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227B1 - 항온항습기의 다중 가습분배장치 - Google Patents

항온항습기의 다중 가습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227B1
KR100846227B1 KR1020080006313A KR20080006313A KR100846227B1 KR 100846227 B1 KR100846227 B1 KR 100846227B1 KR 1020080006313 A KR1020080006313 A KR 1020080006313A KR 20080006313 A KR20080006313 A KR 20080006313A KR 100846227 B1 KR100846227 B1 KR 100846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por
water
steam
pip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응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명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명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명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006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injection of steam into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온항습기에 설치되는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건증기를 실내에 균일하게 분배하는 기능이 취약하고 공기중에 수증기가 흡수되기 위한 거리가 비교적 긴 종래 가습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제어신호 및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가열히터와, 상기 가열히터의 과열을 방지하는 온도조절부와, 상기 가열히터를 통해 가열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부와, 상기 가열히터, 온도조절부, 및 수위조절부가 설치되는 본체부로 구성되는 항온항습기의 가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히터로 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수증기를 소정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 상측에 설치되는 수증기 토출관과; 상기 수증기 토출관을 통해 유도된 수증기를 받아들여 그 유도된 수증기를 분사하기 위한 수증기 분배부;로 구성되되, 상기 수증기 분배부는 상기 유도된 수증기를 받아들여 하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하측홀로 내보내도록 설치된 상부박스와, 상기 상부박스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박스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상부박스의 하측홀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일측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수증기 분사홀이 구비된 수증기 분사관과, 상기 수증기 분사관의 타측이 연결되도록 상면에 복수개의 상측홀이 형성되고 좌우측이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는 하부박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수증기의 균일한 분배와 공기중에 수증기의 빠른 흡수를 가능하게 한다.
항온항습기, 가습, 수증기, 분사관, 가열히터

Description

항온항습기의 다중 가습분배장치{MULTIPLE HUMIDIFICATION DISTRIBUTING APPARATUS OF A THERMO-HYGROSTAT}
본 발명은 항온항습기에 설치되는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열히터로 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수증기를 소정방향으로 유도하여 복수개의 증기분사기로 분사하는 항온항습기의 다중 가습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장치는 실내의 공기를 적절한 습도로 유지하여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조성하고, 산업용으로 항온항습을 필요로 하는 전산실 장비의 정전기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며, 실험실에서 실험오차를 줄여주며, 중요장비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필수적인 환경 유지 장치이다.
종래 가습장치의 일례로는 히터나 전극봉으로 물을 가열시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전열식 가습장치가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전열식 가습장치는 실내에 수증기를 균일하게 분배하는 기능이 취약하고, 가습장치로부터 생성된 수증기가 공기에 흡수되기 위한 거리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적절한 습도를 빠른 시간 내에 달성할 수 없으며, 또한 가습장치 내에 응축현상이 발생될 확률이 높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열히터로 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수증기를 복수개의 수증기 분사관을 통해 분사하여 실내에 균일한 건증기를 분배하고, 기기내 수증기의 응축현상을 최소화하며, 단일 분배기를 사용하는 가습장치에 비해 대기중에서 수증기가 흡수되는 거리를 짧게 하는 다중 가습분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제어신호 및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가열히터와, 상기 가열히터의 과열을 방지하는 온도조절부와, 상기 가열히터를 통해 가열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부와, 상기 가열히터, 온도조절부, 및 수위조절부가 설치되는 본체부로 구성되는 항온항습기의 가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히터로 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수증기를 소정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 상측에 설치되는 수증기 토출관과; 상기 수증기 토출관을 통해 유도된 수증기를 받아들여 그 유도된 수증기를 분사하기 위한 수증기 분배부;로 구성되되, 상기 수증기 분배부는 상기 유도된 수증기를 받아들여 하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하측홀로 내보내도록 설치된 상부박스와, 상기 상부박스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박스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상부박스의 하측홀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일측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수증기 분사홀이 구비된 수증기 분사관과, 상기 수증기 분사관의 타측이 연결되도록 상면에 복수개의 상측홀이 형성되고 좌우측 이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는 하부박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가습분배장치는 가열히터를 사용하여 생성된 수증기가 복수개의 수증기 분사관을 통해 분사됨으로써 균일한 건증기를 기기 외부로 분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는 기기 내 수증기의 응축현상을 최소화하고, 가습된 건증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기를 통과하면서 배관이나 기기 구성요소들의 표면에 수분을 부착시키지 않게 되어 열전달의 효율을 향상시키며, 그러한 수분 부착을 방지함으로써 기기의 부식 또한 예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단일 분배기를 사용하는 가습장치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는 발생된 수증기를 대기중에 빠르게 흡수되도록 하여, 더욱 빠르게 사용자가 희망하는 습도에 도달하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가습분배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가습분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가습분배장치의 수증기 분사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항온항습기의 다중 가습분배장치는 기본적으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본체부(40)와, 발생된 수증기를 유도하여 분사하는 수증기 분배부(60)로 구성되며, 본체부(40)는 다시 가열히터(10), 온도조절부(20), 및 수위조절부(30)의 구성요소로 구성된다.
상기 가열히터(10)는 급수관을 통해 장치 내에 급수된 물을 항온항습기에 설치된 온습도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수증기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체부(40)의 외부에 설치된 전원공급원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이러한 전원공급원 내에 수분이 침투되지 않도록 본체부(40)와 전원공급원 사이의 연결부에 완벽한 방수처리가 이루어져야 하고, 전원공급원 외부에도 본체부(40)를 통해 발생되는 수분으로부터 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방수용 케이스와 같은 방수용 수단이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가열히터(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도조절부(20)는 가열히터(10)가 특정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항온항습기에 구비된 온습도 감지부로부터 측정된 실내 습도가 온습도 컨트롤러에 설정된 습도보다 낮을 경우, 본체부(40)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가열히터(10)를 작동시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데, 이러한 가열히터(10)의 작동기간 동안 설정 습도에 도달하기 위해 가열히터(10)가 무리하게 계속해서 작동하는 것을 온도조절부(20)를 통해 방지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수위조절부(30)는 본체부(40) 내로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수단으로, 물의 상한선을 감지하는 수위 상한 감지센서(30a)와 물의 하한선을 감지하는 수위 하한 감지센서(30b)를 구비하여 물의 공급 상태를 조절하며, 추가적으로 본체부(40)로부터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관(30c)과, 수위 상한선 이상으로 물이 공급될 때 물을 본체부(40) 외측으로 배수하기 위한 수위상한배관(30d)을 포함한다.
상기 수증기 분배부(60)는 가열히터(10)를 가열하여 본체부(40) 내에 생성된 수증기를 수증기 토출관(50)을 통해 공급받아 균일하게 공기중에 분사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부박스(60a), 지지대(60b), 수증기 분사관(60c), 및 하부박스(60d)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박스(60a)는 수증기 토출관(50)을 통해 유도된 수증기를 상부박스(60a)의 하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하측홀(60a-1)로 내보내기 위한 밀폐된 공간이며 상부박스(60a) 좌우측에 설치되는 지지대(60b)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상부박스(60a)의 하측홀(60a-1)에 일측이 연결되는 수증기 분사관(60c)은 복수개의 하측홀(60a-1)에 하나씩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연결되어 세로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분사관(60c)에 복수개의 수증기 분사홀(60c-1)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해 본체부(40)로부터 발생된 수증기가 분사된다.
추가적으로, 도 2를 참조로 하면, 상기 수증기 분사관(60c)은 제1끼움관(60c-2), 제2끼움관(60c-3), 및 몸통부(60c-4)로 구성된다. 제1끼움관(60c-2)은 수증기 분사관(60c)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박스(60a)의 하측홀(60a-1)에 끼움되도록 하측홀(60a-1)의 직경과 거의 같거나 그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고, 제2끼움관(60c-3) 또한 동일한 형태로 수증기 분사관(60c)의 하부에 형성되어 하부박스(60d)의 상측홀(60d-1)에 끼움되며, 제1끼움관(60c-2) 및 제2끼움관(60c-3) 사이에 형성되는 몸통부(60c-4)에는 가열히터(10)를 통해 생성된 수증기를 분사하는 수증기 분사홀(60c-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끼움관(60c-2) 및 몸통부(60c-4) 사이와 제2끼움관(60c-3) 및 몸통부(60c-4) 사이에는 상기 하측홀(60a-1) 및 상측홀(60d-1)에 상기 제1끼움관(60c-2) 및 제2끼움관(60c-3)을 끼움에 따라 형성될 수 있는 틈을 밀폐시키기 위해 제1끼움관(60c-2) 및 제2끼움관(60c-3)에 대응하는 동일한 홀을 갖고 몸통부(60c-4)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밀폐용 원판(60c-5)이 각각 설치되어 있어, 수증기 분사관(60c)을 각각 상부박스(60a) 및 하부박스(60d)에 연결시킨 후에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원판(60c-5) 주위를 완벽히 밀폐시켜 수증기가 연결틈 사이로 새어나가지 않게 함으로써 수증기 분사압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증기 분사관(60c)에 형성되어 있는 수증기 분사홀(60c-1)은 항온항습기의 상부에 설치된 송풍수단의 송풍 라인을 고려하여 기기 외부로 수증기가 배출되기 쉽도록 일방향으로 분사관(60c)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을 참조로 하면, 상면에 상측홀(60d-1)이 구비된 상기 하부박스(60d)는 상부박스(60a)를 지지하는 지지대(60b)의 하부에 그 좌우측이 연결되어 있고 상측홀(60d-1)을 통해 수증기 분사관(60c)과 연결되어 있어, 하부박스(60c)로 유입된 잔류 수증기를 다시 복수개의 수증기 분사관(60c)으로 분배하는 기능과 수증기 분배부(60)를 통한 수증기의 분사 시에 응축된 물을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추가적으로 하부박스(60c)의 측면에는 그 내부에 응축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응축수 토출관(60d-2)이 설치되어 있어, 일정 수위로 하부박스(60c) 내에 물이 수집되는 경우 응축수 토출관(60d-2)을 통해 그 수집된 물이 배출된다.
또한, 상기 하부박스(60d)의 하측에는 고정용 레그(60d-3)가 설치되어 있어, 수증기 분배부(60)를 용이하게 고정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수위상한배관(30d), 배수배관(30c), 또는 응축수 토출관(60d-2)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집하는 항온항습기의 수집팬으로부터 수증기 분배부(60)를 이격시켜 하부박스(60d)에 수집팬이 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하부박스(60d)의 증기열이 불필요하게 수집팬으로 전도되어 하부박스(60d)가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온항습기의 다중 가습분배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순서를 살펴보면, 온습도 감지부로부터 측정된 실내 습도와 온습도 컨트롤러에 설정된 습도를 비교하여, 측정된 실내 습도가 설정된 습도보다 낮은 경우, 가열히터(10)가 작동되어 그에 따라 본체부(40) 내의 물이 기화됨으로써 수증기가 발생되고, 그 발생된 수증기는 수증기 토출관(50)을 통해 상부박스(60a)로 유도되어 증기압에 따라 상부박스(60a)에 연결된 복수개의 수증기 분사관(60c)을 통해 건증기가 균일하게 분사되며, 잔류된 수증기는 하부박스(60d)로 유입되어 다시 수증기 분사관(60c)으로 분배되고 수증기 분사 시에 응축된 물은 하부박스(60d)로 수집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가습분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가습분배장치의 수증기 분사관을 도시한 사시도.

Claims (4)

  1. 외부로부터 제어신호 및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가열히터(10)와, 상기 가열히터(10)의 과열을 방지하는 온도조절부(20)와, 상기 가열히터(10)를 통해 가열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부(30)와, 상기 가열히터(10), 온도조절부(20), 및 수위조절부(30)가 설치되는 본체부(40)로 구성되는 항온항습기의 가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히터(10)로 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수증기를 소정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40) 상측에 설치되는 수증기 토출관(50)과;
    상기 수증기 토출관(50)을 통해 유도된 수증기를 받아들여 그 유도된 수증기를 분사하기 위한 수증기 분배부(60);로 구성되되,
    상기 수증기 분배부(60)는 상기 유도된 수증기를 받아들여 하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하측홀(60a-1)로 내보내도록 설치된 상부박스(60a)와, 상기 상부박스(60a)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박스(60a)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지지대(60b)와, 상기 상부박스(60a)의 하측홀(60a-1)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일측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수증기 분사홀(60c-1)이 구비된 수증기 분사관(60c)과, 상기 수증기 분사관(60c)의 타측이 연결되도록 상면에 복수개의 상측홀(60d-1)이 형성되고 좌우측이 상기 지지대(60b)에 연결되는 하부박스(60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기의 다중 가습분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박스(60d)의 측면에는 응축된 물을 토출하기 위한 응축수 토출관(60d-2)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기의 다중 가습분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분사관(60c)은 상기 하측홀(60a-1)에 끼움되는 제1끼움관(60c-2), 상기 상측홀(60d-1)에 끼움되는 제2끼움관(60c-3), 및 상기 제1끼움관(60c-2) 및 제2끼움관(60c-3)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고 상기 수증기 분사홀(60c-1)이 형성된 몸통부(60c-4)로 구성되되,
    상기 제1끼움관(60c-2) 및 몸통부(60c-4) 사이와 상기 제2끼움관(60c-3) 및 몸통부(60c-4) 사이에는 상기 제1끼움관(60c-2) 및 제2끼움관(60c-3)에 대응하여 동일한 직경을 갖는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통부(60c-4)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밀폐용 원판(60c-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기의 다중 가습분배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박스(60d)의 하측에는 상기 수증기 분배부(60)를 고정하기 위해 소정높이를 갖는 고정용 레그(60d-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기의 다중 가습분배장치.
KR1020080006313A 2008-01-21 2008-01-21 항온항습기의 다중 가습분배장치 KR100846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313A KR100846227B1 (ko) 2008-01-21 2008-01-21 항온항습기의 다중 가습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313A KR100846227B1 (ko) 2008-01-21 2008-01-21 항온항습기의 다중 가습분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227B1 true KR100846227B1 (ko) 2008-07-16

Family

ID=39824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313A KR100846227B1 (ko) 2008-01-21 2008-01-21 항온항습기의 다중 가습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2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5519A (zh) * 2019-06-25 2019-09-27 北京强度环境研究所 一种干蒸汽加湿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878Y1 (ko) * 1986-03-31 1989-06-08 윤인진 항온항습기
KR19980026737U (ko) * 1996-11-12 1998-08-05 원윤희 공조유닛용 일체형 가습기
KR20020087252A (ko) * 2001-05-15 2002-11-22 박병길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가열식 가습기
KR200407679Y1 (ko) 2005-11-22 2006-02-01 최영수 농산물 저장고 가습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878Y1 (ko) * 1986-03-31 1989-06-08 윤인진 항온항습기
KR19980026737U (ko) * 1996-11-12 1998-08-05 원윤희 공조유닛용 일체형 가습기
KR20020087252A (ko) * 2001-05-15 2002-11-22 박병길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가열식 가습기
KR200407679Y1 (ko) 2005-11-22 2006-02-01 최영수 농산물 저장고 가습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5519A (zh) * 2019-06-25 2019-09-27 北京强度环境研究所 一种干蒸汽加湿器
CN110285519B (zh) * 2019-06-25 2021-11-02 北京强度环境研究所 一种干蒸汽加湿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637B1 (ko) 공기조화기
KR100846227B1 (ko) 항온항습기의 다중 가습분배장치
CN208200971U (zh) 一种整体式智能温控蒸料通风制曲机
KR20130092093A (ko)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및 습도 제어 방법
KR20120011913A (ko) 미세분사노즐을 이용한 클린룸의 공조 시스템
CN113944017A (zh) 一种皮棉加湿器
KR101388073B1 (ko) 기화식 가습기가 구비된 에너지 절약형 항온항습기
JPWO2013180227A1 (ja) 加湿装置、加湿方法および加湿設備
KR20120013789A (ko) 미세 물 분무수단을 구비한 공조기
KR100346936B1 (ko) 수도직결식 순간 가습기
KR100955417B1 (ko) 빌트인 직수 연결형 가습기
KR102047673B1 (ko) 고온 살균 가습키트
KR200291796Y1 (ko) 액체가열 및 수증기 발생장치
KR100191541B1 (ko) 공기조화기의 시험설비용 가습장치
CN219934976U (zh) 一种锅炉用仪表设备
KR100276465B1 (ko) 증기가습장치
KR20130004218U (ko) 자연 가습장치
CN216203243U (zh) 湿度控制系统和防雾化设备
CN214895586U (zh) 一种可调式高温老化房
KR100397221B1 (ko)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가열식 가습기
JP2008116090A (ja) 暖房装置
JPS5824735A (ja) 恒温恒湿発生装置
CN207849331U (zh) 一种蒸汽发生器
KR20170079145A (ko) 기화식 가습기
KR20160131376A (ko) 증기압을 이용한 무동력 온수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