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880B1 - 지지격자와 안내관 및 계측관을 무용접으로 체결하는골격체 - Google Patents

지지격자와 안내관 및 계측관을 무용접으로 체결하는골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880B1
KR100844880B1 KR1020060135321A KR20060135321A KR100844880B1 KR 100844880 B1 KR100844880 B1 KR 100844880B1 KR 1020060135321 A KR1020060135321 A KR 1020060135321A KR 20060135321 A KR20060135321 A KR 20060135321A KR 100844880 B1 KR100844880 B1 KR 100844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support grid
tube
measuring tube
fue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5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0803A (ko
Inventor
박남규
김규태
서정민
이진석
최준형
김윤호
이성기
김진선
김일규
최기성
Original Assignee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5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880B1/ko
Publication of KR20080060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0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4Spacer gr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핵연료봉을 지지하는 핵연료집합체의 지지격자와 핵연료집합체의 골격을 구성하는 안내관 및 계측관과의 체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슬리브와 조임쇠를 사용하여 용접이 필요 없이 기구학적인 방법으로 안내관을 지지격자에 체결되도록 하는 슬리브와 조임쇠에 관한 것이다.
지지격자와 상기 지지격자에 체결되는 안내관 및 계측관을 구비하여 핵연료집합체의 뼈대를 구성하는 골격체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지지격자체는 슬리브 및 조임쇠를 구비한다.
슬리브는 중공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걸림창이 형성되며, 하부 외주면에는 하단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절개한 절개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조임쇠는 상기 슬리브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중공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슬리브에 형성된 걸림창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과 상기 슬리브의 외경보다 작은 대각 거리를 갖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하단 내주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상기 슬리브의 외경보다 작은 대각 거리를 갖는 압박돌기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골격체는 안내관 및 계측관과 지지격자의 체결에 용접공정이 불필요하고 체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절 감할 수 있다.
핵연료집합체, 지지격자체, 안내관, 계측관, 슬리브, 조임쇠, 무용접 체결

Description

지지격자와 안내관 및 계측관을 무용접으로 체결하는 골격체 {Nuclear fuel assembly frame comprising spacer grid connected to guide tube and instrumentation tube without welding}
도 1은 일반적인 핵연료 집합체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일반적인 지지격자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일반적인 지지격자를 나타내는 절개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슬리브를 이용한 안내관 고정방식을 나타내는 절개사시도
도 5는 종래의 계측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슬리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조임쇠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지지격자와 안내관의 체결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계측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에 1에 의한 계측관수용부가 형성된 지지격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지지격자와 계측관의 체결 모습을 나타내 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키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계측관과 지지격자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계측관끼움홈 61: 계측관
62: 오목부 63: 볼록부
64: 키이 643: 끼움부
71: 슬리브 711: 연결부
712: 작용부 713: 걸림창
714: 접촉면 715: 절개부
81: 조임쇠 811: 연결부
812: 간섭부 813: 걸림돌기
814: 절개부 815: 압박돌기
본 발명은 핵연료봉을 지지하는 핵연료집합체의 지지격자체와 핵연료집합체의 골격을 구성하는 안내관 및 계측관과의 체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슬리브와 조임쇠를 사용하여 용접이 필요 없이 기구학적인 방법으로 안내관을 지지격자체에 체결되도록 하는 슬리브와 조임쇠에 관한 것이다.
원자로란 핵분열성 물질의 연쇄핵분열반응을 인공적으로 제어하여 열을 발생시키거나 방사성 동위원소 및 플루토늄의 생산, 또는 방사선장 형성 등의 여러 목적에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장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경수로 원전에서는 우라늄-235의 비율을 2~5%로 높인 농축우라늄을 사용한다. 원자로에서 사용되는 핵연료로 가공하기 위하여 우라늄을 5g 정도 무게의 원통형 펠렛(Pellet)으로 만드는 성형가공을 한다. 이 펠렛들을 수백개씩 다발 형태로 묶어서 지르칼로이 피복관에 진공상태에서 장입하고 여기에 스프링과 헬륨기체를 넣은 후 상부봉단마개를 용접하여 연료봉을 제조한다. 상기 연료봉은 최종적으로 핵연료 집합체를 구성하여 원자로 내에서 핵반응을 통하여 연소하게 된다.
상기 핵연료 집합체 및 그 구성요소를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1]은 일반적인 핵연료집합체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지지격자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3]은 상기 지지격자를 상세히 나타내기 위한 절개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핵연료 집합체는 상단고정체(4), 하단고정체(5), 지지격자(2), 안내관(3), 계측관(6) 및 지지격자(2)로 이루어져 핵연료 집합체의 골격을 이루는 지지격자체와 상기 지지격자(2) 내에 장입되어 상기 지지격자(2)내에 형성된 스프링 및 딤플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연료봉(1)으로 구성된다. 집합체 조립시 연료봉(1) 표면의 흠집을 방지하고 지지격자내 스프링(미도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연료봉의 표면에 락커를 도포하여 골격체에 장입한 다음 상/하단 고정체를 부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원자력연료 집합체의 조립이 끝나고 완성된 집합체의 락커를 제거한 후 연료봉간의 간격, 뒤틀림, 전장, 치수 등을 검사하는 것으로 집합체 제조공정이 마무리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지격자(2)는 다수의 연료봉(1)이 각각 장입될 수 있는 공간부를 구획하도록 스트립(얇은 금속판)이 각각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슬롯을 상호 결합하여 격자 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격자는 상하 10개 내지 13개 정도로 배열되며 4m 길이의 안내관(3)과 용접된다. 지지격자(2)에 의하여 구획되는 각각의 공간부에는 스프링(미도시) 및 딤플(미도시)이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미도시) 및 딤플(미도시)이 연료봉(1; [도 1]참조)과 접촉함으로써 연료봉(1; [도 1]참조)들 간의 간격을 유지하고 정해진 위치에 배열되도록 하며 스프링(미도시)의 탄성에 의하여 연료봉(1)이 연고정 되도록 한다.
이때 안내관(미도시) 및 계측관(6; [도 5] 참조)은 긴 튜브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격자체로 삽입 관통되어 골격체를 형성하게 된다. 지지격자체에 삽입된 안내관 및 계측관은 지지격자와 체결되어 지지격자체의 움직임을 구속하게 된 다.
상기 안내관 및 계측관과 지지격자의 체결방법에는 안내관 및 계측관을 지지격자체에 직접 용접하여 체결하는 방법과 슬리브를 안내관이 연결될 지지격자체의 부분에 따로 구비하여 슬리브와 안내관 또는 계측관을 용접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안내관 및 계측관의 길이가 4m에 달하고 10개 내지 13개의 지지격자체와 각각 결합을 하게 되어 용접에 의한 체결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체결시간이 오래 걸리고 많은 인력이 소요된다. 또한, 특별한 용접 로봇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많은 자본과 시간이 소비된다. 또한 용접에 의한 경우 고열에 의해 지지격자 또는 안내관 등에 열변형이 발생하여 국부적으로 구조상 취약한 부분이 발생하거나 용접부분 중심으로 부식이 발생하여 핵연료의 건전성 및 안전성을 해할 위험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7)와 안내관(3)을 동시에 반경방향으로 팽윤(bulge)시켜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는 볼록부와 오목부를 서로 걸리게 하는 국부적인 소성변형을 이용한 국부 소성부(31, 9)에 의해 안내관과 지지격자를 결합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특별한 소성변형 기구가 필요하고 역시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작업이 필요하였고 안내관에 소성변형이 생겨 안내관의 길이를 정확히 제어할 수 없으며, 안내관 등에 변형 또는 가공을 하기 때문에 국부적인 취약부가 나타나 핵연료의 건전성 및 안정성을 해할 우려는 여 전히 존재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용접을 사용하지 않고 안내관과 지지격자의 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용접을 사용하지 않고 지지격자와 계측관의 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지지격자와 상기 지지격자에 체결되는 안내관 및 계측관을 구비하여 핵연료집합체의 뼈대를 구성하는 골격체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골격체는 슬리브 및 조임쇠를 구비한다.
슬리브는 중공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걸림창이 형성되며, 하부 외주면에는 하단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절개한 절개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조임쇠는 상기 슬리브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중공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슬리브에 형성된 걸림창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과 상기 슬리브의 외경보다 작은 대각 거리를 갖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며, 하단 내주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상기 슬리브의 외경보다 작은 대각 거리를 갖는 압박돌기가 형성된다.
한편, 지지격자와 상기 지지격자에 체결되는 안내관 및 계측관을 구비하여 핵연료집합체의 뼈대를 구성하는 골격체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골격체는 아래와 같은 지지격자 및 계측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격자는 계측관수용셀을 이루는 각 격자면의 상단 및 하단의 중앙을 사각으로 절개한 계측관끼움홈이 형성된다.
또한 계측관은 중공 다각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종방향 길이 전체에 걸친 홈이 축방향을 중심으로 90°마다 형성되어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볼록부가 상기 지지격자의 계측관끼움홈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한편, 지지격자와 상기 지지격자에 체결되는 안내관 및 계측관을 구비하여 핵연료집합체의 뼈대를 구성하는 골격체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골격체는 아래와 같은 계측관 및 키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계측관은 중공 다각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종방향 길이 전체에 걸친 홈이 축을 중심으로 외주면을 따라 90°마다 형성되어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볼록부가 계측관수용셀에 삽입 및 관통된다.
또한 키이는 상기 오목부와 대응하는 곡면부와 직사각형의 평면부로 구성되어 횡단면이 반원과 유사한 긴 바(bar)모양으로 형성되고, 양 단에는 상기 평면부보다 일정깊이 낮게 성형된 끼움부가 구비되며, 상기 평면부와 끼움부의 높이 차이에 의한 단턱부를 구비하고, 상기 계측관이 계측관수용셀에 삽입 및 관통되는 경우 상기 계측관의 오목부와 상기 계측관수용셀 사이의 공간에 상기 끼움부가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단턱부가 계측관수용셀의 상단 또는 하단에 걸림으로써 지지격자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상하좌우' 등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골격체란 본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지지격자와 안내관 및 계측관의 체결에 의하여 핵연료집합체의 골격을 이루는 구조를 말한다. 또한 격자셀이란 지지격자에 의하여 격자형으로 구획되는 공간부 하나하나를 말하며, 격자면은 격자셀을 이루는 4개의 면 중 하나를 말한다.
한편 본 명세서를 통하여 '축'이란 격자셀에 장입되거나 연결되는 연료봉, 안내관 또는 계측관의 종방향 중심축을 말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지지격자(21; [도 8b]), 슬리브(71; [도 6a]), 조임쇠(81; [도 6b]) 및 계측관(61; [도 8a])이 그 주요구성 요소이다.
[도 8b]를 참조하여 실시예 1에 따른 지지격자(21)를 설명한다.
실시예 1에 의한 지지격자(21)는 종래의 지지격자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계측관(61; [도 8a]참조)이 삽입 및 관통되는 계측관수용셀(23)의 일부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즉, 계측관수용셀(23)을 이루는 각 격자면의 상단 및 하단의 중앙을 사각으로 절개한 계측관끼움홈(22)이 형성된다.
[도 6a]를 참조하여 실시예 1에 따른 슬리브(71)를 설명한다.
슬리브(71)는 중공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슬리브(71)의 상부인 연결부(711)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좌우폭이 넓은 사각형으로 절개한 걸림창(713)이 4개 형성된다. 상기 걸림창(713)은 후술할 조임쇠(81; [도 6b]참조)의 걸림돌기(813)와 걸려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요구되는 고정력에 따라 필요한 수만큼 가감할 수 있다.
또한 슬리브(71)의 하부인 작용부(712)의 외주면에는 하단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절개한 절개부(715)가 축방향을 중심으로 90°마다 형성된다. 절개부(715)와 이웃하는 절개부(715) 사이를 접촉면(714)라 한다.
한편, 상기 절개부(715)는 접촉면(714)에 요구되는 탄성에 따라 필요한 개수만큼 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715)의 길이 또한 접촉면(714)에 요구되 는 탄성에 따라 필요한 만큼 그 길이를 가감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여 실시예 1에 따른 조임쇠(81)를 설명한다.
조임쇠(81)는 상기 슬리브(7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71)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중공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조임쇠(81)의 상단인 연결부(811)의 내주면에는 상기 슬리브(71)에 형성된 걸림창(713)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과 상기 슬리브(71)의 외경보다 작은 대각 거리를 갖는 걸림돌기(813)가 형성된다. 여기서 대각 거리란 걸림돌기(813)가 내주면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것을 가정할 때 두 걸림돌기의 최단거리를 뜻한다.
또한 조임쇠(81)의 하단인 간섭부(812)의 내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상기 슬리브(71)의 외경보다 작은 대각 거리를 갖는 압박돌기(815)가 4개 형성된다. 상기 압박돌기(815)는 슬리브(71)의 접촉면(714)을 눌러 고정시키는 부분으로서 요구되는 고정력에 따라 그 수를 가감할 수 있다.
한편 공구를 사용하여 체결작업을 하는 경우 체결작업의 용이성을 위하여 평면으로 형성된 공구접촉부(615)를 형성한다.
[도 8a]를 참조하여 실시예 1에 따른 계측관(61)을 설명한다.
계측관(61)은 중공 다각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계측관(61)의 외주면에는 종방향 길이 전체에 걸친 홈이 축을 중심으로 원주면을 따라 90°마다 형성되어 볼록부(63)와 오목부(62)가 교호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62)는 종래의 계측 관(6; [도 5]참조)에 형성된 딤플(8; [도 5]참조)처럼 계측관에 삽입되는 계측장비와 접촉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계측관(61)은 다수의 지지격자를 구비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지지격자(21; [도 8b]참조)와 이웃하는 지지격자의 간격 정도의 길이로 형성된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슬리브(71)는 지지격자(21)에 형성된 안내관이 삽입될 격자셀 하단에 작용부(712)를 아래쪽으로 하여 용접된다. 이어 안내관(3)이 상기 슬리브(71)에 삽입된다. 그 다음 조임쇠(81)를 안내관(3)의 하부로부터 끼워 상기 슬리브(71)에 덧씌운다.
이 때 상기 슬리브(71)의 외경이 조임쇠(81)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돌기(813)의 대각거리보다 작지만 조임쇠(81)는 절개부(814)로 인하여 조임쇠(81)의 연결부(811)가 벌어지게 되어 조임쇠(81)를 슬리브(71)의 외부에 덧씌울 수 있다. 체결이 계속 진행되면 조임쇠(81)의 걸림돌기(813)가 슬리브(71)의 걸림창(713)에 끼워지고 조임쇠(81)의 연결부(811)가 다시 오므라드는 것으로 체결이 마무리된다. 한편 조임쇠(81)의 하단에 형성된 압박돌기(815)는 슬리브(71)의 접촉면(714)을 압박하여 접촉면(714)이 안쪽으로 밀려 안내관(3)과 압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안내관(3)은 지지격자(21)와 용접에 의하지 않고 체결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계측관(61)은 볼록부(63; [도 8a]참조)가 지지격자(21)의 계측관끼움홈(22; [도 8b]참조)에 삽입되어 지지격자(21)와 결합하게 된다. 상기 계측관(61)은 이웃하는 지지격자(21)의 사이마다 구비되어 삽입된다.
계측관(61)은 지지격자(21)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또한 계측관(61)의 단면 십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볼록부(63)가 지지격자(21)의 계측관끼움홈(22)에 삽입되어 있어 계측관(61)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임쇠(81)가 조사성장 등에 의하여 지지 기능을 상실하더라도 지지격자(21)가 안내관으로부터 이탈할 수 없도록 한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실시예 2를 설명한다.
실시예 2는 실시예 1에 비하여 계측관(61a)과 지지격자(21)의 연결에 특징이 있다. [도 10]은 실시예 2에 따른 키이(64)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실시예 2에 따른 계측관(61a) 및 지지격자(21)의 연결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실시예 2는 키이(64; [도 10]참조) 및 계측관(61a; [도 11]참조)이 그 주요 구성요소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실시예 2에 따른 계측관을 설명한다.
계측관(61a)은 실시예 1의 계측관(61; [도 8a]참조)과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만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계측관(61; [도 8a]참조)은 이웃하는 지지격자(21)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그 간격정도의 길이로 형성되는데 반해,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계측관(61a)은 종래의 계측관처럼 핵연료집합체를 이루는 지지격자 전체를 관통하도록 통상 약 4m 정도로 형성된다. 즉, 실시예 2의 계측관은 약 4m 정도의 길이에 볼록부(63a)와 오목부(62a)가 교호적으로 형성된 다각통의 형상을 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실시예 2에 따른 키이(64)를 설명한다.
키이(64)는 전체적으로 긴 바(bar)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키이(64)의 외주면은 상기 계측관(61a)의 오목부(62a; [도 11]참조)에 대응하여 그 곡률반경이 일치하는 곡면부(641)와 직사각형의 평면부(644)로 구성되어 있어 그 횡단면이 반원형과 유사하다. 또한 키이(64)의 양 단에는 상기 평면부(644)보다 일정깊이 낮게 성형된 끼움부(643)가 구비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평면부(644)와 끼움부(643)의 사이에는 상기 평면부(644)와 끼움부(643)의 높이 차이에 의한 단턱부(642)가 구비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실시예 2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계측관(61a)이 계측관수용셀(23)에 삽입 및 관통되는 경우 상기 계측관(61a)의 오목부(62a)와 상기 계측관수용셀(23) 사이의 공간에 상기 끼움부(643; [도 10]참조)가 끼워진다. 이때 상기 단턱부(642; [도 10]참조)가 계측관수용셀의 상단 또는 하단에 걸림으로써 지지격자의 간격을 유지시키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지지격자체와 안내관 및 계측관의 체결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리브와 조임쇠를 사용하여 슬리브의 접촉면이 안내관에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면접촉에 의해 용접을 하지 않고도 안내관을 지지격자체에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임쇠의 걸림돌기와 슬리브의 걸림홈을 형성하여 조사성장에 의하여 걸림돌기가 팽창하는 경우라도 쉽게 연결부분이 풀어지지 않게 하였으며, 계측관과 안내관의 무용접 체결을 도입하여 원자로의 운전상의 안정성과 건전성을 향상시켰고 체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계측관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고, 일단을 지지격자에 끼우는 방식으로 지지격자와 체결되므로 용접공정이 불필요하고 체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3)

  1. 지지격자와 상기 지지격자에 체결되는 안내관 및 계측관을 구비하여 핵연료집합체의 뼈대를 구성하는 골격체에 있어서,
    중공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걸림창이 형성되며, 하부 외주면에는 하단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절개한 절개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중공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슬리브에 형성된 걸림창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과 상기 슬리브의 외경보다 작은 대각 거리를 갖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하단 내주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상기 슬리브의 외경보다 작은 대각 거리를 갖는 압박돌기가 형성되는 조임쇠; 를 구비하는 골격체
  2. 지지격자와 상기 지지격자에 체결되는 안내관 및 계측관을 구비하여 핵연료집합체의 뼈대를 구성하는 골격체에 있어서,
    계측관수용셀을 이루는 각 격자면의 상단 및 하단의 중앙을 사각으로 절개한 계측관끼움홈이 형성된 지지격자; 및
    중공 다각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종방향 길이 전체에 걸친 홈이 축을 중심으로 외주면을 따라 90°마다 형성되어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되, 상 기 볼록부가 상기 지지격자의 계측관끼움홈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격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고정하는 계측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체
  3. 지지격자와 상기 지지격자에 체결되는 안내관 및 계측관을 구비하여 핵연료집합체의 뼈대를 구성하는 골격체에 있어서,
    중공 다각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종방향 길이 전체에 걸친 홈이 축을 중심으로 외주면을 따라 90°마다 형성되어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볼록부가 계측관수용셀에 삽입 및 관통되는 계측관; 및
    상기 오목부에 대응되는 곡면부와 직사각형의 평면부로 구성되어 횡단면이 반원과 유사한 긴 바(bar)모양으로 형성되고, 양 단에는 상기 평면부보다 일정깊이 낮게 성형된 끼움부가 구비되며, 상기 평면부와 끼움부의 높이 차이에 의한 단턱부를 구비하고, 상기 계측관이 계측관수용셀에 삽입 및 관통되는 경우 상기 계측관의 오목부와 상기 계측관수용셀 사이의 공간에 상기 끼움부가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단턱부가 계측관수용셀의 상단 또는 하단에 걸림으로써 지지격자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키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체
KR1020060135321A 2006-12-27 2006-12-27 지지격자와 안내관 및 계측관을 무용접으로 체결하는골격체 KR100844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321A KR100844880B1 (ko) 2006-12-27 2006-12-27 지지격자와 안내관 및 계측관을 무용접으로 체결하는골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321A KR100844880B1 (ko) 2006-12-27 2006-12-27 지지격자와 안내관 및 계측관을 무용접으로 체결하는골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803A KR20080060803A (ko) 2008-07-02
KR100844880B1 true KR100844880B1 (ko) 2008-07-09

Family

ID=39813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5321A KR100844880B1 (ko) 2006-12-27 2006-12-27 지지격자와 안내관 및 계측관을 무용접으로 체결하는골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8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389B1 (ko) * 2009-09-03 2011-10-2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트러스 보강 지지구조체 및 이의 형성방법
KR101135297B1 (ko) 2010-08-13 2012-04-12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전핵연료 수중해체를 위한 파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203B1 (ko) * 2012-01-04 2013-06-07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임계열속 성능 및 구조건전성 향상 핵연료집합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280A (ko) * 1982-11-23 1984-06-25 프레스톤 시. 포스 공구 교환장치
KR850005123A (ko) * 1983-12-30 1985-08-21 피. 이. 레고우 원자로 연료 집합체용 냉각재 흐름 혼합격자
KR20030034963A (ko) * 2001-10-29 2003-05-09 한국원자력연구소 측면 용접지지대 및 유동혼합날개를 구비하는핵연료집합체 지지격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280A (ko) * 1982-11-23 1984-06-25 프레스톤 시. 포스 공구 교환장치
KR850005123A (ko) * 1983-12-30 1985-08-21 피. 이. 레고우 원자로 연료 집합체용 냉각재 흐름 혼합격자
KR20030034963A (ko) * 2001-10-29 2003-05-09 한국원자력연구소 측면 용접지지대 및 유동혼합날개를 구비하는핵연료집합체 지지격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389B1 (ko) * 2009-09-03 2011-10-2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트러스 보강 지지구조체 및 이의 형성방법
KR101135297B1 (ko) 2010-08-13 2012-04-12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전핵연료 수중해체를 위한 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803A (ko) 200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8284B2 (en) Tube-in-tube threaded dashpot end plug
US4885127A (en) Nuclear fuel rod support grid with attachable spring and dimple support spacers
KR100932436B1 (ko) 연료봉 프레팅 마모방지를 위한 카누 모양의 스프링을 가진지지격자
US5966419A (en) Spacing grid of a fuel assembly for a nuclear reactor and fuel assembly
US4714585A (en) Interlocking egg-crate type grid assembly
US5434898A (en) Nuclear fuel assembly
US4125435A (en) Grid lattice with sliding strap
US4175004A (en) Fuel assembly guide tube
US4747997A (en) Nuclear fuel rod loader for pulling fuel rods into a fuel assembly skeleton
US11738416B2 (en) Spacer grid welding fixture
US9275763B2 (en) Nuclear fuel rod spacer grid and framework and assembly comprising such a grid
EP2107573B1 (en) Radioisotope production structures, fuel assemblies having the same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0844880B1 (ko) 지지격자와 안내관 및 계측관을 무용접으로 체결하는골격체
US4699758A (en) Reusable locking tube in a reconstitutable fuel assembly
EP2109113B1 (en) Detachable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component
US4348353A (en)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duct-tube-to-inlet-nozzle attachment system
US5566217A (en) Reduced height spacer for nuclear fuel rods
US20100020916A1 (en)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grid
US4366116A (en)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duct-tube-to-handling-socket attachment system
KR101640942B1 (ko) 원자로용 핵연료 집합체
KR100844474B1 (ko) 해체조립이 용이한 상단고정체와 안내관의 체결구조
US11501884B2 (en) System including a member configured to separate a lock insert from a guide hole in a top nozzle plate of a nuclear fuel assembly
KR100982301B1 (ko) 핵연료 집합체의 상단고정체 어셈블리
KR101149550B1 (ko) 핵연료 집합체용 상단고정체
US4568512A (en) Bracing grids for nuclear reactor fuel sub-assembl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