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7197B1 - 넥타이 또는 머플러 덮개가 구비된 와이셔츠 - Google Patents

넥타이 또는 머플러 덮개가 구비된 와이셔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197B1
KR100847197B1 KR1020070070460A KR20070070460A KR100847197B1 KR 100847197 B1 KR100847197 B1 KR 100847197B1 KR 1020070070460 A KR1020070070460 A KR 1020070070460A KR 20070070460 A KR20070070460 A KR 20070070460A KR 100847197 B1 KR100847197 B1 KR 100847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cover
shirt
muffler
h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
Original Assignee
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 filed Critical 이용
Priority to KR1020070070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7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00Shirts
    • A41B1/08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Abstract

본 발명은 넥타이핀과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이도 넥타이나 머플러가 움직이지 않게 함으로써 넥타이를 맨 상태에서도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와이셔츠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와이셔츠 몸체를 이루는 앞자락의 밑단과 윗단 하측에는 넥타이 또는 머플러 착용시 상기 넥타이 또는 머플러의 하부를 은폐시키는 덮개부가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와이셔츠, 넥타이, 덮개, 칼라

Description

넥타이 또는 머플러 덮개가 구비된 와이셔츠{SHIRT EQUIPPED WITH COVERLET FOR NECKTIE OR MUFFLER}
본 발명은 넥타이 또는 머플러 덮개가 구비된 와이셔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셔츠를 입은 상태에서 넥타이를 매거나 머플러를 착용하는 경우 넥타이 또는 머플러의 하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활동이 편리하고 양복 외투를 입었을 때도 멋을 그대로 살릴 수 있는 와이셔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셔츠의 디자인에는 와이셔츠형, 남방형, 티셔츠형 등이 있고 기능별로 정장용, 캐쥬얼용, 스포츠용 등이 있다. 와이셔츠란 화이트 셔츠(White Shirts)의 약칭으로서, 원래는 흰색 한가지로 만들어 이러한 명칭이 생겼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색상과 소재로 만들어지고 있다.
와이셔츠는 사무직,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사람이나 경찰관, 군인, 소방관 등 제복 또는 단체복을 착용하고 근무하는 사람들이 업무와 관련하여 착용하거나 일반 사람들도 결혼식 등 각종 행사에 참석하는 경우 와이셔츠를 착용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와이셔츠를 착용하는 경우에는 넥타이를 매게 되는데 넥타이는 목을 감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고정되어 있지 않아 넥타이를 맨 채 사무를 보거나 화 장실에서 세수를 하는 경우에 넥타이를 와이셔츠 안으로 집어넣거나 와이셔츠 몸체에 부착된 주머니에 집어넣게 되므로 활동에 불편을 초래하고 와이셔츠와 넥타이 본래의 멋을 살려내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와이셔츠 자체에는 넥타이를 고정하는 기능이 전혀 없어 넥타이핀을 사용하여 넥타이를 고정하게 되는데, 넥타이핀을 이용하여 넥타이를 고정하고 회사원 등이 업무를 보거나 근무를 하는 과정에서 넥타이핀이 위아래로 심하게 삐뚤어지거나 넥타이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비일비재하다.
넥타이핀은 외관미 향상을 위해 금도금을 하거나 귀금속을 이용하여 장식한 것이 대부분이어서 분실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고, 이러한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분실방지용 고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착용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호텔이나 레스토랑 등의 서비스업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경우 나비넥타이를 매는 경우가 있는데 와이셔츠의 양측 카라 부분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나비넥타이를 맬 경우 불편하고 옷 맵시를 살려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넥타이핀과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이도 넥타이나 머플러가 움직이지 않게 함으로써 넥타이를 맨 상태에서도 활동이 자유로운 와이셔츠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나비넥타이나 머플러 착용에 필요한 공간이 확보된 카라를 형성함으로써 나비넥타이나 머플러 착용시 불편함을 없애고 옷의 맵시를 살릴 수 있는 와이셔츠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와이셔츠 몸체를 이루는 앞자락의 밑단과 윗단 하측에는 넥타이 또는 머플러 착용시 상기 넥타이 또는 머플러의 하부를 은폐시키는 덮개부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앞자락의 밑단 하부는 상기 덮개부의 덮개밑단 상부와 일부 중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앞자락의 윗단 하부는 상기 덮개부의 덮개윗단 상부와 일부 중첩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앞자락의 윗단과 밑단은 상하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하측부분이 덮개부를 구성하며, 상기 앞자락의 윗단 및 밑단 하단부와 상기 덮개부 상단부 맞물리는 부분은 지퍼가 형성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셔츠 몸체 상단에 형성된 칼라는 목둘레부의 교차점으로부터 목둘레부 후방으로 일정거리 후퇴된 위치까지 형성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셔츠 몸체 상단에 형성된 목둘레부 내측에는 머플러 착용을 위한 고리부가 부착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넥타이나 머플러의 하부를 은폐시킬 수 있는 덮개를 구비한 와이셔츠를 제공함으로써 넥타이 또는 머플러를 착용한 상태에서 불편함이 없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고, 옷의 맵시를 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덮개가 형성된 와이셔츠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와이셔츠에 넥타이를 맨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와이셔츠(100)는 와이셔츠(100)의 몸체 앞쪽을 구성하는 앞자락(110), 상기 몸체 상단부에 형성된 칼라(120), 상기 앞자락(110)의 좌우측에 형성된 밑단(111)과 윗단(112)에는 넥타이 또는 머플러를 은폐시키기 위한 덮개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앞자락(110)의 밑단(111)에는 단추(111a)가 부착되어 있고 윗단(112)에는 단추구멍(112a)이 상기 단추(111a)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부(130)는 앞자락(110)의 밑단(111) 하부 일부분과 상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된 덮개밑단(131)과, 상기 덮개밑단(131)과 대향되는 위치에 앞자락(110)의 윗단(112) 하부 일부분과 상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된 덮개윗단(132)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덮개밑단(131)에는 단추가 부착되고 상기 덮개윗단(132)에는 단추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와이셔츠(100)에 넥타이(200)를 매는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와이셔츠(100)의 밑단(111)과 윗단(112) 일부가 중첩되도록 포갠 후 단추(111a)를 단추구멍(112a)에 끼워 맞춘다.
그 다음엔 넥타이(200)를 먼저 매거나, 덮개부(130)의 덮개밑단(131) 단추를 덮개윗단(132) 단추구멍에 먼저 끼워 맞춘 후 넥타이(200)를 매거나 순서는 상관이 없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타이(200)를 덮개밑단(131)과 덮개윗단(132) 내측으로 집어넣으면 넥타이핀 없이도 편리하게 업무를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넥타이(200)를 덮개밑단(131)과 덮개윗단(132) 내측으로 집어넣은 상태에서도 단정하고 깔끔한 옷차림을 구현할 수 있어 그 상태로 업무를 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2의 상태에서 양복 외투를 입게 되면 넥타이(200)를 덮개부(130)로부터 빼냄이 없이도 덮개부(130)의 상하 위치를 적절하게 선정하면 덮개부(130)가 보이지 않게 되므로 실내와 실외 상황에 따라 넥타이(200)를 덮개부(130)로부터 빼낼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덮개와 고리부가 형성된 와이셔츠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와이셔츠에 넥타이를 맨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부가 형성된 도 1의 와이셔츠 목둘레부(121) 내측에 머플러 착용을 위한 고리부(1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리부(140)는 목둘레부(121)의 좌우 양측에 하나씩의 고리(141,142)가 부착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고리(141,142)는 일측의 단추를 타측의 단추구멍에 끼워 넣어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 고리(141,142)를 연결한 상태에서 머플러(300) 상측 일부를 상기 고리부(140) 내측으로 집어넣고 하측 일부는 덮개부(130) 내측으로 집어넣어 착용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와이셔츠에서 덮개에 지퍼가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와이셔츠에 넥타이를 맨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와이셔츠(100)의 앞자락(110) 상부에는 앞자락 밑단(113)과 앞자락 윗단(114)이 좌우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앞자락 밑단(113)과 앞자락 윗단(114)의 하단부에는 지퍼몸체(135)가 체결되기 위한 레일(11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앞자락 밑단(113)과 앞자락 윗단(114)의 하측에는 덮개부(130)의 덮개밑단(133)과 덮개윗단(1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밑단(133)과 덮개윗단(134)의 상단부에는 레일(134a)이 형성되어 있어 지퍼몸체(135) 이동시 상기 앞자락 밑단(113)과 앞자락 윗단(114)의 레일(116a)과 맞물려 덮개부(130)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와이셔츠(100)에 넥타이(200)를 매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밑단(133)과 덮개윗단(134) 내측으로 넥타이(200)의 하부를 집어넣음으로써 편리하게 활동이 가능하고, 도 6의 상태로서도 깔끔하고 세련된 옷차림을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와이셔츠에서 앞자락 윗단과 밑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와이셔츠(100)는 앞자락 밑단(115)과 앞자락 윗단(116)이 아래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보여주고 있고, 상기 앞자락 밑단(115)과 앞자락 윗단(116)의 연장된 부분에 덮개밑단(135)과 덮개윗단(136)이 부착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와이셔츠에 형성된 칼라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와이셔츠에 머플러를 맨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와이셔츠에 나비넥타이를 맨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와이셔츠(100)는 앞자락(110) 밑단(111)과 윗단(112)의 하측 일부와 중첩되게 덮개밑단(131)과 덮개윗단(132)이 형성되어 있는 점은 도 1에서와 동일하다.
상기 와이셔츠(100) 몸체 상단에 형성된 칼라(120a)는 목둘레부(121)의 교차점(121a)으로부터 목둘레부(121) 후방으로 일정거리 후퇴된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어, 종래 목둘레부(121)의 교차점(121a)까지 형성된 칼라와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와이셔츠(100)에 머플러를 매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플러(300)의 상부는 목둘레부(121) 내측으로 집어넣고 머플러(300)의 하부는 덮개 밑단(131)과 덮개윗단(132)의 내측으로 집어넣어 착용하게 된다.
또한 와이셔츠에 나비넥타이를 매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120a)가 목둘레부(121)의 교차점(121a)으로부터 목둘레부(121) 후방으로 일정거리 후퇴된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어 나비넥타이(400)가 매여지는 부분은 공간이 확보되어 옷 맵시를 더욱 돋보이게 한다.
이 경우 나비넥타이(400) 하측에 아래로 길게 끈(401)을 착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끈(401)의 하측부분을 덮개밑단(131)과 덮개윗단(132)의 내측으로 집어넣어 착용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덮개가 형성된 와이셔츠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와이셔츠에 넥타이를 맨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덮개와 고리부가 형성된 와이셔츠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와이셔츠에 넥타이를 맨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와이셔츠에서 덮개에 지퍼가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와이셔츠에 넥타이를 맨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와이셔츠에서 앞자락 윗단과 밑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와이셔츠에 형성된 칼라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와이셔츠에 머플러를 맨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와이셔츠에 나비넥타이를 맨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와이셔츠 110 : 앞자락
111 : 앞자락 밑단 112 : 앞자락 윗단
120 : 칼라 121 : 목둘레부
130 : 덮개부 131 : 덮개 밑단
132 : 덮개 윗단 140 : 고리부

Claims (5)

  1. 와이셔츠 몸체를 이루는 앞자락의 밑단과 윗단 하측에는 넥타이 또는 머플러 착용시 상기 넥타이 또는 머플러의 하부를 은폐시키는 덮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또는 머플러 덮개가 구비된 와이셔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자락의 밑단 하부는 상기 덮개부의 덮개밑단 상부와 일부 중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앞자락의 윗단 하부는 상기 덮개부의 덮개윗단 상부와 일부 중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또는 머플러 덮개가 구비된 와이셔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자락의 윗단과 밑단은 상하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하측부분이 덮개부를 구성하며, 상기 앞자락의 윗단 및 밑단 하단부와 상기 덮개부 상단부 맞물리는 부분은 지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또는 머플러 덮개가 구비된 와이셔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셔츠 몸체 상단에 형성된 칼라는 목둘레부의 교차점으로부터 목둘레부 후방으로 일정거리 후퇴된 위치까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또는 머플러 덮개가 구비된 와이셔츠.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셔츠 몸체 상단에 형성된 목둘레부 내측에는 머플러 착용을 위한 고리부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또는 머플러 덮개가 구비된 와이셔츠.
KR1020070070460A 2007-07-13 2007-07-13 넥타이 또는 머플러 덮개가 구비된 와이셔츠 KR100847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460A KR100847197B1 (ko) 2007-07-13 2007-07-13 넥타이 또는 머플러 덮개가 구비된 와이셔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460A KR100847197B1 (ko) 2007-07-13 2007-07-13 넥타이 또는 머플러 덮개가 구비된 와이셔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7197B1 true KR100847197B1 (ko) 2008-07-17

Family

ID=39824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460A KR100847197B1 (ko) 2007-07-13 2007-07-13 넥타이 또는 머플러 덮개가 구비된 와이셔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71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6304A (ja) * 1993-03-25 1994-12-20 G Coops Wesley ネックウェア
KR200404490Y1 (ko) * 2005-09-30 2005-12-23 김현순 간편 상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6304A (ja) * 1993-03-25 1994-12-20 G Coops Wesley ネックウェア
KR200404490Y1 (ko) * 2005-09-30 2005-12-23 김현순 간편 상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76347A1 (en) Shirt collar including loops for securing a neck accessory
US20050193460A1 (en) FastBreakIt
US20150013049A1 (en) Fabric Containment Device
US2809375A (en) Ascot scarf
KR200426062Y1 (ko) 넥타이 매듭 장신구
US20160255887A1 (en) Scarf with Pockets and Hood
US20110154555A1 (en) Ritual fringes for a garment
KR100847197B1 (ko) 넥타이 또는 머플러 덮개가 구비된 와이셔츠
US9370213B1 (en) Button and fastener cover
KR200404490Y1 (ko) 간편 상의
US2502921A (en) Sport shirt or jacket
US10321741B2 (en) Necktie retaining clip
JP2005253761A (ja) ネック服飾品
KR200435141Y1 (ko) 탈부착식 후드 및 이것이 탈부착되는 의복상의
CN210329398U (zh) 一种可脱卸领巾的多用途西服
US20180055115A1 (en) Decorative clothing assembly
KR20100069185A (ko) 착의와 탈의가 편리한 드레스셔츠
JP3185865U (ja) 着脱容易にしたベスト
KR100624549B1 (ko) 의복의 덧칼라 고정구조
CN212117138U (zh) 一种不受拘束的插肩袖家居服
JP3164649U (ja) 替えカラー
KR200231710Y1 (ko) 한복 웃옷
KR20170111311A (ko) 장식용 타이캡
JP3156755U (ja) 衣服
KR200258915Y1 (ko) 와이셔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