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821B1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저장소 윈도우를 시작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저장소 윈도우를 시작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821B1
KR100845821B1 KR1020060096077A KR20060096077A KR100845821B1 KR 100845821 B1 KR100845821 B1 KR 100845821B1 KR 1020060096077 A KR1020060096077 A KR 1020060096077A KR 20060096077 A KR20060096077 A KR 20060096077A KR 100845821 B1 KR100845821 B1 KR 100845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storage window
receiver
t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6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6729A (ko
Inventor
삼 시아우-시앙 지앙
Original Assignee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36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09Selective-repeat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2Details of sliding window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4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5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multipoint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7Evaluation or update of window size, e.g. using information derived from acknowledged [ACK]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4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ensuring sequence integrity, e.g. using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수신비확인 모드로 이전에 송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주기적으로 재송신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수신단의 저장소 윈도우를 시작하는 방법은, 수신단의 수신용 엔티티가 수립, 재수립된 후 또는 타이머가 만기가 된 후, 제1의 PDU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최고 번호 패킷의 순번이 되도록 정해진 상태 변수를 제1의 수신된 패킷의 순번에 따라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무선통신시스템의 예는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MBMS)를 가지는 범용 이동통신시스템(UMTS)이다.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저장소 윈도우를 시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a storage window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도 1은 종래기술에서 MBMS를 제공하는 UMTS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프로그램코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UM으로 동작하고 이전에 송신된 패킷들을 주기적으로 재송신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수신기의 저장소 윈도우를 초기화하는 절차들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MBMS를 제공하는 UMTS의 도면이다.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이 출원은 2005년 9월 29일자로 출원된 "METHOD AN APPARATUS FOR INITIATIING STORAGE WINDOW FOR OUT OF SEQUENCE DELIVERY IN MBMS APPLICATION"이란 명칭의 미국 임시출원 제60/596,507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저장소 윈도우를 초기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은 수신비확인 모드(Unacknowledged MOde; UM)로 동작하고 이전에 송신된 패킷들을 주기적으로 재송신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저장소 윈도우를 초기화하여 불필요한 패킷 삭제를 피함으로써 데이터 수신 효율을 증대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종래기술의 설명
근년의 이동통신기기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엔터테인먼트 및 정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들이 점점 더 널리 퍼지게 되었다. 제2세대(2G)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각 텍스트 메시지가 160개를 넘지 않는 문자들을 담고 있는 단문 메시징 서비스(SMS)로 대부분 제한된다. 약 3 내지 20Kbytes 범위의 단순 벨소리와 다른 소량의 데이터 파일들만이 다운로드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세서 코어 성능의 증대와 함께 2.5G 및 3G 모바일 네트워킹 기술의 발전으로, 이동통신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더 높은 데이터전송 용량에 도달하였고, 많은 새로운 유형들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이 개발되었다.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MBMS)를 일 예로 하면, MBMS는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MTS)의 토대 위에서 수립되며, 그것은 광대역 부호분할 다중접속(WCDMA)기술에 기초를 둔다. MBMS는 디지털 데이터 패킷들을 이용하여 서버들부터 다수의 사용자 기기들에 서비스콘텐츠를 전송한다. 또한 MBMS는 정보 브로드캐스팅/멀티캐스팅 기술들을 이용하여 데이터 스트리밍 및 다운로딩 서비스를 제공한다.
UMTS의 MBMS를 위해, 3G 파터너쉽 프로젝트(3GPP)는 무선링크제어(RLC) 통신프로토콜, 3GPP TS 25.322 V6.4.0을 정의하는데, 그것은 "아웃 오브 시퀀스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전달" 기능을 제공하여서, 수신비확인 모드(UM)로 동작하는 수신기는 송신기에 의해 주기적으로 재송신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더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수신비확인 모드로 동작한다는 것은, 비록 송신된 패킷들(PDU들)이 순번들(SN들)을 포함할지라도, 수신기는 패킷을 수신하거나 놓칠 때 수신상태를 송신기에 보고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UM에서, 송신기는 자신이 송신했던 패킷들이 성공적으로 수신되는지를 보증할 수 없다.
수신기가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할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송신기는 자신이 이미 송신했던 패킷들을 주기적으로 재송신할 수 있고, UM의 MBMS는 이 종류의 주기적 재송신 메커니즘을 이용한다. UM에서 수신기의 RLC 엔티티가 아웃 오브 시퀀스(out of sequence) SDU 전달 기능을 시작할 때, RLC 엔티티는 SDU들을 재결합하고 가능한 한 빨리 상위 프로토콜 층에 전달한다. 바꾸어 말하면, 이전의(하위) SN을 가지는 PDU가 아직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았더라도, 완전한 SDU를 포함하는 PDU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한, RLC 엔티티는 완전한 SDU를 상위층에 전달한다. 부가하여, 아웃 오브 시퀀스 SDU 전달 기능이 시작될 때, 재송신된 SDU가 수신기에 의해 효과적으로 재건(reconstruction)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수신기의 버퍼는 저장된 PDU의 모든 SDU들이 재건되기까지 PDU를 저장하고, 그 후 PDU는 버퍼로부터 삭제된다. 그것 외에도, 좋은 수신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 종래기술은 저장소 윈도우 및 타이머에 따라서 버퍼로부터 PDU들을 삭제한다.
아웃 오브 시퀀스 SDU 전달 기능을 위해, 위에서 언급된 규격은 또한 다음의 변수들 및 매개변수들을 정의한다:
1. VR(UOH): 수신된 모든 PDU들의 모든 SN들 중 최고를 나타내는 변수;
2. OSD_Window_Size: 저장소 윈도우의 크기를 나타내는 매개변수; 및
3. Timer_OSD: 저장소 윈도우 밖에 있는 다음 PDU를 수신하기 위해 기다리면서 허비된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 저장소 윈도우 바깥의 PDU가 수신될 때, 타이머는 그것이 활동중이 아니면 시작되거나 그것이 활동중이면 재시작된다. 타이머가 만료(만기)되어 끝나면, 수신기는 저장소 윈도우 내의 모든 PDU들을 삭제한다.
위에서 기재된 규격에 따르면, 수신기의 수신용 엔티티를 수립(establish)하거나 재수립한 후, 그리고 수신기가 제1의 PDU를 수신할 때, 제1의 PDU의 SN에 기초하여, 변수 VR(UOH)는 초기화되고 SN-1로 설정된다. 만일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PDU의 SN이 저장소 윈도우의 바깥에 있어, PDU의 SN이 집합 {x | VR(UOH) >= x > VR(UOH) - OSD_Window_Size} 안에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면, 변수 VR(UOH)는 PDU의 SN이 되도록 설정된다. 즉, VR(UOH)= SN이 된다. 부가적으로, 만일 타이머(Timer_OSD)가 만기되어 끝나면, 저장소 윈도우 내의 PDU들은 삭제된다.
아웃 오브 시퀀스 SDU 전달 기능을 이용하여, RLC 엔티티는 SDU들을 재조립하고 그것들을 가능한 빨리 상위층에 전달한다. 그러나, 일부 경우들에서, 종래기술은 SDU들을 효율적으로 재조립할 수 없다. 더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다음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 수신기의 변수 VR(UOH)가 초기화된 후, 만일 수신기가 송신기의 서비스 범위 밖으로 일시적으로 이동하고 타이머(Timer_OSD)가 송신기의 서비스 범위 속으로 움직여서 되돌아가기 전에 만기되어 끝난다면, 수신기는 저장소 윈도우 내의 모든 PDU들을 삭제하는데, 서비스 범위 밖으로 이동하기 전에 수신된 PDU들을 서비스 범위 속으로 되돌아가기 전에 수신된 PDU들과 잘못 결합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타이머(Timer_OSD)가 만기되어 끝나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메커니즘은 수신기가 기지국(즉, 송신기)의 서비스 범위 속으로 되돌아간 후에 PDU들을 제대로 결합하는 것을 실제로 방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을 참조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서 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UMTS의 도면이다. 예에서, MBMS는 UM로 동작한다. 간결함을 위해, 도 1은 송신기가 짧은 시간프레임 내에 수신기에 보내는 PDU들의 송신기에서의 송신상태 및 수신기에서의 수신상태만을 보인다.
저장소 윈도우의 크기가 32, 즉 OSD_Window_Size = 32라고 가정하면, 송신기는 수정기간들인 T_mod1, T_mod2 및 T_mod3 동안에 SN = 32 내지 63, SN = 64 내지 90, 및 SN = 21 내지 50을 각각 가지는 PDU들을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3개의 수정기간들(T_mod1, T_mod2 및 T_mod3)은 길이가 동일하고, 각각은 2개의 반복기간들인 T_rep1 및 T_rep2를 포함한다. 반복기간(T_rep1) 동안 송신된 패킷들은 반복기간(T_rep2) 동안 재송신되어서, 모든 패킷들의 성공적인 수신의 확률은 증가된다. 수정기간 T_mod3은 수정기간 T_mod2 직후에 뒤따를 필요가 없다. 수정기간 T_mod1 동안 수신기가 SN = 32 내지 63을 갖는 PDU들을 수신한 후, 수신기는 PDU들을 재결합하는 것에 의해 SDU들을 재조립하며, 재조립된 SDU들을 상위층에 전달하며, VR(UOH) = 63으로 설정하고, 저장소 윈도우의 범위를 집합 {x | 32 <= x <= 63}가 되도록 설정한다.
시점 t1에서, 수신기는 송신기의 서비스 범위 밖으로 이동한다. 타이머(Timer_OSD)가 만기되어 끝난 후(도 1에는 보이지 않음), 수신기는 시점 t2에 송신기의 서비스 범위 속으로 되돌아가게 이동한다. 타이머(Timer_OSD)가 만기가 되어 끝날 때, 수신기는 저장소 윈도우의 범위가 집합 {x | 32 <= x <= 63}으로 유지되는 저장소 윈도우 내의 모든 PDU들을 삭제한다. 바꾸어 말하면, 수신기는 시점 t1에 송신기의 서비스 범위 밖으로 이동하고 시점 t2에는 다시 서비스 범위 속으로 되돌아가게 이동하고, 저장소 윈도우 내의 PDU들의 삭제는 타이머(Timer_OSD)가 만기되어 끝나지만 저장소 윈도우의 범위를 변경 없이 유지한다면 시작된다. 수신기가 송신기의 서비스 범위 속으로 이동하여 되돌아가 간 후, 수정기간 T_mod3의 반복기간 T_rep1 동안, 수신기는 SN = 40 내지 50을 가지는 PDU들을 수신한다. SN = 40 내지 SN = 50이 저장소 윈도우의 범위에 들어가므로, SN = 40 내지 50의 PDU들은 버퍼에 저장된다. 그 후, 수신기는 수정기간 T_mod3의 반복기간 T_rep2 동안 SN = 21을 가지는 PDU를 수신한다. 이제, SN = 21이 저장소 윈도우의 범위 바깥에 있으므로, 변수 VR(UOH)는 21이 되도록 업데이트되어서, 40 내지 50의 SN들을 가지는 PDU들은 저장소 윈도우 바깥에 속하여, SN = 40 내지 50을 가지는 PDU들이 삭제되게 한다. 바꾸어 말하면, 타이머(Timer_OSD)가 만기가 되어 끝난 후, 수신기는 저장소 윈도우를 초기화하지 않을 것이어서, SN = 40 내지 50을 갖는 PDU들이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후, 그것들은 후속하여서는 버퍼로부터 삭제된다. 이것은 시스템 자원을 낭비한다. 만일 수신기가 SN = 40 내지 50을 가지는 PDU들을 수정시간 T_mod3의 반복시간 T_rep2 동안 완전히 수신하지 않으면, 수신기는 상응하는 SDU들을 성공적으로 재조립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비확인 모드(Unacknowledged MOde; UM)로 동작하고 이전에 송신된 패킷들을 주기적으로 재송신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저장소 윈도우를 초기화하여 불필요한 패킷 삭제를 피할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무선통신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비확인 모드(UM)로 동작하고 이전에 송신된 패킷들을 주기적으로 재송신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수신기의 저장소 윈도우를 초기화하는 방법은, 수신기의 수신용 엔티티가 수립완료되며, 재수립완료되며 또는 수신기의 타이머가 만료되어 끝난 후 그리고 수신기가 패킷을 수신할 때, 수신기에서 수신된 최고 번호의 패킷의 순번의 변수를 수신된 패킷의 순번에 따라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소 윈도우를 초기화하기 위한 무선통신기기로서, 이 무선통신기기는 수신비확인 모드에서 동작하고 이전에 송신된 패킷들을 주기적으로 재송신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며, 이 무선통신기기는 무선통신기기의 기능들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회로, 프로그램코드를 실행하여 제어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그램코드는, 무선통신기기의 수신용 엔티티가 수립완료되며, 재수립완료되거나, 또는 무선통신 기기의 타이머가 만료되어 끝난 후, 그리고 무선통신기기가 패킷을 수신할 때, 무선통신기기에서 수신된 최고 번호 패킷의 순번의 변수를 수신된 패킷의 순번에 따라 초기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런 및 다른 목적들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각종 그림들 및 도면들로 예시되는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을 읽은 후에는 의심 없이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현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UM으로 동작하고 이전에 송신된 패킷들을 주기적으로 재송신하는 통신시스템에서 PDU들의 불필요한 삭제를 피하는데 이용된다. 통신시스템은 MBMS를 제공하는 UMTS일 수 있다.
우선, 도 2를 참조한다. 도 2는 이동통신기기(200)의 블록도이다. 명료함을 위해, 도 2는 단지 이동통신기기(200)의 입력기기(202), 출력기기(204), 제어회로(206), 중앙프로세서(208), 메모리(210), 프로그램코드(212) 및 송수신기(214)만을 보인다. 이동통신기기(200)에서, 제어회로(206)는 메모리(210)에 저장된 프로그램코드(212)를 중앙프로세서(208)로써 실행하고, 그것에 의해 이동통신기기(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동통신기기(2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기기(202)(이를테면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거나, 또는 출력 신호는 출력기기(204)(이를테면 모니터, 스피커, 등)을 통하여 영상, 소리, 등과 같은 신호들을 출력한다. 송수신기(214)는 수신된 무선 신호들을 제어회로(206)에 전달하고 제어회로(206)에 의해 발생된 신호들을 무선으로 출력함으로써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고 송신하는데 이용된다. 통신프로토콜 구조에서, 송수신기(214)는 레이어 1의 일부로서 알려져 있는 반면, 제어회로(206)는 레이어 2 및 레이어 3의 기능들을 실현하는데 이용된다.
도 3을 참조한다. 도 3은 도 2의 프로그램코드(212)의 개요도이다. 프로그램코드(212)는 애플리케이션층(300), 레이어 3 인터페이스(302), 레이어 2 인터페이스(306) 및 레이어 1 인터페이스(318)를 포함한다. 신호를 송신할 때, 레이어 2 인터페이스(306)는 레이어 3 인터페이스(302)에 의해 출력된 데이터에 따라 복수 개의 SDU들(308)을 형성하고, 복수 개의 SDU들(308)을 버퍼(312)에 저장한다. 그 후, 레이어 2 인터페이스(306)는 버퍼(312)에 저장된 SDU들(308)에 따라 복수 개의 PDU들(314)를 생성하고 생성된 PDU들(314)을 레이어 1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수신지에 출력한다. 반면에, 무선 신호를 수신할 때, 무선 신호는 레이어 1 인터페이스(318)를 통하여 수신되고, 레이어 1 인터페이스(318)는 이 무선 신호를 PDU들(314)로 하여 레이어 2 인터페이스(306)에 출력한다. 레이어 2 인터페이스(306)는 PDU들(314)을 SDU들(308)로 복원하고, 그 SDU들(308)을 버퍼(312)에 저장한다. 끝으로, 레이어 2 인터페이스(306)는 버퍼(312)에 저장된 SDU들(308)을 레이어 3 인터페이스(302)에 송신한다. 무선 신호들이 수신될 때, 프로그램코드(212)가 SDU들(308)을 버퍼(312)에 저장하는지는 저장소 윈도우의 범위에 달려 있다. 만일 수신된 PDU의 SN이 저장소 윈도우의 범위 내에 들게 된다면, 정렬(sorting) 복제물 삭제 등과 같은 절차들이 실행된다. 한편, 만일 PDU의 SN이 저장소 윈도우의 범위 바깥에 있게 된다면, 저장소 윈도우를 전진시키는 것 등과 같은 절차들이 실행된 다.
무선통신기기(200)가 송신 완료된 패킷들을 주기적으로 재송신하는 어느 UM 통신시스템에서 또는 MBMS에서 동작할 때, 프로그램코드(212)는 아웃 오브 시퀀스 SDU 전달 기능을 시작하여 SDU들을 재조립하고 그것들을 가능한 한 빨리 상위층에 전달하는데, 그것은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이전의(낮은) SN을 가지는 PDU에 의해 운반된 SDU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완전한 SDU들을 포함하는 나중의(높은) SN들의 PDU들이 수신될 때, 프로그램코드(212)의 레이어 2 인터페이스(306)는 완전한 SDU들을 재조립할 것이고 그것들을 상위층에 전달할 것임을 의미한다. 아웃 오브 시퀀스 SDU 전달 기능이 종래기술에서 일어나는 것처럼 시작된 후에 저장소 윈도우 내의 PDU들이 불필요하게 삭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저장소 윈도우를 초기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4를 참조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절차(40)이다. 절차(40)는 UM으로 동작하고 이전에 송신된 패킷들을 주기적으로 재송신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수신기의 저장소 윈도우를 초기화하는데 이용된다. 이 절차(40)는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400: 시작.
단계 402: 수신기의 수신용 엔티티가 수립, 재수립되었거나, 또는 수신기의 타이머(Timer_OSD)가 만기되어 끝난다;
단계 404: 수신기는 PDU를 수신한다;
단계 406: 수신기는 수신된 PDU의 순번에 따라 변수 VR(UOH)를 초기화한다.
단계 408: 끝.
그러므로, 절차(40)에 따라서, 수신기의 수신용 엔티티가 수립, 재수립되거나, 또는 수신기의 타이머(Timer_OSD)가 끝나고(402), 수신기가 패킷을 수신(404)한 후, 변수 VR(UOH)는 수신된 패킷의 순번에 따라 초기화된다(406). 더욱이, 만일 SN이 저장소 윈도우의 바깥쪽에 들게 되는 PDU가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다면, 그것은 PDU의 SN이 집합 {x | VR(UOH) - OSD_Window_Size + 1 <= x <= VR(UOH)} 내에 있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변수 VR(UOH)는 PDU의 SN이 되도록 설정된다. 즉, VR(UOH) = SN이 된다. 부가하여, 만일 타이머(Timer_OSD)가 만기가 되었더라면, 저장소 윈도우 내의 PDU들은 삭제된다.
그래서, 아웃 오브 시퀀스 SDU 전달 기능을 시작하고 난 프로그램코드(212)에 의하면, 만일 무선통신기기(200)의 수신용 엔티티가 수립, 재수립되었거나 또는 타이머(Timer_OSD)가 만기가 되었고 무선통신기기(200)가 제1의 PDU를 수신한다면, 변수 VR(UOH)는 PDU의 SN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VR(UOH)= SN-1로 초기화된다. 바꾸어 말하면, 수립되거나 재수립된 수신용 엔티티의 경우들을핸들링하는 것에 더하여, 또한 본 발명은 타이머(Timer_OSD)가 만기가 되고 난 후에 변수 VR(UOH)를 초기화하고, 그것에 의해 저장소 윈도우의 위치를 변경한다. 그러므로, 만일 무선통신기기(200)가 일시적으로 송신기의 서비스 범위 바깥으로 이동하고 무선통신기기(200)가 이 송신기의 서비스 범위 속으로 이동하여 되돌아가는 시간을 타이머(Timer_OSD)가 경과하였다면, 무선통신기기(200)는 버퍼(314)에 저장된 모든 PDU들을 삭제하고 변수 VR(UOH)는 초기화된다. 이런 식으로, 저장소 윈도우의 위치는 초기화된 변수 VR(UOH)에 따라서 변경되고 나중에 수신되는 PDU들은 불필요하게 삭제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면, 도 5를 참조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절차(40)에 따라서 MBMS를 제공하는 UMTS의 도면이다. MBMS는 UM로 동작한다. 간략화를 위해, 도 5는 특정 기간 내에서 송신기 및 수신기 사이의 해당 PDU들의 송신 및 수신 상태들만을 보인다. 저장소 윈도우의 크기는 32, 즉 OSD_Window_Size = 32라고 가정한다. 송신기는 SN = 32 내지 63, SN = 64 내지 90 및 SN = 21 내지 50을 가지는 PDU들을 각각 수정기간 T_mod1, T_mod2 및 T_mod3 동안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3개의 수정기간들(T_mod1, T_mod2 및 T_mod3)은 길이가 동일하고, 각각은 2개의 반복기간들(T_rep1 및 T_rep2)을 포함한다. 반복기간 T_rep1 동안 송신된 패킷들은 반복기간 T_rep2 동안 다시 재송신될 것이어서, 모든 패킷들을 성공적으로 수신하는 확률은 증가한다. 수정기간 T_mod3는 수정기간 T_mod2를 바로 뒤따를 필요는 없다.
수신기가 SN = 32 내지 63의 PDU들을 수정기간 T_mod1 동안 수신한 후, 수신기는 수신된 PDU들을 상응하는 SDU들에 결합하고 그것들을 상위층에 전달한다. 또한 수신기는 VR(UOH)=63으로 설정하여 저장소 윈도우의 위치가 집합 {x | 32 <= x <= 63}이 되게 한다. 시점 t1에서, 수신기는 송신기의 서비스 범위 바깥으로 이동한다. 타이머(Timer_OSD)가 만기가 되고(도 5에서 보이지 않음)난 후, 수신기는 시점 t2에 송신기의 서비스 범위로 이동하여 되돌아간다. 타이머(Timer_OSD)가 만기가 되었을 때, 수신기는 저장소 윈도우 내의 모든 PDU들을 삭제하고, 변수 VR(UOH)는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제1의 PUD의 SN에 따라서 초기화된다. 즉, 본 발명의 절차(40)에 따르면 VR(UOH)= SN-1된다. 그래서, 수정시간 T_mod3의 반복시간 T_rep1 동안 수신기가 SN = 40의 PDU를 수신함에 따라, 본 발명은 VR(UOH)= 40으로 설정한다. (변수 VR(UOH)는 처음에 39로 초기화된다. 그러면, SN = 40이 저장소 윈도우의 바깥에 속하므로, VR(UOH)는 결국 40으로 설정된다.) SN = 50의 PDU가 수신될 때, VR(UOH)= 50이 되고 저장소 윈도우의 위치는 집합 {x | 19 <= x <= 50} = {x | 50-32+1 <= x <= 50}이 된다. 그 후, 수신기는 SN = 21을 갖는 PDU를 수정시간 T_mod3의 반복시간 T_rep2 동안 수신한다. 이제, SN = 21이 집합 {x | 19 <= x <= 50} 내에 있으므로, SN = 21이 저장소 윈도우의 범위 내에 있다. 그러므로, 저장소 윈도우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고, SN = 40 내지 50을 가지는 PDU들은 삭제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에서, 타이머(Timer_OSD)가 만기가 되고 난 후, 저장소 윈도우는 초기화되어 PDU들의 불필요한 삭제가 피해진다.
본 발명 절차(40)를 실현할 때, 이 기술분야에 친숙한 사람들에 의해 알려진 바와 같이, 디자이너들은 절차(40)를 통신기기(200)의 메모리(펌웨어)(210)에 프로그램코드(212)로서 기록(번인)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방법에서, 수신기의 수신용 엔티티가 수립, 재수립되었거나, 또는 수신기의 타이머가 만기(만료)가 되고 수신기가 제1의 PDU를 수신한 후, 수신기는 제1의 PDU의 SN에 따라 변수 VR(UOH)를 초기화한다. 그래서, 저장소 윈도우는 초기화되고 저장소 윈도우의 위치는 전진된다. 그것은 PDU의 불필요한 삭제를 피하고 그래서 SDU들을 재조립할 때 효율을 증가시킨다.
이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들은 기기 및 방법의 다수의 변형들 및 개조들이 본 발명의 가르침을 유지하면서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쉽사리 깨닫게 될 것이다. 따라서, 위의 개시내용은 첨부의 청구항들의 경계 및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으로 구성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비확인 모드(Unacknowledged MOde; UM)로 동작하고 이전에 송신된 패킷들을 주기적으로 재송신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저장소 윈도우를 초기화하여 불필요한 패킷 삭제를 피함으로써 데이터 수신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수신비확인 모드로 동작하며 이전에 송신된 패킷들을 주기적으로 재송신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수신기의 저장소 윈도우를 초기화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수신기의 수신용 엔티티가 수립되거나, 재수립되거나, 또는 수신기의 타이머가 만료된 후이면서 수신기가 패킷을 수신할 때, 상기 패킷의 순번에 따라, 수신기에서 수신된 최고 번호 패킷의 순번의 변수를 초기화하는 단계; 및
    저장소 윈도우를 초기화된 변수에 따라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저장소 윈도우를 초기화하기 위한 무선통신기기로서, 이 무선통신기기는 수신비확인 모드에서 동작하고 이전에 송신된 패킷들을 주기적으로 재송신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무선통신기기에 있어서,
    무선통신기기의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회로;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프로그램코드는,
    무선통신기기의 수신용 엔티티가 수립되거나, 재수립되거나, 또는 무선통신기기의 타이머가 만료된 후이면서 무선통신기기가 패킷을 수신할 때, 상기 패킷의 순번에 따라, 무선통신기기에서 수신된 최고 번호 패킷의 순번의 변수를 초기화하는 단계; 및
    저장소 윈도우를 초기화된 변수에 따라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무선통신기기가 실행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저장소 윈도우의 위치는 수신기에서 수신된 최고 번호 패킷의 순번의 변수 및 저장소 윈도우의 크기에 따라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수신기의 저장소 윈도우를 초기화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타이머는 저장소 윈도우 바깥에 있는 다음 패킷을 수신하기 전에 얼마나 많은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카운트하는데 이용되며,
    저장소 윈도우 바깥의 PDU가 수신될 때, 타이머는 비활동적이면 시작되거나 활동적이면 재시작되며, 그리고
    타이머가 끝나면, 수신기는 저장소 윈도우 내의 모든 PDU들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수신기의 저장소 윈도우를 초기화하기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수신기에서 수신된 최고 번호 패킷의 순번의 변수를 초기화하는 상기 단계는, 미리 정해진 값보다 작은 수신된 제1의 패킷의 순번과 동일하도록 변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수신기의 저장소 윈도우를 초기화하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값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수신기의 저장소 윈도우를 초기화하기 위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무선통신시스템은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수신기의 저장소 윈도우를 초기화하기 위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수신기의 아웃 오브 시퀀스 서비스 데이터유닛 전달 기능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수신기의 저장소 윈도우를 초기화하기 위한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저장소 윈도우의 위치는 무선통신기기에서 수신된 최고 번호 패킷의 순번의 변수 및 저장소 윈도우의 크기에 따라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기기.
  10. 제2항에 있어서, 타이머는 저장소 윈도우 바깥에 있는 다음 패킷을 수신하기 전에 얼마나 많은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카운트하는데 이용되며, 저장소 윈도우 바깥의 PDU가 수신될 때, 타이머는 비활동적이면 시작되거나 활동적이면 재시작되고, 그리고 만일 타이머가 끝나면, 무선통신기기는 저장소 윈도우 내의 모든 PDU들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기기.
  11. 제2항에 있어서, 무선통신기기에서 수신된 최고 번호 패킷의 순번의 변수를 초기화하는 상기 단계는, 미리 정해진 값보다 작은 수신된 제1의 패킷의 순번과 동일하도록 변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값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기기.
  13. 제2항에 있어서, 무선통신시스템은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기기.
  14. 제2항에 있어서, 무선통신기기의 아웃 오브 시퀀스 서비스 데이터유닛 전달 기능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기기.
KR1020060096077A 2005-09-29 2006-09-29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저장소 윈도우를 시작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KR1008458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9650705P 2005-09-29 2005-09-29
US60/596,507 2005-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729A KR20070036729A (ko) 2007-04-03
KR100845821B1 true KR100845821B1 (ko) 2008-07-14

Family

ID=37670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077A KR100845821B1 (ko) 2005-09-29 2006-09-29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저장소 윈도우를 시작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20521B2 (ko)
EP (1) EP1770893B1 (ko)
JP (1) JP4278662B2 (ko)
KR (1) KR100845821B1 (ko)
CN (1) CN1941741B (ko)
TW (1) TWI3109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9646B2 (en) * 2006-07-31 2013-02-1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WI405481B (zh) * 2007-05-18 2013-08-11 Innovative Sonic Ltd 無線通訊系統比較狀態變數或封包序號的方法及其相關裝置
WO2009019201A2 (en) * 2007-08-07 2009-02-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signaling in mbms networks
KR20100092033A (ko) * 2007-11-08 2010-08-19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결합된 매체 접근 제어(mac)및 무선 링크 제어(rlc)처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30294322A1 (en) * 2012-05-04 2013-11-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sequentially transmitting data
US10028311B2 (en) 2014-04-22 2018-07-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received PDCP PDUs for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102359265B1 (ko) 2015-09-18 2022-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세싱 장치 및 프로세싱 장치에서 연산을 수행하는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612A (ja) * 1993-06-29 1995-02-07 Kawasaki Steel Corp ゲートウェイ
KR20020041569A (ko) * 2000-11-28 2002-06-03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의 오류 프레임 합성 방법
KR20020071750A (ko) * 2001-03-06 2002-09-13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패킷 전송 방법 및 시스템, 및 패킷 송신 장치, 수신장치, 및 송수신 장치
KR20030012152A (ko) * 2001-07-30 2003-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Umts시스템에서 무선링크제어계층의 상태변수에 의한재전송방법
US20040013213A1 (en) 2002-07-18 2004-01-22 Hao Bi Receiver for and method of recovering transmitted symbols in a H-ARQ packet retransmission
KR20050088602A (ko) * 2004-03-02 2005-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7629B2 (en) 2000-11-30 2005-01-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packet data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798842B2 (en) * 2001-01-10 2004-09-28 Asustek Computer Inc. Retransmission range for a communications protocol
JP2002271442A (ja) 2001-03-07 2002-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lc通信装置及びrlc通信型判定処理方法
US7027392B2 (en) 2001-08-14 2006-04-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packet data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697523B2 (en) 2001-10-03 2010-04-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packet transpor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 internet protocol
KR100526525B1 (ko) * 2001-10-17 2005-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 재전송을 위한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557167B1 (ko) * 2001-11-02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재전송 장치 및 방법
ATE460801T1 (de) * 2002-01-03 2010-03-15 Innovative Sonic Ltd Mechanismus zur vermeidung eines datenstromabbruchs in drahtlosen hochgeschwindigkeits-kommunikationssystemen mittels eines zeitschalters
KR100747464B1 (ko) * 2002-01-05 2007-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hsdpa)시스템을 위한타이머를 이용한 교착상황 회피방법
KR100541015B1 (ko) * 2002-02-04 2006-01-10 아스텍 컴퓨터 인코퍼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폐기 신호 절차
US20030202475A1 (en) * 2002-04-25 2003-10-30 Qingxin Chen Multiplexing variable-rate data with data services
KR101000699B1 (ko) 2004-04-19 2010-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링크 제어계층에서의 데이터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612A (ja) * 1993-06-29 1995-02-07 Kawasaki Steel Corp ゲートウェイ
KR20020041569A (ko) * 2000-11-28 2002-06-03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의 오류 프레임 합성 방법
KR20020071750A (ko) * 2001-03-06 2002-09-13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패킷 전송 방법 및 시스템, 및 패킷 송신 장치, 수신장치, 및 송수신 장치
KR20030012152A (ko) * 2001-07-30 2003-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Umts시스템에서 무선링크제어계층의 상태변수에 의한재전송방법
US20040013213A1 (en) 2002-07-18 2004-01-22 Hao Bi Receiver for and method of recovering transmitted symbols in a H-ARQ packet retransmission
KR20050088602A (ko) * 2004-03-02 2005-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70893B1 (en) 2017-05-31
TWI310911B (en) 2009-06-11
JP4278662B2 (ja) 2009-06-17
JP2007097124A (ja) 2007-04-12
US20070071008A1 (en) 2007-03-29
EP1770893A2 (en) 2007-04-04
US8520521B2 (en) 2013-08-27
EP1770893A3 (en) 2010-11-17
TW200713044A (en) 2007-04-01
KR20070036729A (ko) 2007-04-03
CN1941741B (zh) 2011-04-20
CN1941741A (zh) 200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6999B1 (en) Apparatus for enhanced um rlc data handling
KR10127684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태 보고 메시지 전송 방법 및이를 지원하는 송수신기
KR10103290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폴 기능을 트리거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45821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저장소 윈도우를 시작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KR100774856B1 (ko) 제어 메시지를 사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EP181172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status report for retransmission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U2701523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синхронизации в передачах в режиме без соединения
US7733826B2 (e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of default timer configurations of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01652951A (zh) 重发请求发送方法及接收端装置
WO2018130059A1 (zh) 数据包传输方法及装置
TWI405481B (zh) 無線通訊系統比較狀態變數或封包序號的方法及其相關裝置
US88735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reset of evolved 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ent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20070080242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를 리세트하는방법 및 이와 관련된 장치
EP1852995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handling a variable of a RLC reset procedure during receiver-side-only re-establish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99331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lling transmission statu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13365308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JP474210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リセットを処理するリセット処理方法及び通信装置
WO2023041016A1 (zh) 多播业务的状态变量指示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