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767B1 -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767B1
KR100846767B1 KR1020020005209A KR20020005209A KR100846767B1 KR 100846767 B1 KR100846767 B1 KR 100846767B1 KR 1020020005209 A KR1020020005209 A KR 1020020005209A KR 20020005209 A KR20020005209 A KR 20020005209A KR 100846767 B1 KR100846767 B1 KR 100846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network device
signal
network devices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5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5058A (ko
Inventor
이진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5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767B1/ko
Publication of KR20030065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1Avoiding conflicts related to the use of home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 환경에 있어서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가 복수 사용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사용을 요구할 때 네트워크 기기간에 충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 및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가 서버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중에서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사용 승인 요구 신호가 수신되면, 서버는 사용 승인 요구 신호가 복수 사용이 가능한 제 1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사용 승인 요구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제 1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사용 승인 요구 신호로 판단되면,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에 관련된 특징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단계;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중에서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사용 승인 요구 신호가 아닌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우선 순위에 따라 제 1 네트워크 기기로 전송될 신호들을 스케줄링을 하여 제 1 네트워크 기기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홈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수 사용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네트워크 기기간의 사용 충돌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네트워크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collision between appliances in the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적용되는 네트워크의 일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장치를 구비한 홈 서버의 상세 블록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의 동작 흐름 도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기의 사용 충돌 방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홈 네트워크(Home network)와 같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사용을 요구할 때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하면서 각 가정에 구비되어 있는 각 종 전자 기기를 단일한 네트워크로 묶어 전자 기기간의 효율적인 제어, 관리 및 정보 공유가 가능한 홈 네트워크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 홈 네트워크는 홈 LAN(Local Area Network) 또 는 HAN(House Area Network) 또는 와이어 홈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는 전자 기기로는 세탁기, 에이콘, 냉장고, 전자 레인지와 같은 생활 가전 제품과 컴퓨터 단말기(PC), 전화기, 팩스, 스캐너, 프린터와 같은 IT(Information Technology) 제품 및 디지털 VCR(DVCR), 디지털 TV(DTV),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VC),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게임기와 같은 오락(entertainment)용 제품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전자 기기는 미디어 또는 네트워크 기기라고도 불린다.
따라서 각 가정에서 컴퓨터 단말기를 이용해 VCR로 원하는 프로그램을 예약 녹화하거나 TV나 컴퓨터 단말기에서 가정용 보안 카메라를 통해 현관의 상황을 점검 할 수 있고, TV 리모콘을 사용해 수돗물이나 가스를 점거하거나 팩스에서 파일을 다운 로드할 수 있으며, 사무실에서 집으로 전자 우편을 전송해 가정용 보안 시스템의 점등 일정을 변경하는 것이 점차적으로 현실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홈 네트워크를 운영하기 위해서, 기존의 홈 네트워크에는 홈 서버(또는 게이트웨이(gateway)라고도 함)가 구비되어 있다. 홈 서버는 각 종 전자기기에서 발생되는 정보들을 저장하고 분배하여 해당되는 전자 기기로 전송하거나 외부 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분배하여 해당되는 전자기기로 전송하거나 임의의 전자기기로부터 발생된 정보를 외부 링크로 송출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홈 서버는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복수 사용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상기 복수 사용 가능성은 다수의 네트 워크 기기가 비슷한 시기에 하나의 네트워크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A 네트워크 기기의 기능이 B 네트워크 기기와 C 네트워크 기기가 거의 비슷한 시기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일 때, A 네트워크 기기는 복수 사용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기로 취급될 수 있다.
그러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기기중에서 복수 사용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기가 존재한다 할 지라도 홈 서버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사용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고 있으므로, 하나의 네트워크 기기에 대해 동일한 시기에 서로 다른 네트워크 기기가 사용을 요구할 경우에, 복수 사용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사용 충돌이 발생되어 네트워크 기기간의 접속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복수 사용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기를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가 사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네트워크 기기가 사용을 요구할 경우에 상기 다른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복수 사용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기와의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기존의 홈 네트워크는 복수 사용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서비스 지원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 환경에 있어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홈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 환경에 있어서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가 복수 사용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사용을 요구할 때 네트 워크 기기간에 충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가 서버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중에서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사용 승인 요구 신호가 수신되면, 서버는 사용 승인 요구 신호가 복수 사용이 가능한 제 1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사용 승인 요구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제 1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사용 승인 요구 신호로 판단되면,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에 관련된 특징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단계;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중에서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사용 승인 요구 신호가 아닌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우선 순위에 따라 제 1 네트워크 기기로 전송될 신호들을 스케줄링을 하여 제 1 네트워크 기기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출단계는, 우선 순위에 따라 제 1 네트워크로 송출될 신호들을 분류하는 단계; 분류된 신호들을 상기 제 1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해 스케줄링을 하는 단계; 스케줄을 토대로 분류된 신호들을 제 1 네트워크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은, 사용 승인 요구 신호가 복수 사용이 가능하지 않은 제 2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사용 승인 요구 신호인 경우에, 제 2 네트워크 기기가 사용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제 2 네트워크 기기가 사용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로 사용 승인 요구 거부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가 서버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중에서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사용 승인 요구 신호가 수신되면, 서버는 사용 승인 요구 신호가 복수 사용이 가능한 제 1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사용 승인 요구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제 1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사용 승인 요구 신호로 판단되면,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에 관련된 특징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단계;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중에서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사용 승인 요구 신호가 아닌 신호가 수신되면,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야 하는 제 1 네트워크 기기로의 전송과 복수 사용이 가능하지 않은 제 2 네트워크 기기로의 전송을 통합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해 스케줄링을 하는 단계; 스케줄에 따라 수신되는 신호를 제 1 네트워크 기기와 제 2 네트워크 기기중에서 타겟 네트워크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가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사용 승인이 요구된 네트워크 기기가 복수 사용이 가능한 제 1 네트워크 기기인지를 판정하는 성능 판정부;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중에서 복수 사용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사용 승인 요구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기 위하여,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 의 어플리케이션 특징,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정책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제 1 저장부;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부를 통해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중에서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사용 승인 요구 신호가 수신되면, 성능 판정부로 사용을 원하는 타겟 네트워크 기기가 복수 사용이 가능한 기기인지에 대한 판정을 요구하고, 성능 판정부로부터 타켓 네트워크 기기가 복수 사용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기로 판정된 결과가 수신되면, 제 1 저장부를 참조하여 사용 승인 요구에 대한 우선 순위를 부여하면서 사용을 승인하는 승인 제어부; 수신부를 통해 사용 승인 요구 신호이외의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를 상기 타겟 네트워크 기기로 송출하기 위하여 스케줄링하는 스케줄러; 스케줄러에서 스케줄링 된 결과에 따라 수신된 신호를 타겟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장치는, 수신부를 통해 사용 승인 요구 신호이외의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우선순위 정보를 토대로 수신된 신호를 분류하는 분류부; 스케줄러는 분류부에서 분류된 신호를 타겟 네트워크 기기로 송출하기 위해 스케줄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장치는,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성능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 2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성능 판정부는 제 2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 승인이 요구된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성능을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적용되는 네트워크의 일 예로서, 홈 서버를 중심으로 다수의 네트워크 기기들이 연결되어 있는 홈 네트워크이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는 홈 서버(100), 제 1 내지 제 n 기기(110_1∼110_n)로 구성되고, 홈 서버(100)는 외부 링크(13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제 1 내지 제 n 기기(110_1∼110_n)는 상술한 홈 네트워크에서 언급된 네트워크 기기들이다.
홈 서버(100)는 제 1 내지 제 n 기기(110_1∼110_n)중에서 임의의 기기로부터 사용 승인 요구 패킷이 수신되면, 제 1 내지 제 n 기기(110_1∼110_n)중에서 사용 승인이 요구된 타겟(target) 기기가 복수 사용이 가능한 기기인지를 체크하고, 복수 사용이 가능한 기기인 경우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부여된 우선 순위가 실린 패킷을 상기 임의의 기기로 송출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임의의 기기는 타겟 기기로 송출하고자 하는 패킷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송출하고, 홈 서버(100)는 이를 수신하여 타겟 기기로 송출하기 위해 우선 순위를 토대로 수신된 패킷을 분류하고, 스케줄링하여 타겟 기기로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만약 사용 승인이 요구된 타겟 기기가 복수 사용이 불가능한 기기인 경우에, 홈 서버(100)는 상기 타겟 기기가 사용중인지를 체크한다. 만약 상기 타겟 기기가 사용중이 아니면 단순한 사용 승인 응답 신호를 상기 임의의 기기로 송출한다. 만약 상기 타겟 기기가 사용중인 경우에 사용 승인 거부(또는 불가) 정보가 실린 패킷을 상기 임의의 기기로 송출한다.
그러나, 홈 서버(100)는 복수 사용이 불가능한 기기인 경우에 사용여부를 체크하지 않고 사용 승인 거부 정보가 실린 패킷을 상기 임의의 기기로 바로 송출하 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임의의 기기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사용 승인 요구 패킷이 아니면서 우선 순위 정보도 포함되지 않은 패킷인 경우에, 홈 서버(100)는 복수 사용이 가능하지 않은 네트워크 기기로의 정보 송출을 원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수신된 정보를 타겟 기기로 바로 전송하도록 구현된다. 이 때, 홈 서버(100)는 타겟 기기가 사용중인지를 체크하고, 사용중이 아닌 경우에 수신된 정보를 타겟 기기로 전송하고, 사용중인 경우에는 상기 임의의 기기로 패킷 송출을 거부하는 정보가 실린 패킷을 송출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홈 서버(100)는 제 1 내지 제 n 기기(110_1∼110_n)와 외부 링크(130)로부터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을 제 1 내지 제 n 기기(110_1∼110_n)와 외부 링크(130)로 송출하는 것이므로, 복수 사용이 가능한 기기로 송출할 패킷 뿐 아니라 복수 사용이 불가능한 기기로 송출할 패킷에 대해 통합적으로 스케줄링을 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동작하기 위하여, 홈 서버(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장치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홈 서버(100)는 패킷 수신부(201), 승인 제어부(202), 성능(capability) 판정부(203), 성능 관리 테이블(204), 수용력(capacity) 관리 테이블(205) 및 정책(policy) 정보 테이블(206)을 포함하는 저장부(207), 패킷 분류부(classification)(208), 스케줄러(scheduler)(209), 패킷 송신부(210)로 구성된다.
패킷 수신부(201)는 제 1 내지 제 n 기기(110_1∼110_n)로부터 송출되는 패킷을 수신한다. 홈 서버(100)가 외부 링크(130)와 제 1 내지 제 n 기기(110_1∼110_n)로부터 발생되는 패킷을 수신하고 송신하는 것이기는 하나,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내에서의 패킷 송수신에 관련된 것이므로, 외부 링크(130)에 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승인 제어부(202)는 패킷 수신부(201)를 통해 사용 승인 요구 패킷이 수신되면, 성능 판정부(203)로 사용 승인이 요구된 네트워크 기기(또는 타겟 기기)가 복수 사용이 가능한 기기인지에 대한 판정을 요구한다. 성능 판정부(203)로부터 복수 사용이 가능한 기기인 것으로 판정된 결과가 수신되면, 저장부(211)내의 수용력 관리 테이블(205)과 정책 정보 테이블(206)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참조하여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그리고 부여된 우선순위가 실린 패킷을 패킷 송신부(210)를 통해 사용 승인 요구 패킷을 송출하였던 네트워크 기기로 송출한다.
또한, 승인 제어부(202)는 패킷 수신부(201)를 통해 수신된 패킷이 사용 승인 요구 패킷이 아닌 패킷인 경우에, 우선 순위가 마킹(marking)된 패킷인지를 판단한다. 우선 순위가 마킹되지 않은 패킷은 복수 사용이 가능하지 않은 네트워크 기기를 타겟 기기로 한 패킷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수신된 패킷을 패킷 송신부(210)로 전송한다. 그러나 우선 순위가 마킹된 패킷은 복수 사용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기를 타겟 기기로 한 패킷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수신된 패킷을 패킷 분류부(208)로 전송한다.
그러나, 승인 제어부(202)는 복수 사용이 불가능한 네트워크 기기를 타겟 기 기로 한 패킷과 복수 사용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기를 타겟 기기로 한 패킷을 도 1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통합적으로 스케줄링을 하여 전송하기 위하여, 우선순위가 부여되지 않은 패킷이 스케줄러(209)로 전송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성능 판정부(203)는 승인 제어부(202)로부터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가 복수 사용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기인지를 판정한다. 이 때, 승인 제어부(202)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는 상기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다. 상기 판정을 위해 성능 판정부(203)는 성능 관리 테이블(204)을 참조한다. 성능 관리 테이블(204)에 대한 참조 방식은 승인 제어부(202)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성능 관리 테이블(204)은 제 1 내지 제 n 기기(110_1∼110_n)에 대한 기본 성능에 대한 정보는 물론이고, 현재 사용 상황에 따른 가변 정보까지 저장하고 관리한다. 해당되는 네트워크 기기가 복수 사용이 가능한 기기인지 복수 사용이 불가능한 기기인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기본 성능에 대한 정보에 포함된다. 즉, 상기 기본 성능에 대한 정보는 제 1 내지 제 n 기기(110_1∼110_n)의 성능중 고정된 성능에 대한 정보이다. 상기 현재 사용 상황에 따른 가변 정보는 각 네트워크 기기가 현재 다른 네트워크 기기가 연결중인지, 연결중이면 어떤 네트워크 기기가 연결되어 있는지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정보들은 기존에 알려진 제 1 내지 제 n 기기(110_1∼110_n)에 대한 동작 감시방법을 통해 수집될 수 있다.
따라서, 성능 판정부(203)는 승인 제어부(202)로부터 성능 판정이 요구된 네트워크 기기에 대해 복수 사용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기인지 여부를 판정한 결과만 승인 제어부(202)로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나 우선 순위를 부여할 때 고려할 수 있도록 복수 사용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에 현재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정보도 함께 승인 제어부(202)로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복수 사용이 불가능한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에, 현재 다른 네트워크 기기가 사용중인지를 판단한 정보도 승인 제어부(202)로 전송할 수 있다.
수용력 관리 테이블(205)은 제 1 내지 제 n 기기(110_1∼110_n)에서 사용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등급 및 사용자의 등급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정책 정보 테이블(206)은 홈 네트워크의 운영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정책 정보는 예를 들어, 21:00시 이후에는 TV와 게임기의 연결을 제한하기 위한 조건 정보가 될 수 있다.
패킷 분류부(208)는 승인 제어부(202)로부터 전송된 패킷을 우선순위를 토대로 분류한다. 이는 복수 사용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기로 패킷을 전송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기기가 다수개 존재할 수 있는 상황을 고려한 것이다.
스케줄부(209)는 패킷 분류부(208)에서 분류된 패킷이 타겟 기기로 순차적으로 송출될 수 있도록 스케줄 한다. 이 때, 타겟 기기로 송출되는 패킷에 대해 도 1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통합적으로 스케줄 할 경우에, 각 타겟 기기별로 전송될 패킷을 스케줄할 수도 있고, 각 타겟 장치에 대해서도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패킷 송신부(210)에서 출력될 패킷에 대한 순서를 정할 수 있도록 송신될 패킷에 대해 스케줄링을 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패킷 송신부(210)는 스케줄러(209)에서 스케줄된 것을 토대로 패킷을 제 1 내지 제 n 기기(110_1∼110_n)중에서 타겟 기기로 송출하거나 승인 제어부(202)로부터 전송된 패킷을 제 1 내지 제 n 기기(110_1∼110_n)중에서 타겟 기기로 송출하도록 구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의 동작 흐름 도이다.
제 301 단계에서 패킷이 수신되면, 제 302 단계에서 수신된 패킷이 사용 승인 요구 패킷인지 판단한다. 수신된 패킷이 사용 승인 요구 패킷이면, 제 303 단계에서 복수 사용이 가능한 기기에 대한 사용 승인 요구인지를 판단한다. 제 303 단계에서 복수 사용이 불가능한 기기에 대한 사용 승인 요구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 304 단계에서 해당되는 네트워크 기기가 사용중인지를 판단한다. 해당되는 네트워크 기기가 사용중인지는 성능 판정부(203)를 통해 파악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제 304 단계에서 해당되는 네트워크 기기가 사용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 305 단계에서 승인 제어부(202)는 사용 승인을 요구한 네트워크 기기로 사용 승인 거부 정보가 담긴 패킷을 송출한다. 그러나, 제 304 단계에서 해당되는 네트워크 기기가 사용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 306 단계에서 해당되는 네트워크 기기로 사용 승인 응답신호 패킷을 송출한다.
제 303 단계에서 수신된 패킷이 복수 사용이 가능한 기기에 대한 사용 승인 요구 패킷으로 판단되면, 제 307 단계에서 사용 승인을 요구한 네트워크 기기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특징과 사용자 등급 및 홈 네트워크의 정책 정보를 참조하여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이 때, 성능 판정부(203)로부터 제공된 타겟 기기에 대한 성능 정보도 참조할 수도 있다.
제 308 단계에서 우선 순위 정보가 부가된 패킷을 사용 승인 요구 패킷의 응답 패킷으로 해당되는 네트워크 기기로 송출하고 작업을 종료한다.
제 302 단계에서 현재 수신된 패킷이 사용승인 요구 패킷인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 309 단계에서 패킷에 우선순위가 마킹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제 309 단계에서 패킷에 우선순위가 마킹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310 단계에서 마킹된 패킷을 우선순위를 토대로 분류한다. 패킷 분류는 도 2의 패킷 분류부(208)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제 311 단계에서 분류된 패킷을 타겟 기기로 송출하기 위하여 스케줄링 한다. 스케줄링은 도 2의 스케줄러(20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제 312 단계에서 결정된 스케줄에 따라 패킷을 타겟 기기로 송신한다.
그러나, 제 309 단계에서 수신된 패킷에 우선순위가 마킹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타겟 기기가 복수 사용이 불가능한 네트워크 기기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 313 단계에서 타겟 기기가 사용중인지를 판단한다. 이는 제 304 단계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제 313 단계에서 타겟 기기가 사용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314 단계에서 패킷 송출 거부 정보를 해당되는 네트워크 기기로 송출한다. 그러나, 제313 단계에서 타겟 기기가 사용중인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 312 단계로 진행되어 타겟 기기로 수신된 패킷을 송신하고 작업을 종료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홈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 환경에 있어서 복수 사용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복수의 사용 요구에 대해 사용자 및/또는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특징을 고려하여 우선 순위 부여하고,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 사용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서비스를 지원함으로써, 홈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수 사용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네트워크 기기간의 사용 충돌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네트워크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는 홈 네트워크에 적용한 경우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의 서버를 중심으로 다수의 기기가 연결되어 상호 간에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 환경에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청구범위로 정해질 것이다.

Claims (10)

  1.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가 서버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중에서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사용 승인 요구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 승인 요구 신호가 복수 사용이 가능한 제 1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사용 승인 요구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1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사용 승인 요구 신호로 판단되면, 상기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에 관련된 특징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중에서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상기 사용 승인 요구 신호가 아닌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제 1 네트워크 기기로 전송될 신호들을 스케줄링을 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 기기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단계는,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제 1 네트워크 기기로 송출될 신호들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신호들을 상기 제 1 네트워크 기기로 전송하기 위해 스케줄링을 하는 단계;
    스케줄을 토대로 상기 분류된 신호들을 상기 제 1 네트워크 기기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부여 단계는 상기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특징, 상기 네트워크 환경의 운영에 관련된 정책(Policy)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은,
    상기 사용 승인 요구 신호가 복수 사용이 가능하지 않은 제 2 네트워크 기기 에 대한 사용 승인 요구 신호인 경우에, 상기 제 2 네트워크 기기가 사용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2 네트워크 기기가 사용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로 사용 승인 요구 거부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은,
    상기 사용 승인 요구 신호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사용 승인 요구가 아니면, 상기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로 사용 승인 요구를 거부하는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단계는,
    상기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우선 순위가 부여되지 않은 경우에, 복수 사용이 가능하지 않은 제 2 네트워크 기기로의 송출이 요구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기기가 사용중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제 2 네트워크 기기가 사용중이면, 상기 임의의 단말기로 상기 신호의 송출 거부 정보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
  7.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가 서버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중에서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사용 승인 요구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 승인 요구 신호가 복수 사용이 가능한 제 1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사용 승인 요구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1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사용 승인 요구 신호로 판단되면, 상기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에 관련된 특징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중에서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상기 사용 승인 요구 신호가 아닌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야 하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기기로의 전송과 복수 사용이 가능하지 않은 제 2 네트워크 기기로의 전송을 통합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해 스케줄링을 하는 단계;
    스케줄에 따라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제 1 네트워크 기기와 제 2 네트워크 기기중에서 타겟 네트워크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
  8.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가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사용 승인이 요구된 네트워크 기기가 복수 사용이 가능한 제 1 네트워크 기기인지를 판정하는 성능 판정부;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중에서 복수 사용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사용 승인 요구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 의 어플리케이션 특징,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정책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제 1 저장부;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중에서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사용 승인 요구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성능 판정부로 사용을 원하는 타겟 네트워크 기기가 복수 사용이 가능한 기기인지에 대한 판정을 요구하고, 상기 성능 판정부로부터 상기 타켓 네트워크 기기가 복수 사용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기로 판정된 결과가 수신되면, 상기 제 1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 승인 요구에 대한 우선 순위를 부여하면서 사용을 승인하는 승인 제어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 승인 요구 신호이외의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를 상기 타겟 네트워크 기기로 송출하기 위하여 스케줄링하는 스케줄러;
    상기 스케줄러에서 스케줄링 된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된 신호를 상기 타겟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장치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 승인 요구 신호이외의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우선순위 정보를 토대로 수신된 신호를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스케줄러는 상기 분류부에서 분류된 신호를 상기 타겟 네트워크 기기로 송출하기 위해 스케줄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장치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성능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 2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성능 판정부는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 승인이 요구된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성능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장치.
KR1020020005209A 2002-01-29 2002-01-29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 및 장치 KR100846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209A KR100846767B1 (ko) 2002-01-29 2002-01-29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209A KR100846767B1 (ko) 2002-01-29 2002-01-29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058A KR20030065058A (ko) 2003-08-06
KR100846767B1 true KR100846767B1 (ko) 2008-07-16

Family

ID=32219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5209A KR100846767B1 (ko) 2002-01-29 2002-01-29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7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043A (ko) * 2002-10-30 2004-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UPnP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608590B1 (ko) 2003-09-16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비스 품질에 따른 서비스 지원이 가능한 네트워크 장치,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22303B1 (ko) 2004-12-07 2006-09-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지능형 관리 장치 및 관리방법
KR101288137B1 (ko) * 2007-01-19 2013-07-1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커뮤니티 컴퓨팅을 위한 정책 기반 충돌 해결 방법
US20080271022A1 (en) * 2007-04-27 2008-10-30 Motorola, Inc. Utilizing graphs to detect and resolve policy conflicts in a managed entity
WO2016100974A1 (en) 2014-12-19 2016-06-23 The Broad Institute Inc. Unbiased identification of double-strand breaks and genomic rearrangement by genome-wide insert capture sequenci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5537A (en) * 1990-03-29 1992-12-29 Micr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access to a CSMA communication medium
JPH0583323A (ja) * 1991-09-19 1993-04-02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方法
JPH10322356A (ja) * 1997-05-21 1998-12-04 Oki Electric Ind Co Ltd 帯域管理装置
WO1999000941A1 (en) * 1997-06-27 1999-01-07 Motorola Inc.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low access delay for time-sensitive applications in a shared medium network
KR19990053820A (ko) * 1997-12-24 1999-07-15 김철 전력선의 제로 크로스 포인트를 이용한 우선 순위 데이터 통신방법
KR20030041275A (ko) * 2001-11-19 200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Ieee802.11 mac 계층에서 폴링 리스트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5537A (en) * 1990-03-29 1992-12-29 Micr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access to a CSMA communication medium
JPH0583323A (ja) * 1991-09-19 1993-04-02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方法
JPH10322356A (ja) * 1997-05-21 1998-12-04 Oki Electric Ind Co Ltd 帯域管理装置
WO1999000941A1 (en) * 1997-06-27 1999-01-07 Motorola Inc.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low access delay for time-sensitive applications in a shared medium network
KR19990053820A (ko) * 1997-12-24 1999-07-15 김철 전력선의 제로 크로스 포인트를 이용한 우선 순위 데이터 통신방법
KR20030041275A (ko) * 2001-11-19 200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Ieee802.11 mac 계층에서 폴링 리스트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058A (ko) 200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09940B (zh) 互连网络中对数据流的带宽预留
US73405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transfer
EP1330895B1 (en) Bridging system for interoperation of remote groups of devices
CN101843056B (zh) 互连网络中的分组级优先化
US78599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re-emption of quality of service (QoS) allocations in a network
JP2006514456A (ja) データストリームの優先伝送
EP1517491B1 (en) Network device, system and method
JP2004080755A (ja) 電子装置の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無線電子装置及び制御装置
US20090161682A1 (en) Managing Bandwidth during a Contention Free Period in a LAN
WO2008004592A1 (fr) Dispositif et appareil de communication, procédé et programme de commande de dispositif de communication, et support d'enregistrement lisible par ordinateur
KR20100068630A (ko)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00235460A1 (en) Data process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EP3582458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8116317B2 (en) Preventing quality of service policy abuse in a network
WO2009093473A1 (ja) 中継装置、端末、優先通信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846767B1 (ko) 네트워크 기기간의 충돌 방지 방법 및 장치
US85709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s in an ad hoc mobile network
CN102469079B (zh) 一种传输实况流的方法、系统和装置
JP5004773B2 (ja) 通信機器及び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JP2005318482A (ja) 電子機器
JP2020136745A (ja) ゲートウェイ、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EP1892928B1 (en) Remot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setting IP address
KR101241736B1 (ko)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단말장치 및 네트워크 시스템
KR100679013B1 (ko)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KR20150083893A (ko)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라우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