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999B1 -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999B1
KR100839999B1 KR1020070005614A KR20070005614A KR100839999B1 KR 100839999 B1 KR100839999 B1 KR 100839999B1 KR 1020070005614 A KR1020070005614 A KR 1020070005614A KR 20070005614 A KR20070005614 A KR 20070005614A KR 100839999 B1 KR100839999 B1 KR 100839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frame
motor
fixing groove
power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종주
김기철
Original Assignee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5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9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7Motor units therefor, e.g. geare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5Control circ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specially adapted for worm gear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형성된 워엄과, 그 워엄휠에 동력적으로 연결된 워엄휠을 수용하는 프레임; 및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레임에 상대회전에 의해 고정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Power window motor assembly for automobile}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의 도면이다.
도 4 는 도 3에 도시된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에서 컨트롤러가 분리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컨트롤러를 프레임에 조립하는 도중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에서 컨트롤러와 모터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에서 컨트롤러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자동차용 파워윈도우 조립체에서 컨트롤러가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간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 12...모터
14...워엄 20...프레임
22...가이드부 24...끼움홈
25...고정홈 26...입구부
27...보조 고정홈 30...컨트롤러
32...슬라이딩부 34...끼움부
35...삽입부 36...보조 삽입부
42...상대단자 44...단자접촉면
45...수용부 52...전기단자
53...단자면 55...지지부
본 발명은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윈도우의 승하강 중에 그 윈도우에 끼인 장애물 감지시 모터를 역회전 시켜 윈도우의 승하강에 따른 탑승자의 상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전 컨트롤러의 조립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부품원가를 낮추며, 상기 컨트롤러가 채용되지 않는 일반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와도 그 프레임의 공용이 가능한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는 모터와, 그 모터의 출력축에 형성된 워엄과, 그 워엄에 동력적으로 맞물려 있는 워엄휠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워엄과 워엄휠은 통상 플라스틱이나 금속재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는 차량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에 연결된 차량의 윈도우가 승하강 도중에 탑승자의 팔이나 머리 등이 상승중인 윈도우와 차체 사이에 끼일 경우 이를 감지하여 모터를 역회전 시킴으로써 윈도우의 상승을 막아서 탑승자의 신체에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안전 컨트롤러는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워엄과 워엄휠이 설치된 프레임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컨트롤러는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을 바꾸어서 그 모터의 회전방향을 바꾸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의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1,1a)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1,1a)는 모터(2,2a)와, 그 모터(2,2a)의 출력축에 형성된 워엄(미도시)과, 그 워엄에 동력적으로 연결된 워엄휠(미도시)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워엄과 워엄휠은 플라스틱 소재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프레임(3,3a)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터(2,2a)에 공급되는 전기의 극성을 바꾸어 줌으로써 그 모터(2,2a)의 출력축의 회전방향을 변경시키는 컨트롤러(4,4a)는 상기 프레임(3,3a)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2,2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 러(4,4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4)에 스크류(5)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복수의 위치에서 체결되어 있는 체결형 구조이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4a)에 단순히 끼워져 있는 구조를 가지는 삽입형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크류(5)를 이용하여 체결된 컨트롤러(4)는 여러개의 스크류(5)를 사용하여 조립하므로 조립부품 및 조립공수가 많음으로써 조립성이 나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체결형 컨트롤러의 구조는 그 컨트롤러(4)가 채용되지 않는 소위 일반형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를 제작하는 경우에 상기 프레임(4)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부품의 제조원가가 비싼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순 삽입형 구조는 차량이 운행중에 진동이 발생하면 상기 컨트롤러(4a)가 상기 프레임(3a)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반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와 프레임의 공용화가 가능하고, 조립성이 향상되며, 부품의 제조원가가 절감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형성된 워엄과, 그 워엄휠에 동력적으로 연결된 워엄휠을 수용하는 프레임; 및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레임에 상대회전에 의해 고정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부;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컨트롤러의 상대회전시에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상기 컨트롤러에 형성된 슬라이딩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끼움홈;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프레임의 하방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컨트롤러에 형성된 끼움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며 일측에 입구부를 가지는 고정홈; 및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컨트롤러의 상대회전 도중에 상기 고정홈의 입구부를 탄성적으로 벌리면서 그 고정홈 내로 삽입되도록 상기 컨트롤러에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후 상기 고정홈의 입구부가 탄성복원되어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프레임의 측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는 원주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된 보조 고정홈; 및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컨트롤러의 상대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슬라이딩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보조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삽입부는 원기둥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삽입부의 길이방향과 상기 삽입부의 길이방향은 서로 꼬인위치에 있도록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삽입부의 길이방향과 상기 삽입부의 길이방향은 서로 90°의 각도를 가지며 꼬인위치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터측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기단자를 포함하며, 그 전기단자는 상기 모터측에 상대 회전에 의해 그 모터측의 상대단자에 끼워져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의 도면이며, 도 4 는 3에 도시된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에서 컨트롤러가 분리된 상태의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컨트롤러를 프레임에 조립하는 도중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에서 컨트롤러와 모터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에서 컨트롤러가 분리 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자동차용 파워윈도우 조립체에서 컨트롤러가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간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10)는 모터(12)와, 프레임(20)과, 컨트롤러(3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30)는 상기 프레임(20)에 후술할 본 발명의 독특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모터(12)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1,1a)의 모터(2,2a)와 마찬가지로 내주면에 영구자석이 설치된 지지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자를 포함하고, 그 회전자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상대단자(4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대단자(42)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브러시 조립체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브러시 홀더에 수용된 브러시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브러시에 모터(12) 외부로부터 전기가 공급될 경우 그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상대단자(42)는 원형으로 배치된 한 쌍의 단자접촉면(4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단자접촉면(44)은 전선을 통해 상기 브러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단자접촉면(44)에는 일측이 개방된 수용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45)는 각 단자접촉면(44)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그 수용부(45)의 열린방향은 같은 방향으로 정열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0)은 플라스틱 소재나 금속 소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프레임(20)의 내부에는 상기 모터(12)의 출력축의 일단부에 형성된 워엄(14) 및 그 워엄(14)에 동력적으로 연결된 워엄휠(미도시)을 수용하고 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20)은 가이드부(22)와, 끼움홈(24)과, 고정홈(25)과 보조 고정홈(27)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부(22)와, 끼움홈(24)과, 상기 고정홈(25)과, 상기 보조 고정홈(27)은 후술하는 컨트롤러(30)를 상기 프레임(20)에 기계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부(22)는 곡면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끼움홈(24)은 상기 모터(12)의 상대단자(42)측에 통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0)의 일측방향으로 개방된 구멍이다. 상기 고정홈(25)은 상기 모터(12)의 출력축의 일측방향으로 열린 홈부이며, 그 고정홈(25)의 일측방향이 열린부분은 입구부(26)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입구부(26)는 상기 고정홈(25)의 최대폭보다 더 작은 폭을 가지고 있다. 상기 고정홈(25)의 입구부(26)는 외력에 의해 그 입구부(26)의 폭이 변할 수 있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보조 고정홈(27)은 상기 가이드부(22)에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홈이다.
상기 컨트롤러(30)는 그 내부에 인쇄회로기판(PCB)으로 이루어진 전류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프레임(20)과의 결합수단의 일부로 작용하는 슬라이딩부(32)와, 끼움부(34)와, 삽입부(35)와, 보조 삽입부(36)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30)는 상기 상대단자(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단자(5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32)는 상기 프레임(20)에 대한 상기 컨트롤러(30)의 상대회전시에 상기 가이드부(22)에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부(32)의 형상은 상기 가이드부(2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끼움부(34)는 상기 끼움홈(24)에 끼워지는 부분으로서, 상기 모터(12)의 상대단자(42)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전기단자(5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전기단자(52)는 단자면(53)과 지지부(5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단자면(53)은 상기 컨트롤러(30)가 상기 프레임(20)에 대해 상대회전하는 도중에 상기 단자접촉면(44)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상기 모터(12)와 컨트롤러(30)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55)는 상기 단자면(53)으로부터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55)는 상기 컨트롤러(30)가 상기 프레임(20)에 대해 상대회전이 완료되어 상호 결합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단자접촉면(44)과 단자면(53)의 전기적 연결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단자접촉면(44)에 형성된 수용부(45)에 수용되어 상기 상대단자(42)와 상기 전기단자(52)가 상대 이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55)는 상기 컨트롤러(30)가 상기 프레임(20)과 상호 결합하도록 상대회전하는 도중에 상기 수용부(45)의 열린부위를 통해 그 수용부(45)에 진입하고 상대회전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수용부(45)의 막힌 부분에 걸려 안정적으로 상기 상대단자(42)와 전기단자(52)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삽입부(35)는 상기 프레임(20)에 대한 상기 컨트롤러(30)의 상대회전 도중에 상기 고정홈(25)의 입구부(26)를 탄성적으로 벌리면서 그 고정홈(25) 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35)가 상기 고정홈(25)에 삽입된 후 상기 고정홈(25)의 입구부(26)가 탄성복원되어 상기 컨트롤러(30)가 상기 프레임(20)의 측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상기 입구부(26)는 상기 컨트롤러(30)가 상기 프레임(20)에 대해 상호 결합하는 방향으로 상대회전이 완료된 상태 에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컨트롤러(30)가 상기 프레임(20)에 체결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조 삽입부(36)는상기 가이드부(22)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35)는 상기 프레임(20)에 대한 상기 컨트롤러(30)의 상대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고정홈(27)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보조 삽입부(36)는 상기 고정홈(25)과 삽입부(35)의 결합을 보조하여 상기 컨트롤러(30)가 상기 프레임(20)과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삽입부(35)와 상기 보조 삽입부(36)는 공간상에서 서로 꼬인위치에 있도록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꼬인위치란 수학적인 용어로서 공간상에 배치된 두 직선의 위치관계를 정의하는 것이다. 즉, 공간상에서 두 직선이 평행하지 않으면서 서로 만나지 않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 상기 삽입부(35)의 길이방향과 상기 보조 삽입부(36)의 길이방향은 서로 90°를 이루도록 꼬인위치에 배치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부(35)와 보조 삽입부(36)가 이와 같이 90°의 위치에서 꼬인위치로 배치된 경우가 상기 컨트롤러(30)와 상기 프레임(20)의 체결력을 효과적으로 분배하여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상기 가이드부(22)와 상기 슬라이딩부(32)의 접촉면의 일부에는 가스켓이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밀봉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밀봉부재가 설치된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10)의 방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10)의 조립 방법을 예로들어 그 기능 및 효과를 상세히 서술한다.
먼저 상기 모터(12)와 상기 프레임(20)이 미리 스크류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부터 서술을 시작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0)를 상기 프레임(20)에 결합하기 위해서, 상기 컨트롤러(30)의 끼움부(34)를 상기 프레임(20)의 끼움홈(24)에 접근시킨다. 이 때, 상기 가이드부(22)와 상기 슬라이딩부(32)는 상호 접촉된 상태에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35)와 상기 보조 삽입부(36)가 각각 상기 고정홈(25)과 상기 보조 고정홈(27)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끼움부(34)를 상기 끼움홈(24)에 끼워 넣으면, 그 끼움홈(24)의 내부로 삽입된 전기단자(52)가 상기 모터(12)측에 마련된 상대단자(42)에 접근하게 된다. 그런데 이 상태는 상기 상대단자(42)와 전기단자(52)가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태는 아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러(30)를 상기 프레임(20)에 대해 상대회전시킨다. 즉, 상기 삽입부(35)가 상기 고정홈(25)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상대회전시키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 과정에서 상기 고정홈(25)의 입구부(26)는 상기 삽입부(35)의 폭보다 작기 때문에 작업자의 손 등에 의해 가해진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이 일어나게되어 그 폭이 확장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35)가 상기 고정홈(25)의 입구부(26)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입구부(26)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본래의 폭으로 수축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35)가 상기 고정홈(25)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 과정 중에 상기 보조 삽입부(36)는 상기 보조 고정홈(27)에 삽입되게 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0)는 상기 프레임(20)에 견고하게 기계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홈(24)에 삽입 된 끼움부(34)는 전기적으로 상기 컨트롤러(30)와 상기 모터(12)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과정은 상기 컨트롤러(30)가 상기 프레임(20)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과정에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12)측에 마련된 단자접촉면(44)과 상기 컨트롤러(30)에 마련된 단자면(53)이 면접촉을 하면서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수용부(45)에 상기 지지부(55)가 삽입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상기 단자접촉면(44)과 단자면(53)이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30)와 상기 프레임(20)의 기계적 결합과 동시에 상기 컨트롤러(30)와 상기 모터(12)의 전기적인 연결이 실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0)는 스크류와 같은 별도의 결합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프레임(20)에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공정이 단순하여 조립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25)에 삽입부(35)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컨트롤러(30)가 상기 프레임(20)에 대해 조립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10)가 차체의 패널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컨트롤러(30)가 상기 프레임(20)으로부터 분해되기 위한 상대회전이 상기 차체의 패널들에 의해 간섭이 되므로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단순 삽입형 구조에서 컨트롤러(30)가 상기 프레임(20)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30)가 채용된 경우는 본 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컨트롤러(30)가 적용되고, 그 컨트롤러(30)가 채용되지 않는 일반형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에는 상기 프레임(20)은 동일형상으로 하고, 전기단자(52)만을 별도로 그 프레임(20)에 대응 하는 형상으로 제조하면 된다. 따라서, 제작비가 비싼 상기 프레임(20)을 공용화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10)의 부품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전기단자(52)와 상대단자(42)의 전기적인 연결을 상기 컨트롤러(30)와 상기 프레임(20)의 기계적인 연결과 동일한 과정에서 달성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부;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컨트롤러의 상대회전시에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상기 컨트롤러에 형성된 슬라이딩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끼움홈;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프레임의 하방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컨트롤러에 형성된 끼움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며 일측에 입구부를 가지는 고정홈; 및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컨트롤러의 상대회전 도중에 상기 고정홈의 입구부를 탄성적으로 벌리면서 그 고정홈 내로 삽입되도록 상기 컨트롤러에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후 상기 고정홈의 입구부가 탄성복원되어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프레임의 측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하고 서술하였으나, 상기 결합수단은 이런한 구체적인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향한 변형예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원주면인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가이드부의 형상이 원주면이 아닌 타원 등의 변형된 형상을 가지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된 보조 고정홈; 및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컨트롤러의 상대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슬라이딩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보조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보조 고정홈 및 상기 보조 삽입부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삽입부는 원기둥 형상인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보조 삽입부는 사각 기둥 등의 다른 형상을 가지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삽입부의 길이방향과 상기 삽입부의 길이방향은 서로 꼬인위치에 있도록 배치된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보조 삽입부의 길이방향과 상기 삽입부의 길이방향은 서로 꼬인위치에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삽입부의 길이방향과 상기 삽입부의 길이방향은 서로 90°의 각도를 가지며 꼬인위치에 있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삽입부의 길이방향은 서로 90°의 각도를 갖지 않는 경우에는 효과는 다소 떨어지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터측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기단자를 포함하며, 그 전기단자는 상기 모터측에 상대 회전에 의해 그 모터측의 상대단자에 끼워져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진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컨트롤러를 통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상기 모터측에 전류를 공급하는 별도의 전기단자가 구 비된 경우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는 상기 컨트롤러를 스크류와 같은 별도의 결합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프레임에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공정이 단순하여 조립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단순 삽입형 구조와 같이 컨트롤러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가 채용된 경우는 본 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컨트롤러가 적용되고, 그 컨트롤러가 채용되지 않는 일반형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에는 상기 프레임은 동일형상으로 하고, 전기단자만을 별도로 그 프레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조하면 된다. 따라서, 제작비가 비싼 상기 프레임을 공용화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의 부품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전기단자와 상대단자의 전기적인 연결을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프레임의 기계적인 연결과 동일한 과정에서 달성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모터;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형성된 워엄과, 그 워엄휠에 동력적으로 연결된 워엄휠을 수용하는 프레임; 및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레임에 상대회전에 의해 고정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부; 및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컨트롤러의 상대회전시에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상기 컨트롤러에 형성된 슬라이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끼움홈;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프레임의 하방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컨트롤러에 형성된 끼움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며 일측에 입구부를 가지는 고정홈; 및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컨트롤러의 상대회전 도중에 상기 고정홈의 입구부를 탄성적으로 벌리면서 그 고정홈 내로 삽입되도록 상기 컨트롤러에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후 상기 고정홈의 입구부가 탄성복원되어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프레임의 측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원주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된 보조 고정홈; 및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컨트롤러의 상대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슬라이딩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보조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삽입부는 원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삽입부의 길이방향과 상기 삽입부의 길이방향은 서로 꼬인위치에 있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삽입부의 길이방향과 상기 삽입부의 길이방향은 서로 90°의 각도를 가지며 꼬인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터측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기단자를 포함하며, 그 전기단자는 상기 모터측에 상대 회전에 의해 그 모터측의 상대단자에 끼워져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
KR1020070005614A 2007-01-18 2007-01-18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 KR100839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614A KR100839999B1 (ko) 2007-01-18 2007-01-18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614A KR100839999B1 (ko) 2007-01-18 2007-01-18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9999B1 true KR100839999B1 (ko) 2008-06-19

Family

ID=39771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614A KR100839999B1 (ko) 2007-01-18 2007-01-18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9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187A (ko) * 2000-12-16 2002-06-22 김민박,라이문트하이넨 파워 윈도우 모터의 드라이버용 다중 댐핑 구조
KR100663964B1 (ko) 2005-04-15 2007-01-02 동양기전 주식회사 파워 윈도우용 모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187A (ko) * 2000-12-16 2002-06-22 김민박,라이문트하이넨 파워 윈도우 모터의 드라이버용 다중 댐핑 구조
KR100663964B1 (ko) 2005-04-15 2007-01-02 동양기전 주식회사 파워 윈도우용 모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1393B2 (en) Motor and brush holder thereof
US20040061391A1 (en) Motor having connector housing
EP1220425B1 (en) Motor having control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its rotation
EP3249787B1 (en) Drive device
US6787953B2 (en) Motor having circuit board
US10312773B2 (en) Motor apparatus
US20110156545A1 (en) Motor drive assembly
JP4205550B2 (ja) モータ及びモータの製造方法
US7279817B2 (en) Mo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724906B1 (en) Electric motor comprising a speed reducing unit and a control circuit board
US6974351B1 (en) Interchangeable adapter for electric motor-and-gear assembly
JP4667887B2 (ja) モータ
US20040012283A1 (en) Motor having electronic control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394530B2 (ja) 電動駆動装置
KR100839999B1 (ko)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
JP3679022B2 (ja) モータ
JP4545495B2 (ja) モータ
KR100829170B1 (ko)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모터 조립체
JP4091459B2 (ja) モータ
KR20060120330A (ko) 와이퍼모터
KR101965010B1 (ko) 모터 및 모터의 제조방법
US20140292003A1 (en) Electric supply structure
CN213413645U (zh) 一种汽车外后视镜的电动折叠器的驱动组件
JP5006564B2 (ja) 減速機構付モータ
JP2007274767A (ja) 減速機構付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12