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796B1 - 고주파 대역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대역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796B1
KR100846796B1 KR1020060131853A KR20060131853A KR100846796B1 KR 100846796 B1 KR100846796 B1 KR 100846796B1 KR 1020060131853 A KR1020060131853 A KR 1020060131853A KR 20060131853 A KR20060131853 A KR 20060131853A KR 100846796 B1 KR100846796 B1 KR 100846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or
handover
network
priority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0902A (ko
Inventor
이재민
권창열
판구오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763,53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80080425A1/en
Priority to PCT/KR2007/004713 priority patent/WO2008041806A1/en
Priority to EP07808459A priority patent/EP2060028B1/en
Priority to TW096136766A priority patent/TW200818754A/zh
Publication of KR20080030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2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 대역 무선 통신에서 조정자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에서 조정자 역할을 핸드오버하는 방법은, 조정자가 되기 위한 우선 순위가 기록되어 있는 기기 우선 순위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네트워크 속하는 다른 기기들 중에서 백업 조정자로 될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기기에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핸드오버에 따라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밀리미터 웨이브, 조정자, 핸드오버

Description

고주파 대역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Handover method on wireless network for transceiving data by use of high-frequency bandwidth}
도 1은 IEEE 802.11 계열의 표준과 mmWave간에 주파수 대역을 비교하는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핸드오버의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요청 프레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정된 핸드오버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정되지 않은 핸드오버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무선 기기 110 : CPU
120 : 메모리 130 : 버스
140 : MAC 유닛 141 : 핸드오버 제어부
142 : 컨트롤 프레임 생성부 143 : 기기 우선 순위 리스트
150 : PHY 유닛 151 : 기저대역 프로세서
152 : RF 유닛 153 : 안테나
160 : 송수신부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 대역 무선 통신에서 조정자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가 무선화 되어가고 있고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요구의 증대로 인하여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전송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DVD(Digital Video Disk) 영상,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 영상 등 고품질 비디오를 다양한 홈 디바이스 간에 무선으로 전송할 필요성이 높아지는 추세에 있다.
현재 IEEE 802.15.3c의 한 태스크 그룹(task group)에서는 무선 홈 네트워크에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술 표준을 추진 중에 있다. 소위, mmWave(Millimeter Wave)라고 불리는 이 표준은,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물리적인 파장의 길이가 밀리미터인 전파(즉, 30GHz 내지 300GHz의 주파수를 갖는 전파)를 이용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주파수대는 무허가 밴드(unlicensed band)로서 통신사업자용이나 전파 천문용, 또는 차량 충돌방지 등의 용도로 제한적으로 사용 되어 왔다.
도 1은 IEEE 802.11 계열의 표준과 mmWave간에 주파수 대역을 비교하는 도면이다. IEEE 802.11b나 IEEE 802.11g는 반송파 주파수가 2.4GHz이며, 채널 대역폭은 20MHz 정도이다. 또한, IEEE 802.11a나 IEEE 802.11n은 반송파 주파수가 5GHz이며, 채널 대역폭은 마찬가지로 20MHz 정도이다. 이에 반하여, mmWave는 60GHz의 반송파 주파수를 사용하며, 대략 0.5 내지 2.5GHz의 채널 대역폭을 갖는다. 따라서, mmWave는 기존의 IEEE 802.11 계열의 표준에 비하여 훨씬 큰 반송파 주파수 및 채널 대역폭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밀리미터 단위의 파장을 갖는 고주파 신호(밀리미터 웨이브)를 이용하면, 수 기가 비트(Gbps) 단위의 매우 높은 전송률을 나타낼 수 있고, 안테나 크기를 1.5mm이하로 할 수 있어 안테나를 포함한 단일 칩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중 감쇠율(attenuation ratio)이 매우 높기 때문에 기기간에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특히, 최근에는 밀리미터 웨이브가 갖는 고주파 대역(수 기가 내지 수십 기가 대역)을 이용하여 무선 기기 간에 비압축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이하, 비압축 AV 데이터라고 함)를 전송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압축 AV 데이터는 모션 보상, DCT 변환, 양자화, 가변길이 부호화 등의 과정을 통하여, 인간의 시각, 청각에 덜 민감한 부분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손실 압축된다. 반면에, 비압축 AV 데이터는 화소 성분을 나타내는 디지털 값(예를 들어, R, G, B 성분)을 그대로 포함한다.
이러한 고주파 대역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기기들이 형성하는 네트워크에는 네트워크 조정자(network coordinator; 이하, 단순히 조정자라고 함)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조정자는 상기 네트워크의 초기화, 노드(무선 기기) 관리, 대역폭 할당 등의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조정자가 셧 다운(shutdown)되거나, 상기 조정자가 더 이상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다른 무선 기기에 조정자의 권한을 양도하게 되는데, 통상 이러한 과정을 핸드오버(handover)라고 부른다.
도 2는 일반적인 핸드오버의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10)는 서로 간에 통신 가능한 복수의 기기들(11, 12, 13, 15)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기들 중 하나의 기기는 조정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조정자(15)는 무선 네트워크(10) 내의 일원인 기기의 역할 및 조정자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조정자(15)는 주기적으로 비콘 등의 관리 프레임을 다른 기기들(11, 12, 13)에 전송하고, 이들로부터는 네트워크 참여 요청, 대역폭 할당 요청 등을 수신하면서,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그런데, 조정자(15)가 어떠한 이유에서든 더 이상 조정자 역할을 수행할 수 없는 상태(예: 전원 꺼짐, 네트워크 이탈 등의 경우)에는 다른 기기들(11, 12, 13) 중에서 조정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떤 기기(13)에 조정자 역할을 핸드오버하게 된다.
종래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조정자가 다른 무선 기기에 핸드오버를 할 때에는, 무선 네트워크에 속하는 무선 기기들의 기능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무선 기기를 찾고, 그 최적의 무선 기기에 조정자 역할을 넘겨준다. 이러한 기능들에는 데이터 보안 기능, 최대 수용 가능한 무선 기기의 수, 최대 할당 가능한 시간 슬롯의 수, 전송 전력 레벨, 최대 전송률 등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과는 달리, 고주파 대역을 통하여 비압축 AV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대용량 데이터를 지속적, 안정적으로 전송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적 특징에 적합한 핸드오버 알고리즘을 고안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 기가(Gbps)의 대역을 통하여 대용량의 비압축 AV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고주파 대역 무선 통신에서 조정자의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에서 조정자 능력을 갖는 기기로서, 조정자가 되기 위한 우선 순위가 기록되어 있는 기기 우선 순위 리스트; 상기 기기 우선 순위 리스트를 참조하여 선택된 기기에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핸드오버 제어부; 및 상기 핸드오버에 따라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기기에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에서 조정자 역할을 핸드오버하는 방법으로서, 조정자가 되기 위한 우선 순위가 기록되어 있는 기기 우선 순위 리스트를 참조하여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기기에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오버에 따라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에서 조정자 역할을 인수하는 방법으로서, 기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백업 조정자로 지정되는 단계; 비콘이 수신되지 않은 채로 소정 회수 이상의 비콘 기간이 경과되었음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새로운 조정자로서 상기 네트워크 상의 기기들에게 비콘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주파 대역 무선 통신에서 네트워크의 조정자에 관한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기들의 기기 우선 순위를 정하는 기준과, 조정자의 핸드오버를 촉발(triggering)하는 원인에 대해 정의하고, 구 체적인 핸드오버 과정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기기 우선 순위 리스트
IEEE 802.15.3 규격에 따른 무선 PAN 표준에서는, 네트워크 상의 기기의 다양한 기능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최적의 조정자를 판단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고주파 대역을 통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환경에서는, 이와 같은 종래의 판단 기준은 적합하지 않으며, 기기의 특성에 따른 일괄적인 기준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조정자 핸드오버는 "기기 우선 순위"에 따라 일률적으로 조정자가 될 수 있는 기기 우선 순위가 주어진다. 물론, 어떤 기기가 조정자가 되기 위해서는, 상기 기기의 전원이 켜져 있어야 하고, 조정자로서 동작하기 위한 기능 즉, 조정자 능력(coordinator capability)를 가지고 있음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기 우선 순위에 따라서 최초 네트워크 형성시에 조정자가 결정되며, 이 후 기존의 조정자가 셧 다운(shut down)되거나 네트워크를 이탈하는 경우에도 상기 기기 우선 순위에 따라 그 다음 조정자로서 동작할 기기가 결정된다. 또한, 기존의 조정자보다 기기 우선 순위가 더 높은 기기가 네트워크에 참여(join)하게 되면 상기 기기가 새로운 조정자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기 우선 순위는 대용량 AV 데이터의 송수신에 있어, 소스 기기로 동작할 수 있는 기기가 더 높은 기기 우선 순위를 갖는다. 조정자는 네트워크 상의 기기들의 요청에 의해 상기 기기들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간(period) 즉, 시간 슬롯(time slot)을 할당하는데, 기기들은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서는 시간 슬롯을 할당 받지 못하거나, 시간 슬롯을 할당 받는다고 하여도 그것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대용량 AV 데이터를 전송할 소스 기기가 조정자가 된다면, 상기 시간 슬롯을 자신에게 충분하게 할당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이고도 안정적으로 대용량 AV 데이터를 전송할 수가 있는 것이다.
물론, 소스 기기로 동작할 수 있는 기기가 여러 가지가 있는 경우에는, 그 하드웨어 성능이 높은 기기가 더 높은 기기 우선 순위를 가진다. 다음의 표 1은 이와 같은 기기 우선 순위를 리스트로 작성한 예를 보여 준다. 상기 리스트에는 조정자가 되기 위한 기기 우선 순위가 기기 종류를 기초로 기록되어 있다.
기기 우선 순위 기기 종류
1 디지털 TV
2 셋톱 박스
3 PC
4 DVD 레코더
5 DVD 플레이어
6 A/V 리시버
7 게임 콘솔
예를 들어, 현재 네트워크에 디지털 TV, 셋톱 박스, DVD 레코더가 존재하고, 셋톱 박스를 제외하고는 모두가 조정자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하면, 표 1의 기기 우선 순위에 따라 현재 네트워크에서는 디지털 TV가 조정자로서 동작한다. 다만, 디지털 TV가 네트워크를 이탈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 기기 우선 순위에 따라 DVD 레코더가 백업 조정자로 미리 선정된다. 그 후, 디지털 TV가 갑자기 셧 다운되는 경우에는, DVD 레코더가 네트워크 상에서 조정자로 동작하게 된다.
이 때, 조정자 능력이 있는 PC가 상기 네트워크에 참여하게 되면, DVD 레코더는 다시 기기 우선 순위를 확인하고, 상기 PC에 조정자 역할을 핸드오버한다.
그런데, 조정자가 어떤 기기를 백업 조정자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기기의 정보를 알아야 한다. 모든 기기는 네트워크에 참여할 때, 자신의 정보를 제공하면서 참여를 요청하는 결합 요청 프레임(association request frame)을 조정자에게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요청 프레임(2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Coordinator Capable 필드(21)는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기기가 조정자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필드이다. Device Type 필드(22)는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기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미리 식별 번호를 부여하여 두면, 이 필드(22)에는 상기 식별 번호만을 기재하면 된다.
Hardware Information 필드(23)는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기기의 하드웨어 성능을 나타내는 필드이다. 하드웨어 성능이란 프로세서의 성능, 메모리의 용량, 전송 전력 레벨, 전송률 등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MAC Address 필드(24)는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기기의 MAC 주소를 기재하는 필드이다. 이러한 MAC 주소는 해당 기기가 갖는 고유의 주소로서, 이를 기초로 조정자는 네트워크 내에서 통용되는 식별자, 즉 기기 ID(device ID)를 할당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결합 요청 프레임(20)는 해당 프레임의 인덱스 번호(index number)를 기록하는 필드, 길이(length)를 기록하는 필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핸드오버 촉발( handover trigger )
조정자의 핸드오버가 촉발되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그 원인으로는, 예를 들어, 현재의 조정자가 갑자기 파워 오프(power-off)되었을 경우, 현재의 조정자가 셧 다운(shut down)될 예정인 경우, 현재의 조정자와 네트워크 상의 다른 기기들과의 연결 상태가 불량한 경우, 네트워크 내에 더 높은 기기 우선 순위를 갖는 기기가 가입하는 경우 등이 있다.
핸드오버 과정( handover process )
본 발명에서, 핸드오버는 예정된 핸드오버와 예정되지 않은 핸드오버로 분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정된 핸드오버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예정된 핸드오버는, 조정자 스스로 조정자 역할을 포기하거나 네트워크 내에 더 높은 기기 우선 순위를 가지며 조정자 능력이 있는 기기가 참여할 때에 발생한다.
먼저, 조정자(30)는 기기 우선 순위 리스트를 참조하여 네트워크 상의 기기들(31, 32) 중에서 기기 1(31)을 백업 조정자로 지정한다(S10).
핸드오버를 예정한 경우, 조정자(30)는 다른 기기들(31, 32)의 시간 슬롯 요청을 제한한다(S11). 구체적으로, 조정자(30)는 기기들(31, 32)로부터 시간 슬롯 요청을 수신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거절(rejection)을 상기 기기들(31, 32)에 통지한다.
그 다음, 조정자(30)는 기기 우선 순위 리스트를 참조하여 백업 조정자를 선택한다. 만약, 기기 1(31)이 백업 조정자로 선택되었다고 하면, 조정자(30)는 기기 1(31)에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프레임을 전송한다(S12). 그리고, 이어서 조정자(30)는 기존에 가지고 있던 네트워크 정보를 기기 1(31)에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정자(30)는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기기들의 정보를 기기 1(31)에 전송하고(S13), 현재까지 예약된 시간 슬롯에 관한 정보(시간 슬롯 예약 정보)를 기기 1(31)에 전송한다(S14).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프레임을 수신한 기기 1(31)은 소정의 타임 아웃 시간 내에, 조정자(30)에 핸드오버에 응답하는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S15). 이 때, 상기 응답하는 프레임에는 핸드오버에 대한 수락 또는 거절이 포함된다. 만약, 타임 아웃 시간 내에, 조정자(30)가 핸드오버에 응답하는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면, 핸드오버 요청은 거절된 것으로 간주된다.
기기 1(31)이 상기 핸드오버에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에는, 조정자(30)는 핸드오버 IE(information element)를 포함하는 비콘을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31, 32)에 방송한다. 이를 통하여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31, 32)는 기기1 (31)이 새로운 조정자가 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후, 기기 1(31)은 새로운 조정자로서 동작하고, 조정자(30)는 기기 2(32)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기기로서 동작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정되지 않은 핸드오버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조정자(30)가 예정된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지만, 조정자(30)가 갑자기 조정자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된 경우, 예정되지 않은 핸드오버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조정자(30)는 기기 우선 순위 리스트를 참조하여 네트워크 상의 기기들(31, 32) 중에서 기기 1(31)을 백업 조정자로 지정한다(S21). 이 후, 조정자(30)가 어떠한 이유로 하여, 갑자기 파워 오프된다(S22).
그러면, 소정 주기로 방송되는 비콘을 기다리는 기기들(31, 32)은 연속하여 비콘을 놓치게 된다(S23, S14). 백업 조정자로 지정되어 있는 기기 1(31)은 상기 비콘을 연속하여 소정 회수 이상 놓치게 되면, 조정자(30)가 조정자 역할을 더 이상 수행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자신이 조정자 역할을 인수하게 된다.
이 후, 기기 1(31)은 네트워크 내의 다른 기기들(32)에 주기적으로 비콘을 방송함으로써 새로운 조정자 역할을 시작한다(S25). 이 때, 새로운 조정자인 기기 1(31)은 동적 CTB(dynamic channel time block) 동안의 트래픽을 관찰함으로써 다른 기기들(32)의 상태를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기기(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상기 무선 기기(100)는 네트워크 조정자로서 동작하기 위한 기능 즉, 조정자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상황에 따라 조정자가 되기도 하고 조정자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 일반 무선 기기가 되기도 한다.
무선 기기(100)는 CPU(110), 메모리(120), MAC 유닛(140), PHY 유닛(150), 핸드오버 제어부(141), 컨트롤 프레임 생성부(142), 및 안테나(1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중에서, MAC 유닛(140), PHY 유닛(150) 및 안테나(153)를 포괄하여 송수신부(160)라고 정의할 수 있다.
CPU(110)는 버스(130)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며, MAC 층의 상위 층에서의 처리를 담당한다. 따라서, CPU(110)는 MAC 유닛(140)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데이터(수신 MSDU; MAC Service Data Unit)를 처리하거나 전송할 비압축 AV 데이터(전송 MSDU)를 생성하여 MAC 유닛(140)에 제공한다.
메모리(120)는 상기 처리된 수신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상기 생성된 전송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는 롬(ROM), 피롬(PROM), 이피롬(EPROM), 이이피롬(EEPROM),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램(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 또는 기타 해당 분야에서 알려져 있는 임의의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MAC 유닛(140)은 CPU(110) 로부터 제공된 비압축 AV 데이터 또는 컨트롤 프레임 생성부(142)에서 생성되는 컨트롤 프레임에 MAC 헤더를 부가하여 MPDU(MAC Protocol Data Unit)을 생성한다. 생성된 MPDU는 PHY 유닛(150)을 통하여 전송된다.
PHY 유닛(150)은 MAC 유닛(140)으로부터 제공된 MPDU에 시그널 필드 및 프리앰블을 부가하여 PPDU를 생성하고 생성된 PPDU, 즉 데이터 프레임을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153)를 통해 전송한다. PHY 유닛(150)은 기저 대역 신호를 처리하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base band processor; 151)와 상기 처리된 기저 대역 신호로부터 실제 무선 신호를 생성하고 안테나(153)를 통하여 공중(air)으로 전송하는 RF(radio frequency) 유닛(152)로 세분화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저대역 프로세서(151)는 프레임 포맷팅(frame formatting),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등을 수행하고, RF 유닛(152)은 아날로그 파 증폭,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 변조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컨트롤 프레임 생성부(142)는 네트워크 내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프레임을 생성하여 MAC 유닛(140)에 제공한다. 상기 컨트롤 프레임으로는, 주기적으로 네트워크 내에 방송되는 비콘 프레임, 시간 슬롯 요청에 대하여 응답하는 프레임, 핸드 오버를 요청하는 프레임, 네트워크 정보를 백업 조정자에게 전송하는 프레임 등이 있다.
기기 우선 순위 리스트(143)에는 조정자가 되기 위한 우선 순위, 즉 기기 우선 순위가 기기 종류를 기초로 기록되어 있다. 기기 우선 순위 리스트(143)는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 있다.
핸드오버 제어부(141)는 상기 기기 우선 순위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네트워크 속하는 다른 무선 기기들 중에서 백업 조정자로 될 무선 기기를 선택하고,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선택된 무선 기기에 핸드오버를 요청한다. 핸드오버 요청시, 핸드 오버 제어부(141)는 컨트롤 프레임 생성부(142)로 하여금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프레임을 생성하게 한다.
또한, 핸드오버 제어부(141)는 상기 핸드오버의 요청이 있은 이후에, 무선 기기(100)가 가지고 있던 네트워크 정보를 송수신부(160)를 통하여 상기 선택된 무선 기기에게 전송한다.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네트워크 상의 다른 무선 기기에 관한 기기 정보 및 기 요청된 시간 슬롯 예약 정보를 포함한다.
이 후, 핸드오버 제어부(141)는 송수신부(160)를 통하여, 상기 선택된 무선 기기로부터 핸드오버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데, 그 응답이 수락인 경우 정상적인 핸드오버가 이루어진 것이 되므로, 핸드오버 IE를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네트워크 상에 방송한다. 그러나, 그 응답이 거절인 경우에는 기기 우선 순위 리스트를 다시 참조하여 다음 순위의 무선 기기를 대상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6의 각 구성요소들은 메모리 상의 소정 영역에서 수행되는 태스크, 클래스, 서브 루틴, 프로세스, 오브젝트, 실행 쓰레드,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software)나,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복수의 컴퓨터에 그 일부가 분산되어 분포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주파 대역의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기기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조정자의 핸드오버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는 장점이 있다.

Claims (21)

  1.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에서 조정자 능력을 갖는 기기로서,
    조정자가 되기 위한 우선 순위가 기록되어 있는 기기 우선 순위 리스트;
    상기 기기 우선 순위 리스트를 참조하여 선택된 기기에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핸드오버 제어부; 및
    상기 핸드오버에 따라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기기에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는 기기 종류에 근거하여 부여되는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는
    상기 기기 우선 순위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속하는 다른 무선 기기들 중에서 백업 조정자로 될 무선 기기를 선택하고,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선택된 기기에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고주파 대역의 네트워크이고, 상기 고주파 대역은 수십 기가 비트 대역이며, 상기 데이터는 비압축 AV 데이터인 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종류가 소스 기기인 경우에 보다 높은 우선 순위가 부여되는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종류가 동일한 경우, 프로세서의 성능, 메모리의 용량, 전송 전력 레벨 및 전송률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하드웨어 성능이 높은 기기에 보다 높은 우선 순위가 부여되는 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종류가 디지털 TV인 경우에 가장 높은 우선 순위가 부여되는 기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조건은
    현재의 조정자가 파워 오프되는 경우, 상기 현재의 조정자가 셧 다운될 예정인 경우, 상기 현재의 조정자의 연결 상태가 불량한 경우 및 상기 백업 조정자로 선택된 기기의 우선 순위가 상기 현재의 조정자보다 높은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상의 모든 기기에 관한 기기 정보 및 시간 슬롯 예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기기로부터 핸드오버 응답을 수신하는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는
    핸드오버 IE(information element)를 포함하는 비콘을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전송하는 기기.
  12.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에서 조정자 역할을 핸드오버하는 방법으로서,
    조정자가 되기 위한 우선 순위가 기록되어 있는 기기 우선 순위 리스트를 참조하여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기기에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오버에 따라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는 기기 종류에 근거하여 부여되는 핸드오버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고주파 대역의 네트워크이고, 상기 선택 된 기기로부터 핸드오버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핸드오버 IE(information element)를 포함하는 비콘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종류가 소스 기기인 경우에 보다 높은 우선 순위가 부여되는 핸드오버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종류가 동일한 경우, 프로세서의 성능, 메모리의 용량, 전송 전력 레벨 및 전송률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하드웨어 성능이 높은 기기에 보다 높은 우선 순위가 부여되는 핸드오버 방법.
  18.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에서 조정자 역할을 인수하는 방법으로서,
    기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기존의 조정자에 의해 백업 조정자로 지정되는 단계;
    비콘이 수신되지 않은 채로 소정 회수 이상의 비콘 기간이 경과되었음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새로운 조정자로서 상기 네트워크 상의 기기들에게 비콘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정자 역할을 인수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는 기기 종류에 근거하여 부여되는 조정자 역할을 인수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종류가 소스 기기인 경우에 보다 높은 기기 우선 순위가 부여되는 조정자 역할을 인수하는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동적 CTB(dynamic channel time block) 동안의 트래픽을 관찰하여 상기 기기들의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정자 역할을 인수하는 방법.
KR1020060131853A 2006-10-02 2006-12-21 고주파 대역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KR100846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763,537 US20080080425A1 (en) 2006-10-02 2007-06-15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high frequency bandwidth in wireless network
PCT/KR2007/004713 WO2008041806A1 (en) 2006-10-02 2007-09-27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high frequency bandwidth in wireless network
EP07808459A EP2060028B1 (en) 2006-10-02 2007-09-27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TW096136766A TW200818754A (en) 2006-10-02 2007-10-01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high frequency bandwidth in wireless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4840306P 2006-10-02 2006-10-02
US60/848,403 2006-10-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902A KR20080030902A (ko) 2008-04-07
KR100846796B1 true KR100846796B1 (ko) 2008-07-16

Family

ID=39532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853A KR100846796B1 (ko) 2006-10-02 2006-12-21 고주파 대역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080425A1 (ko)
EP (1) EP2060028B1 (ko)
KR (1) KR100846796B1 (ko)
CN (1) CN101517931A (ko)
TW (1) TW200818754A (ko)
WO (1) WO20080418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26874A2 (en) 2006-08-31 2008-03-0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mmunicating in wireless network
US8031737B2 (en) * 2006-08-31 2011-10-0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hanging channels and configuring a sub network in a wireless network
CN101868046B (zh) * 2010-06-04 2012-09-05 华为技术有限公司 传感器网络中协调器变换方法和传感器网络节点
US20120155443A1 (en) * 2010-12-16 2012-06-21 Carlos Cordeiro Millimeter-wave communication station and methods for station and information discovery in a millimeter-wave basic service set
US8619581B2 (en) * 2011-01-11 2013-12-31 Intel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electing wireless network controller
JP2013061700A (ja) * 2011-09-12 2013-04-0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9505A (ko) * 1996-12-19 2000-11-25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통신 네트워크용의 장치 및 방법
KR20030060027A (ko) * 2002-01-05 200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hsdpa)시스템에서 패킷데이터 전송 방법
US20040255001A1 (en) * 2003-06-13 2004-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rdinator switching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same
US20050059420A1 (en) * 2003-09-16 2005-03-17 Juha Salokannel Method and system for power-based control of an ad hoc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20050122944A1 (en) * 2003-12-05 2005-06-09 Seo-Won Kwon Frame structure for selecting bridge device in high-speed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and method of selecting bridge device therein
KR20050122235A (ko) * 2003-04-04 2005-12-28 노키아 코포레이션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최적 용량 송신을 위한시스템 토폴로지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6832B2 (ja) * 1997-05-07 2004-04-05 シャープ株式会社 時分割ディジタル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620289B1 (ko) * 2000-07-25 2006-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스터 이탈시 사설 간이 네트워크 운영 방법
JP3848235B2 (ja) 2002-10-04 2006-11-22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処理装置、通信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457538B1 (ko) * 2002-12-02 2004-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랜상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무선랜상의 포인트 코디네이터(pc) 장치
KR100538922B1 (ko) * 2003-04-01 2005-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고속 서브넷에서의 슈퍼바이저핸드오버 방법
KR101094008B1 (ko) * 2003-08-06 2011-12-15 파나소닉 주식회사 미디어 액세스 시스템의 마스터-슬레이브 핸드오버용 단말 장치 및 방법
US7463886B2 (en) * 2003-09-16 2008-12-09 Spyder Navigations L.L.C.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residual energy awareness in an ad hoc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7447503B2 (en) * 2005-03-11 2008-11-0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of designating a future network coordinator
US7606199B2 (en) * 2005-07-14 2009-10-2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Central coordinator selection, handover, backup and failure recovery
US7672271B2 (en) * 2005-12-22 2010-03-02 Hyun Lee Method of constructing wireless high speed backbone connection that unifies various wired/wireless network clusters by means of employing the smart/adaptive antenna technique and dynamically creating concurrent data pipelin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9505A (ko) * 1996-12-19 2000-11-25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통신 네트워크용의 장치 및 방법
KR20030060027A (ko) * 2002-01-05 200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hsdpa)시스템에서 패킷데이터 전송 방법
KR20050122235A (ko) * 2003-04-04 2005-12-28 노키아 코포레이션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최적 용량 송신을 위한시스템 토폴로지
US20040255001A1 (en) * 2003-06-13 2004-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rdinator switching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same
US20050059420A1 (en) * 2003-09-16 2005-03-17 Juha Salokannel Method and system for power-based control of an ad hoc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20050122944A1 (en) * 2003-12-05 2005-06-09 Seo-Won Kwon Frame structure for selecting bridge device in high-speed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and method of selecting bridge device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41806A1 (en) 2008-04-10
EP2060028A1 (en) 2009-05-20
CN101517931A (zh) 2009-08-26
EP2060028B1 (en) 2011-07-27
US20080080425A1 (en) 2008-04-03
KR20080030902A (ko) 2008-04-07
TW200818754A (en) 2008-04-16
EP2060028A4 (en) 201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146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81497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high-frequency band
KR101403342B1 (ko) 무선 비디오 영역 네트워크를 위한 채널 설정 방법 및시스템
KR100871854B1 (ko) 비동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채널 할당 관리 방법, 비동기데이터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KR100896686B1 (ko) 비압축 등시성 데이터 전송을 위한 채널 할당 관리 방법,비압축 등시성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장치
EP2095575B1 (en) Wireless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configuring the same
US200801123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bandwidth of wireless network,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n the network
US200802401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uncompressed video having data transmission on a secondary low rate channel
US8437319B2 (en) Wireless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configuring the same
US99428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bandwidth of wireless network where both wide-band and narrow-band signals are transmitted,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n the network
EP205249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bandwidth of wireless network,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n the network
KR101379254B1 (ko) 디바이스 조정자 선택 기능을 가진 무선 통신을 위한시스템 및 방법
WO200714248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080069536A (ko) 패킷을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846796B1 (ko) 고주파 대역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US200801123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bandwidth of wireless network,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n the network
KR20080090957A (ko)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구성하는 방법
WO20080911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network
KR20080007057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채널을 결정하는 방법, 무선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