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549B1 - 의복의 덧칼라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의복의 덧칼라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549B1
KR100624549B1 KR1020040053370A KR20040053370A KR100624549B1 KR 100624549 B1 KR100624549 B1 KR 100624549B1 KR 1020040053370 A KR1020040053370 A KR 1020040053370A KR 20040053370 A KR20040053370 A KR 20040053370A KR 100624549 B1 KR100624549 B1 KR 100624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r
garment
fastening
butt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4307A (ko
Inventor
이정찬
Original Assignee
이정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찬 filed Critical 이정찬
Priority to KR1020040053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549B1/ko
Publication of KR20060004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3/00Collars
    • A41B3/04Collars fastening to sh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3/00Collars
    • A41B3/14Reversible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3/00Collars
    • A41B3/18Protectors for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2Shields or protectors
    • A41D27/16Collar-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덧칼라를 의복의 칼라에 고정결합시킴에 있어서, 의복의 칼라 하부에 횡방향 동일선상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통공형성된 단추구멍과, 내측에 의복의 칼라가 삽입되는 삽입요부를 갖고 단추구멍의 연장선상인 삽입요부의 외측면에 고정된 다수개의 체결단추를 갖으며 체결단추와 대응되는 삽입요부의 내측면에 고정된 다수개의 체결고리를 갖는 덧칼라를 구비하는 의복의 덧칼라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의복의 칼라에서 모피칼라와 같은 덧칼라를 결합하여 사용하다가 덧칼라를 칼라에서 분리하더라도 외관이 미려하고 의복의 칼라에 완강하게 고정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덧칼라가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덧칼라, 삽입요부, 체결단추, 체결고리, 절단재봉선, 단추구멍

Description

의복의 덧칼라 고정구조{subsidiary collar fixing structure of clothing}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발췌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인 덧칼라 조립전 분리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인 덧칼라의 조립후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인 덧칼라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의복의 요부발췌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덧칼라 11 : 삽입요부
12 : 체결단추 13 : 체결고리
20 : 의복 21 : 칼라
21a : 상부칼라 21b : 하부칼라
22 : 단추구멍 23 : 절단재봉선
본 발명은 의복의 덧칼라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의복의 칼라에서 모피칼라와 같은 덧칼라를 결합하여 사용하다가 덧칼라를 칼라에서 분리하더라도 외관이 미려하고 의복의 칼라에 완강하게 고정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덧칼라가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사용이 간편한 의복의 덧칼라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칼라(collar)는 양복에서 보호, 장식의 목적으로 목 주위에 둘려지는 옷깃으로, 헝겊, 목 장식, 목걸이 등도 포함되나, 가장 보편적으로는 양복의 웃옷이나 셔츠 등의 옷깃 부분을 가리킨다. 어원은 목을 의미하는 라틴어의 콜라레(collre)이며, 중세영어에서는 콜러(coler)라 썼는데, 이것은 프랑스어의 콜(col)에 한층 더 가깝다.
오늘날 칼라는 옷에 붙어 있든지 떨어져 있든지 간에 모두 칼라로 불리고 있으며, 그 종류가 다양하나, 크게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윙 칼라(wing collar)는 앞끝이 새가 날개를 편 것처럼 떠 있는 칼라로서, 원래는 남자의 정장에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변형이 여성복에 응용된다.
둘째, 오픈 칼라(open collar)는 벌어진 칼라로, 남녀복 모두에 쓰이나, 특히 남자의 여름용 반소매 셔츠에 주로 사용한다.
셋째, 케이프 칼라(cape collar):케이프와 같이 어깨를 덮는 것으로서, 여성용 망토나 코트에 사용한다.
넷째, 숄 칼라(shawl collar)는 칼깃이라고도 하는데, 칼라(윗깃)와 라펠(아랫깃)·안단까지를 한데 붙여서 재단하므로 솔기도 재단선도 없다.
다섯째, 스탠드 칼라(stand collar)는 롤드 칼라라고도 하며, 남자 학생복이 나 중국옷 등에서 볼 수 있는, 목을 죄는 듯한 칼라이다.
여섯째, 수티앵 칼라(soutien collar)는 첫째 단추를 풀면 오픈 칼라가 되고, 잠그면 세운 칼라가 된다. 스포티한 느낌의 칼라이다.
일곱째, 세일러 칼라(sailor callor)는 해군복의 칼라로 뒤가 사각형으로 등에 늘어져 있다. 영국에서 해군복을 모방하여 만들어 1900년경부터 소년 ·소녀 사이에 유행하였고, 한국에서는 1930년대부터 여학생 교복에 채용하였다.
여덟째, 타이 칼라(tie collar)는 넥타이처럼 목에 감아서 앞으로 매는 형으로, 여성 승마복이나 견직 블라우스 등에 단다.
아홉째, 테일러드 칼라(tailored collar)는 신사복이나 슈트에 쓰이는 칼라로서, 윗깃과 아랫깃의 경계에 재단선과 솔기가 있으며, 아랫깃을 특히 라펠이라 한다.
열번째, 하이칼라(high collar)는 목을 덮는 높은 칼라이다.
열한번째, 퍼 칼라(fur collar)는 방한용 코트에다는 털가죽 칼라로서, 고정시킨 것과 떼어낼 수 있는 것이 있다.
열두번째, 플랫 칼라(flat collar)는 세우는 부분이 없이 앞뒤가 모두 몸판에 편평하게 누워 있는 칼라이다. 퓨리턴 칼라(puritan collar:청교도가 달았던 칼라형으로 풀먹인 순백색 천의 커다란 칼라)나 피터 팬 칼라는 모두 플랫 칼라의 일종이다.
이런 의복의 옷깃인 칼라에 자크를 형성하고 옷에도 자크를 형성하여 칼라를 분리할 수 있는 구성한 "칼라를 바꿀 수 있는 옷"이 공개실용신안 제1987-6162호로 1987년 5월 6일자 공개된 바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발명은 자크의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칼라가 분리된 상태의 옷은 자크의 반쪽이 남아 있어 자크의 외형이 확연하게 드러나 지저분하며 이에 따라 칼라를 분리한 상태로 옷을 입고 다니기 곤란하여 사용범위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재봉된 카바 일측면에 접힘부가 형성되도록 상하로 벌크로파스너를 부착하고 그 내부에 자석을 부착한 "칼라 및 옷소매 보호대"가 공개실용신안 제1992-10970호로 1992년 7월 24일자 공개된 바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발명은 칼라나 옷소매 보호개를 항상 부착한 상태로만 사용할 수 있을 뿐 분리한 상태로는 옷을 입고 다니기 곤란하여 사용범위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피칼라를 의복의 칼라에 부착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모피칼라의 다수 곳에 탄력끈을 고정부착하고 탄력끈에 대응되는 의복의 칼라에 다수개의 단추를 고정시켜 모피칼라의 탄력끈을 의복의 칼라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의복의 칼라에서 모피칼라를 분리하였을 때에는 칼라에서 단추가 외부로 드러나 의복을 입고 다니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의복의 칼라에서 모피칼라와 같은 덧칼라를 결합하여 사용하다가 덧칼라를 칼라에서 분리하더라도 외관이 미려한 의복의 덧칼라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의복의 칼라에 완강하게 고정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덧칼라가 쉽게 이탈되지 않고 사용이 간편한 의복의 덧칼라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덧칼라를 의복의 칼라에 고정결합시킴에 있어서, 의복의 칼라 하부에 횡방향 동일선상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통공형성된 단추구멍과, 내측에 의복의 칼라가 삽입되는 삽입요부를 갖고 단추구멍의 연장선상인 삽입요부의 외측면에 고정된 다수개의 체결단추를 갖으며 체결단추와 대응되는 삽입요부의 내측면에 고정된 다수개의 체결고리를 갖는 덧칼라를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의복 칼라의 단추구멍은 의복의 칼라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절단재봉선에 의해 상하부칼라로 이등분되고 절단재봉선상에서 덧칼라의 다수개 체결단추와 대응되는 부위만을 남기고 그 외의 부위는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내부에서 봉합시켜서 이루어진다. 상기 덧칼라는 모피칼라인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발췌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인 덧칼라 조립전 분리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인 덧칼라의 조립후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인 덧칼라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의복의 요부발췌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덧칼라(10)를 의복(20)의 칼라(21)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의복(20)의 칼라(21) 하부에 횡방향 동일선상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통공형성된 단추구멍(22)과, 내측에 의복(20)의 칼라(21)가 삽입되는 삽입요부(11)를 갖고 단추구멍(22)의 연장선상인 삽입요부(11)의 외측면에 고정된 다수개의 체결단추(12)를 갖으며 체결단추(12)와 대응되는 삽입요부(11)의 내측면에 고정된 다수개의 체결고리(13)를 갖는 덧칼라(10)로 구성된다.
상기 의복(20) 칼라(21)의 단추구멍(22)은 의복(20)의 칼라(21)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절단재봉선(23)에 의해 상하부칼라(21a)(21b)로 이등분되고 절단재봉선(23)상에서 덧칼라(10)의 다수개 체결단추(12)와 대응되는 부위만을 남기고 그 외의 부위는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내부에서 봉합시켜서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덧칼라(10)는 모피칼라 외에 칼라(21)의 더러움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와 같이, 의복(20) 칼라(21)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절단재봉선(23)에 다수개 통공으로 형성시킨 단추구멍(22)에 덧칼라(10)의 하부내측에서 상측으로 형성된 삽입요부(11)의 외측면에 고정된 체결단추(12)를 일치시킨다.
이 다음, 의복(20)의 칼라(21)를 덧칼라(10)의 삽입요부(11) 내측으로 삽입시키면서 칼라(21)의 단추구멍(22)에 덧칼라(10)의 체결단추(12)를 삽입시킨 후, 단추구멍(22)을 통해 칼라(21)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체결단추(12)를 덧칼라(10)의 삽입요부(11) 내측면에서 일측단이 고정된 체결고리(13)에 도 3과 같이, 걸어서 고정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덧칼라(10)의 다수개 체결단추(12)를 칼라(21)의 다수개 단추구멍(22)에 끼운 후 덧칼라(10)의 다수개 체결고리(13)에 각각 걸어서 고정시키면 된다.
이에 덧칼라(10)는 의복(20)의 칼라(21)에 완강히 고정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쉽게 벗겨지거나 분리되지 않게 된다.
온도가 몹시 추운 날에는 도 1과 같이, 모피칼라와 같은 덧칼라(10)를 칼라(21)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목부위를 통해 의복(20) 내부로 유입되는 바람을 방지시켜서 보다 따뜻하게 의복을 입다가, 날씨가 조금 풀리게 되면, 도 4와 같이, 의복(20)의 칼라(21)에서 덧칼라(10)를 분리한 상태에서 의복(20)을 입으면 된다.
이때, 의복(20)의 칼라(21)는 도 2 또는 도 4와 같이, 절단재봉선(23)에 의해 상부칼라(21a)와 하부칼라(21b)로 분리된 상태에서 체결단추(12)에 대응되는 부위의 단추구멍(22)만을 남겨놓고서 칼라(21) 내부에서 상부칼라(21a)와 하부칼라(21b)를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봉합하여서 이루어지므로, 본 발명 의복(20)의 칼라(21)는 외형적으로 하부의 절단재봉선(23)만이 외부로 드러나 칼라(21)의 고유한 디자인으로 인식되어 사용함에 거부감이 전혀없게 된다.
도 4는 칼라(21)를 차이나칼라와 같이 도시하였으나,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 한 실시예인 칼라(21)에 한정되지 아니한 모든 류의 칼라(21)에 적용할 수 있으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의복의 칼라에서 모피칼라와 같은 덧칼라를 결합하여 사용하다가 덧칼라를 칼라에서 분리하더라도 외관이 미려하고 의복의 칼라에 완강하게 고정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덧칼라가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덧칼라를 의복의 칼라에 고정결합시킴에 있어서;
    의복(20)의 칼라(21) 하부에 횡방향 동일선상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통공형성된 단추구멍(22)과;
    내측에 의복(20)의 칼라(21)가 삽입되는 삽입요부(11)를 갖고 단추구멍(22)의 연장선상인 삽입요부(11)의 외측면에 고정된 다수개의 체결단추(12)를 갖으며 체결단추(12)와 대응되는 삽입요부(11)의 내측면에 고정된 다수개의 체결고리(13)를 갖는 덧칼라(1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의 덧칼라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20) 칼라(21)의 단추구멍(22)은 의복(20)의 칼라(21)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절단재봉선(23)에 의해 상하부칼라(21a)(21b)로 이등분되고 절단재봉선(23)상에서 덧칼라(10)의 다수개 체결단추(12)와 대응되는 부위만을 남기고 그 외의 부위는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내부에서 봉합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의 덧칼라 고정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덧칼라(10)는 모피칼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의 덧칼라 고정구조.
KR1020040053370A 2004-07-09 2004-07-09 의복의 덧칼라 고정구조 KR100624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370A KR100624549B1 (ko) 2004-07-09 2004-07-09 의복의 덧칼라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370A KR100624549B1 (ko) 2004-07-09 2004-07-09 의복의 덧칼라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307A KR20060004307A (ko) 2006-01-12
KR100624549B1 true KR100624549B1 (ko) 2006-09-19

Family

ID=37116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370A KR100624549B1 (ko) 2004-07-09 2004-07-09 의복의 덧칼라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5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538B1 (ko) 2006-07-05 2007-05-14 구명화 셔츠의 카라 지지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특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538B1 (ko) 2006-07-05 2007-05-14 구명화 셔츠의 카라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307A (ko) 200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92265A1 (en) Garment for selectively receiving interchangeable and reusable user customizable attachments
US9204676B2 (en) Attachable garments
US20150013046A1 (en) Detachable and adjustable hood
US10413000B1 (en) Jersey shirt
KR100624549B1 (ko) 의복의 덧칼라 고정구조
US20190174842A1 (en) Jacket, tie and shirt combination
CN107080298B (zh) 不脱外装就可脱掉的保暖内衣
KR200404490Y1 (ko) 간편 상의
US10321741B2 (en) Necktie retaining clip
US11606983B2 (en) Detachable T-shirt collar
CN212574161U (zh) 一种西装
US20200275715A1 (en) Clothing product with mutually detachable garment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3120586U (ja) インナーウェア
CN2922506Y (zh) 彩绘西服上装
KR200435141Y1 (ko) 탈부착식 후드 및 이것이 탈부착되는 의복상의
CN217791533U (zh) 蝴蝶结连衣裙
CN216931943U (zh) 一种开衫式针织衫
CN213369992U (zh) 一种领子拼搭式的假两件风衣
CN214071832U (zh) 一种滑雪服套装
CN210275974U (zh) 一种双排扣无袖长款马甲
JP5023008B2 (ja) インナーウェア
CN220124004U (zh) 一种带围脖的斗篷上衣
CN211379703U (zh) 一种具有两种穿法的外套
CN218515230U (zh) 印花风衣
JP3219681U (ja) 衣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