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348B1 -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를 이용한 통화 연결 동화상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를 이용한 통화 연결 동화상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348B1
KR100845348B1 KR1020060097219A KR20060097219A KR100845348B1 KR 100845348 B1 KR100845348 B1 KR 100845348B1 KR 1020060097219 A KR1020060097219 A KR 1020060097219A KR 20060097219 A KR20060097219 A KR 20060097219A KR 100845348 B1 KR100845348 B1 KR 100845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ucc
file
moving picture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0820A (ko
Inventor
이면재
Original Assignee
이면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면재 filed Critical 이면재
Priority to KR1020060097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348B1/ko
Publication of KR20080030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3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ersonal Computer [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5Content authoring for generating interactive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를 이용한 통화 연결 동화상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은 수신 측에 의해 제작되어 UCC 웹 서버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를 통화연결음으로서 발신 측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통화 연결 동화상 제공 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과제는 수신자인 사용자가 미리 제작하고 편집하고 등록한 동화상 사용자 제작 콘텐츠로 종래 서비스되고 있는 발신자용 통화연결음을 대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발신자용 통화연결음을 대체하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사용자가 동화상으로 제작, 편집, 등록하고 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스트리밍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며, 위와 같은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동화상으로 미리 제작, 편집, 등록하고 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스트리밍하는 방법이 구현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개인 미디어 생산과 유통의 활성화라는 사회문화적인 요구를 충족하며, 발신자용 통화연결음으로 이용되는 동화상 사용자 제작 콘텐츠 전용 개인 미디어를 제공하여 모바일 콘텐츠의 이용을 활성화함으로써 콘텐츠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고, 한편으로는 트래픽 증가로 인한 이동통신회사의 수익 구조를 더욱 개선하고자 함에 있다.
Figure 112006072239171-pat00001
통화연결음, 스트리밍, 동화상, UCC, UCC 생성기, 개인미디어

Description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를 이용한 통화 연결 동화상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MOVING PICTURE AS RING BACK TONE USING USER-CREATED CONTENTS AND SYSTEM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프로세스의 개략적인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동화상 원본 파일을 선택하는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동화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준비하는 절차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미디어 폴더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미디어 폴더의 웹 페이지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UCC 생성기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UCC 생성기를 활성화하여 등록된 동화상 파일을 수정 하는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신측 모바일 단말
2 : 수신측 모바일 단말
3 : 수신측 컴퓨터 단말
4 : 스트리밍 서버
5 : 통화연결 프로세스
6 : 동화상 등록 프로세스
7 : UCC 웹 서버
8 : 회원데이터베이스
9 : UCC 데이터베이스
10 : 개인 미디어 폴더
11 : 헤더 12 : 회원정보 표시부
13 : UCC 표시부 14 : 부가정보 표시부
15 : UCC 생성기 활성화부 16 : 과금정보 표시부
100 : 개인 미디어 페이지
110 : 헤더부 120 : 회원정보 표시부
130 : UCC 표시부 140 : 부가정보 표시부
150 : UCC 생성기 활성화부 151 : 등록버튼
152 : 수정버튼 153 : 삭제버튼
20 : UCC 생성기
21 : 동화상 업로드 모듈 22 : 동화상 편집모듈
23 : 오디오 삽입 모듈 30 : 부가정보 삽입 모듈
31 : 발신자번호 설정 모듈 32 : 전송시간 설정 모듈
33 : 텍스트 삽입 모듈
40, 52 : 인코더
60 : 통화연결 시스템
51 : 인터넷 네트워크
61 : 전송 네트워크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돋구기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힌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전화를 걸 때 호가 연결되기 전에 발생하는 통상의 발신자용 링백톤(Ring Back Tone) 대신에 소정의 콘텐츠가 발신자의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신자의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콘텐츠가 통화연결 동화상인 것에 관한다.
<종래기술의 문제점>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전화를 걸 때 호가 연결되기 전에 발생하는 통상의 발신자용 링백톤 대신에 특정 음악이나 메시지 등의 콘텐츠가 제공되는 기술은 이미 이 분야에서 일반화되어 상업적으로 서비스되고 있다. 이러한 통화연결음 서비스는 대한민국 이동통신회사인 SK 텔레콤은 컬러링™, KTF은 링투유™, LG 텔레콤의 필링™ 등에 의해 상용화되어 있다. 이러한 서비스 등의 특징은 통상의 링백톤 대신에 다양한 음악이나 음성을 통화연결음으로서 제공하는 것이며,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통해 콘텐츠 사용에 대한 과금처리로 이동통신회사와 콘텐츠 제공업자는 소정의 수익을 올리게 된다.
한편, 단조로운 음악이나 음성에서 벗어나 소정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통화연결음을 대체하고자 하는 소비자와 시장의 요구가 증대되어 왔으나,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필요한 고속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술과 이에 적합한 단말기의 상용화가 기술 장벽이 되어왔다. 특히 동화상이 수반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통화연결음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호가 연결되기 전까지의 짧은 순간 동안 안정적으로 고속 재생될 수 있는 기술환경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3.5세대 통신방식인 고속 하향 패킷 접속을 가리키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ing Access)의 상용화와 이른바 HSDPA 폰의 보급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통화연결음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환경이 구축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기술환경은 유선 인터넷상에서 널리 유통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모바일 분야에서도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는 환경을 열었다.
종래의 통화연결음 서비스 또는 준비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통화연결음 서비스는 콘텐츠 제공업자가 저작권 라이선스를 받아 미리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가입자가 선택하여 이를 유료로 이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이용자가 웹상에서 능동적으로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편집할 수 있는 수단이나 프로세스는 전혀 존재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오늘날 사용자가 주체가 되는 웹 2.0이 이슈화되면서 이용자의 인터넷으로의 능동적 참여는 획기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웹 2.0 환경에서는 소비자 역할에만 머물렀던 기존의 사용자가 콘텐츠 생산의 적극적인 주체 역할을 하는 프로슈머(Prosumer)로 거듭나면서 콘텐츠의 생산, 유통, 공유, 판매를 모두 아우르는 존재가 되었으며,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User-Created Contents, UCC)가 활발하게 제작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 콘텐츠 시장 전반에 걸친 동영상 기조에 힘입어 사용자 제작 콘텐츠 역시 텍스트나 이미지 중심에서 동영상 중심의 멀티미디어 시대를 맞이하였으며, 동영상 검색 서비스, 동영상 블로그, 동영상 전문 포털 등의 인프라에 힘입어 동영상 사용자 제작 콘텐츠는 더욱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웹상에서 사용자들이 직접 제작한 콘텐츠의 이용이 보편화되고 있음에도, 또한, 고속 데이터 전송이라는 발전 된 모바일 기술환경이라는 충분한 토대를 갖추고 있음에도, 종래의 통화연결음 서비스는, 콘텐츠 사업자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사용자 의존성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이다. 즉 이 분야의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자신에게 전화를 건 발신자에게 호가 완전히 연결되기 전에 제공하는 동 화상 콘텐츠를 직접 생산하고 편집하여 등록하는 수단이나 프로세스를 결여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로서는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생산하고 편집하고 등록할 수 있는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오늘날 사용자 개인의 개성이 강조되고 있는 사회문화적인 풍토와, 통상의 링백톤을 대체하는 통화연결음 서비스의 보편화와, 전화를 매개로 한 발신자와 수신자라는 특수한 사적 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우리는 이제까지와는 다른 사용자의 진보된 요구에 직면하게 했다. 즉, 사용자의 요구는 호가 연결되기 전까지의 짧은 순간 동안, 단순한 통화연결음의 재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시간적인 공간을 자신의 사적 공간으로 삼고자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자신에게 전화를 건 발신자에게 통화가 연결되기 전까지의 그 시간적인 공간을 통해, 자신의 개성을 표시하는 한편, 자신이 제작한 개인 콘텐츠의 공유와 소비의 수단으로 삼는 데까지 발전하고 있는 것이다. 그 시간적인 공간은 사용자 자신이 제작하고 편집하고 미리 등록한 콘텐츠의 재생(스트리밍)을 위한 개인 미디어 공간이기도 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사용자의 진보된 요구에 대해 종래의 통화연결음 서비스는 그것을 충족할 수 있는 수단을 가지지 못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하고자 연구하고 노력한 결과의 산물이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과제는 수신자인 사용자가 미리 제작하고 편집하 고 등록한 동화상 사용자 제작 콘텐츠로 종래 서비스되고 있는 발신자용 통화연결음을 대체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신자용 통화연결음을 대체하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사용자가 동화상으로 제작, 편집, 등록하고 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스트리밍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와 같은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동화상으로 미리 제작, 편집, 등록하고 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스트리밍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회문화적인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터넷과 이동통신망이 상호 연동할 수 있는 기반하에서, 개인미디어 생산과 유통의 활성화에 기여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업발전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발신자용 통화연결음으로 이용되는 동화상 사용자 제작 콘텐츠 전용 개인 미디어를 제공하여 모바일 콘텐츠의 이용을 활성화함으로써 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트래픽 증가로 인한 이동통신회사의 수익 구조를 더욱 개선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은 명시적인 기재사항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 말미암아 당업자가 용이하게 예상할 수 있는 특이성도 함께 포함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신 측에 의해 제작되어 UCC 웹 서버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를 통화연결음으로서 발신 측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통화 연결 동화상 제공 방법으로서:
수신 측이 동화상 원본 파일을 선택하는 제 1 단계와; 웹 사이트상에서 UCC 생성기를 통해 상기 동화상 원본 파일을 편집하여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생성, 등록하여 통화 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준비하는 제 2 단계; 및
발신 측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 측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가 입력되어 발신 측과 수신 측 간의 호 연결 요청 시에 호가 완전히 연결되어 통화가 시작되기 전까지 상기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발신측 모바일 단말로 전송 네트워크를 통해 스트리밍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 있어, 상기 동화상 원본 파일을 선택하는 제 1 단계는,
상기 UCC 웹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수신 측 컴퓨터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동화상 파일을 동화상 원본 파일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통화 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준비하는 제 2 단계는,
상기 UCC 생성기를 통해 선택된 상기 동화상 원본 파일을 편집하여 개인 미디어 폴더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 미디어 폴더에 편집, 등록된 동화상 원본 판일을 통화 연결 동화상 파일로 설정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통화 연결 동화상 파일로 설정되는 경우 해당 파일을 인코더로 스트리밍 파일로 변환하여 통화 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생성하고 스트리밍 서버에 등록하며, 등록 정보를 상기 개인 미디어 폴더에 표시하는 단계; 및
등록된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 등록 정보 및 가입자 정보를 이동통신회사의 통화연결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일 실시례에 있어서 본 발명의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이용한 통화 연결 동화상 제공 방법은, 수신 측이 상기 개인 미디어 폴더에 표시된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상의 수정버튼을 선택하여 상기 UCC 생성기를 다시 활성화하여 재편집을 진행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있어, 상기 UCC 생성기는, 메시지, 특정 발신자 번호 또는 전송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상기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에 함께 설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있어, 상기 UCC 웹 서버는 회원에게 웹 사이트상의 개인 미디어 폴더를 제공하며, 상기 개인 미디어 폴더에 상기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서는, 상기 UCC 웹 서버는 회원에게 웹 사이트상의 개인 미디어 폴더를 제공하며, 상기 개인 미디어 폴더에는 1개 이상의 편집된 동화상 원본 파일에 대한 등록 정보를 제공하고, 발신자 번호에 따라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독립적으로 선택,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 실시례를 통해 본 발명은 다수 개의 동화상 파일을 미리 제작, 등록한 다 음에 발신자 번호에 따라 유동성 있게 서비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시스템을 청구한다. 즉 본 발명은 수신 측에 의해 제작되어 UCC 웹 서버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를 통화연결음으로서 발신 측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통화 연결 동화상 제공 시스템으로서:
전송 네트워크에 가입한 수신 측 모바일 단말과; 수신 측의 동화상 원본 파일을 저장한 수신 측 컴퓨터 단말과; 상기 컴퓨터 단말과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UCC 웹 서버와; 상기 UCC 웹 서버의 인터넷 웹 사이트를 통해 상기 컴퓨터 단말에 제공되는 개인 미디어 폴더와; 상기 UCC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컴퓨터 단말에 의해 업로드 되는 동화상 원본 파일을 편집하여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개인 미디어 폴더에 등록하는 UCC 생성기와; 상기 UCC 생성기를 통해 생성된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저장하는 스트리밍 서버; 및
상기 스트리밍 서버와 데이터 연동하는 이동통신회사의 통화 연결 시스템을 구비하는 전송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발신 측 모바일 단말이 상기 수신 측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면 호가 연결되어 통화가 개시되기 전까지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저장된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상기 전송 네트워크를 통해 스트리밍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일 실시례에 있어, 상기 UCC 생성기에 의해 상기 동화상 원본 파일에 대한 편집 완료 후 통화 연결 동화상 파일로 설정하는 경우, 해당 파일을 모바일 단말로 재생가능한 포맷 및 사이즈로 자동 변환시키는 인코더;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UCC 생성기는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에, 메시지, 특정 발신자 번호 또는 전송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설정하는 부가정보 삽입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어느 실시례에서는, 상기 부가정보 삽입모듈에 의해 삽입된 부가정보를 상기 개인 미디어 폴더에 표시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어느 실시례에서는, 상기 개인 미디어 폴더는 1개 이상의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등록하고, 발신자 번호에 따라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독립적으로 선택,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어느 실시례에서는, 상기 수신 측 컴퓨터 단말은 상기 UCC 웹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개인 미디어 폴더에 등록되어 있는 기등록 통화 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선택하여 재편집할 수 있는 시스템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등 이미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하기의 실시례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긴급재해가 지진인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발신측 모바일 단말(1)은 통화를 하고자 하는 수신측 모바일 단말(2)의 가입자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발신측 교환 시스템을 통해 수신측 모바일 단말(2)과의 호 설정을 요청하면, 수신 측 교환 시스템은 홈 위치 등록기(HLR)에 설정된 착신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홈 위치 등록기는 설정되어 있는 라우팅 정보를 발신측 교환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발신측 교환 시스템은 수신측 교환 시스템에게 호 접속을 요청하여 상호 통화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공지의 통화연결 프로세스(5)가 진행되는 동안 아직 수신측 모바일 단말(2)과의 통화가 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트리밍 서버(4)는 개설된 통화로를 통해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발신측 모바일 단말(1)로 전송하며, 여기까지의 전송 네트워크는 이동통신망에 소속되어 있다.
한편, 위의 스트리밍 서버(4)에 저장되어 있는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은 수신측 컴퓨터 단말(3)에 의해 미리 제작, 편집, 등록된다. 수신측 모바일 단말(2)의 가입자는 자신이 촬영한 동영상 원본 파일을 컴퓨터 저장장치에 저장한 후, 이를 UCC 웹서버(미도시)가 제공하는 인터넷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소정의 동화상 등록 프로세스(6)를 통해 상기 스트리밍 서버(4)에 미리 저장하게 되며, 여기에서의 네트워크는 인터넷 망을 이용한다.
도 2는 위와 같은 도 1의 개략적인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본 발명의 통화연결 동화상 제공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프로세스는 수신 측에 의해 제작되어 사용자 제작 콘텐츠 웹 서버(UCC 웹 서버)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 제작 콘텐츠(User-Created Contents, UCC)를 통화연결음으로서 발신 측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절차이다.
먼저, 수신측은 동화상 원본 파일을 선택한다(S100). 이 동화상 원본 파일 은 자신의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의미하며, 수신측 가입자 스스로 최초로 제작한 동화상 파일이거나 또는 타인이 제작한 동화상 파일을 다운로드받아 재편집한 파일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UCC 생성기를 이용하여 상기 동화상 원본 파일을 웹 상에서 편집하여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생성, 등록하여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준비하며, 이 단계에서 상기 스트리밍 서버(4)에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이 저장된다(S200). 위와 같이 수신측 가입자에 의한 동화상 등록 프로세스(6)가 완료된 후, 임의의 특정한 시점에서 발신측 가입자가 자신의 모바일 단말로 수신측 가입자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호 연결 요청을 하면 통화가 개시되기 전까지의 발신측 모바일 단말과 수신 측 모바일 단말 간의 통화연결 프로세스(5) 에서, 상기 스트리밍 서버(4)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발신측 모바일 단말로 전송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 스트리밍한다(S300).
도 3은 상기 S100 단계의 실시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먼저, 임의의 시점에서 수신측 가입자는 디지털 카메라, 웹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등으로 동화상 원본 파일을 스스로 제작한다(S101). 다음으로, 제작한 동화상 원본 파일은 자신의 컴퓨터 저장 매체에 저장한다(S102). 여기에서의 컴퓨터 저장 매체는 자신의 컴퓨터 하드디스크이거나, USB 모뎀 저장장치, 외장형 하드디스크, 광디스크, 웹이 제공하는 저장공간 등의 다양한 저장매체를 통칭한다.
다음으로, 수신측 가입자는 컴퓨터 단말을 이용하여 UCC 웹 서버의 인터넷 웹 사이트에 접속한다(S103). 그리고 UCC 웹 서버의 인터넷 웹 사이트가 제공하는 UCC 통화연결 동화상 파일 등록 프로세스를 선택하면(S104), UCC 웹 서버는 접속한 컴퓨터 단말이 가입한 회원의 컴퓨터 단말인지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한다(S105). 수신측 가입자가 회원인 경우에는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인증절차를 수행하며, 회원이 아닌 경우에는 성명, 식별 코드, 주소, 모바일 단말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여 ID와 패스워드를 발급받는 소정의 회원가입 절차를 수행하며, 이때 구축되는 회원 데이터베이스는 이동통신회사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와 동기화된다.
UCC 통화연결 동화상 파일 등록 프로세스의 선택이 회원의 접속에 의한 선택으로 판단되면 UCC 웹 서버는 UCC 생성기를 활성화한다(S106). 그리고 UCC 생성기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업로드 절차를 통해 컴퓨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동화상 원본 파일을 선택한다(S107).
도 4는 위의 S200 단계의 실시례를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나타내고 있다. 위의 S107 단계에서와 같이 UCC 생성기가 웹상에서 활성화되면 UCC 생성기의 동화상 업로드 모듈을 통해서 사용자 컴퓨터 저장매체에서 동화상 원본 파일을 불러온다(S201). 다음으로 UCC 생성기의 동화상 편집 모듈을 이용하여 불러 온 동화상 원본 파일을 편집한다(S202). UCC 생성기는 동화상 원본 파일을 토대로 사용자가 웹상에서 원하는 동화상을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는 툴로서, 수신측 가입자는 이러한 UCC 생성기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전화를 거는 발신측 가입자의 단말기로 통화연결음으로서 전송할 동화상 콘텐츠를 스스로 제작하여 미리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수신측 컴퓨터 단말)는 동화상 원본 파일을 편집하면서 관리용으로 명칭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음악이나 음성 등의 오디오를 삽입하거나, 해당 동화상 파일을 전송할 발신자를 특정하기 위해 특정 발신자 번호를 설정하거나, 해당 동화상 파일이 특정한 날짜 또는 특정한 시간대에 전송되도록 특정 전송시간대를 설정하거나, 동화상과 함께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메시지를 삽입하여 동화상 원본 파일을 편집할 수 있다.
편집된 동화상 원본 파일은 상기 UCC 웹 서버가 제공하는 웹상의 개인 미디어 폴더에 자동으로 또는 비자동으로(예컨대 "편집된 동화상 파일을 저장하시겠습니까?"라는 질의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상의 "Yes"키를 선택하는 방식) 등록되며(S203), 이 개인 미디어 폴더는 모바일 단말용 웹상의 개인 미디어로서 작동한다. 다음으로, 편집 완료한 동화상 원본 파일을 통화연결 동화상 파일로서 등록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을 하고(S204), "Yes"인 경우 인코더로 해당 동화상 파일을 적절한 비트레이트 및 사이즈, 코덱 등을 지닌 스트리밍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여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생성한다(S205). 그리고 해당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스트리밍 서버에 등록하고, 등록 정보를 상기 개인 미디어 폴더에 표시한다(S206).
사용자가 UCC 생성기를 활성화하여 동화상 파일을 편집한 후, 바로 스트리밍 파일을 생성하지 않고, 개인 미디어 폴더에 임시로 저장하는 경우 상기 S203 단계는 사용자의 컴퓨터 단말로부터 선택 수행되는 필수절차가 되지만, 동화상 파일을 편집하여 바로 스트리밍 파일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S203 단계는 상기 S206 단계의 개인 미디어 폴더에 등록정보를 표시하는 것과 일체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S204 단계에서 "Yes"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도면에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소정의 과금절차가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204 단계에서 "Yes"의 의미가 하는 것은, 자신에게 전화가 걸려올 때 링백톤으로서 통상의 통화연결음이 아니라 멀티미디어 동화상 데이터를 발신측 단말기로 스트리밍 하는 것이기 때문에 데이터 이용료서 과금된다. 계좌 이체, 신용카드 결제 수단도 이용되나, UCC 웹 서버로부터 포인트를 선구입하여 이를 정산하는 방식과, 이 서비스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지고 기록되기 때문에 이동통신회사에서 청구되는 가입자 요금으로 정산되는 방식을 병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결제처리된 금액은 UCC 웹 서버와, UCC 웹 서버의 회원(수신측)이 가입자로 있는 이동통신회사 간에 다시 정산된다.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이 스트리밍 서버에 저장, 등록되면, UCC 웹 서버는 해당 콘텐츠에 대한 등록정보 및 가입자 정보(UCC 웹 서버의 입장에서는 회원 정보)를 가입자가 속한 이동통신회사의 통화연결 시스템에 전송한다. 모바일 단말로 통화연결음으로서 동화상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기 위한 이동통신망 내의 이동통신회사의 통화연결 시스템의 구성 자체는 종래의 소위 컬러링™ 서비스 등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과 동일하거나 당업자가 용이하게 최적화할 수 있는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UCC 웹 서버가 웹상에서 회원 단말에게 제공하는 개인 미디어 폴더(10)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이 개인 미디어 폴더(10)는 웹상에서 개인 미디어 페이지(100)를 통해 회원에게 등록된 통화연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개인 미디어 폴더(10)는 헤더(11), 회원정보 표시부(12), UCC 표시부(13), 부가정보 표시부(14), UCC 생성기 활성화부(15), 과금정보 표시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11)는 개인 미디어 폴더(10)의 명칭을 표시하고, 회원정보 표시부(12)는 회원의 개인정보 등을 표시하며, UCC 표시부(13)는 회원이 업로드하여 편집한 상태로 등록한 동화상 파일 또는 스트리밍 서버에 등록된 동화상 파일을 표시하며, 부가정보 표시부(14)는 동화상 파일에 함께 삽입되거나 설정된 오디오, 특정 발신자 번호, 특정 전송 시간대, 메시지 등을 표시하며, UCC 생성기 활성화부(15)는 가입 회원이 개인 미디어 폴더(10)를 오픈한 다음에 동화상 원본 파일을 편집하거나 편집된 동화상 원본 파일을 스트리밍 파일에 등록하거나 스트리밍 서버에 기등록된 동화상 파일을 수정, 재편집하기 위해 상기 UCC 생성기를 활성화한다. 또한, 과금정보 표시부(16)는 개인 미디어 폴더(10)는 동화상 원본 파일을 편집하여 스트리밍 서버에 등록함에 필요하거나 지불된 과금정보를 표시한다.
도 6은 도 5에서 설명한 개인 미디어 폴더(10)의 실제 모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회원이 UCC 웹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 인증절차를 거치면, 회원 단말의 모니터 화면으로 웹상의 개인 미디어 페이지(100)가 팝업되거나 인터넷 웹 페이지가 나타나며, 이 개인 미디어 페이지(100)의 구성은 도 5의 개인 미디어 폴더의 각 구성에 대응한다.
헤더부(110)에는 "xxx님의 UCC 미디어"로 표시되며, 특정 위치에 "내 정보 보기"라는 명칭으로 회원정보 표시부(120)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개인 미디어 폴 더(10)는 다수개의 UCC 동화상 파일을 등록할 수 있고, 각각 별도의 발신자에게 별도의 전송 시간대에서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개인 미디어 페이지(100)에도 다수개의 UCC 표시부(130)가 구성되며, 이 UCC 표시부(130)는 동화상 플레이어의 형식으로 나타나며, 화면에 해당 동화상 파일에 대한 간략 정보(명칭을 삽입한 경우, 그 명칭)가 표시되거나 해당 동화상 파일의 한 개의 정지 화면을 나타낸다. UCC 표시부(130)에 마련된 재생 버튼을 누르면 등록된 동화상 파일을 재생해 볼 수 있다.
부가정보 표시부(140)에는 해당 동화상 파일에 함께 삽입된 오디오 정보, 해당 동화상 파일을 누구에게 스트리밍 할 것인지, 전체 발신자에게 스트리밍 할 것인지 특정 발신자에게만 할 것인지에 대한 특정 발신자 번호 설정 정보, 해당 동화상 파일은 24시간 똑같이 적용할 것인지 아니면 특정 시간대 또는 특정 날짜(기념일 등)에만 스트리밍 될 것인지에 대한 특정 전송 시간대 설정 정보, 해당 동화상 파일과 함께 발신자의 모바일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설정된 메시지 정보 등이 표시된다. 개인 미디어 페이지(100)의 상기 UCC 표시부(130)를 통해 수신측 가입자인 사용자는 어떤 동화상 파일이 발신측 모바일 단말로 디스플레이되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부가정보 표시부(140)를 통해 해당 동화상 파일이 언제 누구에게 어떤 팁으로 발신측 모바일 단말로 디스플레이될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개인 미디어 페이지(100)에는 UCC 생성기를 활성화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부(150)가 구비된다. 자신의 컴퓨터의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동화상 원본 파일을 업로드하여 통화연결 동화상 파일을 최초 생성하거나 개인 미디어 폴더에 임시로 저장되어 있는 동화상 파일을 통화연결 동화상 파일로 등록하고자 할 때 "등록" 버튼(151)을 선택한다. 이때 상기 UCC 생성기가 활성화된다. 상기 UCC 표시부(130)에 표시되어 있는 해당 동화상 파일이 이미 스트리밍 서버에 등록되어 있으면, 이 버튼은 활성화되지 않거나 또는 "서비스" 중임을 나타내는 것이 좋다.
스트리밍 서버에 기등록된 동화상 파일을 수정하여 재편집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개인 미디어 폴더에 임시로 저장되어 있는 동화상 파일을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정" 버튼(152)을 선택한다. 이때 상기 UCC 생성기가 활성화된다. 수정을 완료하여 다시 등록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과금절차가 진행하며, 이 경우의 수수료는 최초의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생성할 때보다 저렴하게 책정될 수 있다. 또한, "삭제" 버튼(153)을 선택하면 서비스 이용에 대한 해지의 의사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해지 프로세스가 개시되고, UCC 생성기는 활성화되지 아니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UCC 생성기(2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UCC 생성기(20)는 동화상 업로드 모듈(21), 동화상 편집 모듈(22), 오디오 삽입 모듈(23), 부가 정보 설정 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UCC 생성기(20)를 통해서 편집된 동화상 파일을 스트리밍 파일로 변환하기 위한 인코더(40)와 사용자에게 개인 미디어 환경을 제공하는 개인 미디어 폴더(10)와 연결된다.
상기 동화상 업로드 모듈(21)은 동화상 업로드 컴포넌트를 포함하여 구성되 고, 접속된 사용자 컴퓨터 단말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동화상 원본 파일을 웹상으로 업로드 되도록 하며, 이때 동화상 원본 파일의 포맷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소정의 인코딩 작업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동화상 편집 모듈(22)은 업로드 된 동화상 원본 파일을 편집하는 편집 툴이며, 이 동화상 편집 모듈(22)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동화상 파일의 특정부분을 자르고 붙일 수 있는 동화상의 구간 편집, 동화상에 색상, 강조, 3D 처리, 음영, 왜곡 등의 효과를 만드는 동화상 효과 편집 등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삽입 모듈(23)은 음성이나 음악 등의 오디오를 동화상에 삽입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을 완성하는 모듈이다.
한편, 상기 부가정보 설정 모듈(30)은 발신자 번호 설정 모듈(31), 전송시간 설정 모듈(32), 텍스트 삽입 모듈(33)을 포함한다. 발신자 번호 설정 모듈(31)은 해당 동화상 파일을 어떤 발신자에게 보낼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해당 동화상 파일을 스트리밍할 발신자 전화 번호를 입력한다. 이 발신자 번호 설정 모듈(31)을 활성화하지 않거나 특정 발신자 전화 번호를 입력하지 않는 경우 모든 발신측 모바일 단말로 스트리밍 되도록 설정된다. 전송시간 설정 모듈(32)은 해당 동화상 파일이 스트리밍되는 시간을 사용자가 미리 구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툴이다. 이를 통해 특정한 시간대, 특정한 날짜에만 해당 동화상 파일이 스트리밍되도록 정할 수 있으나, 이 전송시간 설정 모듈(32)을 활성화하지 않거나 특정 전송시간을 입력하지 않는 경우 모든 시간대에 스트리밍되도록 설정된다. 텍스트 삽입 모듈(33)은 동화상 파일에 텍스트를 삽입하기 위한 툴로서, 사용자는 이 텍스트 삽입 모듈(33)을 이용하여 동화상에 소정의 메시지를 함께 삽입할 수 있 으며, 이를 통해서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서비스가 수신 측이 발신 측으로 전하는 정보전달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회원(수신측 컴퓨터 단말)이 등록된 동화상 파일을 수정하여 재편집하고자 하는 경우의 일 실시례를 나타낸다. 회원은 인터넷을 통해 UCC 웹 서버의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고(S211),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소정의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면(S212), 개인 미디어 폴더가 웹상에서 개인 미디어 페이지의 형태로 오픈되고(S213), 회원이 업로드하여 임시로 등록해 둔 동화상 파일 또는 현재 스트리밍 서비스되고 있는 동화상 파일의 정보가 표시된다. 표시된 동화상 파일 리스트 중 수정하고자 하는 동화상 파일을 선택하고(S214), 해당 동화상 파일을 수정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 다음에(S215), 유저 인터페이스상의 "수정" 버튼을 클릭하면 UCC 생성기를 활성화한다(S216). 그리고 활성화된 UCC 생성기를 통해 등록된 동화상 원본 파일을 불러와 재편집하고 저장하면 수정된 동화상 원본 파일은 자동으로 개인 미디어 폴더에 저장되며(S217), UCC 웹 서버가 재편집 완료 여부, 즉 스트리밍 서버에 등록 여부에 대한 질의에 대해(S218), "Yes" 버튼을 선택하면, 수정된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생성하고(S219), 스트리밍 서버, 개인 미디어 폴더, 이동 통신회사의 통화연결시스템으로의 등록절차를 수행하게 된다(S220).
도 9는 본 발명의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이용한 통화 연결 동화상 제공 시스템의 전체 시스템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수신측 모바일 단말(2)은 본 발명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회사의 가입자 단말이며, 발신측 모바일 단말(1)은 통화를 하고자 하는 수신측 모바일 단말(2)의 가입자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발신측 교환 시스템을 통해 수신측 모바일 단말(2)과의 호 설정을 요청하게 되면, 수신측 교환 시스템은 홈 위치 등록기(HLR)에 설정된 착신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홈 위치 등록기는 설정되어 있는 라우팅 정보를 발신측 교환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발신측 교환 시스템은 수신측 교환 시스템에 호 접속을 요청하여 상호 통화로를 형성한다. 이 통화로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통화연결 시스템(60)을 통해 수신측 가입자 식별번호와 발신측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전송하는 스트리밍 서버(4)에 전송되며, 발신측 모바일 단말(1)로의 스트리밍을 요청한다. 발신측 교환 시스템과 수신측 교환시스템은 전송 네트워크(61) 안의 구성 인자이다.
상기 스트리밍 서버(4)에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저장, 등록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 네트워크(51)를 통해 이용되며, 수신측 모바일 단말(2)의 가입자가 컴퓨터 단말(3)을 통해 UCC 웹 서버(7)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며 UCC 생성기(20)를 이용하여 자신이 직접 제작한 원본 파일을 이용하여 UCC 동화상 파일을 편집, 제작, 등록하게 된다. UCC 웹 서버(7)는 통화연결 동화상 파일에 대한 등록정보를 기록하고 동화상 원본 파일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는 개인 미디어 폴더(10)를 회원 컴퓨터 단말(3)에 제공한다. 한편, UCC 웹 서버(7)는 회원 데이터베이스(8)와 동화상 파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인 UCC 데이터베이스(9)를 보유하며, 기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로그 데이터베이스, 과금 데이터베이스 등을 포함한 다.
UCC 생성기(20)를 이용한 컴퓨터 단말(3)에 의해 동화상 파일 제작 완료 명령이 전송되며, 인코더(52)에 의해 모바일 단말로의 전송 및 재생에 필요한 적절한 비트레이트, 사이즈 및 코덱 등을 지닌 스트리밍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여 스트리밍 서버(4)에 저장, 등록하게 된다.
도 9의 시스템 구성은 본 발명이 특유 시스템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범위에서 표시되었기 때문에 실제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송망 네트워크(61) 내의 구체적인 구성요소와 과금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인자 등은 생략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례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의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첨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미리 제작하고 편집하고 등록한 동화상 사용자 제작 콘텐츠로 통상의 링백톤 음 대신에 통화연결 동화상을 서비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효과는 발신자용 통화연결음을 대체하는 동화상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사용자가 직접 제작, 편집, 등록함에 있어, UCC 웹 서버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의 UCC생성기를 이용하여 컴퓨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동화상 원본 파일을 업로드하여 바로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었다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동화상 파일을 사용자 스스로 제작함에 있어 개인 미디어 폴더가 제공됨으로써, 인터넷과 이동통신망이 상호 연동할 수 있는 기반하에서, 개인미디어 생산과 유통의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다수 개의 동화상 파일을 미리 제작한 다음에 특정 발신자에 따라서 또는 특정 시간대 별로 특정 동화상 파일을 통화연결음으로서 스트리밍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사용자 편의성이 강조된 특징으로 말미암아,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그리고 더욱 능동적으로 자기가 제작한 동화상 콘텐츠를 통화연결음으로서 활용하기 때문에, 콘텐츠 사업자 및 이동통신회사의 관점에서는 더 많은 콘텐츠 이용료 수익과 트래픽 증가에 따른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Claims (13)

  1. 수신 측에 의해 제작되어 UCC 웹 서버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를 통화연결음으로서 발신 측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통화 연결 동화상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UCC 웹 서버는 회원에게 웹 사이트상의 개인 미디어 폴더를 제공하며,
    수신 측이 동화상 원본 파일을 선택하는 제 1 단계로서, 상기 UCC 웹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수신 측 컴퓨터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동화상 파일을 동화상 원본 파일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웹 사이트상에서 UCC 생성기를 통해 상기 동화상 원본 파일을 편집하여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생성, 등록하여 통화 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준비하는 제 2 단계로서, 상기 UCC 생성기를 통해 선택된 상기 동화상 원본 파일을 편집하여 상기 개인 미디어 폴더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 미디어 폴더에 편집, 등록된 동화상 원본 판일을 통화 연결 동화상 파일로 설정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통화 연결 동화상 파일로 설정되는 경우 해당 파일을 인코더로 스트리밍 파일로 변환하여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생성하고 스트리밍 서버에 등록하며, 등록 정보를 상기 개인 미디어 폴더에 표시하는 단계와, 등록된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 등록 정보 및 가입자 정보를 이동통신회사의 통화연결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발신 측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 측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가 입력되어 발신 측과 수신 측 간의 호 연결 요청 시에 호가 완전히 연결되어 통화가 시작되기 전까지 상기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발신측 모바일 단말로 전송 네트워크를 통해 스트리밍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미디어 폴더에는 1개 이상으로 편집된 동화상 원본 파일에 대한 등록 정보를 제공하고, 발신자 번호에 따라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독립적으로 선택, 등록하는 단계; 및 수신 측이 상기 개인 미디어 폴더에 표시된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개인 미디어 폴더의 유저 인터페이스상의 수정버튼을 선택하여 상기 UCC 생성기를 다시 활성화하여 재편집을 진행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이용한 통화 연결 동화상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CC 생성기는 메시지, 특정 발신자 번호 또는 전송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상기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에 함께 설정하는 것인,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이용한 통화 연결 동화상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미디어 폴더에 상기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이용한 통화 연결 동화상 제공 방법.
  7. 삭제
  8. 수신 측에 의해 제작되어 UCC 웹 서버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를 통화연결음으로서 발신 측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통화 연결 동화상 제공 시스템으로서:
    전송 네트워크에 가입한 수신 측 모바일 단말;
    수신 측의 동화상 원본 파일을 저장한 수신 측 컴퓨터 단말;
    상기 컴퓨터 단말과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UCC 웹 서버;
    상기 UCC 웹 서버의 인터넷 웹 사이트를 통해 상기 컴퓨터 단말에 제공되는 개인 미디어 폴더;
    상기 UCC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컴퓨터 단말에 의해 업로드 되는 동화상 원본 파일을 편집하여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개인 미디어 폴더에 등록하는 UCC 생성기;
    상기 UCC 생성기를 통해 생성된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저장하는 스트리밍 서버; 및
    상기 스트리밍 서버와 데이터 연동하는 이동통신회사의 통화 연결 시스템을 구비하는 전송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발신 측 모바일 단말이 상기 수신 측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면 호가 연결되어 통화가 개시되기 전까지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저장된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상기 전송 네트워크를 통해 스트리밍 받으며,
    상기 개인 미디어 폴더는 다수개의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등록하고, 발신자 번호에 따라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독립적으로 선택, 생성하며,
    상기 UCC 생성기는, 상기 수신측 컴퓨터 단말로부터 업로드 된 동화상 원본 파일을 편집하는 편집 툴인 동화상 편집 모듈을 포함하며, 이 동화상 편집 모듈(22)을 이용하여 동화상 파일의 특정부분을 자르고 붙일 수 있는 동화상의 구간 편집, 동화상에 색상, 강조, 3D 처리, 음영, 왜곡 등의 효과를 만드는 동화상 효과 편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이용한 통화 연결 동화상 제공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UCC 생성기에 의해 상기 동화상 원본 파일에 대한 편집 완료 후 통화 연결 동화상 파일로 설정하는 경우, 해당 파일을 모바일 단말로 재생가능한 포맷 및 사이즈로 자동 변환시키는 인코더;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이용한 통화 연결 동화상 제공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UCC 생성기는 통화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에, 메시지, 특정 발신자 번호 또는 전송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설정하는 부가정보 삽입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이용한 통화 연결 동화상 제공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삽입모듈에 의해 삽입된 부가정보를 상기 개인 미디어 폴더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이용한 통화 연결 동화상 제공 시스템.
  12. 삭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측 컴퓨터 단말은 상기 UCC 웹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개인 미디어 폴더에 등록되어 있는 기등록 통화 연결 동화상 스트리밍 파일을 선택하여 재편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이용한 통화 연결 동화상 제공 시스템.
KR1020060097219A 2006-10-02 2006-10-02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를 이용한 통화 연결 동화상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45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219A KR100845348B1 (ko) 2006-10-02 2006-10-02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를 이용한 통화 연결 동화상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219A KR100845348B1 (ko) 2006-10-02 2006-10-02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를 이용한 통화 연결 동화상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820A KR20080030820A (ko) 2008-04-07
KR100845348B1 true KR100845348B1 (ko) 2008-07-09

Family

ID=39532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219A KR100845348B1 (ko) 2006-10-02 2006-10-02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를 이용한 통화 연결 동화상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53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65630B2 (en) * 2018-08-03 2021-03-30 Flash App, LLC Enhanced data sharing to and between mobile device users
US11991131B2 (en) 2018-08-03 2024-05-21 Flash App, LLC Enhanced enterprise data sharing to mobile device use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4509A (ko) * 2004-08-11 2006-02-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전화에서의 링백톤 대체 영상 서비스 방법
KR20060018986A (ko) * 2004-08-26 2006-03-03 광주과학기술원 멀티미디어컨텐츠의 편집과 업로드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4509A (ko) * 2004-08-11 2006-02-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전화에서의 링백톤 대체 영상 서비스 방법
KR20060018986A (ko) * 2004-08-26 2006-03-03 광주과학기술원 멀티미디어컨텐츠의 편집과 업로드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65630B2 (en) * 2018-08-03 2021-03-30 Flash App, LLC Enhanced data sharing to and between mobile device users
US11627104B2 (en) 2018-08-03 2023-04-11 Flash App, LLC Enhanced data sharing to and between mobile device users
US11991131B2 (en) 2018-08-03 2024-05-21 Flash App, LLC Enhanced enterprise data sharing to mobile device us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820A (ko) 2008-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95456A1 (en) Content publishing over mobile networks
RU2271615C2 (ru) Обмен информацией в системах связи
RU2276400C2 (ru) Способ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ервер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резервированием сервера и средство хранения программы
US200401147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able personalized ring back tone service
US200900426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using, and disseminating customized audio/video clips
US20050273489A1 (en) Multimedia system for a mobile log
US20070180135A1 (en) Multimedia content exchange architecture and services
US20090143087A1 (en) Exchange of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2002074123A (ja) サーバの使用予約方法、予約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2002073541A (ja) 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供給システム
JP2002073540A (ja) コンテンツ配信方法、予約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KR100845348B1 (ko)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를 이용한 통화 연결 동화상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2340603B (zh) 通过ivr系统自助下载信息的系统和方法
US20080162650A1 (en) User-chosen media content
US90146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ipshaker telecommunication service
KR100933734B1 (ko) 통화 연결 영상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이동통신 단말기
KR20080101561A (ko) 통화 중 실시간으로 통화자의 요구에 따른 콘텐츠를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02386B1 (ko) 개인화된 멀티미디어 메일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CN105791075A (zh) 一种获取用于即时通讯彩铃的方法及系统
KR100670020B1 (ko) 인터넷과 통신망을 연동하여 유선 전화, 휴대 전화 또는 인터넷 전화를 통해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고 자신의 블로그에 저장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방법
CN102790943B (zh) 一种移动语音共享方法和装置
KR101261229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6499A (ko) 타임캡슐형 정보전달 서비스 장치,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040063451A (ko) 웹 기반의 실시간 통화대기음 및 벨소리 저작을 위한사용자 직접 저작 시스템 및 방법
WO2012055140A1 (zh) 彩铃业务实现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