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7938B1 -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그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로 이루어진 식용 첨가물 및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을 함유한 조미김 - Google Patents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그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로 이루어진 식용 첨가물 및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을 함유한 조미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938B1
KR100847938B1 KR1020070053173A KR20070053173A KR100847938B1 KR 100847938 B1 KR100847938 B1 KR 100847938B1 KR 1020070053173 A KR1020070053173 A KR 1020070053173A KR 20070053173 A KR20070053173 A KR 20070053173A KR 100847938 B1 KR100847938 B1 KR 100847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olenic acid
linoleic acid
acid
gamma linolenic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승진
김영수
얼 이
천길용
송정희
이준경
Original Assignee
마승진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승진, 김영수 filed Critical 마승진
Priority to KR1020070053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79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72Linole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Abstract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식용 첨가물 및 그 식용 첨가물을 이용한 조미김이 개시된다. 본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은 생강과 울금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러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식용 첨가물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조미김을 제조한다. 이러한 조미김에는 건강에 도움이 되는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을 단독 또는 혼합으로 함유되는데 이러한 성분은 생강과 울금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의해 산패가 방지된다. 따라서, 이들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을 산패되지 않은 상태로 섭취할 수 있고, 이를 유통시킬 수 있게 된다.
조미김, 감마리놀렌산, 리놀레산, 울금추출물, 생강추출물, 알파토코페롤, 레시틴

Description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로 이루어진 식용 첨가물 및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을 함유한 조미김{a composition having rancidity prevention function of Gamma Linolenic Acid and Linoleic Acid and method thereof and eatable additive accomplishing thereof composition and a laver flavored containing thereof Gamma Linolenic Acid and Linoleic Aci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용 첨가물 및 조미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을 함유한 식용 첨가물과 이를 이용한 조미김 제조방법 및 조미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미김의 제조시에 건강에는 유용하지만 쉽게 산패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어 있는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을 단독 또는 혼합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 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식물유를 첨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미김 제조시에 이들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 또는 이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식물유를 울금추출물, 생강추출물, 토코페롤, 레시틴의 혼합물과 함께 첨가함으로서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의 산패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건강에 도움이 되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건강에는 유용하지만 쉽게 산패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어 있는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의 산패를 방지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산패가 방지된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을 함유한 식용 첨가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산패가 방지된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을 함유한 조미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생강을 분쇄하여 주정에 침지한 후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물을 농축하여 생강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울금을 분쇄하여 주정에 침지한 후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물을 농축하여 울금 추출물을 얻는 단계;
c) 상기 a) 단계 및 b) 단계에서 얻어진 생강 추출물과 울금 추출물 그리고 토코페롤, 레시틴을 각각 용매에 녹이는 단계; 및
d) 용매에 녹은 상태의 생강 추출물과 울금 추출물 그리고 토코페롤 및 레시 틴을 1:1:1:1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용매는 주정, 감마리놀렌산, 리놀레산, 달맞이종자유 및 리놀레산이 함유된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각각 용매에 녹은 상태의 생강 추출물, 울금 추출물, 토코페놀 및 레시틴을 1:1:1:1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과, 감마리놀렌산, 리놀레산 및 달맞이종자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1:100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식용 첨가물을 제공한다.
그리고,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과, 감마리놀렌산, 리놀레산 및 달맞이종자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이 1:100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 10-35%; 및
식물의 씨앗견과류열매로부터 얻어진 식물성유 65 - 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식용 첨가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식용 첨가물이 도포되고, 식염이 첨가된 상태에서 구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을 함유한 조미김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서는 천연의 생물자원으로부터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의 산패를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한 결과 울금과 생강의 에탄올 추출물이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의 산패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알아내었다. 또한 울금과 생강 추출물은 단독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토코페롤, 레시킨과 동량으로 혼합하여 사용할 때 가장 효과가 크다는 사실을 알아내었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감마리놀레산과 리 놀레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달맞이꽃 종자유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산패억제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의 산패를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조성물의 제조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울금과 생강은 채취한 뒤 세정한 후 건조한다.
그리고, 생강을 분쇄하여 주정에 침지한 후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물을 농축하여 생강 추출물을 얻는다.(a)
예를 들면, 생강 각 100 g 을 믹서기를 이용하여 가루로 만든 뒤 여기에 95% 주정 5L 가하여 12시간동안 침지시킨 후 호모게나이저로 균질화 시키고 감압여과장치에서 Whatman no.2 여과지로 여과하여 주정추출액을 얻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추출액을 냉각증발건조기(Cooling Evaporator)를 이용 농축하여 각각의 추출물 얻는다.
그리고 울금을 분쇄하여 주정에 침지한 후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물을 농축하여 울금 추출물을 얻는다.(b) 이 울금 추출물을 얻는 과정은 생강 추출물을 얻는 과정과 동일하다.
이어서, 상기 a) 단계 및 b) 단계에서 얻어진 생강 추출물과 울금 추출물 그리고 시판되는 토코페롤, 레시틴을 각각 용매에 녹이다.(c)
이때, 생강 추출물과 울금 추출물, 토코페롤, 레시틴을 녹이기 위한 용매는 주정 또는 감마리놀렌산, 리놀레산, 달맞이종자유 및 리놀레산이 함유된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예를들면, 생 강, 울금 추출물과 시판하는 토코페롤, 레시틴 각각 1g에 1mL 주정을 넣어서 녹인다.
이러한 과정으로 용매에 녹은 상태의 생강 추출물과 울금 추출물 그리고 토코페롤 및 레시틴을 1:1:1:1의 비율로 혼합한다.(d)
생강 추출물과 울금 추출물 그리고 토코페롤 및 레시틴의 혼합 비율이 1:1:1:1인 것은 이들 물질들이 동량 섞여있을 때 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실험예 참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각각 용매에 녹은 상태의 생강 추출물, 울금 추출물, 토코페놀 및 레시틴을 1:1:1:1의 비율로 혼합한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산패가 방지된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을 함유한 식용 첨가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각각 용매에 녹은 상태의 생강 추출물, 울금 추출물, 토코페놀 및 레시틴을 1:1:1:1의 비율로 혼합된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과, 감마리놀렌산, 리놀레산, 달맞이종자유 및 리놀레산이 함유된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1:100의 비율로 혼합하여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으로 제조된 식용 첨가물을 얻는다. 이러한 식용 첨가물은 직접 조미김의 제조에 직접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감마리놀렌산이나 리놀레산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혼합하거나 다른 성분 예를들면 달맞이종자유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과, 감마리놀렌산, 리놀레산 및 달맞이종자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이 1:100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 10-35%와
식물의 씨앗견과류열매로부터 얻어진 식물성유 65 - 90%를 포함하는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으로 제조된 식용 첨가물을 제조할 수 있다. 즉,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과, 감마리놀렌산, 리놀레산, 달맞이종자유 및 리놀레산이 함유된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이 1:100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에 식물의 씨앗견과류열매로부터 얻어진 식물성유을 혼합하여 조미김에 직접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혼합물 10-35%이고, 식물성유 65 - 90%로 한정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조단가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배합비를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조건을 감안할 때 혼합물 14%와 식물성유 86%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식물성유는 표 1에서와 같이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표 1
식용유지의 배합비율
구성요소 배합비율(%)
식용유지 옥배유 73%
참기름 11%
고추씨기름 2%
추출물이 함유된 달맞이 꽃 종자유(감마리놀렌산+리놀레산) 14%
표 1은 배합비의 한 예로서 이것은 본 발명의 제조과정의 한 예에 불과할 뿐 식용유지와 감마리놀렌산 또는 리놀레산 또는 달맞이종자유의 비율은 제조 단가를 생각하여 임의대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와 같은 과정으로 얻어진 감마리놀렌산 또는 리놀레산을 함유한 식용 첨가물을 이용하여 조미김을 제조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를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먼저 채취한 김으로부터 제조된 원료김을 1차 건조한다(S1). 즉, 원료김을 전기자항식 원적외선 히터를 이용하여 콘베이어 속도 700~800RPM에서 김의 습기제거를 위해 160±10℃의 온도로 약 3초간 통과 시킨다.
이어서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을 함유한 식용 첨가물을 직접 사용하거나 이러한 식용 첨가물을 식물성유에 첨가하고, 이 식물성유를 자동투입기에 공급한 후 자동투입기가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을 함유한 식용 첨가물과 식물성유를 건조김 위에 골고루 도포하도록 한다.(S2). 이때 도포량은 제품의 원초와 제품의 특성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이어서 식염을 도포한다(S3). 식염은 주로 맛소금을 사용하는데 한 부위에 10%이상 뭉치지 않도록 콘베이어 속도를 630±10RPM으로 하여 고르게 도포한다. 조미유와 식염이 도포된 원료김을 전기저항식 원적외선 히터를 이용하여 김이 덜 구워지거나 타지 않도록 콘베이어 속도 1,400~1,500RPM에서 320±10℃ 온도로 약 3초간 굽는다(S4). 구워진 김은 바로 포장하거나 경우에 따라서 첨가된 감마리놀렌 산과 리놀레산의 산패가 보다 억제될 수 있도록 진공포장(S5)을 한다. 이렇게 제조된 김은 공기중에 놓았을 때도 최소 3개월 이상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의 산패가 90%이상 억제되며 진공포장을 하였을 경우는 훨씬 더 오랜기간 동안 산패가 억제된다.
본 발명의 상기에 제시한 실시 예에 의하여 제조된 울금추출물, 생강추출물, 토코페롤, 레시틴의 조성물에 의한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 또는 이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식물성유의 산패방지 효과에 대하여 이하 실험 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예 1. 천연식물소재인 생강, 울금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본 실험예 1에서는 상기의 실시 예에 사용된 천연 식물소재인 생강과 울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는 원래 보라색이나 항산화 활성이 있는 물질과 반응하면 라디칼을 잃으면서 색이 무색으로 변한다. 이 보라색이 무색으로 변하는 정도를 가시광선의 흡수량을 측정함으로써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쉽게 예측해 볼 수 있다. 본 실험에 사용된 천연 생물자원인 울금과 생강은 95%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각 시료 10g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마쇄하고 여기에 95% 주정 500mL 가하여 12시간이상 추출하고 호모게나이저로 균질화 시킨 후 감압여과장치에서 Whatman no.2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Cooling Evaporator기를 이용 농축하여 각각의 추출물 얻었다.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Sigma,St. Louis,MO,USA) 용액(100mM) 1,800㎕에 추출물 100~500㎍이 함유된 시료추출물 용액 200㎕를 시험관에 넣고 vortex mixer로 가볍게 혼합한 다음 암소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517nm에서 흡광도(Spectronic사, Genesys 20)를 측정하였다. 또한, 항산화제인 알파토코페롤 농도의 증가에 따라 흡광도가 더 이상 변하지 않는 농도를 측정하여 그 농도를 100% radical-scavenging 농도로 하였다. 그 비교구에 대하여 DPPH radical이 50% 소거되어진 농도를 SC50으로 나타내었다. 대조구로는 현재 가장 흔하게 사용하고 있는 합성항산화제 중 하나인 BHT를 사용하여 효과를 비교하였다. 이 방법을 통하여 분석한 울금, 생강 추출물의 DPPH 항산화능은 다음의 표와 같다.
표 2. 여러 가지 생물 자원의 DPPH 항산화능 결과
시료명 라디칼 소거 활성(SC50:μg/mL)
생강 주정추출물 99.7
울금 주정 추출물 130.3
BHT (대조구) 50.7
위 표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생강과 울금의 주정추출물은 합성항산화제인 BHT에 비하여 같은 농도에서 각각 50%와 38%의 활성을 보였다. 이는 BHT는 정제된 화학물질인데 반해 생강과 울금은 천연물질의 추출물 상태인 것을 감안한다면 생강과 울금 추출물이 상당히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다고 이야기 할 수 있다.
실험예 2. 생강과 울금 추출물의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의 가열 처리에 따 른 과산화물 생성 억제 효과.
본 실험예2는 생강과 울금 추출물의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 가열 시간에 따른 과산화물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이 실험의 원리는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이 가열에 의해 산화가 되면 과산화물(H2O2)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것이 시약 염화 제 2철과 반응하여 염화 제 3철 이 생성됨으로써 발색이 되어 흡광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이 흡광도의 차이로써 과산화물 생성 정도를 알 수 있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감마리놀렌산 또는 리놀레산 50㎕를 특급 에탄올 4mL에 녹인다.
②. ①번의 감마리놀렌산 또는 리놀레산의 에탄올 용액을 20mL vial에 각 2mL씩 넣는다.
③. ②번의 감마리놀렌산 또는 리놀레산의 에탄올 용액이 담긴 vial에 실험예1에서 제조한 생강과 울금추출물과 대조구인 α-tocopherol(positive control)이 mg/mL의 농도로 용해된 에탄올 용액을 1mL씩 각각 넣는다.
④. ③의 각 vial에 0.05M Phosphate buffer(pH 7.0)를 1mL씩 넣어 실험용액을 제조한다.
⑤. 10mL Cuvette에 ④에서 제조한 실험용액을 0.1mL을 각각 취한다하여 넣는다.
⑥. ⑤에서 제조된 Cuvette를 100℃ 항온 수조에 20분, 40분 60분간 담구어 반응시킨 후 상온에서 식힌다.
⑦. 반응시켜 얻은 ⑥의 Cuvette에 75% 에탄올1.8mL, 0.02M ferrous chloride in 3.5% hydrochloride acid 0.1mL, 30% ammoniumthiocyanate 0.1mL를 넣어 서로 반응 시킨다.
⑧. ⑦을 voltex mixer를 이용하여 mixing한 후 3분간 방치한다.
⑨.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위의 실험 방법을 통하여 분석한 생강과 울금 추출물의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의 가열 처리에 따른 과산화물 생성 억제 효과는 다음의 표 2, 표 3와 같다.
표 2. 생강과 울금 추출물의 감마리놀렌산의 가열 처리에 따른 과산화물 생성 억제 효과
Figure 112007040019791-pat00001
표 3. 생강과 울금 추출물의 리놀레산의 가열 처리에 따른 과산화물 생성 억제 효과
Figure 112007040019791-pat00002
표 2,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생강과 울금추출물이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 가열에 따른 과산화물 생성량을 현저히 줄임으로써 산패억제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들의 효과는 동량의 알파토코페롤과 비슷한 정도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생강과 울금 추출물의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의 저장기간에 따른 과산화물 생성 억제 효과.
본 실험예3는 생강과 울금 추출물의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 저장기간에 따른 과산화물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것이다. 본 실험예 3의 원리는 위의 실험예 2와 같으며, 실험예 2에서는 100℃의 온도에서 단시간(최장 60분) 동안의 산패도를 본 것이고 본 실험예 3에서는 40℃의 온도에서 장시간(최장 90일) 동안 저장하면서 산패도를 본 것이다. 그러나 보통 조미김의 저장은 실온(평균 25℃)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본 실험예의 온도는 보통의 실온보다 가혹한 조건임을 주지 해야 한다. 이렇게 가혹한 조건에서 실험한 이유는 상온에서 실험하였을 경우 실험기간이 지나치게 장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실험의 편이상 이를 단축시키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감마리놀렌산 또는 리놀레산 50㎕를 특급 에탄올 4mL에 녹인다.
②. ①번의 감마리놀렌산 또는 리놀레산의 에탄올 용액을 20mL vial에 각 2mL씩 넣는다.
③. ②번의 감마리놀렌산 또는 리놀레산의 에탄올 용액이 담긴 vial에 실험예1에서 제조한 생강과 울금추출물과 대조구인 α-tocopherol(positive control)이 mg/mL의 농도로 용해된 에탄올 용액을 1mL씩 각각 넣는다.
④. ③의 각 vial에 0.05M Phosphate buffer(pH 7.0)를 1mL씩 넣어 실험용액을 제조한다.
⑤. 10mL Cuvette에 ④에서 제조한 실험용액을 0.1mL을 각각 취한다하여 넣는다.
⑥. ⑤에서 제조된 Cuvette를 40℃ 인큐베이터에 저장하면서 3, 6, 13, 20, 27, 34, 43, 57, 90일째 꺼내어 상온에서 식힌다.
⑦. 반응시켜 얻은 ⑥의 Cuvette에 75% 에탄올1.8mL, 0.02M ferrous chloride in 3.5% hydrochloride acid 0.1mL, 30% ammoniumthiocyanate 0.1mL를 넣어 서로 반응 시킨다.
⑧. ⑦을 voltex mixer를 이용하여 mixing한 후 3분간 방치한다.
⑨.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위의 실험 방법을 통하여 분석한 생강과 울금 추출물의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의 저장 기간에 따른 과산화물 생성 억제 효과는 다음의 표 4, 표 5와 같다.
표 4. 생강과 울금 추출물의 감마리놀렌산의 저장기간에 따른 과산화물 생성 억제 효과
Figure 112007040019791-pat00003
표 5. 생강과 울금 추출물의 리놀레산의 저장기간에 따른 과산화물 생성 억제 효과
Figure 112007040019791-pat00004
표 4, 표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생강과 울금추출물이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 저장에 따른 과산화물 생성량을 현저히 줄임으로써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의 산패억제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들의 효과는 동량의 알파토코페롤과 비슷하거나 조금 더 좋은 정도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험예 3에서 실시한 40℃에서 90일저장 하였을 때의 산패도는 실험예 2에서 실시한 100℃에서 25분간 가열하였을 때의 산패도가 비슷한 정도인 것을 알 수 있어 향후 실험은 100℃에서 가열하면서 생강과 울금 추출물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4. HPLC 분석을 통한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의 가열시 생강과 울금 추출물의 산패억제 효과 및 알파토코페롤 및 레시틴과의 상승효과 검정
위의 실험예 1, 2, 3에서 생강과 울금 추출물은 뛰어난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의 산패억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실험예 4에서는 생강과 울금 추출을 이용하여 이를 토대로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의 산패억제에 대한 효과를 상승 시킬 수 있는 방안을 검증하였다, 즉, 생강추출물, 울금추출물 및 항산화제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알파토코페롤 그리고 단백질로 오일입자와 비가역적 결합을 함으로써 산화방지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레시틴을 여러 가지 혼합비로 혼합, 처리함으로서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의 산패억제에 대한 효과가 상승되는지를 검정하였다. 실험방법은 보다 집접적으로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의 양을 확인하기위하여 HPLC를 이용하여 반응물에 남아있는 감마리놀렌산 또는 리놀레산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이하에 감마리놀렌산 또는 리놀레산 함량 분석을 위한 HPLC 조건을 나타내었다.
표 6. 감마리놀렌산 또는 리놀레산 함량 분석을 위한 HPLC 조건
Column Phenomenex Luna 5u C18
Mobile phase Acetonitrile 80% Water 20%
Flow Rate 1.0mL/min
Detector UV 210nm
구체적인 실험방법으로는 다음 표와 같이 감마리놀렌산, 리놀레산 또는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이 함유되어 있는 달맞이꽃 종자유를 1,000㎍으로 고정한 다음 아래의 표7, 9, 12처럼 생강추출물, 울금추출물, 알파토코페롤, 레시틴 등의 첨가량이 각각 첨가량을 달리하되 전체 첨가량은 일괄적으로 10㎍이 되게 하여 첨가하여 실험하였다. 각 추출물들이 혼합된 감마리놀렌산 또는 리놀레산 그리고 감마리놀렌산 또는 리놀레산이 함유되어 있는 달맞이꽃 종자유를 100℃에서 30분, 1 시간, 2시간 가열하여 감마리놀렌산 또는 리놀레산 함량의 변화를 HPLC로 분석하였다.
표4. 감마리놀렌산의 산패억제 상승효과 검정 실험을 위한 생강추출물, 울금 추출물, 알파토코페롤, 레시틴의 첨가량 (1)
NO 감마리놀렌산(㎍) 생강(㎍) 울금(㎍) 알파토코페롤(㎍) 레시틴(㎍)
1 1,000 - - - -
2 1,000 10 - - -
3 1,000 - 10 - -
4 1,000 - - 10
5 1,000 - - - 10
6 1,000 5 5 - -
7 1,000 5 - 5 -
8 1,000 - 5 5 -
9 1,000 2.5 2.5 5 -
10 1,000 2.5 2.5 - 5
11 1,000 2.5 2.5 2.5 2.5
위의 표4과 같은 배합율로 생강추출물, 울금 추출물, 알파토코페롤, 레시틴을 단독 또는 혼합 첨가한 뒤 위의 실험 방법을 통하여 분석한 감마리놀렌산의 함량은 아래의 도 8과 같다.
표 8. 생강추출물, 울금 추출물, 알파토코페롤, 레시틴의 단독 혹은 혼합첨가에 따른 감마리놀렌산의 산패억제 상승효과
Figure 112007040019791-pat00005
표 8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감마리놀렌산에 생강추출물, 울금추출물 그리고 알파토코페롤과 레시틴을 모두 첨가한 군(NO.11) 이 100℃에서 1시간, 2시간한 가열 후에도 다른 첨가군에 비해 월등히 높은 감마리놀렌산을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어 이들 물질을 모두 첨가하였을 때 현저한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이어서 위의 실험을 바탕으로 감마리놀렌산을 1,000㎍으로 고정한 다음 생강추출물, 울금추출물 그리고 알파토코페롤과 레시틴 간의 구성비를 다음의 표5와 같이 달리 하여 100℃에서 1시간과 2시간 가열한 후 HPLC로 감마리놀렌산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표 9. 감마리놀렌산의 산패억제 상승효과 검정 실험을 위한 생강추출물, 울금 추출물, 알파토코페롤, 레시틴의 첨가량 (2)
NO 감마리놀렌산(㎍) 생강(㎍ 울금(㎍) 알파토코페롤(㎍) 레시틴(㎍)
1 1,000 - - - -
2 1,000 2.5 2.5 2.5 2.5
3 1,000 4 4 1 1
4 1,000 1 1 4 4
5 1,000 4 1 4 1
6 1,000 1 4 1 4
7 1,000 1 4 4 1
8 1,000 4 1 1 4
9 1,000 3 3 3 1
위의 실험 방법을 통하여 분석한 감마리놀렌산 함량은 다음의 표 10과 같다.
표 10. 생강추출물, 울금 추출물, 알파토코페롤, 레시틴의 첨가비율에 따른 감마리놀렌산의 산패억제 상승효과
Figure 112007040019791-pat00006
위의 표 10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감마리놀렌산에 생강추출물, 울금추출물 그리고 알파토코페롤과 레시틴을 각각 2.5㎍씩 같은 비율로 첨가한 군(NO.2)이 100℃에서 1시간, 2시간한 가열 후에도 다른 첨가군에 비해 월등히 높은 감마리놀 렌산을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어 이들 물질을 동량 첨가할 경우 감마리놀렌산의 산패가 크게 억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생강추출물, 울금추출물, 알파토코페롤, 레시틴을 동량 첨가한 혼합물이 어느 정도 농도까지 감마리놀렌산의 산패를 억제하는지 동일한 실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즉, 감마리놀렌산을 1,000㎍으로 고정한 다음, 생강추출물, 울금추출물, 알파토코페롤, 레시틴을 동량 첨가한 혼합물을 각각 1,000㎍, 100㎍, 10㎍, 1㎍, 0.1㎍ 첨가한 후 100℃에서 30분 가열한 후 HPLC로 감마리놀렌산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11에 나타내었다.
표 11. 생강추출물, 울금 추출물, 알파토코페롤, 레시틴 동량 혼합물의 각 농도별 감마리놀렌산의 산패억제 효과
Figure 112007040019791-pat00007
표 1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 고안된 생강추출물, 울금 추출물, 알파토코페롤, 레시틴의 동량 혼합물은 감마리놀렌산의 농도에 대하여 10%의 농도에서도 감마리놀렌산의 산패를 95%이상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이는 조미김 제조시 감마리놀렌산의 농도 대비 생강추출물, 울금 추출물, 알파토코페롤, 레시틴의 동량 혼합물을 10%만 첨가하여도 조비김의 가공 및 유통시간 내에 감마리놀렌산의 산패를 95%이상 억제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또한 이 혼합물은 감마리놀렌산 뿐만 아니라 리놀레산과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이 각각 1.4%, 11% 함유되어 있는 달맞이꽃 종자유에 대해서도 같은 효과를 보였다. 이하 생강추출물, 울금 추출물, 알파토코페롤, 레시틴의 동량 혼합물의 리놀레산과 달맞이꽃 종자유에 대한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제시한다.
표 12. 리놀레산의 산패억제 상승효과 검정 실험을 위한 생강추출물, 울금 추출물, 알파토코페롤, 레시틴의 첨가량
NO 리놀레산(㎍) 생강(㎍) 울금(㎍) 알파토코페롤(㎍) 레시틴(㎍)
1 1,000 - - - -
2 1,000 10 - - -
3 1,000 - 10 - -
4 1,000 - - 10
5 1,000 - - - 10
6 1,000 5 5 - -
7 1,000 5 - 5 -
8 1,000 - 5 5 -
9 1,000 2.5 2.5 5 -
10 1,000 2.5 2.5 - 5
11 1,000 2.5 2.5 2.5 2.5
12 1,000 4 1 4 1
13 1,000 3 3 3 1
표 13. 생강추출물, 울금 추출물, 알파토코페롤, 레시틴의 단독 혹은 혼합첨가에 따른 리놀레산의 산패억제 상승효과
Figure 112007040019791-pat00008
위 표 1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리놀레산의 경우도 감마리놀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생강추출물, 울금추출물 그리고 알파토코페롤과 레시틴을 각각 2.5㎍씩 같은 비율로 첨가한 군(NO.11)에서 가장 리놀레산의 산패억제 효과가 가장 좋았다.
또한, 리놀레산에 대하여 생강추출물, 울금추출물, 알파토코페롤, 레시틴을 동량 첨가한 혼합물의 농도별 산패억제를 측정하였다(표 14)
표 14. 생강추출물, 울금 추출물, 알파토코페롤, 레시틴 동량 혼합물의 각 농도별 감마리놀렌산의 산패억제 효과
Figure 112007040019791-pat00009
그 결과, 도 1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 고안된 생강추출물, 울금 추출물, 알파토코페롤, 레시틴의 동량 혼합물은 리놀레산의 농도에 대비 1%의 농도에서도 리놀레산의 산패를 95%이상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이어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이 각각 1.4%, 11% 함유되어 있는 달맞이꽃 종 자유를 사용하여 달맞이꽃 종자유에 함유되어 있는 감마리놀레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억제 상승효과를 검정하였다.
표 15. 달맞이꽃 종자유에 함유된 감마리놀레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억제 상승효과 검정 실험을 위한 생강추출물, 울금 추출물, 알파토코페롤, 레시틴의 첨가량
NO 달맞이꽃 종자유() 생강() 울금() 알파토코페롤() 레시틴()
1 1,000 - - - -
2 1,000 10 - - -
3 1,000 - 10 - -
4 1,000 - - 10
5 1,000 - - - 10
6 1,000 5 5 - -
7 1,000 5 - 5 -
8 1,000 - 5 5 -
9 1,000 2.5 2.5 5 -
10 1,000 2.5 2.5 - 5
11 1,000 2.5 2.5 2.5 2.5
표 16. 생강추출물, 울금 추출물, 알파토코페롤, 레시틴의 단독 혹은 혼합첨가에 따른 달맞이꽃 종자유에 함유된 감마리놀레산의 산패억제 효과
Figure 112007040019791-pat00010
표 17. 생강추출물, 울금 추출물, 알파토코페롤, 레시틴의 단독 혹은 혼합첨가에 따른 달맞이꽃 종자유에 함유된 리놀레산의 산패억제 효과
Figure 112007040019791-pat00011
그 결과, 표 16과 17에서 알 수 있듯이 달맞이꽃 종자유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달맞이꽃 종자유에 함유되어 있는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의 산패억제 효과는 동일하게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강에는 유용하지만 쉽게 산패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사 용이 제한되어 있는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의 산패를 충분히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산패가 방지된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을 함유한 식용 첨가물을 제공되고, 또한, 이 식용 첨가물을 통하여 산패되지 않는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을 함유한 조미김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0)

  1. a) 생강을 분쇄하여 주정에 침지한 후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물을 농축하여 생강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울금을 분쇄하여 주정에 침지한 후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물을 농축하여 울금 추출물을 얻는 단계;
    c) 상기 a) 단계 및 b) 단계에서 얻어진 생강 추출물과 울금 추출물 그리고 토코페롤, 레시틴을 각각 용매에 녹이는 단계; 및
    d) 용매에 녹은 상태의 생강 추출물과 울금 추출물 그리고 토코페롤 및 레시틴을 1:1:1:1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주정, 감마리놀렌산, 리놀레산, 달맞이종자유 및 리놀레산이 함유된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의해 제조된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
  4. 각각 용매에 녹은 상태의 생강 추출물, 울금 추출물, 토코페놀 및 레시틴을 1:1:1:1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주정, 감마리놀렌산, 리놀레산, 달맞이종자유 및 리놀레산이 함유된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
  6.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과,
    감마리놀렌산, 리놀레산 및 달맞이종자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1:100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식용 첨가물.
  7.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과, 감마리놀렌산, 리놀레산 및 달맞이종자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이 1:100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 10-35%;
    식물의 씨앗견과류열매로부터 얻어진 식물성유 65 - 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식용 첨가물.
  8. 청구항 6에 의한 식용 첨가물이 도포되고, 식염이 첨가된 상태에서 구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을 함유한 조미김.
  9. 청구항 7에 의한 식용 첨가물이 도포되고, 식염이 첨가된 상태에서 구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을 함유한 조미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굽는 조건은 320±10℃에서 1-3초간 구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을 함유한 조미김.
KR1020070053173A 2007-05-31 2007-05-31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그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로 이루어진 식용 첨가물 및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을 함유한 조미김 KR100847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173A KR100847938B1 (ko) 2007-05-31 2007-05-31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그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로 이루어진 식용 첨가물 및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을 함유한 조미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173A KR100847938B1 (ko) 2007-05-31 2007-05-31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그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로 이루어진 식용 첨가물 및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을 함유한 조미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7938B1 true KR100847938B1 (ko) 2008-07-22

Family

ID=39825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173A KR100847938B1 (ko) 2007-05-31 2007-05-31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그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로 이루어진 식용 첨가물 및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을 함유한 조미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79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8309A2 (en) * 2009-12-03 2011-06-09 Cj Cheiljedang Corp. Seasoned laver having inhibited acidification through addition of ascorbyl palmita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2149696B1 (ko) * 2019-02-25 2020-08-31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식용코팅제를 이용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KR102255007B1 (ko) * 2021-01-18 2021-05-28 (유)만나씨푸드 황칠 다시마 김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1914B1 (ko) * 1994-07-13 1996-09-04 주식회사 농심 생약재로부터 추출된 항산화성 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0279092A (ja) 1999-03-31 2000-10-10 Yoshihara Oil Mill Ltd レシチンを含む食用油およびその利用
JP2006075164A (ja) 2004-09-10 2006-03-23 Cognis Ip Management Gmbh 不飽和脂肪酸及びそのエステルを含むエマルション
KR100608954B1 (ko) 2005-03-28 2006-08-03 박준선 한국산 달맞이꽃 종자유를 사용한 코팅쌀의 생산
KR100618712B1 (ko) 2003-09-08 2006-09-08 김갑순 들깻잎을 이용한 들깻잎 김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1914B1 (ko) * 1994-07-13 1996-09-04 주식회사 농심 생약재로부터 추출된 항산화성 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0279092A (ja) 1999-03-31 2000-10-10 Yoshihara Oil Mill Ltd レシチンを含む食用油およびその利用
KR100618712B1 (ko) 2003-09-08 2006-09-08 김갑순 들깻잎을 이용한 들깻잎 김 제조 방법
JP2006075164A (ja) 2004-09-10 2006-03-23 Cognis Ip Management Gmbh 不飽和脂肪酸及びそのエステルを含むエマルション
KR100608954B1 (ko) 2005-03-28 2006-08-03 박준선 한국산 달맞이꽃 종자유를 사용한 코팅쌀의 생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8309A2 (en) * 2009-12-03 2011-06-09 Cj Cheiljedang Corp. Seasoned laver having inhibited acidification through addition of ascorbyl palmita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WO2011068309A3 (en) * 2009-12-03 2011-09-29 Cj Cheiljedang Corp. Seasoned laver having inhibited acidification through addition of ascorbyl palmita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2149696B1 (ko) * 2019-02-25 2020-08-31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식용코팅제를 이용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KR102255007B1 (ko) * 2021-01-18 2021-05-28 (유)만나씨푸드 황칠 다시마 김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gregán et al. Proximate composition, phenolic content and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aqueous extracts of the seaweeds Ascophyllum nodosum, Bifurcaria bifurcata and Fucus vesiculosus. Effect of addition of the extracts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canola oil under accelerated storage conditions
Thavamoney et al. Extraction and recovery of phyto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in fruit parts of Dacryodes rostrata influenced by different solvents
Roby et al.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s and phenolic compounds in thyme (Thymus vulgaris L.), sage (Salvia officinalis L.), and marjoram (Origanum majorana L.) extracts
Gharibzahedi et al. Evaluati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ersian walnut oil obtained by several extraction methods
Quitral et al. Chemical changes during the chilled storage of Chilean jack mackerel (Trachurus murphyi): Effect of a plant-extract icing system
Leskovec et al. Effects of supplementation with α-tocopherol, ascorbic acid, selenium, or their combination in linseed oil-enriched diets on the oxidative status in broilers
Zhu et al. Effect of industrial chemical refining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he bioactive minor components of peanut oil
Kraljić et al. Quality of rapeseed oil produced by conditioning seeds at modest temperatures
Li et al. Effects of germination on tocopherol, secoisolarlciresinol diglucoside, cyanogenic glycosid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flaxseed (Linum usitatissimum L.)
Marmouzi et al. Proximate analysis, fatty acids and mineral composition of processed Moroccan Chenopodium quinoa Willd. and antioxidant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olarity
Singh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ssential oil and oleoresins from Curcuma zedoaria rhizomes, part-74
Anjum et al.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walnut extract (Juglans regia L.) processed by different methods and identification of compounds using GC/MS and LC/MS technique
Fathi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Satureja hortensis L. essential oil and its application in safflower oil
Desta et al. Characterizati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oil from seed, leaf and stem of purslane (Portulaca oleracea L.)
Pan et al. Effect of the chemical refining process on composition and oxidative stability of evening primrose oil
Abdel-Khalek Supplemental antioxidants in rabbit nutrition: A review
Fhaner et al. Protection of fish oil from oxidation with sesamol
Sanda et al. Evaluation of antioxidant potential of two Daphne species (D. gnidioides and D. pontica) from Turkey
Mitra et al. Total phenolics, flavonoids, proanthrocyanidins, ascorbic acid contents and in-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newly developed isolated soya protein.
Muñoz-Arrieta et al. Nutritional and bioactive composition of Spanish, Valencia, and Virginia type peanut skins
Verma et al. Effect of microwave pre-treatment on quality parameters in Indian mustard
Zdunić et al. Grape seed polyphenols and fatty acids of autochthonous Prokupac vine variety from Serbia
KR100847938B1 (ko) 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의 산패방지 기능을 갖는 조성물,그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로 이루어진 식용 첨가물 및감마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을 함유한 조미김
Anwar et al. Stabilization of sunflower oil with Moringa oleifera leaves under ambient storage
Verardo et al. Effect of the addition of air-classified barley flours on the lipid stability of bakery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