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717B1 - 통신단말기 및 은행계좌와 연계된 가상계좌, 및 그의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단말기 및 은행계좌와 연계된 가상계좌, 및 그의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717B1
KR100841717B1 KR1020050028104A KR20050028104A KR100841717B1 KR 100841717 B1 KR100841717 B1 KR 100841717B1 KR 1020050028104 A KR1020050028104 A KR 1020050028104A KR 20050028104 A KR20050028104 A KR 20050028104A KR 100841717 B1 KR100841717 B1 KR 100841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
bank
virtual
transf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8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5372A (ko
Inventor
지대호
Original Assignee
지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63516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4171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지대호 filed Critical 지대호
Priority to KR1020050028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1717B1/ko
Publication of KR20060105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5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involving programming of a portable memory device, e.g. IC cards, "electronic pur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통신단말기 및 은행계좌와 연계된 가상계좌 및 그의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가상계좌는 운영서버에 의해 개설되고 관리되며, 복수의 통신단말기 각각의 폰번호에 의해 식별되고 은행에 마련된 은행서버에 의해 개설된 단일의 은행계좌와 연계되어 있다. 운영서버는 가상계좌에 대하여 그와 연계된 은행계좌를 통해 외부입금기능, 외부출금기능, 이체입금기능, 이체출금기능, 및 가상계좌간이체기능을 수행한다. 가상계좌는 은행계좌의 계좌번호와 사용자 통신단말기의 폰번호의 조합에 의해 특정되며, 이때 폰번호는 CMS 코드로서 기입되어 사용된다. 이에 의하면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상계좌를 통해 모바일 금융거래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가상계좌의 사용이 편리하고 사용자 입장에서의 접근성이 좋으며 사용에 따른 수수료가 매우 적게 된다.
가상계좌, 은행계좌, 이체, 통신단말기, 폰번호

Description

통신단말기 및 은행계좌와 연계된 가상계좌, 및 그의 관리 방법 {Virtual account associated with mobile terminals and a bank account, and method for managing the sam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계좌 관리용 운영 서버 및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 는 도 1 의 운영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가상계좌와 은행계좌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3 은 도 1 의 운영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가상계좌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 는 도 1 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 는 도 4 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운영서버 20 : 이통사서버
30 : 은행서버 40 : 이통단말기
본 발명은 온라인상에서 구현되는 가상계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신단말기 및 은행계좌와 연계되어 운영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가상계좌 및 그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은행계좌는 일반적으로 개인 또는 기업이 현금을 은행에 입금하고 이로부터 출금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은행계좌와는 다소 상이하게 온라인상에서 가상의 계좌를 개설하여 은행계좌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으로서 활용하는 방안이 상용화되어 있다. 온라인상의 가상계좌는 통상적으로 은행계좌에 대한 금융거래를 대체하여 작은 금액의 현금이나 사이버머니 등을 입출금하는 데에 사용된다.
그런데, 현재 사용되는 가상계좌는 주로 가상계좌를 제공하는 특정 사이트에 의해 생성되고 관리되어 그 용도가 제한되어 있으며, 또한 사용자 입장에서는 여러 개의 분산된 가상계좌를 가지고 운영함에 따라 당해 가상계좌에 대한 계좌번호나 비밀번호를 별도로 관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나아가, 소액이 입금되어 있는 가상계좌에 대해서는 그 존재를 잊게 되어 사멸되는 것을 방치하는 손해를 입을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가상계좌는 은행계좌와는 별도로 물건 구입시 피이드백되는 사이버머니나 포인트 등을 축적해 놓는 수단에 불과한 것으로 인식된다.
한편, 최근에는 은행계좌에 대해 인터넷을 이용하여 금융 거래를 수행하는 소위 인터넷 뱅킹이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이러한 인터넷 뱅킹에 대해 접근성과 편의성을 보다 증대시키기 위하여 이통단말기(휴대폰, PDA 등)를 이용한 모바일 뱅 킹이 개발되어 점진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인터넷 뱅킹에서는 금융 거래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공인인증서가 사용되어 은행계좌에 대한 실 소유자를 인증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모바일 뱅킹에서는 이통단말기 자체에 고유의 식별부호를 구비하는 별도의 칩을 부가하여 이통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식별부호를 부가함으로써 실 소유자를 인증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모바일 뱅킹에서의 금융거래를 이용자가 이용하기 위해서는, 은행계좌에 대하여 모바일 뱅킹이 가능하도록 은행에 신청하는 절차를 거쳐야 되고 또한 매 번의 금융거래시마다 무선인터넷을 통해 은행 서버에 접속하고 은행에 대해서 뱅킹을 위한 제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자신의 계좌번호를 기억하고 비밀번호나 기타 제반 금융거래에 필요한 데이터의 입력을 수행해야 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 매우 불편하다.
또한, 종래의 모바일 뱅킹에서는 이체시마다 이체에 따른 수수료를 지불하여야 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사용의 편의성에 상응하는 고가의 비용을 치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대부분의 사람이 소유하고 있는 휴대폰이나 PDA 등과 같은 이통단말기를 이용하여 모바일 금융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되 그 사용이 편리하고 사용자 입장에서의 접근성이 좋으며 사용에 따른 수수료가 매우 적게 부과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상계좌를 생성하여 상기와 같은 적은 수수료와 편리한 방식으로 금융거래를 가능하도록 하되, 가상계좌 자체가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통상의 은행계좌와 동일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은행계좌와 동일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운영서버에 의해 관리되고, 복수의 통신단말기 각각의 폰번호에 의해 식별되며, 은행에 마련된 은행서버에 의해 개설된 단일의 은행계좌와 연계되어 있는 가상계좌로서, 상기 가상계좌는, 상기 은행계좌를 통해 상기 가상계좌로 입금하는 외부입금기능, 상기 은행계좌를 통해 상기 가상계좌로부터 출금하는 외부출금기능, 상기 은행계좌를 통해 외부계좌로부터 상기 가상계좌로 이체 입금하는 이체입금기능, 상기 은행계좌를 통해 상기 가상계좌로부터 상기 외부계좌로 이체 출금하는 이체출금기능, 및 상기 은행계좌 내에서 복수의 상기 가상계좌간의 계좌 이체를 수행하는 가상계좌간이체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운영서버의 제어에 의해 수행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계좌를 제안한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입금기능, 상기 외부출금기능, 상기 이체입금기능, 상기 이체출금기능, 및 상기 가상계좌간이체기능 수행시, 각각의 상기 가상계좌는 상기 은행계좌의 계좌번호와 상기 폰번호의 조합에 의해, 또는 상기 폰번호 자체에 의해 특정된다. 이때, 상기 폰번호는 CMS 코드로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외부입금기능, 상기 외부출금기능, 상기 이체입금기능, 상기 이체출금기능, 및 상기 가상계좌간이체기능 수행시, 각각의 상기 가상계좌는 상기 은행계좌의 계좌번호와 상기 통신단말기 소지자에 의해 특정된 소정의 식별코드의 조합에 의해, 또는 상기 식별코드 자체에 의해 특정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소정의 식별코드로는 상기 통신단말기 소지자의 개인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식별코드는 CMS 코드로서 사용된다.
상기 가상계좌에 대한 입출금 및 계좌 이체는 현금 또는 사이버머니 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계좌는, 상기 외부입금기능, 상기 이체입금기능, 상기 이체출금기능, 및 상기 가상계좌간이체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행시, 송금 금액에 대해서 송금자의 추인이 있는 경우에 수금자가 상기 송금 금액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거래기능을 상기 운영서버의 제어에 의해 수행가능하다.
상기 보호거래기능은, 상기 송금자 또는 상기 수금자가 개별 거래에 대해 또는 특정 가상계좌에 대해 상기 운영서버로 요청함에 따라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가상계좌가 대응되는 상기 단일의 은행계좌가 복수개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가상계좌 전체가 각각의 상기 은행계좌에 연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가상계좌를 관리하는 운영서버에 탑재되어 상기 가상계좌의 생성 및 관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a) 복수의 통신단말기 각각의 폰번호에 의해 식별되며 은행에 마련된 은행서버에 의해 개설된 단일의 은행계좌와 연계되어 있는 복수의 가상계좌를, 운영서버에 의해 개설하는 단계; 및 (b) 상기 운영서버가, 각각의 상기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상계좌간의 이체 요청시 상기 가상계좌간의 이체를 수행하는 동작, 각각의 상기 통신단말기로부터 외부로의 출금 또는 외부계좌로의 이체 요청시 상기 은행계좌로부터 외부로의 출금 또는 외부계좌로의 이체 처리를 수행하되 상기 통신단말기의 상기 폰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계좌로부터 출금 또는 이체 금액을 차감 처리하는 동작, 및 상기 은행서버로부터 상기 은행계좌에 입금 요청시 입금 요청과 함께 특정된 상기 폰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계좌로 입금 처리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와 연계된 가상계좌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b) 단계에서 각각의 상기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상계좌간의 이체 요청, 외부로의 출금 요청 또는 외부계좌로의 이체 요청시 상기 통신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b) 단계에서 가상계좌로부터의 이체 또는 출금은 상기 인증 수행 단계에서 인증된 경우에 수행된다.
상기 인증 수행 단계에서, 상기 인증은 상기 통신단말기에 내장된 소정의 인증수단을 상기 운영서버 및/또는 상기 은행서버가 식별함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상기 인증 수행 단계에서, 상기 인증은 상기 통신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소정의 인증코드를 상기 운영서버 및/또는 상기 은행서버가 전송받아 식별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통신단말기와 연계된 가상계좌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상계좌를 통해 모바일 금융거래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가상계좌의 사용이 편리하고 사용자 입장에서의 접근성이 좋으며 사용에 따른 수수료가 매우 적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온라인상에서 관리되는 복수의 가상계좌를 생성하되, 각 가상계좌는 사용자들의 이동통신 단말기(휴대폰, PDA, 기타 모바일 통신에 사용되는 기기로서 이동통신사를 통해 고유의 폰번호가 부여된 단말기 : 이하, '이통단말기'라 함)에 대응되어 형성되어 각 이통단말기의 폰번호에 의해 특정되도록 하고, 이러한 가상계좌 전체가 하나의 은행계좌에 대응되어 운영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가상계좌는 이통단말기는 물론 유선 전화와 같은 공중전화망(PSTN)에 대해서도 그의 폰번호 등을 이용하여 대응 생성이 가능한 것으로서, 이하의 설명에서 이통단말기는 일 예로서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공중전화망을 이용하는 전화 등과 같은 고유의 식별번호를 갖는 일반적인 통신단말기도 포함하는 것이다.
도 1 은 이러한 가상계좌를 관리하는 운영서버 및 그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운영서버(10)는 본 발명의 중추적인 기능을 하는 서버로서 가상계좌 운영업체에 마련되며, 이통사서버(20) 및 은행서버(30)와 연계되어 동작한다. 이통사서버(20)는 다수의 이통단말기(40)에 대해서 모바일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서버로서, 이는 주지의 구성이므로 그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은행서버(30)는 은행에 마련되어 일반적인 은행계좌를 개설하여 주고 그에 대한 관리 및 금융 거래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이 또한 주지의 구성이므로 그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운영서버(10)는 복수의 이통단말기(40) 각각의 폰번호에 의해 식별되는 복수의 가상계좌를 생성한다. 이러한 가상계좌는 각 폰번호마다 하나씩 생성되며, 폰번호 자체에 의해 식별될 수도 있고(즉, 폰번호 자체가 가상계좌의 계좌번호로서 사용될 수도 있고) 폰번호에 대응되어 있는 다른 여타의 코드(예컨대, 폰번호의 소유자의 주민등록번호, 기타 폰번호 소유자가 특정한 어떤 번호, 또는 폰번호에 대응되도록 운영서버(10)에 의해 새로이 생성된 특정 번호)에 의해 식별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의 편리성을 위하여 폰번호 자체가 가상계좌의 계좌번호(이하, '가상계좌번호'라 함)로서 사용되며,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폰번호 자체가 가상계좌번호로서 사용된 경우를 예시한다.
도 1 에서는 운영서버(10)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운영서버(10) 내에 별도의 가상계좌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도 있고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도시되지 않음)를 둘 수도 있다.
이러한 복수의 가상계좌는 단일의 은행계좌와 연계되어 있다. 즉, 운영서버(10)는 은행에 대한 계좌개설 신청에 의해 하나의 은행계좌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은행서버(30) 입장에서는 운영서버(10)에 대해 하나의 은행계좌만을 부여한 것으로 인식된다.
이러한 가상계좌와 은행계좌의 관계가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에서, 각 가상계좌는 이통단말기(40)의 폰번호와 동일한 가상계좌번호를 가지며, 이러한 가상계좌들이 하나의 은행계좌에 대응되어 있다. 이러한 가상계좌와 은행계좌의 대응관계는 운영서버(10)에 의해서만 인식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은행계좌는 운영서버(10)에 단일의 은행계좌만을 부여하여 인식하게 된다.
운영서버(10)는 가상계좌에 대해서 통상의 금융거래에 해당되는 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운영서버(10)는, 자신의 은행계좌를 통해 가상계좌로 입금하는 외부입금기능, 자신의 은행계좌를 통해 가상계좌로부터 출금하는 외부출금기능, 자신의 은행계좌를 통해 외부계좌로부터 가상계좌로 이체 입금하는 이체입금기능, 자신의 은행계좌를 통해 가상계좌로부터 외부계좌로 이체 출금하는 이체출금기능, 및 자신의 은행계좌 내에서 복수의 가상계좌간의 계좌 이체를 수행하는 가상계좌간이체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
이하, 이러한 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이통단말기(40)의 사용자 또는 외부 인이 수행하는 작업과 그에 따른 운영서버(10)의 관리 동작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전술한 외부입금기능은 가상계좌의 사용자 또는 타인이 가상계좌에 입금 처리하는 기능이다. 외부에서 은행 창구를 통한 입금이 운영서버(10)의 은행계좌에 대해서 요청되면 은행서버(30)는 이 은행계좌에 요청된 금액을 입금한다. 이때, 입금 요청된 대상 계좌가 운영서버(10)의 은행계좌인 경우에는 은행서버(30)는 은행계좌번호 외에 별도의 가상계좌번호를 입금자에게 요청한다. 통상의 은행입금시에는 입금전표상에 은행계좌번호를 입력하는 난에 기입된 은행계좌번호 하나로만 입금 대상 계좌가 특정되므로, 이러한 가상계좌번호는 입금전표상에서 부가적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다른 난, 예컨대 CMS 코드를 입력하는 난에 CMS 코드로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입금 사실은 은행서버(30)로부터 운영서버(10)로 통지되거나 운영서버(10)가 은행서버(30)를 조회함으로써 운영서버(10)가 인식할 수 있으므로, 운영서버(10)는 입금된 금액과 함께 입금시 기재된 CMS 코드 난의 가상계좌번호를 통해 어느 가상계좌에 대한 입금인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운영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해당 가상계좌에 대한 데이터 중 잔액에 대한 데이터를 입금액만큼 증가시켜 갱신함으로써 입금 처리를 하게 된다.
전술한 외부출금기능은 가상계좌의 사용자가 가상계좌 내에 기 입금되어 있는 잔액에서 필요한 현금을 인출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은행 창구나 ATM 기기를 이용하여 출금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한다. 이 때, 사용자는 은행계좌인 222-22-2222 를 이용하여 출금 동작을 행하고, 이때 ATM 기기나 은행 창구에서는 출금 요청된 은행계좌가 운영서버(10)에 대해 부여된 은행계좌번호인 경우에는 가상계좌번호를 추가로 입력하도록 요청한다. 이러한 입력이 완료되면 은행서버(30)는 운영서버(10)의 은행계좌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출금 요청된 금액을 출금하여 지급한다.
이러한 출금 사실은 은행서버(30)에 의해 운영서버(10)로 통지되며, 운영서버(10)는 출금요청된 가상계좌번호에 대해서 출금처리를 행한다. 출금처리는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해당 가상계좌번호의 가상계좌에 대한 잔액 차감으로서 이루어진다.
전술한 이체입금기능은 가상계좌의 사용자 또는 타인이 가상계좌에 대해서 입금처리하는 점에서 상기한 외부입금기능과 동일하며, 다만 입금 동작이 외부의 은행계좌인 외부계좌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대개 인터넷 뱅킹이나 모바일 뱅킹 등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만 상이하다. 따라서, 운영서버(10)의 동작은 기본적으로 외부입금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은행서버(30)에서의 처리 동작만이 통상의 계좌간 이체로서 수행되어 다소 상이하다.
또한, 전술한 이체출금기능은 가상계좌의 사용자가 가상계좌로부터 출금처리하는 점에서 상기한 외부출금기능과 동일하며, 다만 출금이 은행창구나 ATM 기기에서 현금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외부계좌에 대하여 계좌 이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만 상이하다. 따라서, 운영서버(10)의 동작은 기본적으로 외부출금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은행서버(30)에서의 처리 동작만이 통상의 계좌 간 이체로서 수행되어 다소 상이하다.
이와 같은 이체입금기능과 이체출금기능에서 은행서버(30)의 동작은 기존의 은행 계좌간 이체에서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그 세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전술한 가상계좌간이체기능은 운영서버(10)에 대한 은행계좌 내에서 복수의 가상계좌간의 계좌 이체를 수행하는 기능으로서, 이 경우에는 은행서버(30)가 개입되지 않고 운영서버(10)에 의해서 단독으로 처리된다.
즉, 어느 가상계좌로부터 다른 가상계좌로의 이체 송금 명령이 운영서버(10)에 전달되면, 운영서버(10)는 출금될 가상계좌에 대해서는 이체액만큼 차감하고 입금될 가상계좌에 대해서는 이체액만큼 증가시킨다. 이때, 운영서버(10)는 은행서버(30)에 대해서 단일의 은행계좌만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가상계좌간의 이체에 의해서는 은행계좌 내의 총액이 변하지 않으므로, 은행서버(30)에는 이러한 가상계좌간 이체 금액이 통지될 필요가 없다. 또한, 은행서버(30)는 운영서버(10)에 할당된 단일의 은행계좌에 대해서만 그 입출금 내역을 기록하고 있고 각 가상계좌에 대해서의 거래 내역은 운영서버(10)에 의해서만 기록 관리되므로, 이러한 가상계좌간의 이체 사실이나 그 출금 및 입금 대상 등에 대한 내용 또한 은행서버(30)에 통지될 필요가 없다. 즉, 가상계좌간의 이체 내역에 대해서는 운영서버(10)에 의해서만 관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금융거래는 일반적인 은행계좌에서 가능한 일반적인 제 금융거래를 포함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상계좌를 통해 운영서버의 제어하에 수행가능한 기 능은 상기와 같은 제 금융거래의 형태들 외에도 보호거래기능을 더 포함한다.
보호거래기능은, 전술한 바와 같은 외부입금기능, 이체입금기능, 이체출금기능, 및 가상계좌간이체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행시, 송금 금액에 대해서 송금자의 추인이 있는 경우에 수금자가 송금 금액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보호거래기능은, 송금자 또는 수금자가 상기 운영서버에 대해 요청함에 따라 수행된다. 또한 이러한 보호거래기능이 수행되는 대상은 개별 거래일 수도 있고 별도로 지정된 특정 가상계좌에서 수행되는 일단의 거래 전체일 수 있다.
예컨대, 송금자에 의해 보호거래가 요청되는 경우에, 송금자는 자신의 가상계좌에 대해서 또는 자신의 현재 거래에 대해서 별도의 보호거래를 옵션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이 운영서버(10)에 전달되면, 운영서버(10)는 가상계좌간 이체 등과 같은 해당 거래를 전술한 바와 같이 수행하되, 송금된 금액에 대해서 수금자가 인출하지 못하도록 보호상태를 걸어둔다. 이후, 송금자가 사후에 보호거래해제 요청을 하면 운영서버(10)는 보호거래 상태를 해제하여 수금자가 당해 금액을 인출할 수 있는 상태로 변경시킨다. 이와 같은 보호거래 요청은 수금자가 요청하는 경우에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호거래기능을 활용하면, 예컨대 A 가 B 에게 물품 구매 대금을 가상계좌로부터 이체송금을 하여 지불하고자 할 때, A 가 먼저 이체송금을 하되 보호거래 상태로 이체하고 B 로부터 물품을 전달받은 후에 보호거래를 해제하여 확정적으로 B 에게 송금을 할 수 있다. 또한, B 가 먼저 이체되는 금액에 대한 보호거 래를 요청하고 보호거래 사실을 A 에게 알려주면 A 가 안심하고 먼저 물품을 구매대금을 지불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므로, B 로서는 물품 구매 활동을 촉진하는 마케팅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운영서버(10)는 자신이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내에 보호거래 여부를 표시하는 추가의 필드를 마련하여 송금자 또는 수금자에게 각각의 거래가 보호거래인지 여부 및 보호거래가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조회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보호거래 여부에 대한 내용(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거래 사실을 포함하여)을 사용자의 이통단말기(40)로 SMS 기능 등을 이용하여 통지할 수도 있다.
도 3 은 이러한 이체나 출금 입금 등에 따라 운영서버(10)에 의해 관리되는 가상계좌의 데이터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폰번호 011-1234-5678 로서 특정되는 가상계좌에 대해서 가상계좌간 이체출금에 의하여 10,000원이 출금되어 잔액이 90,000원이 된 후에 타인이 은행이체를 통해 20,000원을 입금함으로써 잔액이 110,000원이 되었고, 그 후 상기 폰번호 사용자에 의한 30,000원의 현금 출금에 의해 잔액이 80,000원이 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계좌 및 그의 관리방법에 따르면, 이통단말기(40)의 사용자는 운영서버(10)에 접속하여 이통단말기(40)의 조작에 의하여 입출금 및 송금 등의 제 금융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상에 생성된 가상계 좌가 통상의 가상계좌와는 달리 은행계좌와 동일한 주체로서 인식될 수 있고, 사용자의 사용 접근성이 매우 커지게 된다.
이때, 이통단말기(40)의 폰번호는 통상의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 등을 통하여 이통사서버(20)가 용이하게 식별가능하므로, 가상계좌의 실 명의인 확인이 일차적으로 이통단말기(40)에 대한 자동 폰번호식별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계좌의 사용에 따른 금융거래 비용이 은행계좌에 대한 금융거래에 비하여 크게 절감될 수 있다. 기존의 은행간 계좌이체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동일 은행에 대한 송금의 경우 작은 송금수수료를 받거나 송금수수료를 받지 않고 타행간 송금의 경우 작게는 500원에서 크게는 몇천원에 이르는 계좌이체 수수료를 청구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는 달리 송금 수수료가 없거나 매우 작게 책정될 수 있다.
즉, 예컨대, 사용자가 가상계좌가 개설된 은행서버(30)의 은행에 자신의 은행계좌를 가지고 있다면,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가상계좌에 대해 자신의 은행계좌로 입출금하는 것은 동일 은행 내에서의 거래가 된다. 따라서, 이때의 은행에서 받는 입출금 수수료는 매우 적거나 없을 수 있으며, 대량 거래의 이점을 살려 운영서버(10)의 운영자와 은행서버(30)의 운영자간의 협의에 의해 수수료를 무료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상계좌 내부간 이체 거래시에는 운영서버(10)의 동작에 의해서만 이체 처리가 가능하므로, 은행서버(30)에 대한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수수료를 무료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가상계좌로부터 타 은행의 은행계좌로의 송금 이체의 경우 일반적인 금융거래에서의 타행송금과 유사하나, 이 경우 또한 대량 거래의 이점을 살려 운영서버(10)의 운영자와 은행서버(30)의 운영자간의 협의에 의해 수수료를 예컨대 300원 정도로 현저히 낮출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외부입금기능, 외부출금기능, 이체입금기능, 이체출금기능, 및 가상계좌간이체기능 수행시, 각각의 가상계좌는 은행계좌의 계좌번호와 폰번호(CMS 코드로서 입력됨)의 조합에 의해 특정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가상계좌는 은행계좌의 계좌번호와 이통단말기(40) 소지자에 의해 특정된 소정의 식별코드(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사용자가 특정한 특정 번호, 운영서버(10)에 의해 신규로 생성된 가상계좌번호, 사용자가 입력한 유선전화번호, 사용자의 기타 개인정보 등)의 조합에 의해 특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른 한편, 가상계좌에 대한 입출금 및 계좌 이체는 상기와 같이 현금으로도 가능할 것이며, 또한 사이버머니 혹은 그와 등가적적인 다른 것(예컨대, 신용카드 사용에 따라 피이드백되는 누적 포인트 등)으로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가상계좌에 입금된 것이 현금이 아닌 또는 현금과 함께 사이버 머니나 포인트 등으로서 기재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상계좌는 각 이통단말기(40) 사용자의 신청에 의해 신청자에 대해서만 개설하여 줄 수도 있고, 별도의 신청 없이도 이통단말기(40) 전체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발급할 수도 있다. 별도의 신청에 의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발 급하여도 폰번호에 의해서만 특정된 가상계좌를 운영서버(10)가 가상으로만 개설한 상태에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사용 여부는 사용자의 자유 의사에 따르며, 따라서, 개인정보 침해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기본적으로 이동통신사에 의해서만 관리되며, 만약 운영서버(10)가 개인정보를 필요로 한다면 사용자가 가상계좌 사용시에 개인정보 활용을 동의하도록 하는 등의 방법으로서 사용 허락을 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폰번호의 식별이 가능하여 운영서버(10)에 접속한 이통단말기(40)가 자동으로 식별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인증 절차를 예시하지 않았으나, 가상계좌를 이용한 거래도 실질적으로 금융거래와 유사하다는 특성을 감안하여 별도의 인증 절차를 추가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에는, 가상계좌로부터의 이체 또는 출금 등이 진정한 사용자의 인증이 수행된 경우에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거래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때, 인증 방법으로는, 이통단말기에 내장된 소정의 인증수단(예컨대, 현재 모바일 뱅킹에서 채용되고 있는 방식인, 무선단말기의 플랫폼에 명령어 모듈을 내장하는 방식 또는 각종 금융 송수신의 명령수행을 담당하는 명령어 모듈을 무선단말기의 교체형 IC 칩에 내장하는 방식)을 마련하여 두고, 이러한 인증수단에 의해 식별되는 인증용 데이터를 운영서버(10) 및/또는 은행서버(30)가 식별함으로써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인증은 이통단말기(4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소정의 인증코드(예컨대, 별도의 온라인 거래용 공인인증서와 함께 사 용되거나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인증용 비밀번호)를 운영서버(10) 및/또는 은행서버(30)가 전송받아 식별함으로써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인이 가상계좌 사용자에게 송금시에는 모든 가상계좌 사용자에게 공통된 하나의 은행계좌번호 예컨대, 222-22-22222 와 송금받을 자의 휴대폰번호만을 기억함으로써도 제반 금융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인의 은행계좌를 각 사람별로 별도로 기록하거나 기억하여 둘 필요가 없고 은행계좌번호를 기억하는 데에 어려움이 없게 된다. 운영서버(10)에 대한 은행계좌번호는 은행서버(30)와의 협의에 의해 기억하기 좋은 번호로서 설정이 가능할 것이므로, 이와 같은 기억의 편리함은 매우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통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의 가상계좌로부터 타인의 가상계좌로 이체시에는 타인의 폰번호만 알면 은행계좌번호 등을 모르더라도 이체가 가능하다.
도 4 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도 1 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이동통신사에 마련된 이통사서버(20)에 대해서 복수의 가상계좌를 개설하고 관리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변형예에서는 복수의 이동통신사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이통사서버(20a, 20b, 20c)에 대해서 가상계좌를 개설하고 관리하는 방식을 예시한다. 이통사서버(20a, 20b, 20c)가 복수라는 점 이외에는 여타의 구성은 도 1 과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동통신사가 상이한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가상계좌를 구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동통신사가 상이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서도 수수료 없는 상호간의 송금이 가능하다. 예컨대, A 이동통신사에 가입되어 있 는 사용자와 B 이동통신사에 가입되어 있는 사용자간의 송금시 가상계좌간이체기능을 이용하면 은행서버(30)와 무관하게 이체 송금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무료의 송금이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 은행의 타행 송금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수수료(예컨대 200원)를 운영서버(10)가 징수함으로써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타행 송금과 유사한 작업을 현저히 작은 수수료로서 수행할 수가 있게 된다. 이동통신사가 상이한 사용자들간의 송금은 타행이체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므로 실질적인 타행 송금을 무료 또는 매우 적은 수수료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 는 도 4 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에서는 도 4 의 예와 비교할 때 여러 은행서버(30a, 30b, 30c)에 대하여 복수의 가상계좌가 연계되어 있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만약, 하나의 은행서버(30a)와 다른 은행서버(30b 또는 30b)에 대해 각각 복수의 가상계좌가 연계되는 방식을 취할 때 예컨대 전체 가상계좌의 개수를 3등분하여 몇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각 은행서버에 각 그룹의 가상계좌가 대응되도록 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을 것이나(이 경우에도 각 그룹의 가상계좌가 각각 하나의 은행계좌에 대응되어 있으므로 각 그룹의 가상계좌 각각이 본원발명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는 그러한 경우를 예시하는 것이 아니고 전체 가상계좌가 은행서버들(30a, 30b, 30c)에 중첩적으로 대응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즉, 각 은행서버(30a, 30b, 30c)에 개별적으로 하나씩의 은행계좌를 개설하되, 모든 가상계좌들이 모든 은행계좌에 공히 연계되도록 한다. 이에 따르면, 예컨대, A 은행에 기존의 은행계좌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은 자신의 가상계좌에 대한 거래를 A 은행의 은행서버(30a)를 통해 수행함으로써 타행이체가 아닌 동일 은행간의 계좌 이체를 통해 가상계좌에 대한 입출금 이체를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B 은행에 기존의 은행계좌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은 B 은행의 은행서버(30b)에 대하서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가상계좌와 은행계좌간의 모든 거래가 타행 이체가 아닌 같은 은행 내의 타 계좌로의 송금으로서 처리할 수 있으므로, 타행 이체에 비해 송금 수수료가 저렴한 점을 이용하여 송금 수수료를 더욱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도 1 및 도 4 의 모든 장점을 가지면서도 송금 수수료가 모든 경우에 대해서 더욱 저렴해질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사용 접근성이 더욱 증대된다.
한편,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할 경우, 운영서버(10)의 모든 은행계좌번호는 모든 은행에 대하여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A 은행 뿐만아니라 B 은행과 C 은행 등 제 은행에 대해서도 동일한 은행계좌번호를 설정할 경우, 어느 은행에 대한 송금시에도 동일 계좌번호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기억하기 쉽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 및 그에 대한 변형예들에서는 하나의 은행서버(30, 30a, 30b, 30c)에는 하나의 은행계좌번호가 대응되도록 하였으나, 하나의 은행서버에 대해서 복수의 은행계좌번호가 대응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은, 예컨대 기억의 편리성을 위한 추가의 은행계좌번호의 설정, 사용자별로 발생할 수 있는 특수상황을 고려하여 모든 가상계좌들을 몇 개의 그룹으로 그루핑하여 각 그룹마다 다른 은행계좌번호의 연계 필요성 등과 같은 다양한 필요성에 의해서도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복수의 가상계좌는 복수의 은행계좌들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당해 가상계좌의 폰번호의 특정 등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즉, 예컨대, 222-22-22223 라는 은행계좌와 333-33-33333 라는 두 개의 은행계좌 모두가 하나의 은행서버 또는 복수의 은행서버에 마련되어 가상계좌들과 연계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은행계좌를 사용하여도 그 은행계좌에 부속되는 CMS 코드에 폰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당해 폰번호로서 특정되는 가상계좌가 지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항에 단일의 은행계좌로 기재된 것도, 복수의 가상계좌들이 연계된 단일의 은행계좌만 존재한다면 이러한 단일의 은행계좌들이 필요에 따라 복수개 마련된 경우를 당연히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통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상계좌를 통해 모바일 금융거래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가상계좌의 사용이 편리하고 사용자 입장에서의 접근성이 좋으며 사용에 따른 수수료가 매우 적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가상계좌에 의한 거래에 의하면, 가상계좌 자체가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통상의 은행계좌와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은행계좌와 동일하게 인식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a) 복수의 통신단말기 각각의 폰번호에 의해 식별되며 은행에 마련된 은행서버에 의해 개설된 단일의 은행계좌와 연계되어 있는 복수의 가상계좌를, 운영서버에 의해 개설하는 단계; 및
    (b) 상기 운영서버가, 각각의 상기 통신단말기 또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소정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상계좌간의 이체 요청시 상기 가상계좌간의 이체를 수행하는 동작, 각각의 상기 통신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외부로의 출금 또는 외부계좌로의 이체 요청시 상기 은행서버에 대해 상기 은행계좌로부터 외부로의 출금 또는 외부계좌로의 이체 처리에 관한 작업을 수행하되 상기 통신단말기의 상기 폰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계좌로부터 출금 또는 이체 금액을 차감 처리하는 동작, 및 상기 통신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은행서버로 상기 은행계좌에 입금 요청이 상기 폰번호와 함께 전송됨에 의하여 상기 은행서버로부터 상기 운영서버로 입금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입금 요청과 함께 특정된 상기 폰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계좌로 입금 처리하는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가상계좌는 상기 은행계좌의 계좌번호와 상기 폰번호의 조합에 의해 또는 상기 폰번호에 의해 특정되고,
    상기 폰번호는 CMS 코드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와 연계된 가상계좌 관리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각각의 상기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상계좌간의 이체 요청, 외부로의 출금 요청 또는 외부계좌로의 이체 요청시 상기 통신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에서 가상계좌로부터의 이체 또는 출금은 상기 인증 수행 단계에서 인증된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와 연계된 가상계좌 관리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수행 단계에서, 상기 인증은 상기 통신단말기에 내장된 소정의 인증수단을 상기 운영서버 및 상기 은행서버 중 적어도 하나가 식별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와 연계된 가상계좌 관리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수행 단계에서, 상기 인증은 상기 통신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소정의 인증코드를 상기 운영서버 및 상기 은행서버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받아 식별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와 연계된 가상계좌 관리 방법.
  2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상계좌가 대응되는 상기 단일의 은행계좌가 복수개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가상계좌 전체가 각각의 상기 은행계좌에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와 연계된 가상계좌 관리 방법.
  24. 제 12 항, 제 20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단말기와 연계된 가상계좌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028104A 2005-04-04 2005-04-04 통신단말기 및 은행계좌와 연계된 가상계좌, 및 그의 관리방법 KR100841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104A KR100841717B1 (ko) 2005-04-04 2005-04-04 통신단말기 및 은행계좌와 연계된 가상계좌, 및 그의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104A KR100841717B1 (ko) 2005-04-04 2005-04-04 통신단말기 및 은행계좌와 연계된 가상계좌, 및 그의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372A KR20060105372A (ko) 2006-10-11
KR100841717B1 true KR100841717B1 (ko) 2008-06-27

Family

ID=37635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8104A KR100841717B1 (ko) 2005-04-04 2005-04-04 통신단말기 및 은행계좌와 연계된 가상계좌, 및 그의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17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1904A1 (en) 2008-04-02 2009-11-12 Pharris Dennis J Mobile telephone transac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134685B1 (ko) * 2009-08-26 2012-04-09 주식회사 핑거 휴대폰을 이용한 선불 가상계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067679B1 (ko) * 2019-05-02 2020-01-20 주식회사쿠콘 가상머니 기반 입출금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91341B1 (ko) 2019-10-23 2021-08-30 다이브 주식회사 금융거래를 위한 암호화폐별 가상계좌 생성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150A (ko) * 2000-07-18 2000-10-05 최창국 폰 이체 시스템
KR20000067216A (ko) * 1999-04-26 2000-11-15 김용훈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계좌 이체방법
KR20000072819A (ko) * 2000-09-29 2000-12-05 이철주 금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050076417A (ko) * 2004-01-20 2005-07-2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이체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216A (ko) * 1999-04-26 2000-11-15 김용훈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계좌 이체방법
KR20000059150A (ko) * 2000-07-18 2000-10-05 최창국 폰 이체 시스템
KR20020007973A (ko) * 2000-07-18 2002-01-29 최창국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이체 방법
KR20000072819A (ko) * 2000-09-29 2000-12-05 이철주 금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050076417A (ko) * 2004-01-20 2005-07-2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이체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372A (ko) 200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3442B2 (ja) ロック付き銀行コンピュータ口座システム
JP5292646B2 (ja) 預金口座に対する入出金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RU2452020C2 (ru)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ения платежей (варианты) и систем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JPH1091698A (ja) 電子マネー保有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る電子マネー自動支払い方法
CN101226663A (zh) 基于用户名与指纹认证的银行个人业务系统及业务处理方法
KR100841717B1 (ko) 통신단말기 및 은행계좌와 연계된 가상계좌, 및 그의 관리방법
JP4351242B2 (ja) 現金支払システム、金融機関端末装置及び現金支払方法
JP200601200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4689990B2 (ja) 電子マネーのチャージ補助方法及びシステム
JP6487319B2 (ja) 預貯金の現金化用携帯端末と現金化処理システム
JP2004062623A (ja) 引落振替システム
KR101123627B1 (ko) 거스름돈 적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거스름돈 적립 서비스 방법
KR20130048418A (ko) 통신단말기 번호로 생성된 가상계좌 및 에스크로 운용방법
KR20130106331A (ko) 납부자 본인동의 인증을 통한 자동이체 부정출금 방지 시스템 및 방법
WO2004019151A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 of money via telecommunication network
WO2014058349A1 (ru) Электронная платежная система
TWI839044B (zh) 餘額連動系統、餘額連動方法、及程式產品
JP7366116B2 (ja) 残高連携システム、残高連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63784B1 (ko) 개인 전자금고를 이용한 지불 서비스 방법
KR100727070B1 (ko) 가상계좌를 이용한 국제전화카드 자동 충전 방법 및 그시스템
JP2005135219A (ja) 口座集約システム
JP2007249746A (ja) クレジットカード処理システム
RU2004128647A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платеж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денежными средствами при помощи универсальных платежных карт
KR100587505B1 (ko) 통신시스템을 통한 무선통신 이용요금 납부 방법
KR20050082248A (ko) 전자화폐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430

Effective date: 200801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12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1228;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20426

Effective date: 2023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