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0957A -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구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구성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0957A
KR20080090957A KR1020070121262A KR20070121262A KR20080090957A KR 20080090957 A KR20080090957 A KR 20080090957A KR 1020070121262 A KR1020070121262 A KR 1020070121262A KR 20070121262 A KR20070121262 A KR 20070121262A KR 20080090957 A KR20080090957 A KR 20080090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field
capability
data
phys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창열
김성수
오지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8/00186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8123680A1/en
Priority to US12/098,688 priority patent/US8437319B2/en
Publication of KR20080090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고주파 대역에서 방향성 있는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상의 기기들로 하여금 각각의 통신 능력을 서로 공유하게 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는 밀리미터 웨이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스테이션을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결합 요청 프레임을 참조하여 상기 결합 요청 프레임을 송신한 결합 스테이션의 통신 능력을 확인하는 통신 능력 관리부와, 상기 통신 능력이 명시된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을 생성하는 정보 프레임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을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밀리미터 웨이브, MAC 능력, 물리 능력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Wireless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the wireless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주파 대역에서 방향성 있는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상의 기기들로 하여금 각각의 통신 능력을 서로 공유하게 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가 무선화 되어가고 있고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요구의 증대로 인하여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전송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DVD(Digital Video Disk) 영상,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 영상 등 고품질 비디오를 다양한 홈 디바이스 간에 무선으로 전송할 필요성이 높아지는 추세에 있다.
한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스테이션은 서로 다른 통신 능력을 가지고 있을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통신 능력의 상이함으로 인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전송 지연 또는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각 스테이션간의 통신 능력이 공유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데이터 송수신을 구현하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고주파 대역에서 방향성 있는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상의 기기들로 하여금 각각의 통신 능력을 서로 공유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는 수신된 결합 요청 프레임을 참조하여 상기 결합 요청 프레임을 송신한 결합 스테이션의 통신 능력을 확인하는 통신 능력 관리부와, 상기 통신 능력이 명시된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을 생성하는 정보 프레임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을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는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을 참조하여 데이터의 수신 대상인 수신 스테이션의 통신 능력을 분석하는 통신 능력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통신 능력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수신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은 수신된 결합 요청 프레임을 참조하여 상기 결합 요청 프레임을 송신한 결합 스테이션의 통신 능력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능력이 명시된 네트워크 정보 프레 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은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을 참조하여 데이터의 수신 대상인 수신 스테이션의 통신 능력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통신 능력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수신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에 따르면, 고주파 대역에서 방향성 있는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상의 기기들로 하여금 각각의 통신 능력을 서로 공유하게 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 지연 또는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현재 IEEE의 한 태스크 그룹(task group)인 802.15.3c에서는 무선 홈 네트워크에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술 표준을 추진 중에 있다. 소위, mmWave(Millimeter Wave)라고 불리는 이 표준은,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물리적인 파장의 길이가 밀리미터인 전파(즉, 30GHz 내지 300GHz의 주파수를 갖는 전파)를 이용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주파수대는 무허가 밴드(unlicensed band)로서 통신사업자용이나 전파 천문용, 또는 차량 충돌방지 등의 용도로 제한적으로 사용 되어 왔다.
도 1은 IEEE 802.11 계열의 표준과 mmWave간의 주파수 대역을 비교하는 도면이다. IEEE 802.11b나 IEEE 802.11g는 반송파 주파수가 2.4GHz이며, 채널 대역폭은 20MHz 정도이다. 또한, IEEE 802.11a나 IEEE 802.11n은 반송파 주파수가 5GHz이며, 채널 대역폭은 마찬가지로 20MHz 정도이다. 이에 반하여, mmWave는 60GHz의 반송파 주파수를 사용하며, 대략 0.5 내지 2.5GHz의 채널 대역폭을 갖는다. 따라서, mmWave는 기존의 IEEE 802.11 계열의 표준에 비하여 훨씬 큰 반송파 주파수 및 채널 대역폭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밀리미터 단위의 파장을 갖는 고주파 신호(밀리미터 웨이브)를 이용하면, 수 기가 비트(Gbps) 단위의 매우 높은 전송률을 나타낼 수 있고, 안테나 크기를 1.5mm이하로 할 수 있어 안테나를 포함한 단일 칩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중 감쇠율(attenuation ratio)이 매우 높기 때문에 기기간에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특히, 최근에는 밀리미터 웨이브가 갖는 고 대역폭을 이용하여 무선 기기간에 비압축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이하, 비압축 AV 데이터라고 함)를 전송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압축 데이터는 모션 보상, DCT 변환, 양자화, 가변길이 부호화 등의 과정을 통하여, 인간의 시각, 청각에 덜 민감한 부분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손실 압축된다. 반면에, 비압축 데이터는 화소 성분을 나타내는 디지털 값(예를 들어, R, G, B 성분)을 그대로 포함한다. 이와 같이, 무선 기기들이 압축되지 않은 원본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함에 따라 사용자는 고화질 및 고음질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은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Wireless Network Coordinator)(210) 및 스테이션(Wireless Network Station)(221, 222, 223, 2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210)는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여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스테이션(221, 222, 223, 224)의 대역 할당(bandwidth allocation)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들(221, 222, 223, 224)은 수신된 비콘 프레임을 참조하여 대역을 할당 받기 위하여 대기하거나, 대역이 자신에게 할당된 경우 할당된 대역을 통하여 다른 스테이션에게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 타임 블록(Channel Time Block)을 포함하는 수퍼 프레임에 따라 구성되는데, 채널 타임 블록은 네트워크상의 특정 스테이션에게 대역이 할당되도록 예약된 시간 구간인 예약 채널 타임 블록(Reserved Channel Time Block)과 네트워크상의 스테이션 중 경쟁을 통하여 선택된 하나의 스테이션에게 대역이 할당된 시간 구간인 비예약 채널 타임 블록(Unreserved Channel Time Block)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타임 블록은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스테이션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일정한 시간 구간(Time Period)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약 채널 타임 블록 및 비예약 채널 타임 블록은 각각 채널 타임 할당 구간(Channel Time Allocation Period) 및 경쟁 접근 구간(Contention Access Period)에 대응된다.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갖고 있는 스테이션은 비예약 채널 타임 블록에서 다른 스테이션과 경쟁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자신에게 할당된 예약 채널 타임 블록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60GHz의 반송파 주파수를 사용하여 0.5 내지 2.5GHz의 채널 대역폭으로 데이터 송신을 가능하게 하는 밀리미터 웨이브 기술에 따르면, 방향성 있는 통신이 요구될 수 있다. 즉, 송신 스테이션과 수신 스테이션에 구비된 안테나를 서로 마주보게 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야 하는 것인데, 이에 따라 전파의 방향을 동기화 시켜주기 위한 빔 형성(beam forming)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빔 형성은 고주파 대역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송신 스테이션 및 수신 스테이션에 구비된 안테나의 전파 방향이 일치하게 되도록 전파의 방향을 조정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스테이션에 구비된 안테나는 하나의 안테나로 구성된 싱글 안테나, 복수 개의 안테나로 구성된 스위치 안테나 또는 위상 조절이 가능한 복수 개의 안테나로 구성된 위상 어레이 안테나일 수 있다.
싱글 안테나는 방향성 있는 하나의 안테나로 구성된 것으로서 안테나에 의한 전파의 방향은 조정할 수 없다.
스위치 안테나는 방향성 있는 복수 개의 안테나로 구성된 것으로서, 각 안테나에 의한 전파의 방향은 조정할 수 없지만, 각 안테나의 방향을 다르게 설정하고 그 중 선택된 안테나로만 전파를 송수신함으로써 전파의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위상 어레이 안테나는 스위치 안테나와 마찬가지로 방향성 있는 복수 개의 안테나로 구성된 것으로서, 각 안테나의 위상을 조절함으로써 전파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고주파 대역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위상 어레이 안테나를 구비하고 이에 따른 빔 형성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위상 어레이 안테나간의 빔 형성 과정은 다소 복잡한 절차를 수반하게 된다.
또한, 송신 스테이션 및 수신 스테이션에 구비된 안테나 중 하나는 위상 어레이 안테나이고 다른 하나는 싱글 안테나인 경우, 위상 어레이 안테나간의 빔 형성 과정은 불필요한 작업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송신 스테이션 및 수신 스테이션은 빔 형성을 수행하기 전에 상대 스테이션의 통신 능력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계층의 개념도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계층(300)은 최하위에 무선 신호가 전파되는 소정 주파수 대역의 물리적 매체를 의미하는 채널(channel) 층(340)으로부터 시작하여, RF 층(Radio Frequency layer)(332) 및 기저대역 층(Baseband layer)(331)을 포함하는 PHY 층(Physical layer)(330)과, MAC 층(Media Access Control layer)(320) 및 상위 층(upper layer)(31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위 층(310)은 MAC 층(320) 이상의 층으로서 LLC 층(Logical Link Control layer), 네트워크 층, 전송 층 및 어플리케이션 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채널은 60GHz와 같은 고주파 대역뿐만 아니라, 2.4GHz 또는 5GHz와 같은 저주파 대역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채널 층(340)은 방향성이 있는 단방향 통신뿐만 아니라, 방향성이 없는 전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방향성이 없는 전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빔 형성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능력에 대한 정보가 송수신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는 네트워크상의 스테이션들(410, 420, 430)에게 비콘 프레임을 방송(broadcast)한다. 비콘 프레임에는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의 주소 및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스케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 때, 네트워크에 참여하고자 하는 스테이션 1(410)이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의 주소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로 결합 요청 프레임(1000)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스테이션 1(410)은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스케줄 정보를 참조하여 결합 요청 프레임(1000)을 송신할 수 있다. 현재, 스테이션 1(410)의 존재를 인식하지 못하는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는 스테이션 1(410)을 위한 예약 채널 타임 블록을 수퍼 프레임에 포함시킬 수 없으므로, 스테이션 1(410)은 비 예약 채널 타임 블록에서 다른 스테이션(420, 430)과 경쟁하여 결합 요청 프레임(1000)을 송신한다.
결합 요청 프레임(1000)을 수신함에 따라 그 응답으로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는 결합 응답 프레임(1100)을 스테이션 1(410)로 송신한다. 결합 응답 프레임(1100)에는 네트워크로의 참여에 대한 허용 또는 불가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결합 요청 프레임(1000)에는 스테이션 1(410)의 통신 능력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는 통신 능력 리스트를 갱신한다. 통신 능력 리스트는 현재 네트워크에 참여 중인 각 스테이션들의 통신 능력이 명시된 리스트로서, 새로운 스테이션이 네트워크에 참여하거나 참여중인 스테이션이 탈퇴할 때마다 갱신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는 갱신된 통신 능력 리스트를 참조하여 스테이션들의 통신 능력이 명시된 WVAN(Wireless Video Area Network) 정보 프레임(이하,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이라 한다)(1200)을 생성하여 스테이션들에게 배포한다.
통신 능력에는 해당 스테이션의 MAC 계층에서의 능력(이하, MAC 능력이라 한다) 및 물리 계층에서의 능력(이하, 물리 능력이라 한다)이 포함될 수 있는데,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1200)을 수신한 스테이션 중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스테이션은 상대 스테이션의 통신 능력에 맞게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게 된다.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1200)은 이를 요청하는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송신되거나 어떠한 요청 없이도 송신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1200)은 특정 스테이션으로 송신되거나 네트워크상의 모든 스테이션에게 방송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는 CPU(510), 메모리(520), MAC 유닛(540), 통신 능력 관리부(550), 정보 프레임 생성부(560), 통신부(570) 및 안테나부(580)를 포함 하여 구성된다.
CPU(510)는 버스(530)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며, 도 3에 도시된 상위 층(310)의 작업을 담당한다. 따라서, CPU(510)는 MAC 유닛(540)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데이터(수신 MSDU; MAC Service Data Unit)를 처리하거나 송신 데이터(송신 MSDU)를 생성하여 MAC 유닛(540)에 제공한다.
메모리(52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데이터를 비압축 AV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메모리(520)는 스테이션들로부터 수신한 각 스테이션의 통신 능력이 명시된 통신 능력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20)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SM 카드(Smart Media Card),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메모리가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통신부(570)가 별도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MAC 유닛(540)은 CPU(510)로부터 제공된 MSDU, 즉 송신할 데이터에 MAC 헤더를 부가하여 MPDU(MAC Protocol Data Unit)를 생성한다.
통신부(570)는 MAC 유닛(540)에 의하여 생성된 MPDU를 무선 신호로 변환한 후 통신 채널을 통하여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통신부(570)는 기저대역 프로세서(Baseband processor)(571) 및 RF 유닛(57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안테나부(580)와 연결된다. 여기서, 안테나부(58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 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안테나의 종류로는 싱글 안테나, 스위치 안테나 또는 위상 어레이 안테나일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571)는 MAC 유닛(540)에서 생성된 MPDU를 제공받아 시그널 필드 및 프리앰블을 부가하여 PPDU를 생성한다. 그러면, RF 유닛(572)은 생성된 PPDU를 무선 신호로 변환한 후 안테나부(580)를 통하여 송신한다.
새로운 스테이션이 네트워크에 참여함에 따라 해당 스테이션은 결합 요청 프레임(1000)을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로 송신하게 되는데, 수신된 결합 요청 프레임(1000)은 통신 능력 관리부(550)로 전달된다.
통신 능력 관리부(550)는 수신된 결합 요청 프레임(1000)을 참조하여 결합 요청 프레임(1000)을 송신한 스테이션의 통신 능력을 확인한다. 그리고, 통신 능력 관리부(550)는 메모리에 기 저장된 통신 능력 리스트에 새롭게 수신된 통신 능력을 추가하여 통신 능력 리스트를 갱신한다.
그리고, 정보 프레임 생성부(560)는 새롭게 네트워크에 참여하고자 하는 스테이션의 통신 능력이 명시된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1200)을 생성한다.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1200)을 생성함에 있어서, 정보 프레임 생성부(560)는 현재 네트워크에 참여 중인 모든 스테이션의 통신 능력이 명시된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1200)을 생성할 수 있다.
통신부(570)는 생성된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1200)을 안테나부(580)를 통하여 송신한다. 송신된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1200)은 네트워크상의 모든 스테이션에게 전달되고,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스테이션은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1200)에 명시된 상대 스테이션의 통신 능력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대 스테이션의 통신 능력에 맞게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스테이션(600)은 CPU(610), 메모리(620), MAC 유닛(640), 요청 프레임 생성부(650), 통신 능력 분석부(660), 통신부(670) 및 안테나부(6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테이션(600)에 구비된 CPU(610), 메모리(620), 버스(630), MAC 유닛(640), 통신부(670) 및 안테나부(680)에 대한 설명은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의 그것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스테이션(600)은 그 역할에 따라 네트워크에 참여하고자 하는 스테이션(600)과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스테이션(600)으로 구별될 수 있는데, 우선 네트워크에 참여하고자 하는 스테이션(600)의 요청 프레임 생성부(650)는 결합 요청 프레임(1000)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결합 요청 프레임(1000)에는 채널 타임 블록의 확장 또는 축소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 신뢰성 있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ReBoM; Reliable Broadcast or Multicast)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와 같은 MAC 능력이 포함될 수 있고, 고 전송률 물리 방식(HRP; High Rate PHY) 모드의 종류, 빔 형성 방식, 안테나의 종류 및 수와 같은 물리 능력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670)는 안테나부(680)를 통하여 요청 프레임 생성부(650)에 의하여 생성된 결합 요청 프레임(1000)을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로 송신한다.
결합 요청 프레임(1000)을 수신함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는 결합 응답 프레임(1100)을 송신하고, 이 때 만일 스테이션(600)의 참여를 허용한 경우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1200)을 네트워크상의 스테이션들에게 배포한다.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로부터 배포된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1200)은 안테나부(680)를 통하여 통신부(670)에 의하여 수신되는데, 이렇게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1200)은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스테이션(600)의 통신 능력 분석부(660)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통신 능력 분석부(660)는 전달받은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1200)을 참조하여 데이터의 수신 대상인 스테이션(이하, 수신 스테이션이라 한다) 의 통신 능력을 분석한다. 즉, 통신 능력 분석부(660)는 수신 스테이션의 MAC 능력 및 물리 능력을 확인하는 것이다.
통신 능력 분석부(660)의 분석 결과에 따라 MAC 유닛(640) 및 안테나부(680)는 수신 스테이션의 통신 능력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예를 들어, MAC 유닛(640)은 채널 타임 블록을 확장 또는 축소하거나 신뢰성 있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안테나부(680)는 수신 스테이션에 구비된 안테나부의 특성에 맞게 빔 형성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AC 능력 필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MAC 능력 필드(700)는 IE 인덱스 필드(710), 길이 필드(720), 조정자 능력 비트맵 필드(730) 및 MAC 능력 비트맵 필드(7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E 인덱스 필드(710)에는 해당 필드(700)가 MAC 능력 필드(700)임을 나타내는 인덱스가 명시되어 있고, 길이 필드(720)에는 MAC 능력 필드(700)의 길이가 명시되어 있다.
조정자 능력 비트맵 필드(730)는 채널 타임 블록 확장 필드(이하, CTB 확장 필드라 한다)(731), 채널 타임 블록 축소 필드(이하, CTB 축소 필드라 한다)(732), 우선 순위 ID 필드(734) 및 예비 필드(733, 7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CTB 확장 필드(731)에는 동적 CTB 확장(dynamic CTB extension)이 지원되는지 여부가 명시된다. 예를 들어, CTB 확장 필드(731)가 1로 명시된 경우 이는 해당 스테이션에 의하여 동적 CTB 확장이 지원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0으로 명시된 경우 이는 해당 스테이션에 의하여 동적 CTB 확장이 지원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동적 CTB 확장은 현재의 채널 타임 블록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던 중 재전송(re-transmission) 또는 다른 목적으로 인하여 추가적인 채널 타임 블록이 요구되는 경우, 현재의 채널 타임 블록의 다음에 이어지는 비예약 채널 타임 블록을 이용하기 위하여 현재의 채널 타임 블록을 확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동적 CTB 확장은 해당 스테이션이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의 역할을 수행하는 도중에만 지원될 수 있는 것으로서,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와 스테이션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되는 도중에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는 CTB 확장 공지 명령 패킷을 배포할 수 있다.
CTB 축소 필드(732)에는 동적 CTB 축소(dynamic CTB truncation)이 지원되는지 여부가 명시된다. 예를 들어, CTB 축소 필드(732)가 1로 명시된 경우 이는 해당 스테이션에 의하여 동적 CTB 축소가 지원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0으로 명시된 경우 이는 해당 스테이션에 의하여 동적 CTB 축소가 지원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 될 수 있다.
동적 CTB 축소는 필요한 모든 전송을 완료하고 나서도 여분의 채널 타임이 발생하는 경우, 여분의 채널 타임을 비예약 채널 블록 등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동적 CTB 축소는 해당 스테이션이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의 역할을 수행하는 도중에만 지원될 수 있는 것으로서,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와 스테이션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되는 도중에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는 CTB 축소 공지 명령 패킷을 배포할 수 있다.
우선 순위 ID 필드(734)에는 핸드오버(handover)의 우선 순위가 명시된다. 즉, 우선 순위 ID 필드(734)에는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가 되기 위한 우선 순위가 명시될 수 있는 것으로서, 우선 순위는 전력 공급 상태, 하드웨어 성능 등 응용 계층에서의 능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비 필드(733, 735)는 미래의 불명확한 목적에 이용하기 위하여 조정자 능력 비트맵 필드에 할당된다.
한편, MAC 능력 필드(700)의 MAC 능력 비트맵 필드(740)는 고속 링크 추천 필드(741), 고속 링크 응답 필드(742), 스테이션 프로필 필드(743), ReBoM 지원 필드(744) 및 예비 필드(7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속 링크 추천 필드(741)에는 고속 링크 추천 패킷 포맷이 해당 스테이션에 의하여 생성되고 분석될 수 있는지 여부가 명시되고, 고속 링크 응답 필드(742)에는 고속 링크 응답 패킷 포맷이 해당 스테이션에 의하여 생성되고 분석될 수 있는 지 여부가 명시된다.
스테이션 프로필 필드(743)에는 휴대용 장치(mobile device)인지 여부가 명시된다.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는 전력 사용에 민감한 스테이션에 채널 타임 블록을 할당하기 위하여 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ReBoM 지원 필드(744)에는 해당 스테이션에 의하여 신뢰성 있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의 사용이 지원되는지 여부가 명시된다.
예비 필드(745)는 미래의 불명확한 목적에 이용하기 위하여 MAC 능력 비트맵 필드(740)에 할당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 능력 필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물리 능력 필드(800)는 IE 인덱스 필드(810), 길이 필드(820), HRP 모드 지원 필드(830), LRP 모드 지원 필드(840), HRP 지원 필드(850) 및 안테나 지원 필드(8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E 인덱스 필드(810)에는 해당 필드(800)가 물리 능력 필드(800)임을 나타내는 인덱스가 명시되어 있고, 길이 필드(820)에는 물리 능력 필드(800)의 길이가 명시되어 있다.
HRP 모드 지원 필드(830)에는 해당 스테이션에 의하여 지원되는 HRP 모드가 명시된다. HRP 모드는 부호화 방식(coding mode), 변조 방식(modulation), 부호화율(code rate) 및 전송률별(data rate)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해당 스테이션에 의하여 HRP 모드가 지원되지 않는 경우 HRP 모드 지원 필드(830)에는 0의 값이 입력될 수 있다.
저 전송률 물리 방식(LRP; Low Rate PHY) 모드 지원 필드(840)에는 해당 스테이션에 의하여 지원되는 LRP 모드가 명시된다. LRP 모드는 변조 방식, 전진 에러 수정(FEC; Forward Error Correction)의 부호화율, 데이터율 및 반복 정책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한편, 해당 스테이션에 의하여 LRP 모드가 지원되지 않는 경우 LRP 모드 지원 필드(840)에는 0의 값이 입력될 수 있다.
HRP 지원 필드(850)에는 HRP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9를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안테나 지원 필드(860)는 HRP TX 요소의 수 필드(861), HRP RX 요소의 수 필드(862), LRP TX 요소의 수 필드(863), LRP RX 요소의 수 필드(864), 안테나 종류 필드(865) 및 안테나 방향 필드(8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HRP TX 요소의 수 필드(861)에는 해당 스테이션에 구비된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HRP 방식의 송신 수단의 수가 명시된다.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HRP 방식의 송신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는 경우 HRP TX 요소의 수 필드(861)에는 0의 값이 입력될 수 있다.
HRP RX 요소의 수 필드(862)에는 해당 스테이션에 구비된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HRP 방식의 수신 수단의 수가 명시된다.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HRP 방식의 수신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는 경우 HRP RX 요소의 수 필드(862)에는 0의 값이 입력될 수 있다.
LRP TX 요소의 수 필드(863)에는 해당 스테이션에 구비된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LRP 방식의 송신 수단의 수가 명시된다.
LRP RX 요소의 수 필드(864)에는 해당 스테이션에 구비된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LRP 방식의 수신 수단의 수가 명시된다.
안테나 종류 필드(865)에는 해당 스테이션에 구비된 안테나의 종류가 명시된다. 안테나의 종류로는 싱글 안테나, 위상 어레이 안테나 및 스위치 안테나가 포함될 수 있다.
안테나 방향 필드(866)에는 해당 스테이션에 구비된 안테나의 방향 성능이 명시된다. 예를 들어, 스테이션에 구비된 안테나가 특정 방향을 향하여 일정 섹터(sector)에 존재하는 전파만을 수신하거나 특정 방향으로 일정 섹터에 걸친 전파만을 송신할 수 있는지가 안테나 방향 필드(866)에 명시될 수 있으며, 전방향(omni-direction)에 걸친 전파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는지가 안테나 방향 필드(866)명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도 8의 물리 능력 필드(800)에 포함된 HRP 지원 필드(85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HRP 지원 필드(850)는 HRP 채널 비트맵 필드(910), HRP TX 필드(920), HRP RX 필드(930), 임플리시트 BF 필드(940) 및 예비 필드(9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HRP 채널 비트맵 필드(910)에는 해당 스테이션에 의하여 지원되는 HRP 채널의 종류가 명시된다. HRP 채널은 HRP 방식에서의 주파수 채널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시작 주파수, 중심 주파수 및 정지 주파수에 따라 다양한 주파수 채널이 존재할 수 있다.
HRP TX 필드(920)에는 해당 스테이션에 의하여 HRP 방식으로의 송신이 지원 되는지 여부가 명시되고, HRP RX 필드(930)에는 해당 스테이션에 의하여 HRP 방식으로의 수신이 지원되는지 여부가 명시된다.
HRP 지원 필드(850)의 임플리시트 BF 필드(940)는 임플리시트 BF 지원 필드(9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임플리시트 BF 지원 필드(941)에는 해당 스테이션에 의하여 임플리시트 빔 형성(Implicit Beam Forming)이 지원되는지 여부가 명시된다. 일반적인 빔 형성 즉, 익스플리시트 빔 형성(Explicit Beam Forming)은 데이터 송수신 시 빔 형성을 위한 신호의 교환이 수행되는데, 임플리시트 빔 형성은 이러한 신호의 교환 없이 빔 형성이 수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HRP 지원 필드(850)의 예비 필드(950)는 미래의 불명확한 목적에 이용하기 위하여 할당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요청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결합 요청 프레임(1000)은 명령 ID 필드(1010), 길이 필드(1020), 스테이션 확장 주소 필드(1030), 결합 타임아웃 구간 필드(1040), MAC 능력 필드(700) 및 물리 능력 필드(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명령 ID 필드(1010)에는 해당 프레임(1000)이 결합 요청 프레임(1000)임을 나타내는 인덱스가 명시되어 있고, 길이 필드(1020)에는 결합 요청 프레임(1000)의 길이가 명시되어 있다.
스테이션 확장 주소 필드(1030)에는 해당 스테이션의 확장된 MAC 주소(extended MAC address)가 명시된다. 확장된 MAC 주소는 동일한 통신 방식을 사 용하는 복수 개의 장치를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된 MAC 주소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복수 개의 HDMI 장치를 연결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결합 타임아웃 구간 필드(1040)에는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와 스테이션간에 통신 없이 결합 관계가 유지될 수 있는 최대 시간이 초 단위로 명시된다.
MAC 능력 필드(700) 및 물리 능력 필드(8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9를 통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네트워크에 참여하고자 하는 스테이션은 결합 요청 프레임(1000)을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에 송신하여 자신의 통신 능력을 통보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응답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결합 응답 프레임(1100)은 명령 ID 필드(1110), 길이 필드(1120), 스테이션 확장 주소 필드(1130), 스테이션 ID 필드(1140), 결합 타임아웃 구간 필드(1150) 및 이유 코드 필드(1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명령 ID 필드(1110)에는 해당 프레임이 결합 응답 프레임(1100)임을 나타내는 인덱스가 명시되어 있고, 길이 필드(1120)에는 결합 응답 프레임(1100)의 길이가 명시되어 있다.
스테이션 확장 주소 필드(1130)에는 해당 스테이션의 확장된 MAC 주소가 명시되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0을 통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스테이션 ID 필드(1140)에는 해당 스테이션에 의한 결합의 성공 여부를 나타 내는 인덱스가 명시된다. 한편, 스테이션 ID 필드(1140)에 결합이 실패하였음을 나타내는 인덱스가 명시된 경우, 이는 이유 코드 필드(1160)에 명시된 이유에 의한 것임을 의미한다.
결합 타임아웃 구간 필드(1150)에는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와 스테이션간에 통신 없이 결합 관계가 유지될 수 있는 최대 시간이 초 단위로 명시된다.
이유 코드 필드(1160)에는 해당 스테이션이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없는 이유를 나타내는 코드가 명시된다. 예를 들어, 코드가 1인 경우 이는 최대 수의 스테이션에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코드가 2인 경우 이는 해당 스테이션을 위한 가용한 채널 타임을 할당할 수 없음을 의미하고, 코드가 3인 경우 이는 해당 스테이션을 위한 채널이 불량함을 의미하고, 코드가 4인 경우 이는 네트워크가 종료됨을 의미하고, 코드가 5인 경우 이는 채널이 변경됨을 의미하고, 코드가 6인 경우 이는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 핸드오버가 수행됨을 의미하며, 코드가 7인 경우 이는 네트워크로의 참여가 거절됨을 의미한다. 한편, 해당 스테이션에 의한 네트워크로의 참여가 허용된 경우 이유 코드 필드(1160)에는 0의 코드가 입력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1200)은 명령 ID 필드(1210), 길이 필드(1220), 명령의 수 필드(1230), 시퀀스 번호 필드(124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 정보 필드(1250, 1260, 1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명령 ID 필드(1210)에는 해당 프레임(1200)이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1200)임 을 나타내는 인덱스가 명시되어 있고, 길이 필드(1220)에는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1200)의 길이가 명시되어 있다.
명령의 수 필드(1230)에는 배포 예정인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1200)의 수가 명시되고, 시퀀스 번호 필드(1240)에는 현재 배포된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1200)의 순서가 명시된다. 예를 들어, 현재 배포된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1200)이 전체 5개의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1200) 중 3번째인 경우 명령의 수 필드(1230)에는 5의 값이 입력되고, 시퀀스 번호 필드(1240)에는 3의 값이 입력되는 것이다.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1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 정보 필드(1250, 1260, 1270)를 포함할 수 있는데, 각 스테이션 정보 필드(1250, 1260, 1270)는 통신 능력 리스트가 참조되어 작성될 수 있다.
스테이션 정보 필드(1250)는 스테이션 확장 주소 필드(1251), 스테이션 ID 필드(1252), 스테이션 유틸리티 필드(1253), 결합 타임아웃 구간 필드(1254), MAC 능력 필드(700) 및 물리 능력 필드(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테이션 확장 주소 필드(1251)에는 해당 스테이션의 확장된 MAC 주소가 명시되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0을 통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스테이션 ID 필드(1252)에는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에 의하여 해당 스테이션에게 부여된 인덱스가 명시되는데, 브로드캐스팅 인덱스, 결합 불가 인덱스 또는 예약 인덱스 등은 입력되지 않을 수 있다.
스테이션 유틸리티 필드(1253)에는 해당 스테이션의 상태가 명시된다. 예를 들어, 해당 스테이션이 네트워크와의 결합을 종료한 경우, 해당 스테이션이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지만 안전한(secure) 스테이션은 아니 경우, 또는 해당 스테이션이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고 안전한 스테이션인 경우가 명시될 수 있는 것이다.
결합 타임아웃 구간 필드(1254)에는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와 스테이션간에 통신 없이 결합 관계가 유지될 수 있는 최대 시간이 초 단위로 명시된다.
MAC 능력 필드(700) 및 물리 능력 필드(8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9를 통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500)는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1200)을 네트워크상의 스테이션에게 배포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스테이션으로 하여금 상대 스테이션의 통신 능력에 맞는 송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IEEE 802.11 계열의 표준과 mmWave간의 주파수 대역을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계층의 개념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능력에 대한 정보가 송수신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AC 능력 필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 능력 필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물리 능력 필드에 포함된 HRP 지원 필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요청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응답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10 : CPU 520 : 메모리
530 : 버스 540 : MAC 유닛
550 : 통신 능력 관리부 560 : 정보 프레임 생성부
570 : 통신부 580 : 안테나부

Claims (22)

  1. 밀리미터 웨이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스테이션을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결합 요청 프레임을 참조하여 상기 결합 요청 프레임을 송신한 결합 스테이션의 통신 능력을 확인하는 통신 능력 관리부;
    상기 통신 능력이 명시된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을 생성하는 정보 프레임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을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능력은 MAC 능력 및 물리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 정보 필드를 포함하는데,
    상기 스테이션 정보는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의하여 지원되는 MAC 능력을 나타내는 MAC 능력 필드; 및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의하여 지원되는 물리 능력을 나타내는 물리 능력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조정자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MAC 능력 필드는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의하여 채널 타임 블록(CTB; Channel Time Block)의 확장이 동적으로 지원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CTB 확장 필드;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의하여 채널 타임 블록의 축소가 동적으로 지원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CTB 축소 필드;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의하여 고속 링크 추천 패킷 포맷이 생성되고 분석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고속 링크 추천 필드;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의하여 고속 링크 응답 패킷 포맷이 생성되고 분석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고속 링크 응답 필드; 및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의하여 신뢰성 있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ReBoM; Reliable Broadcast or Multicast)의 사용이 지원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ReBoM 지원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조정자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능력 필드는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의하여 임플리시트 빔 형 성(Implicit Beam Forming)이 지원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임플리시트 BF 지원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HRP 지원 필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조정자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능력 필드는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구비된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고 전송률 물리 방식의 송신 수단의 수를 나타내는 HRP TX 요소의 수 필드;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구비된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고 전송률 물리 방식의 수신 수단의 수를 나타내는 HRP RX 요소의 수 필드;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구비된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저 전송률 물리 방식의 송신 수단의 수를 나타내는 LRP TX 요소의 수 필드;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구비된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저 전송률 물리 방식의 수신 수단의 수를 나타내는 LRP RX 요소의 수 필드;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구비된 안테나의 종류를 나타내는 안테나 종류 필드; 및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구비된 안테나의 방향 성능을 나타내는 안테나 방향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지원 필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조정자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7. 밀리미터 웨이브를 사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을 참조하여 데이터의 수신 대상인 수신 스테이션의 통신 능력을 분석하는 통신 능력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통신 능력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수신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은 상기 수신 스테이션으로부터 송신된 결합 요청 프레임을 참조하여 생성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청 프레임은 상기 수신 스테이션에 의하여 지원되는 MAC 능력을 나타내는 MAC 능력 필드; 및
    상기 수신 스테이션에 의하여 지원되는 물리 능력을 나타내는 물리 능력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0.5 내지 2.5GHz의 채널 대역폭으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비압축 AV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
  12. 밀리미터 웨이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스테이션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결합 요청 프레임을 참조하여 상기 결합 요청 프레임을 송신한 결합 스테이션의 통신 능력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통신 능력이 명시된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능력은 MAC 능력 및 물리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 정보 필드를 포함하는데,
    상기 스테이션 정보는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의하여 지원되는 MAC 능력을 나타내는 MAC 능력 필드; 및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의하여 지원되는 물리 능력을 나타내는 물리 능력 필 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조정자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MAC 능력 필드는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의하여 채널 타임 블록(CTB; Channel Time Block)의 확장이 동적으로 지원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CTB 확장 필드;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의하여 채널 타임 블록의 축소가 동적으로 지원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CTB 축소 필드;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의하여 고속 링크 추천 패킷 포맷이 생성되고 분석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고속 링크 추천 필드;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의하여 고속 링크 응답 패킷 포맷이 생성되고 분석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고속 링크 응답 필드; 및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의하여 신뢰성 있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ReBoM; Reliable Broadcast or Multicast)의 사용이 지원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ReBoM 지원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조정자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능력 필드는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의하여 임플리시트 빔 형성(Implicit Beam Forming)이 지원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임플리시트 BF 지원 필 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HRP 지원 필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조정자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능력 필드는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구비된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고 전송률 물리 방식의 송신 수단의 수를 나타내는 HRP TX 요소의 수 필드;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구비된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고 전송률 물리 방식의 수신 수단의 수를 나타내는 HRP RX 요소의 수 필드;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구비된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저 전송률 물리 방식의 송신 수단의 수를 나타내는 LRP TX 요소의 수 필드;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구비된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저 전송률 물리 방식의 수신 수단의 수를 나타내는 LRP RX 요소의 수 필드;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구비된 안테나의 종류를 나타내는 안테나 종류 필드; 및
    상기 결합 스테이션에 구비된 안테나의 방향 성능을 나타내는 안테나 방향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지원 필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조정자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18. 밀리미터 웨이브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을 참조하여 데이터의 수신 대상인 수신 스테이 션의 통신 능력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통신 능력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수신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 프레임은 상기 수신 스테이션으로부터 송신된 결합 요청 프레임을 참조하여 생성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청 프레임은 상기 수신 스테이션에 의하여 지원되는 MAC 능력을 나타내는 MAC 능력 필드; 및
    상기 수신 스테이션에 의하여 지원되는 물리 능력을 나타내는 물리 능력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0.5 내지 2.5GHz의 채널 대역폭으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비압축 AV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KR1020070121262A 2007-04-06 2007-11-27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구성하는 방법 KR20080090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1864 WO2008123680A1 (en) 2007-04-06 2008-04-03 Wireless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configuring the same
US12/098,688 US8437319B2 (en) 2007-04-06 2008-04-07 Wireless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config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0754607P 2007-04-06 2007-04-06
US60/907,546 2007-04-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957A true KR20080090957A (ko) 2008-10-09

Family

ID=40151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262A KR20080090957A (ko) 2007-04-06 2007-11-27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구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09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2733A3 (en) * 2010-12-16 2012-09-27 Intel Corporation Millimeter-wave communication station and methods for station and information discovery in a millimeter-wave basic service set
WO2013015603A1 (en) * 2011-07-25 2013-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probe for ultrasound diagnosis and apparatus theref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2733A3 (en) * 2010-12-16 2012-09-27 Intel Corporation Millimeter-wave communication station and methods for station and information discovery in a millimeter-wave basic service set
WO2013015603A1 (en) * 2011-07-25 2013-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probe for ultrasound diagnosis and apparatus therefor
US10129926B2 (en) 2011-07-25 2018-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probe for ultrasound diagnosis and apparatus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7319B2 (en) Wireless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configuring the same
US7920885B2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on a secondary frequency channel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82557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direct link on the high throughput channel of a multi-rate channel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817050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data
KR101872977B1 (ko) 빔 포밍 링크를 생성하는 통신 기기 및 빔 포밍 링크 생성 방법
EP2095575B1 (en) Wireless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configuring the same
US8149794B2 (en) Channel allocation management method for transferring asynchronous data, asynchronous data transferr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KR101000930B1 (ko) 패킷을 송신하는 장치 및 방법
US8144670B2 (en) Channel allocation management method for transferring uncompressed isochronous data, uncompressed isochronous data transferr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200802401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uncompressed video having data transmission on a secondary low rate channel
US99428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bandwidth of wireless network where both wide-band and narrow-band signals are transmitted,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n the network
EP20825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in wireless network
KR20090116609A (ko) 채널 선택 및 대역폭 예약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시스템
US200801123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bandwidth of wireless network,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n the network
KR20080090957A (ko)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구성하는 방법
US1172970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11678257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upplemental scanning in wireless networks
KR101424527B1 (ko)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