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460B1 -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460B1
KR100846460B1 KR1020070011029A KR20070011029A KR100846460B1 KR 100846460 B1 KR100846460 B1 KR 100846460B1 KR 1020070011029 A KR1020070011029 A KR 1020070011029A KR 20070011029 A KR20070011029 A KR 20070011029A KR 100846460 B1 KR100846460 B1 KR 100846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wallet
financial
server
user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길
신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스트포켓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스트포켓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스트포켓
Priority to KR1020070011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4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volving authent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지갑장치, 사용자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기관 서버와 연동하여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전자지갑장치의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지갑장치 인증 모듈;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 모듈; 상기 전자지갑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전자지갑 프로그램의 상태를 확인하고, 표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지갑 프로그램 관리모듈;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금융 서비스를 처리하는 금융 서비스 처리 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요청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PBSM: Pocket Banking Standard Message)를 분석하는 메시지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여러 금융기관에 산재된 다수의 계좌를 조회하거나 이체 등의 금융 거래를 동시에 요청하는 경우에, 각 금융기관의 서버마다 각각 접속할 필요 없이, 하나의 통합전자지갑 서버에 한 번의 접속으로 모든 금융 서비스를 통일된 인터페이스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자지갑, 인터넷뱅킹, 사용자단말뱅킹, 표준 인터페이스, 전자금융

Description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Integrated Electronic Wallet Service}
도 1은 종래의 금융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전자지갑 서버에서 송수신하는 메시지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전자지갑 서버에서 다수의 금융기관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전자지갑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2: 전자지갑장치 210: 사용자 단말기
220: 유무선통신망 230: 통합전자지갑 서버
240: 다수의 금융기관 서버 510: 전자지갑장치 인증 모듈
520: 사용자 인증 모듈 530: 전자지갑프로그램 관리 모듈
540: 금융 서비스 처리 모듈 550: 메시지 처리 모듈
560: 금융 콘텐츠 관리 모듈 570: 빌링 모듈
580: 서버 기본 기능 모듈
본 발명은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금융기관에서 각각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던 금융 서비스를 통합전자지갑 서버에서 제공하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의 통일된 인터페이스로 제공하고, 사용자가 요청하는 특정 금융 서비스를 별도의 창이나 홈 페이지에 삽입되는 배너의 형식으로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로 제공하는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을 이용한 홈뱅킹(Home Banking) 또는 인터넷뱅킹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뱅킹은 본인 확인을 통하여 서비스 가입 신청을 한 후, 사용자가 금융기관의 웹서버로 접속하고 인증을 받은 후, 계좌금액 및 입출금 내역의 확인, 자금 계좌이체 등을 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도 1 은 종래의 금융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종래의 금융 서비스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10), 유무선통신망(120) 및 금융기관 서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다양한 컴퓨터 장치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을 포함하여, 이동통신망, 인터넷 등의 유무선통신망(120)을 통하여 금융기관 서버(130)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이며, 금융기관 서버(13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금융 서비스, 예를 들면, 계좌 조회/이체, 카드 사용 내역 조회, 결제 대금 조회/결제 등의 기본적인 금융 업무뿐만 아니라, 주식 거래, 전자상거래 등의 다양한 온라인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110)는 인터넷뱅킹 서버(132)에 접속하여 인터넷뱅킹 프로그램을 통해 금융 서비스를 요청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10) 내에 별도의 사용자단말뱅킹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구비된 사용자단말뱅킹 프로그램을 통해 금융기관 서버(130)로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요청한다.
여기서, 사용자단말뱅킹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기(11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를 이용하면,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같은 범용 브라우저를 이용하지 않고도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금융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계좌정보와 비밀번호 등을 사용자 단말기(110) 내에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거래 내역 등의 자료를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뱅킹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미리 정의된 메시지 형태로 금융기관 서버(130)에 해당 금융 서비스를 요청하게 되며 결과 또한 메시지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유무선통신망(120)은 사용자 단말기(110) 및 금융기관 서버(130) 간의 유무 선 통신 경로를 제공하며,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 Telnet, FTP, DNS, SMTP, SNTP, NFS 및 NIS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인터넷망뿐만 아니라 와이브로(Wibro)나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초고속 무선데이터 통신망, 전화망이나 이동통신망 등의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을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지칭한다.
금융기관 서버(130)는 인터넷뱅킹 서버(132), 전자금융 서버(134) 및 계정 서버(136)를 포함한다.
금융기관 서버(130)는 금융기관 또는 금융 서비스 대행 기관별로 각각 구비되는데, 각 금융기관 서버(130)는 인터넷뱅킹 또는 사용자단말뱅킹 등의 형태로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인터넷뱅킹 서버(132)는 사용자가 유무선통신망(120)을 통하여 접속 가능한 금융기관 또는 금융 서비스 대행기관의 서버로서, 사용자가 유무선통신망(120)을 통하여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유무선통신망(120)을 통하여 접속한 사용자의 금융 서비스 처리 요청을 전자금융 서버(134)에 전달하여 금융 서비스를 처리토록 하고 사용자에게 그 결과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자금융 서버(134)는 유무선통신망(12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요청하는 금융 서비스를 처리하는 서버로서, 요청받은 금융 서비스를 계정 서버(136)와 연계하여 처리한다.
계정 서버(136)는 개인/법인/기타 사용자의 '계좌'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입금/출금/계좌이체/지로/신규통장개설/통장폐쇄 등의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전자금융 서버(134)로 하여금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전술한 종래의 금융 서비스 시스템(100)에서 인터넷뱅킹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금융기관 서버(130)의 도메인 네임 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웹 또는 왑 브라우저에 입력함으로써 유무선통신망(120)을 통하여 해당 금융기관의 웹 또는 왑 페이지(홈 페이지)에 접속한다. 이어 인터넷뱅킹 서버(132)는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화면과 링크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기(110) 상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0) 내에 저장되어 있거나 별도의 저장장치에 저장된 공인인증서를 이용하거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등의 사용자 확인 또는 인증 절차를 거쳐 인터넷뱅킹 서버(132)에 로그인하고, 인터넷뱅킹 서버(132)는 사용자를 인증한다.
확인 또는 인증이 성공적으로 종료되면 사용자는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필요한 금융 서비스를 요청하고, 사용자의 요청 정보는 인터넷뱅킹 서버(132)에서 접수하여 전용통신선을 통해 사전에 정의된 메시지의 형태로 전자금융 서버(134)에 전달된다.
인터넷뱅킹 서버(132)로부터 요청 정보를 전달받은 전자금융 서버(134)는 계정 서버(136)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계좌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금융 서 비스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인터넷뱅킹 서버(132)로 전송한다.
한편, 종래의 금융 서비스 시스템(100)에서 사용자가 사용자단말뱅킹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10)에 미리 설치된 사용자단말뱅킹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사용자단말뱅킹 프로그램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고, 미리 저장된 기존의 금융 서비스 내역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금융 서비스를 요청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서 해당 금융기관 서버(130)의 인터넷뱅킹 서버(132)에 접속하고, 사용자 단말기(110)나 별도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공인인증서를 이용하거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등의 사용자 확인 또는 인증 절차를 거쳐 인터넷뱅킹 서버(132)에 로그인한다.
확인 또는 인증이 완료된 후 인터넷뱅킹 서버(132)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금융 서비스를 접수하고 전용통신선을 이용하여 사전에 정의된 메시지의 형태로 전자금융 서버(134)에 전달한다.
전자금융 서버(134)는 인터넷뱅킹 서버(132)로부터 전달받은 금융 서비스의 요청을 계정 서버(136)와 연동하여 처리하고 그 결과를 인터넷뱅킹 서버(132)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과 기존의 금융 서비스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사용자단말뱅킹 프로그램에서 관리하며, 유무선통신망(120)을 통해서는 미리 정의된 메시지만 송수신된다.
이러한 사용자단말뱅킹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기존의 금융 서비스 내역 등의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새로운 금융 계획을 세우는 등의 용도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지만, 사용자의 사용자단말뱅킹 프로그램이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110)에서만 이용 가능하여 휴대 및 이동이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금융 서비스 시스템(100)은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금융기관 또는 금융 서비스 대행기관들이 독자적으로 개설한 홈 페이지를 통한 인터넷뱅킹이나 사용자단말뱅킹 등을 통해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나, 각 금융기관별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식이 상이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수의 금융기관에 계좌를 개설한 경우 각 금융기관 또는 금융 서비스 대행 기관의 홈 페이지에 각각 접속하여 각기 상이한 방식으로 인증을 수행하고 또한 각기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금융 서비스를 요청하여야 하기 때문에 금융기관별로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 이용 방법을 숙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 금융기관에 개설한 계좌의 입출금 내역과, B 금융기관를 통한 주식 거래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각 금융기관의 홈 페이지에 접속하여 각기 다른 방식의 인증을 수행하고, 각기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A 금융기관의 계좌 입출금 내역과 B 금융기관의 주식 거래 정보를 각각 확인함으로써, 다양한 금융기관에 산재한 금융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가 없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금융기관에서 각각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던 금융 서비스를 통합전자지갑 서버에서 제공하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의 통일된 인터페이스로 제공하고, 사용자가 요청하는 특정 금융 서비스를 별도의 창이나 홈 페이지에 삽입되는 배너의 형식으로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로 제공하는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자지갑장치, 사용자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기관 서버와 연동하여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전자지갑장치의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지갑장치 인증 모듈;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 모듈; 상기 전자지갑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전자지갑 프로그램의 상태를 확인하고, 표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지갑 프로그램 관리모듈;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금융 서비스를 처리하는 금융 서비스 처리 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요청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PBSM: Pocket Banking Standard Message)를 분석하는 메시지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전자지갑장치, 사용자 단말기, 통합전자지갑 서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기관 서버를 포함하는 통합전자지갑 서비스 시스템에서,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전자지갑장치의 접속을 인지하면 표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전자지갑장치 및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요청하는 금융 서비스를 사전에 정의된 요청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PBSM: Pocket Banking Standard Message)의 형태로 상기 통합전자지갑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요청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상기 금융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해당 금융기관의 상기 금융기관 서버에 서비스 요청 메시지의 형태로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금융 서비스의 요청을 처리하고, 처리 결과를 상기 통합전자지갑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e)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 기 금융 서비스의 상기 처리 결과를 응답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하, '통합전자지갑 시스템'이라 칭함)(200)은 전자지갑장치(202), 사용자 단말기(210), 유무선통신망(220), 통합전자지갑 서버(230) 및 다수의 금융기관 서버(240)를 포함한다.
전자지갑장치(202)는 플래시메모리부, 스마트카드부 및 USB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 단말기(210)와 연결되면 구비된 전자지갑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사용자 금융정보를 관리/저장/전달하는 기능, 금융 서비스를 요청하고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전자지갑 프로그램(미도시)은 사용자가 금융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명령이나 데이터를 입력하면, 해당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기관정보, 사용자 인증 정보 및 금융 서비스 요청 정보 등을 포함하는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PBSM: Pocket Banking Standard Message)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1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기(210)는 이를 유무선통신망(220)을 거쳐 통합전자지갑 서버(230)로 전송한다. 통합전자지갑 서버(230)는 수신되는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에 포함된 금융기관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금융기관 서버(240)로 사용자가 요청한 금융 서비스를 처리할 것을 요청한다.
플래시메모리부(미도시)는 전자지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영역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데이터, 사용자의 금융거래 데이터, 사용자 단말기(210)와 연결하기 위한 장치 데이터 및 사용자의 설정 내용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고, 스마트카드부는 자체운영체제(COS: Chip Operating System)를 탑재하여 공개키기반(PKI: Public Key Infrastructure) 방식 및 비밀키 방식의 암호화 알고리즘 등을 구비하고, 사용자 금융정보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메모리 영역에는 전자지갑 고유번호(WIN: Wallet Identification Number) 및 개인식별번호(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가 저장된다.
여기서, 전자지갑 고유번호 및 개인식별번호는 전자지갑장치(202)의 발급 시에만 생성되어 사용자의 인증에 사용된다.
또한, 사용자 금융정보는 금융기관정보, 공인인증서, 계좌정보, 카드정보, 사용자정보 및 스마트 카드정보 등을 의미하며, 금융 서비스는 계좌 조회/이체, 신용카드 사용 내역 조회, 결제 대금 조회/결제 등의 기본적인 금융 업무뿐만 아니라, 주식 거래, 전자상거래 등의 다양한 온라인 금융 서비스를 의미한다.
USB 인터페이스(미도시)는 전자지갑장치(202)와 사용자 단말기(210) 간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이다.
사용자 단말기(210)는 전자지갑장치(202)로부터 사용자 금융정보를 제공받아 통합전자지갑 서버(230)에 접속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통합전자지갑 서버(230)가 제공하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금융기관 서버(24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장치이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210)는 유무선통신망(220)을 경유하여 공동전자 지갑 서버(230)에 접속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의 다양한 컴퓨터 장치 등을 포함한다.
유무선통신망(220)은 사용자 단말기(210)와 통합전자지갑 서버(230) 간에 유무선 통신 경로를 제공하며,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 Telnet, FTP, DNS, SMTP, SNTP, NFS 및 NIS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인터넷망뿐만 아니라 와이브로(Wibro)나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초고속 무선데이터 통신망, 전화망이나 이동통신망 등의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을 제공하는 네트워크이다.
통합전자지갑 서버(230)는 유무선통신망(22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기(210)에 표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를 인증하며, 인증된 사용자로부터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금융 서비스의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기관 서버(240)와의 연동을 통해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통합전자지갑 서버(230)는 사용자 및 전자지갑장치(202)의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지갑 장치 인증 모듈 및 사용자 인증 모듈, 전자지갑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전자지갑 프로그램 관리 모듈, 사용자가 요청하는 금융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금융 서비스 처리 모듈, 금융 서비스의 요청을 분석하는 메시지 모듈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전자지갑 서버(230)는 사용자가 각 금융기관의 홈 페이지에 접속하여 각 금융기관마다 다른 인증 방법,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용하던 금융 서비스를 통합전자지갑 서버(230)에서 제공하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수의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를 통일된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합전자지갑 서버(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10)와는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각 금융기관 서버(240)와는 각 금융기관에 적합한 형태의 금융기관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통신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기(210), 통합전자지갑 서버(230) 및 금융기관 서버(240) 간에 송수신하는 메시지의 흐름을 도 3을 이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통합전자지갑 서버(230)는 사용자 단말기(210)로부터 전자지갑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요청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를 수신한다(S310). 이때, 요청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는 사용자가 금융 서비스를 요청한 금융기관의 정보를 나타내는 금융기관 코드, 사용자의 인증 성공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증 코드 및 사용자가 요청한 금융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서비스 코드를 포함한다. 통합전자지갑 서버(230)는 수신한 요청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에서 금융기관 코드를 분석하고, 해당 금융기관의 금융기관 서버(240)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320). 이때,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인증 코드 및 서비스 코드를 포함하나, 각 금융기관의 전송 규격에 따라 다른 코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금융기관 서버(240)는 서비스 코드를 분석하여 그에 해당하는 금융 서비스를 처리한 후, 서비스 처리 결과를 서비스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통합전자지갑 서버(230)로 전송 하고(S330), 통합전자지갑 서버(230)는 서비스 처리 결과가 포함된 응답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210)로 전달함으로써 금융 서비스의 처리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린다(S340).
따라서, 통합전자지갑 서버(230)는 사용자에게 표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각 금융기관에서 인터넷뱅킹 등을 통해 각기 다른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던 금융 서비스를 통일된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통합전자지갑 서버(230)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각 금융기관의 금융 서비스를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기능 외에, 다수의 금융기관의 정보를 다수의 창을 통해 제공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특정 웹 또는 왑 페이지에 삽입되어 배너의 형태로 사용자가 요청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은행에 개설된 계좌의 실시간 입출금 내역 및 잔액을 전용 창으로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와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회사의 주식의 시간별 변동 정보를 별도의 전용 창으로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 등을 다수의 창을 이용하여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자지갑 프로그램은 해당 창에 출력될 금융 서비스의 정보를 요청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를 이용하여 일정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통합전자지갑 서버(230)에 요청하며, 통합전자지갑 서버(230)는 해당 금융기관 서버(240)와 연동하여 금융 서비스 처리/조회 결과를 응답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한 다.
또한, 사용자가 개인의 홈 페이지를 만드는 경우에 전자지갑 프로그램의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이용하여 해당 홈 페이지의 특정 위치에 배너의 형식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금융기관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운영하는 개인 쇼핑몰 홈페이지 상에서 A 은행에 보유한 B 계좌의 거래 내역에 관한 실시간 정보를 모니터하고자 하는 경우, "Pocket_Bank_Account_Inquire(A, B)"와 같은 배너를 삽입함으로써 자신의 계좌의 실시간 입출금 내역 및 잔액 등을 간편하게 조회하고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품 주문자가 주문을 완료한 후 상품 대금을 입금하였는지 여부를 입금 계좌가 개설된 해당 금융기관의 홈 페이지에 접속하여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입금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전자지갑 프로그램은 배너에 출력될 금융 서비스의 정보를 일정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요청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를 통해 통합전자지갑 서버(230)에 요청하며, 통합전자지갑 서버(230)는 해당 금융기관 서버(240)와 연동하여 금융 서비스 처리/조회 결과를 응답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제 1 금융기관 서버, 제 2 금융기관 서버 및 제 3 금융기관 서버를 포함하는 다수의 금융기관 서버(240)는 각각 인터넷뱅킹 서버(미도시), 전자금융 서버(미도시) 및 계정 서버(미도시) 등을 포함하며, 이들은 통합전자지갑 서버(230)와 연동하여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전자지갑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전자지갑 서버(230)는 전자지갑장치 인증 모듈(510), 사용자 인증 모듈(520), 전자지갑 프로그램 관리모듈(530), 금융 서비스 처리 모듈(540), 메시지 처리 모듈(550), 금융 콘텐츠 관리 모듈(560), 빌링 모듈(570) 및 서버 기본 기능 모듈(580)을 포함한다.
전자지갑장치 인증 모듈(510)은 전자지갑장치(202)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즉, 사용자가 전자지갑장치(202)를 사용자 단말기(210)에 접속하고 개인식별번호(PIN)을 입력하여 사용자를 인증한 후, 전자지갑장치(202)의 전자지갑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통합전자지갑 서버(230)에 유무선통신망(220)을 통하여 접속하는 경우에, 전자지갑장치(202) 내에 저장된 전자지갑 고유번호(WIN)를 읽어 전자지갑장치 데이터와 대조하여 정상적으로 발급된 전자지갑장치(202)인지 여부, 분실 또는 거래 정지 등의 사용 정지 사항이 있는지 여부 등을 확인하고 정상적인 전자지갑장치(202)로 판단한 경우에 해당 전자지갑장치(202)를 인증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자지갑장치 데이터는 각 금융기관에서 전자지갑장치(202)를 발급할 때 통합전자지갑 서버(230)로 전자지갑장치(202)의 등록정보를 전달하여 통합전자지갑 서버(230)의 전자지갑장치 등록 데이터베이스(512)에 보관/관리하고, 전자지갑장치(202)의 분실 또는 해지 등의 거래 정지 사유가 발생할 경우 금융기관에서 통합전자지갑 서버(230)로 그 사유를 전달하여 통합전자지갑 서버(230)의 전자지갑장치 등록 데이터베이스(512)에 해당 사유를 저장한다.
또한, 전자지갑장치 인증 모듈(510)은 금융기관과 연동하여 전자지갑장 치(202)의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전자지갑장치(202)의 등록 및 사용 중지는 이를 배포, 등록한 금융기관에서 관리하고, 통합전자지갑 서버(230)의 전자지갑장치 인증 모듈(510)은 전자지갑 고유번호(WIN)의 분류에 따라 발급 금융기관을 인식하고 해당 금융기관에 전자지갑장치(202)가 정상적인 것인지 확인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증 모듈(520)은 사용자가 전자지갑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금융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를 인증하는 모듈이다. 전자지갑장치(202) 내에 저장된 공인인증서나 비밀번호 등을 읽어서 해당 금융기관의 금융기관 서버(240)에 전자지갑 고유번호(WIN)와 함께 전송하여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한다.
전자지갑 프로그램 관리모듈(530)은 전자지갑장치(202)에 구비되어 있는 전자지갑 프로그램의 상태, 즉, 프로그램의 버전 혹은 프로그램의 변형 등을 검사하여, 최신의 프로그램이 아닌 경우 최신의 전자지갑 프로그램을 전자지갑장치(202)로 다운로드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전자지갑 프로그램 관리모듈(530)은 전자지갑 프로그램을 중복하여 전체적으로 다운로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자지갑 프로그램을 각 모듈별로 검사하여 필요한 부분만을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전자지갑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532)는 각 모듈별 최신 버전의 전자지갑 프로그램과 변경 사항, 모듈별 변형 체크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전자지갑 프로그램 관리모듈(530)은 전자지갑장치(202)가 사용자 단말기(210)에 접속하는 경우 표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며, 전자지갑장치(202)를 발급한 금융기관별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과 각 금융기관의 홈 페이지로 의 링크 정보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표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각 금융기관별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일하거나, 각 금융기관별로 전자지갑장치(202)를 발급받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화면의 스킨을 바꾸거나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싶은 다른 금융정보를 포함한 웹 페이지의 링크를 만들어서 전자지갑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532)에 저장하면, 해당 금융기관에서 전자지갑장치(202)를 등록한 고객의 전자지갑 프로그램에 이를 반영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각 금융기관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534)에 저장되어 있다.
금융 서비스 처리 모듈(540)은 사용자가 요청한 금융 서비스를 접수하고, 해당 금융 서비스를 금융기관 서버(240)와 연동하여 처리하는 모듈이다. 즉, 계좌 조회/이체, 카드 사용 내역 조회, 결제 대금 조회/결제 등의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뿐만 아니라, 주식 거래, 전자상거래 등의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해당 금융기관의 금융기관 서버(240)와 연동하여 처리하는 모듈이다. 금융 서비스 처리 모듈(540)은 사용자의 금융 서비스 요청이 정확한지, 금융기관 서버(240)에서의 금융 서비스 처리 결과가 정확한지 등을 검사한다. 또한, 금융 서비스 처리 과정에서의 시스템 오류 또는 이상 상태를 대비하여 해당거래 내역을 일정 시간 동안 로그 데이터베이스(542)에 저장하거나, 비정상 종료된 금융 서비스의 처리를 복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메시지 처리 모듈(550)은 사용자 단말기(210)로부터 전송되는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를 분석하는 모듈이다. 즉, 통합전자지갑 서버(230)는 사용자가 금융 서 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전자지갑 프로그램에 의하여 생성된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시지 처리 모듈(550)을 통해 전자지갑장치(202)로부터 전송된 금융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금융 서비스 처리 모듈(540)로 전송하거나, 금융 서비스 처리 모듈(540)에서 금융 서비스 처리 결과를 전송받아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의 형태로 변환하여 해당 전자지갑장치(202)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금융 서비스 처리 모듈(540)에서 각 금융기관의 금융기관 서버(240)에 금융 서비스의 처리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금융기관의 전송 규격이나 메시지 형태를 파악하여 해당 금융기관에 맞는 형식의 금융기관 메시지로 각각 변환하여 전송하고, 각 금융기관 서버(240)로부터 수신한 금융기관 메시지를 해당 금융기관의 메시지 형식에 따라 내용을 분석하여 금융 서비스 처리 결과를 파악한다.
이때, 각 금융기관의 전송 규격, 메시지 형식 및 처리 절차 등은 메시지 구성 데이터베이스(552)를 참조한다.
금융 콘텐츠 관리 모듈(560)은 금융기관에서 홍보 또는 마케팅용으로 제공하는 콘텐츠를 임의로 다운로드하는 푸쉬(Push) 데이터와 사용자가 관심분야 또는 관심상품 등의 사항을 설정하면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콘텐츠를 자동으로 선별하여 전송하는 풀(Pull) 데이터를 형성하여 전자지갑 프로그램에 제공한다. 금융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62)는 각 금융기관이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예컨대, 뉴스, 엔터테인먼트 정보 등)들을 분류하여 보관한다.
또한, 금융 콘텐츠 관리 모듈(560)은 사용자가 통합전자지갑 서버(230)에 접속할 때, 사용자가 등록한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 기(210)의 화면상에 나타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관심분야의 정보를 계속 제공받고자 설정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관심분야 또는 상품 또는 해당 단어 등을 금융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62)에서 검색하여 제공한다.
빌링 모듈(570)은 통합전자지갑 서버(230)를 운영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과금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모듈이다. 수집된 정보는 빌링 데이터베이스(572)에 저장된다.
여기서, 과금 정보의 종류로는 전자지갑장치(202)의 사용료, 금융 서비스 이용 비용, 콘텐츠 이용 비용 등이 될 수 있으며, 과금 대상은 사용자 또는 금융기관 또는 제3의 마케팅 기관 등으로 일정액, 비율 등의 다양한 형태로의 과금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서버 기본 기능 모듈(580)은 통합전자지갑 서버(2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전술한 각 모듈들의 기능이 적절히 수행될 수 있도록 시스템 자원을 관리하고 할당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서버 기본 기능 모듈(580)은 유무선통신망(220) 및 각 금융기관의 특성에 따라 통신 방법을 달리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금융기관 서버(240)로 전송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관리하고, 금융기관 서버(240)와의 통신이 적절히 유지될 수 있도록 관리(Health Check)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응답이 없을 경우 그에 상응하는 미완료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트래픽 과부하 시 적절한 제어(Control Admision)를 수행하는 기능 등이 포함되고 암복호화를 수행하는 통신기능과 사용자 단말기(210)와 결합된 수많은 전자지갑 프로그램으로부터 금융 서비스를 요청받아, 해당 모듈의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시스템 자원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세션 관리, 자원 관리, 멀티프로세싱 등의 서버의 기본적인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한다.
또한, 시스템의 자원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각 금융 서비스 요청에 대한 서비스 수준을 측정한 자료들과, 시스템의 부하분산정책 등을 시스템관리 데이터베이스(582)에 기록하고 이를 활용하여 최적의 운영상태를 유지 또는 이상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각 모듈들은 하나의 서버 플랫폼 또는 여러 대의 서버 플랫폼에 분산되어 구성되어 작동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전자지갑 시스템(200)은 통합전자지갑 서버(230)에서 표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다수의 금융기관 서버(240)에 제공하는 각각의 금융 서비스를 하나의 통합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6을 이용하여 통합전자지갑 서비스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기(210)에 전자지갑장치(202)가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접속되면(S602), 전자지갑장치(202)는 사용자 단말기(2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개인식별번호(PIN)를 입력받아 사용자를 인증한다(S604).
사용자가 입력한 개인식별번호(PIN)와 전자지갑장치(202) 내에 저장된 개인 식별번호(PIN)와의 비교를 통한 인증에 성공하면 전자지갑장치는 활성화되고, 전자지갑장치(202) 내에 저장된 전자지갑 프로그램이 구동된다(S606).
전자지갑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사용자에게 필요한 기본적인 인터페이스 화면이 통합전자지갑 서버(230)와의 통신 없이 사용자 단말기(210) 상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며, 전자지갑장치(202) 내에 이미 보관 중인 사용자의 기존의 금융 서비스 요청/처리 내역 등의 정보가 통합전자지갑 서버(230)와의 통신 없이 제공된다(S608).
사용자가 새로운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지 판단하여(S610), 사용자가 새로운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지갑 프로그램은 유무선통신망(220)을 경유하여 통합전자지갑 서버(230)에 접속하여, 통합전자지갑 서버(230)로부터 표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받아 출력하고(S612), 전자지갑장치(202) 및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한다(S614). 여기서, 전자지갑 프로그램은 통합전자지갑 서버(230)의 도메인 네임이나 URL을 이용하여 접속하지만, 웹 브라우저와 HTML 등을 이용하지 않고 TCP/IP 상에서 압축 및 암호화, 터널링 등을 이용하는 단대단 암호화(End-to-End Encryption) 통신 방식을 이용한다. 통합전자지갑 서버(230)는 전자지갑장치(202)의 접속을 인지한 후, 전자지갑장치(202)에 저장된 전자지갑 고유번호(WIN), 사용자의 공인인증서, 계좌정보 등의 금융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지갑장치(202)와 사용자를 인증한다.
전자지갑장치(202) 및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되면, 전자지갑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표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요청하는 금융 서비스를 사전에 정의된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PBSM: Pocket Banking Standard Message)의 형태로 통합전자지갑 서버(230)에 요청한다(S616). 이때,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에는 금융 서비스를 요청하는 금융기관을 지정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표준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사용자가 계좌를 개설했거나 거래 중인 금융기관의 리스트 및 각종 금융 서비스를 선택하여 요청하는 아이콘 등이 포함된다. 또한, 전자지갑 프로그램은 전술한 표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사용자가 금융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별도의 창을 이용하여 다수의 금융 서비스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요청하는 경우, 특정 홈 페이지에 배너의 형태로 삽입되어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특정 금융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에도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합전자지갑 서버(230)로 전송한다.
통합전자지갑 서버(230)는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금융 서비스 요청을 접수하고, 해당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금융 서비스를 사용자가 지정한 해당 금융기관의 금융기관 서버(240)에 바람직하게는 전용선 등 금융기관 관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전에 정의된 각 금융기관별 전문(금융기관 메시지)의 형태로 요청한다(S618).
금융기관 서버(240)의 전자금융 서버는 통합전자지갑 서버(230)의 금융 서비스 처리 요청(금융기관 메시지)을 수신하면,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관리하고 있는 계정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금융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통합전자지갑 서버(230)로 돌려준다(S620). 통합전자지갑 서버(230)는 금융기관 서버(240)로부터 수신한 금융 서비스 처리 결과를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210)에 전송한다(S622).
전자지갑 프로그램은 통합전자지갑 서버(230)로부터 수신한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를 분석하여 금융 서비스의 처리 결과를 사용자에게 화면으로 제공하고, 해당 금융 서비스의 요청/처리 내역을 저장한다(S624).
전술한 바와 같은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여러 금융기관에 산재된 다수의 계좌를 조회하거나 이체 등의 금융 거래를 동시에 요청하는 경우에, 각 금융기관의 서버마다 각각 접속할 필요 없이, 하나의 통합전자지갑 서버(230)에 한 번의 접속으로 모든 금융 서비스를 통일된 인터페이스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전자지갑장치(202)의 전자지갑 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210)에 설치된 사용자단말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인인증서 등을 통해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단말뱅킹 프로그램과 통합전자지갑 서버(230) 간에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의 규격을 준수하여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통합전자지갑 서버(230)에서 표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여 전자지갑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과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표준 인터페이스 화면과 모든 금융 서비스 요청/처리 정보는 전자지갑장치(202)에 보관이 가능하며, 통합전자지갑 서버(230)와의 연결이 없이도 기존의 금융 서비스 요청/처리 내역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 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여러 금융기관에 산재된 다수의 계좌를 조회하거나 이체 등의 금융 거래를 동시에 요청하는 경우에, 각 금융기관의 서버마다 각각 접속할 필요 없이, 하나의 통합전자지갑 서버에 한 번의 접속으로 모든 금융 서비스를 통일된 인터페이스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금융기관은 각각의 인터넷뱅킹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연구/개발할 필요가 없으며, 통합전자지갑 서비스의 기술 발전에 공동 대응함으로써,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준화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금융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제공하여 금융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전자지갑장치와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기관 서버와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전자지갑장치에 저장된 금융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지갑장치를 인증하는 전자지갑장치 인증 모듈;
    상기 금융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지갑장치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 모듈;
    상기 전자지갑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전자지갑 프로그램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표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전자지갑 프로그램 관리 모듈;
    상기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금융 서비스를 접수하고 상기 금융기관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금융 서비스를 처리하는 금융 서비스 처리 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요청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PBSM: Pocket Banking Standard Message)를 분석하여 상기 금융 서비스 처리 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금융 서비스 처리 모듈로부터 금융 서비스 처리 결과를 전송받아 응답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금융기관이 홍보용으로 제공하는 데이터를 상기 전자지갑 프로그램에 다운로드하는 푸쉬(Push)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가 관심분야 또는 관심상품 사항을 설정하면 상기 설정에 맞는 콘텐츠를 자동으로 선별하여 전송하는 풀(Pull)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금융 콘텐츠 관리 모듈;
    과금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며 상기 수집된 과금 정보를 빌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빌링 모듈; 및
    상기 서버의 시스템 자원을 관리하고 할당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 기본 기능 모듈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지갑장치 인증 모듈은,
    상기 전자지갑장치 내에 저장된 전자지갑 고유번호(WIN)를 읽어 전자지갑장치 데이터와 대조하여 상기 전자지갑장치를 인증하되, 상기 전자지갑장치 데이터는 전자지갑장치 등록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보관되어 있거나, 상기 금융기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지갑 프로그램 관리 모듈은,
    상기 전자지갑 프로그램의 버전을 검사하여, 최신 버전이 아닌 경우, 상기 전자지갑 프로그램의 각 모듈별로 검사하여 필요한 부분만을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지갑 프로그램 관리 모듈은,
    상기 전자지갑장치를 발급한 금융기관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과 각 금융기관의 홈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 서비스 처리 모듈은,
    계좌 조회/이체, 카드 사용 내역 조회, 결제 대금 조회/결제, 주식 거래, 전자상거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금융 서비스를 상기 금융기관 서버와 연동하 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7. 삭제
  18. 전자지갑장치, 사용자 단말기, 통합전자지갑 서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기관 서버를 포함하는 통합전자지갑 서비스 시스템에서,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통합전자지갑 서버가 상기 전자지갑장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간의 접속을 인지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표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전자지갑장치 및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전자지갑장치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표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요청되는 금융 서비스를 사전에 정의된 요청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PBSM: Pocket Banking Standard Message)의 형태로 상기 통합전자지갑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통합전자지갑 서버가 상기 요청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금융기관의 금융기관 서버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여 상기 금융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금융기관 서버가 상기 금융 서비스의 요청을 처리하고, 처리 결과를 상기 통합전자지갑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e) 상기 통합전자지갑 서버가 상기 처리 결과를 응답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이전에,
    (a-1) 상기 전자지갑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개인식별번호(PIN)를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a-2) 상기 전자지갑장치가 상기 단계 (a-1)에서 인증에 성공하면,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전자지갑장치 내에 보관 중인 기존의 금융 서비스 요청/처리 내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전자지갑장치는 상기 통합전자지갑 서버의 도메인 네임이나 URL을 이용하여 상기 통합전자지갑 서버에 접속하되, TCP/IP 상에서 압축 및 암호화, 터널링을 이용하는 단대단 암호화(End-to-End Encryption)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통합전자지갑 서버는 상기 전자지갑장치에 저장된 전자지갑 고유번호(WIN), 사용자의 공인인증서, 계좌정보 중 하나 이상의 금융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지갑장치 및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요청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는 상기 금융 서비스를 요청하는 해당 금융기관을 지정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표준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상기 사용자가 계좌를 개설했거나 거래 중인 금융기관의 리스트 및 상기 금융 서비스를 선택하여 요청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전자지갑장치는 상기 표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금융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별도의 창(윈도우)을 이용하여 다수의 금융 서비스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요청하는 경우 및 특정 홈 페이지에 배너의 형태로 삽입되어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특정 금융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우에 상기 요청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전자지갑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 이후에,
    (f) 상기 전자지갑장치가 상기 통합전자지갑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응답 포켓 뱅킹 표준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처리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화면으로 제공하고, 상기 금융 서비스의 요청/처리 내역을 저장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6. 삭제
KR1020070011029A 2007-02-02 2007-02-02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0846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029A KR100846460B1 (ko) 2007-02-02 2007-02-02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029A KR100846460B1 (ko) 2007-02-02 2007-02-02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460B1 true KR100846460B1 (ko) 2008-07-16

Family

ID=39824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029A KR100846460B1 (ko) 2007-02-02 2007-02-02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4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6507A1 (en) * 2012-05-04 2013-11-07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Converged cross-platform electronic wallet
KR101458179B1 (ko) * 2012-08-03 2014-11-04 김만근 통합 전자지갑 운용시스템 및 통합 전자지갑 운용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3930A (ko) * 1998-11-26 2000-06-15 이계철 통합 전자지갑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
KR20000068758A (ko) * 1997-08-13 2000-11-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이동 전자상거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8758A (ko) * 1997-08-13 2000-11-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이동 전자상거래 시스템
KR20000033930A (ko) * 1998-11-26 2000-06-15 이계철 통합 전자지갑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6507A1 (en) * 2012-05-04 2013-11-07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Converged cross-platform electronic wallet
KR101458179B1 (ko) * 2012-08-03 2014-11-04 김만근 통합 전자지갑 운용시스템 및 통합 전자지갑 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6993B1 (ko) 전자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822985B1 (ko) 닉네임을 이용한 지불결제 처리 시스템
KR20090036165A (ko) 온라인 계좌와 연계된 메일뱅킹을 통한 자금이체 방법 및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0846460B1 (ko) 통합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20090000792A (ko) 비대면 실명확인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090012897A (ko) 전자지갑장치, 통합전자지갑 서버 및 전자지갑 지원금융거래 단말기를 이용하여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KR100822939B1 (ko) 닉네임을 이용한 비대면 채널 유저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0865879B1 (ko) 금융거래 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223477B1 (ko) 블로그(또는 웹사이트) 운영자에 대한 대출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0854355B1 (ko) 종교단체용 모바일 계좌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070115034A (ko) 인터넷을 통한 사용자 및 결제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73362B1 (ko) 모바일 계좌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KR100982293B1 (ko) 온라인 계좌를 이용한 거스름돈 충전 방법 및 시스템과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0885164B1 (ko) 온라인 계좌 간 송금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KR100810176B1 (ko) 게임 관련 대출상품 운영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KR100875553B1 (ko) 온라인 계좌 간 계좌이체 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090013456A (ko) 광고 수수료 정산 방법 및 시스템
KR20070107846A (ko) 뱅킹 서버를 이용한 회원가입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090013459A (ko) 기록형 계좌를 이용한 출금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18750A (ko) 맞춤형 정보배달 기능을 이용한 전자 고지서 처리 시스템과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090081768A (ko) 경품계좌(또는 펀드) 온라인 신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과이를 위한 기록매체
JP2002230455A (ja) 電子決済処理システム及び電子決済処理方法
KR20090019028A (ko) 비대면 채널을 이용한 복권선물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기록매체
KR20080067595A (ko) 뱅킹 서버를 이용한 회원가입 처리 시스템
KR20090036156A (ko) 온라인 계좌와 연계된 다기능 카드 발급 방법 및 시스템과이를 위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