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984B1 - 프레스 금형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스 금형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984B1
KR100845984B1 KR1020070006560A KR20070006560A KR100845984B1 KR 100845984 B1 KR100845984 B1 KR 100845984B1 KR 1020070006560 A KR1020070006560 A KR 1020070006560A KR 20070006560 A KR20070006560 A KR 20070006560A KR 100845984 B1 KR100845984 B1 KR 100845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rcing
hole
punch
cam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호
Original Assignee
(주)금형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형산업 filed Critical (주)금형산업
Priority to KR1020070006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9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8Accessory tools, e.g. knives;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9/00Cutting apparatus combined with punching or perforating apparatus or with dissimilar cut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4Frames; Guides
    • B30B15/041Gu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0/00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 금형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하 작동하는 상형부(10)를 형성하며, 상기 상형부(10)의 지지하는 하형부(20)로 구성된 프레스 금형(1)에 있어서; 상기 상형부(10)의 일측에 형성시킨 가압부(110)와; 상기 상형부(10)의 내측에 형성되어 가압부(110)의 작동으로 패널(P)에 피어싱 홀을 가공하는 가공부(120)와; 상기 가공부(120)와 대향되어 스트립을 배출하는 배출부(130) 및; 상기 상형부(10)의 저면 타측으로 상형부(10) 하강시 상형부(1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70006560
상형부, 하형부, 경사캠, 고정블럭, 피어싱펀치

Description

프레스 금형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embedded mount-type piercing device for sloped CAM for press mold}
도 1 은 외장형 피어싱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 는 발명에 따른 프레스 금형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는 본 발명에 따른 상형부가 하강되어 프레스 금형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의 피어싱펀치가 패널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상형부가 하강되어 완충부재가 압축되면서 프레스 금형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의 피어싱펀치가 패널을 관통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금형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의 가공부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금형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의 배출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피어싱 장치 101: 삽입공간
102: 결합공간 110: 가압부
111: 경사캠 112: 경사면
120: 가공부 121: 고정블럭
122: 슬라이드공 122a: 단턱
123: 복원부재 124: 캠 슬라이더
125: 결합공 125a: 안착턱
126: 피어싱펀치 126a: 걸림턱
127: 펀칭수단 128: 무드볼트
129: 스페이스 130: 배출부
131: 배출블럭 132: 펀치홀
133: 스트립배출로 140: 가이드부
141: 스트리퍼 가이드 142: 안내홈
P: 패널
본 발명은 프레스 금형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메이커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기까지는 2만 내지 3만 여개의 부품을 수차례의 조립공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자동차의 차체는 제조과정의 첫 단계로서, 여러 종류의 프레스 장치를 통하여 패널을 생산한 후, 차체공장으로 옮겨와서 패널의 각 부분이 조립되어 화이 트 보디(B.I.W) 상태의 차체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패널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여러 종류의 프레스 장비를 통하여 일정한 형태로 가압 성형하는 성형공정 후, 트리밍(TRIMMING)과 피어싱(PIECING) 및 플랜지(FLANGE) 성형 등의 프레스 공정에서 절단, 홀 가공, 절곡등의 가공작업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가공작업이 절단, 홀, 절곡 등의 가공작업이 반복되면서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저하는 되고 여려 형태의 가공 프레스를 구비해야하므로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여러 형태의 가공 프레스를 구비하게 되면서 넓은 설치장소를 확보해야 하고, 이러한 여러 형태의 가공 프레스가 설치되면서 작업공간이 협소해져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제공하였다.
아울러, 피어싱(piercing) 가공은 구멍이 없는 재료에 펀치를 때려 박아 구멍을 뚫는 가공이나 작은 구멍에 펀치를 압입하여 구멍을 넓히는 작업으로 패널에 직접적으로 홀을 가공하게 되는 피어싱펀치와, 상기 피어싱펀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가공에 따라 가공물로부터 생성된 스크랩을 배출시키는 피어싱 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피어싱 가공은 경사진 패널의 부위에 수평 또는 비스듬하게 구멍이 형성될 경우에는 상하금형에 의해 소재가 제작된 후, 수작업 펀치를 사용하여 피어싱 작업을 하거나, 캠 방식의 펀치를 통해 피어싱 작업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수작업 펀치로서 소재에 피어싱 작업을 할 경우에는 별도의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고, 작업성이 불량해지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제품 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캠 방식의 펀치작업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형의 경우 하형부(20)위로 하강되는 상형부(10)을 따라 상형부(10)에 설치된 상형캠(41)이 하형부(20)에 설치된 하형캠(42)을 눌러주면 하형캠(42)이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옆으로 이동함에 따라 펀치(42a)가 전진하여 패널(P)에 구멍을 뚫게 되는데, 이러한 캠 방식의 펀치(42a)를 통한 피어싱 작업은 상형캠(41)과 하형캠(42)이 서로 부딪힐 펀치(42a)가 피어싱 홀 가공부에 정확히 일치하지 않게 되어 펀치(42a)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아울러, 외장형의 경우 대형 프레스 금형에서는 다관절 로봇을 이용하여 원활히 사용되어 연속작업을 진행할 수 있었으나, 소형의 경우 로봇 사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별도의 피어싱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목적은, 패널의 피어싱 홀 가공부에 대향하는 상형부의 스트리퍼 플레이트 내부에 경사캠 가압으로 작동되는 캠 슬라이더에 패널의 피어싱 홀 가공부와 대향되는 피어싱펀치를 형성하여 경사캠의 가압으로 스트리퍼 플레이트의 내부에서 피어싱펀치가 돌출되어 패널에 피어싱 홀을 간편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한 프레스 금형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 작동하는 상블럭의 상홀더 하측에 패널을 가공하는 스트리퍼 플레이트를 형성하되, 스트리퍼 플레이트를 스트리퍼 볼트로 고정하여 상홀더에서 이격되게 형성하고, 이격된 스트리퍼 플레이트를 가압하도록 상블럭에 완충부재를 구비한 상형부를 형성하며, 상기 상형부의 스트리퍼 플레이트와 대응되어 패널을 지지하는 다이을 형성하고, 다이 양측으로 다이 인서트를 형성하면서, 하측으로 하홀더를 구비하여 다이을 지지하는 하블럭을 형성한 하형부로 구성된 프레스 금형에 있어서; 상기 상형부의 상홀더 저면 일측에 상기 패널에 가공되는 피어싱 홀 가공위치과 대향하는 경사면을 구비한 경사캠을 형성시킨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경사캠과 대향되는 스트리퍼 플레이트에 삽입공간을 형성하여 삽입공간 내부에 복원부재의 완충력에 의해 가압부의 경사면에 상단면이 밀착되는 캠 슬라이더를 내부에 구비한 고정블럭을 형성하고, 캠 슬라이더에 일측단부가 결합되고 캠 슬라이더 작동으로 타측단부가 고정블럭에서 돌출되어 상기 패널의 피어싱 홀 가공위치와 대향하는 피어싱펀치를 구비한 가공부와; 상기 가공부의 고정블럭과 대향하는 다이에 결합공간을 형성하고, 결합공간 내부에 배출블럭을 형성하되, 배출블럭에 피어싱펀치와 대향되는 펀치홀을 구비하고, 펀치홀의 하측으로 스트립배출로를 형성한 배출부 및; 상기 상형부의 상홀더 저면 타측으로 스트리퍼 플레이트를 관통한 스트리퍼 가이드를 형성하고, 하형부의 다이 인서트에 스트리퍼 가이드를 안내하는 안내홈을 형성하여 상형부 상,하 이동시 피어싱펀치가 펀치홀에 일치 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레스 금형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는 상기 가공부의 캠 슬라이더는 경사면과 대향되어 피어싱펀치가 결합되는 결합공을 내부 중앙에 형성하되, 결합공의 하부에 피어싱펀치의 걸림턱이 안착되도록 안착턱을 형성하며, 결합공의 상부 내주연에 피어싱펀치를 고정하는 무드볼트가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레스 금형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는 상기 가공부의 고정블럭 캠 슬라이더가 삽입되도록 경사면과 대향된 슬라이드공을 경사지게 형성하되, 고정블럭을 관통하여 패널 피어싱 홀가공부에 대향되도록 형성하고, 슬라이드공의 하부측을 소직경으로 형성하여 복원부재를 지지하는 단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 는 발명에 따른 프레스 금형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 는 본 발명에 따른 상형부가 하강되어 프레스 금형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의 피어싱펀치가 패널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상형부가 하강되어 완충부재가 압축되면서 프레스 금형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의 피어싱펀치가 패널을 관통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금형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의 가공부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며,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금형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의 배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레스 금형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는; 상하 작동하는 상형부(10)를 형성하며, 상기 상형부(10)의 지지하는 하형부(20)로 구성된 프레스 금형(1)에 있어서; 상기 상형부(10)의 일측에 형성시킨 가압부(110)와; 상기 상형부(10)의 내측에 형성되어 가압부(110)의 작동으로 패널(P)에 피어싱 홀을 가공하는 가공부(120)와; 상기 가공부(120)와 대향되어 스트립을 배출하는 배출부(130) 및; 상기 상형부(10)의 저면 타측으로 상형부(10) 하강시 가공부(120)와 배출부(130)를 일치시키는 가이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스 금형(1)은 상하 작동하는 상블럭(11)의 상홀더(12) 하측에 패널(P)을 가공하는 스트리퍼 플레이트(13)를 형성하되, 스트리퍼 플레이트(13)를 스트리퍼 볼트(14)로 고정하여 상홀더(12)에서 이격되게 형성하고, 이격된 스트리퍼 플레이트(13)를 가압하도록 상블럭(11)에 완충부재(15)를 구비한 상형부(10)를 형성하며, 상기 상형부(10)의 스트리퍼 플레이트(13)와 대응되어 패널(P)을 지지하는 다이(23)을 형성하고, 다이(23) 양측으로 다이 인서트(24)를 형성하면서, 하측으로 하홀더(22)를 구비하여 다이(23)을 지지하는 하블럭(21)을 형성한 하형부(20)로 구성한다.
상기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100)의 가압부(110)는 상형부(10)의 상하방향 작동에 연동되도록 상홀더(12)의 저면 일측에 경사면(112)을 구비한 경사캠(111)을 구성한다.
여기서, 경사캠(111)의 경사면(112)은 패널(P)의 피어싱 홀 가공부와 대응되 도록 일측면에서 타측 저면으로 경사지게 형성한다.
상기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100)의 가공부(120)는 스트리퍼 플레이트(13)에 결합되는 고정블럭(121)과, 상기 고정블럭(121)의 내부에 결합되어 경사캠(111)의 가압으로 슬라이드 되는 캠 슬라이더(124)와, 상기 캠 슬라이더(124) 내부에 결합되어 경사캠(111) 작동시 고정블럭(121)에서 돌출되는 피어싱펀치(126)로 구성한다.
상기 가공부(120)의 고정블럭(121)은 가압부(110)의 경사캠(111)과 대향하는 스트리퍼 플레이트(13)의 내부에 삽입공간(101)을 형성하여, 삽입공간(101) 내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하며 이때 고정블럭(121)을 체결수단 등을 이용하여 견고히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고정블럭(121)의 내부를 관통하여 가압부(110)의 경사면(112)과 대향되는 슬라이드공(122)을 패널(P)의 피어싱 홀 가공부(120)와 대향 되도록 형성하고, 슬라이드공(122)의 하부측을 소직경으로 형성하여 복원부재(123)를 지지하는 단턱(122a)을 형성한다.
상기 가공부(120)의 캠 슬라이더(124)는 고정블럭(121)의 슬라이드공(122)에 하부측이 삽입되도록 하고, 그 하단면이 복원부재(123)에 밀착되어 상측단면이 가압부(110)의 경사면(112)에 밀착되도록 형성하며, 이때 경사캠(111)의 가압으로 복원부재(123)가 압축되면서 패널(P)의 피어싱 홀 가공부측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형성한다.
나아가, 캠 슬라이더(124)의 내부 중앙에 가압부(110)의 경사면(112)과 대향 되는 결합공(125)을 형성하되, 결합공(125)의 하부측을 소직경으로 형성하여 안착턱(125a)을 구비하며, 결합공(125)의 상부 내주연에 무드볼트(128)가 결합되도록 나사산을 형성한다.
아울러, 무드볼트(128) 하측으로 무드볼트(128)와 피어싱펀치(126)의 간격을 유지하거나 고정하는 피어싱펀치(126)를 고정하는 스페이서(129)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공부(120)의 피어싱펀치(126)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면서 상단부에 캠 슬라이더(124)의 안착턱(125a)에 안착되는 걸림턱(126a)을 형성하며, 하단부는 고정블럭(121)의 슬라이드공(122)을 관통하여 패널(P)의 피어싱 홀 가공부에 대향되도록 하며, 이때 피어싱펀치(126) 하부 끝단에는 패널(P)을 피어싱하기 위한 펀칭수단(127)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펀칭수단(127)은 자체 탄성에 의한 변형 및 복원성이 양호하며, 내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소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100)의 배출부(130)는 배출블럭(131)으로 구성한다.
상기 배출부(130)의 배출블럭(131)은 패널(P)의 피어싱 홀 가공부와 대응되도록 가공부(120)의 고정블럭(121)과 대향되는 다이(23)에 결합공간(102)을 구비하여 결합공간(102) 내부에 형성하며 이때 체결수단으로 견고히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배출블럭(131)의 상단부에는 피어싱펀치(126)의 펀칭수단(127)과 대 향되는 펀치홀(132)을 형성하고, 펀치홀(132)의 하부측으로 스트립을 배출하는 스트립배출로(133)를 형성한다.
아울러, 스트립배출로(133)는 외부로 관통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100)의 가이드부(140)는 상형부 하강시 피어싱펀치(126)가 펀치홀(132)에 일치되도록 스트리퍼 가이드(141)로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부(140)의 스트리퍼 가이드(141)는 가압부(110)의 경사캠(111)과 대향되는 상홀더(12) 저면 타측에 상부측이 지지고정되면서 하부측이 스트리퍼 플레이트(13)를 관통하도록 형성한다.
아울러, 하형부(20)의 다이 인서트(24)에 스트리퍼 가이드(141)를 안내하는 가이드 안내홈(14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패널(P)을 가공하도록 상형부(10)와 하형부(20)를 상호 이격시키며, 이때 상형부(10)의 상홀더(12)와 스트리퍼 플레이트(13) 상호 이격된 상태가 되며, 가압부(110)의 경사면(112)과 가공부(120)의 캠 슬라이더(124) 상단면은 복원부재(123)의 지지력에 의해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트리퍼 플레이트(13)와 다이(23)의 사이에 가공 대상물인 패널을 위치시킨 뒤 상형부(10)을 하부측으로 이동시켜 스트리퍼 플레이트(13)가 패널을 가압하여 다이(23) 측으로 밀착시키게 된다.
이때, 스트리퍼 플레이트(13)가 다이(23) 측으로 밀착되면 상블럭(11)이 하 부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해 완충부재(15)가 압축되면서 가압부(110)의 경사캠(111)의 경사면(112)이 가공부(120)의 캠 슬라이더(124)의 패널(P)의 피어싱 홀 가공부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블럭(11)이 하부측으로 지속적으로 힘을 가하여 완충부재(15)가 압축되고 상홀더(12)와 스트리퍼 플레이트(13)의 이격된 사이가 밀착되면서 패널(P)은 스트리퍼 플레이트(13)의 하부측과 다이(23)의 상부측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된다.
이와동시에 가공부(120)의 캠 슬라이더(124)은 경사캠(111)의 가압으로 패널(P)의 피어싱홀 가공부로 슬라이되면서 복원부재(123)는 압축되고 캠 슬라이더(124)에 결합된 피어싱펀치(126)의 펀칭수단(127)이 슬라이드공(122)에서 돌출되어 패널의 피어싱 홀 가공부에 밀착되면서 패널(P)을 관통하여 피어싱 홀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펀칭수단(127)이 패널(P)에 피어싱 홀을 형성하면서 펀치홀(132) 측으로 삽입되며, 패널(P)에 피어싱 홀이 형성되면서 발생하는 스트립은 스트립배출로(133)를 통하여 외부로 완전히 배출된다.
이와같이, 패널이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피어싱 홀이 형성되면 패널을 배출하기 위하여 상형부(10)를 다시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와동시에 상형부(10)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압축되었던 완충부재(15)가 팽창되면서 상형부(10)와 스트리퍼 플레이트(13)가 이격되고, 이때 가압부(110)의 경사캠(111)이 상형부(10)와 함게 연동되어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압축된 복원부 재(123)가 팽창되면서 캠 슬라이더(124)가 상측으로 슬라이드 된다.
이렇게 캠 슬라이더(124)가 상측으로 슬라이드 되면 펀치홀(132)에 유입된 펀칭수단(127)이 이탈되면서 피어싱펀치(126)가 슬라이드공(122) 내부로 유입되면서 상형부(10)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성형된 패널(P)을 다음 공정으로 배출 시킬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은 작업으로 패널을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작동되는 스트리퍼 플레이트 내측에서 패널(P)에 피어싱 홀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는 상형부 가압으로 패널을 가공시 스트리퍼 플레이트의 내부에 상블럭과 연동되는 경사캠에 의해 작동되는 피어싱펀치를 구비한 캠 슬라이더가 형성되어 스트리퍼 플레이트 내부에서 경사캠의 작동으로 피어싱펀치가 패널의 피어싱 홀 부위만을 효과적으로 피어싱 홀을 가공함으로써 패널 가공과 동시에 피어싱홀을 간편하게 가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는 피어싱 홀 가공후 발생되는 스크랩이 스크랩배출공으로 배출되므로 스크랩에 의한 펀칭수단의 파손을 줄일 수 있을 뿐만아니라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는 피어싱 홀 가공시 스트리퍼 플레이트와 다이에 의해 패널이 고정되어 피어싱 홀이 가공되므로 패널의 표면 손상을 억제시켜 패널의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패널 성형작업과 피어싱 홀 작업이 동시에 진행되어 제작기간의 단축과 제품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나아가, 스트리퍼 가이드에 의해 상형부가 하측으로 이동시 가공부의 피어싱펀치와 배출부의 펀치홀이 일치되어 피어싱펀치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여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상하 작동하는 상블럭(11)의 상홀더(12) 하측에 패널(P)을 가공하는 스트리퍼 플레이트(13)를 형성하되, 스트리퍼 플레이트(13)를 스트리퍼 볼트(14)로 고정하여 상홀더(12)에서 이격되게 형성하고, 이격된 스트리퍼 플레이트(13)를 가압하도록 상블럭(11)에 완충부재(15)를 구비한 상형부(10)를 형성하며, 상기 상형부(10)의 스트리퍼 플레이트(13)와 대응되어 패널(P)을 지지하는 다이(23)을 형성하고, 다이(23) 양측으로 다이 인서트(24)를 형성하면서, 하측으로 하홀더(22)를 구비하여 다이(23)을 지지하는 하블럭(21)을 형성한 하형부(20)로 구성된 프레스 금형에 있어서;
    상기 상형부(10)의 상홀더(12) 저면 일측에 상기 패널(P)에 가공되는 피어싱 홀 가공위치과 대향하는 경사면(112)을 구비한 경사캠(111)을 형성시킨 가압부(110)와;
    상기 가압부(110)의 경사캠(111)과 대향되는 스트리퍼 플레이트(13)에 삽입공간(101)을 형성하여 삽입공간(101) 내부에 복원부재(123)의 완충력에 의해 가압부(110)의 경사면(112)에 상단면이 밀착되는 캠 슬라이더(124)를 내부에 구비한 고정블럭(121)을 형성하고, 캠 슬라이더(124)에 일측단부가 결합되고 캠 슬라이더(124) 작동으로 타측단부가 고정블럭(121)에서 돌출되어 상기 패널(P)의 피어싱 홀 가공위치와 대향하는 피어싱펀치(126)를 구비한 가공부(120)와;
    상기 가공부(120)의 고정블럭(121)과 대향하는 다이(23)에 결합공간(102)을 형성하고, 결합공간(102) 내부에 배출블럭(131)을 형성하되, 배출블럭(131)에 피어싱펀치(126)와 대향되는 펀치홀(132)을 구비하고, 펀치홀(132)의 하측으로 스트립배출로(133)를 형성한 배출부(130) 및;
    상기 상형부(10)의 상홀더(12) 저면 타측으로 스트리퍼 플레이트(13)를 관통한 스트리퍼 가이드(141)를 형성하고, 하형부(20)의 다이 인서트(24)에 스트리퍼 가이드(141)를 안내하는 안내홈(142)을 형성하여 상형부(10) 상,하 이동시 피어싱펀치(126)가 펀치홀(132)에 일치 되도록 하는 가이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120)의 캠 슬라이더(124)는 경사면(112)과 대향되어 피어싱펀치(126)가 결합되는 결합공(125)을 내부 중앙에 형성하되, 결합공(125)의 하부에 피어싱펀치(126)의 걸림턱(126a)이 안착되도록 안착턱(125a)을 형성하며, 결합공(125)의 상부 내주연에 피어싱펀치(126)를 고정하는 무드볼트(128)가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120)의 고정블럭(121)은 캠 슬라이더(124)가 삽입되도록 경사면(112)과 대향된 슬라이드공(122)을 경사지게 형성하되, 고정블럭(121)을 관통하여 패널(P)의 피어싱 홀가공부에 대향되도록 형성하고, 슬라이드공(122)의 하부측을 소직경으로 형성하여 복원부재(123)를 지지하는 단턱(122a)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
KR1020070006560A 2007-01-22 2007-01-22 프레스 금형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 KR100845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560A KR100845984B1 (ko) 2007-01-22 2007-01-22 프레스 금형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560A KR100845984B1 (ko) 2007-01-22 2007-01-22 프레스 금형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5984B1 true KR100845984B1 (ko) 2008-07-11

Family

ID=39824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560A KR100845984B1 (ko) 2007-01-22 2007-01-22 프레스 금형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59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654B1 (ko) 2009-10-29 2011-12-01 아진산업(주) 다중 가공 프레스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551A (ko) * 2001-06-12 2002-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스용 피어싱 장치
KR20060014678A (ko) * 2004-08-11 2006-0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합 피어싱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551A (ko) * 2001-06-12 2002-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스용 피어싱 장치
KR20060014678A (ko) * 2004-08-11 2006-0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합 피어싱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654B1 (ko) 2009-10-29 2011-12-01 아진산업(주) 다중 가공 프레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24296B (zh) 一种五金带料双面无毛刺冲裁工艺以及无毛刺冲裁模具
KR101550023B1 (ko) 프레스 금형장치
CN205732472U (zh) 一种公用自行车车桩用钣金件冲压模具
KR20130109752A (ko) 패널의 측면부 포밍 및 피어싱을 동시에 수행하는 금형장치
US20190210092A1 (en) Forging method and forging apparatus
KR101498997B1 (ko) 헤드레스트 스테이 홈 성형 및 벤딩 장치
KR100845984B1 (ko) 프레스 금형의 내장형 경사캠 피어싱 장치
CN111729965B (zh) 一种电机端盖冲压模具
JPH0375247B2 (ko)
KR100903320B1 (ko) 프레스용 비드성형유닛
KR101382349B1 (ko) 프레스용 스크랩 취출장치
KR102512445B1 (ko) 다공정 일원화 프레스 금형장치
KR20100129614A (ko) 가공오일을 사용하지않는 밴딩금형
KR20160074247A (ko) 핫스탬핑 부품 제조용 금형장치
KR20080048278A (ko) 플랜지 성형용 프레스 장치
KR200235125Y1 (ko) 벤딩 성형용 프레스 금형 장치
CN113399560A (zh) 带有浮动凹模结构冲压件冲翻孔模具
CN212703918U (zh) 一种防带料的冲压模具
KR101674764B1 (ko) 프레스 성형 장치 및 방법
CN218252395U (zh) 一种新型模具脱料装置
KR960011543B1 (ko) 고정밀 블랭킹 가공장치 및 그 방법
KR101687600B1 (ko) 자동차 내장재 성형장치
CN220901644U (zh) 一种切边连续冲压模具及冲压设备
CN219211331U (zh) 一种异形板冲压模
CN220515191U (zh) 一种用于沉头孔加工的冲压模具及冲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