 그때의 전기적 상태를 측정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측정값을 OSD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만일, 상기 전기적 상태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에 속하지 않을 경우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오류 원인을 파악하여 OSD를 통해 사용자에게 오류 원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만일 기 설정된 정상 범위에 속할 경우 기준치 범위 내에 속함을 알린다. 이때, 측정된 전기적 상태가 대응되는 정상 범위의 중심값을 기준으로 얼마의 편차를 가지는지를 파악하여 저장해 둘 수 있으며, 추후 일괄 연산을 위해 측정된 전기적 상태들을 저장해 둘 수 있다. 상기 과정을 수행한 후 시나리오에 따른 모든 카메라 부분들에 대한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할 때까지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그리고, 카메라부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예를 들어, NTSC, PAL 영상)를 분석하여 동기신호 여부나 동기 신호의 형태에 따라서 컴포지션(composition) 신호 여부를 파악한 후 그 결과를 OSD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 경우에도 오류가 발생하면 그 원인을 OSD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물론, 이러한 영상 신호에 대한 검증이 가장 먼저 실시될 수 있으며, 정상적으로 영상 신호가 존재할 경우 해당 영상 신호에 정보를 삽입하는 것으로 OSD를 구현하고 정상적으로 영상 신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본적인 영상 신호를 생성하면서 OSD를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종합적으로 고장 진단 결과를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각부의 고장여부에 대한 설명과 함께 정상 범위에 대한 측정값의 편차 정보도 제공한다. 이는 저장된 편차 정보를 이용하거나 저장된 측정값과 기 설정된 정상 범위 값을 이용하여 연산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각각 제공하거나 평균을 구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고장 진단을 실시하는 리시버부는 모니터링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측정값들과 정상 범위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부에 제공하도록 하여 상기 모니터링부가 자체적으로 상기 정보들을 활용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부의 노후 정도나 열화 정도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고, 적어도 1회 이상의 이전 측정값들을 상기 리시버부가 자체적으로 저장한 후 새로운 측정값들과의 편차를 제공하여 카메라부의 열화 정도를 파악한 후 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0은 고장 진단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보이는 OSD 화면의 예를 보인 것으로 각 부분에 대한 정상 여부와 함께 측정된 값이 정상 범위 값의 중심에서 얼마나 치우쳐 있는지를 나타내는 편차 정보도 함께 제공되는 경우이다. 이를 통해서 전체적인 편차와 각 부분에 대한 편차를 알 수 있으며, 카메라부의 노화 정도를 예측하거나 이를 늦추기 위해서 조정할 파라메터들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측정 결과를 보면 전체적인 전원이 정상 범위값의 중간 값보다 약간 높으며, 구동부 역시 정상 범위의 중간값보다 약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제공하는 전원의 전압을 약간 낮추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편차를 줄여 카메라부의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카메라부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다. 혹은 이러한 조절이 어려운 경우라도 상기 결과 화면은 카메라부의 교체 시기를 짐작할 수 있는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도 10의 구성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을 달리한 OSD 화면의 예를 보인 것으로 그래픽을 이용하여 정상 범위를 표현하면서 실제 측정된 값을 상기 정상 범위 내에 나타내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현재 카메라부의 상태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경우에는 전압과 전류 또는 정상 상태와 동작 상태에 대한 평균을 나타낸 것이나 이는 각각 별도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편차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그 원인이나 해결을 위한 제안등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안은 개별적인 측정값들을 기준으로 검색될 수도 있고, 여러 측정값들을 고려하여 검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검색의 대상이 되는 측정값들의 기준 및 대응되는 권고 정보들은 카메라부의 특성에 맞추어 미리 준비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및 그 방법은 방사능 지역에 위치한 카메라부 구성에 대한 정상 상태 전압과 전류 및 동작 상태의 전압과 전류를 확인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하고, 영상 신호를 확인하여 정상 여부를 확인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확인 결과를 정상 범위에 대한 위치(혹은 편차) 정보로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수리나 교체가 용이하지 않은 장소에 설치되는 카메라부의 이상 징후를 미리 확인 및 관리하도록 하여 수명을 연장하고 신뢰성을 높이며, 교체 시기를 짐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및 그 방법은 보수가 어려운 방사선 영역에 배치되는 카메라 및 구동부에 대한 정상 상태 전압과 전류에 대한 측정값과 동작 상태 전압과 전류에 대한 측정값을 각각의 허용 범위에 대비하여 제공하고, 그 편차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해당 편차를 완화시킬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편차 정보들을 누적하여 새롭게 측정된 편차 정보들과 비교하도록 함으로써, 각 상태가 허용 범위 내에서 어떠한 상태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성능의 열화 원인 및 정도를 외부에서 파악 및 조절하여 성능 열화를 최대한 낮출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및 그 방 법은 방사선 영역에 배치되는 카메라의 구동부에 대한 각 구성부 별 상태를 측정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하고, 이상이 발생한 경우 그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며,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라도 정상 범위 내에서 편차가 발생할 경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안내를 제공하여 성능 유지를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4)

  1. 방사선 영역에 배치되는 광학 조절식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카메라부로부터의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와 모니터링부 사이에 위치하여 전원과 제어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중계하고, 상기 카메라부의 정상 상태와 동작 상태일 경우 얻어지는 전기적 상태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고장을 알리며, 상기 전기적인 상태가 정상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정상 범위에 대한 편차를 파악하여 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리시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이미지 센싱 및 영상 처리 수단과;
    모터 구동에 의해 복수의 렌즈 위치가 조절되는 광학 렌즈부와;
    상기 광학 렌즈부 전면에 위치되는 광원부와;
    상기 카메라부에 속한 구성들의 지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1축 이상의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부는
    상기 모니터링부가 제공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의 종류를 파악하는 통신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모니터링부에 제공하는 영상 중계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파악한 제어 종류에 맞추어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고, 고장 진단을 위해서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며, 상기 카메라부의 정상 상태와 동작 상태에 따른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기준으로 고장여부 및 정상 범위에서의 편차를 파악하는 고장 진단부와;
    상기 고장 진단부를 통해 얻은 상기 카메라부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부는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고장 여부나 정상 범위에 대한 편차 결과를 알리는 음향 발생부와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영상 중계부에 수신되는 카메라부의 영상 신호에 상기 고장 진단부에서 파악한 고장 여부 및 정상 범위에서의 편차 정보를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삽입하여 다시 영상 중계부의 출력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부로 제공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정보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정상 상태에서의 전압 및 전류를 파악하고, 상기 카메라부의 광학부를 구동시켜 동작시 전압 및 전류를 파악하며, 상기 영상 중계부에 수신되는 카메라부의 영상 신호에 포함된 동기 신호의 존재를 파악하여 각각 정상여부와 정상 범위에서의 편차를 파악한 후 이를 상기 알림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부는 상기 영상 신호에 상기 카메라부의 고장 여부와 정상 범위에 대한 측정된 전기적 상태의 편차 정보를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삽입하여 상기 모니터링부에 제공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정보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정상 상태와 동작 상태일 경우 얻어지는 전기적 상태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고장을 진단하고 그에 따른 원인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정상 상태와 동작 상태일 경우 얻어지는 전기적 상태가 모두 정상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얻어지는 각각의 전기적 상태를 대응되는 정상 범위에서의 위치 정보로 각각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각 상태에 대한 정상 범위내 위치에 따라서, 그 위치가 일정 수준 이상 중심에서 벗어날 경우 해당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안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12. 방사선 영역에 배치되는 광학 조절식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에 전원 및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과, 상기 카메라부를 구성하는 각 부분이 정상 상태일 때와 동작 상태일 때 얻어지는 전기적 상태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고장을 진단하고, 상기 전기적인 상태가 정상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정상 범위에 대한 편차를 파악하여 그 고장 진단 내용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고장 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이미지 센싱 및 영상 처리 수단과;
    모터 구동에 의해 복수의 렌즈 위치가 조절되는 광학 렌즈부와;
    상기 광학 렌즈부 전면에 위치되는 광원부와;
    상기 카메라부에 속한 구성들의 지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1축 이상의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전기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카메라부에 전원을 인가한 후 얻어지는 전체 및 각 부분에 대한 정상 상태에서의 전기적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카메라부의 각 부분을 동작시키면서 전기적 상태를 파악하여 대응되는 각각의 기준 범위를 근거로 비정상 여부를 파악하는 고장 검출 수단과;
    상기 고장 검출 수단에서 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파악된 카메라부의 각 부분에 대한 정상 상태 및 동작 상태의 전기적 상태를 대응되는 기준 범위에 대한 위치 정보로 파악하는 정상 상태 파악 수단과;
    상기 고장 검출 수단 및 정상 상태 파악 수단에서 얻어진 결과를 사용자에게 시각적 혹은 청각적으로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검출 수단은 상기 비정상으로 파악된 카메라부의 부분 및 동작 여부와 측정된 전기적 상태를 근거로 고장에 대한 원인을 판단하여 이를 상기 알림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정보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상태 파악 수단은 상기 파악된 기준 범위에 대한 전기적 상태가 기 설정된 값 이상 중심에서 벗어나는 경우 상기 알림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대응을 위한 정보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영상 신호를 획득하여 고장 검출 수단 및 정상 상태 파악 수단에서 얻어진 결과를 문자 혹은 그래픽 정보로 삽입한 후, 상기 정보가 포함된 영상을 출력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정보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검출 수단은 상기 카메라부의 각 부분에 대한 전기적 상태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선택된 카메라부의 부분과 측정을 위한 현재의 동작 상태 정보를 상기 알림부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19. 방사선 영역에 배치되는 광학 조절식 카메라부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카메 라부의 각 부분에 대한 정상 상태에서의 전기적 상태와 동작 상태에서의 전기적 상태를 검출하고 각각 기 설정된 정상 범위 정보들과 비교하여 정상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파악된 결과 비정상인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만일 정상인 경우 검출된 전기적 상태가 대응 정상 범위 중 어디에 위치하는 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부의 각 부분이 동작하지 않을 때의 전기적 상태와 기 설정된 정상 범위 정보를 비교하여 비정상인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할 비정상 정보 및 원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부의 각 부분이 동작할 때의 전기적 상태와 기 설정된 정상 범위 정보를 비교하여 비정상인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할 비정상 정보 및 원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전기적 상태가 대응 정상 범위 중 어디에 위 치하는 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전기적 상태가 대응 정상 범위 중 어디에 위치하는 지를 그래픽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편차를 구하여 문자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방법.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전기적 상태가 대응 정상 범위 중 어디에 위치하는 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 신호에 상기 검출된 전기적 상태가 대응 정상 범위 중 어디에 위치하는 지를 그래픽 정보로 삽입하거나, 정상 범위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편차를 구하여 문자 정보로 삽입한 후 상기 정보가 삽입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방법.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의 각 부분에 대한 정상 상태에서의 전기적 상태와 동작 상태에서의 전기적 상태를 검출하고 각각 기 설정된 정상 범위 정보들과 비교하여 정상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각 전기적 상태의 검출과 비교 과정에 대한 진행 상황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들을 영상 신호에 삽입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방법.
  24.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전기적 상태가 대응 정상 범위 중 어디에 위치하는 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전기적 상태들을 적어도 1회 이상 누적 보관하여 이전 측정시에 비해 정상 범위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편차의 증가량을 더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방법.
KR1020060121145A 2006-12-04 2006-12-04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0848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145A KR100848183B1 (ko) 2006-12-04 2006-12-04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145A KR100848183B1 (ko) 2006-12-04 2006-12-04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655A KR20080050655A (ko) 2008-06-10
KR100848183B1 true KR100848183B1 (ko) 2008-07-28

Family

ID=39805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145A KR100848183B1 (ko) 2006-12-04 2006-12-04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81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224B1 (ko) * 2014-08-01 2015-04-13 주식회사 네오콤 실시간 작동상태 표시기능이 구현된 감시카메라
KR101613605B1 (ko) * 2015-02-10 2016-04-29 코오롱엔솔루션 주식회사 내방사선 특성을 갖는 컬러 카메라의 영상 제어 시스템
KR101685950B1 (ko) * 2015-10-13 2016-12-14 백석대학교산학협력단 자가 고장 진단 기능이 구비된 올인원 녹화 장치
KR102409857B1 (ko) 2015-12-23 2022-06-1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2126003B1 (ko) * 2018-08-27 2020-06-23 아이솔루션(주) Iot 기술을 기반으로 한 비전검사장비와 생산장비 제어시스템
WO2020189806A1 (ko) * 2019-03-15 2020-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KR102555938B1 (ko) * 2023-04-26 2023-07-17 송기민 인공지능을 이용한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3940A (ko) * 1997-12-24 1999-07-15 윤종용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 상태 체크 방법
JP2003009188A (ja) 2001-06-20 2003-01-10 Nikon Gijutsu Kobo:Kk カメラ異常診断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異常診断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3940A (ko) * 1997-12-24 1999-07-15 윤종용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 상태 체크 방법
JP2003009188A (ja) 2001-06-20 2003-01-10 Nikon Gijutsu Kobo:Kk カメラ異常診断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異常診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655A (ko) 2008-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183B1 (ko) 내방사선 카메라 시스템의 고장진단 장치 및 그 방법
US2011027356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ement of corona discharge of power facilities by UV sensor with optic lens
US8964181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LED display using optical fiber as light transmission medium
JP2008165055A (ja) 表示装置
JP2013155019A (ja) エレベータの照明点検装置および照明点検方法
US11551345B1 (en) Repetitive video monitoring of industrial equipment by mobile data acquisition units
CN104176581A (zh) 电梯轿厢照明诊断装置
JP2016179904A (ja) エレベータ用停電灯異常検出装置
CN110596123A (zh) 一种现场检测钢化玻璃幕墙杂质和缺陷的装置及方法
JP5901973B2 (ja) X線診断装置
KR100735878B1 (ko) 일체화된 영상장치 테스트 장비
KR101268977B1 (ko) 입력 전압을 실시간 검사하는 감시 카메라 장치
JP2011209637A (ja) 大型表示盤の発光表示素子監視装置
KR102214964B1 (ko) 열화상 사각지대를 없앤 열화 진단시스템을 가지는 수배전반
CN216527959U (zh) 显示屏检测装置
EP3754687A1 (en) Electromagnetic relay diagnosis device
KR101417897B1 (ko) 부분방전 측정장치 및 그 방법
JP7234753B2 (ja) ダム水位監視システム
KR20220168111A (ko) 태양광패널 청소 장치의 고장알림 방법
CN211043169U (zh) 一种现场检测钢化玻璃幕墙杂质和缺陷的装置
CN101426151A (zh) 一种显示电视机故障的方法及系统
KR102648082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스마트 엘이디 전광판의 고장 예측방법 및 그 방법을 적용한 엘이디 전광판
EP1276353A1 (en) Lamp state detector and lamp state monitor using lamp state detector
CN109259777A (zh) 一种数字化医用x射线摄影系统的监测方法及系统
US9164043B2 (en) Detecting method and detec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