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537B1 -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화학 약품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는 코팅을 부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화학 약품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는 코팅을 부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537B1
KR100845537B1 KR1020037003645A KR20037003645A KR100845537B1 KR 100845537 B1 KR100845537 B1 KR 100845537B1 KR 1020037003645 A KR1020037003645 A KR 1020037003645A KR 20037003645 A KR20037003645 A KR 20037003645A KR 100845537 B1 KR100845537 B1 KR 100845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cyanate
coating
substrate
chemicals
anionic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3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1184A (ko
Inventor
그라니에벵상
부스트만우베
Original Assignee
로디아 쉬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디아 쉬미 filed Critical 로디아 쉬미
Publication of KR20030031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03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transformed in a latent form by physical means
    • C08G18/705Dispersion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in a liquid medium
    • C08G18/706Dispersion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in a liquid medium the liquid medium being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에 내화학성이 우수한 코팅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폴리올 수성 현탁액에,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기재의 조성물, 및 음이온기를 함유하는 친수성 부분 및 탄화수소 라디칼을 함유하는 친유성 부분을 나타내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수중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 에멀전을 형성하고; b) 단계 a)에서 얻어진 상기 혼합물을 상기 기판의 목재 표면에 적용하고; c)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상기 폴리올과 반응시켜 폴리우레탄 코팅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또한 에틸렌일옥실 및/또는 프로필렌일옥실 단위가 최소한 1 단위, 유리하게는 최소한 5 단위,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7 단위인,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사슬의 단편(fragment)을 포함하고,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기재의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에 결합된 형태의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30 질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친수성, 친유성, 내화학성

Description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화학 약품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는 코팅을 부여하는 방법 {PROCESS FOR CONFERRING, ON A SUBSTRATE COMPRISING A WOODEN SURFACE, A COATING HAVING A GOOD PROPERTIES OF RESISTANCE TO ATTACK BY CHEMICALS}
본 발명은 목재 기판 또는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에 높은 내화학성을 나타내는 코팅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대상은 목재로 된 실내 장식(interior)의 표면, 특히 바닥, 문, 벽, 스커팅 보드(skirting board), 가구 또는 자동차의 내부 장식과 같이 가정용 또는 공용의 목재 표면에 높은 내화학성을 나타내는 코팅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목재 표면은 각종 화학물질들이 침투하기 쉬우므로, 페인트 또는 바니시(varnish) 코팅에 의해 보호되어야 한다.
특히, 목재로 된 실내 장식의 표면 및 이와 관련 있는 제품의 외양을 해치는 화학물질들로는, 목재 표면을 청소하는데 사용되는 세제, 지방성 제품 및 커피, 겨자, 식초, 우유 또는 와인, 특히 레드 와인과 같은 특정 식품을 들 수 있다.
목재로 된 실내 장식 표면의 외양을 해치는 지방성 제품으로는 화장품 크림, 일광 차단제 등을 들 수 있으며, 목재 표면에 바니시와 같은 보호 코팅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이들과 접촉 시에는 보통 그 표면상에 제거하기 힘든 자국, 착색 또는 필름 등이 우발적으로 남게 된다.
이에 따라, 목재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계 페인트 또는 바니시로 코팅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런 코팅은 보호하려는 표면에 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적용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는 폴리올의 하이드록시 작용기와 반응하여 폴리우레탄 네트워크(network)를 형성한다.
목재는 열에 민감하기 때문에 목재에 형성한 코팅은 상온에서 건조하며, 실제로는 고온에서 건조해도 그 온도는 60℃를 초과하지 않는 온도에서 건조한다.
또한, 제1 성분부를 형성하는 폴리올 수지 및 제2 성분부를 형성하는 이소시아네이트 수지의 두 성분에 대한 "2K" 시스템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즉, 코팅 적용 전에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한 조성물을 코팅으로 적용하기 전에 이 두 성분을 간단히 혼합한다.
상기 폴리올 및 경화제는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전(emulsion) 상태일 수 있다.
특히, 가내에서의 휘발성 유기 용매 사용에 관한 법률 변화 및 환경 문제로 인해, 현재는 표면 처리 시 유기 용매의 사용을 피하고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성 에멀전을 적용하는 추세로, 사용 전 폴리올을 포함하는 상기 에멀전에 경화제를 첨가한다.
본 발명의 에멀전 형태에 있어 나타나는 주요한 문제 중 하나는, 이소시아네 이트 조성물 및 폴리올 간의 점도차로 인해 수성 폴리올 에멀전과 경화제를 수동으로 혼합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실제로, 가정 용품 표면에 적용하는 코팅은 통상적으로 혼합 기계 장치에 의존하지 않고, 사용자가 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폴리올 성분을 수동 혼합하여 코팅 적용한다.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소수성(hydrophobicity)이므로 이 소수성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수상(aqueous phase)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에 친수성을 부여하거나 또는 높은 전단력을 발휘하는 별도의 장치에 의존할 필요가 있다.
그 외에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개질하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친수성을 부여함으로써, 수중에서 분산될 수 있거나 스스로 유화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미국 특허 5,252,696에는 폴리에테르의 하이드록시기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NCO 작용기와 반응시킴으로써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친수성 폴리에테르기를 그라프트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의 수성 에멀전으로 얻은 코팅은 내화학성이 불충분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성 폴리올 에멀전 내에서, 문제점 없이 특히 수작업으로 혼합할 수 있는, 경화제로서 작용하는,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비블록화 조성물 또는 블록화도가 낮은 조성물로부터 출발하는 폴리우레탄 형태의 코팅을,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높은 비율의 유기 용매의 혼합에 의해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점도를 낮출 필요 없이, 수성 폴리올 에멀전 내에서 어려움 없이 혼합될 수 있는 조성물로부터 출발하는 전술한 형태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며 마스킹 되지 않거나(unmasked) 혹은 약하게 마스킹된(weakly masked) 조성물로부터 출발하는 상기 형태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수성 폴리올 에멀전 내에서의 혼합 및 목재 표면을 가지는 기판에의 적용 후에도, 높은 경도를 갖는 코팅을 얻는 것을 가능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형태의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개시되는 상기 형태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코팅은 표면 외관(surface appearance)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며 내화학성이 높은 조성물로부터 개시되는 상기 형태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WO 97/31960에는 수상 내에서 자기 분산이 가능하고(self-dispersible), 페인트 및 바니시 응용을 위해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는 전술한 형태의 이소시아네이트로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여 강 시트(steel sheet)의 코팅에 적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이 같은 형태의 경화제는 차체(car body) 또는 교량, 강(steel) 구조 공사 등과 같은 외부 강(steel) 구조물의 코팅에 사용된다.
본 발명자들은 WO 97/3196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목재 표면에 적용하는 경우 바람직한 결과, 특히 고경도 및 우수한 내화학성을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대상은, 높은 경도 및, 화학약품의 공격에 높은 내성을 갖는 코팅을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폴리올 수성 현탁액에,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기재의 조성물, 및 음이온기를 함유하는 친수성 부분과 탄화수소 라디칼을 함유하는 친유성 부분을 가지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수중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 에멀전을 형성하되, 이 때, 상기 음이오선 계면 활성제는 또한 에틸렌일옥실(ethylenyloxyl) 및/또는 프로필렌일옥실(propylenyloxyl) 단위가 최소한 1 단위, 유리하게는 최소한 5 단위,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7 단위인,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사슬의 단편(fragment)을 포함하고,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기재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에 결합된 형태의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30 질량% 미만으로 포함하고;
b) 단계 a)에서 얻어진 상기 혼합물을 상기 기판의 목재 표면에 적용하고;
c)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상기 폴리올과 반응시켜 폴리우레탄 코팅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올 조성물 내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내에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과 동시에 폴리올의 수성 현탁액에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기재의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화학 결합을 통해 결합하는 형태가 아니라 현탁액 내에 본래 자유로운 형태(essentially free form)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는 작용기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래 자유로운 형태"란,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기재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30 질량% 미만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유리하게는 20 질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미만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결합된 형태임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아릴 및/또는 알킬의 설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 또는 아릴 또는 알킬의 포스포네이트, 포스피네이트 및 설포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작용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상기 음이온성 작용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사슬의 단편 및 탄화수소 라디칼계 친유성 부분으로 형성된 친수성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친유성 부분은 알킬기 및 아릴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C6-C30의 알킬기 및 아릴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하기 식에 해당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참고할 수 있다:
Figure 112003008653458-pct00001
(상기 식에서,
- 상기 q는 0 또는 1이고;
- 상기 p는 1 또는 2의 정수이고;
- 상기 m은 0, 1 또는 2의 정수이고;
- 상기 X 및 X'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2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렌 잔기를 나타내고;
- 상기 s는 0, 또는 1 내지 30 범위의, 유리하게는 5 내지 25 범위의, 바람직하게는 9 내지 20 범위의 정수이고(닫힌 범위, 즉 그 한계값을 포함함);
- 상기 n은 0, 또는 1 내지 30 범위의, 유리하게는 5 내지 25 범위의, 바람직하게는 9 내지 20 범위의 정수이고(닫힌 범위, 즉 그 한계값을 포함함);
- 상기 E는 인 및 황에서 선택되는 원소이며;
- 상기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임의로 치환된 C6 -C30의 아릴 및 C1-C20의 알킬로부터 선택되는 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내며, 유리하게는 임의로 치환된 C10-C20의 알킬로부터 선택되는 탄화수소 라디칼임).
이것은 바람직한 화합물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지만, 상기 E가 인이라면 상기 s 및/또는 n은 0일 수 있고, 상기 s 및 n이 0인 경우, 각각의 R1 및/또는 R2는 C8 내지 C12의 알킬, 유리하게는 C8 내지 C12의 가지형 알킬이거나, C12 내지 C16의 아르알킬 또는 C10 내지 C14의 알킬아릴이다.
또한, 상기 2가 라디칼 X 및 X' 중 하나는 피로인산의 대칭성 또는 비대칭성 디에스테르와 같은 피로산(pyroacid)을 형성하도록 ([EOm(O-)p]) 형태의 라디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의 총 탄소수는 유리하게는 대략 최대 100이고, 바람직하게는 최대 50이다.
또한, 상기 2가 라디칼 X 및 X'는 하기의 2가 라디칼들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유리하다(하기 식의 왼쪽 부분이 E에 결합됨):
ㆍ 상기 E가 P인 경우, 상기 X 및 X' 라디칼 중 하나가 O-P(O)(O-)-X"-일 수 있고;
ㆍ 상기 E가 P인 경우, 상기 X 및 X' 라디칼 중 하나가 -O-(R10-O)P(O)-X"일 수 있고;
상기 R10은 1 단위 이상의 에틸렌일옥실 또는 프로필렌일옥실, 유리하게는 최소 5 단위의, 바람직하게는 최소 7 단위의 에틸렌일옥실 또는 프로필렌일옥실을 포함하는 C2 내지 C30의 탄화수소 잔기이며, 상기 X"는 산소 원자 또는 단일 결합이고;
ㆍ 상기 E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단편의 첫 번째 에틸렌이 직접 결합하고;
ㆍ 메틸렌은 임의로 치환되고, 이 경우, 메틸렌은 부분적으로 기능화된 것이 유리하고;
ㆍ 팔(arm)은 -Y-, -D-Y-, -Y-D- 또는 -Y-D-Y'의 구조를 가지며, 이 경우
→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상기 Y 및 Y'는, 유리하게는, 가장 가벼운 것, 다시 말해 황 및 특히 산소로부터 선택되는 칼코겐이거나, 또는 인이 속한 원자열과 기껏해야 동일하고 5B족에 속하는 원자열로부터 선택되는, 3급 아민 또는 포스핀 유도체(그 라디칼은 유리하게는 최대 4개의, 바람직하게는 최대 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3급 성질을 나타냄)의 형태인 메탈로이드 원소인 것이 유리하며, ;
→ 상기 D는 임의로 치환된 것이며, 기능화된 것, 알킬렌을 포함하며, 유리하게는 에틸렌 또는 메틸렌, 바람직하게는 -D-Y- 구조, 특히 -Y-D-Y' 내 에틸렌 및 -Y-D- 구조 내 메틸렌임.
상기 E가 인인 경우, 상기 식 (Ⅰ)은 하기 식 (Ⅱ)가 되며:
Figure 112003008653458-pct00002
,
상기 q가 0인 경우, 상기 식 (Ⅱ)는 하기 식이 된다:
Figure 112003008653458-pct00003
(상기 식들에서,
ㆍ 상기 p는 0, 1 또는 2인 정수이고;
ㆍ 상기 m은 0, 1 또는 2인 정수이고;
ㆍ 합계 p+m+q는 최대 3이고;
ㆍ 합계 1+p+2m+q는 3 또는 5이고;
ㆍ 상기 X 및 X'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2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렌 잔기를 나타내고;
ㆍ 상기 n은 5 내지 30 범위의, 유리하게는 5 내지 25 범위의, 바람직하게는 9 내지 20 범위의 정수이고(닫힌 범위, 즉 그 한계값을 포함함);
ㆍ 상기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은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이 유리하게는 임의로 치환된, 특히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르 원자로 치환된 아릴 및 알킬로부터 선택되는 탄화수소 라디칼이다.
상기 식들에서, 상기 에틸렌옥실기는 부분적으로 프로필렌옥실기로 대체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에틸렌옥실기를 함유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원소들의 주기율표는 뷜땡 드 라 소시에떼 시미끄 드 프랑스(Bulletin de la Societe Chimique de France)의 부록(1966년 1월, No.1)을 이용하였다.
알킬렌, 특히 메틸렌(X 및 X')의 임의의 기능화는 친수성 작용기(상기 [EOm(O-)p]로 나타낸 것을 포함하는 3급 아민 및 기타 음이온성 작용기)에 의해 수행된다.
상대 양이온은 1가인 것이 유리하고, 무기 양이온 및 유기 양이온, 유리하게는 4급 또는 3급의 비친핵성, 특히 포스포늄, 암모늄과 같은 5족, 또는 설포늄과 같은 6족 등의 "오늄(onium)"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아민, 유리하게는 3급 아민에서 생성되는 암모늄 형태의 상대 양이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와 반응하는 수소를 갖는 유기 양이온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양이온은 크라운 에테르(crown ether)와 같은 상전이제(phase transfer agent)에 의해 봉쇄(sequestered)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또는 무기 양이온의 pKa는 8 내지 12 범위에 있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양이온 및 특히 암모늄에 대응하는 아민은 계면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나, 수상(aqueous phase) 내 및 사용 시 농도에서 상기 음이온성 작용기 및 유리하게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의 단편을 함유하는 화합물의 용해성이 충분히 보장되는 어느 경우에도 용해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늄" 작용기 당 최대 12개, 유리하게는 최대 10개, 바람직하게는 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3급 아민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민은 N-메틸모르폴린과 같이 기타 작용기, 특히 아미노산의 작용기 및 환형 에테르 작용기에 해당하는 작용기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기타 작용기로는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와 반응하지 않는 형태인 것이 유리하고, 수상에서 용해성을 유효한 정도까지 저하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민으로는 트리에틸아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중화된 형태로서, 물에 용해되는 중에 또는 물과 접촉하는 중에 유도된 pH가 최소 3, 유리하게는 pH 4, 바람직하게는 pH 5이고, 최대는 pH 12, 유리하게는 최대 pH 11, 바람직하게는 최대 pH 10이다.
E가 인(phosphorus)인 경우,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의 혼합물을 몰 비 1/10 내지 10의 범위, 유리하게는 1/4 내지 4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물은 1 질량% 내지 대략 20 질량% 이하,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1 질량% 내지 10 질량% 미만의 인산 및 0 내지 5 질량%의 피로인산 에스테르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음이온성 화합물이 상기 pH 영역 내에 존재하기 위해서는 상기 인산이 염화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염화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에서, 에틸렌옥실기의 일부가 프로필렌옥실기로 대체될 수 있다. 그러나, 에틸렌옥실기가 주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임의의 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알킬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호모축합 또는 헤테로축합 생성물, 특히 요소, 우레탄, 알로파네이트(allophanate) 또는 에스테르 아미드 작용기를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를 가지며, "바이유레트(Biuret)" 형태, "삼량체(trimer)" 형태, 실제로는 프리폴리머(prepolymer) 형태의 생성물을 함유하는 상기 형태의 호모축합 또는 헤테로축합 생성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품명 "Tolonate"(Rhodia, 프랑스)로 시판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통상적으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하기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의 호모축합 또는 헤테로축합 생성물이 바람직하다:
-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 1,12-도데칸 디이소시아네이트,
- 시클로부탄 1,3-디이소시아네이트,
- 시클로헥산 1,3 및/또는 1,4-디이소시아네이트,
- 1-이소시아나토-3,3,5-트리메틸-5-디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 2,4 및/또는 2,6-헥사하이드로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 헥사하이드로-1,3- 및/또는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 퍼하이드로-2,4'- 및/또는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 1,3- 및/또는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 2,4- 및/또는 2,6-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 디페닐메탄 2,4'- 및/또는 4,4'-디이소시아네이트,
- 4-이소시아나토메틸옥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LTI 또는 NTI),
- 트리페닐메탄 4,4',4"-트리이소시아네이트,
-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 노보네인(norbornane)(NBDI),
- 2-메틸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에 유기 용매를 첨가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상기 조성물의 점도를 낮추기 위해서, 또는 코팅막의 광학적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일정량의 유기 용매를 첨가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이 첨가될 폴리올의 성질에 따라, 결합된 이소시아네이트의 질량에 대해 최대 50 질량%, 유리하게는 최대 4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35 질량%의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적합한 용매로는 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상품명 Proglyde DMM(R)(Dow 제조)로 시판되는 것과 같은 프로필렌 디메틸글리콜, 또는 케톤, 프로필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또는 부틸 에틸렌 글리콜 아세테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대한 이소시아네이트의 질량비는 통상적으로 최대 1/3이고, 유리하게는 최대 20%, 바람직하게는 최대 10%이다.
또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대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의 질량비는 1% 이상인 것이 유리하며,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계면활성제들의 양은, 상기 조성물의 리터(L) 당 인 또는 황 원자 10-2 내지 1, 유리하게는 인 또는 황 원자 5×10-2 내지 0.5의 값에 상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대한 이소시아네이트의 질량비는 최소 2%인 것이 유리하고, 바람직하게는 최소 4%이며, 최대 20%, 바람직하게는 최대 10%이므로, 이런 질량비는 2% 내지 대략 20% 범위인 것이 유리하고, 4% 내지 대략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또는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작용기, 및 유리하게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의 단편, 바람직하게는 최소 5 단위의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의 단편을 포함하는 시약일 수 있다.
또한, 임의의 계면활성제는 기타 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거나 사슬 말단에서 블록화되거나 블록화되지 않은 비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비록 상기 비이온성 화합물이 페인트 조성물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바람직한 효과를 나타내더라도, 적어도 1개의 사슬에 알코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비이온성 화합물은 (자기)유화 효과가 다소 바람직하지 않으며, 이 같은 관점에서 이런 형태의 화합물 함량은 본 발명의 음이온성 화합물 질량의 최대 1/3, 유리하게는 1/5, 바람직하게는 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이 있는 화합물, 상기 음이온성 화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간의 질량 비율은 4 내지 대략 10 % 범위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로 잠재적인 촉매(외부 시약의 작용에 의해 유리 될 수 있는 것으로, 이를테면 가시광선, 자외선 또는 산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은 수용성 또는 수중 분산 가능(water-dispersible)한 형태의 수성 매체 내에 있다.
이 같은 상태의 폴리올은 수성 용액일 수 있으며, 특히 이온성 기의 중화, 또는 물 속 또는 라텍스 형태의 분산액 내에서 폴리머의 유화 이 후 얻어질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이 만약 본 발명에서 정의한 계면활성제를 적절히 포함한다면, 수성 폴리올 에멀전에 수동으로 첨가되므로, 이들의 혼합물을 스파출라(spatula)로 교반한다.
이 같은 유화 단계(emulsification)는 50℃ 미만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수행한다. 필요에 따라, 유화 중에 pH 값을 최소 pH 3, 최대 pH 11, 바람직하게는 pH 4 내지 10의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형태에 따라,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기 전, 색소, 특히 티타늄 바이옥사이드를 폴리올 또는 폴리올들에 분산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분산 또는 유화 단계 이 후 수중 성분의 합계는 조성물 전체에 대해 30 내지 70 질량%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위한 연구 도중, 물이 특정 비율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특히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에 여러 가지 위험한 반응들이 발생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수상 내 본 발명에 따른 이소시아네이트 및 계면활성제의 총합에 대한 물의 질량비가 10-2 내지 1/2의 범위인 경우를 피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만약 위험도가 높아진다면, 이들의 비율이 10-3 내지 1 범위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폴리올은 하이드록시 레벨이 수지 질량의 0.5 내지 5%의 범위, 유리하게는 수지 질량의 1 내지 3% 범위인 하이드록시기(페놀 또는 알콜기)를 적어도 2개 포함하는 폴리머이다.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알키드(alkyd) 또는 하이브리드성의 아크릴일 수 있으며, 특히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및 아크릴 우레탄인 것이 바람직하다.
놀랍게도, 폴리올의 성질에 무관하게, 본 발명의 이소시아네이트를 이용하는 경우, 통상적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에 의존하는 코팅의 성질과 같이 우수한 내화학성이 얻어진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폴리올로는 지방산으로 개질한 지방족 폴리우레탄의 분산액으로서, 상품명 Alberdingk Cur 99(R)(Alberdingk Boley사)로 시판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폴리올로 상품명 Alberdingk U915(R)(Alberdingk)로 시판되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들 수 있다.
기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는 폴리올은 하기와 같다:
- Primal E-3275(R) 폴리올(Rohm & Haas 시판);
- Alberdingk AC 31(R) 폴리올(Alberdingk 시판);
- Alberdingk Cur 60(R) 폴리올(Alberdingk 시판).
상기 폴리올의 하이드록시 작용기에 대한 유리(free)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의 몰비는 0.5 내지 2.5 범위, 유리하게는 0.8 내지 1.6 범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4 범위이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상기 정의의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수성 폴리올 현탁액 또는 에멀전은 균일화 단계 이후 기판에 코팅하여 적용한다.
상기 현탁액 또는 에멀전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수성 폴리올 에멀전에 첨가한 뒤 몇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주기, 유리하게는 4시간 후,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혼합물은 목재 기판, 특히 가재 도구의 목재 계면에 대해 사용해 온 공지의 방법에 따라 특히 롤러, 페인트 브러시를 사용하거나, 실상에서는 특정 업무에 적용하는데 압축공기총을 사용하여 적용한다.
통상적으로 기판의 코팅은 수 차례, 유리하게는 2 내지 3 회 정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을 건조한 후의 두께는 5 내지 150 ㎛ 범위, 특히 30 내지 100 ㎛ 범위인 것이 유리하다. 통상적으로, 20 내지 60℃의 온도에서 15 분 내지 48 시간 정도의 시간으로 코팅한 뒤, 코팅을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의 특성에 관계없이, 건조 후 얻어지는 본 발명의 코팅, 페인트 또는 바니시는 화학물질, 화장료 및 음식류의 침투에 대한 내성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코팅의 내화학성은 특히 디부틸 프탈레이트, 에틸 알코올 또는 아세톤과 같은 용매, 커피, 레드 와인 또는 겨자와 같이 착색도가 높은 음식류, 화장 크림과 같은 지방성 제품에 대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갖는 경도 및 내화학성은 소나무(pine), 전나무(fir), 가문비나무(spruce), 물푸레나무(ash), 단풍나무(maple), 마호가니(mahogany), 너도밤나무(beech) 등과 같은 각종 나무에 대해서도 관찰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이 나타내는 경도 측정 결과를 나타냄.
도 2는 본 발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이 나타내는 내화학성 평가 결과를 나타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이 나타내는 경도 측정 결과를 나타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이 나타내는 내화학성 평가 결과를 나타냄.
하기 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한다.
이들의 이해를 위하여,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코팅의 경도는 필름 스프레더(film spreader)를 사용하여, 두께 30 ㎛ 이상으로 도포한 유리 시트(glass sheet) 및 두께 40 ㎛ 이상으로 도포한 유리 시트에 포트 라이프(pot life) 약 1 시간 뒤 Konig 경도로 측정하였고, 상기 각 경우에 따른 경도 측정 결과를 각각 도 1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코팅의 내화학성은 성분들(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을 혼합한 뒤, 시베리아 스톤 파인(Siberian stone pine) 기판에 바로 적용한 코팅에 대해 측정하였다. 측정한 코팅을 0 내지 5의 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DIN 표준 68861, 등급 0은 작업성이 우수함을 나타내며, 등급 5는 작업성이 불량함을 나타냄). 시험 제품으로는 레드 와인, 가용성 커피, Nivea(R) 핸드 크림, 물, 가당 연유(condensed milk), 디부틸 프탈레이트, 아세톤, 겨자 및 48 부피% 에틸 알코올을 사용하였다.
Rhodofac(R) RE610은 상기 식 Ⅱ에 따른 인산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의 혼합물이고, 그의 탄화수소 라디칼의 평균식은 폴리에톡시화(∼10 회) 노닐페놀이다. 디에스테르에 대한 모노에스테르의 몰비는 약 1(수학적으로 근접함)이다. 이 와 유사하게, Rhodafac(R) PA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과 같이, 식 Ⅱ에 따른 인산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의 혼합물이고, 그 탄화수소의 평균식은 폴리에톡시화(∼5 내지 6 회) 노닐페놀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제조
165 g의 Tolonate(R) HDT(트리머계 이소시아누레이트 올리고머)를 24 g의 부틸아세테이트, 13 g의 Rhodafac(R) RE610(식 Ⅱ에 따른 인산 모노에스테르 및 인산 디에스테르의 혼합물) 및 3 g의 트리에틸아민과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프레임 또는 디플로컬레이팅 패들(frame or defloculating paddle)을 사용하여 100 회전/분으로 5 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은 20℃에서의 점도가 0.84 ㎩ㆍs이고, 색상이 100 APHA 미만이었다.
실시예 2:
92 g의 Tolonate(R) HDT, 10 g의 Rhodofac RE610 및 2.3 g의 트리에틸아민으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물은 20℃에서의 점도가 5.2 ㎩ㆍs이고, 색상은 100 APHA 미만이었다.
실시예 3:
적용예
(성분들을 첨가한 순서에 따라) 하기의 조성을 포함하는 수성 폴리올 현탁액(성분 1)을 제조하였다.
Alberdingk U 915(R) (37.1%) 39.1
부틸글리콜 2.7
부틸디글리콜 2.7
7.75
Byk(R) 028 1.1
Byk(R) 346 0.15
Acrysol(R)RM 8 1
Acrysol(R) RM 1020 0.5
Alberdingk(R) U 915 (37.1%) 45
100

실시예 3의 조성에 따른 혼합물을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종래 기술에 따른 2종의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비교예)과 혼합하여, 하기의 최종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경화제 1 3 4 5 6
실시예 2의 조성물 85 65
종래 기술에 따른 화합물 1* 85
종래 기술에 따른 화합물 2** 65
실시예 1의 조성물 100
Proglyde DMM(R) 15 15 35 35
성분 1의 양 (질량%) 9 9 10 9 10

*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에 그라프트된 폴리에테르 사슬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를 대략 100% 포함하는 이소시아누레이트 올리고머.
**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에 그라프트된 폴리에테르 사슬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를 대략 100% 포함하는 이소시아누레이트 올리고머.
수득한 혼합물들을 목재 기판(시베리아 스톤 파인 기판)에 연속 3회 코팅하고, (건조 후) 각 두께가 30 ㎛이 되도록 적용한다.
각 코팅에 대한 Konig 경도, 및 DIN 표준 68861에 따라 각종 화학물, 화장료 또는 음식류에 대한 내성을 평가하였다.
이 결과를 도 1(경도) 및 도 2(내화학성)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적용예
(성분들을 첨가한 순서에 따라) 하기의 조성을 갖는 수성 폴리올 현탁액(성분 1)을 제조한다:
Alberdingk Cur 99(R) (34.7%) 30
Worlee WO 604 N 0.5
Dowanol DPM 2
에틸디글리콜 3
6
Byk(R) 333 0.2
Byk(R) 346 0.3
Acrysol(R) RM 2020 0.5
Alberdingk(R) Cur 99 (34.7%) 57.5
100

실시예 3의 조성물을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종래 기술에 따른 2종의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비교예)과 혼합하여, 하기의 최종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경화제 1 3 4 6
실시예 2의 조성물 85
종래 기술에 따른 화합물 1* 85
종래 기술에 따른 화합물 2** 65
실시예 1의 조성물 100
Proglyde DMM(R) 15 15 35
성분 1의 함량 (질량%) 9 9 10 9

*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에 그라프트된 폴리에테르 사슬을 포함하는 계면활 성제를 대략 100% 포함하는 이소시아누레이트 올리고머.
**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에 그라프트된 폴리에테르 사슬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를 대략 100% 포함하는 이소시아누레이트 올리고머.
수득한 혼합물들을 목재 기판(시베리아 스톤 파인 기판)에 연속 3회 코팅하고, (건조 후) 각 두께가 30 ㎛이 되도록 적용한다.
각 코팅에 있어서, Konig 경도, 및 DIN 표준 68861에 따라 각종 화학물, 화장료 또는 식료에 대한 내성을 평가하였다.
이 결과를 도 3(경도) 및 도 4(내화학성)에 나타낸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로 수득한 코팅의 최종 경도가 종래 기술의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로 수득한 것에 비하여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로 수득한 코팅의 내화학성이 종래 기술에 따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로 수득한 코팅에 대해 1 내지 2 등급 향상되었다.

Claims (18)

  1.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화학 약품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는 코팅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
    a) 폴리올 수성 현탁액에,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기재의 조성물, 및 음이온기를 포함하는 친수성 부분과 탄화수소 라디칼을 포함하는 친유성 부분을 가지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수중에서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에멀젼을 형성하되,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또한 에틸렌일옥실(ethylenyloxyl), 프로필렌일옥실(propylenyloxyl) 또는 에틸렌일옥실과 프로필렌일옥실의 단위가 1 단위 이상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사슬의 단편(fragment)을 포함하고,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기재의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에 결합된 형태의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30 질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것인,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에멀젼을 형성하는 단계와;
    b) 단계 a)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상기 기판의 목재 표면에 적용하는 단계; 및
    c)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상기 폴리올과 반응시켜 폴리우레탄 코팅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화학 약품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는 코팅을 부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기재의 조성물에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화학 약품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는 코팅을 부여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기재의 조성물이, 상기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에 결합된 형태의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20 질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화학 약품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는 코팅을 부여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기재의 조성물이, 상기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에 결합된 형태의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10 질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화학 약품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는 코팅을 부여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아릴 설페이트, 알킬 설페이트, 아릴 포스페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아릴 포스포네이트, 알킬 포스포네이트, 아릴 포스피네이트, 알킬 포스피네이트, 아릴 설포네이트 및 알킬 설포네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작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화학 약품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는 코팅을 부여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친유성 부분이 알킬기 및 아릴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화학 약품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는 코팅을 부여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음이온성 부분이 하기 식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화학 약품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는 코팅을 부여하는 방법:
    Figure 112008036843747-pct00004
    (상기 식에서,
    상기 q는 0 또는 1이고;
    상기 p는 1 내지 2 범위의 정수이고(닫힌 범위, 즉 한계값을 포함함)이고;
    상기 m은 0 이거나, 또는 1 내지 2 범위의 정수이고(닫힌 범위, 즉 한계값을 포함함)이고;
    상기 X 및 X'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하나 또는 2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렌 잔기를 나타내고;
    상기 s는 0이거나, 또는 1 내지 30 에서 선택되는 정수이고;
    상기 n은 0이거나, 또는 1 내지 30 에서 선택되는 정수이고;
    상기 E는 인 및 황에서 선택되는 원소이고;
    상기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 및 알킬로부터 선택되는 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내고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상대 양이온(countercation)은 금속성 무기 양이온 또는 유기 양이온으로부터 선택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양이온이 3급 아민으로부터 유래한 암모늄 양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화학 약품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는 코팅을 부여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3급 아민이 트리에틸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화학 약품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는 코팅을 부여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10개의 에틸렌일옥실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톡시화 노닐페놀의 인산 모노에스테르 및 인산 디에스테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화학 약품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는 코팅을 부여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대한 이소시아네이트의 질량비가 1/100 내지 1/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화학 약품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는 코팅을 부여하는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기재의 조성물의 리터(L) 당 인(phosphrous) 또는 황(sulfur) 원자 10-2 내지 1의 값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화학 약품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는 코팅을 부여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기재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이 폴리올 에멀전에 수동으로(manually)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화학 약품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는 코팅을 부여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분산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화학 약품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는 코팅을 부여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알킬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호모축합 또는 헤테로축합 생성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화학 약품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는 코팅을 부여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의 하이드록시 작용기에 대한 유리(free)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의 몰비가 0.5 내지 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화학 약품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는 코팅을 부여하는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건조 후 두께 5 내지 150 ㎛ 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화학 약품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는 코팅을 부여하는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0 내지 60℃의 온도에서 15 분 내지 48 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화학 약품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는 코팅을 부여하는 방법.
KR1020037003645A 2000-09-18 2001-09-17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화학 약품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는 코팅을 부여하는 방법 KR1008455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11884 2000-09-18
FR0011884A FR2814171B1 (fr) 2000-09-18 2000-09-18 Procede pour conferer a des substrats en bois une resistance elevee a l'attaque des produits chimiques
PCT/FR2001/002884 WO2002022703A1 (fr) 2000-09-18 2001-09-17 Procede pour conferer a des substrats en bois une resistance elevee a l'attaque des produits chimiqu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184A KR20030031184A (ko) 2003-04-18
KR100845537B1 true KR100845537B1 (ko) 2008-07-10

Family

ID=8854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645A KR100845537B1 (ko) 2000-09-18 2001-09-17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화학 약품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는 코팅을 부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20040014926A1 (ko)
EP (1) EP1319035B1 (ko)
JP (1) JP2004509189A (ko)
KR (1) KR100845537B1 (ko)
CN (1) CN1255447C (ko)
AT (1) ATE309285T1 (ko)
AU (1) AU2001290038A1 (ko)
BR (1) BR0113934B1 (ko)
CA (1) CA2422596A1 (ko)
CZ (1) CZ2003745A3 (ko)
DE (1) DE60114862T2 (ko)
ES (1) ES2250476T3 (ko)
FR (1) FR2814171B1 (ko)
MX (1) MX238910B (ko)
PL (1) PL362115A1 (ko)
RU (1) RU2275402C2 (ko)
SK (1) SK2532003A3 (ko)
WO (1) WO2002022703A1 (ko)
ZA (1) ZA2003014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08136B4 (de) * 2001-02-20 2014-05-22 Chemetall Gmbh Verfahren zum Beschichten eines Substrates mit einer Dichtmasse, Dichtmasse vor und nach der Aushärtung sowie Verwendung der nicht-ausgehärteten Dichtmasse
FR2855768B1 (fr) * 2003-05-21 2006-06-16 Rhodia Chimie Sa Compositions a base d'isocyanate, leur procede d'utilisation pour realiser des vetements et revetements ainsi obtenus
EP1627004B1 (fr) * 2003-05-21 2012-02-22 Perstorp France Compositions a base d'isocyanate, leur procede d'utilisation, leur utilisation pour realiser des revetements a adherence directe et revetements ainsi obtenus
FR2870253B1 (fr) * 2004-05-11 2008-08-08 Rhodia Chimie Sa Compositions a base d'isocyanate, leur procede d'utilisation, leur utilisation pour realiser des revetements a adherence directe et revetements ainsi obtenus
FR2906254B1 (fr) * 2006-09-22 2011-04-08 Rhodia Recherches Et Tech Utilisation de compositions polyisocyanates pour revetements a brillance elevee
WO2008050756A1 (fr) * 2006-10-23 2008-05-02 Kansai Paint Co., Ltd. Composition de revêtement transparente aqueuse à deux composants et procédé destiné à former un film de revêtement de finition multicouche
FR2915750B1 (fr) * 2007-05-03 2011-05-06 Rhodia Recherches & Tech Melange a base de polyisocyanate et d'un solvant de type ether ester, emulsion aqueuse obtenue a partir de ce melange et utilisation de cette emulsion pour la fabrication de revetements et d'adhesifs
ITVA20070066A1 (it) * 2007-07-26 2009-01-27 Lamberti Spa Composizioni idrodisperdibili di poliisocianati
FR2923835B1 (fr) 2007-11-20 2009-12-11 Rhodia Operations Nouvelles compositions polyisocyanates hydrophiles a base d'esters de phosphate.
FR2923834B1 (fr) 2007-11-20 2011-01-21 Rhodia Operations Nouvelles compositions polysicocyanates hydrodispersibles.
CN102115630A (zh) * 2009-12-31 2011-07-06 广东华润涂料有限公司 水性封闭剂体系、木制品以及封闭木质基材的方法
CN104433218A (zh) * 2014-12-23 2015-03-25 常熟市梅李镇赵市永宏红木家具厂 防霉的红木家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60242A1 (fr) * 1997-02-28 1998-09-04 Rhodia Chimie Sa Revetement pour exterieur, composition utile pour ces revetements et procede d'obtention de ces revetements
DE19724199A1 (de) * 1997-06-09 1998-12-10 Basf Ag Emulgatoren
WO1999010402A1 (fr) * 1997-08-27 1999-03-04 Rhodia Chimie Procede de masquage en emulsion de polyisocyanat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1720A (ja) * 1995-06-30 1997-03-18 Asahi Chem Ind Co Ltd 自己乳化性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水系コーティング組成物
FR2745577B1 (fr) * 1996-02-29 2004-09-24 Rhone Poulenc Chimie Compositions a base d'isocyanate, leur procede d'utilisation leur utilisation pour realiser des revetements et revetement ainsi obtenu
JPH09302309A (ja) * 1996-05-08 1997-11-25 Nippon Paint Co Ltd 水性被覆組成物
PL335367A1 (en) * 1997-02-28 2000-04-25 Rodhia Chimie Coatings for outdoor use, composition suitable for producing such coatings and method of forming th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60242A1 (fr) * 1997-02-28 1998-09-04 Rhodia Chimie Sa Revetement pour exterieur, composition utile pour ces revetements et procede d'obtention de ces revetements
DE19724199A1 (de) * 1997-06-09 1998-12-10 Basf Ag Emulgatoren
WO1999010402A1 (fr) * 1997-08-27 1999-03-04 Rhodia Chimie Procede de masquage en emulsion de polyisocyan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14926A1 (en) 2004-01-22
CN1255447C (zh) 2006-05-10
BR0113934A (pt) 2003-07-22
KR20030031184A (ko) 2003-04-18
PL362115A1 (en) 2004-10-18
MX238910B (es) 2006-07-25
ZA200301422B (en) 2004-04-19
AU2001290038A1 (en) 2002-03-26
CZ2003745A3 (cs) 2003-09-17
WO2002022703A1 (fr) 2002-03-21
DE60114862T2 (de) 2006-05-24
CA2422596A1 (fr) 2002-03-21
CN1458946A (zh) 2003-11-26
BR0113934B1 (pt) 2011-06-14
ES2250476T3 (es) 2006-04-16
ATE309285T1 (de) 2005-11-15
EP1319035B1 (fr) 2005-11-09
SK2532003A3 (en) 2003-11-04
JP2004509189A (ja) 2004-03-25
MXPA03001880A (es) 2003-06-24
FR2814171B1 (fr) 2003-08-29
EP1319035A1 (fr) 2003-06-18
DE60114862D1 (de) 2005-12-15
RU2275402C2 (ru) 2006-04-27
FR2814171A1 (fr) 200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3077B1 (ko) 이소시아네이트조성물,그의사용방법,코팅을제조하기위한그의사용및생성된코팅
EP0872499B1 (de) Wässrige 2-Komponenten Bindemittel und deren Verwendung
JP5441700B2 (ja)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の高光沢被覆のための使用
JP5547273B2 (ja) ナノ粒子変性親水性ポリイソシアネート
KR100845537B1 (ko) 목재 표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화학 약품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는 코팅을 부여하는 방법
US20070191569A1 (en) Isocyanate-based compositions, their process for utilization, their utilization for producing coatings and coatings thus obtained
CN101107336A (zh) 具有改进的抗冲击性能的多异氰酸酯组合物
KR20150063127A (ko) 수-분산성 폴리이소사이아네이트
US20080139775A1 (en) Abrasion resistant two-component waterborne polyurethane coatings
CZ308299A3 (cs) Vnější nátěr, kompozice, která je vhodná pro takový vnější nátěr a způsob získání takového nátěru
US6217941B1 (en) Isocyanates modified for being provided with surfactant property, composition containing same, resulting coating
KR20060052058A (ko) 혼성 탑코트
US20080081871A1 (en) Water dispersible polyisocyanates
EP1050551A2 (de) Wässrige 2K-PUR-Systeme mit verbesserter Haftung und Korrosionsbeständigkeit
KR100766682B1 (ko) 이소시아네이트로 제조된 조성물, 코팅물, 특히 접착제의제조를 위한 그의 사용 방법 및 그에 따라 얻어진 지방족점착 연결부
AU7170500A (en) Isocyanate-based compositions, method for using same, use thereof for producing coatings and resulting coatings
JP2006522850A (ja) イソシアネートをベースとする組成物、接着剤の製造のためのその使用方法、及び得られる芳香族接着性ジョイ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