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365B1 - 자동차용 연축전지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연축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365B1
KR100844365B1 KR1020050101953A KR20050101953A KR100844365B1 KR 100844365 B1 KR100844365 B1 KR 100844365B1 KR 1020050101953 A KR1020050101953 A KR 1020050101953A KR 20050101953 A KR20050101953 A KR 20050101953A KR 100844365 B1 KR100844365 B1 KR 100844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on
filter
sheet
lead
acid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1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5549A (ko
Inventor
서세영
유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Priority to KR1020050101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365B1/ko
Publication of KR20070045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H01M8/0687Reactant purification by the use of membranes or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폭 필터를 설치하여서 된 자동차용 연축전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연축전지의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의 배출을 위한 통로에 3-4 mm 두께의 방폭 필터 하나를 설치하여 왔던 바, 이러한 종래의 연축전지에 있어서는 장기간 사용의 경우 방폭 필터가 전해액에 젖어 내부 가스의 원활한 외부 배출을 방해하게 되어 폭발의 위험성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3-4 mm 두께의 방폭 필터를 하나를 설치하는 대신 2∼2.5mm의 필터 2개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하나가 젖더라도 나머지의 필터가 다공성 구조를 유지하게 하여 폭발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임.

Description

자동차용 연축전지{A Lead-acid Battery for Vehicle}
도 1 은 본 발명의 연축전지에 있어서 방폭필터가 설치된 상카바 부분의 발췌 단면도.
도 2 는 종래의 연축전지에 있어서 방폭필터가 설치된 상카바 부분의 발췌 단면도
도 3 은 자동차용 연축전지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부 하우징
11 ............ 격벽
12 ............ 셀(Cell)
삭제
20 ............. 상부 하우징
21 ........... 덮개부
22 ........... 단자
30 ............ 상카바
23 ........... 가스배출통로
230 ......... 상부시이트
231 ......... 하부시이트
240, 241 ..... 방폭필터
30 ............. 상카바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축전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폭 필터를 설치하여서 된 연축전지에 관한 것이다.
방폭 필터를 설치하여서 된 종래의 연축전지는 연축전지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소 및 산소는 이를 배출시키고 전해액의 배출은 이를 저지하기 위하여 가스 통로를 미로로 형성시킬 뿐 아니라, 그 통로에 3-4 mm 두께의 방폭 필터를 설치하여 왔던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연축전지에 있어서는 그 장착 초기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지속적인 운행 조건에서는 배터리 내부에서 발생된 전해액의 작은 증기들이 카바와 상카바의 미로 구조에서 미쳐 응축 환수되지 못하고 방폭필터에 까지 도달하게 되며, 배터리 내부 가스 압력에 의해 방폭 필터를 거쳐 가스 통로를 통하여 벤트 홀(Vent hole)로 배출되는 경우가 발생되었으며, 그리하여 방폭 필터가 전해액에 젖을 수 있었고, 그리하여 방폭 필터가 젖을 경우 방폭 필터는 이제 더 이상 다공성 구조로서의 착화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되어, 내부 가스의 원활한 외부 배출을 방해하게 되고, 그리하여 내부의 수소 및 산소 가스 밀도를 정상적인 경우보다 높이게 되고, 이로 인해서 외부 화기의 유입이 없더라도 내부 쇼트(Short)에 의한 폭발의 위험성을 상승시키게 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3-4 mm 두께의 방폭 필터 하나를 설치하는 대신, 2∼2.5mm의 필터 2개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하나가 젖더라도, 그 두께가 종래의 필터에 비하여 얇으므로 유체의 저항이 상대적으로 낮아 가스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며, 또, 나머지의 필터가 다공성 구조를 유지하게 하여 폭발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인 바,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부하우징(10)과 상부하우징(20)으로 구성되고, 하부하우징(10)은 다수개의 격벽(11)으로 분획된 다수개의 셀(12; Cell)로 구성되며, 각 셀(12)에는 전해액이 충전(充塡)되고 극판(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며, 상부하우징(20)은 하부하우징(10)에 충전된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될 수 없도록 보호하는 덮개부(21)로 구성되며 덮개부(21)의 외측 상부에 각 셀(12)의 극판군에서 전기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한 쌍의 단자(22)를 형성시키고, 덮개부(21)에 상카바(30)를 설치하여 이에 가스배출통로(23)를 형성시키되 가스배출통로(23)는 이를 미로로 형성시키어 각 셀(12)에서 나오는 가스는 이를 배출시키고 가스에 포함된 전해액은 이를 회수하게하며 가스배출통로 단부에 필터 시이트를 형성시키고 필터시이트(Filter seat)에 필터를 설치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가스배출통로(23)에 형성시키는 필터시이트를 서로 이격된 상부시이트(230)와 하부시이트(231)의 이중 시이트(Seat)로 형성시키고, 상부시이트(230)와 하부시이트(231)에 각각 2∼2.5mm 두께의 방폭필터(240, 241)를 설치하여 구성 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연축전지는 두개의 필터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게 하여 모세관 현상을 차단함으로써 상측의 필터가 젖지 않게 하여 전해액의 조기 유출을 방지할 뿐 아니라 내부의 수소 및 산소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여 산소 및 수소의 밀도 상승을 막아주며, 외부 화기 유입에 의한 착화를 효과적으로 막아 폭발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하부하우징(10)과 상부하우징(20)으로 구성되고, 하부하우징(10)은 다수개의 격벽(11)으로 분획된 다수개의 셀(12; Cell)로 구성되며, 각 셀(12)에는 전해액이 충전(充塡)되고 극판이 설치되며, 상부하우징(20)은 하부하우징(10)에 충전된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될 수 없도록 보호하는 덮개부(21)로 구성되며, 덮개부(21)의 외측 상부에 각 셀(12)의 극판군에서 전기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한 쌍의 단자(22)를 형성시키고, 덮개부(21)에 상카바(30)를 설치하여 이에 가스배출통로를 형성시키며 가스배출통로에 필터 시이트를 형성시키고 필터시이트에 필터를 설치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가스배출통로에 형성시키는 필터시이트를 상부시이트와 하부시이트로 형성시키고, 상부시이트와 하부시이트에 각각 방폭필터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축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시이트와 하부시이트에 각각 설치하는 방폭필터는 그 두께가 2∼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축전지.
KR1020050101953A 2005-10-27 2005-10-27 자동차용 연축전지 KR100844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953A KR100844365B1 (ko) 2005-10-27 2005-10-27 자동차용 연축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953A KR100844365B1 (ko) 2005-10-27 2005-10-27 자동차용 연축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549A KR20070045549A (ko) 2007-05-02
KR100844365B1 true KR100844365B1 (ko) 2008-07-07

Family

ID=38271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953A KR100844365B1 (ko) 2005-10-27 2005-10-27 자동차용 연축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3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28729A (zh) * 2014-09-18 2016-03-23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铅蓄电池以及搭载有该铅蓄电池的摩托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698B1 (ko) * 2016-02-12 2019-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개선된 셀 모듈 어셈블리 수용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408U (ko) * 1984-07-07 1986-03-31 경원산업 주식회사 M.F.(Maintenance Free) 축전지 방폭마개의 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408U (ko) * 1984-07-07 1986-03-31 경원산업 주식회사 M.F.(Maintenance Free) 축전지 방폭마개의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28729A (zh) * 2014-09-18 2016-03-23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铅蓄电池以及搭载有该铅蓄电池的摩托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549A (ko)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12073438A1 (ja) 電池パック
KR20120015799A (ko) 배터리의 전해액 누출 차단 장치
US10087534B2 (en) Hydrogen evolution cell having a cathode pocket
EP1198853A1 (en) Electrolyte baffling plug and battery cover
CN102696132A (zh) 电池模块
CN216903234U (zh) 一种具有挡板结构的泄压防爆阀、电池包、电动汽车
US4072799A (en) Vent plug system for batteries
CN112635887A (zh) 一种带泄气通道的防延烧电池
KR100844365B1 (ko) 자동차용 연축전지
CN109994754B (zh) 燃料电池车辆
US6120931A (en) Lead-acid accumulator, particularly for motor vehicles
CN104022235A (zh) 用于封闭隔室的紧急排泄装置
JP5145707B2 (ja) 鉛蓄電池
JP2019106320A (ja) 鉛蓄電池
CN217387441U (zh) 单体电池、电池包和车辆
CN217788703U (zh) 单体电池、电池包和车辆
KR100650998B1 (ko) 납축전지의 메인커버
CN116742263A (zh) 电池及用电装置
CN108091916B (zh) 车载用燃料电池堆
JP2003162990A (ja) 鉛蓄電池
JPS61161656A (ja) 蓄電池用液口栓
US6733921B2 (en) Rechargeable electric battery
US10686173B2 (en) Battery pack comprising fire extinguishing agent
JP5082185B2 (ja) 鉛蓄電池
CN220367959U (zh) 电池及电池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