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747B1 -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 - Google Patents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747B1
KR100841747B1 KR1020060118349A KR20060118349A KR100841747B1 KR 100841747 B1 KR100841747 B1 KR 100841747B1 KR 1020060118349 A KR1020060118349 A KR 1020060118349A KR 20060118349 A KR20060118349 A KR 20060118349A KR 100841747 B1 KR100841747 B1 KR 100841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signal
vibration
brid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8228A (ko
Inventor
이승재
이상우
황경훈
이세헌
이희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화이엔씨
디지털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화이엔씨, 디지털건설(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화이엔씨
Priority to KR1020060118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1747B1/ko
Publication of KR20080048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8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01H1/04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of vibrations which are transverse to direction of propa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01H1/1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of longitudinal or not specified vibr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0/00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진동을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무선으로 통제실의 퍼스널 컴퓨터에 송신함과 동시에, 통제실에서 지시하는 명령을 수신하여 각 센서들의 정상적인 동작을 하는지 여부를 판단해서 교량의 붕괴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분석하여 교량을 상태를 관리함으로서 교량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계측된 교량의 진동 및 계측유닛의 점검명령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Figure R1020060118349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

Description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MEASURING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IEVING WITH WIRELESS MEASURED VIBRATION OF BRIDG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진동검출부 110:제1 진동검출센서
112:X방향 진동검출 쎌 114:Y방향 진동검출 쎌
120:제2 진동검출센서 122:Z방향 진동검출 쎌
200:신호처리부 210:제1 증폭수단
220:제1 변ㆍ복조수단 230:제1 출력증폭수단
240:제2 출력증폭수단 250:제3 출력증폭수단
260:마이크로 프로세서 262:A/D변환기
264:동기 및 비동기 양방향 통신수단 270:직류전원부
300:제1 송ㆍ수신부 400:제2 송ㆍ수신부
410:제2 송ㆍ수신안테나 420:제2 변ㆍ복조수단
430:제3 증폭수단 440:RS-232 통신수단
500:퍼스널 컴퓨터 510:마이크로 프로세서
520:ROM 530:키보드
540:마우스 550:RAM
560:저장유닛 570:모니터
600:검출센서부 610:온도검출센서
620:습도검출센서 630:장력검출센서
640:기울기검출센서 650:풍속검출센서
700:프린터
본 발명은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량의 진동을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무선으로 통제실로 송신함과 동시에, 통제실에서 지시하는 명령을 수신하여 각 센서들의 정상적인 동작을 하는지 여부를 판단해서 교량의 붕괴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분석하여 교량을 상태를 관리함으로서 교량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국내에는 수 개의 교량에 유선 방식을 이용한 상시 감시 시스템을 구축, 운영하고 있으나 교량의 통합관리 시스템으로서의 성능은 기초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 교량의 통합관리 시스템은 외제 센서와 계측기기 및 외국에서 들여온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각각 제품들이 회사 및 기술이 상이하고 우리나라의 실정에 부적합한 면이 많아 전체 시스템이 성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교량 및 구조물의 안전을 관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센서 및 센서의 설치, 신호처리 프로그램과 안전성 평가 소프트웨어 등이 국내 실정에 맞게 최적화 되어 있지 못하다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진동을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무선으로 통제실의 퍼스널 컴퓨터에 송신함과 동시에, 통제실에서 지시하는 명령을 수신하여 각 센서들의 정상적인 동작을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교량의 붕괴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분석하여 교량을 상태를 관리함으로서 교량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은 교량 설치되어 교량의 X방향진동신호, Y방향진동신호 및 Z방향진동신호를 각각 검출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통제실에서 송신하는 동작상태 체크신호를 받아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의 동작상태신호를 출력하는 진동검출부와, 상기 진동검출부에서 출력된 교량의 X방향 아날로그 진동신호, Y방향 아날로그 진동신호, Z방향 아날로그 진동신호 및 상기 진동검출부의 동작상태신호를 각각 받아 증폭 및 변조하고 연산처리하며, X방향 아날로그 진동신호, Y방향 아날로그 진동신호 및 Z방향 아날로그 진동신호를 X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및 상기 진동검출부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로 변환하며, 연산처리하여 동기 및 비동기 양방향 통신을 함과 동시에, 상기 통제실에서 송신하는 동작상태 체크신호를 동기 및 비동기 양방향 통신수단을 통해 받아 연산처리하고, 증폭 및 복조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변조되고 증폭된 동기 및 비동기 양방향 통신을 X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및 상기 진동검출부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를 각각 받아서 변조하고 증폭하며 필터링해서 제1 송ㆍ수신안테나를 통해서 송신함과 동시에, 제2 송ㆍ수신안테나에서 송신되는 각 센서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받아 복조해서 상기 신호처리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출력하는 제1 송ㆍ수신부와, 상기 제1 송ㆍ수신부에서 송신되는 상기 X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디지털 Y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및 상기 진동검출부의 티지털 동작상태신호를 제2 송ㆍ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하여 복조 및 증폭하여 RS-232통신으로 통신함과 동시 에, 통제실에서 송신되는 각 센서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제2 송ㆍ수신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1 송ㆍ수신부의 제1 안테나로 송신하는 제2 송ㆍ수신부와, 상기 제2 송ㆍ수신부의 RS-232통신수단에서 출력되는 변조된 상기 X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및 Z방향 디지털 진동신호를 유선으로 받아서 ROM에 저장된 실행프로그램에 의해 연산처리하고 저장함과 동시에, 각 센서들의 정상적인 동작을 첵크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퍼스널 컴퓨터와, 상기 진동검출부에 인접해서 배설되어 온도, 습도, 교량의 장력, 교량의 기울기, 풍속을 각각 검출해서 상기 신호처리부에 입력하는 검출센서부와, 상기 퍼스널 컴퓨터에서 연산처리되어 출력되는 상기 X방향 진동데이터, Y방향 진동데이터, Z방향 진동데이터 및 상기 진동검출부의 동작상태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에 관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은 교량 설치되어 교량의 X방향진동신호, Y방향진동신호 및 Z방향진동신호를 각각 검출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통제실에서 송신하는 동작상태 체크신호를 받아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동작상태신호를 출력하는 진동검출부(100)와, 상기 진동검출부(100)에서 출력된 교량의 X방향 아날로그 진동신호, Y방향 아날로그 진동신호, Z방향 아날로그 진동신호 및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동작상태신호를 각각 받아 증폭 및 변조하고 연산처리하며, X방향 아날로그 진동신호, Y방향 아날로그 진동신호 및 Z방향 아날로그 진동신호를 X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및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로 변환하며, 연산처리하여 동기 및 비동기 양방향 통신을 함과 동시에, 상기 통제실에서 송신하는 동작상태 체크신호를 동기 및 비동기 양방향 통신수단(264)을 통해 받아 연산처리하고, 증폭 및 복조하는 신호처리부(200)와, 상기 신호처리부(200)에서 출력되는 변조되고 증폭된 동기 및 비동기 양방향 통신을 X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및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를 각각 받아서 변조하고 증폭하며 필터링해서 제1 송ㆍ수신안테나(340)를 통해서 송신함과 동시에, 제2 송ㆍ수신안테나(410)에서 송신되는 각 센서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받아 복조해서 상기 신호처리부(20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 출력하는 제1 송ㆍ수신부(300)와, 상기 제1 송ㆍ수신부(300)에서 송신되는 상기 X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디지털 Y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및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티지털 동작상태신호를 제2 송ㆍ수신안테나(340)에서 수신하여 복조 및 증폭하여 RS-232통신으로 통신함과 동시에, 통제실(구체적으로는 퍼스널 컴퓨터(500)에서 입력되고 제2 송ㆍ수신부(400)의 제2 송ㆍ수신 안테나(410))에서 송신되는 각 센서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제2 송ㆍ수신안테나(410)를 통해 상기 제1 송ㆍ수신부(300)의 제1 안테나(340)로 송신하는 제2 송ㆍ수신부(400)와, 상기 제2 송ㆍ수신부(400)의 RS-232통신수단(440)에서 출력되는 변조된 상기 X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및 Z방향 디지털 진동신호를 유선으로 받아서 ROM(520 ; Read - Only Memory)에 저장된 실행프로그램에 의해 연산처리하고 저장함과 동시에, 각 센서들의 정상적인 동작을 첵크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퍼스널 컴퓨터(500)와, 상기 진동검출부(100)에 인접해서 배설되어 온도, 습도, 교량의 장력, 교량의 기울기, 풍속을 각각 검출해서 상기 신호처리부(200)에 입력하는 검출센서부(600)와, 상기 퍼스널 컴퓨터(500)에서 연산처리되어 출력되는 X방향 진동데이터, Y방향 진동데이터, Z방향 진동데이터 및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동작상태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70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진동검출부(100)는 서로 대향해서 배설되어 교량의 X방향 진동을 검출하는 한쌍의 X방향 진동검출 쎌(112)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X방향 진동검출 쎌(112)에 대해 직교되게 서로 대향해서 배설되어 교량의 Y방향 진동을 검출하는 한쌍의 Y방향 진동검출 쎌(114)을 가지는 제1 진동검출센서(110)와, 상기 제1 진동검출센서(110)에 대해 수직되게 배설되며, 서로 대향해서 배설되어 교량의 Z방향 진동을 검출하는 한쌍의 Z방향 진동검출 쎌(122)을 가지는 제2 진동검출센서(120)로 구성되어 있다.
삭제
상기 신호처리부(200)는 상기 제1 진동검출센서(110)의 X방향 진동검출 쎌(112)에 의해 검출한 교량의 진동신호를 받고, 상기 제1 진동검출센서(110)의 Y 방향 진동검출 쎌(114)에 의해 검출한 교량의 진동신호를 받으며, 상기 제2 진동검출센서(120)의 Z방향 진동검출 쎌(122)에 의해 검출한 교량의 진동신호 및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동작상태신호를 각각 받아 상기 한쌍의 X방향 진동검출 쎌(112)에 의해 검출한 진동신호의 차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한쌍의 Y방향 진동검출 쎌(114)에 의해 검출한 진동신호의 차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한쌍의 Z방향 진동검출 쎌(122)에 의해 검출한 진동신호의 차신호를 일정레벨로 증폭함과 동시에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동작상태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수단(210)과, 상기 제1 증폭수단(210)에서 증폭된 X방향 아날로그 진동신호를 변조하고, Y방향 아날로그 진동신호를 변조하고, Z방향 아날로그 진동신호를 변조함과 동시에,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동작상태신호를 각각 변조하는 제1 변ㆍ복조수단(220)과, 상기 제1 변ㆍ복조수단(220)에서 출력되는 X방향의 아날로그 진동신호를 받아서 일정 레벨로 증폭하는 제1 출력증폭수단(230)과, 상기 제1 변ㆍ복조수단(220)에서 출력되는 Y방향의 아날로그 진동신호를 받아서 일정 레벨로 증폭하는 제2 출력증폭수단(240)과, 상기 제1 변복조수단(220)에서 출력되는 Z방향의 아날로그 진동신호 및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동작상태신호를 각각 받아서 일정 레벨로 증폭하는 제3 출력증폭수단(250)과, 상기 제1 내지 제3 출력증폭수단(230,240,250)에서 일정 레벨로 각각 증폭된 X방향의 아날로그 진동신호, Y방향의 아날로그 진동신호, Z방향의 아날로그 진동신호 및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동작상태신호를 각각 받아서 X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및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로 변환하여 연산처리함과 동시에, 상기 검출센서 부(600)에서 검출된 온도데이터, 습도데이터, 교량의 장력 데이터, 교량의 기울기 데이터, 풍속데이터를 받아서 디지털 온도데이터, 디지털 습도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장력 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기울기 데이터, 디지털 풍속데이터로 변환하여 연산처리해서 동기 및 비동기 양방향 통신수단(264)을 통해서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부(27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송ㆍ수신수단(300)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 내장된 동기 및 비동기 양방향 통신수단(264)을 통해서 시리얼 통신되는 교량의 X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및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를 받아서 무선 송신 반송파로 변조함과 동시에, 제2 송ㆍ수신부(400)의 제2 송ㆍ수신안테나에서 송신되는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복조하는 제2 변ㆍ복조수단(310)과, 상기 제2 변ㆍ복조수단(310)에서 변조된 교량의 X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및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를 받아서 일정레벨로 증폭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수단(320)과, 상기 제2 증폭수단(320)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 교량의 X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및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를 받아서 노이즈를 필터링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받아서 노이즈 를 필터링하여 상기 제2 증폭수단(320)에 출력하는 필터(330)와, 상기 필터(330)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된 교량의 X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및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를 받아서 송신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송수신부(400)의 제2 송ㆍ수신안테나(410)에서 송신되는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수신하는 제1 송ㆍ신안테나(3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송ㆍ수신부(400)는 상기 제1 송ㆍ수신안테나(340)에서 송신되는 X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디지털 온도데이터, 디지털 습도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장력 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기울기 데이터, 디지털 풍속데이터 및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각 센서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받아 상기 제1 송ㆍ수신안테나(340)에 송신하는 제2 송ㆍ수신안테나(410)와, 상기 제2 송ㆍ수신안테나(410)에서 수신된 X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디지털 온도데이터, 디지털 습도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장력 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기울기 데이터, 디지털 풍속데이터 및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를 받아 복조함과 동시에, 상기 각 센서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받아 무선 송신 반송파로 변조해서 상기 제2 송ㆍ수신안테나(410)에 출력하는 제2 변ㆍ복조수단(420)과, 상기 제2 변ㆍ복조수단(420)에서 복조된 X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디지털 온도데이터, 디지털 습도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장력 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기울기 데이 터, 디지털 풍속데이터를 받아 일정레벨로 증폭함과 동시에, 상기 각 센서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받아 일정레벨로 증폭해서 상기 제2 변ㆍ복조수단(420)에 출력하는 제3 증폭수단(430)과, 상기 제3 증폭수단(430)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 X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디지털 온도데이터, 디지털 습도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장력 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기울기 데이터, 디지털 풍속데이터 및 진동검출부(100)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를 받아 RS-232 통신으로 상기 퍼스널 컴퓨터(500)에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퍼스널 컴퓨터(500)에 출력되는 상기 각 센서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RS-232 통신으로 받아서 상기 제3 증폭수단(430)에 출력하는 RS-232 통신수단(4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검출센서부(600)는 상기 진동검출부(100)에 인접해서 배설되어 온도를 검출해서 상기 신호처리부(20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 입력하는 온도검출센서(610)와, 상기 진동검출부(100)에 인접해서 배설되어 습도를 검출해서 상기 신호처리부(20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 입력하는 습도검출센서(620)와, 상기 진동검출부(100)에 인접해서 배설되어 교량의 장력을 검출해서 상기 신호처리부(20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 입력하는 장력검출센서(630)와, 상기 진동검출부(100)에 인접해서 배설되어 교량의 기울기를 검출해서 상기 신호처리부(20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 입력하는 기울기검출센서(640)와, 상기 진동검출부(100)에 인접해서 배설되어 풍속을 검출해서 상기 신호처리부(20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 입력하는 풍속검출센서(6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퍼스널 컴퓨터(500)는 상기 제2 송수신부(500)의 RS-232 통신수단(440) 에서 출력되는 X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디지털 온도데이터, 디지털 습도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장력 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기울기 데이터, 디지털 풍속데이터를 받아 ROM(520)에 저장된 실행프로그램에 따라 연산처리함과 동시에, 상기 각 센서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상기 제2 송ㆍ수신부(400)의 RS-232 통신수단(440)에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51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10)에 상기 각 센서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입력하는 키보드(530) 및 마우스(54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10)에서 연산된 X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디지털 온도데이터, 디지털 습도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장력 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기울기 데이터, 디지털 풍속데이터 및 상기 각 센서의 정상동작 체크데이터를 받아 일시 저장하는 RAM(550 ; Random - Access Memory)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10)에서 연산된 X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디지털 온도데이터, 디지털 습도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장력 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기울기 데이터, 디지털 풍속데이터를 받아 영구 저장하는 저장유닛(560 ; C드라이버라고도 한다)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10)에서 연산된 X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디지털 온도데이터, 디지털 습도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장력 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기울기 데이터, 디지털 풍속데이터 및 상기 각 센서의 정상동작 체크데이터를 받아 표출하는 모니터(570)로 구성되어 있다.
삭제
상기 진동검출부(100)는 교각 사이의 상판 중심의 하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현수교인 경우 현수케이블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명 및 도면의 도시에서 상기 진동검출부(100)는 교각 사이의 상판 중심의 하부 또는 현수교인 경우 현수케이블에 한 세트를 설치하는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교각 사이마다 각각 설치되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를 스위칭 온하면 상기 신호처리부(20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 직류전원부(270)로부터 직류전원이 동작전원으로 인가되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60)로부터 각 구성요소, 예를 들면 상기 진동검출부(100), 상기 신호처리부(200), 상기 제1 송ㆍ수신부(300) 및 검출센서부(600)에 동작전원이 인가된다.
이때, 상기 퍼스널 컴퓨터(500)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제2 송수신부(400)에 동작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퍼스널 컴퓨터(500)의 키보드(530) 및 마우스(540)에 의해 각 센서의 정상동작 체크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10)에서 ROM(520)에 저장되어 있는 실행프로그램에 따라 연산처리하여 상기 RAM(55) 및 저장유닛(560 ; C드라이브)에 저장하고, 상기 모니터(570)에 표출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정상동작 체크데이터를 상기 제2 송ㆍ수신부(400)의 RS-232 통신수단(440)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RS-232 통신수단(440)에서는 이들 신호를 받아서 일정시간 동안 모아서 제3 증폭수단(430)에 출력하며, 상기 제3 증폭수단(430)에서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일정레벨로 증폭하여 제2 변ㆍ복조수단(420)에 출력하며, 상기 제2 변ㆍ복조수단(420)에서 무선 송신 반송파로 변조하여 제2 송ㆍ수신 안테나(410)에서 송신한다.
상기 제2 송ㆍ수신부(400)의 제2 송ㆍ수신 안테나(410)에서 송신되는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정상동작 체크신호, 즉 상기 제2 변ㆍ복조수단(420)에서 변조된 무선 송신 반송파는 상기 제1 송ㆍ수신부(300)의 제1 송ㆍ수신 안테나(340)에서 수신하여 필터(330)에서 노이즈를 필터링 한 후에, 제2 증폭수 단(320)에서 일정레벨로 증폭하고, 상기 제2 증폭수단(320)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는 상기 제2 변ㆍ복조수단(310)에서 복조되어 상기 신호처리부(20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 내장된 동기 및 비동기 양방향 통신수단(264)를 통해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 입력되어 연산처리하여 제3 출력증폭수단(250)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다.
상기 신호처리수단(200)의 제3 출력증폭수단(250)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는 제1 변ㆍ복조수단(210)을 통해서 제1 증폭수단(210)에서 다시 일정레벨로 증폭되어 상기 진동검출부(100)에 출력함으로서, 상기 진동검출부(100)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정상동작 여부를 체크하여 그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에,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제1 진동검출센서(110)에 서로 대향해서 배설되어 교량의 X방향 진동을 한쌍의 X방향 진동검출 쎌(112)에 의해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상기 제1 진동검출센서(110)의 상기 X방향 진동검출 쎌(112)에 대해 직교되게 서로 대향해서 배설되어 교량의 Y방향 진동을 한쌍의 Y방향 진동검출 쎌(114)에 의해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상기 제1 진동검출센서(110)에 대해 수직되게 배설되며, 서로 대향해서 배설되어 교량의 Z방향 진동을 한쌍의 Z방향 진동검출 쎌(122)에 의해 검출하여 이들 검출신호를 상기 진동검출부(100)에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동작상태신호를 진동검출부(100)에서 상기 신호처리부(200)의 제1 증폭수단(210)에 출력하면, 상기 제1 증폭수단(210)에서 일정 레벨로 증폭하고, 상기 제1 증폭수단(210)에서 증폭된 교량의 X방향진동신호, Y방향진동신호, Z방향진동신호 및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동작상태신호를 제1 변ㆍ복조수단(220)에서 받아 무선 송신 반송파로 변조하고, 상기 제1 변ㆍ복조수단(220)에서 변조된 무선 송신 반송파 중 교량의 X방향진동신호는 제1 출력증폭수단(230)에서 받아 다시 일정레벨로 증폭하여 상기 신호처리부(20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 출력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변ㆍ복조수단(220)에서 변조된 무선 송신 반송파 중 교량의 Y방향진동신호는 제2 출력증폭수단(240)에서 받아 다시 일정레벨로 증폭하여 상기 신호처리부(20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변ㆍ복조수단(220)에서 변조된 무선 송신 반송파 중 교량의 Z방향진동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동작상태신호는 제2 출력증폭수단(250)에서 받아 다시 일정레벨로 증폭하여 상기 신호처리부(20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신호처리부(20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서는 이들 교량의 X방향진동신호, Y방향진동신호, Z방향진동신호 및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동작상태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 내장된 A/D변환기(262)에서 교량의 X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및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로 변환한 후에 연산처리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 내장된 동기 및 비동기 양방향 통신수단(264)을 통해서 시리얼 통신으로 상기 제1 송ㆍ수신수단(300)의 제2 변ㆍ복조수단(310)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송ㆍ수신수단(300)의 제2 변ㆍ복조수단(310)에서 이들 교량의 X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및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를 다시 무선 송신 반송파로 변조하여 제2 증폭수단(320)에 출력하며, 상기 제2 증폭수단(320)에서는 이들 신호를 일정레벨로 증폭하여 필터(330)에 출력한다.
상기 필터(330)에서는 이들 교량의 X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및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상기 제1 송수신수단(340)의 제1 송ㆍ수신안테나(340)에서 송신한다.
상기 제1 송ㆍ수신수단(340)의 제1 송ㆍ수신안테나(340)에서 송신되는 교량의 X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및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를 상기 제2 송ㆍ수신수단(410)의 제2 송ㆍ수신안테나(410)에서 받아서 제2 변ㆍ복조수단(420)에 출력하면, 제2 변ㆍ복조수단(420)에서 복조하고, 상기 제2 변ㆍ복조수단(420)에서 복조된 교량의 X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및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를 제3증폭수단(430)에서 일정레벨로 증폭하고, 상기 제3증폭수단(430)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 교량의 X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및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를 RS-232통신수단(440)에서 받아 시리얼 통신으로 상기 퍼스널 컴퓨터(500)의 마이크로 프로세 서(510)에 유선으로 출력한다.
상기 퍼스널 컴퓨터(50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510)에서는 RS-232통신수단(440)에서 출력되는 교량의 X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및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를 받아서 상기 ROM(520)에 저장되어 있는 실행프로그램에 따라 실행하여 교량의 X방향 디지털 진동데이터, Y방향 디지털 진동데이터, Z방향 디지털 진동데이터 및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디지털 동작상태데이터를 상기 RAM(550) 및 저장유닛(560)에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모니터(570)에 표출할 수도 있으며, 프린터(700)에 의해 인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교량의 진동을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무선으로 통제실의 퍼스널 컴퓨터에 송신함과 동시에, 통제실에서 지시하는 명령을 수신하여 각 센서들의 정상적인 동작을 하는지 여부를 판단해서 교량의 붕괴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분석하여 교량을 상태를 관리함으로서 교량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에 의하면, 교량의 진동을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무선으로 통제실의 퍼스널 컴퓨터에 송신함과 동시에, 통제실에서 지시하는 명령을 수신하여 각 센서들의 정상적인 동작을 하는지 여부를 판단해서 교량의 붕괴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분석하여 교량을 상태를 관리함으로서 교량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교량 설치되어 교량의 X방향진동신호, Y방향진동신호 및 Z방향진동신호를 각각 검출함과 동시에, 통제실에서 송신하는 동작상태 체크신호를 받아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동작상태신호를 출력하는 진동검출부(100)와,
    상기 진동검출부(100)에서 출력된 교량의 X방향 아날로그 진동신호, Y방향 아날로그 진동신호, Z방향 아날로그 진동신호 및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동작상태신호를 각각 받아 증폭 및 변조하고 연산처리하며, X방향 아날로그 진동신호, Y방향 아날로그 진동신호 및 Z방향 아날로그 진동신호를 X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및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로 변환하며, 연산처리하여 동기 및 비동기 양방향 통신을 함과 동시에, 상기 통제실에서 송신하는 동작상태 체크신호를 동기 및 비동기 양방향 통신수단(264)을 통해 받아 연산처리하고, 증폭 및 복조하는 신호처리부(200)와,
    상기 신호처리부(200)에서 출력되는 변조되고 증폭된 동기 및 비동기 양방향 통신을 X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및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를 각각 받아서 변조하고 증폭하며 필터링해서 제1 송ㆍ수신안테나(340)를 통해서 송신함과 동시에, 제2 송ㆍ수신안테나(410)에서 송신되는 각 센서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받아 복조해서 상기 신호처리부(20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 출력하는 제1 송ㆍ수신부(300)와,
    상기 제1 송ㆍ수신부(300)에서 송신되는 상기 X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디지털 Y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및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티지털 동작상태신호를 제2 송ㆍ수신안테나(340)에서 수신하여 복조 및 증폭하여 RS-232통신으로 통신함과 동시에, 통제실에서 송신되는 각 센서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제2 송ㆍ수신안테나(410)를 통해 상기 제1 송ㆍ수신부(300)의 제1 안테나(340)로 송신하는 제2 송ㆍ수신부(400)와,
    상기 제2 송ㆍ수신부(400)의 RS-232통신수단(440)에서 출력되는 변조된 상기 X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및 Z방향 디지털 진동신호를 유선으로 받아서 ROM(520)에 저장된 실행프로그램에 의해 연산처리하고 저장함과 동시에, 각 센서들의 정상적인 동작을 첵크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퍼스널 컴퓨터(500)와,
    상기 진동검출부(100)에 인접해서 배설되어 온도, 습도, 교량의 장력, 교량의 기울기, 풍속을 각각 검출해서 상기 신호처리부(200)에 입력하는 검출센서부(600)와,
    상기 퍼스널 컴퓨터(500)에서 연산처리되어 출력되는 X방향 진동데이터, Y방향 진동데이터, Z방향 진동데이터 및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동작상태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70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진동검출부(100)는 서로 대향해서 배설되어 교량의 X방향 진동을 검출하는 한쌍의 X방향 진동검출 쎌(112)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X방향 진동검출 쎌(112)에 대해 직교되게 서로 대향해서 배설되어 교량의 Y방향 진동을 검출하는 한쌍의 Y방향 진동검출 쎌(114)을 가지는 제1 진동검출센서(110)와, 상기 제1 진동검출센서(110)에 대해 수직되게 배설되며, 서로 대향해서 배설되어 교량의 Z방향 진동을 검출하는 한쌍의 Z방향 진동검출 쎌(122)을 가지는 제2 진동검출센서(1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200)는 상기 제1 진동검출센서(110)의 X방향 진동검출 쎌(112)에 의해 검출한 교량의 진동신호를 받고, 상기 제1 진동검출센서(110)의 Y방향 진동검출 쎌(114)에 의해 검출한 교량의 진동신호를 받으며, 상기 제2 진동검출센서(120)의 Z방향 진동검출 쎌(122)에 의해 검출한 교량의 진동신호 및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동작상태신호를 각각 받아 상기 한쌍의 X방향 진동검출 쎌(112)에 의해 검출한 진동신호의 차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한쌍의 Y방향 진동검출 쎌(114)에 의해 검출한 진동신호의 차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한쌍의 Z방향 진 동검출 쎌(122)에 의해 검출한 진동신호의 차신호를 일정레벨로 증폭함과 동시에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동작상태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수단(210)과, 상기 제1 증폭수단(210)에서 증폭된 X방향 아날로그 진동신호를 변조하고, Y방향 아날로그 진동신호를 변조하고, Z방향 아날로그 진동신호를 변조함과 동시에,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동작상태신호를 각각 변조하는 제1 변ㆍ복조수단(220)과, 상기 제1 변ㆍ복조수단(220)에서 출력되는 X방향의 아날로그 진동신호를 받아서 일정 레벨로 증폭하는 제1 출력증폭수단(230)과, 상기 제1 변ㆍ복조수단(220)에서 출력되는 Y방향의 아날로그 진동신호를 받아서 일정 레벨로 증폭하는 제2 출력증폭수단(240)과, 상기 제1 변복조수단(220)에서 출력되는 Z방향의 아날로그 진동신호 및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동작상태신호를 각각 받아서 일정 레벨로 증폭하는 제3 출력증폭수단(250)과, 상기 제1 내지 제3 출력증폭수단(230,240,250)에서 일정 레벨로 각각 증폭된 X방향의 아날로그 진동신호, Y방향의 아날로그 진동신호, Z방향의 아날로그 진동신호 및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동작상태신호를 각각 받아서 X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및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로 변환하여 연산처리함과 동시에, 상기 검출센서부(600)에서 검출된 온도데이터, 습도데이터, 교량의 장력 데이터, 교량의 기울기 데이터, 풍속데이터를 받아서 디지털 온도데이터, 디지털 습도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장력 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기울기 데이터, 디지털 풍속데이터로 변환하여 연산처리해서 동기 및 비동기 양방향 통신수단(264)을 통해서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 부(27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ㆍ수신부(400)는 상기 제1 송ㆍ수신안테나(340)에서 송신되는 X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디지털 온도데이터, 디지털 습도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장력 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기울기 데이터, 디지털 풍속데이터 및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각 센서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받아 상기 제1 송ㆍ수신안테나(340)에 송신하는 제2 송ㆍ수신안테나(410)와, 상기 제2 송ㆍ수신안테나(410)에서 수신된 X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디지털 온도데이터, 디지털 습도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장력 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기울기 데이터, 디지털 풍속데이터 및 상기 진동검출부(100)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를 받아 복조함과 동시에, 상기 각 센서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받아 무선 송신 반송파로 변조해서 상기 제2 송ㆍ수신안테나(410)에 출력하는 제2 변ㆍ복조수단(420)과, 상기 제2 변ㆍ복조수단(420)에서 복조된 X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디지털 온도데이터, 디지털 습도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장력 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기울기 데이터, 디지털 풍속데이터를 받아 일정레벨로 증폭함과 동시에, 상기 각 센서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받아 일정레벨로 증폭해서 상기 제2 변ㆍ복조수단(420)에 출력하는 제3 증폭수단(430)과, 상기 제3 증폭수단(430)에서 일정레벨 로 증폭된 X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디지털 온도데이터, 디지털 습도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장력 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기울기 데이터, 디지털 풍속데이터 및 진동검출부(100)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를 받아 RS-232 통신으로 상기 퍼스널 컴퓨터(500)에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퍼스널 컴퓨터(500)에 출력되는 상기 각 센서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RS-232 통신으로 받아서 상기 제3 증폭수단(430)에 출력하는 RS-232 통신수단(44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센서부(600)는 상기 진동검출부(100)에 인접해서 배설되어 온도를 검출해서 상기 신호처리부(20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 입력하는 온도검출센서(610)와, 상기 진동검출부(100)에 인접해서 배설되어 습도를 검출해서 상기 신호처리부(20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 입력하는 습도검출센서(620)와, 상기 진동검출부(100)에 인접해서 배설되어 교량의 장력을 검출해서 상기 신호처리부(20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 입력하는 장력검출센서(630)와, 상기 진동검출부(100)에 인접해서 배설되어 교량의 기울기를 검출해서 상기 신호처리부(20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 입력하는 기울기검출센서(640)와, 상기 진동검출부(100)에 인접해서 배설되어 풍속을 검출해서 상기 신호처리부(20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 입력하는 풍속검출센서(65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컴퓨터(500)는 상기 제2 송수신부(500)의 RS-232 통신수단(440)에서 출력되는 X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디지털 온도데이터, 디지털 습도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장력 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기울기 데이터, 디지털 풍속데이터를 받아 ROM(520)에 저장된 실행프로그램에 따라 연산처리함과 동시에, 상기 각 센서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상기 제2 송ㆍ수신부(400)의 RS-232 통신수단(440)에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51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10)에 상기 각 센서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입력하는 키보드(530) 및 마우스(54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10)에서 연산된 X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디지털 온도데이터, 디지털 습도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장력 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기울기 데이터, 디지털 풍속데이터 및 상기 각 센서의 정상동작 체크데이터를 받아 일시 저장하는 RAM(550)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10)에서 연산된 X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디지털 온도데이터, 디지털 습도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장력 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기울기 데이터, 디지털 풍속데이터를 받아 영구 저장하는 저장유닛(560)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10)에서 연산된 X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의 디지털 진동신호, 디지털 온도데이터, 디지털 습도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장력 데이터, 디지털 교량의 기울기 데이터, 디지털 풍속데이터 및 상기 각 센서의 정상동작 체크데이터를 받아 표출하는 모니터(57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ㆍ수신수단(300)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60)에 내장된 동기 및 비동기 양방향 통신수단(264)을 통해서 시리얼 통신되는 교량의 X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및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를 받아서 무선 송신 반송파로 변조함과 동시에, 제2 송ㆍ수신부(400)의 제2 송ㆍ수신안테나에서 송 신되는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복조하는 제2 변ㆍ복조수단(310)과, 상기 제2 변ㆍ복조수단(310)에서 변조된 교량의 X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및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를 받아서 일정레벨로 증폭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수단(320)과, 상기 제2 증폭수단(320)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 교량의 X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및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를 받아서 노이즈를 필터링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받아서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상기 제2 증폭수단(320)에 출력하는 필터(330)와, 상기 필터(330)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된 교량의 X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Y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Z방향 디지털 진동신호 및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디지털 동작상태신호를 받아서 송신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송수신부(400)의 제2 송ㆍ수신안테나(410)에서 송신되는 상기 제1 및 제2 진동검출센서(110,120)의 정상동작 체크신호를 수신하는 제1 송ㆍ신안테나(340)로 구성되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검출부(100)는 교각 사이의 상판 중심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검출부(100)는 현수교의 현수케이블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
KR1020060118349A 2006-11-28 2006-11-28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 KR100841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349A KR100841747B1 (ko) 2006-11-28 2006-11-28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349A KR100841747B1 (ko) 2006-11-28 2006-11-28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8228A KR20080048228A (ko) 2008-06-02
KR100841747B1 true KR100841747B1 (ko) 2008-06-27

Family

ID=39804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349A KR100841747B1 (ko) 2006-11-28 2006-11-28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17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88316A (zh) * 2018-04-25 2023-12-26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分布式无线同步组网的振动信号采集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8182A (ja) * 1993-10-29 1995-05-19 Omron Corp 橋梁特性検査機器
KR20000066043A (ko) * 1999-04-12 2000-11-15 노세룡 토목 구조물의 길이 변형량/경사각 측정장치, 이를 이용한 토목 구조물의 변형 자동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200217789Y1 (ko) * 2000-04-12 2001-03-15 윤홍식 지피에스와 인터넷을 이용한 대형구조물의 실시간안전진단 장치
KR100463727B1 (ko) 2002-04-11 2004-12-29 백수곤 구조체 건전성 평가방법 및 장치
KR200406452Y1 (ko) * 2005-10-10 2006-01-23 (주) 일신하이텍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교량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8182A (ja) * 1993-10-29 1995-05-19 Omron Corp 橋梁特性検査機器
KR20000066043A (ko) * 1999-04-12 2000-11-15 노세룡 토목 구조물의 길이 변형량/경사각 측정장치, 이를 이용한 토목 구조물의 변형 자동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200217789Y1 (ko) * 2000-04-12 2001-03-15 윤홍식 지피에스와 인터넷을 이용한 대형구조물의 실시간안전진단 장치
KR100463727B1 (ko) 2002-04-11 2004-12-29 백수곤 구조체 건전성 평가방법 및 장치
KR200406452Y1 (ko) * 2005-10-10 2006-01-23 (주) 일신하이텍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교량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8228A (ko) 2008-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2545B1 (ko) 센서 인터페이스모듈이 분리된 다중 채널 무선 계측 시스템
KR101592565B1 (ko) 건설 구조물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JP5554136B2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JP2005067847A (ja) マンコンベア点検装置
JP3785137B2 (ja) 計測情報送信装置及び多点計測情報収集システム
KR20190080258A (ko) 비탈면의 복합위험 감지시스템
KR100841747B1 (ko) 계측된 교량의 진동을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는 계측 시스템
KR20060008376A (ko) 휴대용 실내공기 측정 장치
JP6350328B2 (ja) 車両用雨量計測装置
KR102365368B1 (ko) 비탈면 변위 모니터링 시스템
CN101152939B (zh) 电梯的功能可变型远程监视系统以及远程监视方法
JP2009258063A (ja) 損傷監視システム、測定装置
JP6663346B2 (ja) プラント設備診断システム
CN209553216U (zh) 一种光纤传感道岔转辙机状态监测装置
KR100636708B1 (ko) 지그비 프로토콜을 이용한 원격계량 시스템
KR20090132187A (ko) 철도 레일의 변형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0819053B1 (ko) 차량 검출 장치 및 방법
JP2008082941A (ja) 積雪測定システム
JP2005247470A (ja) 昇降機の計測装置
JPH08282937A (ja) エレベーターの走行特性検査装置
KR20170029983A (ko) 구조물의 원격 점검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090107212A1 (en) Process field instrument with integrated sensor unit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
KR101990784B1 (ko) 다채널 탁도 계측기 및 이를 이용한 탁도 계측 시스템
JP2007101232A (ja) 配管監視システム
JP2008250795A (ja) プラント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